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290A -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290A
KR20220040290A KR1020200123280A KR20200123280A KR20220040290A KR 20220040290 A KR20220040290 A KR 20220040290A KR 1020200123280 A KR1020200123280 A KR 1020200123280A KR 20200123280 A KR20200123280 A KR 20200123280A KR 20220040290 A KR20220040290 A KR 20220040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ity
personal mobility
camera
mobile terminal
safet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6129B1 (ko
Inventor
최영우
이진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룰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룰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룰로
Priority to KR102020012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129B1/ko
Priority to KR1020210038826A priority patent/KR1025061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259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퍼스널 모빌리티에 장착된 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주변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사고나 이상 발생시 자동으로 분석하여 이를 알릴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SAFETY SYSTEM OF PERSONAL MOBILITY}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퍼스널 모빌리티에 장착된 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주변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사고나 이상 발생시 자동으로 분석하여 이를 알릴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이동수단으로써 전동 휠, 전동 킥보드, 전기 자전거 및 초소형 전기차와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PM: Personal Mobility)의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 분야에도 이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공유경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퍼스널 모빌리 관련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전동 킥보드의 경우 특정 지역에 배치된 모빌리티의 코드(QR 코드)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태깅하여 인식하고, 이동 거리나 시간에 따라 과금을 함으로써 이를 공유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전동 킥보드는 불특정 다수가 사용할 수 있음에도 아무전 제재 없이 고속 주행이 가능하고, 4륜 모빌리티에 비해 주행 중 사고 위험이 커서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안전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79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2411호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퍼스널 모빌리티에 장착된 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주변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사고나 이상 발생시 자동으로 분석하여 이를 알릴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은 퍼스널 모빌리티(PM: Personal Mobility)에 장착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와;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모듈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을 판독하고, 사고 발생시 긴급 신호와 함께 촬영된 영상을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모빌리티 제어기;를 포함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 중 사고 발생시 상기 긴급 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관리 서버로 자동으로 신고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영상 카메라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방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 카메라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송신된 각도 조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각도 조정 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 카메라의 틸팅 각도를 셋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카메라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는 상기 후방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카메라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측방을 촬영하는 측방 카메라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는 상기 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이상 발생시 상기 전방 카메라, 후방 카메라 및 측방 카메라에 촬영 시작 신호를 전송하여 폐쇄회로 촬영 모드(CCTV Mode)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가해지는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센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가재지는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센서; 및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조작 장치가 오프 상태고, 충격량이 설정된 크기 이상이고, 진동량이 설정된 시간 동안 감소하며, 자세가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시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여 상기 긴급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리셋(reset)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긴급 신호의 송신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는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자동 신고 완료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긴급 신호를 직접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는 상기 사고 발생시 상기 GPS모듈에서 수신한 위치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 또는 관리 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주변 정보를 촬영 및 저장하여 제공하고, 충돌 등과 같은 사고나 모빌리티 손상 행위와 같은 이상 발생시 이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유관기관이나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한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의 적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활용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방 카메라 틸팅 각도 조절을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후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활용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폐쇄회로 촬영 모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고 발생 판별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퍼스널 모빌리티(PM: Personal Mobility)로서 전동 킥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퍼스널 모빌리티는 그 외 공유 가능한 전동 휠, 전기 자전거 및 초소형 전기차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100)은 실시예로서 전동 킥보드(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영상 카메라(110), 센서모듈(120), 통신모듈(130) 및 모빌리티 제어기(140)를 포함한다. 그외 GPS모듈(150)을 탑재하며, 실행프로그램이나 촬영된 영상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41)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카메라(110)는 실시예로 전방, 후방 및 측방을 각각 촬영한다. 이에 전방 카메라(111) 및 측방 카메라(113)는 모빌리티 제어기(140)의 전방과 측방에 설치되고, 후방 카메라(112)는 탑승자(사용자)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체 후방부에 설치된다.
센서모듈(120)은 아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충격센서(121), 진동센서(122) 및 자세센서(123)를 포함하며, 각각의 센서는 전동 킥보드(10) 중 센싱값을 측정하기에 최적화된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패키지 내에 모듈화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 카메라(110)로 주행 중 주변 정보를 촬영 및 저장하여 제공하고, 센서모듈(120)을 통해 충돌 등과 같은 사고나 모빌리티 손상 행위와 같은 이상 발생시 이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유관기관이나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영상 카메라(110)는 퍼스널 모빌리티(10)(이하, '전동 킥보드'라 함)에 장착되어 주변을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은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 중 어느 것이나 저장 및 제공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영상 카메라(110)는 전동 킥보드(10)의 각 부에 설치된다.
전동 킥보드(10)는 공지된 바와 같이 차체 상부에 손잡이 혹은 조작장치(11)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제어모듈(12)이 주행을 제어한다. 발판(13)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차륜(W-F, W-B)을 구비하여 배터리 및 모터에 의해 주행된다.
이때 영상 카메라(110)는 전방 카메라(111)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 카메라(110)는 후방 카메라(112) 및 측방 카메라(113)를 더 포함하여 전방, 후방 및 측방을 각각 영상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게 한다.
그 중 전방 카메라(111)는 실시예로서 모빌리티 제어기(140)의 전방부에 설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통상 좌우 손잡이나 조작장치(11) 사이의 중심부에 박스 타입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는 코드(예: QR 코드)가 구비된다.
후방 카메라(112)는 사용자가 탑승시에도 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전동 킥보드(10) 차체의 후방에 설치된다. 예컨대, 후륜(W-B) 상부 커버에서 촬영각이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측방 카메라(113)는 전방 카메라(111)와 마찬가지로 모빌리티 제어기(140)의 박스에 설치되며 각각 양측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측방향은 주행 방향에 수직하게 손잡이(11) 쪽을 바라보는 방향이다.
센서모듈(120)은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센서모듈(120)에 의하여 감지되는 주행 상태에는 주행 또는 정차 중 대상물(예: 사람이나 사물)과의 충돌 발생과, 주행 중 발생하는 노면에 의한 진동 및 전동 킥보드(10)의 자세 등이 포함된다.
이를 위해 센서모듈(120)은 충격센서(121), 진동센서(122) 및 자세센서(123)를 포함하며, 센서에서 검출된 센싱값은 모빌리티 제어기(140)에 제공된다.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각 센서나 그 조합으로부터 주행 상태를 분석한다.
통신모듈(13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대표적으로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모바일 단말(20)과 무선 통신을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통신모듈(130)은 모빌리티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가 적용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20)이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인 경우 블루투스 4.0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이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은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20)을 통해 원격의 관리 서버(30) 등으로 긴급 신호나 촬영된 영상 등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전동 킥보드 등의 퍼스널 모빌리티(10)에서 제공하는 통신은 모빌리티의 ID와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에 그치거나 음영 지역에 취약하므로, 그 자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대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의 중계에 의한다.
이를 위해 모빌리티 제어기(140)가 탑재된 제어박스의 상면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20)을 장착하는 거치대(HL)를 더 포함하여 모바일 단말(20)을 장착한 상태에서 중계 단말로서 이용하게 한다.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센서모듈(120)에서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을 판독하고, 사고 발생시 긴급 신호와 함께 촬영된 영상을 모바일 단말(20)로 전송한다. 이러한 모빌리티 제어기(140)에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주행을 제어하는 통상의 주행제어모듈(12)도 함께 탑재된다.
따라서, 전동 킥보드(10)의 주행 또는 정차 중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긴급 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에서 관리 서버(30)로 자동으로 신고가 이루어지게 한다.
긴급 신호는 모바일 단말(20) 소유자의 개인정보와 함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유관기관(예: 소방서나 경찰서 등)으로 직접 송신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30)를 통하는 경우 관리자는 긴급 신호와 신호 발생 당시의 촬영 영상을 확인 후 사고로 판단되면 유관기관에 신고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전방 카메라(111)는 전동 킥보드(10)의 전방을 촬영하는 것으로, 촬영된 영상은 사용자(탑승자)의 모바일 단말(20)을 통해 브이로그(VLOG: Video+Blog)와 같은 소셜 미디어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GPS모듈(150)에서 제공되는 위치 정보도 함께 업로드될 수 있다.
특히, 전방 카메라(111)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긴급 신호 생성시 즉, 전동 킥보드(10) 사용 중 사고가 발생한 경우 전방 현황정보로써 관리 서버(30)나 유관 기관에 제공된다.
다만, 도 4와 같이 전방 카메라(111)는 각도 조절기(111a)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로 각도 조절기(111a)는 전방 카메라(111) 몸체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를 작동시키는 소형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소형 모터는 배터리(BAT)의 전원을 DC-AC 인버터(111c)를 통해 동작 전원(제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나 주행 환경 등에 따라 전방 카메라(111)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틸팅 각도는 지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 경사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셋팅될 수 있다.
틸팅 각도 조절은 전동 킥보드(10)를 사용하기 위해 모빌리티 제어기(140)의 상면에 구비된 코드(QR 코드)를 태깅하여 연동이 이루어진 후, 모바일 단말(20)에서 송신된 조정 신호를 모빌리티 제어기(140)에서 수신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20)에는 어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되며, 조정 신호는 모바일 단말(20) 자체에 탑재된 블루투스 통신모듈(BLE_M)에서 본 발명의 통신모듈(BLE_B)로 전송된다.
영상 카메라(110) 중 후방 카메라(112)는 퍼스널 모빌리티(10) 즉, 전동 킥보드(10)의 후방을 촬영하는 것으로,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후방 카메라(112)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모바일 단말(20)로 전송한다.
후방 카메라(112)의 촬영 영상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라인을 통해 모빌리티 제어기(140)에 전송되는데, 데이터 전송을 위해 유선의 경우에는 차체에 통신선을 설치하고, 무선의 경우에는 후방 카메라(112)에 통신모듈(130)과 링크되는 무선 통신칩을 탑재한다.
후방 카메라(112)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사고 발생이나 이상 발생시 주변 상황을 파악하는 용도로 이용되며, 더 나아가 백미러나 룸미러가 없는 전동 킥보드(10) 탑승자에게 후방 상황을 실시간 알려줌으로서 안전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20)은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 이외에 스마트 글라스나 스마트 밴드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주행 중 거치대에 장착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나 탑승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후방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영상 카메라(110)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측방을 촬영하는 측방 카메라(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방 카메라(113) 역시 주행 중 촬영한 영상을 소셜 미디어에 업로드하거나 주행 중 측방 주행환경을 확인하는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측방 카메라(113)는 폐쇄회로 촬영 모드(CCTV Mode)에 특히 유용하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폐쇄회로 촬영 모드로의 진입을 위해 센서모듈(120)에서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측방 카메라(113)가 촬영을 시작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상기한 측방 카메라(113) 이외에 전방 카메라(111) 및 후방 카메라(112)에도 촬영 시작 신호를 전송하여, 전방, 후방 및 측방을 포함하는 전방향에 대해 감시 모드에 진입(활성화)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폐쇄회로 촬영 모드는 주로 사고 발생시나 이상 발생시 유용하다. 사고 발생은 주행 중 대상물과의 충돌 등이 발생한 경우이고, 이상 발생은 정차 중 제3자가 전동 킥보드(10)를 쓰러뜨리는 경우 등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제3자가 정차된 전동 킥보드(10)에 물리력을 가하는 경우 측방 카메라(113)를 포함하여 폐쇄회로 촬영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물리력이 가해진 이후의 주변 상황을 전방향에서 촬영하고, 필요시 경보도 발할 수 있게 한다.
도 7과 같이, 센서모듈(120)은 퍼스널 모빌리티(10) 즉, 전동 킥보드의 주행 중 사고를 판독하는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센서모듈(120)은 전동 킥보드(10)에 가해지는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센서(121), 전동 킥보드에 가해지는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센서(122) 및 전동 킥보드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센서(123)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손잡이(11) 등 주행 조작 장치(주행 버튼)가 오프 상태고, 충격량이 설정된 크기 이상이고, 진동량이 설정된 시간 동안 감소하며, 자세가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시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여 긴급 신호를 송신한다.
전동 킥보드(10)는 다른 전동 차량과 달리 사고 발생시 주행 조작 장치에서 손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주행 중 노면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보다 큰 충격량이 검출되면 사고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정상 주행 중 발생하던 진동은 전동 킥보드(10)의 사고시 점차 그 진동이 감소하고, 같은 이유로 전동 킥보드(10)의 자세가 눕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사고 발생을 잘못 판독하는 경우를 바로잡기 위해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모바일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리셋(reset) 신호를 수신하여 긴급 신호의 송신을 해제할 수 있다.
실시예로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제' 버튼을 제공함으로써 경미한 사고이거나 오작동인 경우 사용자가 직접 긴급 신호를 해제하고 취소 상황을 알릴 수 있게 한다.
반대로, 사고 발생으로 판단됨에도 긴급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설정된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로부터 자동 신고 완료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관리 서버(30)로 직접 긴급 신호를 송신한다.
주행 중 사고 발생 이외에 정차 중 제3자가 전동 킥보드(10)에 물리력을 가하는 경우에는 충격센서(121)가 설정값 이상의 충격량을 감지하거나, 그에 더해 자세가 넘어지는 경우에 이상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긴급 신호를 생략하고 폐쇄회로 촬영 모드에 따라 전방, 후방 및 측방 카메라(111, 112, 113)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관리 서버(3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30)는 전동 킥보드(10)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측의 서비스 서버가 될 수 있다.
한편, 전동 킥보드(10)는 GPS모듈(150)을 포함한다. GPS모듈(150)은 GPS위성(4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중이거나 사용을 마친 사용자가 전동 킥보드(1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GPS모듈(150)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고 발생시 GPS모듈(150)에서 수신한 위치 신호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 또는 관리 서버(3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20) 중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 역시 GPS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긴급 신호와 함께 제공할 수 있지만, 전동 킥보드(10)에서 별도로 제공하는 위치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 중 주변 정보를 촬영 및 저장하여 제공하고, 충돌 등과 같은 사고나 모빌리티 손상 행위와 같은 이상 발생시 이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유관기관이나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퍼스널 모빌리니티의 안전한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퍼스널 모빌리티(전동 킥보드)
20: 모바일 단말(스마트 폰)
30: 관리 서버
40: GPS위성
110: 영상 카메라
111: 전방 카메라
112: 후방 카메라
113: 측방 카메라
120: 센서모듈
121: 충격센서
122: 진동센서
123: 자세센서
130: 통신모듈(블루투스)
140: 모빌리티 제어기
150: GPS모듈

Claims (9)

  1. 퍼스널 모빌리티(10)에 장착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110)와;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모듈(120)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통신모듈(130); 및
    상기 센서모듈(120)에서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을 판독하고, 사고 발생시 긴급 신호와 함께 촬영된 영상을 상기 모바일 단말(20)로 전송하는 모빌리티 제어기(140);를 포함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 중 사고 발생시 상기 긴급 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에서 관리 서버(30)로 자동으로 신고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카메라(110)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방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카메라(111)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기(111a);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상기 모바일 단말(20)에서 송신된 각도 조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각도 조정 신호에 따라 상기 전방 카메라(111)의 틸팅 각도를 셋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카메라(110)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112)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상기 후방 카메라(112)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카메라(110)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측방을 촬영하는 측방 카메라(113)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상기 센서모듈(120)에서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이상 발생시 상기 전방 카메라(111), 후방 카메라(112) 및 측방 카메라(113)에 촬영 시작 신호를 전송하여 폐쇄회로 촬영 모드(CCTV Mode)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120)은,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가해지는 충격을 검출하는 충격센서(121);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가재지는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센서(122); 및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센서(123);를 포함하되,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조작 장치(11)가 오프 상태고, 충격량이 설정된 크기 이상이고, 진동량이 설정된 시간 동안 감소하며, 자세가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시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여 상기 긴급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상기 모바일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리셋(reset)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긴급 신호의 송신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로부터 상기 자동 신고 완료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30)로 상기 긴급 신호를 직접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모듈(15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140)는 상기 사고 발생시 상기 GPS모듈(150)에서 수신한 위치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 또는 관리 서버(3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KR1020200123280A 2020-09-23 2020-09-23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KR102506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280A KR102506129B1 (ko) 2020-09-23 2020-09-23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KR1020210038826A KR102506131B1 (ko) 2020-09-23 2021-03-25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280A KR102506129B1 (ko) 2020-09-23 2020-09-23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826A Division KR102506131B1 (ko) 2020-09-23 2021-03-25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290A true KR20220040290A (ko) 2022-03-30
KR102506129B1 KR102506129B1 (ko) 2023-03-07

Family

ID=809482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280A KR102506129B1 (ko) 2020-09-23 2020-09-23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KR1020210038826A KR102506131B1 (ko) 2020-09-23 2021-03-25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826A KR102506131B1 (ko) 2020-09-23 2021-03-25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61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556B1 (ko) * 2022-11-28 2024-03-21 주식회사 모듈링크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342A (ko) * 2014-07-22 2016-02-01 넥시스 주식회사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KR101788086B1 (ko) * 2016-11-07 2017-10-19 (주) 한국안전위험관리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자전거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
KR101843306B1 (ko) * 2017-02-22 2018-03-2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용 모빌리티와 자전거의 안전을 위한 스마트 모듈
KR20190066215A (ko) * 2017-12-05 2019-06-13 오민택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KR102117983B1 (ko) 2019-03-05 2020-06-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KR102132411B1 (ko) 2020-05-22 2020-07-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KR102141299B1 (ko) * 2019-02-26 2020-08-0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위험 감지 시스템
WO2020175583A1 (ja) * 2019-02-26 2020-09-03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車両、及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342A (ko) * 2014-07-22 2016-02-01 넥시스 주식회사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KR101788086B1 (ko) * 2016-11-07 2017-10-19 (주) 한국안전위험관리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자전거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
KR101843306B1 (ko) * 2017-02-22 2018-03-2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용 모빌리티와 자전거의 안전을 위한 스마트 모듈
KR20190066215A (ko) * 2017-12-05 2019-06-13 오민택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KR102141299B1 (ko) * 2019-02-26 2020-08-0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위험 감지 시스템
WO2020175583A1 (ja) * 2019-02-26 2020-09-03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車両、及び制御方法
KR102117983B1 (ko) 2019-03-05 2020-06-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KR102132411B1 (ko) 2020-05-22 2020-07-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129B1 (ko) 2023-03-07
KR102506131B1 (ko) 2023-03-07
KR20220040354A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3560B1 (ja) 記録装置
US2018021534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information exchange in vehicles
US201601522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information exchange in vehicles
KR101499508B1 (ko)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
JP2006193057A (ja) 車両監視ユニットおよびルームミラー装置
KR101323229B1 (ko) 아이피 카메라 겸용 다안식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US20160075282A1 (en) Vehicle Monitoring, Safety, and Tracking System
JP2008225777A (ja)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カメラ装置
JP2018028855A (ja) 車載器および運行管理システム
KR102506131B1 (ko)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KR101987992B1 (ko) 충격 감지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746579B1 (ko) 드론을 이용한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
KR101532087B1 (ko) 외장형 데이터 수집부를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블랙박스
KR101533814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5570064B2 (ja) 車載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車載カメラ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車載カメラ制御方法
KR20130007002U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1391909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데이터와 gis 연동 서비스 방법
KR101066072B1 (ko) 상시 차량 감시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
KR20030062159A (ko) 자동차의 도난/파손/사고에 따른 현장이미지를 전송할 수있는 영상 시스템
KR20150121775A (ko)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45510B1 (ko) 차량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180013126A (ko) 차량용 블랙박스
KR102143107B1 (ko) 버스안전운행 지원시스템
KR20130012660A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그 정보 운용 방법
JP2021118418A (ja) ドロ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