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475B1 - 캠 자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캠 자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475B1
KR102346475B1 KR1020210113036A KR20210113036A KR102346475B1 KR 102346475 B1 KR102346475 B1 KR 102346475B1 KR 1020210113036 A KR1020210113036 A KR 1020210113036A KR 20210113036 A KR20210113036 A KR 20210113036A KR 102346475 B1 KR102346475 B1 KR 102346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unit
shaft
backward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섭
Original Assignee
효동기계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동기계공업(주) filed Critical 효동기계공업(주)
Priority to KR102021011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21J13/14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10Drives for forg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56Making machine elements screw-thread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볼트, 너트 등의 부품을 타격하여 인출하는 캠의 타격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캠 자동 조절장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캠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캠 자동 조절장치로써, 상기 캠의 하측에 결합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체결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이동부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샤프트; 및 상기 캠이 상기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샤프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캠 자동 조절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CONTROL CAM}
본 발명은 캠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볼트, 너트 등의 부품을 타격하여 인출하는 캠의 타격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캠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설비, 기계 구조물 등의 체결부품으로 폭 넓게 사용하고 있는 볼트나 너트는 대부분 포머장치를 통해 성형한다.
포머장치는 크게 볼트나 너트의 재료가 되는 선재가 권취되어, 선재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선재 권선유닛, 선재를 일정한 피치로 공급하는 선재 공급유닛,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가이드홀이 형성된 리볼브유닛, 리볼브유닛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이송되는 선재를 점진적으로 컷팅하는 컷팅유닛, 컷팅유닛에 의해 컷팅된 선재를 각종 성형금형유닛들로 순차 이송시키는 집게 파지 타입의 트래스포머, 성형금형유닛들의 전방에서 선재를 타격하여 성형금형의 내부에 마련된 성형공간으로 인입시키는 펀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선재는 펀치유닛에 의해 타격 시 성형공간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인입되면서 성형공간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후에, 포머장치의 인출유닛이 작동하여 성형공간에 꽉 끼워진 선재를 타격하여 성형금형유닛의 외부로 인출시킨다.
이때, 제조하고자 하는 볼트나 너트의 사이즈에 따라 선재의 직경을 달리해야 하기 때문에 전술한 리볼브유닛에는 직경별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이동가이드홀이 형성된다.
또한, 포머장치는 이동가이드홀 중 어느 하나와 선재 권선유닛에서 공급되는 선재를 수평선상에 위치시키기 위해 리볼브유닛을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인출유닛은 케이오 캠(KO-CAM)에 의해 작동하여 성형금형유닛에 성형된 부품(선재)의 일단을 타격하고, 이 타격에 의해 성형금형유닛에 꽉 끼워진 선재가 성형금형유닛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인출유닛은 케이오 캠에 의해 성형금형유닛에 대해 전,후진되고, 전진될 시 선재를 타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선재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성형되어야 한다.
즉, 선재의 길이에 따라 볼트, 너트 등의 부품이 소형, 중형, 대형 등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선재의 길이에 대응되게 인출유닛의 전,후진 거리가 조절되어야 한다. 즉, 선재의 길이가 짧을 경우 인출유닛의 전,후진 거리가 길어야 하고, 선재의 길이가 길 경우 인출유닛의 전,후진 거리가 짧아야 한다.
그리고, 인출유닛의 전,후진 거리는 전술한 케이오 캠을 조절하여 가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케이오 캠을 수작업으로 조절하여 인출유닛의 전,후진 거리를 조절하였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케이오 캠의 조절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케이오 캠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조절하여 부품의 생산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제10-196268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볼트, 너트 등의 부품을 타격하여 인출하는 캠의 타격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캠 자동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캠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캠 자동 조절장치로써, 상기 캠의 하측에 결합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체결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이동부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샤프트; 및 상기 캠이 상기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샤프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및 상기 구동부에는 서로 접속되는 제1,2 접속부가 각각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장착되고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부에는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는 삽입바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가 접속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상기 샤프트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픽업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캠 자동 조절장치는,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볼트, 너트 등의 부품을 타격하여 인출하는 캠의 타격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자동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자동 조절장치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자동 조절장치에 적용된 이동부와 샤프트 및 캠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자동 조절장치에 적용된 이동부와 샤프트와 구동부와 픽업부 및 캠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자동 조절장치가 적용되는 캠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자동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자동 조절장치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자동 조절장치에 적용된 이동부와 샤프트 및 캠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자동 조절장치에 적용된 이동부와 샤프트와 구동부와 픽업부 및 캠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자동 조절장치가 적용되는 캠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자동 조절장치는, 이동부(10)와, 샤프트(20)와, 구동부(30) 및 픽업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캠(60)은 선재를 가공하여 볼트, 핀과 같은 부품으로 성형하는 공지의 포머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캠(60)은 케이오-캠(KO-CAM)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포머장치를 구성하는 성형금형의 내부에 꽉 끼워진 선재를 인출하는데 사용된다.
일 예로, 포머장치는 직경별 선재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이동가이드홀이 형성된 리볼브, 리볼브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이송되는 선재를 점진적으로 컷팅하는 컷팅유닛(미도시), 컷팅유닛에 의해 컷팅된 선재를 각종 성형금형들로 순차 이송시키는 집게 파지 타입의 트래스포머(미도시), 성형금형들의 전방에서 선재를 타격하여 성형금형의 내부에 마련된 성형공간으로 인입시키는 펀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재는 펀치유닛에 의해 타격될 시 성형공간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인입되면서 성형공간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때, 컷팅유닛은 컷팅작동 시간이 가변되어 선재를 다양한 길이로 컷팅할 수 있다.
즉, 컷팅유닛이 빨리 작동할 경우 선재를 짧은 길이로 컷팅할 수 있고, 이에 비해 늦게 작동할 경우 선재를 긴 길이로 컷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자동 조절장치는 컷팅유닛의 컷팅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캠(60)은, 장착홀을 포함하며 내부공간이 복수개의 격벽(611)에 의해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베이스(61)와, 베이스(61)의 장착홀에 관통설치되며 양측이 외부로 돌출되는 회동축(62)과, 회동축(62)의 일측에 장착되는 장착구(63)와, 일측이 장착구(63)에 결합되고 모터의 동력으로 수평방향으로 작동하여 장착구(63)를 회동시키는 링크부(64)와, 구획벽의 사이 공간 마다 배치되되, 후술되는 구동부(30)와 마주하는 일면에 곡선면(651)이 형성되고, 타면은 수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동체(65)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64)는 공지의 캠(60)구조로 작동하여 장착구(63)를 양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장착구(63)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축(62)과 베이스(61) 및 회동체(65)도 함께 회동되며, 이를 도 1 및 도 5에 도시하였다.
그리고, 회동체(65)들은 하나의 축(66)에 의해 구획벽에 공동으로 축 설치된다.
축(66)은 회동체(65)들의 상측을 공동으로 관통하도록 구현된다.
회동체(65)들은 축(66)을 기준으로 그 아랫부분이 후술되는 구동부(30)와 점진적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형태로 회동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캠(60)의 구조 및 작동은 상용화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부가적으로, 캠(60)의 상측에는 인출장치(70)가 배치된다.
인출장치(70)는 회동가이드축(71)과, 중심부가 회동가이드축(71)에 고정되며, 회동가이드축(71)을 기준으로 양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회동부재(72) 및, 회동부재(72)의 상측에 축 고정되며, 회동부재(72)의 회전에 의해 성형금형에 꽉 끼워진 선재를 타격하여 인출시키는 타격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격부(73)는 연결블록(731)을 매개로 회동부재(72)의 상측에 연결된다.
타격부(73)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성형금형에 의해 복수개의 선재가 성형됨으로, 타격부(73)는 복수개의 성형완료 선재를 각각 타격하여 인출하도록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때, 회동부재(72)의 하측에는 회동체(65)들과 1:1 각각 대향되는 롤러(721)가 설치된다. 롤러(721)는 회동체(65)의 곡선면(651)을 타고 다니게 된다.
회동부재(72)는 자중에 의해 하 방향으로 회동되지만 하방에 위치된 회동체(65)에 롤러(721)가 지지됨으로 경사진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링크부(64)가 모터의 동력으로 작동하여 구동부(30)측 방향으로 전진하면 도 1과 같이 회동체(65)의 상측이 롤러(721)를 들어 올려 회동부재(72) 중 롤러(721)가 설치된 하측 부분을 상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결국 회동부재(72)의 상측은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타격부(73)가 전진하면서 선재를 타격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링크부(64)가 모터의 동력으로 후진되어 구동부(30)와 멀어지면 회동부재(72)의 롤러(721)가 설치된 하측부분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며, 타격부(73)도 후진하게 된다.
한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선재는 서로 다른 사이즈(길이)로 성형된다. 이때, 회동부재(72)의 회동각도와 타격부(73)의 전,후진 길이는 비례하게 된다.
부연하면, 전술한 회동체(65)가 도 1의 A1 영역, A2 영역 및 A3 영역과 같이 구동부(30)와 멀수록 회동부재(72)의 회동각도가 커져 타격부(73)의 전,후진 거리가 길어지고, 회동체(65)가 A4 영역과 같이 구동부(30)와 가까울수록 회동부재(72)의 회동각도가 작아져 타격부(73)의 전,후진 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아울러, A4 영역에 위치한 회동체(65)의 경우 A1 영역, A2 영역 및 A3 영역에 위치한 회동체(65)에 비해 회동부재(72)의 회동각도를 크게 한다.
즉, 회동부재(72)의 회동각도가 커져야 타격부(73)의 전,후진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회동부재(72)의 회동각도가 작을 경우 타격부(73)의 전,후진 거리가 짧아지게 되는 것으로, 성형되는 선재의 길이가 짧을 경우 회동부재(72)의 회동각도가 커져야 타격부(73)의 전,후진 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선재를 타격할 수 있고, 성형되는 선재의 길이가 길 경우 회동부재(72)의 회동각도 및 타격부(73)의 전,후진 거리가 작아도 타격부(73)가 선재를 타격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부(10)와, 샤프트(20)와, 구동부(30) 및 픽업부(40)는 선재의 길이에 대응되게 회동체(65)의 위치를 조절하여 회동부재(72)의 회동각도 및 타격부(73)의 전,후진 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이동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나선홀이 형성된다.
이동부(10)의 양측에는 블록 형상의 개재부(11)가 형성된다.
아울러, 이동부(10)는 회동체(65)의 하부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개재부(11)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포크(12)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이동부(10)와, 개재부(11)와, 포크(12) 및 하나의 회동체(65)는 일체화 된다.
따라서, 회동체(65)는 이동부(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샤프트(20)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20)는 구동부(30)의 동력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샤프트(20)의 외주연에는 이동부(10)의 나선홀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된다.
나선홀과 샤프트(20)의 나선이 체결됨으로 인해 샤프트(2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시 이동부(10)는 샤프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회동체(65)가 축(66)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샤프트(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구동부(30)는 AC모터 또는 DC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30)의 모터축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샤프트(20) 및 구동부(30)에는 서로 접속되는 제1,2 접속부가 각각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부(21)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20)의 끝단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접속부(21)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홈(21a)이 형성된다.
도 2에는 지지홈(21a)이 2개로 적용되어 제1 접속부(21)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속부(31)는 구동부(30)의 모터축에 장착되며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속부(31)는 지지홈(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바(31a)가 형성된다.
삽입바(31a)가 지지홈(21a)에 삽입된 후 구동부(30)가 작동하면, 제1,2 접속부 및 샤프트(20)가 일률적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일 예로 구동부(30)의 모터축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샤프트(20)에서 이동부(10)가 구동부(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국, 회동체(65)도 구동부(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구동부(30)의 모터축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샤프트(20)에서 이동부(10)가 구동부(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국 회동체(65)도 구동부(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픽업부(40)는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가 접속 또는 이격되도록 구동부(30)를 샤프트(20)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구성이다.
회동체(65)와 타격부(73)는 한번에 여러 개의 선재를 인출하도록 복수개로 적용되며, 이에 따라 구동부(30)도 회동체(65)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된다.
구동부(30)들은 하나의 설치판(50)의 상면에 일렬로 나열배치 되며, 픽업부(40)가 설치판(50)을 이동시켜 구동부(3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된다.
이때, 픽업부(40)는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어판넬에는 구동부(30) 및 픽업부(4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판넬에는 구동부(30)의 모터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정방향버튼 및 역방향버튼이 마련된다.
아울러, 제어판넬에는 픽업부(40)의 피스톤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전진버튼 및 후진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판넬을 통해 선재의 길이에 대응되게 타격부(73)의 전,후진 거리를 조절하면 된다.
일 예로, 어느 특정 길이의 선재를 성형금형으로 성형을 완료한 다음, 다른 특정 길이의 선재를 새롭게 성형금형으로 성형하고자 할 경우, 제어판넬을 통해 타격부(73)의 전,후진 거리를 조절하면 되는데, 새로운 선재의 길이가 짧을 경우 캠(60)의 작동을 잠시 정지시킨 다음, 제어판넬에 마련된 전진버튼을 눌러 구동부(30)를 전진시킨다.
따라서,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가 서로 접촉되고, 지지홈(21a)에 삽입바(31a)가 삽입된다.
이후, 정방향버튼을 눌러 제2 접속부(31)와 샤프트(20)를 회전시키면 회동체(65)가 구동부(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경우, 회동부재(72)의 회동각도가 커져 타격부(73)의 전,후진 거리가 길어지게 되며, 결국 타격부(73)가 길이가 짧은 선재를 타격하여 성형금형에서 인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회동부재(72)의 회동각도 및 타격부(73)의 전,후진 거리를 조절한 다음에는 후진버튼을 눌러 구동부(30)를 후진시켜 제2 접속부(31)를 제1 접속부(21)에서 이격시킨 다음, 다시 캠(60)을 작동시켜 다른 길이의 선재를 성형 및 인출하면 된다.
이때, 선재의 컷팅길이는 전술한 컷팅유닛의 작동 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새로운 선재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제어판넬에 마련된 전진버튼을 눌러 구동부(30)를 전진시킨다.
따라서, 제1 접속부(21)와 제2 접속부(31)가 서로 접촉되고, 지지홈(21a)에 삽입바(31a)가 삽입된다.
이후, 역방향버튼을 눌러 제2 접속부(31)와 샤프트(20)를 회전시키면 회동체(65)가 구동부(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경우, 회동부재(72)의 회동각도가 작아져 타격부(73)의 전,후진 거리가 짧아지게 되며, 결국 타격부(73)가 길이가 긴 선재를 타격하여 성형금형에서 인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회동부재(72)의 회동각도 및 타격부(73)의 전,후진 거리를 조절한 다음에는 후진버튼을 눌러 구동부(30)를 후진시켜 제2 접속부(31)를 제1 접속부(21)에서 이격시킨 다음, 다시 캠(60)을 작동시켜 다른 길이의 선재를 성형 및 인출하면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이동부 11 : 개재부
12 : 포크 20 : 샤프트
21 : 제1 접속부 21a : 지지홈
30 : 구동부 31 : 제2 접속부
31a : 삽입바 40 : 픽업부
50 : 설치판 60 : 캠
61 : 베이스 611 : 격벽
62 : 회동축 63 : 장착구
64 : 링크부 65 : 회동체
66 : 축 70 : 인출장치
71 : 회동가이드축 72 : 회동부재
721 : 롤러 73 : 타격부

Claims (4)

  1. 인출장치가 성형금형에 끼워져 있는 선재를 타격하여 인출하도록 전진 또는 후진시키며,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캠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선재의 길이에 따라 상기 인출장치의 전,후진 거리를 조절하는 캠 자동 조절장치에서,
    상기 캠의 하측에 결합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체결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이동부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샤프트; 및
    상기 캠이 상기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샤프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한 상기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결합된 캠이 상기 샤프트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어, 상기 인출장치의 전,후진 거리가 상이해지는 캠 자동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및 상기 구동부에는 서로 접속되는 제1,2 접속부가 각각 장착되는 캠 자동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장착되고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부에는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는 삽입바가 형성되는 캠 자동 조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가 접속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상기 샤프트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픽업부를 더 포함하는 캠 자동 조절장치.
KR1020210113036A 2021-08-26 2021-08-26 캠 자동 조절장치 KR102346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36A KR102346475B1 (ko) 2021-08-26 2021-08-26 캠 자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36A KR102346475B1 (ko) 2021-08-26 2021-08-26 캠 자동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475B1 true KR102346475B1 (ko) 2022-01-03

Family

ID=7934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036A KR102346475B1 (ko) 2021-08-26 2021-08-26 캠 자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800B1 (ko) * 2023-04-21 2023-07-19 효동기계공업(주) 캠 및 이를 포함하는 냉간단조의 케이오 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2518A1 (de) * 1980-01-18 1981-07-29 L. SCHULER GmbH Umformpresse mit einer Steuerkurveneinrichtung
KR101962685B1 (ko) 2018-01-17 2019-03-27 정선호 선재 공급장치가 구비된 볼트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2518A1 (de) * 1980-01-18 1981-07-29 L. SCHULER GmbH Umformpresse mit einer Steuerkurveneinrichtung
KR101962685B1 (ko) 2018-01-17 2019-03-27 정선호 선재 공급장치가 구비된 볼트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800B1 (ko) * 2023-04-21 2023-07-19 효동기계공업(주) 캠 및 이를 포함하는 냉간단조의 케이오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3185B1 (en) Automatic steel cord winders
KR101632361B1 (ko)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KR102346475B1 (ko) 캠 자동 조절장치
CN110370713B (zh) 一种便携式可调模具加工用支撑装置及其工作方法
JPWO2015128968A1 (ja) リール支持装置
JPH07115073B2 (ja) 鋼管の連続製造装置
CN105449940A (zh) 一种无刷电机磁钢圈新型加工工艺及其卷绕设备
CN205248998U (zh) 一种无刷电机磁钢圈新型卷绕设备
CN106180381A (zh) 用于汽车冲压件的级进模
CN110202389A (zh) 一种智能化加工成型离合器壳体的生产线
CN211803134U (zh) 一种新型钢筋冷拔机
CN107042249A (zh) 一种用于短薄壁管类零件的多工位整形机
CN109277503B (zh) 一种组合拉簧的制作装置
CN113843848A (zh) 一种汽车零部件加工用连续拉伸旋切模具
CN109175191B (zh) 一种轮毂铸锻设备中的铸锻底模移动机构
CN106424269A (zh) 一种全自动卷边机
KR102556800B1 (ko) 캠 및 이를 포함하는 냉간단조의 케이오 기구
JPH04294922A (ja) パイプ切断方法及びパイプカッター
KR102139750B1 (ko) 자재 공급장치
CN206153903U (zh) 一种轴承钢圈自动成型机
US2327894A (en) Ammunition
CN220311375U (zh) 钛锭制造用坩埚变形矫圆设备
CN220177876U (zh) 一种盘丝机的盘丝装置
KR102079678B1 (ko) 인출장치
CN210366415U (zh) 一种塑料挤出成型设备放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