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679A -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 Google Patents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679A
KR20220052679A KR1020200136890A KR20200136890A KR20220052679A KR 20220052679 A KR20220052679 A KR 20220052679A KR 1020200136890 A KR1020200136890 A KR 1020200136890A KR 20200136890 A KR20200136890 A KR 20200136890A KR 20220052679 A KR20220052679 A KR 20220052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mobility
module
mobility
speed
restrict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424B1 (ko
Inventor
최영우
이진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룰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룰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룰로
Priority to KR102020013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42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3212
    • H04N5/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제한구역에 지정된 제한사항 위반 사례를 감시 및 저장하여 유관기관 등에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 HAVING LOCAL MONITOGRING FUNCTION}
본 발명은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제한구역에 지정된 제한사항 위반 사례를 감시 및 저장하여 유관기관 등에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1인용 이동수단으로써 전동 휠, 전동 킥보드, 전기 자전거 및 초소형 전기차와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PM: Personal Mobility)의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 분야에도 이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공유경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퍼스널 모빌리 관련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전동 킥보드의 경우 특정 지역에 배치된 모빌리티의 코드(QR 코드)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태깅하여 인식하고, 이동 거리나 시간에 따라 과금을 함으로써 이를 공유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전동 킥보드는 소형 모빌리티로서 여러 사용자가 다양한 장소를 이동하는데 사용됨에도 오직 이동 수단으로만 이용될 뿐, 주행이나 정차 중 지역 사회에서 발생 가능한 여러 문제를 감시하는 역할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79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241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제한구역에 지정된 제한사항 위반 사례를 감시하여 유관기관 등에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위치정보 제공모듈과; 실외 제한구역에 지정되어 있는 제한사항을 입력받는 제한정보 분석모듈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제한구역에 위치하는지 분석하는 감시모드 설정모듈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장착되며,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제한구역에 진입시 주변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와; 상기 영상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제한구역에 위치하는 목적물이 상기 지정된 제한사항을 위반하는지 판단하는 규정위반 판독모듈; 및 상기 지정된 제한사항을 위반한 목적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모빌리티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위치정보 제공모듈은 GPS 위성으로부터 절대좌표를 수신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위치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제한정보 분석모듈은 유관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제한구역 및 제한사항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받아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카메라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몸체에 설치되되, 모든 방향 촬영이 가능하도록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촬영하는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규정위반 판독모듈은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주정차 금지구역에 정차된 불법 주정차 차량을 검출하고, 상기 영상 카메라는 상기 불법 주정차 차량의 번호판이 중심점이 되도록 포커싱(focusing)을 조절하여 재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모빌리티 속도계와;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방향을 검출하는 자세센서(attitude sensor)와; 상기 목적물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스피드건(speed gun); 및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속도,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방향 및 상기 목적물의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물의 실제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규정위반 판독모듈은 상기 목적물이 상기 제한구역에 지정된 제한속도를 위반하는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빌리티 제어모듈은 상기 제한구역에서의 제한사항을 위반한 목적물을 촬영한 당시의 날짜, 시간, 모빌리티 주행속도 및 제한구역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과 동일한 개수의 지향성 음파 수신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향성 음파 수신기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각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음성을 수신하기 위해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모빌리티 제어모듈은 상기 음성이 수신된 방향의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이 시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규정위반 판독모듈은 상기 지향성 음파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의 높낮이 및 수신된 음성의 지속시간을 분석하여 위급 상황의 발생을 판단하고, 상기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들 중 상기 음성이 수신된 방향에 대응하는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이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규정위반 판독모듈은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쓰레기 무단 투기 금지구역에 버려진 쓰레기를 검출하고, 상기 모빌리티 제어모듈은 무단 투기된 쓰레기가 있는 제한구역의 위치 정보를 유관기관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가 속도나 주정차 금지와 같은 제한사항이 있는 제한구역에 진입시 이를 위반한 차량 등의 목적물을 검출하여 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지정된 제한사항 위반 사례를 감시하여 유관기관 등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적용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속도 측정모듈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동 킥보드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퍼스널 모빌리티(PM: Personal Mobility)로서 전동 킥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퍼스널 모빌리티는 그 외 공유 가능한 전동 휠, 전기 자전거 및 초소형 전기차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실시예로 전동 킥보드(10)와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에 설치되는 것으로, 주행 중 지정된 제한사항이 있는 제한구역에 진입시 이를 위반한 목적물(20)을 촬영한다.
제한구역은 시/군/구 등 유관기관에서 지정한 실외 특정 구역이며 제한사항은 운행 제한속도(과속) 및 주정차 금지 등이 있다. 또한 제한구역과 무관하게 인명사고가 발생한 방향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한구역 내에서 지정된 제한사항을 위반 사례를 감시 및 저장하여 유관기관(기관 서버)(30)에 제공하며, 필요시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서버(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위반 사례 감시 정보의 전송은 전동 킥보드(10)에서 직접 송신하거나 혹은 전동 킥보드(10)에서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MP)로 전송 후 모바일 단말기(MP)에서 각 서버(30, 4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위치정보 제공모듈(110), 제한정보 분석모듈(120), 감시모드 설정모듈(130), 영상 카메라(140), 규정위반 판독모듈(150) 및 모빌리티 제어모듈(160)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 목적물(20)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모듈(170) 및 특정 방향에서의 음성을 분석하여 사고 발생을 확인하는 지향성 음파 수신기(180)를 더 포함한다.
도 3과 같이 상기한 속도 측정모듈(170)은 모빌리티 속도계(171), 자세센서(172) 및 스피드건(173)과 함께 주행중인 전동 킥보드(10)에서 목적물(20)의 정확한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위치정보 제공모듈(110), 제한정보 분석모듈(120), 감시모드 설정모듈(130), 규정위반 판독모듈(150) 및 속도 측정모듈(170)은 프로세서에 의한 정보 처리가 가능한 것으로 모빌리티 제어모듈(160)에 일체로 탑재되거나 혹은 각각 별개의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모빌리티 제어모듈(160)은 전동 킥보드(10)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제어기(12) 이거나 주행제어기(12)에 탑재된 것일 수 있다. 그 외 영상 카메라(140), 속도계, 자세센서(172), 스피드건(173) 및 지향성 음파 수신기(180)는 각각의 목적에 따라 전동 킥보드(10)의 몸체 각 부에 설계된 자세로 설치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퍼스널 모빌리티인 전동 킥보드(10)는 차체 상부에 손잡이 혹은 조작장치(11)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제어기(12)가 주행을 제어한다. 또한 발판(13)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차륜(W-F, W-B)을 구비하여 배터리 및 주행용 모터에 의해 주행된다.
이러한 전동 킥보드(10)는 사용 신청을 위해 주행제어기(12)의 상면에 구비된 모빌리티의 코드(QR 코드)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태깅하여 인식하고, 그 후 이동 거리나 시간에 따라 과금을 함으로써 이를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위치정보 제공모듈(110)은 퍼스널 모빌리티(이하, '전동 킥보드'라 함)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실시예로 GPS 위성(도 1의 '50' 참조)과의 통신이 가능한 GPS 수신기(110a)로부터 절대좌표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위치정보 제공모듈(110)은 GPS 신호를 데이터 처리하여 그에 포함된 절대좌표를 추출한다. 추출된 전동 킥보드(10)의 절대좌표는 감시모드 설정모듈(130)에 제공된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감시모드 설정모듈(130)은 주행중이거나 정차중인 전동 킥보드(10)의 절대좌표와 제한구역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전동 킥보드(10)가 제한구역에 위치하는지 판독한다.
제한정보 분석모듈(120)은 실외 제한구역에 지정되어 있는 제한사항(예: 속도, 주정차, 투기 금지 등)을 입력받아 데이터를 가공 및 정렬하여 '제한구역' 및 그에 지정된 '제한사항'을 제공한다.
이때, 제한정보 분석모듈(120)은 유관기관(30)으로부터 제공되는 제한구역 및 제한사항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받아 업데이트한다. 업데이트는 각각의 전동 킥보드(10)에 구비된 데이터 저장매체(메모리, 161)에 기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제한구역으로는 시/군/구를 비롯한 여러 유관기관(30)에서 지정한 실외 특정 구역이 있으며, 제한사항은 지정된 제한구역에서의 주행 제한속도(과속) 및 주정차 금지 등이 있다.
예컨대, 어린이보호구역에서 30Km를 초과하여 주행중인 차량이나 주정차 금지구역에 일시 정차한 차량이 제한구역에서의 제한사항 위반 목적물(20)이 될 수 있다. 또한 강력범죄 우범지역, 상습 쓰레기 무단투기 및 상습 노상방뇨 지역 등도 제한구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감시모드 설정모듈(130)은 전동 킥보드(10)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퍼스널 모빌리티가 제한구역 내에 진입 혹은 위치하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감시모드 설정모듈(130)은 위치정보 제공모듈(110)로부터 전동 킥보드(10)의 현재 위치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한정보 분석모듈(120)로부터 제한구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이들을 비교한다.
감시모드 설정모듈(130)을 통해 전동 킥보드(10)가 제한구역에 진입한 것으로 분석되면, 후술하는 영상 카메라(140)를 비롯한 여러 감시 구성들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감시중에만 전력을 소모하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한다.
전동 킥보드(10)는 배터리 팩을 동력원으로 이용하므로 제한구역 이외에서는 아이들(idle) 상태를 유지하여 최소한의 감시 기능만을 운용하다가 전동 킥보드(10)가 제한구역에 진입하면 감시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 카메라(140)는 전동 킥보드(10)에 장착되어, 전동 킥보드(10)가 제한구역에 진입되면 주변을 촬영한다. 실시예로 영상 카메라(140)는 손잡이(11)와 발판(13) 부분을 연결하는 킥보드 몸체(14)에 설치된다.
킥보드 몸체(14)는 특히 외부 고정 프레임을 의미한다. 외부 고정 프레임의 중공부에는 회전축(14a)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14a)을 통해 차륜(전륜)의 스티어링(steering)이 조절된다.
따라서, 조향을 위해 손잡이(11)와 회전축(14a)을 회전시키더라도 킥보드 몸체(14)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조향이 있더라도 킥보드 몸체(14)에 설치된 영상 카메라(140)의 흔들림은 최소화된다.
또한, 영상 카메라(140)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몸체(예: 외부 고정 프레임)에 설치시 모든 방향(omni-directional) 촬영이 가능하도록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촬영하는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도 4의 'CM' 참조)을 포함한다.
실시예로 영상 카메라(140)는 외부 고정 프레임(14)의 외주면에서 각기 120°각도마다 이격 설치된 3개의 카메라 모듈(CM)로 구성되며, 3개의 카메라 모듈(CM)은 360° 모든 방향에 결쳐 촬영이 가능하도록 120°이상의 광시야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카메라 모듈(CM)은 2개 이상의 서브 카메라 모듈로 이루어진 멀티 카메라(인덕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촬영시작, 줌 및 와이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규정위반 판독모듈(150)은 영상 카메라(140)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제한구역에 위치하는 목적물(20)이 지정된 그 제한구역에 지정된 제한사항을 위반하는지 판단한다.
제한구역에 위치하는 목적물(20)은 승용차와 같은 차량이 대표적이며, 차량 이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무단 투기된 쓰레기 등도 포함한다.
따라서, 규정위반 판독모듈(150)은 차량의 과속, 주정차 금지 위반 및 쓰레기 무단 투기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위반 사례의 발생을 판독한다.
위반 사례의 판독을 위해 규정위반 판독모듈(150)은 단순 비교, 절대속도 판단, 도플러 효과 적용 및 영상분석 등의 기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영상분석에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이 적용될 수 있다.
기계학습된 판단모델을 이용해서 영상 카메라(14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으며, 제한구역에 존재하는 차량이나 무단 투기된 쓰레기 등을 그 외 다른 물건이나 사람 혹은 주변환경과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계학습은 비교 가능한 여러 기준 이미지(데이터)로부터 위반 사례인 불법 차량 등을 분류하기 위해 인공 신경망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순환 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에 의해 다수의 블록으로 순차 배열하고, 이에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적용하여 특징점(feature)을 추출하고, 이로부터 위반 사례에 해당하는 오브젝트(object)를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모빌리티 제어모듈(160)은 상기 규정위반 판독모듈(150)로부터 제한사항을 위반한 목적물(20)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기록매체(161)에 저장하며, 저장된 위반사항은 직접 혹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MP)을 통해 유관기관(30) 등에 신고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MP)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는 통신모듈(16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모듈(162)로는 BLE(Bluetooth Low Energy)와 같은 통신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한편, 이상과 같은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불법 주정차 차량의 존재를 확인 후 그 번호판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규정위반 판독모듈(150)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주정차 금지구역에 정차된 불법 주정차 차량을 검출한다. 이를 위해 전동 킥보드(10)가 주정차 금지구역에 진입시 불법 주차된 차량을 검출하기 시작한다.
차량 검출은 제한구역 진입시 촬영이 시작(활성화)되는 영상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오브젝트)을 추출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때, 차량의 정지나 정차 여부는 후술하는 속도 측정모듈(170)에 의한다.
다만, 제한구역 진입여부와 무관하게 영상 카메라(140)의 촬영이 진행될 수 있으며, 제한구역 진입시에는 제한사항 위반여부를 검출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한구역 진입시에만 촬영을 시작하는 경우에 비하여 배터리 사용량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영상 카메라(140)를 통해 제한구역에 주정차된 불법 차량을 발견 후 해당 불법 주정차 차량을 식별할 수 있도록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한다.
이를 위해 영상 카메라(140)는 모빌리티 제어모듈(160)의 제어하에 차량의 번호판이 중심점이 되도록 포커싱(focusing)을 조절하여 재촬영한다.
따라서, 영상 카메라(140)는 차량 번호판을 중심으로 새로 촬영을 하며, 차량 번호판을 중심으로 새로 촬영된 영상은 차량의 존부를 판단하기 위해 최초 촬영된 차량 사진과 함께 주정차 위반을 증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촬영된 차량 번호판은 설정에 따라 유관기관(30) 등에 자동으로 신고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증명력을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최초 검출시 차량 사진도 함께 전송된다.
이때, 모빌리티 제어모듈(160)은 제한구역에서의 제한사항을 위반한 목적물(20)을 촬영한 당시의 날짜, 시간, 및 제한구역 등 여러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 기록매체(161)에 저장한다.
위 실시예의 경우 목적물(20)은 주정차 위반을 한 차량이며, 저장되는 위반 정보는 위반 날짜, 시간 및 위반 제한구역의 위치나 절대좌표이다. 위반 정보는 촬영 영상과 함께 유관기관(30) 등에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제한구역에 지정된 제한속도(제한사항)를 위반한 불법 주정차 차량의 존재를 확인 후 그 번호판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속도 측정모듈(170)에서 차량 속도를 산출하며, 차량 속도는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모빌리티 속도계(171), 자세센서(172) 및 스피드건(173)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그 중 모빌리티 속도계(171)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속도를 검출한다. 검출 방법은 속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측정값에 의하거나 운행 조작 신호를 읽어들여 주행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자세센서(172)는 전동 킥보드(10)의 주행방향을 검출한다. 자세센서(172)는 자이로센서(방향센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자세센서(172)에 의해 전동 킥보드(10)가 판독 대상 차량에 대해 멀어지는지 혹은 가까워 지는지 판단한다.
스피드건(173)은 목적물(20)인 차량의 이동속도를 측정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스피드건(173)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목적물(20)의 속도를 측정하며, 이를 기초로 모빌리티 속도계(171) 및 자세센서(172)와 함께 차량의 절대속도를 추출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의 스피드건(173)은 관측자가 정지 상태이지만 본 발명은 스피드건(173)이 전동 킥보드(10)에 설치되므로, 모빌리티 속도계(171)와 자세센서(172)로 차량의 절대속도 이외의 다른 변수를 제거한다.
다만 스피드건(173)은 반드시 건(gun) 형상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전동 킥보드(10)에 설치 가능한 여러 형상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스피드건(173)은 목적물(20)의 속도를 측정하는 모든 장치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속도 측정모듈(170)은 전동 킥보드(10)의 주행속도, 전동 킥보드(10)의 주행방향 및 목적물(20)인 차량의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제속도(절대속도)를 측정한다.
나아가, 규정위반 판독모듈(150)은 속도 측정모듈(170)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제공받고, 제한구역에 지정된 제한속도와 비교하여 해당 차량이 과속을 하는지 판단한다.
규정위반 판독모듈(150)에서의 판단 결과, 과속 등 제한속도 위반이면 과속 차량의 번호판 영상과 함께 촬영 날짜, 시간, 제한구역 및 모빌리티 주행속도 등도 함께 전송한다. 모빌리티 주행속도의 제공에 의해 차량 속도 관측 당시의 측정 조건에 대한 객관성을 제공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제한구역 뿐만 아니라 그 외 일반 지역에서 사고 발생을 감지하여 해당 지역을 촬영한다. 촬영은 전동 킥보드(10)가 주행 중인 경우는 물론 정차중인 경우에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영상 카메라(14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CM)과 동일한 개수의 지향성 음파 수신기(180)를 더 포함한다. 지향성(directivity)에 의해 각각 특정 방향에서의 음파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다수개의 지향성 음파 수신기(180)는 각각 카메라 모듈(CM)의 촬영각을 바라보는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된다. 이때, 모빌리티 제어모듈(160)은 음성이 수신된 방향의 카메라 모듈(CM)에서 촬영이 시작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다수의 지향성 음파 수신기(180)에 의해 모든 방향에 걸쳐 감시가 이루어지는 동안 특정의 방향에서 특정의 음성이 수신되면, 해당 방향을 촬영하여 인적, 물적 사고나 사건 발생 상황을 자동으로 촬영하게 된다.
특히, 규정위반 판독모듈(150)은 지향성 음파 수신기(180)로부터 수신된 음성의 높낮이 및 수신된 음성의 지속시간(발생 지속시간)을 분석하여 위급 상황의 발생을 판단한다. 예컨대, 여성으로부터 하이톤의 비명이 길게 발생하면 이를 범죄 발생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영상 카메라(14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CM)들 중 음성이 수신된 방향에 대응하는 카메라 모듈(CM)에서 촬영을 시작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는 물론 주차차량 파손이나 응급 상황 발생 현장 등을 감시한다.
따라서 전동 킥보드(10)를 이용하여 CCTV 기능을 제공하며, 촬영된 영상을 경찰서 등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 4]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쓰레기 무단 투기 제한구역에 버려진 쓰레기를 검출하여 시/구/군 등 유관기관(30)에 쓰레기의 존재를 신고할 수 있다.
이에, 규정위반 판독모듈(150)은 영상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쓰레기 무단 투기 금지구역에 버려진 쓰레기를 검출한다. 모빌리티 제어모듈(160)은 무단 투기된 쓰레기가 있는 제한구역의 위치 정보를 유관기관(30)으로 전송한다.
쓰레기인지의 여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된 영상을 기계학습 등으로 분석하여 확인하고, 확인 결과 무단 투기 쓰레기가 존재하면 유관기관(30)에 신고하여 담당자를 출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전동 킥보드(퍼스널 모빌리티)
20: 목적물(차량)
30: 유관기관(서버)
40: 관리서버
50: GPS 위성
110: 위치정보 제공모듈
120: 제한정보 분석모듈
130: 감시모드 설정모듈
140: 영상 카메라(카메라 모듈, CM)
150: 규정위반 판독모듈
160: 모빌리티 제어모듈
170: 속도 측정모듈
180: 지향성 음파 수신기

Claims (9)

  1.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위치정보 제공모듈(110)과;
    실외 제한구역에 지정되어 있는 제한사항을 입력받는 제한정보 분석모듈(120)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의 현재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가 제한구역에 위치하는지 분석하는 감시모드 설정모듈(130)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에 장착되며,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가 제한구역에 진입시 주변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140)와;
    상기 영상 카메라(140)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제한구역에 위치하는 목적물(20)이 상기 지정된 제한사항을 위반하는지 판단하는 규정위반 판독모듈(150); 및
    상기 지정된 제한사항을 위반한 목적물(20)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모빌리티 제어모듈(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모듈(110)은 GPS 위성으로부터 절대좌표를 수신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위치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제한정보 분석모듈(120)은 유관기관(30)으로부터 제공되는 제한구역 및 제한사항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받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카메라(140)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의 몸체에 설치되되, 모든 방향 촬영이 가능하도록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촬영하는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C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정위반 판독모듈(150)은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주정차 금지구역에 정차된 불법 주정차 차량을 검출하고,
    상기 영상 카메라(140)는 상기 불법 주정차 차량의 번호판이 중심점이 되도록 포커싱(focusing)을 조절하여 재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모빌리티 속도계(171)와;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주행방향을 검출하는 자세센서(172)와;
    상기 목적물(20)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스피드건(173); 및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주행속도,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주행방향 및 상기 목적물(20)의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물(20)의 실제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모듈(17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규정위반 판독모듈(150)은 상기 목적물(20)이 상기 제한구역에 지정된 제한속도를 위반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제어모듈(160)은,
    상기 제한구역에서의 제한사항을 위반한 목적물(20)을 촬영한 당시의 날짜, 시간, 모빌리티 주행속도 및 제한구역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CM)과 동일한 개수의 지향성 음파 수신기(1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향성 음파 수신기(180)는 상기 카메라 모듈(CM)의 촬영각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음성을 수신하기 위해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모빌리티 제어모듈(160)은 상기 음성이 수신된 방향의 카메라 모듈(CM)에서 촬영이 시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규정위반 판독모듈(150)은 상기 지향성 음파 수신기(180)로부터 수신된 음성의 높낮이 및 수신된 음성의 지속시간을 분석하여 위급 상황의 발생을 판단하고,
    상기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CM)들 중 상기 음성이 수신된 방향에 대응하는 카메라 모듈(CM)에서 촬영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정위반 판독모듈(150)은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쓰레기 무단 투기 금지구역에 버려진 쓰레기를 검출하고,
    상기 모빌리티 제어모듈(160)은 무단 투기된 쓰레기가 있는 제한구역의 위치 정보를 유관기관(3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KR1020200136890A 2020-10-21 2020-10-21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KR102480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890A KR102480424B1 (ko) 2020-10-21 2020-10-21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890A KR102480424B1 (ko) 2020-10-21 2020-10-21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679A true KR20220052679A (ko) 2022-04-28
KR102480424B1 KR102480424B1 (ko) 2022-12-23

Family

ID=8144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890A KR102480424B1 (ko) 2020-10-21 2020-10-21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4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97385A (zh) * 2023-06-02 2023-08-15 北京安录国际技术有限公司 一种异常行为分析方法、系统
CN117575543A (zh) * 2024-01-15 2024-02-20 西安卓越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智慧物业管理方法及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530A (ja) * 2000-09-08 2002-03-22 Toshiba Corp 監視システム
KR20050008170A (ko) * 2003-07-14 2005-0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140024777A (ko) * 2012-08-21 2014-03-03 인포뱅크 주식회사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90097480A (ko) * 2018-02-12 2019-08-21 주식회사 대칸코리아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
CN209833820U (zh) * 2018-11-22 2019-12-24 沈阳大学 一种自平衡巡逻车
KR102117983B1 (ko) 2019-03-05 2020-06-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KR102132411B1 (ko) 2020-05-22 2020-07-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KR102160991B1 (ko) * 2020-05-21 2020-09-29 이상기 태양광 불법쓰레기 투기 cctv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530A (ja) * 2000-09-08 2002-03-22 Toshiba Corp 監視システム
KR20050008170A (ko) * 2003-07-14 2005-0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140024777A (ko) * 2012-08-21 2014-03-03 인포뱅크 주식회사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90097480A (ko) * 2018-02-12 2019-08-21 주식회사 대칸코리아 Avm을 이용한 이동식 주정차 단속 시스템
CN209833820U (zh) * 2018-11-22 2019-12-24 沈阳大学 一种自平衡巡逻车
KR102117983B1 (ko) 2019-03-05 2020-06-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KR102160991B1 (ko) * 2020-05-21 2020-09-29 이상기 태양광 불법쓰레기 투기 cctv 감시시스템
KR102132411B1 (ko) 2020-05-22 2020-07-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97385A (zh) * 2023-06-02 2023-08-15 北京安录国际技术有限公司 一种异常行为分析方法、系统
CN117575543A (zh) * 2024-01-15 2024-02-20 西安卓越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智慧物业管理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424B1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7917B2 (en) Surveillance camera system and surveillance method
KR101709521B1 (ko) 무인 스마트카를 이용한 공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4470992B2 (ja) 映像管理システム
EP3595341B1 (en) Method, serv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9011122A1 (zh) 自行车警用监督管理及智能城市管理的行驶记录系统
US112761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P3754618B1 (en) Recording control device, recording control system,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control program
CN107818694A (zh) 报警处理方法、装置及终端
KR101459104B1 (ko) 동작분석을 통하여 위급상황을 감지하는 지능형 cctv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급상황 감지방법
CN107645653A (zh) 一种摄像机跟踪拍摄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524381B (zh) 一种停车位置的推送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KR102480424B1 (ko)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CN111784923A (zh) 共享单车停放管理方法、系统及服务器
US9984566B1 (en) Method and systems for traffic surveillance and law enforcement
KR20220000873A (ko) 인공 지능을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CN112289036A (zh) 基于交通语义的场景式违章属性识别系统及方法
KR20110088012A (ko) 차량의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
KR101474790B1 (ko) 협업용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CN113570751A (zh) 一种全景环带相机的行车记录仪系统
CN113077627A (zh) 检测车辆的超限源头的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100725669B1 (ko) 주행차량 인식 시스템
CN111147738A (zh) 警用车载全景慧眼系统、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3205069B (zh) 虚假车牌检测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20220142227A (ko) 배달 오토바이 기반 자료 수집지원 시스템
CN109819207B (zh) 目标查找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