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570A -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570A
KR20210035570A KR1020190117529A KR20190117529A KR20210035570A KR 20210035570 A KR20210035570 A KR 20210035570A KR 1020190117529 A KR1020190117529 A KR 1020190117529A KR 20190117529 A KR20190117529 A KR 20190117529A KR 20210035570 A KR20210035570 A KR 20210035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mode
reporting
repor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574B1 (ko
Inventor
이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117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5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35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긴급 신고 방법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1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1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2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신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MERGENCY REPORTING USING IOT DEVICES}
실시예들은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기술에 관한 것이다.
2000년대 이후, 결혼 시기가 늦어지고 이혼율 증가와 함께 사회가 고령화되면서 1인 가구수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1인 가구 여성 및 노약자를 대상으로 한 주거침입 및 성폭행 등과 같은 범죄가 빈번해지고 있다. 1인 가구에 대한 주거안전 문제가 사회화되면서, 1인 가구의 주거안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하였다.
예를 들어, 1인 가구의 주거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상벨 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범죄 현장에 노출되어 있는 피해자가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 기술은 범죄 예방이 목적이며, 범죄 현장에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피해자가 구조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실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기술은 구조를 요청하기 위해서는, 피해자가 직접 비상벨을 누르거나 스마트폰을 조작해야 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위험에 처해있는 피해자는 올바른 상황 판단을 하기에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이 기술은 실제 범죄 상황에서 제대로 기능할 가능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1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1 기동어(wakeup word)를 인식한 경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2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상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신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동어 및 상기 제2 기동어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동어 및 상기 제2 기동어는, 미리 정의된 기동어들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의된 기동어들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사전에 등록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긴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기동어 인식에 대한 동작 모드를 음소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긴급 신고 장치의 LED 등의 상태를 상기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IoT 기기의 상태를 상기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LED 등의 상태를, 상기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의 LED 등의 상태와는 서로 다른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상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긴급 신고 장치의 LED 등의 상태를 상기 신고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IoT 기기의 상태를 상기 신고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방법은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방법은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상기 IoT 기기에 상기 IoT 기기가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방법은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상기 IoT 기기로부터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방법은 상기 유관기관 장치로부터 신고 접수 완료에 대한 알림을 수신한 경우, 상기 IoT 기기의 상태를 상기 신고 접수 완료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을 수행하는 긴급 신고 장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1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1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2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상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신고 모드로 전환하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동어 및 상기 제2 기동어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동어 및 상기 제2 기동어는, 미리 정의된 기동어들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의된 기동어들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사전에 등록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기동어 인식에 대한 동작 모드를 음소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긴급 신고 장치의 LED 등의 상태를 상기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IoT 기기의 상태를 상기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상기 LED 등의 상태를, 상기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의 LED 등의 상태와는 서로 다른 상태로 변경하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상기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상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하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상기 IoT 기기의 상태를 상기 신고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 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상기 IoT 기기에 상기 IoT 기기가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할 것을 요청하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상기 IoT 기기로부터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상기 유관기관 장치로부터 신고 접수 완료에 대한 알림을 수신한 경우, 상기 IoT 기기의 상태를 상기 신고 접수 완료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을 수행하는 긴급 신고 장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IoT 기기를 통해 획득한 제1 음성 데이터로부터 미리 정의된 기동어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IoT 기기를 통해 획득한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상기 미리 정의된 기동어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상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신고 모드로 전환하고, 유관기관 장치에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범죄에 노출되어 생명의 위협과 공포를 느끼는 상황에서도 쉽게 외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장치에 대한 별도의 조작 없이 범죄 상황을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범죄 상황을 인식하여, 음성인식 장치 및 IoT 기기를 통해 수집한 범죄 상황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5세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경찰 및 유관 기관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기기를 통해 범죄 상황을 빠르게 외부에 알려, 신속하게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에 설치된 IoT 기기를 이용하여 음성인식 기능을 통해 범죄 상황을 외부에 알릴 수 있기 때문에, 범죄자가 신고여부를 인식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동어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긴급 신고 시스템을 구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IoT 기기의 LED(Light-Emitting Diode) 색상 변화를 통해 신고가 완료된 것을 인지한 경우, 사용자는 긴박한 상황에서도 안정을 찾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관기관에서는 전송받은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범죄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2회 이상의 음성 인식 절차를 통해 신고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신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신고가 된 경우에도, 유관기관에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신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범죄 상황뿐만 아니라 화재 등 기타 긴급 상황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긴급 신고 시스템(120)은 음성인식 장치를 통해 위급 상황(110)에 처해있는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기동어(wakeup word)를 인식하여, 사용자 정보와 IoT 기기를 통해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유관기관에 전송하여 신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에는 사용자가 처한 위급 상황(110)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을 수 있다. 긴급 신고 시스템(120)은 음성인식 장치를 통해 위급 상황(110)에 처해있는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기동어를 인식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사용자 음성을 잘못 인식하여 잘못된 신고를 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긴급 신고 시스템(120)은 긴급 신고 장치 및 IoT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긴급 신고 장치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음성인식 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실시예에 따라, 긴급 신고 장치는 AI 기반의 음성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AI 스피커일 수 있다. 또한, IoT 기기는 실시예에 따라 긴급 신고 시스템(120)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IoT 기기는 홈 CCTV, 스마트폰 및 기타 스마트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시스템(120)의 긴급 신고 장치는 위급 상황(110)에 처해있는 사용자가 발화한 기동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기동어는 사전에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통해 긴급 신고 시스템(1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긴급 신고 장치가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긴급 신고 장치는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 및 신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장치는 위급 상황(110)에 처해있는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긴급 모드인 긴급 신고 장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에서 신고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장치는 신고 모드에서 사용자가 처한 위급 상황(110)에 대한 신고를 수행할 수 있다.
긴급 모드에서, 긴급 신고 시스템(120)은 음성 인식 장치, IoT 기기 및 스마트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가 처한 위급 상황(110)에 대한 데이터를 유관기관 장치(1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유관기관은 경찰서, 소방서 및 통신사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이 사용자가 처한 위급 상황(110)과 관련된 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처한 위급 상황(110)에 대한 데이터는 사용자가 처한 위급 상황(110)을 녹음한 음성 데이터 및 사용자가 처한 위급 상황(110)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긴급 신고 시스템(120)은 통신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거주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 장치(130)에 전송할 수 있다.
유관기관은 긴급 신고 시스템(120)으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처한 위급 상황(110)에 대한 심각성을 판단할 수 있다. 유관기관 장치(130)는 위급 상황(110)에 대한 신고 접수가 완료되면, 신고 접수 완료에 대한 알림을 긴급 신고 시스템(120)에 전송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시스템(120)은 알림 수신에 응답하여, 긴급 신고 장치의 동작 모드를 신고 접수 완료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시스템(120)은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 신고 모드 및 신고 접수 완료 모드로 변경하면 동작 모드의 변경 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긴급 신고 장치 및 IoT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각각의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시스템(120)은 긴급 신고 장치 및 IoT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동작 모드의 변경 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위급 상황(110)에 처한 사용자를 안심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긴급 신고 시스템은 긴급 신고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및 마이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긴급 신고 장치(200)는 및 카메라(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에 연결되고,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가능한 인스트럭션들, 프로세서(210)가 연산할 데이터 또는 프로세서(21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예컨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예컨대, 하나 이상의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쉬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유관기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카메라(250)는 사용자가 처한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24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된 하나 이상의 동작을 긴급 신고 장치(200)가 수행할 수 있도록 긴급 신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긴급 신고 장치(200)가 마이크(240)를 통해 수신한 제1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1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전환하도록 프로세서(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프로세서(210)는 긴급 신고 장치(200)가 IoT 기기의 상태를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도록 긴급 신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긴급 신고 장치(200)가 마이크(240)를 통해 수신한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2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프로세서(210)는 긴급 신고 장치(200)가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신고 모드로 전환하도록 긴급 신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프로세서(210)는 긴급 신고 장치(200)가,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이내에 마이크(240)를 통해 수신한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2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신고 모드로 전환하도록 긴급 신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긴급 신고 장치(200)가 IoT 기기의 상태를 신고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 도록 긴급 신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프로세서(210)는 긴급 신고 장치(200)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하도록 긴급 신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IoT 기기를 통해 획득한 제1 음성 데이터로부터 미리 정의된 기동어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해당 IoT 기기를 통해 획득한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위 미리 정의된 기동어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프로세서(210)는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신고 모드로 전환하고, 유관기관 장치에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IoT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프로세서(210)는 긴급 신고 장치(200)가 IoT 기기에 IoT 기기가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할 것을 요청하도록 긴급 신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프로세서(210)는 긴급 신고 장치(200)가 IoT 기기로부터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하도록 긴급 신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위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210)는 긴급 신고 장치(200)가 유관기관 장치로부터 신고 접수 완료에 대한 알림을 수신한 경우, IoT 기기의 상태를 신고 접수 완료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도록 긴급 신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 신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310)에서 긴급 신고 장치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1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1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긴급 신고 장치는 긴급 신고 장치의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긴급 신고 장치는 기동어 인식에 대한 동작 모드를 음소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반 모드에서 긴급 신고 장치가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기동에 인식에 대한 긴급 신고 장치는 기동어 인식에 대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지만, 긴급 신고 장치가 긴급 기동어에 대응하는 제1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제1 기동어를 비롯한 기동어 인식에 대한 사운드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긴급 신고 장치는 긴급 신고 장치의 LED 등의 상태를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고, IoT 기기의 상태를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I 스피커이거나 AI 음성인식 플랫폼(또는 음성인식 장치)을 포함하는 긴급 신고 장치는 LED 등을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LED 등의 상태는, 긴급 신고 장치가 일반 모드인 경우의 LED 등의 상태와는 서로 다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모드에 대응하는 LED 등의 상태는 초록색 등이 켜진 상태일 수 있고,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LED 등의 상태는 노란색 등이 켜진 상태이거나 소등된 상태일 수 있다.
단계(320)에서 긴급 신고 장치가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긴급 신고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2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긴급 신고 장치는 동작 모드를 신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동어 및 제2 기동어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고, 또는 미리 정의된 기동어들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미리 정의된 기동어들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사전에 등록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긴급 신고 장치는 사전에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기동어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성 입력을 통해 "살려주세요"와 "누구세요"를 긴급 신고 장치에 긴급 기동어로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동어와 제2 기동어 각각은 "살려주세요" 및 "누구세요"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에서, 사용자는 음성 입력을 통해 "살려주세요"를 긴급 신고 장치에 기동어로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동어와 제2 기동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장치는 하나 이상의 기동어를 저장하여, 다양한 비상 상황을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긴급 신고 장치가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이내에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2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긴급 신고 장치는 긴급 신고 장치의 동작 모드를 신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긴급 신고 장치는 긴급 신고 장치의 LED 등의 상태를 신고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고, 긴급 신고 시스템은 IoT 기기의 상태를 신고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시스템은 홈 CCTV와 같은 IoT 기기의 LED 등을 신고 모드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장치 및 IoT 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단계(330)에서 긴급 신고 시스템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및 IoT 기기로부터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긴급 신고 장치는 IoT 기기에 IoT 기기가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IoT 기기는 요청에 응답하여, IoT 기기가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긴급 신고 시스템은 IoT 기기로부터 IoT 기기가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긴급 신고 시스템은 IoT 기기로부터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긴급 신고 시스템이 유관기관 장치로부터 신고 접수 완료에 대한 알림을 수신한 경우, 긴급 신고 시스템은 IoT 기기의 상태를 신고 접수 완료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긴급 신고 장치는 동작 모드를 신고 접수 완료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에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 신고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 및 신고 접수 완료에 대응하는 상태는, LED 등의 색상으로 구분되어 사용자는 신고 처리 과정을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긴급 신고 장치의 동작 모드가 긴급 모드로 변경된 후에, 긴급 신고 장치는 제2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또는 통신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제2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기동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서버는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2 기동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경우, 긴급 신고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지하여 그에 따른 신고 조치를 취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긴급 신고 장치가 제2 기동어를 인식하는 경우, 긴급 신고 장치는 LED 등 및 LED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신고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고, 음성 녹음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홈 CCTV 기기는 영상 녹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장치 및 홈 CCTV 기기는 LED 등 및 LED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신고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에 대한 음성 녹음 및 영상 녹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음성 및 영상이 유관기관 장치에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있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긴급 신고 장치는 신고가 완료된 경우, LED 등 및 LED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신고 접수 완료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신고가 완료되었음을 인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처한 긴급 상황에 대한 신고는 긴급 신고 장치 및 IoT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집된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되어 수행될 수 있고, 또는 사진과 같은 멀티미디어가 첨부된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가 전송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긴급 신고 시스템(402)은 단계(408)에서 긴급 신고 장치를 통해 제1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1 기동어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긴급 신고 시스템(402)은 긴급 신고 장치를 통해 제1 음성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고, 제1 음성 데이터로부터 사전에 등록되었던 기동어에 대응하는 제1 기동어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긴급 신고 시스템(402)은 단계(410)에서 긴급 신고 시스템(402)에 포함된 긴급 신고 장치의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시스템(402)은 긴급 신고 장치의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긴급 신고 장치가 기동어를 또 인식한다면,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긴급 신고 장치의 동작 모드를 신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장치가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긴급 신고 시스템(402)은 단계(412)에서 긴급 신고 장치를 통해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2 기동어를 인식할 수 있다. 제2 기동어를 인식한 긴급 신고 시스템(402)은 단계(414)에서 긴급 신고 장치의 동작 모드를 신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장치의 동작 모드가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긴급 신고 시스템(402)은 유관기관 장치(406)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IoT 기기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통신사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통신사에 제공한 사용자 정보가 될 수 있다.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가입 정보, 현재 위치 정보 및 거주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시스템(402)는 긴급 신고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통신사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긴급 신고 장치의 동작 모드가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긴급 신고 시스템(402)은 단계(416)에서 IoT 단말(404)에, IoT 단말(404)이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oT 단말(404)은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단계(418)에서 유관기관 장치(406)에 IoT 단말(404)이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유관기관 장치(406)는 긴급 신고 시스템(402) 및 IoT 단말(404)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상황에 대한 신고를 접수할 수 있다. 유관기관 장치(406)는 신고가 완료되면, 단계(420)에서 긴급 신고 시스템(402)에 신고 접수가 완료되었다는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시스템(402)은 유관기관 장치(406)로부터 수신한 신고 접수 알림에 기초하여, 긴급 신고 장치의 동작 모드를 신고 접수 완료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긴급 신고 시스템(402)은 긴급 신고 장치의 상태를 신고 접수 완료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408 내지 416 및 참조번호 420은 도 4a의 참조번호 408 내지 416 및 참조번호 420과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도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IoT 단말(404)은 긴급 신고 시스템(402)으로부터 수신한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단계(422)에서 긴급 신고 시스템(402)에, IoT 단말(404)이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긴급 신고 시스템(402)은 전송에 응답하여, 단계(424)에서 유관 기관 서버(406)에, IoT 단말(404)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유관기관 장치(406)는 긴급 신고 시스템(402)으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 정보,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상황에 대한 신고를 접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20, 402: 긴급 신고 시스템 130, 406: 유관기관 장치
200: 긴급 신고 장치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230: 통신 인터페이스
240: 마이크 250: 카메라
404: IoT 단말

Claims (26)

  1.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1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1 기동어(wakeup word)를 인식한 경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2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상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신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긴급 신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동어 및 상기 제2 기동어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신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동어 및 상기 제2 기동어는,
    미리 정의된 기동어들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신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기동어들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사전에 등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신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기동어 인식에 대한 동작 모드를 음소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긴급 신고 장치의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상태를 상기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IoT 기기의 상태를 상기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긴급 신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LED 등의 상태를, 상기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의 LED 등의 상태와는 서로 다른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긴급 신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상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긴급 신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의 LED 등의 상태를 상기 신고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IoT 기기의 상태를 상기 신고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긴급 신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긴급 신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상기 IoT 기기에 상기 IoT 기기가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긴급 신고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상기 IoT 기기로부터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긴급 신고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관기관 장치로부터 신고 접수 완료에 대한 알림을 수신한 경우, 상기 IoT 기기의 상태를 상기 신고 접수 완료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긴급 신고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4.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을 수행하는 긴급 신고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1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1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제2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상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신고 모드로 전환하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하는,
    긴급 신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동어 및 상기 제2 기동어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신고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동어 및 상기 제2 기동어는,
    미리 정의된 기동어들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신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기동어들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사전에 등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신고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기동어 인식에 대한 동작 모드를 음소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긴급 신고 장치의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상태를 상기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IoT 기기의 상태를 상기 긴급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하는,
    긴급 신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상기 LED 등의 상태를, 상기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의 LED 등의 상태와는 서로 다른 상태로 변경하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하는,
    긴급 신고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상기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상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하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하는,
    긴급 신고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상기 IoT 기기의 상태를 상기 신고 모드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 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하는,
    긴급 신고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하는,
    긴급 신고 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상기 IoT 기기에 상기 IoT 기기가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할 것을 요청하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하는,
    긴급 신고 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상기 신고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 상기 IoT 기기로부터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유관기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하는,
    긴급 신고 장치.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상기 유관기관 장치로부터 신고 접수 완료에 대한 알림을 수신한 경우, 상기 IoT 기기의 상태를 상기 신고 접수 완료에 대응하는 상태로 변경하도록 상기 긴급 신고 장치를 제어하는,
    긴급 신고 장치.
  26.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을 수행하는 긴급 신고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신고 장치가,
    IoT 기기를 통해 획득한 제1 음성 데이터로부터 미리 정의된 기동어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긴급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긴급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IoT 기기를 통해 획득한 제2 음성 데이터로부터 상기 미리 정의된 기동어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동어를 인식한 경우, 상기 긴급 신고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신고 모드로 전환하고, 유관기관 장치에 수집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상기 IoT 기기를 제어하는,
    긴급 신고 장치.
KR1020190117529A 2019-09-24 2019-09-24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 및 장치 KR102282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529A KR102282574B1 (ko) 2019-09-24 2019-09-24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529A KR102282574B1 (ko) 2019-09-24 2019-09-24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570A true KR20210035570A (ko) 2021-04-01
KR102282574B1 KR102282574B1 (ko) 2021-07-27

Family

ID=7544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529A KR102282574B1 (ko) 2019-09-24 2019-09-24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556B1 (ko) * 2022-11-28 2024-03-21 주식회사 모듈링크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486A (ko) * 2013-09-10 2015-03-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범죄 예방 휴대장치, 이를 포함한 범죄 감시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67251A (ko) * 2015-12-08 2017-06-16 (주) 라인링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구조요청방법
KR20170135133A (ko) * 2016-05-30 2017-12-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음성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1867A (ko) * 2017-10-13 2019-04-23 주식회사 제이알인더스트리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486A (ko) * 2013-09-10 2015-03-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범죄 예방 휴대장치, 이를 포함한 범죄 감시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67251A (ko) * 2015-12-08 2017-06-16 (주) 라인링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구조요청방법
KR20170135133A (ko) * 2016-05-30 2017-12-0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음성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1867A (ko) * 2017-10-13 2019-04-23 주식회사 제이알인더스트리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556B1 (ko) * 2022-11-28 2024-03-21 주식회사 모듈링크 이동 장치 사고 감지 및 자동 구조요청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574B1 (ko)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611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routing of notifications of incoming voice communication requests
US20170373876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EP3763104B1 (en) Implementing push-to-talk in a multimedia conferencing system
US201602553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air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with a Plurality of Media Content Processing Devices
KR100827709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10348888B1 (en) Call management system for a command center utilizing call metadata
CN103680086A (zh) 监控室内安全的方法及电子终端
KR102282574B1 (ko) IoT 기기를 이용한 긴급 신고 방법 및 장치
JP2023162432A (ja) 警備システム
US20230090745A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80199178A1 (en) Concept for reacting efficiently to an emergency call
CN105519148B (zh) 主叫方控制被叫铃声转换输出系统及其方法
KR101865788B1 (ko) 엘리베이터용 유무선 자동전환 비상화상통화시스템
CN104616459A (zh) 一种智能城市报警柱
JP2011003971A (ja) 優先発着信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優先発着信制御方法
US20190268566A1 (en) Merging audio streams
JP6143923B1 (ja) 防災無線システム
US20190104393A1 (en) Remote Triggering of Communication Through Computing Device
KR20200094015A (ko) 개인신변보호 시스템
KR101638855B1 (ko) 브이오아이피 기반의 개선된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
KR101603280B1 (ko) 위급 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728387B1 (en) Sharing on-scene camera intelligence
KR20140081295A (ko)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 로봇을 이용한 다자간 원격 감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US202200605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fake video call
KR102497119B1 (ko) 콜을 이용한 사용자 상황판단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