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197B1 -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 - Google Patents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197B1
KR101642197B1 KR1020140165324A KR20140165324A KR101642197B1 KR 101642197 B1 KR101642197 B1 KR 101642197B1 KR 1020140165324 A KR1020140165324 A KR 1020140165324A KR 20140165324 A KR20140165324 A KR 20140165324A KR 101642197 B1 KR101642197 B1 KR 101642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ccident
radar sensor
powe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2502A (ko
Inventor
최두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65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1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00Acoustic signal devices; Arrangement of such devices on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22Warning or information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10)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제어하는 스위치부(20)와, 상기 스위치부(20)를 통해 전원부(10)의 전원을 공급받아 레이더 신호를 이용하여 접근 물체의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레이더 센서부(30)와, 상기 레이더 센서부(30)의 검출결과를 판단하여 설정된 상대 속도를 이용하여 사고예측을 수행하고, 그 사고예측의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에서 사고예측이 된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20)를 통해 전원부(10)의 전원을 공급받아 영상을 촬영하여 메모리부(60)에 저장하는 카메라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시 촬영 방식에서 벗어나, 레이더 센서에 의해 물체와의 거리 및 접근 여부를 판단하여 사고예측을 하고, 사고가 예측되는 때에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량을 최소화하고, 저장되는 영상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Blackbox for bicycle with radar sensor}
본 발명은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위험 상황에서만 선택적으로 녹화를 할 수 있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전거 인프라의 구축과 활성화로 인해 자전거 인구가 해마다 증가해 2014년 현재 약 1,000만 명이 자전거를 이용하고 있다는 추정이 나올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으나, 자전거로 인한 사고는 이용자의 증가에 비례하여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탈것에 의한 사고를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차량 등에 설치되어 주변의 위험 상황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들이 많이 연구되고, 사용되고 있으나 자전거의 경우 이러한 연구가 차량에 비해 많지 않고, 주로 후방감지를 통해 운전자에게 경보를 주는 단순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자전거는 자동차보다 열악한 도로환경으로 인한 낙차 및 충돌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고 탑승자 보호장치가 거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보다 더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자전거 사고의 증가로 차량용으로만 사용되던 블랙박스가 자전거에도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자전거용 블랙박스 제품이 별도로 있는 것이 아니어서 대부분 기존의 소형 캠코더를 몸이나, 착용장비에 부착하여 영상을 녹화함으로써 자전거용 블랙박스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부착 가능한 소형 카메라는 흔히 액션캠 또는 헤드캠이라고 하며, 주용도는 자신의 야외활동을 본인의 시각에서 촬영하는 것으로 팔, 가슴, 머리 등에 부착하여 촬영하며 자전거의 경우 이외에도 자전거 핸들바, 씻포스트 등에 부착하여 자신의 라이딩 상황을 촬영하는 제품이다. 기존 디지털카메라보다 소형이며 야외활동을 촬영하는 관계로 물, 바람, 먼지, 충격 등에 매우 강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액션캠을 이용하는 방식은 액션캠 자체의 배터리를 전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시간이 짧은 한계가 있다.
이러한 방식 외에 종래에는 헬멧에 카메라를 적용하여 블랙박스로 사용하는 예가 있었다. 이와 같은 예는 등록특허 10-1303607호(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헬멧 및 그 운용 방법, 2013년 8월 29일 등록)에 기재되어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헬멧의 착용상태에서만 카메라가 작동하도록 하며, 충격 센서를 통해 사고가 감지되면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 역시 헬멧을 착용하고 주행하는 상태에서는 지속적으로 카메라를 통해 촬영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한계에 인해 촬영시간에 제한을 받게 되며, 그러한 촬영영상의 용량 또한 크기 때문에 영상의 충분한 저장공간을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사고를 예측하여 사고의 발생이 예측된 경우에 한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원의 사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량을 줄이며, 영상의 저장공간도 최소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정확한 사고예측이 가능한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사고가 예측된 경우 음향 또는 시각 자극을 통해 운전자에게 사고 위험이 있음을 인지시킬 수 있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10)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제어하는 스위치부(20)와, 상기 스위치부(20)를 통해 전원부(10)의 전원을 공급받아 레이더 신호를 이용하여 접근 물체와의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레이더 센서부(30)와, 상기 레이더 센서부(30)의 검출결과를 판단하여 설정된 상대 속도를 이용하여 사고예측을 수행하고, 그 사고예측의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에서 사고예측이 된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20)를 통해 전원부(10)의 전원을 공급받아 영상을 촬영하여 메모리부(60)에 저장하는 카메라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시 촬영 방식에서 벗어나, 레이더 센서에 의해 물체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여 사고예측을 하고, 사고가 예측되는 때에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량을 최소화하고, 저장되는 영상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사고예측을 하며, 이때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레이더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자전거 운행시 외부의 바람이나 소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사고예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고예측과 동시에 촬영을 시작함과 아울러 운전자에게 사고 위험이 있음을 인지시킴으로써, 안전 운전에 도움을 줌으로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와, 상기 전원부(10)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제어하는 스위치부(20)와, 상기 스위치부(20)를 통해 전원부(10)의 전원을 공급받아 레이더 신호를 이용하여 접근 물체와의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레이더 센서부(30)와, 상기 레이더 센서부(30)의 검출결과를 판단하여 설정된 상대 속도를 이용하여 사고예측을 수행하고, 그 사고예측의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에서 사고예측이 된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20)를 통해 전원부(10)의 전원을 공급받아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50)와, 상기 카메라부(50)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부(60)와,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사고위험이 있음을 인지시키는 사고위험 알림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레이더 센서부(30)는 특정한 주파수를 발신하고, 그 발신된 주파수가 물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온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가 발신된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변형된 정도를 검출함으로써, 물체의 이동속도와 이동방향을 감지하게 된다.
레이더 센서의 종류에 따라 고정물체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나, 저가의 단순한 연속파(Continuous Wave) 레이더 경우는 오직 접근물체의 속도와 이동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여 자전거용으로 적합하다.
CW 레이더 센서를 사용하면 물체의 상대적인 속도와 방향만을 알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지피에스(GPS) 센서부(80)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40)에서 이를 연산하여 물체의 절대 속도와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레이더 센서부(30)를 이용하여, 레이더 센서부(30)와 거리 R만큼 떨어진 물체의 근거리 속도 측정은 아래의 수학식1로 산출된다. 이때 레이더 센서부(30)의 송신신호의 주파수는 cos(2πfOt)로 가정한다.
Figure 112014114018622-pat00001
여기서 c는 광속이며, 물체의 움직이는 속도를 vo라 하면 거리 R은 RO + vOt 가 되며 도플러 주파수는 아래 수학식2로 표현된다. RO는 처음 상태의 거리이다.
Figure 112014114018622-pat00002
상기 fD는 도플러 주파수이다.
수학식2에서 물체의 속도 vO는 수학식3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4114018622-pat00003
즉, 레이더 센서에서 주파수 f0 신호 (파장 λ=c/f0)를 물체로 방사하면 물체에서 반사되어 들어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도플러 주파수를 산출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물체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3에서 다가오는 물체의 속도는 "+"값이고 멀어져가는 물체의 속도는 "-"값으로 산출된다.
이러한 도플러 이론의 원리를 이용하여 본 발명과제는 탐지물체의 접근 속도를 특정하여 위험조건 설정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레이더 센서부(30)에서 검출된 주파수를 검출하여,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상대 속도에 따라 제어부(40)는 사고예측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접근하는 속도가 설정된 속도에 비하여 빠른 경우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는 상기 스위치부(20)에서 전원부(10)의 전원을 카메라부(50)에 공급하도록 함과 아울러 사고위험 알림부(70)를 제어하여 자전거 운전자에게 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제어 동작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랙박스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1)와, 상기 S11단계에서 블랙박스모드가 아닌 경우 블랙박스기능을 오프시키는 단계(S12)와, 상기 S11단계에서 블랙박스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카메라부(50)를 대기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S13)와, 상기 레이더 센서부(30)를 통해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S14)와, 상기 레이더 센서부(30)에서 검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40)에서 물체의 상대 속도와 이동방향을 산출하는 단계(S15)와, 제1기준의 사고예측을 판단하는 단계(S16)와, 상기 제1기준의 사고예측이 된 경우 카메라부(50)를 작동시켜 상기 메모리부(60)에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S17)와, 상기 제1기준의 사고예측이 아닌 경우 제2기준의 사고예측을 판단하는 단계(S18)와, 상기 제2기준의 사고예측이 아닌 경우 상기 S13단계의 상태를 유지하고, 제2기준의 사고예측이 된 경우 사고위험 알림부(70)를 동작시킨 후, 상기 S17단계를 수행하는 단계(S19)와, 상기 S17단계의 수행 중에 사고예측이 되지 않는 위험상황이 해제되었는지 판단하여 사고예측이 지속되는 경우 녹화 또는 녹화 및 알림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20)와, 상기 S20단계의 판단결과 위험상황이 해제된 경우 상기 녹화 또는 녹화 및 알림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S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동작 과정을 참조하여 앞서 도 1과 도 2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을 이용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이는 S11단계와 같이 블랙박스모드로 동작시킬 것인지 아닌지 사용자가 외부의 입력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40)에서는 블랙박스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13단계와 같이 카메라부(50)를 대기모드로 동작시킨다.
그 다음, S14단계에서는 상기 레이더 센서부(30)에서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가 물체에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며, S15단계에서는 제어부(40)에서 상기 레이더 센서부(30)에서 검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물체의 속도와 이동방향을 산출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40)에서 산출된 물체의 이동방향, 이동속도는 사고의 발생을 예측하는 근거가 되며, 산출방법의 위의 수학식들에 따르게 된다.
상기 카메라부(50)는 사용자가 헬멧의 측면 등에 직접 착용하거나, 자전거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의 특정 위치에 장착된 것일 수 있으며, 레이더 센서부(30)는 상기 카메라(50)가 촬영하는 방향측으로 상기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자전거가 주행하면서 마주 오는 자전거나 차량, 보행자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40)에서 산출된 도플러 주파수는 +가 되며, 이때의 속도에 따라 사고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카메라부(50)가 후방을 향해 장착된 경우에는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의 속도,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사고예측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사고예측을 하나의 기준값에 의해서 수행할 수 있으나, 더 상세한 정보의 제공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두 가지 기준값을 사용하여 각기 다른 상황의 사고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제1기준은 제2기준에 비하여 사고예측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제2기준에 비하여 물체의 접근 속도가 더 느린 경우로 산정할 수 있다.
S16단계에서는 제어부(40)는 상기 레이더 센서부(30)에서 검출된 제1기준의 사고예측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1기준의 사고예측이 된 경우 카메라부(50)를 작동시켜 S17단계와 같이 상기 메모리부(60)에 영상을 저장한다.
즉, 상대적으로 사고의 가능성이 적기는 하지만 촬영을 혹시라도 있을 사고에 대비하여 카메라부(50)로 촬영을 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메모리부(60)에 저장하게 된다.
자전거 주행의 특징상 전방의 물체가 점차 다가오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제1기준은 속도가 자전거의 최고속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도 2의 구성과 같이 GPS 센서부(8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물체의 절대 속도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동하는 물체만 선별하여 사고예측을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 S19단계에서는 상기 제1기준의 사고예측 기준이 아닌 경우 제2기준을 적용하여 사고예측을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기준은 제1기준에 비하여 더 엄격한 기준이며 상기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한 결과가 제2기준에 해당하는 것이면, 상기 S17단계의 카메라부(50)로 녹화를 함과 동시에 사고위험 알림부(70)를 통해 운전자에게 사고위험이 있음을 인지시키게 된다.
상기 사고위험 알림부(70)는 음향발생부(71)와 표시부(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음향발생부(71)는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표시부(72)는 엘이디를 구비하여 점멸함으로써 사용자인 자전거 운전자에게 사고의 위험이 있음을 인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고음과 점멸광의 발생에 의하여 마주 오는 자전거나 차량의 운전자도 사고 위험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고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만 촬영을 함으로써, 전원부(10)의 전원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60)의 사용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블랙박스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블랙박스장치는, 앞서 설명한 도 2의 구성에서 GPS 센서부(80) 대신 GPS 수신기를 내장한 스마트폰(9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폰(90)은 GPS 정보를 상기 제어부(40)에 제공하여, 제어부에서 절대 속도를 산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GPS 센서부(80) 또는 스마트폰(90)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블랙박스가 이동하는 속도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레이더 센서부(30)에서 검출된 속도와의 차를 구하여, 상대 물체의 이동속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블랙박스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블랙박스장치는, 복수의 카메라부(50,51)와, 복수의 레이더 센서부(20,21)를 구비하여, 자전거의 전방 및 후방을 감시할 수 있으며, 각 방향에 대한 사고예측을 수행하여 촬영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고위험 알림부(70)는 전방과 후방의 사고가능성을 서로 구분하여 운전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경고음을 발생시키며, 엘이디의 점멸 조건의 변경 또는 색상에 차이를 두어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카메라부(50,51)와 복수의 레이더 센서부(20,21)를 사용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작용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50,51)에는 조명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40)에서 사고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부를 점멸하거나 조도를 높여 상대방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전원부 20:스위치부
30,31:레이더 센서부 40:제어부
50,51:카메라부 60:메모리부
70:사고위험 알림부 71:음향발생부
72:표시부 80:GPS 센서부
90:스마트폰

Claims (6)

  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10)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제어하는 스위치부(20);
    상기 스위치부(20)를 통해 전원부(10)의 전원을 공급받아 레이더 신호를 이용하여 접근 물체의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레이더 센서부(30);
    상기 레이더 센서부(30)의 검출결과를 판단하여 설정된 상대 속도를 이용하여 사고예측을 수행하고, 그 사고예측의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 및
    상기 제어부(40)에서 사고예측이 된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20)를 통해 전원부(10)의 전원을 공급받아 영상을 촬영하여 메모리부(60)에 저장하는 카메라부(50)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더 센서부(30)는 연속파(Continuous Wave) 레이더이며,
    상기 카메라부(50)에는 조명부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40)는 사고 위험이 있을 때 상기 조명부의 조도를 제어하여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사고위험이 있음을 인지시키는 사고위험 알림부(70)를 더 포함하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서로 다른 기준값으로 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고예측을 수행하며,
    사고예측의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50)로 영상을 촬영하거나,
    상기 카메라부(50)로 영상을 촬영함과 아울러 상기 사고위험 알림부(70)를 통해 운전자에게 사고위험을 인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50)와 상기 레이더 센서부(30)는 각각 복수로 마련되어, 자전거의 다른 방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위험 알림부(70)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음향발생부(71)와, 엘이디를 포함하여 시각적으로 사고위험을 알리는 표시부(72)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방향에 설치된 레이더 센서부(30)에서 검출된 신호를 각각 구분하여 운전자에게 인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
  6. 삭제
KR1020140165324A 2014-11-25 2014-11-25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 KR101642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324A KR101642197B1 (ko) 2014-11-25 2014-11-25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324A KR101642197B1 (ko) 2014-11-25 2014-11-25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502A KR20160062502A (ko) 2016-06-02
KR101642197B1 true KR101642197B1 (ko) 2016-07-25

Family

ID=5613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324A KR101642197B1 (ko) 2014-11-25 2014-11-25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1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6099B2 (ja) * 2017-11-21 2021-08-11 株式会社シマノ 制御装置、人力駆動車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102463498B1 (ko) * 2021-01-29 2022-11-04 주식회사 밀리센스 이륜 이동수단 후방 충돌 방지효과를 높인 레이더센서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33B1 (ko) * 2009-10-16 2010-03-18 안광현 자전거용 후방 감지 시스템
KR200474788Y1 (ko) * 2013-05-21 2014-10-22 노윤석 배터리팩을 구비하는 자전거 스템 일체형 블랙박스 거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0410A (ko) * 2011-11-08 2013-05-16 박원일 앞차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근거리 레이더 센서가 부착된 자동차용 블랙박스
KR101976390B1 (ko) * 2012-10-19 2019-08-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사고 기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33B1 (ko) * 2009-10-16 2010-03-18 안광현 자전거용 후방 감지 시스템
KR200474788Y1 (ko) * 2013-05-21 2014-10-22 노윤석 배터리팩을 구비하는 자전거 스템 일체형 블랙박스 거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502A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8464B1 (en) Video-based warning system for a vehicle
US8379924B2 (en) Real time environment model generation system
US10088911B2 (en) Programmable electronic helmet
KR10213458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JP2010067262A (ja) インテリジェント走行支援システム
US11265508B2 (en) Recording control device, recording control system,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control program
JPWO2018092265A1 (ja)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方法
JP7146516B2 (ja) 運転評価装置および車載器
JP2008003707A (ja) 危険予測装置
JP7255582B2 (ja) 危険行為解消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41483A (ja) 車載カメラ制御装置、車載カメラ制御システム及び車載カメラシステム
KR101546893B1 (ko) 졸음 운전 방지 시스템
JP2007249757A (ja) 警報装置
KR101642197B1 (ko)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용 블랙박스
JP2007168570A (ja) 車載カメラの制御装置
KR20160011342A (ko)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시스템, 및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륜차의 후방 또는 측방 감시방법
JP2005327177A (ja) 車両間衝突防止支援システムおよび車両間衝突防止支援装置
JP2014136513A (ja) 物体接近報知システム
JP2007133644A (ja) 歩行者認識装置
JP6927787B2 (ja) 車載器および運転支援装置
JP7057074B2 (ja) 車載器および運転支援装置
JP2009295018A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5506886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4397719B2 (ja) 視線検出装置
KR102255429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