KR20190081781A - 로터리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 - Google Patents

로터리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781A
KR20190081781A KR1020170184556A KR20170184556A KR20190081781A KR 20190081781 A KR20190081781 A KR 20190081781A KR 1020170184556 A KR1020170184556 A KR 1020170184556A KR 20170184556 A KR20170184556 A KR 20170184556A KR 20190081781 A KR20190081781 A KR 20190081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e
feeding
dial memb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5301B1 (ko
Inventor
김용현
허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184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3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그립부에 고정되도록 복수의 체결홈이 함몰 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공이 관통 형성된 노즐 고정부와; 상기 노즐 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공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 고정부의 반대 측면에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노즐 고정부와 일체로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삽입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의 복수의 개소에 직경이 상이하며 상기 와이어공 및 상기 와이어 통과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복수의 와이어 피딩공이 관통 형성된 다이얼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노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로터리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ROTARY NOZZLE AND CUTTING AND PRESS DEVICE HAVING IT}
본 발명은 로터리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동절단 압착기의 노즐 교체시간을 단축시키고 노즐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로터리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와이어 자동절단 압착기는 절단하고자 하는 와이어를 공급하도록 본체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피딩부와, 와이어가 통과하는 노즐이 구비되며 와이어의 그립이 가능하도록 하며, 스위블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피딩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가 스위블 동작 완료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압착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에서 단부의 압착이 이루어진 상기 와이어를 절단시키도록 상기 그립부의 후방에 배치된 절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자동절단 압착기는 피딩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와이어가 그립부에 그립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절단부에 의하여 설정된 길이로 일단이 절단되고 단부의 외피가 탈피된 후에 압착부에 의하여 단부에 터미널이 압착된 후에 타단이 절단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작업이 완료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와이어 자동절단 압착기에 있어서는, 작업시에 와이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립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와이어가 통과되는 노즐을 와이어의 선경에 맞춰서 교체해야 하는데,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부적합한 노즐이 세팅될 경우에 와이어의 유동에 의하여 비정상적으로 작업이 진행되어 절압물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즐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종의 노즐을 관리해야 할 뿐만 아니라 노즐을 선택하고 교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절단 압착기의 노즐 교체시간을 단축시키고 노즐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절단 압착기에 의하여 생산되는 절압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터리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즐 은, 자동절단 압착기의 그립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자동절단 압착기에 의하여 절단 및 압착되는 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로터리 노즐로서, 상기 그립부에 고정되도록 복수의 체결홈이 함몰 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공이 관통 형성된 노즐 고정부와; 상기 노즐 고정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공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 고정부의 반대 측면에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노즐 고정부와 일체로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삽입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의 복수의 개소에 직경이 상이하며 상기 와이어공 및 상기 와이어 통과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복수의 와이어 피딩공이 관통 형성된 다이얼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다이얼부재의 상기 와이어 피딩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외면에는 각각 나사골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외면 일측에는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는 볼부재와 볼 플런저가 구비되어 상기 다이얼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볼부재가 상기 나사골에 삽입되어 상기 다이얼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피딩공과 대응되는 상기 다이얼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와이어 피딩공의 직경의 크기가 음각으로 표시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다이얼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다이얼부재를 회전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해치음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가 상기 다이얼부재의 상기 와이어 피딩공에 삽입시에 상기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 피딩공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와 초기 접촉되는 상기 와이어 피딩공의 주연부에는 테이퍼홀이 함몰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통과공은 상기 삽입홈 일측의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다이얼부재의 회전 중심은 상기 삽입홈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통과공과 상기 와이어 피딩공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즐을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는, 절단하고자 하는 와이어를 공급하도록 본체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피딩부와; 상기 로터리 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직경에 따라 상기 로터리 노즐의 상기 다이얼부재를 회전시켜 유격 발생이 방지된 상태로 와이어의 그립이 가능하도록 하며, 스위블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피딩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가 스위블 동작 완료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압착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에서 단부의 압착이 이루어진 상기 와이어를 절단시키도록 상기 그립부의 후방에 배치된 절단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딩부 전방의 바닥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어 순차적으로 풀리면서 상기 피딩부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선풀림대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딩부는 공급되는 전선을 곧게 펼수 있도록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는 복수의 롤러로 이루어진 스트레이트 롤러부와, 상기 스트레이트 롤러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레이트 롤러부를 통과한 상기 와이어가 상기 그립부 측으로 피딩되도록 하는 피딩 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자동절단 압착기의 노즐 교체시간을 단축시키고 노즐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절단 압착기에 의하여 생산되는 절압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즐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즐이 구비된 자동절단 압착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즐이 구비된 자동절단 압착기의 피딩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즐이 구비된 자동절단 압착기의 그립부와 압착부 및 절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로터리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즐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즐이 구비된 자동절단 압착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즐이 구비된 자동절단 압착기의 피딩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즐이 구비된 자동절단 압착기의 그립부와 압착부 및 절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노즐(100)은, 자동절단 압착기의 그립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자동절단 압착기에 의하여 절단 및 압착되는 와이어(1)의 이동을 안내하는 로터리 노즐로서, 상기 그립부에 고정되도록 복수의 체결홈(111)이 함몰 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상기 와이어(1)가 삽입되는 와이어공(112)이 관통 형성된 노즐 고정부(110)와; 상기 노즐 고정부(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공(112)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1)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과공(125)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 고정부(110)의 반대 측면에 삽입홈(121)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노즐 고정부(110)와 일체로 구비되는 지지부(120)와; 상기 지지부(120)의 상기 삽입홈(12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의 복수의 개소에 직경이 상이하며 상기 와이어공(112)및 상기 와이어 통과공(125)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복수의 와이어 피딩공(131)이 관통 형성된 다이얼부재(1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터리 노즐(100)은 자동절단 압착기를 이용하여 와이어(1)를 절단 한 후에 압착시키는 작업시에 자동절단 압착기의 절단부 및 압착부로 공급되는 와이어(1)가 유동하지 않는 상태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되는 와이어(1)의 단부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하 로터리 노즐(100)은 크게 노즐 고정부(110)와, 노즐 고정부(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부(120)와, 지지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되는 와이어(1)의 외면을 잡아주는 와이어 피딩공(131)이 관통 형성된 다이얼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노즐 고정부(110) 판면의 둘레에는 로터리 노즐(100)을 자동절단 압착기의 그립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홈(111)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 고정부(110)의 판면 중앙에는 와이어(1)가 통과하는 와이어공(11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20)는 노즐 고정부(110)와 일체로 제작되며 노즐 고정부(110)에 형성된 체결홈(111)과 대응되는 위치하는 체결홈(111)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홀(미도시)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120)는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와이어공(112)에 삽입된 와이어(1)가 지지부(120)를 경유하여 통과하며 지지부(120) 판면의 일측으로 편심된 영역에는 와이어공(112)과 연통되어 와이어(1)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하는 와이어 통과공(12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통과공(125)이 지지부(120) 내측 판면의 일측으로 편심된 영역에 관통 형성되고, 다이얼부재(130)의 회전 중심은 삽입홈(121)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다이얼부재(130)의 회전에 의하여 와이어 통과공(125)과 복수의 상기 와이어 피딩공(131)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노즐 고정부(110)와 접촉되는 지지부(120) 판면과 반대측의 판면에는 다이얼부재(13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홈(121)이 함몰 형성되는데, 삽입홈(121)의 직경은 삽입 설치되는 다이얼부재(130)의 직경과 유사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다이얼부재(130)가 직경 방향을 따라 유동하지 않고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부(120)의 상면 중앙 영역에는 볼 플런저(124)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며 내부에 볼(123)이 수용되도록 하는 통공(122)이 관통 형성되는데, 통공(122)의 하단 직경은 볼(123)의 직경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되어 볼(123)이 하측으로 이탈되지는 않도록 하면서 통공(122)의 하면을 통하여 하측으로 볼(123)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볼(123)과 다이얼부재(13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골(132)이 상호 접촉되어 다이얼부재(130)가 회전된 상태를 구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공(12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볼(123)이 수용되어 하측으로 볼(123)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하고, 볼(123)의 상측에는 볼 플런저(124)의 일부가 지지부(12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볼(123)을 하측으로 탄성지지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이얼부재(130)는 지지부(120)의 삽입홈(12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부재로서 일부는 삽입홈(121)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지지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돌출된 나머지 일부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그립하여 다이얼부재(13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다이얼부재(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개소에는 와이어(1)과 통과하는 복수의 와이어 피딩공(131)이 관통 형성되는데, 와이어 피딩공(131)은 각각 직경이 상이하게 형성되어 공급되는 와이어(1)의 직경에 따라 알맞은 와이어 피딩공(131)을 선택하여 와이어공(112) 및 와이어 통과공(125)와 연통되도록 한다.
그리고, 삽입홈(121)에 삽입되는 다이얼부재(130)의 와이어 피딩공(131)과 대응되는 위치의 외면에는 각각 나사골(132)이 형성되는데, 나사골(132)은 와이어 피딩공(131) 중 어느 하나와 와이어 통과공(125)이 연통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볼 플런저(124)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볼(123)의 일부가 삽입되게 된다.
이러한 나사골(132)은 와이어 피딩공(131)과 와이어 통과공(125)이 연통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나사골(132)이 와이어 피딩공(131)과 대응되는 위치의 다이얼부재(130) 외면에 형성됨으로써 와이어 피딩공(131)이 형성된 위치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 피딩공(131)의 직경을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와이어 피딩공(131)과 대응되는 다이얼부재(130)의 외면에는 와이어 피딩공(131)의 직경의 크기가 음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삽입홈(121)에 삽입된 영역을 제외한 다이얼부재(130)의 외면에는 다이얼부재(130)를 회전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해치음각(133)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다이얼부재(130)를 손가락으로 그립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아울러, 와이어(1)가 다이얼부재(130)의 와이어 피딩공(131)에 삽입시에 와이어(1)를 와이어 피딩공(131)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와이어(1)와 초기 접촉되는 와어이 피딩공(131)의 주연부에는 테이퍼홀(134)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퍼홀(134)이 형성됨으로써 와이어(1)가 와이어공(112)을 통하여 삽입되어 와이어 통과공(125)을 통과한 후에 와이어 피딩공(131)에 삽입시에 와이어(1)의 단부가 테이퍼홀(134)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와이어 피딩공(131)의 입구 측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와이어(1)가 원활하게 와이어 피딩공(131)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즐을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는, 절단하고자 하는 와이어(1)를 공급하도록 본체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피딩부(200)와; 상기 로터리 노즐(100)이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직경에 따라 상기 로터리 노즐(100)의 상기 다이얼부재(130)를 회전시켜 유격 발생이 방지된 상태로 와이어(1)의 그립이 가능하도록 하며, 스위블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피딩부(200)의 후방에 구비되는 그립부(300)와; 상기 그립부(300)가 스위블 동작 완료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1)의 단부를 압착하는 압착부(400)와; 상기 압착부(400)에서 단부의 압착이 이루어진 상기 와이어(1)를 절단시키도록 상기 그립부(300)의 후방에 배치된 절단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피딩부(200)는 절단 및 압착 대상이 되는 와이어(1)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와이어(1)를 공급시에 와이어(1)가 곧게 펼쳐진 상태에서 일정한 속도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상기 와이어(1)를 곧게 펼수 있도록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는 복수의 롤러(211)로 이루어진 스트레이트 롤러부(210)와, 상기 스트레이트 롤러부(2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레이트 롤러부(210)를 통과한 상기 와이어(1)가 상기 그립부(300) 측으로 피딩되도록 하는 피딩 밸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트레이트 롤러부(210)는 와어어(1)를 곧게 펼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상호 대향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는 복수의 롤러(211)로 구비되며, 와이어(1)는 복수의 롤러(211) 사이를 통과하면서 곧게 펼쳐지게 된다.
피딩 밸트(220)는 스트레이트 롤러부(2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스트레이트 롤러부(210)를 통과한 와이어(1)를 일정한 속도로 당겨서 그립부(300) 측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피딩 밸트(220)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는 한 쌍의 롤러의 외면에 설치되어 회전구동하며, 피딩 밸트(220)는 상호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와이어(1)가 피딩 밸트(220) 사이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그립부(300)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피딩부(200) 전방의 바닥면에는 상기 와이어(1)가 수용되어 순차적으로 풀리면서 상기 피딩부(200)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선풀림대(60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립부(300)는 로터리 노즐(100)이 구비되어 와이어(1)의 직경에 따라 상기 로터리 노즐(100)의 다이얼부재(130)를 회전시켜 유격 발생이 방지된 상태로 와이어(1)의 그립이 가능하도록 하며, 스위블 동작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피딩부(200)의 후방에 구비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 노즐(100)은 와이어(1)가 통과하는 그립부(300)의 단부에 볼팅 등의 방법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로터리 노즐(100)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노터리 노즐(10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그립부(300)는 와이어(1)를 그립한 상태에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스위블 동작함으로써 일측에서 와이어(1)의 단부를 압착하고 타측에서 와이어(1)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압착부(400)는 그립부(300)의 후방 일측에 구비되어 와이어(1)의 단부를 압착하는 역할을 하며, 절단부(500)는 그립부(300)의 후방 타측에 구비되어 와이어(1)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절단이 완료된 와이어(1)는 절단부(500)의 일측에 구비된 와이어 수용함(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즐을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절단하여 압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전선풀림대(600)에 수용된 와이어(1)를 일정 길이로 풀어서 와이어(1)가 피딩부(200)의 스트레이트 롤러부(210)와 피딩 밸트(220)를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립부(300)에 구비된 로터리 노즐(100)의 다이얼부재(130)를 회전시켜 와이어(1)의 굵기에 맞는 피딩공(131)과 와이어공(112) 및 와이어 통과공(125)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고 와이어(1)가 와이어공(112)과 피딩공(131) 및 와이어 통과공(125)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로터리 노즐을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에 전원을 인가하여 자동절단 압착기를 구동시키면 피딩부(200)가 동작하면서 와이어(1)는 곧게 펼쳐진 상태에서 일정 속도로 그립부(300) 측으로 공급된다.
와이어(1)가 그립부(300)로 공급되면 절단부(500)에 의하여 와이어(1)의 일단을 절단시키고 외피를 탈피시키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1)는 그립부(300)에 그립된 상태에서 그립부(300)의 스위블 동작에 의하여 압착부(400)로 이동하며, 압착부(400)로 이동한 와이어(1)는 압착부(400)에 의하여 단부에 터미널이 압착된 후에 그립부(300)가 와이어(1)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그 후, 피딩부(200)가 와이어(1)의 길이에 맞춰 설정된 수치만큼 와이어(1)를 그립부(300) 측으로 이동시키면 절단부(500)가 와이어의 타단을 절단시키면서 외피를 탈피시키고, 다음 작업을 위한 와이어(1) 일단의 외피도 함께 탈피시키게 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작업이 완료된 와이어(1)는 별도의 수용함에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한 다음 작업을 위한 와이어(1)에 대해서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지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굵기가 상이한 다른 종류의 와이어(1)를 압착 및 절단하기 위해서는 그립부(300)에 설치된 로터리 노즐(100)의 다이얼부재(130)를 회전 구동시켜 와이어(1)의 굵기와 유사한 굵기를 갖는 피딩공(131)을 와이어(1)가 통과하도록 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1)의 유동을 방지하여 와이어(1)의 정확한 압착 및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로터리 노즐 110 : 노즐 고정부
111 : 체결홈 112 : 삽입홈
120 : 지지부 121 : 삽입홈
122 : 통공 123 : 볼부재
124 : 볼 플런저 125 : 와이어 통과공
130 : 다이얼부재 131 : 피딩공
132 : 나사골 133 : 해치음각
134 : 테이퍼홀 200 : 피딩부
210 : 스트레이트 롤러부 220 : 피딩 밸트
300 : 그립부 400 : 압착부
500 : 절단부 600 : 전선풀림대

Claims (9)

  1. 자동절단 압착기의 그립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자동절단 압착기에 의하여 절단 및 압착되는 와이어(1)의 이동을 안내하는 로터리 노즐(100)로서,
    상기 그립부에 고정되도록 복수의 체결홈(111)이 함몰 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상기 와이어(1)가 삽입되는 와이어공(112)이 관통 형성된 노즐 고정부(110)와;
    상기 노즐 고정부(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공(112)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1)가 통과하는 와이어 통과공(125)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 고정부(110)의 반대 측면에 삽입홈(121)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노즐 고정부(110)와 일체로 구비되는 지지부(120)와;
    상기 지지부(120)의 상기 삽입홈(12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의 복수의 개소에 직경이 상이하며 상기 와이어공(112) 및 상기 와이어 통과공(125)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복수의 와이어 피딩공(131)이 관통 형성된 다이얼부재(1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21)에 삽입되는 상기 다이얼부재(130)의 상기 와이어 피딩공(131)과 대응되는 위치의 외면에는 각각 나사골(13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20)의 외면 일측에는 통공(12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통공(122)에는 볼부재(123)와 볼 플런저(124)가 구비되어 상기 다이얼부재(1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볼부재(123)가 상기 나사골(132)에 삽입되어 상기 다이얼부재(13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피딩공(131)과 대응되는 상기 다이얼부재(130)의 외면에는 상기 와이어 피딩공(131)의 직경의 크기가 음각으로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21)에 삽입된 영역을 제외한 상기 다이얼부재(130)의 외면에는 상기 다이얼부재(130)를 회전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해치음각(1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노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가 상기 다이얼부재(130)의 상기 와이어 피딩공(131)에 삽입시에 상기 와이어(1)를 상기 와이어 피딩공(131)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1)와 초기 접촉되는 상기 와이어 피딩공(131)의 주연부에는 테이퍼홀(134)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노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통과공(125)은 상기 삽입홈(121) 일측의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다이얼부재(130)의 회전 중심은 상기 삽입홈(121)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통과공(125)과 상기 와이어 피딩공(131)이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노즐.
  7. 절단하고자 하는 와이어(1)를 공급하도록 본체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피딩부(200)와;
    상기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로터리 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직경에 따라 상기 로터리 노즐(100)의 상기 다이얼부재(130)를 회전시켜 유격 발생이 방지된 상태로 와이어(1)의 그립이 가능하도록 하며, 스위블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피딩부(200)의 후방에 구비되는 그립부(300)와;
    상기 그립부(300)가 스위블 동작 완료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1)의 단부를 압착하는 압착부(400)와;
    상기 압착부(400)에서 단부의 압착이 이루어진 상기 와이어(1)를 절단시키도록 상기 그립부(300)의 후방에 배치된 절단부(5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노즐을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200) 전방의 바닥면에는 상기 와이어(1)가 수용되어 순차적으로 풀리면서 상기 피딩부(200)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선풀림대(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노즐을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200)는 공급되는 상기 와이어(1)를 곧게 펼수 있도록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는 복수의 롤러(211)로 이루어진 스트레이트 롤러부(210)와, 상기 스트레이트 롤러부(2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레이트 롤러부(210)를 통과한 상기 와이어(1)가 상기 그립부(300) 측으로 피딩되도록 하는 피딩 밸트(2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노즐을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
KR1020170184556A 2017-12-29 2017-12-29 로터리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 KR102025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556A KR102025301B1 (ko) 2017-12-29 2017-12-29 로터리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556A KR102025301B1 (ko) 2017-12-29 2017-12-29 로터리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339A Division KR102053274B1 (ko) 2019-09-19 2019-09-19 로터리 노즐을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781A true KR20190081781A (ko) 2019-07-09
KR102025301B1 KR102025301B1 (ko) 2019-09-27

Family

ID=6726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556A KR102025301B1 (ko) 2017-12-29 2017-12-29 로터리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3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402B1 (ko) * 2019-12-11 2020-06-16 효동기계공업(주) 선재 가이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406B1 (ko) * 2008-06-27 2009-03-13 (주)예스레이저 펜슬형 와이어 공급장치
JP2017189813A (ja) * 2016-04-15 2017-10-19 古河電工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整直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406B1 (ko) * 2008-06-27 2009-03-13 (주)예스레이저 펜슬형 와이어 공급장치
JP2017189813A (ja) * 2016-04-15 2017-10-19 古河電工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整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402B1 (ko) * 2019-12-11 2020-06-16 효동기계공업(주) 선재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301B1 (ko)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78450B2 (ja) ケーブルを自動ケーブル処理装置内に供給するための装置
US9102000B2 (en) Pushbutton wire guide holder for a welding wire feeder
US9073139B2 (en) Wire electrode drive pressure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CA2862654C (en) Welding wire feeders with a wire guide having elongated guide surfaces spaced from one another
EP3375559A1 (en) Multifunction wire feeder for a portable welding system
KR20190081781A (ko) 로터리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
US4062110A (en) Portable tool for stripping metal sheathing from heavy conductive cable
US4012273A (en) Hand operated tape wrapper
CN108044246B (zh) 一种锡丝送锡机构
KR100888406B1 (ko) 펜슬형 와이어 공급장치
KR102053274B1 (ko) 로터리 노즐을 구비한 자동절단 압착기
US3026012A (en) Wire guide for spring-coiling machines
JPH08121427A (ja) 板状部材の連結装置
KR20100084591A (ko) 급전선 절단기
US2709380A (en) Feed attachment for portable power-driven drills
US6341409B1 (en) Clip disk assembly for carrying candle wick eyelets
DE202017102022U1 (de) Drahtvorschubeinrichtung für Schweißdrähte
US5967395A (en) Terminal belt guiding mechanism to be used with a terminal crimping unit
GB15953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metal wire from a covering of insulating material
KR200284493Y1 (ko) 와이어컷 방전 가공기용 와이어 회수장치
JP7188185B2 (ja) 溶接ワイヤ送給装置
JP2010009768A (ja) 電線用端子の圧着装置への端子供給機構及び圧着装置
KR101862024B1 (ko) 자동차용 루프 안테나의 피복동선 피복장치
US2209893A (en) Welding apparatus
JP2006043850A (ja) カセット式ワイヤ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