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342A -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 Google Patents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342A
KR20160011342A KR1020140092274A KR20140092274A KR20160011342A KR 20160011342 A KR20160011342 A KR 20160011342A KR 1020140092274 A KR1020140092274 A KR 1020140092274A KR 20140092274 A KR20140092274 A KR 20140092274A KR 20160011342 A KR20160011342 A KR 20160011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wheeled vehicle
wearable device
camera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철
엄정한
김진영
이경현
김대중
김석기
유철현
Original Assignee
넥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2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1342A/ko
Publication of KR20160011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2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indicating unauthorised use, e.g. acting on signa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00Acoustic signal devices; Arrangement of such devices on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electronic, e.g. displ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7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vehicle security, e.g. parked vehicle surveillance, burglar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은, 이륜차의 일측에 부착되어 일방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스캔하는 제1카메라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및 시스템 구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륜차 운전자가 후방 또는 측방 영상을 운전 중에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안전하게 이륜차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같이, 상기 감시시스템의 저장부가 운전 중 후방 또는 측방 영상을 저장할 수 있어, 사고 발생 시에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시에도, 블랙박스와 같이, 후방 또는 측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주므로, 사용자는 원거리에서 이륜차량을 감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륜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SYSTEM FOR OBSERVING THE REAR AND SIDE OF TWO-WHEELED VEHICLE, AND METHOD FOR OBSERVING THE REAR AND SIDE BY WEARABLE GLASS DEVICE}
본 발명은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이륜차 운전 중 후방 또는 측방을 살피기 어려운 점 및 이륜차는 주차시 도난의 위험이 높은 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륜차에 부착되는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안경(Glass)형태로 등장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없이도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형태도 등장하고 있다.
한편, 후방감지용 초음파 거리센서를 구비한 자전거 후방감지시스템이 공개공보 제10-2014-0028922호를 통해 알려져 있다. 이에 따르면, 운전자 후방인 자전거의 일측에 구비된, 초음파거리센서를 갖는 후방물체감지센서부 및 자전거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비상램프부를 포함하며, 후방물체감지센서부에 의해 물체가 감지되면 제어부로 감지신호가 전송되고, 제어부는 비상램프부에 신호를 전송하여 비상램프부가 발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통해 자전거 운행자가 자전거의 후방에 물체가 접근함을 인지할 수는 있지만, 후방의 정확한 상황을 확인할 수는 없어 여전히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최근 주차해둔 자전거,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를 도난당하는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일부 부품만을 분리하여 훔쳐가는 사고도 많이 발생하고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감시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륜차 운전시 전진방향의 후방 또는 측방의 영상을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하고, 이륜차 주차시 이륜차 주변 영상 촬영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전송함으로써 도난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은, 이륜차의 일측에 부착되어 일방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스캔하는 제1카메라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및 시스템 구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카메라는, 상기 이륜차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이륜차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측방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카메라, 상기 무선통신부, 또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이륜차 안장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카메라는,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의 촬영 방해행위를 인식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이륜차 구동에 의해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륜차의 운행시 운행기록을 저장하고, 상기 이륜차의 주차시 주변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체의 근접상태를 감지하는 모션센서, 물체의 접속을 감지하는 접촉센서, 물체와 상기 이륜차간의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센서, 도플러레이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륜차가 주차되어 있는 경우, 물체의 근접상태를 인식하여 상기 이륜차로부터 특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카메라가 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륜차가 주차되어 있는 경우, 물체가 상기 이륜차로부터 특정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물체가 상기 이륜차에 접촉하면, 상기 무선통신부가 사용자에게 무선통신으로 실시간 영상 또는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을 통해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가 상기 이륜차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에 위치함을 인식하면, 영상 촬영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운전시 인식하기 용이한 형태로 입력받은 영상을 변환하는 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통제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의 통제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주행 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은, 상기 이륜차에 부착된 제1카메라가 후방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영상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카메라가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륜차에 부착된 제2카메라가 측방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2카메라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측방 영상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영상을 사용자가 운전 중 인식하기 용이한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주차 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은,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이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물체가 상기 이륜차로부터 특정 거리이내에 접근하거나 상기 이륜차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이륜차에 부착된 후방 또는 측방 카메라가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영상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기 이륜차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에 위치함을 인식하면, 영상 촬영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기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으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제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시스템이 상기 통제신호를 바탕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륜차 운전자가 후방 또는 측방 영상을 운전 중에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안전하게 이륜차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같이, 상기 감시시스템의 저장부가 운전 중 후방 또는 측방 영상을 저장할 수 있어, 사고 발생 시에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시에도, 블랙박스와 같이, 후방 또는 측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주므로, 사용자는 원거리에서 이륜차량을 감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륜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이 인식되는 경우에만 상기 감시시스템이 구동되도록 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이륜차의 특정거리 이내에 접근한 경우 작동을 중단하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를 위한 디바이스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를 위한 디바이스의 예시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보는 후방영상이 포함된 화면의 예시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를 위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시스템의 구성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 운전 중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 주차시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이륜차는 자전거, 오토바이와 같은 바퀴가 둘 달린 차를 모두 포함하고, ATV(All-Terrain Vehicle) 등도 포함한다.
도 1은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를 위한 디바이스의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를 위한 디바이스의 예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보는 후방영상이 포함된 화면의 예시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를 위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 운전 중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 주차시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는 이륜차의 일방 감시시스템(100), 사용자입력부(110), 카메라부(120), 제1카메라(121), 제2카메라(122), 센싱부(130), 무선통신부(140), 메모리(150), 제어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알람부(180),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시스템(200), 디스플레이부(210), 무선통신부(220)가 도시된다.
도 1은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를 위한 디바이스의 감시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를 위한 디바이스의 감시시스템(100)은 카메라부(120), 센싱부(130), 무선통신부(130), 메모리(150), 사용자입력부(11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60), 전원공급부(190), 및 알람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구성요소 전체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일부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100)은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비디오 신호 또는 이미지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또한, 카메라부(12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50)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부(13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영상처리를 위해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상기 카메라부(120)는 디바이스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한 경우, 각각을 제1카메라(121), 제2카메라(122), 제3카메라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20)는 이륜차의 일측에 부착되어, 이륜차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카메라(121), 이륜차에 부착되어 이륜차의 전진방향의 측방 영상 또는 이미지를 입력받는 제2카메라(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20)는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의 촬영 방해행위를 인식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인이 감시용 카메라의 영상 촬영을 막기 위해 카메라의 렌즈부분에 방해수단을 부착하거나 배치하는 행위를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부(120)가 이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에 의해 방해수단의 부착 또는 배치를 감지하면, 무선통신부(130)에 의해서 상기 시스템(100)과 연동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해당 사실을 통지하는 메시지가 전송되거나, 알람부(180)에 의해서 음성 알람이 출력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30)는 상기 시스템(100)과 연동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사용자가 이륜차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130)는 상기 시스템(100)과 연동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송신한 상기 시스템(100) 통제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30)는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및 GPS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디바이스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비콘(Beaco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비콘(Beacon)은 무선통신 장치로써 블루투스 4. 0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해 매우 작은 주파수 시그널을 그들 주위에 전달한다. 블루투스 4. 0은 장치가 대략 5m~70m내의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할 수 있으며, 배터리 수명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 저전력이어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하여 블루투스를 항상 켤 수 있다.
상기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센싱부(13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압력센서, 모션 센서, 거리센서, 도플러레이더, 충격감지센서, 충돌감지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는 디바이스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는 사용환경에 따라 디바이스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 등의 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센서는 중력가속도의 변화를 인식하는 중력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자이로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거리센서는 2점간 거리 측정방식, 3각 측량방식(적외선 이용식, 자연광 이용식), 초음파 방식 등이 있다. 종래의 3각측량의 원리와 같이, 2개의 경로에서 온 피측정물을 직각 프리즘으로 반사시켜 2개의 이미지 센서에 입사시켜 상대적 위치가 합치했을 때, 2점간의 거리가 표시된다. 이 경우, 자연광으로 하는 방법(수동식)과 적외선을 발사하여 행하는 방법이 있다. 초음파방식은 피측정물에 지향성이 날카로운 초음파를 송신하여 피측정물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아는 방식인데, 수신센서는 압전소자가 사용된다.
상기 도플러레이더는 레이더의 한 방식으로, 반사파의 위상변화 즉, 파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레이더이다. 상기 도플러레이더는 펄스 변조되지 않는 사인파를 송ㆍ수신하는 연속파 레이더와 전자파 신호파형으로서 방형파에 펄스 변조된 전파를 사용하는 펄스 레이더가 있다.
연속파 레이더에서는 도플러 주파수 필터의 성능을 얻기 쉽게 하기 위해서 변조주파수를 비교적 높게 취하기 때문에 원거리를 대상으로 한 레이더에는 부적당하나, 도플러 주파수를 가청주파수대로 택함으로써 인체나 차량 등의 움직임을 안정감 있는 소리로서 재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펄스 레이더는 펄스 송신에서 반사 에코 수신까지의 시간에 의해 목표까지의 거리를 계측한다. 송신 펄스폭 내에서 주파수 변조나 위상 변조를 가하는 펄스 압축 레이더라 일컬어지는 방식이 있다.
메모리(150)는 촬영된 영상 정보 및 파악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150)는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정보 및 영상 정보(즉, 동기화된 위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임시 저장부와,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정보 및 영상 정보(즉, 데이터 처리된 위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영구 저장하는 영구 저장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제어부(16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저장되는 운행기록 또는 위치정보를 시스템(100) 내의 GPS모듈에 의해서 인식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시스템(100)과 연동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GPS모듈에 의해서 위치정보를 인식한 후 무선통신을 통해 해당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50)는 이하 저장부로 표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영상 또는 이미지의 저장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해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시스템(100)과 연동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영상 또는 이미지가 전송될 경우,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운전 시에 인식하기 용이한 형태로 입력받은 영상 또는 이미지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부(110) 또는 센싱부(13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이하 정보처리부 또는 영상처리부로 표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충전식 또는 전원교체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충전식인 경우에 이륜차 구동에 의해 충전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180)는 디바이스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시스템(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물체의 접근, 물체의 접촉, 연동된 외부 시스템(100)으로부터 통제신호 수신, 이륜차 안장에 사용자 착석 인식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연동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기 시스템(100)의 통제를 위한 통제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통제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알람부(180)는 오디오 신호나 진동 형태 신호 등의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알람부(18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 또는 상기 이륜차 주변의 사람들이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동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전송한 통제신호를 상기 시스템(100)이 수신하면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과 같은 음향출력 모듈에 의해 음성 알람을 출력하여, 주변의 사람에게 도난 위험을 알리고 이륜차를 훔치려는 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륜차의 안장에 착석한 경우에 착석을 상기 시스템(100)이 인식하였음을 전달하기 위한 진동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입력부(110)는 키패드(key pad), 키보드,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이나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디바이스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디바이스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를 위한 감시시스템(100)은 이륜차량에 장착 설치되며, 이륜차 운전 중 또는 주차 시에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시스템(100)은 운전 중에 카메라부(120)(제1카메라(121) 또는 제2카메라(122))가 일방(후방 또는 측방)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무선통신부(130)에 의해서 상기 시스템(100)과 연동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전송한다. 운전 중에 획득한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제어부(160)에서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150)에 원본 또는 변환된 수정본이 저장할 수 있다. 또한, GPS모듈에 의해 획득된 위치정보 및 운행정보도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부(120), 제어부(160), 무선통신부(130) 등의 구동을 위한 전원은 전원공급부(190)에 의해 공급된다.
상기 시스템(100)은 이륜차 주차 시에는 카메라부(120)(제1카메라(121) 또는 제2카메라(122))가 일방(후방 또는 측방)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여, 연동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원거리에서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장부(150)에 획득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100)은 상황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이륜차가 주차되어 있는 경우, 물체의 근접상태를 인식하여 상기 이륜차로부터 특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카메라(121)가 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카메라(121)가 계속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할 경우 전력소모가 크기 때문에,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센싱부(130)를 통해 타인(물체)의 접근을 인식하여 특정거리 이내에 상기 타인(물체)가 들어오면 제어부(160)가 카메라의 영상 또는 이미지 획득 수행을 명령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100)은, 물체가 상기 이륜차로부터 특정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물체가 상기 이륜차에 접촉하면, 상기 무선통신부(130)가 사용자에게 무선통신으로 실시간 영상 또는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100)은, 상기 이륜차가 주차되어 있는 경우, 무선통신을 통해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가 상기 이륜차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에 위치함을 인식하면, 영상 촬영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연동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기 이륜차의 근거리 내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시야로 직접 이륜차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시스템(100)에 의한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의 획득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특정 거리 이내에 진입함을 인식하면,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카메라부(120)의 영상 또는 이미지 획득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동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비콘신호를 상기 시스템(100)의 무선통신부(130)가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100)의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설정된 특정거리 이내에 위치함을 인식하여 상기 카메라부(120)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카메라부(120), 상기 무선통신부(130), 또는 상기 전원공급부(190) 등의 상기 시스템(100)의 구성요소가 이륜차 안장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20)는 안장에서 외부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고, 무선통신부(130), 전원공급부(190), 제어부(160), 센싱부(130) 등의 구성은 안장에 의해 외부의 충격 및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도 4는 이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를 위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시스템(200)의 구성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를 위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시스템(200)은 디스플레이부(210), 무선통신부(220), 제어부,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구성요소 전체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일부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디바이스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주차된 이륜차량 감시모드인 경우, 감시모드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륜차 운전모드인 경우, 수신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1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에 외부 디스플레이부와 내부 디스플레이부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HUD(Head up Display), HMD(Head mounte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HMD(Head mounted Display)란 안경처럼 머리에 쓰고 대형 영상을 즐길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다. HUD(Head up Display)는 사용자의 가시영역 내의 유리에 가상 화상(virtual image)을 투영시키는 영상표시장치이다.
무선통신부(220)는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및 GPS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해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는 이하 정보처리부로 표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 운전 중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 운전 중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은, 상기 이륜차에 부착된 제1카메라(121)가 이륜차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S100); 입력된 영상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S101);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단계(S1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 운전 중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이륜차에 부착된 상기 감시시스템(100)의 제1카메라(121)가 이륜차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영상을 입력받는다(S100).
입력된 영상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101).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한다(S102).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210) 전체에 후방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다른 정보의 표시 등을 위해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10)의 일부에만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후방카메라가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를 위한 디바이스의 감시시스템(100)의 센싱부(130)에 의해 후방의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무선통신으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감시시스템(100)이 상기 측정된 거리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10) 상에 표시한다. 이를 통해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과의 거리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디스플레이상으로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이륜차에 부착된 제2카메라(122)가 측방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측방카메라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측방 영상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영상을 사용자가 운전 중 인식하기 용이한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를 위한 감시시스템(100)의 제어부(160)가 상기 카메라부(120)에 의해 입력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전달받아 영상처리를 통해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후방 및 측방 영상을 연결하여 사용자가 한 번에 후방 및 측방을 인식할 수 있는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 주차시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 주차시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은,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100)이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센싱하는 단계(S200); 상기 물체가 상기 이륜차로부터 특정 거리이내에 접근하거나 상기 이륜차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이륜차에 부착된 제1카메라(121) 또는 제2카메라(122)가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S201); 입력된 영상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S202);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단계(S20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 주차시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100)이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센싱한다(S200). 상기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를 위한 시스템(100)의 센싱부(130)에 포함된 다양한 센서를 바탕으로, 물체의 특정 거리 내 진입여부 또는 물체의 상기 이륜차 접촉여부를 인식한다.
상기 물체가 상기 이륜차로부터 특정 거리이내에 접근하거나 상기 이륜차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이륜차에 부착된 카메라부(120)가 영상을 입력받는다(S201). 또한, 상기 센싱부(130)에 의해 인식된 방향의 카메라만 구동하여 영상을 입력받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입력된 영상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202).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한다(S203).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210) 전체에 상기 전송받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다른 정보의 표시 등을 위해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10)의 일부에만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기 이륜차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에 위치함을 인식하면, 영상 촬영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기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100)으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제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시스템(100)이 상기 통제신호를 바탕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륜차 운전자가 후방 또는 측방 영상을 운전 중에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안전하게 이륜차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같이, 상기 감시시스템(100)의 저장부(150)가 운전 중 후방 또는 측방 영상을 저장할 수 있어, 사고 발생 시에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시에도, 블랙박스와 같이, 후방 또는 측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주므로, 사용자는 원거리에서 이륜차량을 감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륜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이 인식되는 경우에만 상기 감시시스템(100)이 구동되도록 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이륜차의 특정거리 이내에 접근한 경우 작동을 중단하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이륜차의 일방 감시시스템 110 : 사용자입력부
120 : 카메라부 121 : 제1카메라
122 : 제2카메라 130 : 센싱부
140 : 무선통신부 150 : 메모리
160 : 제어부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알람부 190 : 전원공급부
200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시스템
210 : 디스플레이부 220 : 무선통신부

Claims (20)

  1. 이륜차의 일측에 부착되어 일방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스캔하는 제1카메라 ;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로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및
    시스템 구동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는,
    상기 이륜차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륜차의 전진방향을 기준으로 측방의 영상 또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 상기 무선통신부, 또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이륜차 안장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는,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의 촬영 방해행위를 인식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이륜차 구동에 의해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륜차의 운행시 운행기록을 저장하고, 상기 이륜차의 주차시 주변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물체의 근접상태를 감지하는 모션센서, 물체의 접속을 감지하는 접촉센서, 물체와 상기 이륜차간의 거리를 인식하는 거리센서, 도플러레이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륜차가 주차되어 있는 경우, 물체의 근접상태를 인식하여 상기 이륜차로부터 특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제1카메라가 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륜차가 주차되어 있는 경우, 물체가 상기 이륜차로부터 특정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물체가 상기 이륜차에 접촉하면, 상기 무선통신부가 사용자에게 무선통신으로 실시간 영상 또는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무선통신을 통해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가 상기 이륜차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에 위치함을 인식하면, 영상 촬영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운전시 인식하기 용이한 형태로 입력받은 영상을 변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통제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의 통제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14. 이륜차 운전 시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륜차에 부착된 제1카메라가 후방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영상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후방 영상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가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륜차에 부착된 제2카메라가 측방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2카메라가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측방 영상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17.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입력된 영상을 사용자가 운전 중 인식하기 용이한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18. 이륜차 주차 시의 감시방법에 있어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이 물체의 근접 또는 접촉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물체가 상기 이륜차로부터 특정 거리이내에 접근하거나 상기 이륜차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이륜차에 부착된 제1카메라 또는 제2카메라가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영상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기 이륜차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에 위치함을 인식하면, 영상 촬영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기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으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통제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시스템이 상기 통제신호를 바탕으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KR1020140092274A 2014-07-22 2014-07-22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KR20160011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274A KR20160011342A (ko) 2014-07-22 2014-07-22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274A KR20160011342A (ko) 2014-07-22 2014-07-22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342A true KR20160011342A (ko) 2016-02-01

Family

ID=5535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274A KR20160011342A (ko) 2014-07-22 2014-07-22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134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1425A (zh) * 2017-01-24 2019-11-15 开怡斯特株式会社 智能自行车运动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525547A (zh) * 2019-09-04 2019-12-03 常州新途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行车记录仪的电动车防盗系统
KR102202137B1 (ko) * 2020-06-16 2021-01-13 (주)엔스텝 개인형 이동체의 후방 차량 접근 경보 장치
KR20220040290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KR20220109909A (ko) * 2021-01-29 2022-08-05 주식회사 밀리센스 이륜 이동수단 후방 충돌 방지효과를 높인 레이더센서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1425A (zh) * 2017-01-24 2019-11-15 开怡斯特株式会社 智能自行车运动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461425B (zh) * 2017-01-24 2021-07-20 开怡斯特株式会社 智能自行车运动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525547A (zh) * 2019-09-04 2019-12-03 常州新途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行车记录仪的电动车防盗系统
KR102202137B1 (ko) * 2020-06-16 2021-01-13 (주)엔스텝 개인형 이동체의 후방 차량 접근 경보 장치
KR20220040290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KR20220109909A (ko) * 2021-01-29 2022-08-05 주식회사 밀리센스 이륜 이동수단 후방 충돌 방지효과를 높인 레이더센서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3138B2 (en) Vehicular collision avoidance system
US9199607B2 (en) In-vehicle apparatus
US8947219B2 (en) Warning system with heads up display
US9767675B2 (en) Mobile autonomous surveillance
JP6310565B2 (ja) 運転支援装置
US11223381B2 (en) Phone docking station mounted on a vehicle for enhanced driving safety
KR10213458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20160011342A (ko)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US20140375810A1 (en) Vehicular safety methods and arrangements
JP6747551B2 (ja) 眼鏡型ウェアラブル端末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通知方法
CN109747656A (zh) 人工智能车辆辅助驾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16112311A2 (en) Trainable transceiver with single camera park assist
CN101318491A (zh) 嵌入式集成视觉辅助行车安全系统
US10671868B2 (en) Vehicular vision system using smart eye glasses
KR20130015739A (ko) 운전자 상태 기반의 자율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CN110979318A (zh) 车道信息获取方法、装置、自动驾驶车辆及存储介质
WO2019021811A1 (ja) 飛行体、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20083318A1 (zh) 平视显示系统、显示方法和汽车
KR102314196B1 (ko) 도로 주변에 구비된 인프라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TW201738866A (zh) 安全警示裝置及方法
KR101642197B1 (ko)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
JP7414209B2 (ja) 警護用自律移動体
KR102502170B1 (ko) IoT기반의 교통안전 시스템
CN205142332U (zh) 具有行车安全警示功能的智能型手机装置
JP7055909B2 (ja) 飛行体、及び飛行体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