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709B1 -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709B1
KR100827709B1 KR1020070009463A KR20070009463A KR100827709B1 KR 100827709 B1 KR100827709 B1 KR 100827709B1 KR 1020070009463 A KR1020070009463 A KR 1020070009463A KR 20070009463 A KR20070009463 A KR 20070009463A KR 100827709 B1 KR100827709 B1 KR 100827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terminal
rescue
rescu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서오텔레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오텔레콤(주) filed Critical 서오텔레콤(주)
Priority to KR1020070009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709B1/ko
Priority to PCT/KR2008/000534 priority patent/WO2008093987A1/en
Priority to CN200880003508.XA priority patent/CN101595712B/zh
Priority to US12/525,272 priority patent/US8175572B2/en
Priority to EP08712225A priority patent/EP2116028A1/en
Priority to JP2009548153A priority patent/JP5538903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116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for emergency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manual activation of emergency-service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비상상황 발생시에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비상정보를 송출하는 경우, 비상상황 외에 사용되는 비상 신호 전송의 오남용 폐해를 줄이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위한 긴급 구조키가 형성된 구조요청자 단말기;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구조자단말기간의 통화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구조자단말기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가 보안 서버에 전달되면,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보안 서버와의 통화로 전환되도록 하고, 구조요청자 전화번호 및 단문메시지 정보를 구조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통신사 서버;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입력된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구조요청자 전화번호 및 단문메시지 정보를 입력받아 긴급 상황을 알리도록 하는 구조자단말기; 및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일방향 수신 상태로 2차 비상연락처(경찰, 소방서)와 접속되어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통화가능한 보안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조요청자 단말기, 통신사 서버, 구조자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Urgent call misappropriation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긴급 신호 전송 단계의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구조요청자 단말기 200 : 통신사 서버
400 : 구조자단말기 500 : 보안서버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비상상황 발생시에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비상정보를 송출하는 경우, 비상상황 외에 사용되는 비상 신호 전송의 오남용 폐해를 줄이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이동통신 가입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요즘 가정 흔하게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필수품으로써 인식하게 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보다 좋은 성능을 가지며 다기능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발 맞춰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 및 여러 부가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 출시되는 통신서비스 중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지 추적을 통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사용자에 응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사용자가 휴대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 발신되어 응급기관 또는 경찰서등의 사법기관에 구조를 요청하는 구조요청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내용이 대중에게 공개됨에 따라 실제 상황에서는 사용자의 비상신호를 발신 전 또는 후에 범죄자가 사용자의 단말기를 뺏고 파손해버려 구조신호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경찰관이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실제 인지했다 하더라도 정확한 위치 추적이 이루어질 수 없고, 또한, 실제 위치추적이 되어 있다하더라도 상황이 종료된 이후에나 현장에 도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황을 대비하여 이동통신 가입자가 직접 음성통화를 진행할 수 없거나 하는 경우, 버튼조작만을 통해 비상 연락처로 비상정보를 송출하여 사고 상황의 현장 상황을 알리도록 하는 비상호출 처리 방법이 시행되고 있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의 잘못된 조작에 의하여 자신도 모르게 원치 않은 상황에서 위급 상황이 잘못 전달되어 지는 문제점이 많았다.
또한, 이동통신 가입자가 위급한 상황이 되었을 때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된 위급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구조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전혀 도움을 줄 수가 없기 때문에 서비스의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긴급구조요청을 할 경우 통신사 서버에서 사고접수번호를 생성하고 미리 지정된 1차 비상연락처(가족, 친구) 또는 2차 비상연락처(경찰, 소방서)로 비상신호를 알리고 이때, 1차 비상연락처에서 먼저 착신하고 경미한 사고(수상한 자가 미행 등 주변으로부터 위험을 느낄 때)로 확인 될 경우 자체적으로 해결하고, 납치, 강도 등 강력범죄로 경찰의 도움이 필요할 경우에는 2차 비상연락처(경찰, 소방서)로 전달하여 구조요청자의 위급상황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면 구조요청자와 경찰간에 수신통화(호접속)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 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지정된 구조자단말기에 구조요청자 전화번호와 이동통신사에서 부여받은 접수번호 및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대응되는 구조자단말기가 기 저장된 벨소리 형식 또는 기 저장된 알람으로 제어하도록 하여 구조자에게 전달 가능하도록 하고 2차 비상연락처 상황실 또는 통신 단말기 표시창에 구조요청자 전화번호와 전달자(1차 비상연락처) 전화번호 또는 전달자 및 신분확인 사항이 표시되어 전달 가능 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통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위한 긴급 구조키(110)가 형성된 구조요청자 단말기(100);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구조자단말기간의 통화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구조자단말기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가 보안 서버에 전달되면,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보안 서버와의 통화로 전환되도록 하고, 구조요청자 전화번호, 접수번호 및 단문메시지 정보를 구조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통신사 서버(200);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입력된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단문메시지를 입력받아 긴급 상황을 알리도록 하는 구조자단말기(400); 및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일방향 수신 상태로 2차 비상연락처(경찰, 소방서)와 접속되 어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통화가능한 보안 서버(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이동통신망을 통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방법은 (a) 상기 통신사 서버가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102); (b)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버튼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3); (c)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긴급버튼 신호가 입력된 경우로 판단되면, 구조자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단문메시지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S105); (d) 상기 통신사 서버가 구조자단말기로 긴급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10); (e) 상기 통신사 서버가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긴급정보를 구조자단말기에서 보안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S123); 및 (f)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구조자단말기의 호접속 상황에서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보안 서버의 호접속 상황으로 전환되는 단계(S1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은 구조요청자 단말기(100), 통신사 서버(200), 구조자단말기(400) 및 보안 서버(500)가 이동통신망(5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100)는 협박상황이나 불법한 목적의 범인에 의한 감 금, 산악지에서의 조난 상황 등과 같은 비상상황에 처한 이동통신 가입자에 의해 제어되어 비상용 긴급구조키(도 2 참조, 110)가 형성되어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비상정보를 경찰서나 소방서 등과 같은 보안센터 또는 구조자단말기에게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100)에는 비상시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위급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비상 연락처가 기 저장되어 있다.
또한, 장애인과 독거노인 등이 사용하는 구조요청자 단말기(100)는 2차 비상연락처인 보안 서버 즉, 경찰 또는 소방서 상황실로 구조요청 신호가 직접 연결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구조요청자 단말기(100)는 긴급 신호가 구조자단말기 또는 보안 서버로 전송된 경우, 상기 구조자단말기 또는 보안 서버에서 일방적으로 통화 가능하도록 설정되고, 수신음 또는 벨소리 신호를 차단하도록 한다.
이동통신망(50)은 이동통신 중계기, 이동통신 제어기, 이동통신 교환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 중계기는 상기 각각의 이동통신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제어기간을 중계하여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이동통신 제어기는 상기 이동통신 중계기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정합기능과, 각 기지국 셀간의 핸드오프 처리, 호접속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사 서버(200)는 상기 이동통신망(50)을 통해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100)로부터 긴급 신호가 입력되면, 구조자단말기(400)의 통화시도에 따라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가 수신상태로 제어되어 통화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이때, 상기 구조자단말기(400)가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긴급신호가 보안 서버로 전달된 경우,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상기 보안 서버의 통화 연결이 자동전환된다.
통신사 서버(200)는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긴급 신호 정보를 단문메시지로 구성하여 구조자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통신사 서버(200)는 긴급상황에 따른 접수번호를 생성하여 구조요청자 단말기를 통해 구조요청자 전화번호와 긴급상황을 인증하는 접수번호 및 단문메시지를 구조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통신사 서버(200)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구조자단말기(400)는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대응되는 단말기로서,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에 해당되는 단말기에 해당 긴급 신호가 전송되며, 하나의 구조요청자 단말기에 다수개의 구조자단말기들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조자단말기(400)에는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스피커의 음량을 제어하도록 하여 스피커 음량이 최고가 되도록 하고, 진동 모드 또는 벨 소리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진동모드 인 경우, 벨 소리 모드로 전환 가능하도록 제어 되도록 하고, 해당 저장된 멘트를 구조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상기 구조자단말기(400)는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보안 서버(500)는 상기 구조자단말기(1차 비상연락처)로부터 해결되지 못한 긴급 상황 정보를 전달받아 경찰서 상황실 또는 소방서 등과 연결된다.
상기 보안 서버(500)는 긴급 정보 신호인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전화번호, 상기 구조자단말기의 전달자 인적사항, 사건에 대한 접수번호등이 구조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되면,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구조자단말기와의 통화가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상기 보안 서버로와의 통화로 전환되어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상황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보안 서버(500)로 입력된 긴급 구조 요청 정보는 상기 1차 비상연락처인 구조자단말기로부터 해결되지 못한 긴급 상황인 납치, 강도 등 강력범죄인 경우에 전달받아, 경찰 업무 폭주를 방지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상기 구조자단말기가 필터링한 후의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보안 서버(500)는 통신사 서버를 통해 긴급 구조 요청을 한 구조요청자 단말기(100)와 전화연결이 전환되는데, 이때,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구조자단말기간의 전화연결은 종료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요청자 단말기(100)는 외부와 무선으로 통신되고, 단말기의 외부에 형성되어 긴급한 상황에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긴급구조키(110), 상기 긴급구조키가 입력되면 긴급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구조자단말기 전화번호, 단문메시지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140), 상기 긴급 구조키를 통해 발생한 긴급정보를 구조자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출력하기 위한 제 1출력부(150), 상기 긴급구조키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수단이 활성화 되어 주변 음성 또는 영상을 구조자단말기 또는 보안 서버로 전달하는 송신부(170)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고,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긴급구조키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신호가 제 1무선부(130)를 통해 통신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 1제어부(160)를 포함한다.
긴급구조키(110)는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외부에 형성되어 긴급한 상황에 사용자로부터 쉽게 입력가능한 곳에 위치된다.
키입력부(120)는 보통의 단말기에 구성되는 키조작버튼 형식으로 되어 있어, 사전에 입력할 경찰서 전화번호, 구조자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단문메시지내용 등을 입력한다.
제 1무선부(130)는 외부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한다.
메모리부(140)는 구조요청자가 긴급할 경우, 긴급 신호를 전송할 구조자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단문메시지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단문메시지 정보는 상기와 같이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에 저장될 수 도 있고, 통신사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제 1출력부(150)는 긴급구조키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정보를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출력부(150)는 상기 긴급구조키 정보가 입력되면 긴급정보가 구조자단말기에 전송된 경우, 구조요청자에게 알리도록 진동의 형태로 출력된다.
송신부(170)는 상기 긴급구조키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마이크, 음성 및 영상이 활성화 되어 주변 상황을 구조자단말기 또는 보안 서버로 전달한다.
제 1제어부(160)는 구조요청자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자에 의해 긴급구조키(110)에 따른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신호가 상기 제 1무선부(130)를 통해 통신사 서버(200)로 전송하는데 필요한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 1제어부(160)는 긴급 신호가 구조자단말기 또는 보안 서버로 전송된 경우, 상기 구조자단말기 또는 보안 서버에서 일방적으로 통화연결이 설정되는 경우, 수신음 또는 벨소리 신호를 차단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사 서버는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신호가 입력되면, 긴급 정보를 전송한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위치 추적을 처리하는 상기 위치추적 처리부(210),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위치 또는 비상신호 접수번호를 관리하는 접수번호 처리부(220), 상기 구조자단말기로 긴급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처리부(230), 상기 단문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접수번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구조자단말기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40), 상기 접수번호, 위치정보 및 단문메시지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구조자의 전화번호 등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250),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고,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긴급 신호가 상기 제 2무선부(260)를 통해 단문메 시지 형태로 구조자단말기에 전송되는 제 2제어부(270)를 포함한다.
위치추적 처리부(210)는 비상정보를 전송한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위치 추적을 처리한다.
이때, 상기 위치추적 처리부(210)는 지피에스 수신기를 통하여 획득할 수도 있고,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추적을 산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위치추적 처리부(210)는 비상정보를 전송한 구조요청자 단말기(100)의 위치 추적을 처리하고, 위치추적에 따른 위치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부(240)로 전송한다.
또한, 위치정보는 지피에스 수신기 또는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기지국 정보로서, 구조요청자 단말기가 위치한 기지국의 고유한 번호와 그에 따른 지역에 번호를 부여하여 관리된다.
접수번호 처리부(220)는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버튼이 입력되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긴급 상황을 알리는 접수번호가 부여되도록 하고, 상기 위치추적 처리부(210)를 통해 입력된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접수된 번호를 처리한다.
상기 접수번호는, 2007-3456-XXXX 의 형태로서, 날짜,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비상 연락처와 연결되어 수정 또는 삭제가 불가능하다.
단문메시지 처리부(230)는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긴급 정보에 따른 출력 메시지로서, 구조자단말기로 단문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안내 멘트를 작성한다.
상기 단문메시지 처리부(230)는 '긴급상황입니다. 도와주세요. 전화번호***-**** 접수 번호 ***-****, 위치확인, 전달하기, 해제하기, 상황실 연결 등과 같은 형태로 출력부(240)로 전송한다.
또한, 단문메시지 정보는 긴급구조 요청지점 위치, 긴급출동 서비스 종류, 발생시간, 지령, 요청자의 전화 번호 등이 더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 2출력부(240)는 상기 단문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접수번호 처리부의 신호를 구조자단말기로 출력한다.
데이터베이스(250)는 상기 접수번호정보, 위치정보, 단문메시지 정보 및 구조자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다.
제 2제어부(270)는 상기 각 부를 제어하고,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긴급 신호 정보가 단문메시지 형태로 구조자단말기에 전송된다.
또한, 상기 제 2제어부(270)는 긴급 신호가 구조자단말기 또는 보안 서버로 전송된 경우, 상기 구조자단말기 또는 보안 서버에서 일방적으로 통화 가능하도록 통화연결이 설정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자단말기는 제 3무선부(440)를 통해 외부와 무선으로 통신되고,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410),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긴급 신호 정보가 입력되면 긴급 벨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430), 긴급할 시 알람되도록 하는 긴급 벨소리 데이터가 저장된 긴급 벨소리 메모리(420),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신호가 입력되면 진동 모드 인지 벨소리 모드인지 판단하는 모드 변환부(450), 긴급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사고발생지점 표시가 출력되는 제 3출력부(470) 및 상기 긴급구조키의 입력으로 상기 긴급 벨소리 출력요구 신호가 발생되면 긴급벨소리를 출력하고, 스피커의 음량을 판단하여 최대화시키도록 제어하고, 긴급 신호가 종료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보안 서버로 상기 긴급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 3제어부(46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410)는 외부와 무선으로 통신되고,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비상 신호가 입력된다.
긴급 벨소리 메모리(420)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단문메시지 정보가 입력되면 벨소리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긴급 벨소리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제 3출력부(470)는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사고발생지점 정보가 출력된다.
상기 제 3출력부(470)는 보안 서버 출력화면에 '도와주세요. 구조요청자 전화번호 : ***-****-****, 전달자 번호 ***-****-****, 전달자와의 관계 정보'가 출력된다.
상기의 구성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를 나열한 것으로, 사용목적 등에 따라 상기의 구성요소에 다른 구성요소가 부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불필요한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의 도 5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사 서버가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1차적 단말기인 구조자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단문메시지를 사전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1)
상기 S101 단계의 구조자단말기의 전화번호는 하나 일 수도 있고 다수 개 일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문메시지 저장단계는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가 긴급상황 발생 시 구조자단말기의 출력부에 단문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통신사 서버에 단문메시지가 저장될 수도 있고,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긴급상황입니다. 도와주세요.' 등과 같은 멘트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멘트는 사용자에 의해서 변경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통신사 서버가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2)
다음으로, 상기 통신사 서버는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버튼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3)
다음으로, 상기 S103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통신사 서버는 긴급버튼 신호가 입력된 경우로 판단되면, 구조자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단문메시지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수행하고(S105), 상기 긴급버튼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단계로 판 단되는 경우, 계속적으로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2)
다음으로, 상기 통신사 서버는 구조자단말기로 긴급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10)
이때, 상기 구조자단말기에 전송되는 단문메시지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위급상황을 알리도록 기 저장된 내용과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S110 단계는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통신사 서버는 구조자단말기로부터 긴급 상황 종료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21)
상기 S121 단계의 상기 통신사 서버는 긴급 상황 종료 신호가 입력된 경우, 다시 대기 상태(S101)를 수행하고,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긴급 상황 종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긴급정보를 구조자단말기에서 보안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23)
상기 S123 단계는 상기 구조자단말기의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강력범죄라고 판단되는 경우, 구조자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단문메시지 형태로 경찰서 등의 보안 서버에 전송된다.
예를 들면, '긴급상황입니다. 도와주세요. 전화번호 *******, 접수번호 ***-**** 전달자 번호 0**-****-**** 등의 형태로 출력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보안 서버가 통신 연결되는 단계를 수행한다.(S125)1
상기 S125 단계는, 긴급 구조를 요청한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경찰서 등의 보안 서버는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위치를 실시간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구조자단말기간에 연결된 전화 통신 연결이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보안 서버로 전환되도록 하여 기존의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구조자단말기간의 통신은 종료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통신사 서버는 긴급 구조에 대한 결과를 보안 서버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27)
상기 S127 단계는 보안 서버로부터 긴급 구조 서비스가 종료되었다는 신호를 통신사 서버에 입력되면, 긴급구조 서비스 제공결과가 저장되고, 구조자단말기에 현재의 상황을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의 보고 상황은 현장상황, 서비스 제공조치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긴급 신호 전송 단계의 서브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 신호가 구조자단말기에 입력된 경우(S110), 구조자단말기의 제 3제어부가 벨소리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12)
상기 제 3제어부가 상기 S112 단계의 판단결과, 벨소리 모드가 아닐 경우로 판단되면 진동모드로 판단하고(S113), 모드 변환부를 통해 벨소리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14)
다음으로, 상기 제 3제어부가 벨소리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음량 처리부를 통해 스피커의 음량이 최대인가를 판단하여(S116), 스피커의 음량이 최대인 경우, 제 3출력부를 통해 구조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수행하고(S119), 상기 스피커 음량이 최대가 아닌 경우, 음량 출력부가 스피커의 음량이 최대로 되도록 변환하는 단계를 수행하고(S118), 상기 도 5의 긴급 상황 종료를 판단하는 단계(S121)를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누구나 수정 및 변환 실시가 가능한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위급한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그에 해당되는 구조자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 비상상황을 정확하게 통보하도록 하여 사용자를 위험으로부터 신속히 구조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정된 구조자단말기에게 구조요청자 전화번호와 위치정보 및 통신사 서버에서 부여한 사고접수에 대한 접수번호 등이 기재된 단문메시지가 전송되면 그에 대응되는 구조자단말기가 기 저장된 벨소리 형식 또는 기 저장된 알람신호로 변환되어 구조자에게 긴급 상황을 신속히 알리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주변으로부터 위험을 느낄 때 긴급구조요청 신호 를 보내면 통신사 서버에서 사고접수 번호를 부여하고 1차 비상연락처(가족, 친구)의 구조 단말기에 구조요청자 전화번호와 사고접수번호가 기재된 단문메시지에 전송하고 강력범죄인 경우 2차 비상연락처(경찰, 소방서)로 구조요청자 전화번호 사고접수번호 전달자 전화번호 및 인적사항(부모, 친구)이 단문메시지로 전달되어 경찰업무의 폭주를 방지하고 오남용을 방지하도록 하여 잘못된 송신으로 인한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이동통신망을 통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위한 긴급 구조키(110)가 형성된 구조요청자 단말기(100);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구조자단말기간의 통화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구조자단말기로부터 긴급 상황 정보가 보안 서버에 전달되면,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보안 서버와의 통화로 전환되도록 하고, 구조요청자 전화번호 및 단문메시지 정보를 구조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통신사 서버(200);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입력된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구조요청자 전화번호 및 단문메시지 정보를 입력받아 긴급 상황을 알리도록 하는 구조자단말기(400); 및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일방향 수신 상태로 2차 비상연락처(경찰, 소방서)와 접속되어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통화가능하도록 한 보안 서버(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100)는,
    외부와 무선으로 통신되고, 단말기의 외부에 형성되어 긴급한 상황에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긴급 구조키(110);
    상기 긴급 구조키가 입력되면 긴급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구조자단말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140),
    상기 긴급 구조키를 통해 발생한 긴급정보를 구조자단말기로 출력하는 제 1출력부(150);
    상기 긴급구조키로부터 긴급신호가 입력되면 음성 또는 영상 송출 신호가 활성화되어 주변 상황을 상기 구조자단말기 또는 보안 서버로 전달하는 송신부(170);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고,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긴급 구조키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구조자단말기 또는 보안 서버와 통화 연결이 설정되는 경우, 수신음 또는 벨소리 울림 신호를 차단하는 제 1제어부(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100)는,
    상기 긴급정보가 구조자단말기에 전송된 경우, 구조요청자에게 진동의 형태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사 서버(200)는,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신호가 입력되면, 긴급 정보를 전송한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위치 추적을 처리하는 상기 위치추적 처리부(210);
    상기 구조자단말기로 긴급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처리부(230);
    상기 단문메시지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구조자단말기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40);
    상기 위치정보, 단문메시지 정보 또는 구조자의 전화번호 등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250);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고, 위치정보 또는 전달자 인적사항이 저장된 긴급 신호를 단문메시지의 형태로 구조자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구조자단말기 또는 보안 서버에서 일방적으로 통화 가능하도록 통화연결 상태를 설정하는 제 2제어부(2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사 서버(200)는,
    비상신호 접수 번호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접수번호 처리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자단말기(400)는;
    외부와 무선으로 통신되고,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비상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410);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 신호가 입력되면 진동 모드 인지 벨소리 모드인지 판단하는 모드 변환부(450);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긴급신호가 입력되면 벨소리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벨소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긴급 벨소리 메모리(420);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긴급 신호 정보가 입력되면 긴급 벨소리로 변환하고, 스피커의 음량을 최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음량 처리부(430);
    상기 긴급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의 사고발생지점 표시가 출력되는 제 3출력부(470); 및
    상기 긴급구조키의 입력으로 상기 긴급 벨소리 출력요구 신호가 발생되면 긴 급벨소리를 출력하고, 스피커의 음량을 판단하여 최대화시키도록 제어하고, 긴급 신호가 종료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보안 서버로 상기 긴급 신호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 3제어부(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7. 이동통신망을 통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통신사 서버가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102);
    (b)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긴급버튼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3);
    (c)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긴급버튼 신호가 입력된 경우로 판단되면, 구조자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단문메시지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S105);
    (d) 상기 통신사 서버가 구조자단말기로 긴급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110);
    (e) 상기 통신사 서버가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긴급정보를 구조자단말기에서 보안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S123); 및
    (f)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구조자단말기의 호접속상황에서 상기 구조요청자 단말기와 보안 서버의 호접속 상황으로 전환되는 단계(S1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이후에는,
    (g) 상기 통신사 서버가 긴급 구조에 대한 결과를 상기 보안 서버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S1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긴급 신호가 전송된 경우, 제 3제어부가 벨소리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12);
    (d-3) 상기 제 3제어부가 벨소리 모드가 아닐 경우로 판단되면, 모드 변환부를 통해 벨소리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114); 및
    (d-5) 상기 제 3제어부가 스피커의 음량이 최대인가를 판단하여 최대가 아닌 경우, 음량 처리부를 통해 음량이 최대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방법.
KR1020070009463A 2007-01-30 2007-01-30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827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463A KR100827709B1 (ko) 2007-01-30 2007-01-30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CT/KR2008/000534 WO2008093987A1 (en) 2007-01-30 2008-01-29 Urgent call misappropriation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CN200880003508.XA CN101595712B (zh) 2007-01-30 2008-01-29 使用无线通信阻止紧急呼叫错误使用的系统和方法
US12/525,272 US8175572B2 (en) 2007-01-30 2008-01-29 Urgent call misappropriation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EP08712225A EP2116028A1 (en) 2007-01-30 2008-01-29 Urgent call misappropriation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JP2009548153A JP5538903B2 (ja) 2007-01-30 2008-01-29 移動通信網を用いた緊急電話の誤用・乱用防止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463A KR100827709B1 (ko) 2007-01-30 2007-01-30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709B1 true KR100827709B1 (ko) 2008-05-07

Family

ID=3964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463A KR100827709B1 (ko) 2007-01-30 2007-01-30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75572B2 (ko)
EP (1) EP2116028A1 (ko)
JP (1) JP5538903B2 (ko)
KR (1) KR100827709B1 (ko)
CN (1) CN101595712B (ko)
WO (1) WO200809398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703B1 (ko) 2009-01-12 2011-04-29 이형진 위기 관리 시스템
WO2014046479A1 (ko) 2012-09-20 2014-03-27 Kim Seong Soo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KR20160109783A (ko) 2015-03-13 2016-09-21 유명옥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60116492A (ko) 2015-03-30 2016-10-10 서성준 긴급상황 알림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택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KR20170027476A (ko) 2015-09-02 2017-03-10 김한석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0140A1 (en) * 2009-11-12 2011-05-19 Soteria Systems, Llc Personal safety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CN102123357A (zh) * 2010-01-11 2011-07-1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紧急呼叫请求处理方法、系统及设备
US20140253666A1 (en) * 2013-03-11 2014-09-11 Qualcomm Incorporated Intent engine for enhanced responsiveness in interactive remote communications
US9413670B2 (en) 2014-10-03 2016-08-09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IP load balancing
CN105933861A (zh) * 2016-04-12 2016-09-07 邹勇松 一种紧急救助处理方法
CN106302813A (zh) * 2016-09-27 2017-01-04 武汉磐固科技有限责任公司 大众紧急救护方法及系统
CN109598315B (zh) * 2018-12-07 2022-04-12 李宝忠 救援信息处理方法、服务器及救援信息处理系统
CN112261342A (zh) * 2020-10-26 2021-01-22 北京精一强远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报警与即时视音频通话系统和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4068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긴급 상황 처리 방법
KR20010001455A (ko) * 1999-06-04 2001-01-05 이상철 안전전화 서비스망
KR20020078691A (ko) * 2001-04-07 2002-10-19 이건찬 무선통신기지국을 이용한 원격경호, 경비 및 구조시스템
KR20030037175A (ko) * 2001-11-02 2003-05-12 주식회사 휴림인터랙티브 위치 기반의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KR20030046656A (ko) * 2001-12-06 2003-06-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지피에스 수신기능 구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위치통지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09145A (ko) * 2004-07-20 2006-01-31 박상래 무선 id 및 데이터 발송장치를 사용한 긴급상황 구조요청 및 출동방법
KR20060027885A (ko) * 2004-09-24 2006-03-29 주식회사 팬택 긴급 구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8866A (en) 1998-08-03 2000-09-12 Gene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Emergency call load management for call centers
US20020057285A1 (en) * 2000-08-04 2002-05-16 Nicholas James J. Non-intrusive interactive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ES2244698T3 (es) * 1999-08-30 2005-12-16 Swisscom Mobile Ag Llamada de urgencia en una red de telecomunicaciones.
US7315734B2 (en) * 2001-01-19 2008-01-0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action on wireless calls based on caller's location
JP2002298268A (ja) * 2001-03-29 2002-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装置
US7224955B2 (en) * 2001-05-18 2007-05-2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nding emergency rescue signal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47824B1 (ko) * 2001-12-29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구조요청방법
US7486194B2 (en) * 2002-03-12 2009-02-03 Sydney Devlin Stanners Personal alarm system for obtaining assistance from remote recipients
CN1414768A (zh) * 2002-05-02 2003-04-30 黄桂祥 具有紧急呼叫功能的数字移动电话的设计方法
CN1417064A (zh) * 2002-12-09 2003-05-14 陈涛 机动车防劫联网报警方法及系统
US7149533B2 (en) * 2003-10-01 2006-12-12 Laird Mark D Wireless virtual campus escort system
JP2005208858A (ja) * 2004-01-21 2005-08-04 Nec Corp 携帯端末を利用した防犯・緊急通報システム,方法,警備会社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US7068760B2 (en) * 2004-01-30 2006-06-27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cation signals/indicators when 911 dialed
KR100842548B1 (ko) * 2004-03-05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긴급 호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60014765A (ko) * 2004-08-12 2006-02-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긴급 구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US8380158B2 (en) * 2004-12-06 2013-02-19 Edward A. McCulloch System and method for vital communications connectivity
US20070171892A1 (en) * 2005-04-21 2007-07-26 Ilwoo Chang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pecial call services in a data network
US7590405B2 (en) 2005-05-10 2009-09-15 Ewell Jr Robert C Apparatus for enabling a mobile communicator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06135119A1 (en) * 2005-06-17 2006-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mergency ca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094935A (ja) * 2005-09-30 2007-04-12 Omron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8396002B2 (en) * 2006-02-27 2013-03-1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a call group
US20070263780A1 (en) * 2006-04-03 2007-11-15 Michael Lentini Emergency-response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014197B2 (en) * 2006-07-14 2015-04-2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E911 implementation for IP phones
US7554439B2 (en) * 2006-10-11 2009-06-30 Lookout Portable Security Remote monitor system with radio dispatch
US7840203B2 (en) * 2007-01-22 2010-11-23 Shin Edward M Process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udio/video content from an electronic device to desired recipient(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4068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긴급 상황 처리 방법
KR20010001455A (ko) * 1999-06-04 2001-01-05 이상철 안전전화 서비스망
KR20020078691A (ko) * 2001-04-07 2002-10-19 이건찬 무선통신기지국을 이용한 원격경호, 경비 및 구조시스템
KR20030037175A (ko) * 2001-11-02 2003-05-12 주식회사 휴림인터랙티브 위치 기반의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KR20030046656A (ko) * 2001-12-06 2003-06-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지피에스 수신기능 구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위치통지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09145A (ko) * 2004-07-20 2006-01-31 박상래 무선 id 및 데이터 발송장치를 사용한 긴급상황 구조요청 및 출동방법
KR20060027885A (ko) * 2004-09-24 2006-03-29 주식회사 팬택 긴급 구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703B1 (ko) 2009-01-12 2011-04-29 이형진 위기 관리 시스템
WO2014046479A1 (ko) 2012-09-20 2014-03-27 Kim Seong Soo 긴급호출 버튼을 구비한 스마트폰
US9531861B2 (en) 2012-09-20 2016-12-27 Byung Chang MOON Smart phone having emergency call button
KR20160109783A (ko) 2015-03-13 2016-09-21 유명옥 긴급 호출 버튼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60116492A (ko) 2015-03-30 2016-10-10 서성준 긴급상황 알림 스마트폰 및 이를 이용한 택시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KR20170027476A (ko) 2015-09-02 2017-03-10 김한석 긴급 호출 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95712B (zh) 2014-12-17
EP2116028A1 (en) 2009-11-11
WO2008093987A1 (en) 2008-08-07
JP5538903B2 (ja) 2014-07-02
US8175572B2 (en) 2012-05-08
JP2010517191A (ja) 2010-05-20
US20100062742A1 (en) 2010-03-11
CN101595712A (zh)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709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콜 오남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9942737B2 (en) Multimedia emergency services
EP1900230B1 (en) Urgent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20060178138A1 (en) Access gateway, softswitch and telephone for push-to-talk telephony
US66620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accidental dialing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EP1528766B1 (en) Method in a mobile station for answering a call during an emergency situation
JP2008541651A (ja) 緊急メッセージを伝送する移動通信端末機及び方法
KR100663539B1 (ko)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WO2006135119A1 (en) Emergency ca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56809B1 (ko)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긴급호출기 및긴급호출기를 이용한 긴급호출방법
JP4273068B2 (ja) 緊急時の通知システム及び通知方法
US7526269B1 (en) Remote intercom and automatic dialing system
US10460591B2 (en) Portable wearable primary device which communicates data to secondary device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multiple networks and related communication systems
US9756454B1 (en) Portable wearable primary device which communciates data to secondary device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multiple networks and related communication systems
JP4244888B2 (ja) 携帯電話端末装置
JP2954196B1 (ja) 市町村防災無線システム
KR100800693B1 (ko)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가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11612A (ko) 이동통신 단말기(핸드폰, pda 등)를 이용한 주변인물 신원확보를 통한 비상구호 시스템
JP3667087B2 (ja) 携帯電話端末の制御方法
KR20050020160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 호출 방법
KR200219106Y1 (ko) 유/무선 겸용 인터넷전화기
KR20050093306A (ko) 긴급 호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064371A (ja) 通報装置および通信状態管理方法
KR101275292B1 (ko) 멀티단말 환경에서 긴급 상황 통보 제어 장치
JP2003198758A (ja) 携帯端末を利用した緊急通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