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426A -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426A
KR20220040426A KR1020210145513A KR20210145513A KR20220040426A KR 20220040426 A KR20220040426 A KR 20220040426A KR 1020210145513 A KR1020210145513 A KR 1020210145513A KR 20210145513 A KR20210145513 A KR 20210145513A KR 20220040426 A KR20220040426 A KR 20220040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urface
personal mobility
driving
modul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9609B1 (ko
Inventor
최영우
이진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룰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룰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룰로
Priority to KR102021014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60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electronic, e.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96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퍼스널 모빌리티를 통해 주행 중 사용자 기반의 여러 콘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SYSTEM FOR OFFERING DRIVING STATUS OF PERSONAL MOBILITY}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퍼스널 모빌리티를 통해 주행 중 사용자 기반의 여러 콘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이동수단으로써 전동 휠, 전동 킥보드, 전기 자전거 및 초소형 전기차와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PM: Personal Mobility)의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 분야에도 이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공유경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퍼스널 모빌리 관련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전동 킥보드의 경우 특정 지역에 배치된 모빌리티의 코드(QR 코드)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태깅하여 인식하고, 이동 거리나 시간에 따라 과금을 함으로써 이를 공유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전동 킥보드는 소형 모빌리티로서 도로는 물론 좁은 골목길을 비롯하여 여러 통행로를 주행할 수 있음에도 오직 이동 수단으로만 이용될 뿐 이용중 여러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79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241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퍼스널 모빌리티를 통해 주행 중 사용자 기반의 여러 콘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은 퍼스널 모빌리티에 장착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와; 주행 중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센서와; 상기 진동센서의 감지값을 분석하여 노면 상태를 추출하는 노면감시모듈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주행 경로를 추적하는 경로추적모듈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촬영된 영상과, 노면 상태 및 주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는 모빌리티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영상 카메라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방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 카메라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기; 및 상기 전방 카메라의 줌 렌즈(zoom lens)를 조절하는 줌 조절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빌리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조정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방 카메라의 틸팅 각도와 줌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카메라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측방을 촬영하는 측방 카메라; 및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면감시모듈은 상기 진동센서의 진동 크기 및 진동 발생 간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상기 노면 상태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중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센서; 및 상기 진동센서 및 자세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검출값을 참조하여 상기 영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보정하는 보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주행 중인 노면의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센서; 및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경로를 평가하는 경로평가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경로평가모듈은 상기 경로추적모듈에 의해 판독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거리 및 평균 주행 속도와, 상기 조도센서를 통해 검출된 노면의 밝기 정보 및 상기 노면감시모듈에 의해 판독된 노면 상태를 조합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주행한 경로를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해서 도로상의 돌출부 또는 홈부를 검출하고, 상기 돌출부 또는 홈부 검출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를 자동으로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인공지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인공지능모듈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법을 통해서 정상상태의 노면, 돌출부 또는 홈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학습된 판단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중 상용망의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전파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전파 세기를 측정 시간 및 위치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전파측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를 통해 주행 중 촬영한 주변 영상, 다른 공유 이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노면 상태, 목적지에 도달 가능한 최적의 경로나 주행 환경 및 상용망 전파 특성을 비롯한 여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의 적용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을 전동 킥보드에 적용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센서모듈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경로추적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방 카메라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경로평가모듈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퍼스널 모빌리티(PM: Personal Mobility)로서 전동 킥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퍼스널 모빌리티는 그 외 공유 가능한 전동 휠, 전기 자전거 및 초소형 전기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100)은 실시예로서 전동 킥보드(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주행 중 촬영된 영상을 비롯한 각종 컨텐츠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에 제공한다.
컨덴츠를 전송받은 모바일 단말(20)은 브이로그(VLOG: Video + Blog)와 같은 소셜 미디어(30)에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업로드 되는 영상 콘텐츠에는 GPS 위성(40)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각종 콘텐츠는 퍼스널 모빌리티(10)의 공유 서비스 제공자측에 구비된 관리 서버(50)에 업로드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 후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100)은 영상 카메라(110), 센서모듈(120), 노면감시모듈(130), 경로추적모듈(140), 통신모듈(150) 및 모빌리티 제어기(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 카메라(110)는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주행 중 주변을 촬영하도록 전방 카메라(111)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 카메라(110)는 전방 카메라(111) 이외에 후방 카메라(112) 및 측방 카메라(11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120)은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진동센서(121)를 포함한다. 또한 센서모듈(120)은 자세센서(122) 및 조도센서(12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자세센서(122) 및 조도센서(123)는 센서모듈(120) 내에 진동센서(121)와 함께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보정모듈(170), 경로평가모듈(180), 인공지능모듈(190a) 및 전파측정모듈(190b)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161)를 비롯하여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여러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은 전방 카메라(111)로 전방을 촬영하여 사용자 기반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며, 필요시 후방 카메라(112) 및 측방 카메라(113)를 통해 후방 및 측방을 각각 촬영한 영상도 함께 제공한다.
이에 전방 카메라(111) 및 측방 카메라(113)는 박스형 모빌리티 제어기(160)의 전방과 측방에 각각 설치되고, 후방 카메라(112)는 탑승자(사용자)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체 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센서모듈(120)은 진동센서(121)를 포함한다. 진동센서(121)는 노면감시모듈(130)과 함께 노면이 평탄한지 혹은 요철이 심한지 등의 노면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진동센서(121)는 자세센서(122) 및 보정모듈(170)과 함께 영상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보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조도센서(123)는 경로평가모듈(180)과 함께 노면 상태 정보, 경로 상태 정보 및 조도 정보에 각각 가중치를 가한 후 그 결과값을 조합하여 사용자가 주행한 경로에 대한 평가 정보를 제공한다.
인공지능모듈(190a)은 촬영된 이미지에 대해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수행하여 주행 경로상의 노면에 존재하는 과속 방지턱이나 공사 현장 혹은 파인 홈 등을 감시하여 안전 주행이 이루어지게 한다.
전파측정모듈(190b)은 전동 킥보드(10)를 타고 주행한 주행 경로에서 상용망(예: 4G/LTE, 5G)의 전파를 수신하여 전파의 크기 등 수신 환경을 측정한다. 측정된 값은 상용망 공급자 등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10)를 탑승하여 주행 중에 촬영한 주변 영상, 검출된 노면 상태, 목적지 도달 경로 중 최적의 경로 및 상용망 전파 특성 등을 비롯한 여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카메라(110)는 퍼스널 모빌리티(10)(이하, '전동 킥보드'라 함)에 장착되어 주변을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은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 중 어느 것이나 저장 및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카메라(110)는 전방 카메라(111)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 카메라(110)는 후방 카메라(112) 또는 측방 카메라(11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전방, 후방 및 측방 카메라(111 내지 113)를 모두 포함하여 전 방향을 촬영한다.
이러한 영상 카메라(110)는 전동 킥보드의 각 부에 설치된다. 전동 킥보드(10)는 차체 상부에 손잡이 혹은 조작장치(11)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주행제어모듈(12)이 주행을 제어한다. 또한 발판(13)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차륜(W-F, W-B)을 구비하여 배터리 및 모터에 의해 주행된다.
그 중 전방 카메라(111)는 실시예로서 모빌리티 제어기(160)의 전방부에 설치된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는 모빌리티 제어기(160)는 통상 좌우 손잡이나 조작장치(11) 사이의 중심부에 박스 타입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는 코드(예: QR 코드)가 구비된다.
후방 카메라(112)는 사용자가 탑승시에도 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전동 킥보드(10) 차체의 후방에 설치된다. 예컨대, 후륜(W-B) 상부 커버에서 촬영각이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측방 카메라(113)는 전방 카메라(111)와 마찬가지로 모빌리티 제어기(160)의 박스에 설치되며 각각 양측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측방향은 주행 방향에 수직하게 손잡이(11) 쪽을 바라보는 방향이다.
영상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통신모듈(150)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제공된 영상은 사용자가 주행한 경로를 촬영한 영상 콘텐츠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공유될 수 있다.
센서모듈(120)은 전동 킥보드(10)의 주행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센서모듈(120)에 의하여 감지되는 주행 상태에는 주행 중 발생하는 노면에 의한 진동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동 킥보드(10)의 자세 등도 센서모듈(120)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센서모듈(120)은 전동 킥보드(10) 중 센싱값을 측정하기에 각각 최적화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여러 센서들이 하나의 패키지 내에 모듈화될 수 있다.
실시예로 센서모듈(120)은 진동센서(121)를 포함한다. 진동센서(121)에서 검출된 센싱값은 모빌리티 제어기(160)의 제어하에 노면감시모듈(130)에 제공된다. 노면감시모듈(130)은 진동센서(121)의 감지값을 분석하여 노면 상태를 추출한다.
예컨대, 노면감시모듈(130)은 진동센서(121)에서 검출한 진동 크기 및 진동 발생 간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노면 상태를 추출한다. 진동이 크고 진동 발생 간격이 고르지 않으면 노면 상태가 좋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판단 결과는 콘텐츠의 일종인 노면 정보로서 다른 사용자를 위해 공유될 수 있다.
또한, 노면감시모듈(130)은 노면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최대 진동량, 최소 진동량 및 평균 진동량 각각에 대해 가중치를 가한 후 노면 상태 정보의 산출시 추가로 반영할 수 있다.
경로추적모듈(140)은 전동 킥보드(10)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주행 경로를 추적한다.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주행 경로는 GPS 통신모듈(도시 생략)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를 출발부터 도착시간까지 순차로 나열하여 판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전동 킥보드(10)의 위치 정보는 여러 기지국과의 통신을 유지하면서 삼각 측량 기법에 의하거나, 자체에 탑재된 가속센서 및 자이로센서(방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와 같이, 경로추적모듈(140)에 의해 추출된 퍼스널 모빌리티(10)의 경로는 맵(map) 상에 표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는 주행 정보 콘텐츠로서 모바일 단말(20)에 촬영 영상 등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통신모듈(15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한다. 근거리 무선통신은 대표적으로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모바일 단말(20)과 무선통신을 하는 블루투스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모듈(150)은 모빌리티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가 적용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20)이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인 경우 블루투스 4.0을 지원하는 단말이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은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20)을 통해 원격의 서버(30, 50) 등으로 주행 중 생성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전동 킥보드(10)에서 제공하는 통신 환경은 모빌리티의 ID와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정도에 그치거나 음영 지역에 취약하므로, 그 자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대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의 중계에 의한다.
이를 위해 모빌리티 제어기(160)가 탑재된 제어박스의 상면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20)을 장착하는 거치대(HL)를 더 포함하여, 모바일 단말(20)을 장착한 상태에서 통신에 이용한다.
따라서, 촬영된 영상을 비롯한 여러 콘텐츠들이 모바일 단말(20)을 통해 원격의 서버(30, 50)로 제공 및 저장된다. 서버는 VLOG와 같은 소셜 미디어(30) 서버를 포함하며, 그 외 공유 모빌리티 관리 서버(50)도 포함될 수 있다.
모빌리티 제어기(160)는 촬영된 영상, 노면 상태 및 주행 경로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모빌리티 제어기(160)는 전동 킥보드(10)의 주행 중 각종 콘텐츠의 생성을 제어하고, 생성된 콘텐츠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에 제공한다.
이러한 모빌리티 제어기(160)에는 주행제어모듈(12)도 함께 탑재될 수 있다. 주행제어모듈(12)은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모빌리티의 주행을 제어하는 운영 장치로 제어박스 내에 모빌리티 제어기(160)와 함께 구비되거나 하나의 칩셋에 일체로 탑재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카메라(111)는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탑승자)의 모바일 단말(20)을 통해 VLOG와 같은 소셜 미디어(3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업로드되는 영상 콘텐츠에는 GPS위성(40)의 위치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기반한 촬영 영상을 제공하도록, 전방 카메라(111)는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기(111a) 및 줌 렌즈를 조절하는 줌 조절기(111b)를 더 포함한다. 또한 모빌리티 제어기(160)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에서 조정 신호를 수신하여 전방 카메라(111)의 틸팅 각도와 줌을 조절한다.
도 6과 같이 각도 조절기(111a)는 실시예로서 전방 카메라(111)가 회동되게 설치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를 작동시키는 소형 모터를 포함한다. 소형 모터는 배터리(BAT)에서 공급된 동작 전원을 DC-AC 인버터를 통해 공급받는다.
줌 조절기(111b)는 전방 카메라(111)에 구비되며 전후 이동에 따라 줌 조절이 가능한 줌 렌즈를 제어한다. 줌 렌즈는 모터에 의해 전후방으로 작동되어 줌 조절(줌-인/줌-아웃)이 이루어진다.
틸팅 각도 및 줌 조절은 전동 킥보드(10)의 사용 등록을 위해 모빌리티 제어기(160)의 상면에 구비된 코드(QR 코드)를 태깅하여 연동이 이루어진 후, 모바일 단말(20)로부터 송신된 조정 신호에 따라 모빌리티 제어기(160)에서 실행한다.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20)에는 어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조정 신호는 모바일 단말(20)에 탑재된 블루투스 통신모듈(150, BLE_M)을 통해 본 발명의 통신모듈(150, BLE_B)로 전송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나 주행 환경 혹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셋팅값 등과 같이 사용자에 기반한 설정 환경에 따라 전방 카메라(111)의 틸팅 각도 및/또는 줌이 조절된다.
자세센서(122)는 주행 중인 전동 킥보드(10)의 자세를 검출한다. 또한 보정모듈(170)은 진동센서(121) 및 자세센서(12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영상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보정한다.
예컨대, 보정모듈(170)은 진동센서(121)의 검출값으로 전방 카메라(111)에서 촬영한 영상이 진동에 의해 흔들린 것을 보정하고, 자세센서(122)의 검출값으로 주행 중 전동 킥보드(10)의 자세에 의해 기울어진 영상을 보정한다. 즉, 보정모듈(170)은 영상 처리 방식에 의한 흔들림 보정과 자세 보정을 한다.
보정모듈(170)에서의 흔들림 보정과 자세 보정을 통해 영상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보정된 영상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주행 중 흔들림이나 자세가 기울어진 경우에도 높은 품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다만, 보정모듈(170)은 전동 킥보드(10) 자체에 구비될 수 있지만, 원격의 관리 서버(50)에 탑재된 것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촬영된 영상과 센싱값을 함께 전송하여 서버에서 보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조도센서(123)는 전동 킥보드(10)가 주행 중인 노면의 밝기를 측정하고, 경로평가모듈(180)은 조도센서(123)의 검출값을 포함하여 전동 킥보드(10)의 주행 경로를 평가한다.
도 7과 같이, 주행 경로에 대한 평가는 단순히 노면의 상태만을 유추하는 것이 아니라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여러 경로들에 대해 걸리는 시간의 검토 및 노면에 가해지는 조명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다.
이를 위해 전동 킥보드(10)가 주행한 거리(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평균 주행 속도와, 조도센서(123)를 통해 검출된 노면의 밝기 및 노면감시모듈(130)에 의해 판독된 노면 상태를 종합하여 전동 킥보드(10)의 주행 경로를 평가한다.
이때,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거리 및 평균 주행 속도는 상술한 경로추적모듈(14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조도센서(123)의 검출값은 타이머(Ti)에 의한 시각(time) 정보와 함께 제공됨으로써 시간대별(예: 주간 혹은 야간)로 적정한 조명상태인지 판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가된 정보는 퍼스널 모빌리인 전동 킥보드(10)의 사용자에게 제공됨은 물론, 현재 사용자 이외의 다른 공유 이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평가가 좋은 경로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위와 같이 생성된 콘텐츠의 공유시 개인 정보는 보호될 수 있다.
도 2로 다시 돌아가, 인공지능모듈(190a)은 영상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전방 이미지에 대해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하여 도로상에 돌출부나 홈부 등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돌출부 또는 홈부 검출시 전동 킥보드(10)가 자동으로 감속 또는 정지되게 한다.
또한, 전동 킥보드(10)의 서스펜션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예컨대, 실린더 방식의 서스펜션이 장착된 전동 킥보드(10)의 경우 작동 유압(혹은 공압)을 조절하여 장애물 주행에 따른 충격 흡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머신러닝은 전방 카메라(111)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를 분류하는 것으로, 기계학습을 통해 노면(도로)에 존재할 수 있는 각종 장애물이나 위험물 혹은 과속 방지턱 등을 그 주변 물체와 구분한다.
이러한 머신러닝은 비교 가능한 여러 기준 이미지(데이터)로부터 노면 상의 장애물 등을 분류하기 위해 인공 신경망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순환 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에 의해 다수의 블록으로 순차 배열하고, 이에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적용하여 특징점(feature)을 추출하고, 이로부터 장애물 등을 분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미지로부터 판독된 결과에 따라 속도를 줄이거나 자동 정지되도록 강제함으로써, 주행 중 방지턱과 같이 돌출된 것은 물론 파인 홈부나 싱크홀 등에 의한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서스펜션을 조절하여 주행 중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전파측정모듈(190b)은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주행 중 상용망의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전파 세기를 측정하고, 전파 세기를 측정 시간 및 위치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서버 자체의 데이터 저장소나 별도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혹은 각종 메모리 장치로 구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저장소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이나 공유 모빌리티 제공측의 관리 서버(50)가 포함될 수 있다.
측정된 전파 환경은 4G/LTE 및 5G와 같은 상용망에서 스마트폰 가입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역의 전파 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동 킥보드를 타면서 관측한 전파 환경은 상용망 서비스 업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영상 카메라 111: 전방 카메라
111a: 각도 조절기 111b: 줌 조절기
112: 후방 카메라 113: 측방 카메라
120: 센서모듈 121: 진동센서
122: 자세센서 123: 조도센서
130: 노면감시모듈 140: 경로추적모듈
150: 통신모듈 160: 모빌리티 제어기
170: 보정모듈 180: 경로평가모듈
190a: 인공지능모듈 190b: 전파측정모듈
10: 전동 킥보드 20: 모바일 단말(스마트폰)
30: 소셜 미디어 40: GPS위성
50: 관리 서버

Claims (6)

  1.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센서(121)와;
    상기 진동센서(121)의 감지값을 분석하여 노면 상태를 추출하는 노면감시모듈(130)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주행 경로를 추적하는 경로추적모듈(140)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는 통신모듈(150); 및
    상기 촬영된 영상과, 노면 상태 및 주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에 제공하는 모빌리티 제어기(160);를 포함하며,
    상기 노면감시모듈(130)은, 진동 크기 및 진동 발생 간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상기 노면 상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주행 경로를 평가하는 경로평가모듈(18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경로평가모듈(180)은,
    상기 경로추적모듈에 의해 추적된 주행 경로와, 상기 노면감시모듈(130)에 의해 판독된 노면 상태를 조합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가 주행한 경로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가 주행 중인 노면의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센서(123);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로평가모듈(180)은,
    상기 경로추적모듈에 의해 추적된 주행 경로와, 상기 노면감시모듈(130)에 의해 판독된 노면 상태 및 상기 조도센서(123)를 통해 검출된 노면의 밝기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가 주행한 경로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4. 퍼스널 모빌리티(10)가 주행 중인 노면의 밝기를 측정하는 조도센서(123);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주행 경로를 추적하는 경로추적모듈(140)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주행 경로를 평가하는 경로평가모듈(180);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는 통신모듈(150); 및
    상기 노면 상태 및 주행 경로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20)에 제공하는 모빌리티 제어기(160);를 포함하되,
    상기 경로평가모듈(180)은,
    상기 경로추적모듈(140)에 의해 판독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거리 및 평균 주행 속도와,
    상기 조도센서(123)를 통해 검출된 노면의 밝기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가 주행한 경로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주행 중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센서(121)와;
    상기 진동센서(121)의 감지값을 분석해서 노면 상태를 추출하는 노면감시모듈(1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평가모듈(180)은,
    상기 노면감시모듈(130)에 의해 판독된 노면 상태를 더 조합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10)가 주행한 경로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감시모듈(130)은,
    상기 진동센서(121)의 진동 크기 및 진동 발생 간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상기 노면 상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KR1020210145513A 2020-09-23 2021-10-28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KR102529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513A KR102529609B1 (ko) 2020-09-23 2021-10-28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281A KR102379970B1 (ko) 2020-09-23 2020-09-23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KR1020210145513A KR102529609B1 (ko) 2020-09-23 2021-10-28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281A Division KR102379970B1 (ko) 2020-09-23 2020-09-23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426A true KR20220040426A (ko) 2022-03-30
KR102529609B1 KR102529609B1 (ko) 2023-05-09

Family

ID=809479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281A KR102379970B1 (ko) 2020-09-23 2020-09-23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KR1020210145513A KR102529609B1 (ko) 2020-09-23 2021-10-28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281A KR102379970B1 (ko) 2020-09-23 2020-09-23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99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987A (ko) 2022-07-07 2024-01-16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의 주행 환경 판단 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198B1 (ko) * 2013-09-24 2015-05-29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이동형 중계국 주행 경로 설정 방법
KR101768409B1 (ko) * 2017-01-11 2017-08-14 권태원 자전거 조명장치
KR20180025864A (ko) * 2015-06-05 2018-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843306B1 (ko) * 2017-02-22 2018-03-2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용 모빌리티와 자전거의 안전을 위한 스마트 모듈
JP2019096121A (ja) * 2017-11-24 2019-06-20 エヌ・ティ・ティ・コムウェア株式会社 道路画像処理装置、道路画像処理方法、道路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9215699A (ja) * 2018-06-13 2019-12-1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パーソナルモビリティ
US20200124430A1 (en) * 2018-10-19 2020-04-23 Neutron Holdings, Inc. Detecting types of travel corridors on which personal mobility vehicles travel
KR102117983B1 (ko) 2019-03-05 2020-06-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KR102132411B1 (ko) 2020-05-22 2020-07-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KR20200101544A (ko) * 2019-02-19 2020-08-28 이원석 퍼스널 모빌리티 속도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198B1 (ko) * 2013-09-24 2015-05-29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이동형 중계국 주행 경로 설정 방법
KR20180025864A (ko) * 2015-06-05 2018-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68409B1 (ko) * 2017-01-11 2017-08-14 권태원 자전거 조명장치
KR101843306B1 (ko) * 2017-02-22 2018-03-2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용 모빌리티와 자전거의 안전을 위한 스마트 모듈
JP2019096121A (ja) * 2017-11-24 2019-06-20 エヌ・ティ・ティ・コムウェア株式会社 道路画像処理装置、道路画像処理方法、道路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9215699A (ja) * 2018-06-13 2019-12-1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パーソナルモビリティ
US20200124430A1 (en) * 2018-10-19 2020-04-23 Neutron Holdings, Inc. Detecting types of travel corridors on which personal mobility vehicles travel
KR20200101544A (ko) * 2019-02-19 2020-08-28 이원석 퍼스널 모빌리티 속도 제어 시스템
KR102117983B1 (ko) 2019-03-05 2020-06-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KR102132411B1 (ko) 2020-05-22 2020-07-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609B1 (ko) 2023-05-09
KR102379970B1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7281B2 (en) Camera system, method and instructions using images captured by a first mage sensor and a second image sensor to generate a third image corresponding to a simulated lens having an intermediate focal length
CN109212543A (zh) 用于自主车辆操作的校准验证方法
KR102408837B1 (ko) 고속 이미지 판독 및 프로세싱
CN110249609A (zh) 用于自主车辆的带宽约束图像处理
KR20120118478A (ko) 교통 신호 맵핑 및 검출
US116095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ighttime delivery mobile robot with hybrid infrared and flash lighting
KR20230010262A (ko) 경찰차를 활용한 포트홀 실시간 탐지 방법
US20190250615A1 (en) Autonomous Skateboard
CN111492647A (zh) 可调垂直视场
JPWO2019188391A1 (ja) 制御装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210150903A1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server, and mobile terminal
JPWO2020054240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撮像装置、移動体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29609B1 (ko) 퍼스널 모빌리티 주행 상태 제공 시스템
US107066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ing detachable automobile sensor capabilities for environmental mapping
KR20190088119A (ko) 차량의 지도 상의 위치를 보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77575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US202301235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oad condition to provide active suspension function
KR102374016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촬상 장치
CN109955771A (zh) 车辆及其控制方法
US202203837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 mobile vehicle localization in a fleet management system
US20230029497A1 (en) Stranded motorist assistance system
US20230386328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289876B1 (ko) 차량용 방화벽 제공 장치
CN106056949A (zh) 道路表面信息采集和分享装置及相关的采集和分享方法
KR101855400B1 (ko) 자전거에서 양방향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