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184B1 - 무선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 - Google Patents

무선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184B1
KR100610184B1 KR1020050039180A KR20050039180A KR100610184B1 KR 100610184 B1 KR100610184 B1 KR 100610184B1 KR 1020050039180 A KR1020050039180 A KR 1020050039180A KR 20050039180 A KR20050039180 A KR 20050039180A KR 100610184 B1 KR100610184 B1 KR 100610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cue
vehicle
tank
wirele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to KR1020050039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41H7/005Unmanned ground vehicles, i.e. robotic, remote controlled or autonomous, mobile platforms carrying equipment for performing a military or police role, e.g. weapon systems or reconnaissanc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41H7/02Land vehicles with enclosing armour, e.g. tan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난 전차를 이용해 구난 작업시에 차량의 외부에서 무선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외부에서 정밀하게 작업할 수 있는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에 관한 것으로, 구난 전차의 구난 장비를 작동시키도록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12) 및 무선송수신부(11) 갖는 차량제어부(10)와; 상기 차량제어부(10)의 무선송수신부(11)에 양방향신호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인터페이스부(22)를 갖는 무선송수신기(20), 차량 및 구난 상태를 인지시켜 주도록 나타내는 상태표시부(26), 구난 전차에 장착된 구난 장비를 선택할 수 있는 작업 선택부(24) 및 작업 선택부(24)에 의해 선택된 장비를 작동시키는 조정기(29)로 이루어진 구난 조정장치(30);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무선송수신부, 장비, 크레인

Description

무선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A RESCUE TANK HAVING WIRELESS AUTOMATIC REMOTE}
도 1 은 종래의 구난 전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 및 무선 구난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는 본 발명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의 무선 구난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구난 전차 2: 크레인
4: 도우저 10: 차량제어부
11, 20: 무선송수신부 12, 22: 인터페이스부
24: 작업 선택부 26: 상태표시부
29: 조정기 30: 무선 구난 조정장치
본 발명은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 하게는 구난 전차를 이용해 구난 작업시에 차량의 외부에서 무선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외부에서 정밀하게 작업할 수 있는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난 전차(1)는, 구난 작업시에 승무원실 내부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 및 표시기기를 갖춘 조정판을 이용해 작업해 오고 있다.
따라서, 구난 작업시에는 구난 전차의 구난 작업기기인 크레인, 윈치, 도져 등을 이용해 작업하기 위해 속도 및 방향으로 제어하기 위해 내부에 장착된 조정판을 이용해 작업한다.
또한, 구난 전차의 내부에서 작업이 곤란한 경우에는, 윈시적인 원격제어를 위해 전차의 외부에 무거운 유선케이블을 인출한 다음 단순한 작동버튼에 의해 작업을 제한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유선형태의 제어장치는 제한된 구난 작업에 대해서만 작업을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유선형태의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작업자는 차량 및 구난 상태를 감시하지 못하는 불안한 상황에서 구난 작업을 수행할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크레인 인양작업 간 과부하로 인하여 차량전복 등의 환경에 노출되어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제어장치의 유선케이블은 도져 삽날 및 전차의 날카로운 구조물에 유선케이블이 걸려 절단되거나 소손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난 전차를 이용해 구난 작업시에 차량의 외부에서 무선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외부에서 정밀하게 작업할 수 있는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는, 구난 전차의 구난 장비를 작동시키도록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 및 무선송수신부 갖는 차량제어부와; 상기 차량제어부의 무선송수신부에 양방향신호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무선송수신기, 차량 및 구난 상태를 인지시켜 주도록 나타내는 상태표시부, 구난 전차에 장착된 구난 장비를 선택할 수 있는 작업 선택부 및 작업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장비를 작동시키는 조정기로 이루어진 무선 구난 조정장치; 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 및 무선 구난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는 본 발명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의 무선 구난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난 전차(1)에는 장비를 들어올릴 수 있는 크레인(2), 쌓여진 흙을 밀어버릴 수 있는 도우저(4), 구난 전차(1)로 구난중인 전차 등을 끌어당길 수 있는 윈치 등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난 전차(1)는, 구난 장비를 무선으로 작동시키도록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12) 및 무선송수신부(11)를 갖는 차량제어부(10)가 형성된다.
구난 전차(1)에 인터페이스부(12) 및 무선송수신부(11)를 갖는 차량제어부(10)를 이용해 구난 전차를 외부에서도 무선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무선 구난 조정장치(30)가 형성된다.
무선 구난 조정장치(30)는 차량제어부(10)의 무선송수신부(11)에 양방향신호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인터페이스부(22)를 갖는 무선송수신기(20)가 형성되고, 차량 및 구난 상태를 인지시켜 주도록 나타내는 상태표시부(26)가 형성된다.
또한, 구난 전차에 장착된 크레인(2), 도우저(4), 윈치 등의 구난 장비를 선택할 수 있는 작업 선택부(24) 및 작업 선택부(24)에 의해 선택된 장비를 작동시키는 조정기(30)가 형성된다.
상기 무선 구난 조정장치(30)의 작업 선택부(24)는 구난 전차에 사용되는 유압의 온오프를 시키거나, 작업선택으로 크레인 또는 윈치, 도우저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해서 작업할 것인가와, 위험 상황에서 작동을 멈출 수 있는 비상정지 스위치 등을 형성시키고 있다.
또한, 상태표시부(26)에는 유압의 온오프상태의 램프, 크레인, 윈치 도우저 등의 작동장비상황, 크레인부하표시기, 크레인의 선회/고저각, 윈치의 부하표시 등을 나타내도록 형성된다.
무선 구난 조정장치(20)의 조정기(30)는 크레인의 상하, 좌우 이동, 인양 윈 치의 상/하, 주 윈치 풀림/감김, 보조윈치풀림/감김, 도우저의 높낮이 조절 등을 조정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의 작동상태를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전중인 전차 등이 구조를 요청할 시에는 구난 전차(1)를 작업할 지역으로 이동시킨다.
구난 전차(1)가 구난 지역에 도착한 후에는, 세밀하고 정밀한 구난 작업은 차량의 작업자가 구난 작업 공간 지역에 나온 후에, 구난 전차(1) 내에 장착되어 있는 차량제어부(10)와, 상기 차량제어부(10)와 상호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구난 조정장치(20)를 이용해 차량의 외부에서 세밀한 구난 작업을 실시한다.
도 2의 구난 전차(1)에 장착되어 있는 크레인, 윈치 등을 조정하기 위해 무선 구난 조정장치(20)는 작업 선택부(24)에 의해 구난 전차(1) 상에 장착되어 있는 크레인 또는 윈치 작업을 할지 선택한다.
무선 구난 조정장치(20)의 작업 선택부(24)에 크레인 또는 윈치 중에 작동될 구난 장비가 선택되면, 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기(29)를 이용해 제어 및 작동시킨다.
상기 조정기(29)의 조작 신호가 인터페이스(22)를 통해 무선송수신기(20)로 신호를 송신하여 구난 전차(1)의 무선송신기(11)를 통해 수신된 인터페이스(12)로 신호가 경유 된 후, 구난 전차(1)에 장착되어 있는 크레인(2)을 작동시킨다. 즉, 상기의 무선 구난 조정장치(20)의 인터페이스(22)는 조정기(29) 레버의 작동에 따 라 신호가 발생하면, 레버의 Y축, X축 및 레버의 꺾임 정도에 따른 방향 및 속도 신호로 변환시켜 무선송수신부(20)를 통하여 구난 전차(1)의 차량제어부(10)로 신호를 송신해 크레인(22)을 조정한다.
무선 구난 조정장치(20)의 작동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구난 작업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구난 조정장치(20)의 작업 선택부(24)를 이용해 구난 작업에 필요한 것으로 크레인을 작동시킬 수 있는 유압을 작동시키고, 크레인 작업을 할 것인지 윈치 작업을 할지를 선택하여 작업 선택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무선 구난 조정장치(20)의 작업 선택부(24)에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상태표시부(26)에 작동상태를 알 수 있듯이 유압램프가 켜지도록 하여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또한 작업에 중요한 것으로 크레인에 걸린 부하가 얼마가 되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해 알려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구난 작업자는 무선 구난 조정장치(20)의 상태표시부(26)에 나타난 하중이 얼마나 걸리는지에 대한 정보 등을 인지한후에 무선 구난 조정장치(20)의 조정기(29)를 이용해 크레인을 상하 좌우로 작동시켜 작업위치에 맞게 조정한다.
상태표시부(26)를 이용해 구난되는 차량 등의 정보를 인지하지 않고 구난을 할 경우에는 크레인 등이 구난되는 차량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기울거나 쓰러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구난전에 상태표시부(26)를 통해 정보를 인지한 후에 작업을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무선 구난 조정장치(20)의 조정기(29)는 버튼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지만 조정을 쉽게 하기 위해 조이스틱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난 전차(1)의 크레인(2)을 이용해 일차적으로 작업을 끝난 후, 구난 전차(1)의 윈치 등으로 구난된 전차를 견인할 시에는 차량의 외부에서 무선 구난 조정장치(20)를 이용해 작업 선택부(24)의 작동전환버튼 등을 이용해 윈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전환하여 조정기(29)를 작동시키면 쉽게 작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난 전차(1)를 차량의 외부에서 무선 구난 조정장치(20)를 이용해서 작업상태를 보면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행동반경이 더욱 넓어 질뿐만 아니라, 구난 전차(1)의 크레인 등을 쉽게 작동 및 제어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난 전차(1)는 무선 구난 조정장치(20)를 차량의 외부 측에서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난 작업을 실시하면서 상태표시부(26)를 통해 작동상태를 할 수 있어 작업의 정밀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에 의해 구난전차를 이용해 구난 작업시에 차량의 외부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외부에서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2)

  1.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에 있어서,
    구난 전차의 구난장비를 작동시키도록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12) 및 무선송수신부(11) 갖는 차량제어부(10)와;
    상기 차량제어부(10)의 무선송수신부(11)에 양방향신호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인터페이스부(22)를 갖는 무선송수신기(20), 차량 및 구난 상태를 인지시켜 주도록 나타내는 상태표시부(26), 구난전차에 장착된 구난장비를 선택할 수 있는 작업 선택부(24) 및 작업 선택부(24)에 의해 선택된 장비를 작동시키는 조정기(29)로 이루어진 구난조정장치(3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29)는 조이스틱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
KR1020050039180A 2005-05-11 2005-05-11 무선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 KR100610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180A KR100610184B1 (ko) 2005-05-11 2005-05-11 무선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180A KR100610184B1 (ko) 2005-05-11 2005-05-11 무선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0184B1 true KR100610184B1 (ko) 2006-08-09

Family

ID=3718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180A KR100610184B1 (ko) 2005-05-11 2005-05-11 무선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1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643B1 (ko) 2010-11-09 2012-10-29 연합정밀주식회사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
US11691509B2 (en) 2019-04-09 2023-07-04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control apparatus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RU223326U1 (ru) * 2023-06-07 2024-02-13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Мостоукладочная машина мостоукладчик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643B1 (ko) 2010-11-09 2012-10-29 연합정밀주식회사 무선 상호 통화기 세트 단말기를 이용한 전차용 통신 시스템
US11691509B2 (en) 2019-04-09 2023-07-04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control apparatus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RU223326U1 (ru) * 2023-06-07 2024-02-13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Мостоукладочная машина мостоукладчик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7093B2 (en) Remote operation terminal and remote operation system of mobile crane
CN105143088A (zh) 远程控制的起重机
US20090145871A1 (en) Wireless and wired control mechanism for an aerial lift or crane
WO2012028175A1 (de) Funkfernsteuerung mit lagesensorik
EP0965114A1 (en) Crane safety devices and methods
US20210221655A1 (en) Crane
CN111712458A (zh) 具有防撞装置的起重机及用于运行多个起重机的方法
KR100610184B1 (ko) 무선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
KR20110105560A (ko) 타워크레인 하역위치 타겟장치
JP2006290487A (ja) 作業機の無線操縦装置
KR20110004524A (ko) 타워크레인의 충돌 경보장치
CN113291988A (zh) 用于维护起重机的维护方法
US20220227606A1 (en) Work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ork machine
JP2000044167A (ja) 車両搭載用クレーンの遠隔操作器
JP2010235225A (ja) クレーンの操作装置及びクレーン
KR20140122699A (ko)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
EP3369688B1 (en) Load handling crane
CN102602809B (zh) 工程机械的控制系统、方法和工程机械
CN111886195B (zh) 操作系统
KR101502750B1 (ko) 중장비용 무선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6150833A (ja) クレーンのウインチモータ制御装置
KR20230134350A (ko) 크레인 운전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 장치
JP7172092B2 (ja) 作業車両
CN212953963U (zh) 起重机起吊报警装置
JP7069952B2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