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64073A2 -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64073A2
WO2012064073A2 PCT/KR2011/008448 KR2011008448W WO2012064073A2 WO 2012064073 A2 WO2012064073 A2 WO 2012064073A2 KR 2011008448 W KR2011008448 W KR 2011008448W WO 2012064073 A2 WO2012064073 A2 WO 2012064073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wireless
uni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844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64073A3 (ko
Inventor
이성길
Original Assignee
연합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합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합정밀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2064073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64073A2/ko
Publication of WO2012064073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64073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3/00Camouflage, i.e. means or methods for concealment or disgu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3/00Camouflage, i.e. means or methods for concealment or disguise
    • F41H3/02Flexible, e.g. fabric covers, e.g. screens, net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tram using a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 and a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mbat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ank") of a tank, an armored vehicle, and an autonomous artillery.
  • the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s designed to wirelessly interwork with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s currently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tanks may be mounted inside the tanks or may be carried by combat personnel such as tank crews or scouts, thereby freeing the internal personnel of the tank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allowing communication between tank crew members and external combat personnel such as scouts to be performed smoothl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train using a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 and a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
  •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is a digitized equipment of the existing analog intercom set terminal.It is installed inside combat vehicles such as tanks, armored vehicles, and self-propelled artillery, for command control of crew members including vehicle conductors. It is used as an in-car call, wireless call, telephon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crew members. It completely replaces the functionality of traditional analogue intercom set terminals, while offering Dynamic Noise Reduction (DNR) and Voice Operated Transmitting (VOX) features that reduce crew fatigue and increase call sensitivity due to exposure to continuous noise environments (field noise).
  • DNR Dynamic Noise Reduction
  • VOX Voice Operated Transmitting
  •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constructed in the current tank communication system is capable of communication in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ovement of the crew inside the tank is limited and not free, and thus, between personnel inside the tank 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side of tanks, such as personnel inside the tank and scouts, is not smooth.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wireless cross talker set terminal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by fully interworking with a wired cross talker set terminal mounted inside the existing tram.
  • the internal communication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tanks between the crew and the troops, such as the crew and the troops, which carry the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 facilitates the internal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tank via the wired terminal to the outside of the tank. It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train using a wireless mutual talker set terminal that can b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witch the wireless cross-talker set terminal to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as necessary, so that the combat personnel are separated from the tank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wired cross-talker set terminal inside the tank or
  • one of the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s carried by the combat personnel is converted to the master terminal, and the intercommunication between the combat personnel is facilitated through the master terminal.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wireless interworking with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mounted inside the tank,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also to switch to each other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combat personnel
  • the master terminal may be one of the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s to perform mutual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bat personnel carrying the wireless intercom set. It is to provide a wireless cross talker set terminal to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wireless cross talker set terminals connected to the master terminal by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master terminal to be switched to.
  • the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wireless intercommunicator se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troller and the wireless mutual mutual control for in-vehicl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in crew A wired mutual talker set terminal including a wireless access point (AP)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alker set master terminal and mounted inside the tank;
  • a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is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and transmi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to a plurality of wireless cross talker set slave terminals wirelessly connected, and the wireless intercom set slave.
  • a wireless intercom set master terminal intermediated in two-way communication by process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between terminals, and mounted inside a tram; And a plurality of wireless mutual talker set slave terminal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aster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herein the plurality of wireless mutual talker set slave termina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wirelessly connected master terminal.
  • any one of the slave terminals are switched to the master terminal, and the plurality of master terminals through the switched mast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other slave terminals of the slave terminal, the wireless intercom set master terminal, the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hrough a wireless AP of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 the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by the interface unit to the wireless intercom set slave terminal, receives a signal from the wireless intercom set slave termi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through the interface unit.
  • a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the wireless intercom set slave terminals; Converts the received analog voice signal into a digital voice signal and request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o transmit the converted signal to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or the slave terminal.
  •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receives the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 a voice signal input / output unit for converting one digital voice signal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and having a voice-operated switch (VOX) function for inputting a hands-free voice signal;
  • Self diagnosis unit for diagnosing abnormality of the wireless intercom set master terminal;
  • a display unit displaying a battery state or a current communication state as a result of diagnosis by the self-diagnostic unit; And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so as to process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interface unit,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voice signal input and output processing of the voice signal input and output unit, diagnosis of abnormality of the terminal of the self-diagnosis unit, and display of various statuses of the display unit.
  • the wireless intercom set slave terminal comprises: a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o and from a wireless intercom set master terminal; Converts the received analog voice signal into a digital voice signal and request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o transmit the converted signal to the master terminal, and sends the digital voice signal received by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o analog voice.
  • a voice signal input / output unit that converts the signal into a signal and outputs the voice-operated switch (VOX) function to enable a hands-free voice signal input;
  •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nnection state with a wireless intercom set master terminal;
  • a mode switching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lave terminals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and switch to a master terminal for relay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lave terminals;
  •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to process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voice signal input / output processing of the voice signal input / output unit, and display of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master terminal of the display unit.
  • the wireless cross-talker set terminal for th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reless cross-talker set terminal carried by the combat personnel located inside and outside the tank, A mode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between the master terminal mode and the slave terminal mode;
  • a mode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between the master terminal mode and the slave terminal mode;
  • A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o and from a telephone set terminal;
  • An antenna connection unit formed to allow the antenna to be mount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 wireless inter-call by building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vehicle using a wireless cross-talker set terminal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by fully interworking with the wired cross-talker set terminal mounted inside the existing tram Wireless intercom call that can extend the internal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tank through the wired terminal to the outside of the tank by facilitating communication inside and outside of the tank between the crew and the personnel outside the tank, such as a scout, which are frequently moved inside the tank.
  • a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set terminal can be provided.
  • the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 is switched to a master terminal and a slave terminal as necessary so that the combat personnel may leave the tank to perform the operation. If the communication set is out of the area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aster terminal terminal, any one of the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s carried by the combat personnel is converted to the master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personnel can smooth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mast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munication system for tanks.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wirelessly interwork with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mounted inside the tank, to enable two-way communication, and to be mutually switched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master terminal and the slave terminal.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train using a wireless mutual talker set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tram using a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train using a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is a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train using a wireless mutual talker set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tram using a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wired intercom set terminal 100 mounted inside a tram, a wireless intercom set master terminal 200, and a wireless intercom set slave terminal 300 carried by a tank crew or a scout. Although the crew members or scourers wearing the slave terminals 300 are all located in the tank or located outside the tank, they are located in an area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100 or the wireless intercom set master terminal 200 is possible. The case is shown.
  • the 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s 200 and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d intercom set terminal 100, a wireless intercom set master terminal 200, and a wireless intercom set slave terminal 300. It includes.
  •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100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ntroller 101 for controlling in-vehicl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between train crews and the wireless intercom set master terminal 200. It includes a wireless access point (AP).
  • AP wireless access point
  • the wired cross talker set terminal 100 which is a main terminal of a current tank communication system mounted on a tank, an armored vehicle, an artillery, and the like, performs a telephone call, data communication, radio communication, etc., in an existing analog intercommunication call.
  • DNR Dynamic Noise Reduction
  • which digitizes the set terminal completely replaces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analogue intercom set terminal and reduces the fatigue of crew members due to exposure to continuous noise environment (field noise) and increases the call sensitivity.
  • Vox Voice Operated Transmitting
  • internal calls between crew members and external calls using vehicle radios are possible.It is installed inside combat vehicles such as tanks, armored vehicles, and self-propelled artillery, and between crew members for command control of crew members including vehicle conductors. It is used as an in-car call, telephon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device.
  • the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s 200 and 300 include a master terminal 200 and a slave terminal 300.
  • the master terminal 200 and the slave terminal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 the wireless intercom set master terminal 20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100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nd a plurality of wireless intercommunications to wirelessly transmit signals received from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100. It transmits to the set slave terminal 300, and handl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between the wireless intercom set slave terminal 300 to mediate two-way communication, it is preferably mounted inside the tank.
  • the wireless intercom set master terminal 200 includes an interface unit 201, a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02, a voice signal input / output unit 203, a self-diagnostic unit 204, a display unit 205,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206. Include.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6 generates various control signals to process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interface unit 201,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02 and signal intermediation processing, voice signal input and output processing of the voice signal input and output unit 203, and
  • the diagnostic unit 204 diagnoses the abnormality of the terminal, and displays the various states of the display unit 205.
  • the interface unit 201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hrough a wireless access point (AP) of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6.
  • AP wireless access point
  • the interface unit 201 when the interface unit 201 receives a signal from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6, the interface unit 201 receives the slave terminals 300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aster terminal 200. Reques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6 to send the signal.
  • a control signal to transmit to the slave terminals 300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02.
  •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02 transmits a signal received by the interface unit 201 to the slave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 the control unit W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6 is requested to transmit a signal received from the slave terminals 300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02 to the wired intercommunicator set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generate the interface unit 201. Request to transmit the received signal to the wired cross talker set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201 transmi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slave terminal 300 by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02 to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6.
  •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202 transmits a signal received by the interface unit 201 to the wireless intercom set slave terminal 30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wireless intercom set slave terminal 300.
  • a signal is transmitted to a wired intercom set terminal 100 through an interface unit 201, and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o and from a wireless intercom set slave terminal 300, and a signal between the wireless intercom set slave terminals 300 is transmitted to each other.
  • the voice signal input / output unit 203 receives the analog voice signal of the crew in the tank, converts the received analog voice signal into a digital voice signal through a codec, and transmits it to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202 and sends i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6. A request is made to transmit to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100 or other slave terminals 300.
  • the voice signal input / output unit 203 is received by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202 or the slave terminal 300 from the wired intercom set terminal 1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201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6.
  • the signals received by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202 is converted into a voice analog signal through a codec and output.
  •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203 is preferably designed to be equipped with a voice-operated switch (VOX) function to enable hands-free voice signal input.
  • VOX voice-operated switch
  • the self-diagnosis unit 204 diagnoses in real time whether the terminal is abnormal, such as a battery state, a current communication state, an operation state of various connection devices, and a connection state of a connection cable.
  • the display unit 205 displays a current communication state, a slave terminal 300 connection state, and the like as a result of diagnosis by the self-diagnostic unit 204.
  • the wireless intercom set slave terminal 30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aster terminal 200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 Slave terminals 300 are preferably designed with a lightweight and durable housing by a plastic process process in which the EMI shielding inner coating is completed so that personnel such as a tank crew can carry it.
  • the wireless intercom set slave terminal 300 includes a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302, a voice signal input / output unit 303, a mode switcher 307, a display unit 305, and a central processor 306. , A self-diagnostic part (not shown) and an interface part (not shown).
  •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302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wireless intercom set mast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06.
  • the voice signal input / output unit 303 converts the input analog voice signal into a digital voice signal and request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06 to transmit the converted signal to the master terminal 200 by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302.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06,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302 converts the received digital voice signal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it.
  • the voice signal input / output unit 303 converts the digital voice signal through a codec to transmit and receive the signal. An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06 to transmit to the master terminal 200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06 generates a control signal upon receiving a request from the voice signal input / output unit 303 to cause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302 to transmit the signal to the master terminal 200, and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302 It transmits to the mast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 the voice signal input / output unit 303 converts the voice digital signal from the signal received by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302 from the master terminal 200 into a voice analog signal through a codec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06 and outputs the voice analog signal. .
  • the voice signal input and output unit 303 is preferably designed to enable a hands-free voice signal input is equipped with a Voice-Operated Swich (VOX) function, similar to the master terminal 200.
  • VOX Voice-Operated Swich
  • the display unit 305 displays a connection state with the wireless intercom set master terminal 200.
  • the self-diagnostic unit (not shown) indicates whether the terminal is diagnosed, such as the battery state,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nected device,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cable.
  • the mode switching unit 307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lave terminals 300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to switch to the master terminal 200 to relay the radio communication between the slave terminals 300 or the master terminal 200 It may switch to the slave terminal 300.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06 generates various control signals to process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02, audio signal input / output processing of the voice signal input / output unit 303, and display of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master terminal of the display unit 305.
  • the integrated control is performed to function as a master terminal or a slave terminal according to the terminal mode switched by the switching unit 307.
  •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train using a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llustrates that when a group of combat personnel carrying the slave terminal 300 performs an operation by leaving the tank, the master terminal may be moved out of an area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master terminal 200 in the tank or by a weather environment. 200 illustrates a communication system when communication cannot be established.
  • the plurality of wireless intercom set slave terminals 300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lave terminals 300 through the wirelessly connected master terminal 200, but leave the tank equipped with the master terminal 200.
  • any one of the slave terminal 300 is switched to the master terminal 200, and the slave terminal 300 between each other via the switched master terminal 200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 one of the slave terminals 300 in the group is switched to the master terminal to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slave terminals 300 in the group through the switched master terminal.
  •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reless intercom set terminal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terface unit 401,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402, voice signal input and output unit 403, a self-diagnostic unit 404, a display unit 405, a central processing unit 406, a mode switching unit 407, and an antenna connection unit 408.
  • the mode switching unit 407 switches between the master terminal mode and the slave terminal mode.
  • the interface unit 401 is wired to each other in a tank that performs in-vehicl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rew members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6 when the mode switching unit 407 is switched to the master terminal. I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telephone set terminal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wired mutual telephone set terminal.
  •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402 transmits / receives signals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mutual talker set terminals that are switched to slave terminals when the mode switching unit 407 is switched to a master terminal, and switches the plurality of wireless mutuals that are switched to slave terminals.
  • the intercommunication signal set between the talker set terminals is relayed, and the wireless cross talker set terminal switched to the slave terminal by the mode switching unit 407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wireless talker set terminal converted to the master terminal to provide a signal.
  • the voice signal input / output unit 403 is preferably designed to be equipped with a voice-operated switch (VOX) function to enable hands-free voice signal input.
  • VOX voice-operated switch
  • the self-diagnosis unit 404 diagnoses an abnormality of the terminal including whether the device is in an abnormal state of connection or whether the communication state is abnormal.
  • the display unit 405 displays a battery state, a current communication state, or a connection state with the master terminal as a result of diagnosis by the self-diagnostic unit 404.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6 generates various control signals to perform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ing of the interface unit 401,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and signal mediation processing of the signal relay unit 402, voice signal input / output processing of the voice signal input / output unit 403, and magnetic Integrated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diagnostic unit 404 diagnoses the abnormality of the terminal and the various state displays of the display unit 405.
  • the antenna connector 408 is formed so that the antenna can be mounted in and out of the double.
  • interface unit 202/302/402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 mode switching unit 408 antenna connect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차용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차 승무원들 간의 차내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통합 제어하는 주제어기와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AP(Access Point)를 포함하고, 전차 내부에 장착되는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상기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무선 연결된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들 상호 간의 신호의 송수신을 처리하여 양방향 통신을 중개하며, 전차 내부에 장착되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 및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전차 내부에 장착된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완벽하게 연동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차용 통신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휴대한 전차 내부 이동이 잦은 승무원이나 척후병 등의 전차 외부 인력들간의 전차 내부 또는 전차 내외부 통신이 원활하도록 하여 유선 단말기를 통한 전차 내부 통신 환경을 전차 외부까지 확장할 수 있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본 발명은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차, 장갑차, 자주포 등의 전투차량(이하, '전차'라고 함) 내부에 현재 설치되어 운용중인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어 연동 되도록 설계된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들을 전차 내부에 장착하거나 또는 전차 승무원이나 척후병 등의 전투 인력들이 휴대하도록 하여 전차 내부 인력들간의 자유로운 무선 통신 환경 구축과 전차 내부 승무원과 척후병 등의 전차 외부 전투 인력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차용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차용 통신 시스템은 대부분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가 전차 내부에 장착되어 그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통해 전차 내부 승무원들 간의 차내 통화, 무선통화(기존 무전기와 통신 가능한 스위치), 전화통화,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졌다.
현재 전차용 통신 시스템의 주 단말기인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는 기존 아날로그 상호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디지털화한 장비로서 전차, 장갑차, 자주포 등 전투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 지휘자를 포함한 승무원의 지휘통제를 위한 승무원간의 차내 통화, 무선통화, 전화통화, 데이터 통신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 아날로그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의 기능을 완벽히 대체하면서, 지속적인 노이즈 환경(전장소음)에 노출로 인한 승무원들의 피로감을 줄이고 통화 감명도를 높이는 DNR(Dynamic Noise Reduction) 및 VOX(Voice Operated Transmitting) 기능을 채용하여 원활한 승무원간의 내부통화 및 차량 무전기를 이용한 외부 통화 등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차내 인력들이 긴급히 하차할 필요가 있는 경우 현재는 유선망을 해지한 후 별도의 무전기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무전기로 정보를 획득한 전차내 승무원이 다시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에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여 왔다.
따라서, 현재의 전차용 통신 시스템에 구축된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는 위와 같은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선 통신망에서의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과 전차 내부 승무원의 이동이 제한되고 자유롭지 못해서 전차 내부 인력간 또는 전차 내부 인력 및 척후병 등의 전차 외부들 간의 통신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전차 내부에 장착된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완벽하게 연동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차용 통신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휴대한 전차 내부 이동이 잦은 승무원이나 척후병 등의 전차 외부 인력들간의 전차 내부 또는 전차 내외부 통신이 원활하도록 하여 유선 단말기를 통한 전차 내부 통신 환경을 전차 외부까지 확장할 수 있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필요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환이 되도록 하여 전투 인력들이 전차에서 이탈하여 작전을 수행할 때 전차 내부의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또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지역을 벗어나게 되는 경우 전투 인력들이 휴대한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하여 그 마스터 단말기를 통하여 전투 인력들간의 상호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차용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차 내부에 장착된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무선 연동이 가능하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또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호 전환이 되도록 하여 전투인력들이 전차 내부의 유선 단말기와의 통화가 가능한 지역을 벗어나 작전을 수행하는 경우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를 휴대하는 전투 인력들간의 상호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되도록 하여 마스터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그 마스터 단말기에 연결된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들 상호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은, 전차 승무원들 간의 차내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통합 제어하는 주제어기와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AP(Access Point)를 포함하고, 전차 내부에 장착되는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상기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무선 연결된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들 상호 간의 신호의 송수신을 처리하여 양방향 통신을 중개하며, 전차 내부에 장착되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 및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는, 무선 연결된 마스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 상호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마스터 단말기가 장착된 전차를 이탈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구간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를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하고, 그 전환된 마스터 단말기를 통해 상기 다수의 슬레이브 단말기들 중 나머지 슬레이브 단말기들 상호간에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는, 상기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의 무선 AP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수신한 신호를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하고, 상기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 상호간의 신호를 송수신하여 중개하는 신호송수신부; 입력받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그 변환된 신호를 신호송수신부로 하여금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중앙처리부에 요청하고,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호송수신부가 수신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VOX(Voice-Operated Swich) 기능이 탑재되어 핸즈프리 음성 신호 입력이 가능한 음성신호입출력부;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자기진단부; 상기 자기진단부에 의해 진단된 결과, 배터리 상태 또는 현재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부의 신호 송수신 처리, 신호송수신부의 신호 송수신 및 신호 중개 처리, 음성신호입출력부의 음성신호입출력 처리, 자기진단부의 단말기의 이상 여부 진단 처리, 표시부의 각종 상태 표시를 처리하도록 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송수신부; 입력받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그 변환된 신호를 신호송수신부로 하여금 마스터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중앙처리부에 요청하고,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호송수신부가 수신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VOX(Voice-Operated Swich) 기능이 탑재되어 핸즈프리 음성 신호 입력이 가능한 음성신호입출력부;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와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슬레이브 단말기들과 무선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여 슬레이브 단말기들 상호간의 무선 통신을 중개하는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할 수 있는 모드전환부; 및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송수신부의 신호 송수신 처리, 음성신호입출력부의 음성신호 입출력 처리, 표시부의 마스터 단말기 연결 상태 표시를 처리하도록 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차용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는, 전차 내외부에 위치한 전투 인력들이 휴대하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에 있어서, 마스터 단말기 모드와 슬레이브 단말기 모드 상호간의 전환이 되도록 하는 모드전환부; 상기 모드 전환부에 의해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된 경우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차 내부 승무원들간의 차내통화,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전차 내부에 장착된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고 상기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내외부에 2중으로 안테나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안테나연결부; 상기 모드전환부에 의해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된 경우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환된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들과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환된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들 상호간의 신호를 중개하며, 상기 모드전환부에 의해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환된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는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된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송수신부; VOX(Voice-Operated Swich) 기능이 탑재되어 핸즈프리 음성 신호 입력이 가능한 음성신호입출력부; 기기 연결상태 이상 여부, 통신 상태 이상 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자기진단부; 상기 자기진단부에 의해 진단된 결과, 배터리 상태, 현재 통신 상태 또는 마스터 단말기와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부의 신호 송수신 처리, 신호중개부의 신호 송수신 및 신호 중개 처리, 음성신호입출력부의 음성신호입출력 처리, 자기진단부의 단말기의 이상 여부 진단 처리, 표시부의 각종 상태 표시를 처리하도록 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전차 내부에 장착된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완벽하게 연동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차용 통신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휴대한 전차 내부 이동이 잦은 승무원이나 척후병 등의 전차 외부 인력들간의 전차 내부 또는 전차 내외부 통신이 원활하도록 하여 유선 단말기를 통한 전차 내부 통신 환경을 전차 외부까지 확장할 수 있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필요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환이 되도록 하여 전투 인력들이 전차에서 이탈하여 작전을 수행할 때 전차 내부의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또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와의 통신이 가능한 지역을 벗어나게 되는 경우 전투 인력들이 휴대한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하여 그 마스터 단말기를 통하여 전투 인력들간의 상호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차용 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차 내부에 장착된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무선 연동이 가능하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또한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호 전환이 되도록 하여 전투인력들이 전차 내부의 유선 단말기와의 통화가 가능한 지역을 벗어나 작전을 수행하는 경우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를 휴대하는 전투 인력들간의 상호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되도록 하여 마스터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그 마스터 단말기에 연결된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들 상호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 및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2는 전차 내부에 장착된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100)와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200)와 전차 승무원 또는 척후병들이 휴대하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300)들간의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슬레이브 단말기(300)들을 착용한 승무원 또는 척후병들이 모두 전차내에 위치하거나 전차 밖에 있더라도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100) 또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200)와의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마스터 단말기(200)와 6대의 슬레이브 단말기(300)들을 1세트로 하여 통신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200,300)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은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100),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200) 및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100)는 전차 승무원들 간의 차내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통합 제어하는 주제어기(101)와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AP(Access Point)를 포함한다.
특히, 탱크, 장갑차, 자주포 등의 전차에 장착되어 전차 내부 전화 통화, 데이터 통신, 무전 통신 등을 수행하는 현재 전차용 통신 시스템의 주 단말기인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100)는 기존 아날로그 상호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디지털화한 장비로서 기존 아날로그 상호통화기 세트 단말기의 기능을 완벽히 대체하면서, 지속적인 노이즈 환경(전장소음)에 노출로 인한 승무원들의 피로감을 줄이고 통화 감명도를 높이는 DNR(Dynamic Noise Reduction) 및 VOX(Voice Operated Transmitting) 기능을 채용하여 원활한 승무원간의 내부통화 및 차량 무전기를 이용한 외부 통화 등이 가능하여 전차, 장갑차, 자주포 등 전투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 지휘자를 포함한 승무원의 지휘통제를 위한 승무원간의 차내 통화, 전화통화, 데이터 통신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200,300)는 마스터 단말기(200)와 슬레이브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마스터 단말기(200)와 슬레이브 단말기(300)에 대해 이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200)는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100)와 무선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무선 연결된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300)에 송신하고,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300)들 상호 간의 신호의 송수신을 처리하여 양방향 통신을 중개하며, 전차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200)는 인터페이스부(201), 신호송수신부(202), 음성신호입출력부(203), 자기진단부(204), 표시부(205), 중앙처리부(206)를 포함한다.
중앙처리부(206)는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부(201)의 신호 송수신 처리, 신호송수신부(202)의 신호 송수신 및 신호 중개 처리, 음성신호입출력부(203)의 음성신호입출력 처리, 자기진단부(204)의 단말기의 이상 여부 진단 처리, 표시부(205)의 각종 상태 표시를 처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201)는 중앙처리부(2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100)의 무선 AP(Access Point)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인터페이스부(201)는 중앙처리부(2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마스터 단말기(200)에 무선으로 연결된 슬레이브 단말기(300)들에게 수신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중앙처리부(206)에 요청한다.
중앙처리부(206)가 인터페이스부(201)로부터 그 수신한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300)들에게 송신하도록 요청받으면 신호송수신부(202)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된 슬레이브 단말기(300)들에게 송신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신호송수신부(202)는 그 제어신호에 따라 인터페이스부(201)가 수신한 신호를 슬레이브 단말기(300)에게 송신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206)가 신호송수신부(202)로부터 슬레이브 단말기(300)들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요청받으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해 그 수신한 신호를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요청한다. 인터페이스부(201)는 중앙처리부(2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호송수신부(202)가 슬레이브 단말기(300)들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100)에 송신한다.
신호송수신부(202)는 제어신호에 따라 인터페이스부(201)가 수신한 신호를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300)에 송신하고,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해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100)에 송신하도록 하고,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300)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300) 상호 간의 신호를 중개한다.
음성신호입출력부(203)는 전차 내 승무원들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받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코덱을 통하여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송수신부(202)에 송신하고, 중앙처리부(206)에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100) 또는 다른 슬레이브 단말기(300)들에게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또한, 음성신호입출력부(203)는 중앙처리부(2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100)로부터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해 신호송수신부(202)가 수신하거나 슬레이브 단말기(300)들로부터 신호송수신부(202)가 수신한 신호 중 음성 디지털 신호를 코덱을 통해 음성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음성입출력부(203)는 VOX(Voice-Operated Swich) 기능이 탑재되어 핸즈프리 음성 신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진단부(204)는 배터리 상태, 현재 통신 상태, 각종 연결기기의 동작상태, 연결 케이블의 연결 상태 등의 단말기의 이상 여부를 실시간으로 진단한다.
그리고, 표시부(205)는 자기진단부(204)에 의해 진단된 결과, 현재 통신 상태, 슬레이브 단말기(300) 연결상태 등을 표시한다.
한편,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300)는 마스터 단말기(200)와 무선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슬레이브 단말기(300)들은 전차 승무원 등의 인력들이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EMI 차폐 내부 도장이 완료된 플라스틱 공정 처리로 경량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하우징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300)는 신호송수신부(302), 음성신호입출력부(303), 모드전환부(307), 표시부(305), 중앙처리부(306), 자기진단부(미도시),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신호송수신부(302)는 중앙처리부(3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2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음성신호입출력부(303)는 입력받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그 변환된 신호를 신호송수신부(302)로 하여금 마스터 단말기(200)에 송신하도록 중앙처리부(306)에 요청하고, 중앙처리부(3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호송수신부(302)가 수신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슬레이브 단말기(300)를 휴대한 인력이 음성신호입출력부(303)를 통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하면 음성신호입출력부(303)는 코덱을 통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송수신부(302)로 송신하고, 중앙처리부(306)에게 무선 연결되어 있는 마스터 단말기(200)에 송신하도록 요청한다.
중앙처리부(306)는 음성신호입출력부(303)으로부터 요청을 받으면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송수신부(302)로 하여금 그 신호를 마스터 단말기(200)에 송신하도록 하고, 신호송수신부(302)는 그 제어신호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음성신호입출력부(303)는 중앙처리부(306)의 제어신호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200)로부터 신호송수신부(302)가 수신한 신호 중 음성 디지털 신호를 코덱을 통해 음성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한편, 음성신호입출력부(303)는 마스터 단말기(200)와 마찬가지로 VOX(Voice-Operated Swich) 기능이 탑재되어 핸즈프리 음성 신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부(305)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200)와의 연결 상태를 표시한다. 이 외에도 자기진단부(미도시)에 의해 배터리 상태, 연결기기의 동작상태, 연결케이블의 연결상태 등의 진단된 단말기의 이상 여부를 표시한다.
그리고, 모드전환부(307)는 슬레이브 단말기(300)들과 무선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여 슬레이브 단말기(300)들 상호간의 무선 통신을 중개하는 마스터 단말기(200)로 전환하거나 마스터 단말기(200)를 슬레이브 단말기(300)로 전환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306)는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송수신부(302)의 신호 송수신 처리, 음성신호입출력부(303)의 음성신호 입출력 처리, 표시부(305)의 마스터 단말기 연결 상태 표시를 처리, 모드전환부(307)에 의해 전환된 단말기 모드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단말기의 기능을 하도록 통합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대한 개요도이다.
다시 말해, 도 3은 슬레이브 단말기(300)를 휴대한 한 그룹의 전투 인력들이 전차를 이탈하여 작전을 수행하는 경우 전차내의 마스터 단말기(200)와 통신 가능한 지역을 벗어나거나 기상 환경 등에 의해 마스터 단말기(200)와 통신을 연결할 수 없는 경우의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300)는, 무선 연결된 마스터 단말기(200)를 통해 슬레이브 단말기(300)들 상호 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되, 그 마스터 단말기(200)가 장착된 전차를 이탈하여 마스터 단말기(200)와 통신 가능한 구간을 벗어나는 경우 그 슬레이브 단말기(300)들 중 어느 하나를 마스터 단말기(200)로 전환하고, 그 전환된 마스터 단말기(200)를 통해 슬레이브 단말기(300)들 상호간에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즉, 한 그룹의 전투 인력들이 전차를 이탈하여 작전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통신 거리의 한계에 따라 마스터 단말기(200)와 통신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그룹 내 통신을 원활하게 중개하기 위해 그룹 내의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기(300)를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하여 그 전환된 마스터 단말기를 통하여 그룹내 슬레이브 단말기(300)들간의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수동 조작에 의해 모드를 전환하여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환이 가능하여 어느 통신 환경에서도 원활하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를 휴대하여 자유롭게 전차에서 하차하여 작전 수행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작전 반경을 최대한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400)를 보면, 본 발명의 부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400)는 인터페이스부(401), 신호송수신부(402), 음성신호입출력부(403), 자기진단부(404), 표시부(405), 중앙처리부(406), 모드전환부(407), 안테나연결부(408)를 포함한다.
모드전환부(407)는 마스터 단말기 모드와 슬레이브 단말기 모드 상호간의 전환이 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401)는 모드전환부(407)에 의해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된 경우 중앙처리부(406)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차 내부 승무원들간의 차내통화,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전차 내부에 장착된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고 상기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신호송수신부(402)는 모드전환부(407)에 의해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된 경우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환된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들과 신호를 송수신하고,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환된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들 상호간의 신호를 중개하며, 모드전환부(407)에 의해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환된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는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된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음성신호입출력부(403)는 VOX(Voice-Operated Swich) 기능이 탑재되어 핸즈프리 음성 신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진단부(404)는 기기 연결상태 이상 여부, 통신 상태 이상 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이상 여부를 진단한다.
표시부(405)는 자기진단부(404)에 의해 진단된 결과, 배터리 상태, 현재 통신 상태 또는 마스터 단말기와 연결 상태를 표시한다.
중앙처리부(406)는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부(401)의 신호 송수신 처리, 신호중개부(402)의 신호 송수신 및 신호 중개 처리, 음성신호입출력부(403)의 음성신호입출력 처리, 자기진단부(404)의 단말기의 이상 여부 진단 처리, 표시부(405)의 각종 상태 표시를 처리하도록 통합 제어한다.
안테나연결부(408)는 내외부에 2중으로 안테나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위에서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0: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101 : 주제어기
102 : 무선 AP
200/300/400 :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슬레이브 단말기/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201/401 : 인터페이스부202/302/402 : 신호송수신부
203/303/403 : 음성신호입출력부204/404 : 자기진단부
205/305/405 : 표시부206/306/406 : 중앙처리부
307/407 : 모드전환부408 : 안테나연결부

Claims (2)

  1. 전차용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차 승무원들 간의 차내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통합 제어하는 주제어기와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AP(Access Point)를 포함하고, 전차 내부에 장착되는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상기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무선 연결된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들 상호 간의 신호의 송수신을 처리하여 양방향 통신을 중개하며, 전차 내부에 장착되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 및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는,
    무선 연결된 마스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 상호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마스터 단말기가 장착된 전차를 이탈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구간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를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하고, 그 전환된 마스터 단말기를 통해 상기 다수의 슬레이브 단말기들 중 나머지 슬레이브 단말기들 상호간에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는,
    상기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의 무선 AP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수신한 신호를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하고, 상기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 상호간의 신호를 송수신하여 중개하는 신호송수신부;
    입력받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그 변환된 신호를 신호송수신부로 하여금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중앙처리부에 요청하고,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호송수신부가 수신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VOX(Voice-Operated Swich) 기능이 탑재되어 핸즈프리 음성 신호 입력이 가능한 음성신호입출력부;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자기진단부;
    상기 자기진단부에 의해 진단된 결과, 배터리 상태 또는 현재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부의 신호 송수신 처리, 신호송수신부의 신호 송수신 및 신호 중개 처리, 음성신호입출력부의 음성신호입출력 처리, 자기진단부의 단말기의 이상 여부 진단 처리, 표시부의 각종 상태 표시를 처리하도록 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슬레이브 단말기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송수신부;
    입력받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그 변환된 신호를 신호송수신부로 하여금 마스터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중앙처리부에 요청하고,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호송수신부가 수신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VOX(Voice-Operated Swich) 기능이 탑재되어 핸즈프리 음성 신호 입력이 가능한 음성신호입출력부;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마스터 단말기와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슬레이브 단말기들과 무선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여 슬레이브 단말기들 상호간의 무선 통신을 중개하는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할 수 있는 모드전환부; 및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송수신부의 신호 송수신 처리, 음성신호입출력부의 음성신호 입출력 처리, 표시부의 마스터 단말기 연결 상태 표시를 처리하도록 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
  2. 전차 내외부에 위치한 전투 인력들이 휴대하는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에 있어서,
    마스터 단말기 모드와 슬레이브 단말기 모드 상호간의 전환이 되도록 하는 모드전환부;
    상기 모드 전환부에 의해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된 경우 중앙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차 내부 승무원들간의 차내통화,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전차 내부에 장착된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고 상기 유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내외부에 2중으로 안테나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안테나연결부;
    상기 모드전환부에 의해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된 경우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환된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들과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환된 다수의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들 상호간의 신호를 중개하며, 상기 모드전환부에 의해 슬레이브 단말기로 전환된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는 마스터 단말기로 전환된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송수신부;
    VOX(Voice-Operated Swich) 기능이 탑재되어 핸즈프리 음성 신호 입력이 가능한 음성신호입출력부;
    기기 연결상태 이상 여부, 통신 상태 이상 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자기진단부;
    상기 자기진단부에 의해 진단된 결과, 배터리 상태, 현재 통신 상태 또는 마스터 단말기와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부의 신호 송수신 처리, 신호중개부의 신호 송수신 및 신호 중개 처리, 음성신호입출력부의 음성신호입출력 처리, 자기진단부의 단말기의 이상 여부 진단 처리, 표시부의 각종 상태 표시를 처리하도록 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차용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PCT/KR2011/008448 2010-11-09 2011-11-08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WO2012064073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893 2010-11-09
KR1020100110893A KR101194643B1 (ko) 2010-11-09 2010-11-09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64073A2 true WO2012064073A2 (ko) 2012-05-18
WO2012064073A3 WO2012064073A3 (ko) 2012-07-19

Family

ID=46051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8448 WO2012064073A2 (ko) 2010-11-09 2011-11-08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4643B1 (ko)
WO (1) WO201206407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8669A (zh) * 2018-09-26 2019-01-29 中国人民解放军总参谋部第六十研究所 一种车内信息采集、显示、控制交互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839B1 (ko) * 2019-09-06 2021-02-17 이상섭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기계화 차량용 통신시스템
KR102137353B1 (ko) * 2020-02-18 2020-07-23 (주)이룸테크놀로지 군용 전차 및 장갑차의 데이터처리 및 영상전송 장치의 설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훈련용 무선영상전송 시스템
KR102210381B1 (ko) * 2020-07-17 2021-02-01 (주)이룸테크놀로지 군용 전차 및 장갑차의 데이터처리 및 영상전송 장치의 설치 구조체를 포함하는 훈련용 무선영상전송 시스템
KR102210388B1 (ko) * 2020-07-17 2021-02-01 (주)이룸테크놀로지 군용 전차 및 장갑차의 데이터처리 및 영상전송 장치의 설치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360A (ko) * 2003-08-19 2006-09-18 각고호우징 게이오기주크 무선 통신 장치, ad hoc 시스템 및 통신 시스템
KR100658581B1 (ko) * 2005-10-21 2006-12-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원거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지그비 호핑 네트워크 시스템및 방법
KR200437934Y1 (ko) * 2006-11-02 2008-01-08 하롬주식회사 바이너리 씨디엠에이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무선 송수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184B1 (ko) 2005-05-11 2006-08-09 주식회사 로템 무선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
KR100695759B1 (ko) 2006-02-07 2007-03-16 이길섭 알에프아이디 와 알에프 모듈을 이용한 모의지뢰 시스템 및그 제어 방법
KR100915839B1 (ko) 2009-04-23 2009-09-07 성진씨앤티(주) 무전기의 다자간 무선 통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360A (ko) * 2003-08-19 2006-09-18 각고호우징 게이오기주크 무선 통신 장치, ad hoc 시스템 및 통신 시스템
KR100658581B1 (ko) * 2005-10-21 2006-12-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원거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지그비 호핑 네트워크 시스템및 방법
KR200437934Y1 (ko) * 2006-11-02 2008-01-08 하롬주식회사 바이너리 씨디엠에이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무선 송수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8669A (zh) * 2018-09-26 2019-01-29 中国人民解放军总参谋部第六十研究所 一种车内信息采集、显示、控制交互装置
CN109278669B (zh) * 2018-09-26 2023-08-15 中国人民解放军总参谋部第六十研究所 一种车内信息采集、显示、控制交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571A (ko) 2012-05-17
WO2012064073A3 (ko) 2012-07-19
KR101194643B1 (ko) 2012-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64073A2 (ko)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
CN107310998B (zh) 电梯运行监控物联网系统
CN105645212B (zh) 一种电梯应急系统
JP2012129765A (ja) 電子装置
ES2928088T3 (es) Sistema de intercomunicación
JP2009530882A (ja) 住宅及び保護−介護環境、事務所等用デジタル通信システム
WO2012077973A2 (ko) 건설중장비 차량의 정보 전송 방법
RU2405699C1 (ru) Центральная у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безопасности и связи пассажирского поезда
CN208561338U (zh) 电梯状态监控系统和包括该系统的电梯
WO2021049879A1 (ko) 차량 내부 통신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209618605U (zh) 一种电梯状态监视系统
CN211791874U (zh) 模拟数字混合五方对讲系统
CN108773746A (zh) 电梯状态监控系统和包括该系统的电梯
CN110329858A (zh) 电梯轿厢的对讲装置、电梯轿厢的操作面板以及电梯
WO2015122748A2 (ko) 원격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안 시스템
CN114826328B (zh) 基于电力载波的管廊通信系统以及方法
KR101357927B1 (ko) 승강기 운행시스템의 원격접속용 다목적 착탈식 보드와 원격지 비상통화를 위한 비상통화 보드
CN207491120U (zh) 一种电梯轿厢内部的视频信号传输系统
WO2016093675A2 (ko) 도어폰을 통하여 문열림이 가능한 2선식 비디오폰 시스템
WO2017168488A1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596599Y2 (ja) ナースコール装置
CN112106338B (zh) 调制解调器
JP2741962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を利用した制御システム
RU4842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телеконтроля астк-64
KR20040101866A (ko) 전동차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402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402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