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19668A1 -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19668A1
WO2022019668A1 PCT/KR2021/009459 KR2021009459W WO2022019668A1 WO 2022019668 A1 WO2022019668 A1 WO 2022019668A1 KR 2021009459 W KR2021009459 W KR 2021009459W WO 2022019668 A1 WO2022019668 A1 WO 202201966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ard hat
management box
helmet
personal mobilit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94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유진
Original Assignee
(주)오랜지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랜지랩 filed Critical (주)오랜지랩
Publication of WO202201966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196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2Bags or wallets for holding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d hat management device for shared personal mobility and a hard hat management server for shared personal mobility, and more specifically, to a shared personal mobility that can induce users using shared personal mobility to wear a hard hat. It relates to a hard hat management device and a hard hat management server of shared personal mobility.
  • personal mobility to be shared may include a bicycle, an electric kickboard, a micro electric vehicle, and the like.
  • a bicycle an electric kickboard, a micro electric vehicle, and the like.
  • the maximum speed of an electric kickboard is about 25 km/h to 70 km/h, it is required to wear a helmet for the safety of users. to be.
  • On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rd hat management device for shared personal mobility and a hard hat management server for shared personal mobility, which can induce users using shared personal mobility to wear hard hats.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rd hat management device of shared personal mobility and a hard hat management server of shared personal mobility that can facilitate the use, storage and management of the hard hat.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lmet management apparatus of shared personal mobility.
  • the shared type personal mobility safety helmet management device includes: a safety helmet management box body mounted on the shared type personal mobility and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the safety helmet inside; a helmet management box cover coupled to the opened upper end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and the position of the hard hat are sensed, and when a change is detect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and the position of the hard hat, it communicates with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and the operation of the shared personal mobility is It may include a helmet management module to be controlled.
  • the hard hat management module when the opening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and the departure of the hard hat from the hard hat management box body are sequentially detected, the operation request signal of the shared personal mobility is transmitted to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and , When the storage of the hard hat and the closing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are sequentially detected by the hard hat management box main body,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shared personal mobility to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 the hard hat management module further comprises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mounted on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and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attached to the hard hat, wherein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manages the hard hat
  •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manages the hard hat
  •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is further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attached to the hard hat management box body, when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is in a closed mode in which the storage space is closed,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is connected with the communication tag, and when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is in an open mode in which the storage space is opene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ag may be cut off.
  • the hard hat management module further comprises a distance sensor installed on the body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facing the lock and the lock mounted on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lock is a key fastened to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Reciprocating linear motion by (key), the distance sensor can sense the lock that approaches within a set distance when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is in a closed mode that closes the storage spa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lmet management server of shared personal mobility.
  •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of the shared personal mobility is mounted on the shared personal mobility, a unique ID is given, and an opening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body and the hard hat management box body in which a storage space for the hard hat is provided inside.
  • a receiv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space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and the position change of the hard hat from the hard hat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 the information includes first information about the opening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and second information about the detachment of the hard hat from the hard hat management box main body,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are sequentially received , a method of transmitting a use approval message of the shared personal mobility to a terminal of a user using the shared personal mobility equipped with the hard hat management device to which the ID is assigned, and converting the shared personal mobility to a movable state 1 processing unit;
  • the information includes third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of the hard hat in the hard hat management box body and fourth information about the closing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and the third information and the fourth information are sequentially received , a method of transmitting a use completion message of the shared personal mobility to
  • the safety helmet management box body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the safety helmet inside; a helmet management box cover coupled to the opened upper end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and the position of the hard hat are sensed, and when a change is detect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and the position of the hard hat, it communicates with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and the operation of the shared personal mobility is It may include a helmet management module to be controlled.
  • a shared personal mobility hard hat management device and shared personal mobility hard hat management that can improve safety when using shared personal mobility A server may be provided.
  • the shared type personal mobility hard hat management device and shared type that can facilitate the use, storage and management of hard hats
  • a personal mobility helmet management server may be provided.
  • FIG.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shared personal mobility in which a hard ha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ard ha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 uses a shared personal mobility in which a hard ha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ard hat management module of the hard ha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mode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by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of the helmet management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ard hat management module of the hard ha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ard ha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 hard hat by a hard ha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S12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step S120 made by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S130 made by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S140 made by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second, thir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a complementary embodiment thereof.
  • 'and/or' is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listed before and after.
  • connection is used in a sense including both in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 1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managing a hard hat for shared personal mo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ard hat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be provided for shared personal mobility (K).
  • Shared personal mobility (K) includes electric kickboards, electric magnets, and small electric vehicles.
  • an electric kickboard is assumed as a shared personal mobility (K) and described.
  • the hard hat management apparatus 100 for shared personal mobility may be formed to include a hard hat management box body 110 , a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 and a hard hat management module 130 .
  •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may be mounted on the kickboard (K). At this time, the helmet management box main body 110 may be mounted on the handle support of the kickboard (K).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kickboard (K). For example,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may be mounted on the rear wheel side board of the kickboard (K).
  •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main body 110 is opened, and a storage space 111 for the safety helmet H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thereof. The storage space 111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hinged to the opened upper end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
  • the helmet management box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jaw (110a).
  • the locking jaw (110a)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 the locking jaw 110a may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
  • the locking jaw 110a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stopper 121 provided in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so that the hard hat management box body 110 can be maintained in a closed mode,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do.
  •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is coupled to the open top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body 110 .
  •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may be hinged to the open top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body 110 . Accordingly,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111 provided inside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while rotating about the hinge shaft.
  •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can cover the open top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body 110 .
  •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may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120a).
  • the extension portion 120a may extend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
  • the extension portion 120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when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is in a closed mode covering the open top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
  • the extension part 120a when the extension part 120a is provided on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 it is possible to prevent pollutants such as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storage space 111 in the closed mode, and through this, the storage space 111 ) to be able to protect the helmet (H) stored in it.
  • the hard hat management module 130 may detect the open/closed state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and the position of the hard hat (H). At this time, when a change is detected in the open/closed state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and the position of the hard hat (H), the hard hat management module 130 communicates with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2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kickboard (K). can make it happen
  • the hard hat management module 13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31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2 .
  • the control unit 131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operation of the kickboard K to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200.
  • the control unit 131 sends a request signal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kickboard (K) to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200 can be sent to
  •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2 may be mounted on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
  •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2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facing the storage space 111 provided in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2 may be provided as, for example, an NFC module.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2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T1 attached to the hard hat (H).
  •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T1 may be provided as a corresponding NFC tag.
  •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T1 attached to the hard hat (H) in communication when the helmet (H)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mode in the helmet management box main body (110). At this time,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2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T2 attached to the helmet management box main body 110 .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2, when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is in the closed mode to close the storage space 111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T2).
  • the control unit 131, the signal for detecting the storage mode in which the hard hat (H) is accommodated in the helmet management box main body 110 and the signal detecting the closed mode in which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closes the storage space 111 are short-distance
  • the signals are sequentially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32 , that is, when the signal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T1 and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T2 are sequentially transmitted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2 , the kickboard K is stopped By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to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200,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use of the kickboard (K).
  •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2 when the user wears the helmet (H) in the wearing mode, th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T1) attached to the helmet (H) may be cut off. At this time, when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2 is in the open mode in which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opens the storage space 111 ,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T2 attached to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is cut off.
  • the kickboard K opera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helmet management server By transmitting to 200 , the use of the kickboard K may be made possible.
  • the hard hat management module 130 may include a lock clasp 121 .
  • the lock tab 121 may be mounted on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2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
  • the lock tab 121 may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2 fac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
  • the locking member 121 may reciprocate linearly in a direction towar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by a key 122 fastened to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
  • the stopper 121 is the hard hat management box body 110 of It is in a state with the maximum drawn out toward the inner wall side.
  • the locking jaw (110a)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main body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member 121 .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is restrained, a stable closed mode state can be maintained.
  • the locking member 121 In the closed mode, in order for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to be switched to the open mode for opening the storage space 111 , the locking member 121 must b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withdrawal by the key 121 . In this way, when the stopper 121 is op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withdrawal, the contact with the locking jaw 110a is released, and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so that the storage space 111 can be opened. have. Accordingly, in the closed mode,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may be switched to an open mode for opening the storage space 111 .
  • the hard hat management module 130 may include a distance sensor 112 instead of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T2 .
  • the distance sensor 112 may be installed in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
  • the distance sensor 112 may be installed in the helmet management box body 110 facing the lock clasp 121 .
  • the distance sensor 112 when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is in a closed mode for closing the storage space 111, may sense the lock 121 close to within a set distance. When a sensing signal for sensing the stop tab 121 is generated from the distance sensor 112, it may be in a closed mode. .
  • the control unit 131 transmits a signal for detecting the storage mode in which the helmet H is stored in the helmet management box main body 110 is transmitted from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2 and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is a storage space.
  • the signal for detecting the closed mode closing the 111 is sequentially transmitted from the distance sensor 112, that is,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T1 and the communication-connected signal are transmitted from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2, successively, the lock (121)
  • a request signal to stop operation of the kickboard K may be transmitted to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200, so that the use of the kickboard K may be completed.
  • control unit 131 a signal for detecting an open mode in which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opens the storage space 111 is transmitted from the distance sensor 112, and the user wears a hard hat (H) wearing mode
  • the detected signal is sequentially transmitted from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2, that is, the non-operation signal of the distance sensor 112 is transmitted, and then the signal cut off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T1 is transmitted to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132
  • the hard hat management apparatus 100 when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is opened, and the hard hat (H) is separated from the hard hat management box body 110, the corresponding personal mobility ( By requesting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200 to operate K),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 using the personal mobility (K) to wear the hard hat (H), and through this, the shared personal mobility (K) for use can improve safety.
  • the hard hat management apparatus 100 is provided for each of the shared personal mobility (K),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convenience of use, and the convenience of managing the hard hat (H) is provided for the shared personal It can be provided to operators who operate mobility (K).
  •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ard ha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200 of shared personal mobility includes a receiving unit 210 , a first processing unit 220 , a second processing unit 230 , and a settlement unit 240 .
  • a receiving unit 210 receives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 a first processing unit 220 receives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 a second processing unit 230 receives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 a settlement unit 2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 the receiver 210 may be connected to the hard hat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the receiving unit 21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open/closed state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and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hard hat H from the hard hat management device 100 .
  • the hard hat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be mounted on the kickboard K, which is a shared personal mobility.
  • the hard hat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mounted in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driving.
  • the receiver 21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ard hat management devices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hard hat management devices 100 is given a unique ID, and the receiving unit 210 manages the hard hat management device 100 connected to communication through this unique ID is mounted on a kickboard (K). device can be identified.
  • K kickboard
  • the first processing unit 220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210,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hard hat management device 100 having a specific ID, the first information regarding the opening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and the hard hat management box body (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are sequentially received, including the second information regarding the departure of the helmet H from 110), the corresponding kickboard on which the helmet management device 100 having the above ID is mounted.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use approval message for the kickboard (K) to the terminal (P) of the user using (K).
  • the first processing unit 220 may convert the kickboard K into a movable state.
  • the second processing unit 230 receives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hard hat management device 100 having a specific ID,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210 , third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of the hard hat (H) to the hard hat management box main body 110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ourth information regarding the closing of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is received, and the third information and the fourth information are sequentially received, the corresponding kickboard on which the helmet management device 100 having the above ID is mounted ( A use completion message for the kickboard K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P of the user using K).
  • the second processing unit 230 may convert the corresponding kickboard K to a stopped state.
  • the second processing unit 230 is any one of the third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mode of the hard hat (H) and the fourth information about the closed mode of the storage space 111 is not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210, or When the third information and the fourth information are not sequentially received, the corresponding kickboard K may be continuously maintained in a movable state.
  • the settlement unit 240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usage fee and payment to the user's terminal P. At this time, either one of the third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mode of the hard hat H and the fourth information about the closed mode of the storage space 111 was not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210 or the third information and the fourth information were not received. If the kickboard K is not sequentially received and the kickboard K is not switched to the stopped state by the second processing unit 230, the settlement unit 240 determines that the kickboard K is still in operation, Charges may apply until (K) is fully converted to a state of downtime.
  • 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hard hat management method of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step S120 made by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ep S130 made by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description of the step S140 made by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reference diagram for
  •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receiving unit 210, from the hard hat management device 100 to the open/close state of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and the position change of the hard hat (H) information can be received (S110).
  • the helmet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first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open mode in which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is opened through the first processing unit 220 .
  •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second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wearing mode in which the hard hat (H) is detached from the hard hat management box main body 110 .
  •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uses the kickboard K to be used While transmitting the approval message to the user's terminal (P), the kickboard (K) is switched to a movable state (S120).
  •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second processing unit 23, the received third information, the hard hat management box body 110 determines whether the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mode in which the hard hat (H) is accommodated.
  • the helmet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fourth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closed mode in which the helmet management box cover 120 is closed.
  •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uses a use completion message for the kickboard (K) used. is transmitted to the user's terminal (P), while the kickboard (K) is switched to a stopped state (S130).
  •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settlement unit 240, the usage fee and paymen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s terminal (P).
  •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kickboard (K) unique number, user name, usage time, usage fee and payment method to the user's terminal (P) to the user's terminal (P). can be (S140).
  •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200 when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is opened, and the hard hat (H) is separated from the hard hat management box body 110, the corresponding personal mobility ( By allowing K) to operate,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 to use the helmet (H) to wear,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use of shared personal mobility (K).
  • the hard hat management server 200 when the hard hat (H) is accommodated in the hard hat management box body 110, and the hard hat management box cover 120 is closed, the corresponding personal mobility (K)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the hard hat (H) by causing the operation to be stopped, and by charging a usage fee based on that point in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에 장착되며, 내측에 안전모의 수납 공간이 마련되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 및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폐 상태 및 상기 안전모의 위치를 감지하되,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폐 상태 및 상기 안전모의 위치에 변화가 감지되면, 안전모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가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안전모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
본 발명은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안전모 착용을 유도할 수 있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 자전거 등 각종 운송수단이나 텐트, 펜션 등의 숙박시설 등을 공유하는 이른바 공유 경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서비스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한편, 공유의 대상이 되는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에는 자전거, 전동 킥보드, 초소형 전기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 킥보드는 최고 시속이 25 ㎞/h ~ 70 ㎞/h 정도가 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안전을 위해서 안전모 착용이 요구되고 있으며, 빈번한 안전 사고 발생으로 인해, 향후 안전모 착용이 법제화될 예정이다.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자들이 안전모를 잘 착용하지 않는 이유는 휴대가 불편하고, 항상 들고 다닐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입장에서도 안전모 제공 시 분실 위험이 높고, 보관 등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안전모 착용을 유도할 수 있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안전모의 사용, 보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에 장착되며, 내측에 안전모의 수납 공간이 마련되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 및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폐 상태 및 상기 안전모의 위치를 감지하되,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폐 상태 및 상기 안전모의 위치에 변화가 감지되면, 안전모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가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안전모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모 관리 모듈은,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방과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로부터 상기 안전모의 이탈이 차례로 감지되면,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가동 요청 신호를 상기 안전모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로 상기 안전모의 수납과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폐쇄가 차례로 감지되면,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가동 중단 요청 신호를 상기 안전모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모 관리 모듈은,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안전모에 부착되어 있는 제1 근거리 통신 태그와 통신 연결되는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에 상기 안전모가 수납된 수납 모드일 때,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태그와 통신 연결되고, 이용자가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착용 모드일 때,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태그와 통신 단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제2 근거리 통신 태그와 더 통신 연결되되,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가 상기 수납 공간을 폐쇄한 폐쇄 모드일 때,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태그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가 상기 수납 공간을 개방한 개방 모드일 때,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태그와 통신 단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모 관리 모듈은, 상기 근거리 통신부에 장착되는 잠금쇠 및 상기 잠금쇠와 마주하는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에 설치되는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쇠는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에 체결되는 키(key)에 의해 왕복 직선 운동하고, 상기 거리 센서는,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가 상기 수납 공간을 폐쇄한 폐쇄 모드일 때 설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상기 잠금쇠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에 장착되고, 고유 ID가 부여되며, 내측에 안전모의 수납 공간이 마련되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 및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를 포함하는 안전모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폐 상태 및 상기 안전모의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정보가,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방에 관한 제1 정보 및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로부터 상기 안전모의 이탈에 관한 제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가 순차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ID가 부여된 안전모 관리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단말에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를 가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1 처리부; 상기 정보가,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로 상기 안전모의 수납에 관한 제3 정보 및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폐쇄에 관한 제4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와 상기 제4 정보가 순차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ID가 부여된 안전모 관리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단말에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를 가동 중단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2 처리부; 및 상기 제2 처리부에 의해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가동이 중단되면, 상기 이용자의 단말에 이용 요금 및 결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에 장착되며, 내측에 안전모의 수납 공간이 마련되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 및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폐 상태 및 상기 안전모의 위치를 감지하되,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폐 상태 및 상기 안전모의 위치에 변화가 감지되면, 안전모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가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안전모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안전모 착용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 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 각각에 안전모를 관리하는 안전모 관리함을 설치함으로써, 안전모의 사용, 보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자가 이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장치의 안전모 관리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모듈의 근거리 통신부에 의해 안전모 관리함 본체의 개폐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장치의 안전모 관리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서버의 안전모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서버에 의해 이루어지는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서버에 의해 이루어지는 S1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서버에 의해 이루어지는 S14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장치(100)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K)에 제공될 수 있다.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K)는 전동 킥보드, 전동 자전기, 소형 전기차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K)로 전동 킥보드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100)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 및 안전모 관리 모듈(1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는 킥보드(K)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는 킥보드(K)의 손잡이 지지대에 장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는 킥보드(K)의 운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는 킥보드(K)의 후륜 측 보드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의 상단은 개구되어 있으며, 이의 내측에는 안전모(H)의 수납 공간(111)이 마련될 수 있다. 수납 공간(111)은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의 개구된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는 걸림턱(110a)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턱(110a)은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의 상단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걸림턱(110a)은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의 상단 일측에서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걸림턱(110a)은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에 구비되는 잠금쇠(121)의 움직임을 구속하여,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가 폐쇄 모드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된다. 이때,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의 개구된 상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수납 공간(111)을 개폐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의 개방된 상단을 덮을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는 연장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20a)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의 일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20a)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폐쇄 모드일 때,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의 측면부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에 연장부(120a)가 구비되면, 폐쇄 모드 시 빗물 등과 같은 오염 물질이 수납 공간(11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수납 공간(111)에 수납되어 있는 안전모(H)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전모 관리 모듈(130)은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의 개폐 상태 및 안전모(H)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안전모 관리 모듈(130)은,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의 개폐 상태 및 안전모(H)의 위치에 변화가 감지되면, 안전모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여, 킥보드(K)의 가동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모듈(130)은 제어부(131) 및 근거리 통신부(13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31)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의 개방과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로부터 안전모(H)의 이탈이 차례로 감지되면, 킥보드(K)의 가동 요청 신호를 안전모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1)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로부터 안전모(H)의 수납과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의 폐쇄가 차례로 감지되면, 킥보드(K)의 가동 중단 요청 신호를 안전모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근거리 통신부(132)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에 장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32)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에 마련되는 수납 공간(111)과 마주하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32)는 예컨대, NFC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부(132)는 안전모(H)에 부착되어 있는 제1 근거리 통신 태그(T1)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32)가 NFC 모듈로 구비되면, 제1 근거리 통신 태그(T1)는 이에 상응하는 NFC 태그로 구비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32)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에 안전모(H)가 수납된 수납 모드일 때, 안전모(H)에 부착되어 있는 제1 근거리 통신 태그(T1)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부(132)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에 부착되어 있는 제2 근거리 통신 태그(T2)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32)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수납 공간(1110을 폐쇄한 폐쇄 모드일 때, 제2 근거리 통신 태그(T2)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31)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에 안전모(H)가 수납된 수납 모드를 감지한 신호 및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수납 공간(111)을 폐쇄한 폐쇄 모드를 감지한 신호가 근거리 통신부(132)로부터 차례로 전달되면, 즉, 제1 근거리 통신 태그(T1) 및 제2 근거리 통신 태그(T2)와 통신 연결된 신호가 근거리 통신부(132)로부터 차례로 전달되면, 킥보드(K)의 가동 중단 요청 신호를 안전모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여, 킥보드(K)의 이용이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부(132)는, 이용자가 안전모(H)를 착용한 착용 모드일 때, 안전모(H)에 부착되어 있는 제1 근거리 통신 태그(T1)와 통신 단절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부(132)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수납 공간(111)을 개방한 개방 모드일 때,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에 부착되어 있는 제2 근거리 통신 태그(T2)와 통신 단절될 수 있다.
제어부(131)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수납 공간(111)을 개방한 개방 모드를 감지한 신호 및 이용자가 안전모(H)를 착용한 착용 모드를 감지한 신호가 근거리 통신부(132)로부터 차례로 전달되면, 즉, 제2 근거리 통신 태그(T2) 및 제1 근거리 통신 태그(T1)와 통신 단절된 신호가 근거리 통신부(132)로부터 차례로 전달되면, 킥보드(K)의 가동 요청 신호를 안전모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여, 킥보드(K)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안전모 관리 모듈(130)은 잠금쇠(121)를 구비할 수 있다. 잠금쇠(121)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근거리 통신부(132)에 장착될 수 있다. 잠금쇠(121)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의 내벽면과 마주하는 근거리 통신부(132)의 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쇠(121)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에 체결되는 키(key)(122)에 의해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의 내벽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수납 공간(111)을 폐쇄한 폐쇄 모드일 때, 잠금쇠(121)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의 내벽면 측으로 최대 인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잠금쇠(121)의 상측에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의 걸림턱(110a)이 밀착된다. 이에 따라,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의 움직임이 구속되어, 안정적인 폐쇄 모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폐쇄 모드에서,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수납 공간(111)을 개방하는 개방 모드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잠금쇠(121)가 키(121)에 의해 인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잠금쇠(121)가 인출 반대 방향으로 동작되면, 걸림턱(110a)과의 접촉이 해제되어,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납 공간(111)을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쇄 모드에서,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수납 공간(111)을 개방하는 개방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안전모 관리 모듈(130)은 제2 근거리 통신 태그(T2) 대신 거리 센서(112)를 구비할 수 있다.
거리 센서(112)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거리 센서(112)는 잠금쇠(121)와 마주하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거리 센서(112)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수납 공간(111)을 폐쇄하는 폐쇄 모드일 때, 설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잠금쇠(121)를 센싱할 수 있다. 거리 센서(112)로부터 잠금쇠(121)를 센싱한 센싱 신호가 발생되면, 폐쇄 모드일 수 있고, 거리 센서(112)로부터 잠금쇠(121)를 센싱한 센싱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개방 모드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31)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에 안전모(H)가 수납된 수납 모드를 감지한 신호가 근거리 통신부(132)로부터 전달되고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수납 공간(111)을 폐쇄한 폐쇄 모드를 감지한 신호가 거리 센서(112)로부터 차례로 전달되면, 즉, 제1 근거리 통신 태그(T1)와 통신 연결된 신호가 근거리 통신부(132)로부터 전달되고, 연이어, 잠금쇠(121) 감지 신호가 거리 센서(112)로부터 전달되면, 킥보드(K)의 가동 중단 요청 신호를 안전모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여, 킥보드(K)의 이용이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1)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수납 공간(111)을 개방한 개방 모드를 감지한 신호가 거리 센서(112)로부터 전달되고, 이용자가 안전모(H)를 착용한 착용 모드를 감지한 신호가 근거리 통신부(132)로부터 차례로 전달되면, 즉, 거리 센서(112)의 비 동작 신호가 전달되고, 연이어, 제1 근거리 통신 태그(T1)와 통신 단절된 신호가 근거리 통신부(132)로부터 전달되면, 킥보드(K)의 가동 요청 신호를 안전모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여, 킥보드(K)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장치(100)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개방되고, 안전모(H)가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해당 퍼스널 모빌리티(K)가 가동되도록, 안전모 관리 서버(200)에 요청함으로써, 해당 퍼스널 모빌리티(K)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안전모(H) 착용을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K) 이용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장치(100)는 안전모(H)가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에 수납되고,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폐쇄되었을 때, 해당 퍼스널 모빌리티(K)가 가동 중단되도록, 안전모 관리 서버(200)에 요청함으로써, 안전모(H)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장치(100)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K) 각각에 제공됨에 따라, 이용 편의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안전모(H) 관리의 편의를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K)를 운용하는 사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200)는 수신부(210), 제1 처리부(220), 제2 처리부(230) 및 정산부(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장치(1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안전모 관리 장치(100)로부터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의 개폐 상태 및 안전모(H)의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안전모 관리 장치(100)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인 킥보드(K)에 장착될 수 있다. 안전모 관리 장치(100)는 운전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다수의 안전모 관리 장치(1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안전모 관리 장치(100) 각각은 고유 ID가 부여되어 있으며, 수신부(210)는 이러한 고유 ID를 통해, 통신 연결된 안전모 관리 장치(100)가 어느 킥보드(K)에 장착되어 있는 안전모 관리 장치인지 식별할 수 있다.
제1 처리부(220)는, 수신부(210)에 수신된, 특정 ID를 갖는 안전모 관리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가,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의 개방에 관한 제1 정보 및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로부터 안전모(H)의 이탈에 관한 제2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정보와 제2 정보가 순차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의 ID를 갖는 안전모 관리 장치(100)가 장착되어 있는 해당 킥보드(K)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단말(P)에 킥보드(K)에 대한 이용 승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 처리부(220)는 해당 킥보드(K)를 가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제2 처리부(230)는 수신부(210)에 수신된, 특정 ID를 갖는 안전모 관리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가,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로 안전모(H)의 수납에 관한 제3 정보 및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의 폐쇄에 관한 제4 정보를 포함하고, 제3 정보와 제4 정보가 순차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의 ID를 갖는 안전모 관리 장치(100)가 장착되어 있는 해당 킥보드(K)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단말(P)에 킥보드(K)에 대한 이용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2 처리부(230)는 해당 킥보드(K)를 가동 중단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처리부(230)는 안전모(H)의 수납 모드에 대한 제3 정보 및 수납 공간(111)의 폐쇄 모드에 대한 제4 정보 중 어느 한 정보가 수신부(210)에 수신되지 않았거나 제3 정보 및 제4 정보가 순차 수신되지 않은 경우, 해당 킥보드(K)를 계속적으로 가동 가능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정산부(240)는 제2 처리부(230)에 의해 킥보드(K)의 가동이 중단되면, 이용자의 단말(P)에 이용 요금 및 결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안전모(H)의 수납 모드에 대한 제3 정보 및 수납 공간(111)의 폐쇄 모드에 대한 제4 정보 중 어느 한 정보가 수신부(210)에 수신되지 않았거나 제3 정보 및 제4 정보가 순차 수신되지 않아, 제2 처리부(230)에 의해 해당 킥보드(K)가 가동 중단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경우, 정산부(240)는 해당 킥보드(K)가 계속 가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킥보드(K)가 가동 중단 상태로 완전히 전환될 때까지 이용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의 작용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서버의 안전모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서버에 의해 이루어지는 S12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서버에 의해 이루어지는 S13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서버에 의해 이루어지는 S14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서버는 수신부(210)를 통해, 안전모 관리 장치(100)로부터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의 개폐 상태 및 안전모(H)의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0).
그 다음, 안전모 관리 서버는 제1 처리부(220)를 통해, 수신된 제1 정보가,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개방된 개방 모드에 관한 정보인지 판별한다. 수신되 제1 정보가, 개방 모드에 관한 정보인 경우, 안전모 관리 서버는 수신된 제2 정보가,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로부터 안전모(H)가 이탈된 착용 모드에 관한 정보인지 판별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 관리 서버는 수신된 제1 정보가 개방 모드에 관한 정보이고, 수신된 제2 정보가 착용 모드에 관한 정보로 판별되면, 이용하고자 하는 킥보드(K)에 대한 사용 승인 메시지를 이용자의 단말(P)에 전송하는 한편, 해당 킥보드(K)를 가동 가능 상태로 전환시킨다(S120).
한편, 안전모 관리 서버는 제2 처리부(23)를 통해, 수신된 제3 정보가,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에 안전모(H)가 수납된 수납 모드에 관한 정보인지 판별한다. 수신된 제3 정보가, 수납 모드에 관한 정보인 경우, 안전모 관리 서버는 수신된 제4 정보가,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폐쇄된 폐쇄 모드에 관한 정보인지 판별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 관리 서버는 수신된 제3 정보가 수납 모드에 관한 정보이고, 수신된 제4 정보가 폐쇄 모드에 관한 정보로 판별되면, 이용한 킥보드(K)에 대한 이용 완료 메시지를 이용자의 단말(P)에 전송하는 한편, 해당 킥보드(K)를 가동 중단 상태로 전환시킨다(S130).
그 다음, 안전모 관리 서버는 정산부(240)를 통해, 이용 요금 및 결제 정보를 이용자의 단말(P)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 관리 서버는 이용자의 단말(P)에 킥보드(K) 고유 번호, 이용자 이름, 이용 시간, 이용 요금 및 결제 수단에 관한 정보를 이용자의 단말(P)에 제공할 수 있다(S14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서버(200)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개방되고, 안전모(H)가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해당 퍼스널 모빌리티(K)가 가동되게 함으로써, 이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안전모(H) 착용을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K) 이용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 관리 서버(200)는 안전모(H)가 안전모 관리함 본체(110)에 수납되고, 안전모 관리함 커버(120)가 폐쇄되었을 때, 해당 퍼스널 모빌리티(K)가 가동 중단되게 하고, 그 시점을 기준으로, 이용 요금을 부과함으로써, 안전모(H)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3)

  1.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에 장착되며, 내측에 안전모의 수납 공간이 마련되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 및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폐 상태 및 상기 안전모의 위치를 감지하되,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폐 상태 및 상기 안전모의 위치에 변화가 감지되면, 안전모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가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안전모 관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안전모 관리 모듈은,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방과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로부터 상기 안전모의 이탈이 차례로 감지되면,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가동 요청 신호를 상기 안전모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로 상기 안전모의 수납과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폐쇄가 차례로 감지되면,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가동 중단 요청 신호를 상기 안전모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모 관리 모듈은,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안전모에 부착되어 있는 제1 근거리 통신 태그와 통신 연결되는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에 상기 안전모가 수납된 수납 모드일 때,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태그와 통신 연결되고, 이용자가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착용 모드일 때,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태그와 통신 단절되며,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제2 근거리 통신 태그와 더 통신 연결되되,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가 상기 수납 공간을 폐쇄한 폐쇄 모드일 때,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태그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가 상기 수납 공간을 개방한 개방 모드일 때,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태그와 통신 단절되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2.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에 장착되며, 내측에 안전모의 수납 공간이 마련되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 및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폐 상태 및 상기 안전모의 위치를 감지하되,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폐 상태 및 상기 안전모의 위치에 변화가 감지되면, 안전모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가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안전모 관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안전모 관리 모듈은,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방과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로부터 상기 안전모의 이탈이 차례로 감지되면,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가동 요청 신호를 상기 안전모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로 상기 안전모의 수납과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폐쇄가 차례로 감지되면,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가동 중단 요청 신호를 상기 안전모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모 관리 모듈은,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안전모에 부착되어 있는 제1 근거리 통신 태그와 통신 연결되는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에 상기 안전모가 수납된 수납 모드일 때,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태그와 통신 연결되고, 이용자가 상기 안전모를 착용한 착용 모드일 때,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태그와 통신 단절되며,
    상기 안전모 관리 모듈은, 상기 근거리 통신부에 장착되는 잠금쇠 및 상기 잠금쇠와 마주하는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에 설치되는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쇠는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에 체결되는 키(key)에 의해 왕복 직선 운동하고,
    상기 거리 센서는,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가 상기 수납 공간을 폐쇄한 폐쇄 모드일 때 설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상기 잠금쇠를 센싱하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3.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에 장착되고, 고유 ID가 부여되며, 내측에 안전모의 수납 공간이 마련되는 안전모 관리함 본체 및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 공간을 개폐하는 안전모 관리함 커버를 포함하는, 제1 항 또는 제2 항에 따른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폐 상태 및 상기 안전모의 위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정보가,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개방에 관한 제1 정보 및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로부터 상기 안전모의 이탈에 관한 제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가 순차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ID가 부여된 안전모 관리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단말에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를 가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1 처리부;
    상기 정보가, 상기 안전모 관리함 본체로 상기 안전모의 수납에 관한 제3 정보 및 상기 안전모 관리함 커버의 폐쇄에 관한 제4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와 상기 제4 정보가 순차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ID가 부여된 안전모 관리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단말에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이용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를 가동 중단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2 처리부; 및
    상기 제2 처리부에 의해 상기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가동이 중단되면, 상기 이용자의 단말에 이용 요금 및 결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산부;를 포함하는,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
PCT/KR2021/009459 2020-07-23 2021-07-22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 WO202201966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363A KR102281799B1 (ko) 2020-07-23 2020-07-23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
KR10-2020-0091363 2020-07-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9668A1 true WO2022019668A1 (ko) 2022-01-27

Family

ID=7712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9459 WO2022019668A1 (ko) 2020-07-23 2021-07-22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1799B1 (ko)
WO (1) WO20220196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603B1 (ko) 2021-09-14 2022-05-13 주식회사 코리아모빌리티 모빌리티용 헬멧 센싱 uv 소독기
KR102399284B1 (ko) * 2021-09-15 2022-05-17 오상훈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헬멧 케어 시스템
KR20230074923A (ko) 2021-11-22 2023-05-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Mqtt 기반 모빌리티 관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087071A (ko) 2021-12-09 2023-06-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모 보관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KR102611363B1 (ko) * 2021-12-21 2023-12-06 양진호 사물인터넷 기반 전동 킥보드 제어 헬멧 시스템
KR102405477B1 (ko) * 2022-02-22 2022-06-07 주식회사 안지오바이크 전동 킥바이크 헬멧 보관용 스마트박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77706A1 (en) * 2013-03-14 2014-09-18 Simon Minnis Shared-use bicycle systems
US20190118897A1 (en) * 2016-05-17 2019-04-25 Piaggio & C. Spa Motorcycle with sensorized storage container
EP3480091A1 (en) * 2017-11-07 2019-05-08 Sharing Muving, S.L. Helmet theft preventing system in shared-use motorcycles
WO2020099815A1 (en) * 2018-11-13 2020-05-22 Folding Helmet Technology Limited Vehicle access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2117983B1 (ko) * 2019-03-05 2020-06-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77706A1 (en) * 2013-03-14 2014-09-18 Simon Minnis Shared-use bicycle systems
US20190118897A1 (en) * 2016-05-17 2019-04-25 Piaggio & C. Spa Motorcycle with sensorized storage container
EP3480091A1 (en) * 2017-11-07 2019-05-08 Sharing Muving, S.L. Helmet theft preventing system in shared-use motorcycles
WO2020099815A1 (en) * 2018-11-13 2020-05-22 Folding Helmet Technology Limited Vehicle access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2117983B1 (ko) * 2019-03-05 2020-06-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799B1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19668A1 (ko)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장치 및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모 관리 서버
WO2011090273A2 (ko) 차량 원격 조정기의 무선통신 중계를 통한 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7222169A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결제 승인 방법, 이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 및 스마트 카드
WO2013157709A1 (ko) 스마트키 시스템의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
WO2020226195A1 (ko) 충전 로봇 및 그를 제어하는 기기
WO2014021574A1 (ko)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usb 메모리 장치
WO2010071342A2 (ko) 자전거 대여 장치 및 시스템
WO2015026001A1 (ko)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의 릴레이 어택 방지 방법
WO2015009120A1 (ko) 휴대폰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 보안 가방
WO2013176526A1 (ko) 통신 기능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방법
WO2014035008A1 (ko) 접이식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WO2022139017A1 (ko) 지오-펜스 기반 차량 과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20242131A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상위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WO2018101702A1 (ko) 차량간 충전이 가능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
WO2011030967A1 (ko) 유선 및 무선 통합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 방법
WO2016095375A1 (zh) 移动终端及其基于dtmf的会话认证方法
WO2012064073A2 (ko)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WO2021235584A1 (ko)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홀더 장치
WO2014025103A1 (ko) 컨테이너의 봉인 감지 시스템 및 장치
WO2018008855A1 (ko)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WO2020075931A1 (ko) 다중 안테나 스위칭을 이용한 디바이스 위치 판단 방법 및 장치
WO2021117916A1 (ko) 도어락의 자동 개방 장치 및 방법
WO2012074242A2 (ko) 봉인 기능을 포함한 컨테이너 통신 장치 및 시스템
WO2021086161A1 (ko) 전자 키 관리 시스템 및 서버
WO2012102471A2 (ko)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454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30.05.202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454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