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983B1 -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983B1
KR102117983B1 KR1020190025124A KR20190025124A KR102117983B1 KR 102117983 B1 KR102117983 B1 KR 102117983B1 KR 1020190025124 A KR1020190025124 A KR 1020190025124A KR 20190025124 A KR20190025124 A KR 20190025124A KR 102117983 B1 KR102117983 B1 KR 102117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personal mobility
detachable module
module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우
이진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룰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룰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룰로
Priority to KR1020190025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6Means for detecting that the user is wearing a helmet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05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acting on the st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 B62H2700/005Stands or support attached to bicycle pedals, stands or supports in combination with locking devices, stands to be used as luggage carri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은, 퍼스널 모빌리티에 구비되며, 탈착모듈을 포함하는 제1 단말장치; 및 상기 탈착모듈에 탈부착되는 결합부가 구비된 안전모;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말장치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탈착모듈에 정상 결착된 경우 정상반납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탈착모듈에 정상 결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상반납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OPERATING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 자전거 등 각종 운송수단이나 텐트, 팬션 등의 숙박시설 등을 공유하는 이른바 공유경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관련 서비스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는데, 모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용중인 공유자전거 서비스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공유의 대상이 되는 퍼스널 모빌리티에는 자전거, 전동 킥보드, 초소형 전기차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들 가운데 전동 킥보드 등은 일반 자전거와 달리 충전이 필요하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서 헬멧 등 안전모 착용이 필요한데, 사용자들이 헬멧을 지참하고 다니기는 불편하지만, 사업자가 안전모를 제공하더라도 쉽게 오염되거나 분실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탑승자의 안전성 개선, 안전모 관리 효율성 개선,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의 효율성 향상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은, 퍼스널 모빌리티에 구비되며, 탈착모듈을 포함하는 제1 단말장치; 및 상기 탈착모듈에 탈부착되는 결합부가 구비된 안전모;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말장치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탈착모듈에 정상 결착된 경우 정상반납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탈착모듈에 정상 결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상반납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단말장치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정상반납된 이후에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대여승인 전까지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바퀴 회전 및 조향 손잡이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는, 발판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은 앞바퀴와 연결되고 타측은 조향 손잡이와 연결되는 조향축;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모듈은, 상기 조향축에 구비되어 상기 조향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 탈착모듈;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 탈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탈착모듈에 탈부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탈착모듈에 탈부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가 상기 안전모를 착용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가 상기 안전모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단말장치는 상기 제1 센서의 감지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안전모 미착용시 경고를 출력하거나 바퀴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장치와 탈착되며, 상기 제1 단말장치와 결착되면 상기 제1 단말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단말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단말장치는 상기 제1 단말장치 및 상기 제2 단말장치의 결합상태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는 잠금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가 언제 어디서나 착용할 수 있는 안전모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전모 분실 위험이나 오염 위험성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안전모 관리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퍼스널 모빌리티의 반납시 충전 가능 상태로 손쉽게 거치시킬 수 있게 되므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단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1000)은, 제1 단말장치(100) 및 안전모(200)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제2 단말장치(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퍼스널 모빌리티(10)는 메인프레임(11), 조향축(12), 조향손잡이(13), 앞바퀴(14a), 뒷바퀴(14b)를 포함하는 통상의 전동 킥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프레임(11)에는 발판(11a)이 포함될 수 있으며, 조향축(12)의 일측에는 앞바퀴(14a)가 연결되고, 조향축(12)의 타측에는 조향손잡이(13)(핸들)이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전동 킥보드 등의 퍼스널 모빌리티(10)에 제1 단말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장치(100)는 조향축(1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조향축(12)의 회전에 따라 제1 단말장치(100)도 조향축(12)과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단말장치(100)가 메인프레임(11)에 구비되어 조향축(12)의 회전과 무관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단말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경유해서 서버와 연결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등의 유저단말 역시 통신망을 경유해서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서 제1 단말장치(100)를 인식한 뒤 대여요청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에서 대여요청이 승인되면 제1 단말장치(100)가 서버로부터 대여승인신호를 수신하여 퍼스널 모빌리티(10)를 주행 가능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단말장치(100)는 탈착모듈을 포함하며, 안전모(200)에는 탈착모듈에 탈부착되는 결합부가 본체부(201)에 구비된다. 일실시예에서 탈착모듈은 제1 단말장치(100)에 일체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탈착모듈은 제1 단말장치(100)에서 분리되어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탈착모듈과 제1 단말장치(100) 사이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단말장치(100)는 탈착모듈에 결합부가 정상적으로 결착됐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서 대여 상태에 있던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정상반납신호 송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접촉센서, NFC 등의 감지수단이 탈착모듈에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전모(200)의 결합부가 탈착모듈에 정상 결착됐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탈착모듈에 결착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안전모(200)의 일련번호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정상반납된 퍼스널 모빌리티(10)는 대여승인 전까지 바퀴 회전 및 조향손잡이(13) 회전 중 적어도 하나가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장치(100)가 퍼스널 모빌리티(10)의 구동모터(미도시됨)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거나, 브레이크(미도시됨)를 강제 활성화 시키거나, 조향축(12)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여과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이동을 불편하게 함으로써 퍼스널 모빌리티(10)의 분실 및 부정사용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탈착모듈은 제1, 2 탈착모듈(191, 192), 결합부는 제1, 2 결합부(210, 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탈착모듈(191)은 조향축(12)에 구비되어 조향축(12)과 함께 회전되고, 제2 탈착모듈(192)은 메인프레임(11)에 구비되며, 제1 결합부(210)는 제1 탈착모듈(191)에 탈부착되고, 제2 결합부(220)는 제2 탈착모듈(192)에 탈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2 결합부(210, 220)는 안전모(200)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 2 결합부(210, 220)가 제1, 2 탈착모듈(191, 19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조향축(12)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향축(12)이 복수 축의 기계적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결합부위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단말장치(100)가 메인프레임(11)에 구비되어 조향축(12)의 회전과 무관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탈착모듈(191) 및 제2 탈착모듈(192) 중 하나는 조향축(12)에, 다른 하나는 메인프레임(11)에 구비된다면 전술한 바와 비슷한 원리로 안전모(200)가 결착된 상태에서 조향축(12)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안전모(200)에 제1 센서(25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안전모(200)가 탑승자에게 착용되었는지의 여부, 그리고, 안전모(200)가 제1 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가의 여부 등을 제1 단말장치(100)가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장치(100)는 제1 센서(250)와의 교신을 통해서 안전모(200)가 미착용 상태이거나 안전모(200)가 제1 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면 경고를 출력하거나 바퀴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퍼스널 모빌리티(10) 탑승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센서(250)는 조도센서, 압력센서, 접촉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1 센서(250)의 감지결과는 결합부, 탈착모듈 등을 경유하거나 무선연결 등을 통해서 직접 제1 단말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 단말장치(310)는 제1 단말장치(100)와 탈착되며, 제1 단말장치(100)와 결착되면 제1 단말장치(1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말장치(310)는 제1 잠금모듈(315)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잠금모듈(315)은 제1 단말장치(100) 및 제2 단말장치(310)의 결합상태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단말장치(310)에 돌출걸쇠가 구비되고 제1 단말장치(100)에 수용홈(171)이 구비될 수 있고, 제1 단말장치(100)와 제2 단말장치(310)가 정상적으로 결착될 경우 돌출걸쇠가 수용홈(171)에 삽입됨으로써 제1 단말장치(100)와 제2 단말장치(310)의 결합상태가 잠길 수 있다. 또한, 잠금해제가 필요한 경우 돌출걸쇠가 수용홈(17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잠금모듈(315)에는 돌출걸쇠 및 돌출걸쇠의 돌출여부를 제어하는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단말장치(100)에 돌출걸쇠가 구비되고 제2 단말장치(310)에 수용홈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 단말장치(310)에 구비되는 제1, 2 단자(311, 312)와 제1 단말장치(100)에 구비되는 제3, 4 단자(161, 162)가 접촉되어 제2 단말장치(310)가 제1 단말장치(100)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2 단자(311, 312)와 제3, 4 단자(161, 162)가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접촉되는 경우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들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 단말장치(310)는 스테이션(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스테이션(300)은 지지대(320) 및 고정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스테이션(300)은 퍼스널 모빌리티(10)의 거치, 충전, 잠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고정대(330)는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앞바퀴(14a)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해서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대(330)는 메인프레임(11)의 앞부분을 수용해서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즉,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의 앞부분에 걸림홈(17)이 구비되고 이 부분이 고정대(330) 내부로 수용되면 고정대(330)에 구비된 제2 잠금모듈(335)이 걸림홈(17)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잠금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단말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및 감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단말장치(100)에는 출력부(140), NFC모듈(150), 조명부(150), 충전부(160), 잠금부(170), 탈착부(190)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통신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감지부(130)는 GPS, 가속도센서, 관성센서, 온도센서, 조도센서, 근접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거나 해당 센서들과 연결되어 감지결과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에에서, 출력부(140)는 화면, 음향, 음성, 진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정의 정보나 경고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NFC모듈(150)은 제2 단말장치(310), 유저단말, 안전모(200) 등 다른 유닛들과 제1 단말장치(100) 사이에 소정의 정보를 교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충전부(160)는 제2 단말장치(310) 등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기에너지로 퍼스널 모빌리티(10)에 구비된 별도의 배터리 등을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잠금부(170)는 제2 단말장치(310)와의 결합 잠금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탈착부(190)는 제1, 2 탈착모듈(191, 192)과 제1, 2 결합부(210, 220) 사이의 결합관계 등을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1000 :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10 : 퍼스널 모빌리티
11 : 메인프레임
11a : 발판
12 : 조향축
13 : 조향손잡이
14a : 앞바퀴
14b : 뒷바퀴
17 : 걸림홈
100 : 제1 단말장치
161 : 제3 단자
162 : 제4 단자
171 : 수용홈
191 : 제1 탈착모듈
192 : 제2 탈착모듈
200 : 안전모
201 : 본체부
210 : 제1 결합부
220 : 제2 결합부
250 : 제1 센서
300 : 스테이션
310 : 제2 단말장치
311 : 제1 단자
312 : 제2 단자
315 : 제1 잠금모듈
320 : 지지대
330 : 고정대
335 : 제2 잠금모듈

Claims (5)

  1. 퍼스널 모빌리티에 구비되며, 탈착모듈을 포함하는 제1 단말장치; 및
    상기 탈착모듈에 탈부착되는 결합부가 구비된 안전모;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말장치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탈착모듈에 정상 결착된 경우 정상반납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탈착모듈에 정상 결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상반납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장치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정상반납된 이후에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대여승인 전까지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바퀴 회전 및 조향 손잡이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는,
    발판을 포함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은 앞바퀴와 연결되고 타측은 조향 손잡이와 연결되는 조향축;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모듈은,
    상기 조향축에 구비되어 상기 조향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 탈착모듈;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 탈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탈착모듈에 탈부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탈착모듈에 탈부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탑승자가 상기 안전모를 착용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가 상기 안전모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단말장치는 상기 제1 센서의 감지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결과에 따라, 안전모 미착용시 경고를 출력하거나 바퀴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장치와 탈착되며, 상기 제1 단말장치와 결착되면 상기 제1 단말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단말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단말장치는 상기 제1 단말장치 및 상기 제2 단말장치의 결합상태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는 잠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KR1020190025124A 2019-03-05 2019-03-05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KR102117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124A KR102117983B1 (ko) 2019-03-05 2019-03-05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124A KR102117983B1 (ko) 2019-03-05 2019-03-05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899A Division KR102132411B1 (ko) 2020-05-22 2020-05-22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983B1 true KR102117983B1 (ko) 2020-06-09

Family

ID=7108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124A KR102117983B1 (ko) 2019-03-05 2019-03-05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983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799B1 (ko) * 2020-07-23 2021-07-26 (주)오랜지랩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
KR102379970B1 (ko) 2020-09-23 2022-03-2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KR20220040290A (ko)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KR20220052679A (ko)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올룰로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KR20220078531A (ko)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KR20220135964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올룰로 탑승 인원에 따른 속도제한 기능을 갖는 전동 킥보드
KR20220135963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올룰로 인도에서의 속도제한 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KR20220135965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올룰로 횡단보도에서의 속도제한 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KR20220135966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올룰로 속도제한구역에서의 속도제한 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KR20220138246A (ko)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올룰로 비콘을 활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시스템
KR20220149103A (ko)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올룰로 안전주행 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087A (ja) * 2004-11-29 2006-06-15 Yamaha Motor Co Ltd 電動車両用充電システム
JP2007331725A (ja) * 2006-06-12 2007-12-27 Yuitto:Kk 電動式二輪車レンタルシステム
US20140277706A1 (en) * 2013-03-14 2014-09-18 Simon Minnis Shared-use bicycle systems
KR101578462B1 (ko) * 2015-04-23 2015-12-18 (주)리눅스아이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전거 대여 시스템
KR20170012510A (ko) * 2017-01-17 2017-02-02 (주)초이스밸류 자전거
KR101938094B1 (ko) * 2017-09-29 2019-01-11 오주민 안장을 구비한 접이식 전동 킥보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087A (ja) * 2004-11-29 2006-06-15 Yamaha Motor Co Ltd 電動車両用充電システム
JP2007331725A (ja) * 2006-06-12 2007-12-27 Yuitto:Kk 電動式二輪車レンタルシステム
US20140277706A1 (en) * 2013-03-14 2014-09-18 Simon Minnis Shared-use bicycle systems
KR101578462B1 (ko) * 2015-04-23 2015-12-18 (주)리눅스아이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전거 대여 시스템
KR20170012510A (ko) * 2017-01-17 2017-02-02 (주)초이스밸류 자전거
KR101938094B1 (ko) * 2017-09-29 2019-01-11 오주민 안장을 구비한 접이식 전동 킥보드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799B1 (ko) * 2020-07-23 2021-07-26 (주)오랜지랩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
WO2022019668A1 (ko) * 2020-07-23 2022-01-27 (주)오랜지랩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
KR102379970B1 (ko) 2020-09-23 2022-03-2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KR20220040290A (ko)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KR20220040354A (ko)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KR20220040426A (ko)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KR20220052679A (ko)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올룰로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KR20220078531A (ko)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KR20220078764A (ko) 2020-12-03 2022-06-13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주차확인방법 및 그를 위한 퍼스널 모빌리티
KR20220135964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올룰로 탑승 인원에 따른 속도제한 기능을 갖는 전동 킥보드
KR20220135963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올룰로 인도에서의 속도제한 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KR20220135965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올룰로 횡단보도에서의 속도제한 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KR20220135966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올룰로 속도제한구역에서의 속도제한 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KR20220138246A (ko) 2021-04-05 2022-10-12 주식회사 올룰로 비콘을 활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시스템
KR20220149103A (ko)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올룰로 안전주행 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983B1 (ko)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KR102132411B1 (ko)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US11877616B2 (en) Safety integrated personal mobility vehicle
JP2002264874A (ja) 自動二輪車の通信装置ならびにこの通信装置を利用したヘルメットおよび盗難防止装置
WO2018212800A1 (en) Integrated handlebar system and method
US11812151B2 (en) Smartphone and battery integration module for an electric scooter
KR102281799B1 (ko)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
CN1375798A (zh) 汽车管理系统
US20210039737A1 (en) Handlebar Systems and Method
JP5165164B1 (ja) 電動車両
KR102128679B1 (ko)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무선타입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CN109606515B (zh) 跨骑式车辆
CN202115469U (zh) 一种电动车无钥匙启动系统
CN104501824A (zh) 一种自行车上的安全骑行投影导航灯装置及系统
CN108596483A (zh) 一种头戴设备
JP6987127B2 (ja) オープンキャビンビークル
CN206171365U (zh) 多功能的adas设备
KR20170029194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11632B1 (ko) 스마트 바이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07074784A (ja) 車載用充電装置、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車両用情報システム、車両および車両システム
EP3989608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
CN218605270U (zh) 头盔和车辆
US20230182848A1 (en) Methods, control unit, personal mobile terminal, lightweight vehicle, and system
CN111954611A (zh) 背在机车机械用户的背部上的具有内置式加速度计的发信装置
CN108189689B (zh) 集成安全单元的电池管理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