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556B1 -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556B1
KR102649556B1 KR1020220161176A KR20220161176A KR102649556B1 KR 102649556 B1 KR102649556 B1 KR 102649556B1 KR 1020220161176 A KR1020220161176 A KR 1020220161176A KR 20220161176 A KR20220161176 A KR 20220161176A KR 102649556 B1 KR102649556 B1 KR 102649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mobile device
value data
change valu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듈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듈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듈링크
Priority to KR102022016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556B1/ko
Priority to KR1020240036016A priority patent/KR20240080181A/ko
Priority to KR1020240036015A priority patent/KR20240081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은 사용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데 이용되는 이동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움직임의 변화를 측정하여 변화값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속도를 측정하여 속도값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값 데이터를 생성하는 감지 장치; 및 상기 변화값 데이터, 상기 속도값 데이터 및 상기 위치값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고 감지 조건을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상기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면 사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장치에 발생된 사고를 신고하는 사고 신고 신호와 함께 상기 사고 정보를 구조기관 서버로 송신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System for detecting accident and requesting rescue automatic of mobility}
본 발명은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장치의 움직임 변화에 대한 변화값 데이터가 이동 장치의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변화값을 초과하면 사고 정보를 생성하고, 사고 정보를 구조기관 서버로 사고 신고 신호와 함께 송신함으로써, 이동 장치의 속도에 대응하여 사고를 감지하며 사고가 감지되면 신속하게 사고를 신고할 수 있는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모빌리티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1인용 이동수단으로 전동 킥보드, 전동 휠, 전기 자전거 및 초소형 전기차 등이 이에 해당된다. 국내 도로교통법상 전동 킥보드, 전동 휠 등 배기량 50cc미만(전기 동력의 경우 정격출력 0.59kw, 590w 미만)의 원동기는'원동기장치 자전거'에 해당해 원동기장치자전거 면허(16세 이상부터 취득 가능)를 소지해야 한다.
퍼스널 모빌리티는 대중들에게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다. 최근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 사업이 크게 확장되어, 거리에서 어렵지 않게 퍼스널 모빌리티를 볼 수 있다.
한편, 최근 들어 건강과 레저 및 환경보호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자전거를 이용하는 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건강증진, 환경보호, 경제적인 사유 또는 개인적인 취향 등으로 인하여 친환경적인 통학 및 통근수단으로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전국적으로 비교적 잘 가꾸어진 자전거도로망에 힘입어 점점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다.
이러한, 퍼스널 모빌리티와 자전거는 사용자를 위한 보호장치가 자체적으로 존재하지 않아 사고가 났을 때 부상의 위험도가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고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고객 신고 외에는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다. 즉, 사고로 인한 부상 또는 기기 파손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퍼스널 모빌리티와 자전거의 사고에 대한 신고 접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신속한 사고 대처와 사고 신고를 위해, 퍼스널 모빌리티와 자전거에 발생된 사고를 인지하고, 신속하게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 설계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9460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장치의 움직임 변화에 대한 변화값 데이터가 이동 장치의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변화값을 초과하면 사고 정보를 생성하고, 사고 정보를 구조기관 서버로 사고 신고 신호와 함께 송신함으로써, 이동 장치의 속도에 대응하여 사고를 감지할 수 있는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장치의 움직임 변화에 대한 변화값 데이터가 이동 장치의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변화값을 초과하면 사고 정보를 생성하고, 사고 정보를 구조기관 서버로 사고 신고 신호와 함께 송신함으로써, 이동 장치의 사고가 감지되면 신속하게 사고를 신고할 수 있는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은 사용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데 이용되는 이동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움직임의 변화를 측정하여 변화값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속도를 측정하여 속도값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값 데이터를 생성하는 감지 장치; 및 상기 변화값 데이터, 상기 속도값 데이터 및 상기 위치값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고 감지 조건을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상기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면 사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장치에 발생된 사고를 신고하는 사고 신고 신호와 함께 상기 사고 정보를 구조기관 서버로 송신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변화값을 설정하고,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상기 기준 변화값을 초과하면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상기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기준 변화값을 작게 설정하고, 상기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느릴수록 상기 기준 변화값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사고 정보에 상기 이동 장치의 사용자의 의료 정보 및 상기 위치값 데이터를 포함시켜 상기 사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상기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사고가 감지됨을 알리는 사고 감지 신호를 상기 감지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사고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사고가 감지됨을 알리는 사고 감지 알림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사고 신고 신호의 응답으로 상기 이동 장치에 발생된 사고의 신고가 접수됨을 나타내는 신고 접수 신호가 상기 구조기관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신고 접수 신호를 상기 감지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신고 접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장치에 발생된 사고의 신고가 접수됨을 알리는 신고 접수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이동 장치에 발생된 사고를 신고 요청하는 신고 요청 입력이 입력되면 신고 요청 신호를 상기 관제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사고 신고 신호를 통해 신고된 사고에 대해 신고 취소를 요청하는 신고 취소 요청 입력이 입력되면 신고 취소 요청 신호를 상기 관제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신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고 신고 신호를 상기 구조기관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신고 취소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고 신고 신호를 통해 신고된 사고에 대해 신고 취소를 요청하는 신고 취소 신호를 상기 구조기관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은 사용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데 이용되는 이동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움직임의 변화를 측정하여 변화값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속도를 측정하여 속도값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값 데이터를 생성하는 감지 장치; 상기 변화값 데이터, 상기 속도값 데이터 및 상기 위치값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고 감지 조건을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상기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사고가 감지됨을 알리는 사고 감지 신호를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사고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사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장치에 발생된 사고를 신고하는 사고 신고 신호와 함께 상기 사고 정보를 구조기관 서버로 송신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장치의 움직임 변화에 대한 변화값 데이터가 이동 장치의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변화값을 초과하면 사고 정보를 생성하고, 사고 정보를 구조기관 서버로 사고 신고 신호와 함께 송신함으로써, 이동 장치의 속도에 대응하여 사고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장치의 움직임 변화에 대한 변화값 데이터가 이동 장치의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변화값을 초과하면 사고 정보를 생성하고, 사고 정보를 구조기관 서버로 사고 신고 신호와 함께 송신함으로써, 이동 장치의 사고가 감지되면 신속하게 사고를 신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의 감지 장치가 이동 장치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의 감지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요청을 입력받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이 이동 장치의 사고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작동,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제어부"는 해당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작동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장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및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기계 구동 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로봇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은 사용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데 이용되는 이동 장치의 움직임의 변화에 대한 변화값 데이터와 속도값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 장치에 사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동 장치에 사고가 감지되면 사고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사고 정보를 생성하며, 이동 장치에 발생된 사고를 신고하는 사고 신고 신호를 사고 정보와 함께 구조기관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장치는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 PM)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 장치는 자이로스코프를 활용한 자이로 타입의 원휠 및 투휠, 전동 스케이트 보드, 전동 킥보드, 전기 자전거, 전기 바이크, 이륜차 및 무동력 자전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 장치가 무동력 자전거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은 상술된 사고 감지 및 사고 신고를 수행하기 위하여, 감지 장치(100), 관제 서버(200) 및 사용자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의 감지 장치가 이동 장치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감지 장치(100)는 사용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데 이용되는 이동 장치(C)에 장착되어 이동 장치(C)로부터 다양한 측정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감지 장치(100)는 이동 장치(C)의 일측에 장착되어 측정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 장치(100)는 이동 장치(C)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부재가 형성된 외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장치(100)는 이동 장치(C)의 방향을 제어하는 핸들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감지 장치(100)는 사용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데 이용되는 이동 장치(C)에 장착되고, 이동 장치(C)의 움직임의 변화를 측정하여 변화값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동 장치(C)의 속도를 측정하여 속도값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동 장치(C)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값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화값 데이터는 가속도 센서가 이동 장치(C)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가속도값 데이터와 각속도 센서가 이동 장치(C)의 각속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각속도값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속도값 데이터는 속도 센서가 이동 장치(C)의 속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위치값 데이터는 위치 센서가 이동 장치(C)의 위치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생성된 변화값 데이터, 속도값 데이터 및 위치값 데이터를 관제 서버(200) 및 사용자 장치(300) 중 하나 이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후, 관제 서버(200)는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고 감지 조건을 변화값 데이터가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제 서버(200)는 감지 장치(100)로부터 속도값 데이터를 수신하면,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변화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기준 변화값은 변화값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여 값의 종류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화값 데이터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값 데이터와 각속도값 데이터인 경우, 기준 변화값은 기준 가속도값과 기준 각속도값일 수 있다.
관제 서버(200)는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빠를수록 기준 변화값을 작게 설정하고,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느릴수록 기준 변화값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상술된 예를 이어서 설명하면, 관제 서버(200)는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빠를수록 기준 변화값인 기준 가속도값과 기준 각속도값을 작게 설정하고,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느릴수록 기준 변화값인 기준 가속도값과 기준 각속도값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를 위해, 관제 서버(200)는 이동 장치(C)의 장치 종류 정보에 따른 속도값 데이터 별로 기준 변화값이 매핑된 참조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기준 변화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관제 서버(200)는 복수의 장치 종류 각각 마다에 대응되는 참조 데이터 테이블을 구비하고, 감지 장치(100)가 장착된 이동 장치(C)의 장치 종류 정보에 대응되는 참조 데이터 테이블을 검색할 수 있다.
이후, 관제 서버(200)는 검색된 참조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현재 수신된 이동 장치(C)의 속도값 데이터에 매칭된 기준 변화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참조 데이터 테이블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속도값 데이터 별로 변화값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되는 기준 변화값이 매핑된 데이터 테이블일 수 있다. 즉, 상술된 예와 같이, 변화값 데이터가 가속도값 데이터와 각속도값 데이터이면, 참조 데이터 테이블은 속도값 데이터 별로 기준 변화값인 기준 가속도값과 기준 각속도값이 매핑된 데이터 테이블일 수 있다.
또한, 참조 데이터 테이블은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빠를수록 큰 값의 기준 변화값이 매핑되고,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느릴수록 작은 값의 기준 변화값이 매핑될 수 있다.
이동 장치의 종류 무동력 자전거
속도값 데이터 기준 변화값
기준 가속도값[㎨] 기준 각속도값[rad/s]
0km/h 내지 20km/h 8 8
20km/h 내지 40km/h 4 4
40km/h 내지 60km/h 2 2
관제 서버(200)는 수신된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술된 과정을 통해 기준 변화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 변화값에 기초하여 수신된 변화값 데이터가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는 변화값 데이터가 기준 변화값을 초과하면 변화값 데이터가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관제 서버(200)는 변화값 데이터가 기준 변화값을 초과하면 변화값 데이터가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변화값 데이터가 측정된 시점에 이동 장치(C)에서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서버(200)는 변화값 데이터가 기준 변화값을 초과한 이후, 속도값 데이터가 정지를 나타내는 속도인 “0”인 경우, 변화값 데이터가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변화값 데이터가 측정된 시점에 이동 장치(C)에서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후, 관제 서버(200)는 변화값 데이터가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고 정보를 생성하고, 이동 장치에 발생된 사고를 신고하는 사고 신고 신호와 함께 사고 정보를 구조기관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고 정보는 이동 장치(C)를 탑승한 사용자의 의료 정보 및 위치값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관제 서버(200)는 이동 장치(C)를 탑승한 사용자의 의료 정보 및 위치값 데이터를 사고 정보에 포함시켜 사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의료 정보는 사용자가 복용 중인 약물 정보 및 사용자의 질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기관 서버는 구조기관이 발생된 사고에 대한 신고를 받기 위해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구조기관은 소방서, 경찰서 및 병원 응급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관제 서버(200)는 변화값 데이터가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면 이동 장치(C)로부터 사고가 감지됨을 알리는 사고 감지 신호를 감지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사고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장치(C)로부터 사고가 감지됨을 알리는 사고 감지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감지 장치(100)는 사고 감지 알림 정보를 색상으로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 장치(100)는 사고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색상의 조명을 턴온시켜 사고 감지 알림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감지 장치(100)는 사고 감지 알림 정보로서 제1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색상은 적색일 수 있다.
즉, 감지 장치(100)는 사고 감지 알림 정보를 조명으로 구현되는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주변의 다른 행인이 이동 장치(C)에 사고가 발생됨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관제 서버(200)는 사고 신고 신호의 응답으로 이동 장치(C)에 발생된 사고의 신고가 접수됨을 나타내는 신고 접수 신호가 구조기관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신고 접수 신호를 감지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후, 감지 장치(100)는 신고 접수 신호가 관제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면, 이동 장치(C)에 발생된 사고에 대한 신고가 접수됨을 알리는 신고 접수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 장치(100)는 신고 접수 알림 정보를 색상으로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 장치(100)는 신고 접수 신호가 관제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면 제2 색상의 조명을 턴온시켜 신고 접수 알림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감지 장치(100)는 사고 접수 알림 정보로서 제2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색상은 녹색일수 있다.
즉, 감지 장치(100)는 신고 접수 알림 정보를 조명으로 구현되는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주변의 다른 행인이 이동 장치(C)에 발생된 사고의 신고가 구조기관에 접수됨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감지 장치(100)는 센싱부(140)가 상기 이동 장치의 움직임의 변화, 상기 이동 장치의 속도 및 상기 이동 장치의 위치 각각을 측정하여 상기 변화값 데이터, 상기 속도값 데이터 및 상기 위치값 데이터 각각을 생성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통신부(160)가 생성된 상기 변화값 데이터, 상기 속도값 데이터 및 상기 위치값 데이터 각각을 관제 서버(200) 또는 사용자 장치(300)로 송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감지 장치(100)는 센싱부(140)가 상기 이동 장치의 움직임의 변화, 상기 이동 장치의 속도 및 상기 이동 장치의 위치 각각을 측정하여 상기 변화값 데이터, 상기 속도값 데이터 및 상기 위치값 데이터 각각을 생성하고 있음이 확인되고, 통신부(160)가 생성된 상기 변화값 데이터, 상기 속도값 데이터 및 상기 위치값 데이터 각각을 관제 서버(200) 또는 사용자 장치(300)로 송신하고 있음을 확인되면, 수행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 장치(100)는 수행 상태 정보를 색상으로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 장치(100)는 제3 색상의 조명을 턴온시켜 수행 상태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감지 장치(100)는 수행 상태 정보로서 제3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색상은 파란색일수 있다.
즉, 감지 장치(100)는 수행 상태 정보를 조명으로 구현되는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감지 장치(100)가 측정 및 측정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고 있음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서버(200)는 난폭 주행 변화값에 기초하여 수신된 변화값 데이터가 난폭 주행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제 서버(200)는 변화값 데이터가 난폭 주행 변화값을 초과한 이후, 속도값 데이터가 주행 중임을 나타내는 속도로서, “0”을 초과하면 변화값 데이터가 난폭 주행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관제 서버(200)는 변화값 데이터가 난폭 주행 변화값을 초과하고, 속도값 데이터가 “0”을 초과하면 변화값 데이터가 난폭 주행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난폭 주행 변화값은 상술된 기준 변화값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제 서버(200)는 기준 변화값을 설정할 때 마다, 기준 변화값을 미리 설정된 비율만큼 감소시킨 값을 난폭 주행 변화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제 서버(200)는 이동 장치(C)에 사고가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과도한 속도나 급격한 방향 전환 등과 같은 난폭한 주행이 수행되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관제 서버(200)는 변화값 데이터가 난폭 주행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 장치(C)가 난폭 주행 중임을 알리는 난폭 주행 신호를 감지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난폭 주행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장치(C)가 난폭 주행 중임을 알리는 난폭 주행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감지 장치(100)는 난폭 주행 알림 정보를 색상으로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 장치(100)는 난폭 주행 신호가 수신되면 제4 색상의 조명을 턴온시켜 난폭 주행 알림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감지 장치(100)는 난폭 주행 알림 정보로서 제4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색상은 노란색일 수 있다.
즉, 감지 장치(100)는 난폭 주행 알림 정보를 조명으로 구현되는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현재 이동 장치(C)를 통해 난폭 주행 중임을 알려 안전한 주행을 유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의 감지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요청을 입력받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감지 장치(100)는 버튼(B)으로 구현되는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 장치(100)는 이동 장치(C)에 발생된 사고를 신고 요청하는 신고 요청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감지 장치(100)는 신고 요청 입력이 입력되면 신고 요청 신호를 관제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관제 서버(200)는 감지 장치(100)로부터 신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변화값 데이터가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지 않더라도, 구조기관 서버로 사고 신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신고 요청 입력은 사용자가 버튼(B)으로 구현된 감지 장치(100)의 입력부(120)를 푸쉬 시간 이하로 푸쉬하는 입력일 수 있다. 여기서, 푸쉬 시간은 1초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제 서버(200)의 사고 감지를 통해 사고가 감지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사고 신고에 대한 요청이 감지 장치(100)로 입력되면, 신속하게 구조기관 서버로 사고 신고 신호를 송신하여 사고를 신고할 수 있다.
한편, 감지 장치(100)는 관제 서버(200)로부터 사고 감지 신호 또는 신고 접수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 내에 사고 신고 신호를 통해 신고된 사고에 대해 신고 취소를 요청하는 신고 취소 요청 입력이 입력되면 신고 취소 요청 신호를 관제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관제 서버(200)는 신고 취소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사고 신고 신호를 통해 신고된 사고에 대해 신고 취소를 요청하는 신고 취소 신호를 구조기관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신고 취소 요청 입력은 사용자가 버튼(B)으로 구현된 감지 장치(100)의 입력부(120)를 푸쉬 시간 초과하여 푸쉬하는 입력일 수 있다.
즉, 감지 장치(100)는 푸쉬 시간 이하로 푸쉬 입력되는 경우, 신고 요청 입력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푸쉬 시간을 초과하여 푸쉬 입력되는 경우, 신고 취소 요청 입력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고된 사고가 구조기관의 구조를 요청할 정도의 사고가 아니거나, 신고된 사고가 오신고인 경우,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신고를 취소함으로써, 구조기관의 불필요한 구조 출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이 이동 장치의 사고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서버(200)는 기준 변화값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위치값 데이터를 더 기초하여 기준 변화값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제 서버(200)는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빠를수록 기준 변화값을 작게 설정하고,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느릴수록 기준 변화값을 크게 설정하되, 설정된 기준 변화값이 최소 기준 변화값 미만이면, 최소 기준 변화값을 기준 변화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 기준 변화값은 관제 서버(200)에 수신된 위치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AR) 내에서, 과거 사고가 발생된 다른 이동 장치의 사고 시점에 측정된 변화값 데이터(D)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제 서버(200)는 수신된 이동 장치(C)의 위치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서 과거 사고가 발생된 다른 이동 장치의 변화값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이후, 관제 서버(200)는 사고가 발생된 사고 시점에서의 변화값 데이터를 추출하고, 변화값 데이터의 평균을 최소 기준 변화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관제 서버(200)는 생성된 최소 기준 변화값을 기준 변화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제 서버(200)는 이동 장치(C)가 주행하는 위치에서 발생된 과거 사고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변화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은 관제 서버(200)가 감지 장치(100)로부터 변화값 데이터, 속도값 데이터 및 위치값 데이터를 수신하였으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은 관제 서버(200)가 사용자 장치(300)로부터 변화값 데이터, 속도값 데이터 및 위치값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감지 장치(100)는 생성된 변화값 데이터, 속도값 데이터 및 위치값 데이터를 관제 서버(200)로 송신하지 않고, 사용자 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장치(300)는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고 감지 조건을 변화값 데이터가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300)는 관제 서버(200)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고 감지 조건을 변화값 데이터가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300)는 관제 서버(200)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변화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장치(300)는 변화값 데이터가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관제 서버(200)로 이동 장치로부터 사고가 감지됨을 알리는 사고 감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는 사고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사고 정보를 생성하고 이동 장치에 발생된 사고를 신고하는 사고 신고 신호와 함께 사고 정보를 구조기관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장치(300)는 변화값 데이터가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면 이동 장치(C)로부터 사고가 감지됨을 알리는 사고 감지 신호를 감지 장치(100)로도 송신할 수 있다.
감지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300)로부터 사고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관제 서버(200)로부터 사고 감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와 동일하게, 이동 장치(C)로부터 사고가 감지됨을 알리는 사고 감지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관제 서버(200)는 사고 신고 신호의 응답으로 이동 장치(C)에 발생된 사고의 신고가 접수됨을 나타내는 신고 접수 신호가 구조기관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신고 접수 신호를 사용자 장치(300)로 송신하고, 사용자 장치(300)는 관제 서버(200)로부터 신고 접수 신호가 수신되면 감지 장치(100)로 신고 접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감지 장치(100)는 신고 접수 신호가 사용자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면, 관제 서버(200)로부터 신고 접수 신호가 수신된 경우와 동일하게, 이동 장치(C)에 발생된 사고에 대한 신고가 접수됨을 알리는 신고 접수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감지 장치(100)는 신고 요청 입력이 입력되면 신고 요청 신호를 사용자 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300)는 감지 장치(100)로부터 신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변화값 데이터가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지 않더라도, 관제 서버(200)로 신고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신고 요청 신호를 수신한 관제 서버(200)는 구조기관 서버로 사고 신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감지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300)로부터 사고 감지 신호 또는 신고 접수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 내에 사고 신고 신호를 통해 신고된 사고에 대해 신고 취소를 요청하는 신고 취소 요청 입력이 입력되면 신고 취소 요청 신호를 사용자 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300)는 신고 취소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다시 관제 서버(200)로 신고 취소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관제 서버(200)는 사고 신고 신호를 통해 신고된 사고에 대해 신고 취소를 요청하는 신고 취소 신호를 구조기관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300)는 기준 변화값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위치값 데이터를 더 기초하여 기준 변화값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300)는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빠를수록 기준 변화값을 작게 설정하고,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느릴수록 기준 변화값을 크게 설정하되, 설정된 기준 변화값이 최소 기준 변화값 미만이면, 최소 기준 변화값을 기준 변화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 기준 변화값은 사용자 장치(300)에 수신된 위치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서, 과거 사고가 발생된 다른 이동 장치의 사고 시점에 측정된 변화값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치(300)는 수신된 이동 장치(C)의 위치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서 과거 사고가 발생된 다른 이동 장치의 변화값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장치(300)는 사고가 발생된 사고 시점에서의 변화값 데이터를 추출하고, 변화값 데이터의 평균을 최소 기준 변화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사용자 장치(300)는 생성된 최소 기준 변화값을 기준 변화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장치(300)는 이동 장치(C)가 주행하는 위치에서 발생된 과거 사고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변화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감지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절전 시간 동안 입력부(120)에 입력이 없고, 변화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이동 장치(C)의 움직임 변화가 없고,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0”이면 절전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절전모드는 감지 장치(100)의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필수 구성 요소에만 전력을 공급하여 작동하는 모드로, 필수 구성 요소는 변화값 데이터 및 속도값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싱부(140)와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150)일 수 있다.
이후, 감지 장치(100)는 절전모드로 작동하는 동안, 입력부(120)에 입력이 있거나, 변화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이동 장치(C)의 움직임 변화가 있거나,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0”이상이면 절전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감지 장치(100)는 사용자가 감지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거나 장착된 이동 장치(C)가 주행하지 않는 경우, 절전모드로 작동하고,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이동 장치(C)가 주행을 시작하는 경우 자동으로 절전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감지 장치(100)는 절전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센싱부(140)와 프로세서(150)에만 전력이 공급되므로, 절전모드로 작동하는 동안 통신부(160)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아, 관제 서버(200) 및 사용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감지 장치(100)는 절전모드가 해제되면 통신부(160)에 전력이 공급되어 관제 서버(200) 및 사용자 장치(300)와 수행할 수 있다.
즉, 감지 장치(100)는 절전모드가 해제되면 자동으로 사용자 장치(300)와 페어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감지 장치(100)는, 저장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센싱부(140), 프로세서(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감지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감지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및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감지 장치(100)가 부팅되면 O/S가 RAM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에 저장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10)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메인 CPU는 저장부(11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1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프로세서(15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10)에는 프로세서(1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외부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신고 요청 입력 및 신고 취소 요청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표시부(130)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30)는 이동 장치(C)로부터 사고가 감지됨을 알리는 사고 감지 알림 정보와 이동 장치(C)에 발생된 사고에 대한 신고가 접수됨을 알리는 신고 접수 알림 정보를 색이 있는 조명으로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130)는 복수의 색상을 출력할 수 있는 조명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장치(C)의 움직임 변화, 속도 및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부(140)는 이동 장치(C)의 움직임 변화로서 이동 장치(C)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이동 장치(C)의 움직임 변화로서 이동 장치(C)의 각속도를 측정하는 각속도 센서, 이동 장치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 이동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센서(GPS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관제 서버(200) 및 사용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6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저전력 블루투스 칩(BLE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5G(1th Gene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관제 서버(200)는, 저장부(210), 프로세서(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10)는 관제 서버(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1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제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및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관제 서버(200)가 부팅되면 O/S가 RAM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에 저장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10)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메인 CPU는 저장부(21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1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프로세서(22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10)에는 프로세서(2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통신부(230)는 감지 장치(100) 및 사용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3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저전력 블루투스 칩(BLE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5G(2th Gene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사용자 장치(300)는, 저장부(310), 입력부(320), 디스플레이(330), 촬영부(340), 프로세서(350) 및 통신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10)는 사용자 장치(3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1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350)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50)는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및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치(300)가 부팅되면 O/S가 RAM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에 저장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310)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메인 CPU는 저장부(31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31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는 저장부(3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35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50)는 프로세서(35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5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310)에는 프로세서(3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입력부(320)는 외부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320)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320)는 신고 요청 입력 및 신고 취소 요청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30)는 이동 장치(C)의 주행 위치, 사고 감지 여부, 발생된 사고에 대한 신고 여부, 사고의 접수 여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33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촬영부(3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 장치(300) 주변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부(340)는 이미지 생성을 위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360)는 관제 서버(200) 및 사용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36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저전력 블루투스 칩(BLE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5G(3th Gene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감지 장치
200 : 관제 서버
300 : 사용자 장치

Claims (8)

  1. 사용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데 이용되는 이동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움직임의 변화를 측정하여 변화값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속도를 측정하여 속도값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값 데이터를 생성하는 감지 장치; 및
    상기 변화값 데이터, 상기 속도값 데이터 및 상기 위치값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고 감지 조건을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상기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면 사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장치에 발생된 사고를 신고하는 사고 신고 신호와 함께 상기 사고 정보를 구조기관 서버로 송신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변화값을 설정하고,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상기 기준 변화값을 초과한 후 상기 속도값 데이터가 상기 이동 장치의 정지를 나타내는 속도인 0이 되면,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상기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기준 변화값을 작게 설정하고, 상기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느릴수록 상기 기준 변화값을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사고 정보에 상기 이동 장치의 사용자의 의료 정보 및 상기 위치값 데이터를 포함시켜 상기 사고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상기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사고가 감지됨을 알리는 사고 감지 신호를 상기 감지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사고 신고 신호의 응답으로 상기 이동 장치에 발생된 사고의 신고가 접수됨을 나타내는 신고 접수 신호가 상기 구조기관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신고 접수 신호를 상기 감지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사고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사고가 감지됨을 알리는 사고 감지 알림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사고 감지 알림 정보로서 제1 색상의 광을 출력하고,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신고 접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장치에 발생된 사고의 신고가 접수됨을 알리는 신고 접수 알림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신고 접수 알림 정보로서 제2 색상의 광을 출력하고,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이동 장치의 움직임의 변화, 상기 이동 장치의 속도 및 상기 이동 장치의 위치 각각에 대한 측정과 상기 변화값 데이터, 상기 속도값 데이터 및 상기 위치값 데이터 각각의 송신이 수행 중임을 알리는 수행 상태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수행 상태 정보로서 제3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이동 장치에 발생된 사고를 신고 요청하는 신고 요청 입력이 입력되면 신고 요청 신호를 상기 관제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사고 신고 신호를 통해 신고된 사고에 대해 신고 취소를 요청하는 신고 취소 요청 입력이 입력되면 신고 취소 요청 신호를 상기 관제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신고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고 신고 신호를 상기 구조기관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신고 취소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고 신고 신호를 통해 신고된 사고에 대해 신고 취소를 요청하는 신고 취소 신호를 상기 구조기관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
  8. 사용자가 탑승하여 이동하는데 이용되는 이동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움직임의 변화를 측정하여 변화값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속도를 측정하여 속도값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값 데이터를 생성하는 감지 장치; 및
    상기 변화값 데이터, 상기 속도값 데이터 및 상기 위치값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고 감지 조건을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상기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사고가 감지됨을 알리는 사고 감지 신호를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사고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사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장치에 발생된 사고를 신고하는 사고 신고 신호와 함께 상기 사고 정보를 구조기관 서버로 송신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속도값 데이터에 대응되는 기준 변화값을 설정하고,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상기 기준 변화값을 초과한 후 상기 속도값 데이터가 상기 이동 장치의 정지를 나타내는 속도인 0이 되면, 상기 변화값 데이터가 상기 사고 감지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기준 변화값을 작게 설정하고, 상기 속도값 데이터가 나타내는 속도가 느릴수록 상기 기준 변화값을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

KR1020220161176A 2022-11-28 2022-11-28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 KR102649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176A KR102649556B1 (ko) 2022-11-28 2022-11-28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
KR1020240036016A KR20240080181A (ko) 2022-11-28 2024-03-14 원터치 긴급 구조요청 호출 및 호출 취소가 가능한 개인형 재난 및 사고 대비 안전 장치의 동작 솔루션
KR1020240036015A KR20240081447A (ko) 2022-11-28 2024-03-14 Led 빛 색상을 이용하여, 사고 현장에서의 정보 전달 직관성을 높인 사고 감지 및 구조요청 메커니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176A KR102649556B1 (ko) 2022-11-28 2022-11-28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6015A Division KR20240081447A (ko) 2022-11-28 2024-03-14 Led 빛 색상을 이용하여, 사고 현장에서의 정보 전달 직관성을 높인 사고 감지 및 구조요청 메커니즘
KR1020240036016A Division KR20240080181A (ko) 2022-11-28 2024-03-14 원터치 긴급 구조요청 호출 및 호출 취소가 가능한 개인형 재난 및 사고 대비 안전 장치의 동작 솔루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556B1 true KR102649556B1 (ko) 2024-03-21

Family

ID=9047237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176A KR102649556B1 (ko) 2022-11-28 2022-11-28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
KR1020240036016A KR20240080181A (ko) 2022-11-28 2024-03-14 원터치 긴급 구조요청 호출 및 호출 취소가 가능한 개인형 재난 및 사고 대비 안전 장치의 동작 솔루션
KR1020240036015A KR20240081447A (ko) 2022-11-28 2024-03-14 Led 빛 색상을 이용하여, 사고 현장에서의 정보 전달 직관성을 높인 사고 감지 및 구조요청 메커니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6016A KR20240080181A (ko) 2022-11-28 2024-03-14 원터치 긴급 구조요청 호출 및 호출 취소가 가능한 개인형 재난 및 사고 대비 안전 장치의 동작 솔루션
KR1020240036015A KR20240081447A (ko) 2022-11-28 2024-03-14 Led 빛 색상을 이용하여, 사고 현장에서의 정보 전달 직관성을 높인 사고 감지 및 구조요청 메커니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6495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602A (ko) 2000-03-31 2001-11-01 유승렬 주유소 종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35570A (ko) *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 및 장치
KR20210094821A (ko) * 2020-01-22 2021-07-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고 자동 신고 시스템 및 사고 자동 신고 방법
KR20220040354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602A (ko) 2000-03-31 2001-11-01 유승렬 주유소 종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35570A (ko) *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 및 장치
KR20210094821A (ko) * 2020-01-22 2021-07-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고 자동 신고 시스템 및 사고 자동 신고 방법
KR20220040354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안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0181A (ko) 2024-06-05
KR20240081447A (ko) 2024-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2975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communication signal related to pedestrian safet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335796B1 (ko)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회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6035104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opera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operation assistance system
US20190035277A1 (en)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external vehicle with chang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data related to movement of external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882478B1 (ko)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난 신호 전송 방법
US20160086489A1 (en) E-bike to infrastructure or vehicle communication
WO2017128537A1 (zh) 一种车辆预警处理方法、服务器及系统
US11217044B1 (en) Map-based notification system
KR102649556B1 (ko)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
KR101535517B1 (ko) 통학 차량 안전 경보 시스템
WO2019091139A1 (zh) 一种共享单车防忘取物的方法及其系统
US11407374B2 (en) Processing devic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at least one of controlling a traveling state of a movable object depending on use information of a first training device and restricting use states of one or more training devices depending on the traveling state of the movable object
US20230192220A1 (en) Two-wheeled vehicle accident occurrence report device having retroreflection cover, deep learning recognition-based two-wheeled vehicle accident severity prediction server, and two-wheeled vehicle accident severity prediction system comprising same
JP2023172536A (ja)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5366601B (zh) 车载式高空作业平台的安全监控及警示系统
JP2020006744A (ja) 二輪車走行支援方法、二輪車走行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二輪車走行支援システム
Lee et al. A Framework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Unattended Child in a Vehicle
KR102428426B1 (ko) 전동킥보드에 장착되는 다인원 탑승 알림장치
KR102518388B1 (ko)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이를 활용하는 방법
Kailas et al. Accident detection and alert system for emergency help using IoT and mobile applications
Lavanya et al. A Mobile Based Novice Detection of Driver’s Fatigue Level and Accident Reporting Solution
Satya et al. Intelligent Crash Detection and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for Two Wheelers
JP2019041344A (ja) 乗車管理システム
Kharat et al. Active Safety System in Vehicles using Sensor Network Model
Tsai et al. Multifunctional Bicycle Helmet Using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