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983B1 - 유압 작동 가능한 가압 장치, 가압 실시 방법, 전도성 압입 연결부 제조 방법, 전도성으로 가압된 압축 슬리브, 공작물 클램핑 방법 및 유압 장치 - Google Patents

유압 작동 가능한 가압 장치, 가압 실시 방법, 전도성 압입 연결부 제조 방법, 전도성으로 가압된 압축 슬리브, 공작물 클램핑 방법 및 유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983B1
KR102112983B1 KR1020157021458A KR20157021458A KR102112983B1 KR 102112983 B1 KR102112983 B1 KR 102112983B1 KR 1020157021458 A KR1020157021458 A KR 1020157021458A KR 20157021458 A KR20157021458 A KR 20157021458A KR 102112983 B1 KR102112983 B1 KR 102112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al
pressing
hydraulic
piston
pis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4621A (ko
Inventor
이그베르트 프렌켄
Original Assignee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filed Critical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Publication of KR20150104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01R43/0427Hand tools for crimping fluid actuated hand crimping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 Y10T29/49185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of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22Means comprising hand-manipulatable implement
    • Y10T29/53226Fastening by de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 먼저, 유압 실린더 내에서 반동 스프링(21, 23)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 가능하고, 그리고 가압을 실시하기 위한 가압부(24, 27)에 연결된 유압 피스톤(20, 22)을 갖는, 유압 작동 가능한, 특히 핸들헬드 장치로 형성된 가압 장치(1)에 관련되며, 이 경우 상기 유압 피스톤(20, 22)은 유압 압력 하에 있는 유압 수단의 작용에 의해 압착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충돌면을 구비한다. 상기 가압 장치가 간단한 구조에서도 확실히 그리고 공구의 전환 없이도, 특히 케이블 슈와 같은 비교적 크고 작은 공작물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유압 피스톤(20, 22)은 제 1 및 제 2 부분 충돌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부분 피스톤(20, 22)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 충돌면은 동일한 유압 압력을 갖는 유압 수단에 의해 접촉될 수 있으며, 그리고 두 부분 피스톤(20, 22)은 제 1 또는 제 2 가압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의 유압 가압 장치들 및 상이한 방법들에 관련된다.

Description

유압 작동 가능한 가압 장치, 가압 실시 방법, 전도성 압입 연결부 제조 방법, 전도성으로 가압된 압축 슬리브, 공작물 클램핑 방법 및 유압 장치 {HYDRAULICALLY ACTUATABLE PRESSING DEVICE, METHOD FOR PERFORMING PRESSING,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RESS-FIT CONNECTION, ELECTRICALLY CONDUCTIVE PRESSED COMPRESSION SLEEVE, METHOD FOR CLAMPING A WORKPIECE AND HYDRAULIC DEVICE}
본 발명은 맨 먼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유압 작동 가능한, 특히 핸들헬드 장치(handheld device)로 형성된 가압 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계속해서 청구항 8의 전제부에 따른 특징들 및 청구항 10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방법에 관련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청구항 11에 따른 특정하게 형성된 유압 작동 가능한 핸드헬드 가압 장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청구항 12의 전제부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클램핑 방법 및 청구항 13의 전제부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유압 장치에 관련된다.
상기와 같은 가압 장치들과 가압 방법들은 특히 케이블들이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 슈(cable shoe)들을 가압(압착(crimping)으로도 표기됨)하기 위해 사용된다. 공지된 가압 장치의 경우(DE-A1-3235040호 참조), 가압부와 공작물의 접촉에 따라 상기 가압부의 추가 이동 경로의 경로 제한 장치가 작동되고, 이러한 경로 제한 장치는 상기 공작물 접촉 시 위치에서 시작하는, 가압부의 소정의 이동만 허용한다. 이렇게 하여 상이한 크기의 공작물들이 거의 동일한 형태로 가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한 번 가압된 공작물의 경우 두 번째 가압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가압부가 공작물 접촉 시작 시 또 한 번 예정된 경로에 걸쳐 이동하기 때문에 공작물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게다가 압착력이 항상 동일하다. 이 때문에 크기가 작은 공작물들은 일반적으로 지나치게 높은 압착력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도 공작물에서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US-A-5195042호에는 또 다른 가압 공구가 공지되어 있다. 정상적인 압착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가압 공구의 경우 압력 센서가 제공되어 있고, 그 외에 가압부의 최대 이동 경로 제어가 설계되어 있다. 압착해야 할 공구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압착력이 가해지고, 압착해야 할 공구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착력이 가해질 수 있지만, 이러한 상황은 오로지 압착될 공구 측량에 따라 그리고 압력 센서에 의한 압력 측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WO 03/084719 A1호(US 7 254 982 B2호, US 7 412 868 B2호 및 US 7 421 877 B2호도 참조 가능)에 공지된 바에 따르면, 전기 유압식 가압 장치의 작동 피스톤(working piston)은 맨 먼저, 부분 클램핑될 수 있는 지지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그 다음에서야 추가 동작을 통해 가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US 2,968,202 A호에는 가압 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 가압 장치의 경우 제 1 이동-부분 경로 상에서 이동 시 하나의 부분 피스톤만 제 1 가압부에 작용한다. 대조 가능한 선행 기술은 또한 US 2,863,346 A호, US 4,365,401 A호 및 WO 02/00368 A2호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명시한 선행 기술에서부터 출발하여, 유압 작동 가능한, 특히 핸드헬드 장치로 형성된 가압 장치, 또는 일반적으로 간단한 구조에서 그리고 공구의 전환이 필요하지 않으면서, 특히 케이블 슈와 같은 비교적 크고 그리고 비율적으로 작은 공작물들의 확실한 가압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관련한 바람직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공작물을 유효하게 지지하기 위한 유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그리고 상이한 지름의 케이블들과 관련하여 슬리브의 유효한 가압 및 이와 관련한 펠릿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언급한 과제는 맨 먼저 핸드헬드 장치로 형성된 가압 장치와 관련한 청구항 1의 대상에서 해결되며, 이 경우 2개의 부분 피스톤에 의해, 출발 위치에서 정지부에 도달할 때까지의 제 1 부분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주어지는 제 1 이동-부분 경로 상에서 제 2 가압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압 진행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높고 낮은 압착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와 같은 작용은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자동으로 발생된다.
상기 과제는 계속해서, 청구항 8에 따른 가압 실시 방법에서 해결되며, 이 경우 압착력을 규정하기 위해 피스톤의 유효 충돌면 변경이 제어되고, 제 1 또는 제 2 이동-부분 경로에서 가압-최종 위치 도달 여부와 무관하게, 가압부에 영향을 미치는 피스톤의 유효 충돌면에 자체 최대 압력이 가해진다.
상기 과제는 또한, 청구항 10의 특징들에 따른 전도성 압입 연결부 제조 방법에서 해결되며, 이 경우 자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내부 지름을 갖는 압축 슬리브가 이러한 압축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 놓인, 상이한 지름의 케이블들을 갖는 2개의 영역에서, 동일한 압출 다이의 외부로 압축 슬리브에 작용하는 두 번의 반복된 작용에 의해, 즉 상기 압축 슬리브의 길이에 걸쳐 나란히 늘어서서 그리고 상대적으로 큰 지름의 케이블 또는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케이블의 가압될 단부 영역에 각각 할당되는 방식으로, 상기 두 번의 작용 시 상이한 압력으로 가압되고, 이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케이블은 동일한 유압 실린더 내에 배치된 2개의 부분 피스톤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낮은 압착력으로 가압되며, 이때 상기 2개의 부분 피스톤은 상이한 크기의 부분 충돌면을 갖고 동일한 유압 압력에 의해 작동되며, 이 경우 제 2 부분 피스톤은 제 1 부분 피스톤에 상대적으로 크기(c)만큼 이동 가능하고, 그리고 제 1 부분 피스톤은 하우징에 고정된 유압 실린더에 상대적으로 크기(d)만큼 이동 가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두 부분 피스톤은 크기(d)에 상응하는 제 1 이동-부분 경로에 걸쳐 제 2 가압부에 공동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반면, 제 1 이동-부분 경로보다 큰 가압부의 이동 경로를 가능하게 하는 공작물들에서 제 2 가압부는 제 2 부분 피스톤에 의해서만 작동 가능하며, 이 경우 계속해서 2개의 부분 피스톤은 각각 제 1 또는 제 2 가압부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제 1 가압부는 제 2 가압부에 의해 완전히 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있다.
핸드헬드 가압 장치의 용도와 관련하여, 상기 과제는 청구항 11의 대상에서 해결되며, 이 경우 무엇보다도 케이블들은 상이한 지름을 갖고, 압출 다이-압입부들은 동일하며, 그리고 상기 압출 다이-압입부들은 한편으로는 크기가 큰 횡단면의 케이블 및 다른 한편으로는 크기가 작은 횡단면의 케이블 가압 시 상이한 압착력 작용에 의해 그리고 상이한 깊이로 압축 슬리브 내로 몰딩되고, 이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케이블에 할당된 압출 다이-압입부는 상대적으로 큰 지름의 케이블에 할당된 압출 다이-압입부보다 더 깊이 상기 압축 슬리브 내로 몰딩된다.
그 밖에 공작물을 클램핑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는 청구항 12의 대상에서 해결되며, 이 경우 주요하게는, 제 1 및 제 2 클램핑부가 제공되고, 제 1 및 제 2 부분 피스톤이 제공되며,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 피스톤은 공동 유압 실린더 내에서 개개의 반동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서로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2개의 부분 피스톤 중 제 1 부분 피스톤은 공작물을 클램핑하기 위해 제 1 클램핑부를 이동시키며, 이 경우 계속해서 부분 피스톤들에 유압 매체 공급 시 2개의 부분 피스톤은 동시에, 제 1 부분 피스톤이 제 2 부분 피스톤보다 선행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공작물 클램핑이 주어지는 클램핑 위치까지 이동되며, 그리고 상기 부분 피스톤들의 이동은 상기 클램핑 위치에서 종료된다.
마지막으로 청구항 13에 따라 유압 장치와 관련한 과제가 해결되며, 상기 유압 장치의 경우 제 1 및 제 2 클램핑부가 제공되고, 그리고 공동 유압 실린더 내에서 개개의 반동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서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제 1 및 제 2 부분 피스톤이 제공되며, 이 경우 상기 제 1 클램핑부는 공작물 클램핑을 위해 상기 제 1 피스톤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계속해서 상기 부분 피스톤들에 유압 매체 공급 시 2개의 부분 피스톤은 제 1 부분 피스톤이 제 2 부분 피스톤보다 선행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공작물 클램핑이 주어지는 클램핑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부분 피스톤들의 이동은 클램핑 위치에서 종료될 수 있으며, 이 경우 2개의 부분 피스톤 중 하나의 피스톤만 또는 이와 관련한 클램핑부 또는 가압부만 공작물에 접함으로써, 공작물의 소정의 이동 시 상기 공작물에 접한 가압부 또는 클램핑부가 탄성적으로 변환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유압 매체에 의해 이 경우 자체 반동 스프링으로 인해 다소 편향될 수 있는 다른 하나의 부분 피스톤에 대한 압력 보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가압 장치와 관련하여서는 부분 피스톤들이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서로 상대방 속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부분 피스톤은 상응하게 내부 영역에만 할당되는 반면, 다른 하나의 부분 피스톤은 외부 영역에만 할당된다. 이러한 점은 상기 부분 피스톤들에 의해 이동되는 가압부들과 관점에서 동일하게 주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제 1 부분 피스톤이 제 2 부분 피스톤용 제 2 유압 실린더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부분 피스톤은 제 1 부분 피스톤의 원통형 내부 공간에 대하여 밀폐되어 있고 이동된다. 제 2 부분 피스톤은 제 1 부분 피스톤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그리고 또한 제 1 유압 실린더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때 상기 유압 실린더 내에는 2개의 부분 피스톤이 함께 수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부분 피스톤에는 하나의 고유한 가압부, 즉 제 1 및 제 2 가압부가 할당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동 구간, 특히 언급한 제 1 이동-부분 경로에 상응하는 이동 구간의 일부분에 걸쳐, 2개의 부분 피스톤이 제 1 가압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전술한 더욱 바람직한 경우와 같이, 제 1 부분 충돌면이 제 2 부분 충돌면보다 크게 설계되어 있는 경우, 제 1 이동-부분 경로 내에서 제 1 부분 피스톤은 선행하여 이동한다. 이 점에 있어서는 제 1 부분 피스톤에 할당된 제 1 가압부가 제 1 이동 구간, 특히 언급한 제 1 이동-부분 경로에 걸쳐, 제 2 부분 피스톤에 할당된 제 2 가압부, 그리고 제 1 가압부에 영향이 미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언급한 가압부들은 예를 들어 서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가압부가 제 1 가압부용 정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가압부가 언급한 상태에서 우선하여 이동하면, 이로 인해 제 2 가압부 및 그와 더불어 제 2 부분 피스톤은 필연적으로 함께 움직인다.
제 2 부분 피스톤이 제 1 유압 실린더, 즉 근본적으로 2개의 부분 피스톤이 수용되어 있는 유압 실린더와 관련하여, (이 경우 제 2 부분 피스톤은 제 1 부분 피스톤 때문에 단지 간접적으로라도), 제 1 부분 피스톤보다 더 선행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2 부분 피스톤은 제 1 부분 피스톤을 넘어서서 이동할 수 있고, 할당된 제 2 가압부는 특히 언급한 제 2 이동-부분 경로 상에서 더 멀리 이동하지 않은 제 1 가압부에 비해 더 멀리 이동할 수 있다.
부분 충돌면들과 관련하여서는, 제 1 부분 충돌면이 제 2 부분 충돌면보다 작게 설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부분 충돌면이 특히 이미 관찰한 바와 같이, 제 2 부분 충돌면보다 크게 설계될 수도 있다. 제 1 부분 충돌면이 제 2 부분 충돌면보다 작고, 또한 각각 제 1 또는 제 2 부분 피스톤에 작용하는 반동 스프링들의 복원력이 동일하거나 또는 반대 작용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선택된 경우, 작동 시에서 맨 먼저 제 2 부분 피스톤이 선행한다. 그 다음 제 2 부분 피스톤에 의해 작동되는 제 2 가압부가 공작물에 부딪히면, 아직 공작물과 접촉하지 않은 제 1 가압부가 더 선행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공작물에 대해 공동으로 작용할 때까지 상기와 같은 선행 이동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 1 가압부가 제 1 이동-부분 경로의 단부에 도달함에 따라 더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2개의 부분 피스톤은 각각 할당된 고유의 제 1 또는 제 2 반동 스프링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반동 스프링들은 또한 자체 복원력 관점에서 상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유압 가압 장치의 작동 시에는 또한, 제 1 또는 제 2 부분 피스톤의 이동 또는 유압 수단 공급이 이를테면 소정의 제 1 힘까지만 발생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조작 버튼이 눌러진 동안만 발생된다. 제 1 힘이 달성되거나 조작 버튼이 해제되면, 제 1 유압 실린더 내로 유압 수단의 추가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 결과 가압부들이 추가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는 예를 들면 공작물을 우선 클램핑하고, 그러나 경우에 따라 완전히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부분 피스톤 형태로 된 유압 피스톤의 형성은, 한 부분 피스톤이 상기와 같은 지지 위치에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과 관련하여 야기된다. 예를 들어 제 2 부분 피스톤이 공작물 클램핑 위치에 있고, 제 1 부분 피스톤이 아직 제 1 이동-부분 경로의 단부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 2 가압부에 압력 공급 시 유압 수단 내에서 압력 상승이 발생되고, 이러한 압력 상승은 본 발명에서 가정한 바와 같이, 제 1 가압부가 공작물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제 1 부분 피스톤의 반동 스프링에 대항하여 상기 제 1 부분 피스톤의 이동을 야기할 수 있다.
가압부는 특히 크림핑 다이(crimping die)일 수 있다.
2개의 가압부, 즉 제 1 및 제 2 가압부는 전체 크림핑 다이에 보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가압부는 전체 크림핑 다이의 중앙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그리고 제 1 가압부는 전체 크림핑 다이의 외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방법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또는 제 2 이동-부분 경로 내에서 가압 최종 위치에 도달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가압부에 영향을 미치는 피스톤의 유효한 충돌면에 자체 최대 압력이 가해진다. 이러한 상황은 상응하게 특히, 상기와 같은 이동을 위한 장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 피스톤이 2개의 부분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발생한다.
또한, 압착력 제어가 피스톤의 유효한 충돌면 변경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특히 압착력 제어가 센서 없이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며, 그리고 제어가 전적으로 피스톤의 유효한 충돌면의 언급한 변경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가압 장치 관점에서 전술한 그리고 후술되는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공작물을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유형의 유압 장치와도 관련된다. 예를 들면, 이는 유압 압출 다이에 관계되며, 상기 유압 압출 다이는 한 편으로는 공작물만 지지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공작물은 예컨대 (유압 장치 또는 추가 유압 압출 다이와 무관하게) 지지면에 의해 지지된다.
하기에서는 또한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며, 그러나 이 경우 도면은 단지 실시예만을 나타낸다.
도면에 대한 설명:
도 1은 가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가압 장치의 좁은 측을 도시한 관련 도면이며;
도 3은 가압 장치의 넓은 측을 도시한 관련 도면이고;
도 4는 크기가 큰 공작물이 삽입된 경우, 상부 영역에서 가압 장치를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5는 공작물과의 제 1 접촉에 도달할 때까지 부분 피스톤의 이동을 도시한 도 4에 따른 도면이고;
도 6은 최대 압착력에 도달 시 도 4에 따른 가압 장치이며;
7은 크기가 작은 공작물이 삽입된 도 4에 따른 도면이고;
도 8은 가공물과의 제 1 접촉에 도달할 때까지 부분-가압 피스톤의 이동 후, 공작물이 삽입된 도 7에 따른 가압 공구이며;
도 9는 최대 압착력에 도달 시 도 7에 따른, 공작물을 구비한 가압 공구의 도면이고;
도 10은 공작물과 관련한 클램핑 위치에서 유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작은 지름을 갖는 전도체가 삽입된 압축 슬리브의 횡단면도이고;
도 12는 가압 후 도 11에 따른 클램핑 슬리브이며; 그리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가압된 압축 슬리브의 평면도이다.
수공구(hand tool)로 형성된 가압 장치(1)가 도시되고 설명된다. 상기 가압 장치(1)는 그립핑 영역(2)을 가지며, 상기 그립핑 영역은 예를 들면 자체 길이 방향 연장부와 관련한 손의 폭에 적합하게 조정되어 있다. 상기 그립핑 영역에는 제어 스위치(3)가 할당되어 있다.
도시된 가압 장치(1)는 어큐뮬레이터(4)를 구비한 전자 유압식으로 작동 가능한 가압 장치(1)이다. 상기 어큐뮬레이터(4)는 가압 장치의 작동 단부(5)에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가압 장치(1)는 길게 연장된 형태로, 즉 바 형상(abr shape)에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다.
대안적으로는 케이블이 연결된 유압잭(hydraulic jack)이 다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작동 장치는 상기 유압잭에서 멀리 떨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 그 밖에는 추가 도면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압 장치(1)는 가압부(6)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가압부는 실시예에서 크림핑 다이로서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가압 장치(1)는 가압-대응 정지부(7)를 가지며, 예를 들면 도 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대응 정지부에 면하여 가압될 공작물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대응 정지부(7)는 실시예에서 제 1 선회부(9)의 부분, 즉 상기 제 1 선회부의 부분은 제 2 선회부(10)와 함께 상호 로킹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 1 선회부의 부분과 제 2 선회부는 각각 선회 조인트(11, 12)에 의해 장치 헤드(13)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장치 헤드(13)에서 예를 들면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밀폐된 - 그러나 측면은 개방된 - 지지 가이드가 주어진다.
추가로 도 4에 따른 횡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압 장치(1)는 더 상세하게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 모터(14)를 가지며, 상기 전기 모터는 바람직하게 기어 박스(15)를 통해서 펌프(16)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펌프(16)에 의해서는 제 1 유압 실린더(17) 내에 주어진 실린더 챔버에 유압 수단,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유압 작동유(hydraulic oil)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유압 수단은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펌프(16) 및 리턴 밸브(18)를 둘러싸는 유압 수단 탱크(19)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기어 박스, 펌프 및 리턴 밸브의 예상 형성과 관련한 추가의 세부 사항은 WO-A1 02/95264호(US 7 086 979 B2호), WO-A1 99/04165(US 6 202 663 B1호) 및 WO-A1 99/19947호(US 6 276 186 Bl호, US 6 401 515 B2호)를 참조할 수 있다.
제 1 유압 실린더(17)에는 제 1 유압 피스톤(20)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제 1 유압 실린더(17)는 실린더 길이 방향 축(A)을 갖는다. 상기 제 1 유압 피스톤(20)은 상기 실린더 길이 방향 축(A)에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유압 피스톤(20)은 추가로 유압 압력 저하 시 또는 유압 수단 배출 시 제 1 반동 스프링(21)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출발 위치로 리턴될 수 있다.
제 1 유압 피스톤(20)은 추가로 제 1 충돌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충돌면은 제 1 유압 피스톤(20) 지름 크기의 차, 즉 외부 지름(a)과 내부 지름(b)의 크기 차로부터 주어진다.
부분 피스톤으로 형성된 제 1 유압 피스톤(20)은 실시예에서는 자신의 내부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자신의 내부 중앙에서 제 2 유압 피스톤(22)을 가이드 한다. 제 2 유압 피스톤(22)은 고유한 부분 충돌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유압 피스톤의 부분 충돌면은 지름 크기(b)에 의해 결정된다. 상응하게 실시예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부분 충돌면들은 원형 또는 원형 링 모양으로 주어진다. 제 2 부분 피스톤으로도 표기될 수 있는 제 2 유압 피스톤(22)은, 근본적으로 제 1 유압 피스톤(20)의 관점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반동 스프링(23)에 대항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가압 실시 후 자신의 출발 위치로 리턴할 수 있다.
제 1 유압 피스톤(20)은 제 1 가압부(24)와 연결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압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가압부는 실린더 바닥부(26)에 있는 관통 개구로부터 나오거나, 또한 비작동 상태에서 상기 관통 개부로부터 돌출한다. 제 2 부분 피스톤(22)은 마찬가지로 피스톤 로드 내부로 연장되는데, 상기 피스톤 로드는 다른 한편으로는 제 2 가압부(27)로서, - 실시예에서 또한 바람직하게 - 둘레가 밀폐된 가압 챔버(R)(예를 들면 도 3 참조) 내에 마찬가지로 비사용 상태로 있다.
제 1 가압부(24)는 실시예에서 축 방향으로 제 2 가압부(27)에 의해 완전히 오버랩되어 있다. 그 밖에 대안적인 실시예(도 4의 파선 표시(24') 참조, 또 다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음)에서 제 1 가압부(24)는 실린더 길이 방향 축(A)에 횡방향으로 제 2 가압부(27)보다 돌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추가로 도 4에 따른 출발 상태에서 제 2 가압부(27)와 포개어 끼워지는 방식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압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부분 피스톤(20 및 22)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서로 상대방 속으로 가이드된다. 이 경우 특별히, 각각 출발 위치에서 (도 4 참조), 제 2 피스톤 로드와 관련하여 제 2 부분 피스톤(22)은 제 1 부분 피스톤(20)의 피스톤 로드와 관련하여 제 1 부분 피스톤(20)보다 돌출한다.
제 1 부분 피스톤(20)은 상응하게 제 2 부분 피스톤(22)을 위해 제 2 유압 실린더를 형성한다. 제 2 부분 피스톤(22)은 크기(c)만큼 제 1 부분 피스톤(20)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반면, 제 1 부분 피스톤(20)은 크기(d)만큼 하우징에 고정된 제 1 유압 실린더(17)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응하게 제 2 부분 피스톤(22)은 전체적으로 크기(c 및 d)들의 합만큼 최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크기(d)는, 정지부(27)가 실린더 바닥부(26)로부터 출발하여, 제 1 유압 실린더(17)에서, 즉 가압 공정을 실시할 때 부분 피스톤의 이동 방향에 반대로 연장됨으로써 조절된다. 상기 정지부는 바람직하게 실시예에서 슬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크기(d)는 또한 비교적 쉽게 변경될 수 있는데, 즉 상이한 연장부를 갖는 정지부(28)를 삽입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2개의 부분 피스톤(20, 22)에 의해서는 크기(d)에 상응하는 제 1 이동-부분 경로에 걸쳐 제 2 가압부(27)에 공동으로 영향이 미칠 수 있다. - 최대 압착력에 도달할 때까지 - 제 1 이동-부분 경로보다 큰 가압부(27)의 이동 경로를 가능하게 하는 공작물(8)들에서, 제 2 가압부(27)는 제 2 부분 피스톤(22)에 의해서만 작동될 수 있다.
제 2 부분 피스톤(22)은 나타난 바와 같이 상응하게, 제 1 부분 피스톤(20)보다 더 선행 이동할 수 있으며, 그러나 이 경우 실시예에서 그리고 나타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제 2 부분 피스톤(22)에 유효하고, 그리고 제 1 부분 피스톤(20)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유압 실린더와 관련한 크기(c)에 따라 상대 이동 구간이 제 1 부분 피스톤(20)의 최대 이동 구간의 크기(d)보다 작다.
크기(a 및 b)에 의해 주어진 부분 충돌면들은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제 1 부분 피스톤(20)에 할당된 제 1 부분 충돌면이 제 2 부분 피스톤(22)의 제 2 부분 충돌면보다 큰 방식으로 선택되었다.
통상적으로 그리고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가령 크기(d 또는 c)에 상응하는 제 1 또는 제 2 부분-이동 경로의 연장부와 함께 선형으로 증가하는 반동 스프링들의 복원력은 바람직하게, 제 2 반동 스프링(23)의 복원력이 제 1 반동 스프링(21)의 복원력보다 큰 방식으로 선택되었다.
가압 장치(1)에는,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서 가압 챔버(R)에는 상이한 크기의 공작물(8)들, 다시 말하자면 실시예에서, 상이한 크기로, 즉 가압 섹션에서 상이한 크기의 지름을 갖는 공작물들, 즉 케이블 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슈(29)는 수용 챔버(30)를 갖고, 상기 수용 챔버에는 실시예에서는 피복이 벗겨진, 케이블(31)의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케이블 슈(29)의 수용 챔버(30)에 작용하는 가압 작용으로 인해 케이블(31)은 케이블 슈(29)와 전도성으로 그리고 고정 연결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 수용 챔버(30)의 외부 지름과 관련하여 - 비교적 크기가 큰 케이블 슈의 가압을 도시한다. 가압 장치(1) 작동 시 전기 모터(14)에 의해, 예컨대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 직렬 연결된 기어 박스(15) 및 펌프(16)에 의해 유압 수단, 본 발명의 경우 유압 작동유가 제 1 유압 실린더(17) 내로, 또한 경우에 따라 제 2 유압 실린더 내로 주입된다. 제 1 또는 제 2 부분 피스톤(20 또는 22)의 이동이 증가함에 따라, 반동 스프링들의 역압(counter pressure)으로 인해 유압 수단 챔버 또는 실린더 챔버 내에서 압력이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주요압력 증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압부(27)와 케이블 슈(29)의 제 1 접촉이 이루어지면 시작한다. 이 경우 제 1 부분 피스톤(20)이 정지부(28)에 아직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2개의 부분 피스톤(20, 22)은 계속해서 크림핑될 케이블 슈(29) 방향으로 이동한다.
부분 피스톤(20, 22)들의 이동은 최대 압착력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도 6 참조). 상기 최대 압착력은 실시예에서 자동으로 반응하는 리턴 밸브(이와 관련하여 세부적인 내용은 언급한 WO-A1 99/19947호(US 6 276 186 B1호, US 6 401 515 B2호 참조)가 반응함으로써 주어진다.
그러나 이와 달리, 예를 들어 압력 측정은 유압 수단의 압력과 관련하여 실린더 챔버 내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제 1 또는 제 2 부분 피스톤의 피스톤 샤프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측정된 압력에 따라 유압 피스톤의 리턴 동작은 예를 들면 리턴 밸브의 개방 동작, 특히 모터에 의한 개방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리턴 밸브(18)가 유압 수단의 달성된 압력에 따라서만 자동 반응한 경우, 즉 개방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는 유압 수단이 역류하고, 실린더 챔버에서 압력이 강하하며, 그리고 반동 스프링들에 의해 피스톤들이 도 4에 따른 그들의 출발 위치로 되돌아간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적 크기가 작은 케이블 슈(32)의 경우, 제 2 가압부(27)가 그의 가압 최종 위치(도 9)에 도달하기 전에 제 1 부분 피스톤(20)은 이미 정지부(28)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부분 피스톤(20)이 상기와 같은 가압 공정 진행 중에 정지부(28)에 배치되는 즉시, 압착력은 계속해서 제 2 유압 피스톤(22)의 부분 충돌면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그 외에 어떠한 경우든, 정지부(28)에 제 1 부분 피스톤(20)이 접하면 제 1 가압부(24)에 비해 제 2 가압부(27)의 텔레스코픽식 선행 이동이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또한 이미 가압 공정 진행 중에 상기와 같은 텔레스코픽 과정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은 반동 스프링(21, 23)들의 힘에 따라서도 나타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큰 공작물, 본 발명의 경우 크기가 큰 케이블 슈 가압 시, 가압부는 가압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공작물(8)보다 짧은 이동 경로 상에서만 이동하게 된다. 가압부(24 또는 27)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압착력은 상응하게 이동 경로 상에서 가압부(24 또는 27)의 위치에 따라 제어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서 정지부(28)의 위치에 의해 제어되며, 그 결과 오로지 제 1 이동-부분 경로 내 가압 위치에서만 압착부(24 및/또는 27)에 의해 최대 압착력이 가해진다. 실시예에서, 제 1 이동-부분 경로는 예를 들면 도 7에 따른 출발 위치로부터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정지부(28)에 도달할 때까지 제 1 유압 피스톤(20)의 이동 경로에 의해 결정된다. 제 1 이동-부분 경로에 후속하는 제 2 이동-부분 경로 내 가압 최종 위치에서는, 그와 달리 최대 압착력에 비해 약간 낮은 부분 압착력이 가해지고, 상기 부분 압착력은 실시예에서 크기에 상응하는 제 2 유압 피스톤(22)의 유효한 부분 충돌면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유압 압력이 동일한 경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충돌면은 또한 상대적으로 적은 힘만 야기한다.
도 10에는 유압 장치, 더 상세하게는 유압 가압 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공작물(8) 클램핑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클램핑부로만 작동하도록 주어질 수 있는 제 2 가압부(27)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제 1 가압부 또는 클램핑부(24)보다 선행 이동한다.
언급한 가압부 또는 클램핑부(24, 27)들은 전술한 부분 피스톤(20, 22)들과 연결되어 있다. 2개의 부분 피스톤(20, 22)들은 공동의 유압 실린더(27) 내에서 회수 방향으로 약간 더 이동하는데, 이 경우 제 2 클램핑부(27)에 영향을 주는 제 2 부분 피스톤(22)이 제 1 클램핑부(24)에 영향을 주는 제 1 부분 피스톤(20)보다 선행하여 이동한다.
실제로는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또한 제 2 클램핑부(27)만 공작물(8)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2개의 클램핑부(24, 27)가 공작물(8)을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상기 공작물에 동시에 작용할 수도 있다.
언급한 부분 피스톤들 또는 클램핑부들의 이동은 도 10에 나타난, 제 2 클램핑부(27)가 공작물(8)을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데 한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공작물 가압은 작동 버튼의 누름을 해제함으로써, 그 밖에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한 클램핑 압력에 도달함으로써 자동으로 발생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는 부분 피스톤들의 이동이 종료될 수 있다. 추가 동작을 위해, 이러한 경우 예컨대 공작물의 후속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특별한 동작을 위해, 가령 리턴 버튼을 작동시킴으로써 클램핑된 공작물이 다시 해제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는 압축 슬리브(33)가 도시되어 있는데, 우선 도 11에는 가압 이전의 출발 상태에 있는 압축 슬리브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압축 슬리브(33)는 동일한 지름을 갖는 관 모양의 부품으로서 주어진다.
마주 놓인 2개의 측면에서 볼 수 있듯이, 압축 슬리브(33) 내부로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거나 작은 지름의 케이블(31 및 34)들이 삽입되어 있다. 도시된 케이블(34)의 경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압축 슬리브(33)의 내부면에 대해 확연히 방사 방향인 자유 공간이 주어진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케이블과 관련하여서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케이블은 바람직하게 그 자체로 다수의 연선(stranded wire)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이한 지름과 관련하여서는 통용되고 있는 상이한 케이블 횡단면이 언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 35㎟ 및 16㎟, 95㎟ 및 16㎟, 185㎟ 및 70㎟, 120㎟ 및 95㎟의 크고/작은 지름의 쌍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추가로 또 다른 변형예들, 즉 예를 들면 70㎟ 및 16㎟, 120㎟ 및 95㎟ 등의 변형예들도 사용될 수 있다.
중요하게는, 압축 슬리브(33)의 길이(L)에 걸쳐,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한 2개의 압출 다이-압입부(35, 36)가 나란히 늘어서서 형성되어 있다. 이는 한 편으로는 크기가 큰 횡단면 케이블(31) 및 다른 한편으로는 크기가 작은 횡단면의 케이블(34) 가압 시 상이한 압착력 작용으로 얻어진다.
각각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압 압입부(35, 36)들 영역에서 압축 슬리브는 확연히 변형되는데, 그러나 이때 상기 압축 슬리브의 파손은 일어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 장치의 바람직한 사용으로 인해서는 또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거나 작은 횡단면을 갖는 가압된 도체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거나 높은 압착력이 자동 설정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출원서에 의해 전체적으로 파악된 발명들의 설명에 사용되며, 상기 발명들은 적어도 하기의 특징 조합으로 인해 선행 기술을 각각 독자적으로 개선하며, 더 상세히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유압 작동 가능한 가압 장치로서, 상기 가압 장치는 유압 피스톤(20, 22)이 제 1 및 제 2 부분 충돌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부분 피스톤(20, 22)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 충돌면은 동일한 유압 압력을 갖는 유압 수단에 의해 접촉될 수 있으며, 그리고 두 부분 피스톤(20, 22)이 제 1 또는 제 2 가압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식 가압 장치로서,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부분 피스톤(20, 22)들이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서로 상대방 속으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식 가압 장치로사,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제 1 부분 피스톤(20)이 제 2 부분 피스톤(22)용 제 2 유압 실린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식 가압 장치로서, 상기 가압 장치는 2개의 부분 피스톤(20, 22)이 부분 이동 구간에 걸쳐 상기 제 2 가압부(27)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부분 피스톤(22)이 제 1 유압 실린더(17)의 관점에서 상기 제 1 부분 피스톤(20)보다 더 선행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식 가압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부분 충돌면들이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부분 충돌면이 상기 제 2 부분 충돌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식 가압 장치로서, 상기 가압 장치는 2개의 부분 피스톤(20, 22)이 제 1 반동 스프링(21) 또는 제 2 반동 스프링(23)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식 가압 장치로서, 상기 가압 장치는 상기 가압부(24, 27)가 크림핑 다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을 실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가압부(24, 27)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압착력이 이동 경로 상에서 상기 가압부(24, 27)의 위치에 따라 미리 주어짐으로써, 상기 가압부(24, 27)에 의해 제 1 이동-부분 경로 내 가압 최종 위치에서만 최대 압착력이 가해지고, 그리고 상기 제 1 이동-부분 경로에 후속하는 제 2 이동-부분 경로 내 가압 최종 위치에서만 상기 최대 압착력에 비해 작은 부분 압착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가압 작용의 종료가 유압 피스톤(20, 22)에 작용하는 미리 주어진, 유압 수단의 압력에 도달함으로써 결정되고,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 1 또는 제 2 이동-부분 경로에서 가압 최종 위치 달성 여부에 상관없이 가압부(24, 27)에 영향을 미치는 피스톤의 유효 충돌면에 자체 최대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압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압착력을 규정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의 유효 충돌면 변경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도성 압입 연결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자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내부 지름을 갖는 압축 슬리브(33)가 이러한 압축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 놓인 2개의 영역에서 상이한 지름의 케이블들과 함께, 동일한 압출 다이의 두 번의 작용에 의해 외부로부터 압축 슬리브(33)에, 상기 압축 슬리브의 길이에 걸쳐 나란히 늘어서서 그리고 각각 크기가 큰 지름의 케이블 또는 크기가 작은 지름의 케이블의 가압될 단부 영역에 할당되는 방식으로, 상기 압출 다이의 두 번의 작용 시 상이한 압착력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도성으로 가압된 압축 슬리브로서, 상기 압축 슬리브는 케이블들이 상이한 지름을 가지며, 상기 압출 다이-압입부(35, 36)들이 동일하며, 그리고 상기 압출 다이-압입부(35, 36)들이 상이한 깊이로 상기 압축 슬리브 내로 몰딩되며, 이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케이블에 할당된 압출 다이-압입부는 상대적으로 큰 지름의 케이블에 할당된 압출 다이-압입부보다 더 깊이 상기 압축 슬리브 내로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작물을 클램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 1 및 제 2 클램핑부가 제공되고, 제 1 및 제 2 부분 피스톤이 제공되며,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 피스톤은 공동의 유압 실린더 내에서 개개의 반동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서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2개의 부분 피스톤 중 제 1 부분 피스톤이 공작물을 클램핑하기 위해 제 1 클램핑부를 이동시키며, 이 경우 계속해서 부분 피스톤들에 유압 매체 공급 시 2개의 부분 피스톤은 제 1 부분 피스톤이 제 2 부분 피스톤보다 선행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공작물 클램핑이 주어지는 클램핑 위치까지 이동되며, 그리고 상기 부분 피스톤들의 이동이 클램핑 위치에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제 1 및 제 2 클램핑부가 제공되고, 제 1 및 제 2 부분 피스톤이 제공되며,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 피스톤은 공동의 유압 실린더 내에서 개개의 반동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서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 경우 상기 제 1 부분 피스톤이 공작물을 클램핑하기 위해 제 1 클램핑부를 이동시키며, 이 경우 계속해서 부분 피스톤들에 유압 매체 공급 시 2개의 부분 피스톤은 제 1 부분 피스톤이 제 2 부분 피스톤보다 선행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공작물 클램핑이 주어지는 클램핑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부분 피스톤들의 이동이 클램핑 위치에서 종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가압 장치
2: 그립핑 영역
3: 제어 스위치
4: 어큐뮬레이터
5: 작업 단부
6: 가압부
7: 대응 정지부
8: 공작물
9: 제 1 선회부
10: 제 2 선회부
11: 선회 조인트
12: 선회 조인트
13: 장치 헤드
14: 전기 모터
15: 기어 박스
16: 펌프
17: 유압 실린더
18: 리턴 밸브
19: 유압 수단 탱크, 유압 수단 챔버
20: 제 1 유압 피스톤
21: 제 1 반동 스프링
22: 제 2 유압 피스톤
23: 제 2 반동 스프링
24: 제 1 가압부
25: 관통 개구
26: 실린더 바닥부
27: 제 2 가압부
28: 정지부
29: 케이블 슈
30: 수용 챔버
31: 케이블
32: 케이블 슈(작은 크기)
33: 압축 슬리브
34: 케이블
35: 압출 다이-압입부
36: 압출 다이-압입부
A: 실린더 길이 방향 축
R: 가압 챔버
a: 지름
b: 지름
c: 크기
d: 크기

Claims (14)

  1. 유압 실린더 내에서 반동 스프링(21, 23)의 힘에 대항하여 실린더 길이 방향 축(A)에 동축으로 이동 가능하고,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피스톤 로드(piston rod)를 통해서 가압을 실시하기 위한 가압부(24, 27)에 연결된 유압 피스톤(20, 22)을 갖는, 유압 작동 가능한 가압 장치(1)로서,
    상기 유압 피스톤(20, 22)이 유압 압력 하에 있는 유압 수단이 유압 피스톤(20, 22)에 작용함으로써 압착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충돌면을 가지며, 상기 유압 피스톤(20, 22)은 제 1 및 제 2 부분 충돌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부분 피스톤(20, 22)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 충돌면은 동일한 유압 압력을 갖는 유압 수단에 의해 접촉될 수 있으며, 그리고 두 부분 피스톤(20, 22)이 제 1 또는 제 2 가압부(24, 27)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경우 이동 경로가 상대적으로 클 경우 상기 제 2 가압부(27)는 상기 제 2 부분 피스톤(22)에 의해서만 작동될 수 있고, 그리고 2개의 부분 피스톤(20, 22)에 의해, 출발 위치에서 정지부(28)에 도달할 때까지의 상기 제 1 부분 피스톤(20)의 이동에 의해 주어지는 제 1 이동-부분 경로 상에서 제 2 가압부(27)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가압부(24)가 상기 제 2 가압부(27)에 의해 완전히 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2개의 부분 피스톤(20, 22)이 부분 이동 구간에 걸쳐 상기 제 2 가압부(27)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부분 피스톤(22)이 제 1 유압 실린더(17)와 관련하여 상기 제 1 부분 피스톤(20)보다 더 선행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부분 피스톤(20, 22)들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서로 상대방 속으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피스톤(20)이 제 2 부분 피스톤(22)용 제 2 유압 실린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장치(1)는 핸드헬드 장치(handheld device)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충돌면들이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개의 부분 피스톤(20, 22)이 제 1 반동 스프링(21) 또는 제 2 반동 스프링(23)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4, 27)가 크림핑 다이(crimping di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장치.
  8. 2개의 이동 가능한 가압부(24, 27)들을 갖고, 유압 작동 가능한 가압 장치(1)로 가압을 실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가압부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유압 수단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 장치(1) 내에는 가압을 위해 가압-대응 정지부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상이한 크기의 공작물(8)들이 수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압부(24, 27)는 이동 경로를 나아가 가압 작용 완료에 상응하는 가압 최종 위치까지 도달하며, 이 경우 계속해서 상기 가압부(24, 27)들은 공작물(8) 크기가 큰 경우, 가압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비교적 짧은 이동 경로를 통과하고, 그리고 제 2 가압부(24, 27)는 공작물(8) 크기가 비교적 작은 경우, 가압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비교적 긴 이동 경로를 통과하며, 이 경우 계속해서 상기 가압부(24, 27)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압착력이 이동 경로 상에서 상기 가압부(24, 27)의 위치에 따라 미리 주어짐으로써, 상기 가압부(24, 27)에 의해 제 1 이동-부분 경로 내 가압 최종 위치에서만 최대 압착력이 가해지고, 그리고 상기 제 1 이동-부분 경로에 후속하는 제 2 이동-부분 경로 내 가압 최종 위치에서만 상기 최대 압착력에 비해 낮은 부분 압착력이 가해지며,
    압착력을 규정하기 위해 피스톤의 유효 충돌면 변경이 제어되고, 제 1 및 제 2 이동-부분 경로에서 가압-최종 위치 도달 여부와 무관하게, 가압부(24, 27)에 영향을 미치는 피스톤의 유효 충돌면에 자체 최대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실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가압 작용의 종료가 상기 유압 피스톤(20, 22)에 작용하는 미리 주어진, 유압 수단의 압력 도달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실시 방법.
  10. 이동 가능한 압출 다이(extrusion die)를 갖는 핸드헬드 가압 장치(1)로 하나의 압축 슬리브(compression sleeve)(33)와 2개의 케이블 간에 전도성 압입 연결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자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내부 지름을 갖는 압축 슬리브(33)가 이러한 압축 슬리브(33)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 놓인 2개의 영역에서 상이한 지름의 케이블(31)들과 함께 동일한 압출 다이의 두 번의 작용에 의해 외부로부터 압축 슬리브(33)로, 상기 압축 슬리브(33)의 길이에 걸쳐 나란히 늘어서서 그리고 각각 크기가 큰 지름의 케이블(31) 또는 크기가 작은 지름의 케이블(31)의 가압될 단부 영역에 할당되는 방식으로, 상기 압출 다이의 두 번의 작용 시 상이한 압착력으로 가압되고, 이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케이블(31)은 동일한 유압 실린더(17) 내에 배치된 2개의 부분 피스톤(20, 22)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낮은 압착력으로 가압되며, 이때 상기 2개의 부분 피스톤은 상이한 크기의 부분 충돌면을 갖고, 동일한 유압 압력에 의해 작동되며, 이 경우 제 2 부분 피스톤(22)은 제 1 부분 피스톤(20)에 상대적으로 크기(c)만큼 이동 가능하고, 그리고 제 1 부분 피스톤(20)은 하우징에 고정된 유압 실린더(17)에 상대적으로 크기(d)만큼 이동 가능함으로써, 제 2 부분 피스톤(22)이 크기(c)+(d)만큼 이동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두 부분 피스톤(20, 22)이 크기(d)에 상응하는 제 1 이동-부분 경로에 걸쳐 제 2 가압부(27)에 공동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반면, 제 1 이동-부분 경로보다 큰 가압부의 이동 경로를 가능하게 하는 공작물들에서 제 2 가압부는 제 2 부분 피스톤(22)에 의해서만 작동 가능하며, 이 경우 계속해서 2개의 부분 피스톤(20, 22)은 각각 제 1 또는 제 2 가압부(24, 27)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제 1 가압부(24)는 제 2 가압부(27)에 의해 완전히 축 방향으로 오버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압입 연결부 제조 방법.
  11. 유압 실린더(17) 내에서 반동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실린더 길이 방향 축에 동축으로 이동 가능하고, 가압을 실시하기 위한 가압부(24, 27)에 연결된 유압 피스톤(20, 22)을 갖는, 유압 작동 가능한 핸들헬드 가압 장치(1)로서,
    상기 유압 피스톤(20, 22)은 유압 압력 하에 있는 유압 수단이 유압 피스톤(20, 22)에 작용함으로써 압착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충돌면을 갖고, 상기 유압 피스톤(20, 22)은 제 1 및 제 2 부분 충돌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부분 피스톤(20, 2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 충돌면은 동일한 유압 압력을 갖는 유압 수단에 의해 접촉될 수 있으며, 그리고 두 부분 피스톤(20, 22)이 외부면에서 그리고 압축 슬리브(33)의 길이에 걸쳐 나란히 늘어서서 형성된 압출 다이-압입부들로 압축 슬리브(33)의 길이 방향과 관련하여 마주 놓인 영역들에서 2개의 케이블(31)들과 함께 가압된 압축 슬리브(33)를 제조하기 위해 제 1 또는 제 2 가압부(24, 27)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31)들이 상이한 지름을 갖고, 상기 압출 다이-압입부(35)들은 동일하며, 그리고 상기 압출 다이-압입부(35)들은 한편으로는 크기가 큰 횡단면의 케이블(31) 및 다른 한편으로는 크기가 작은 횡단면의 케이블(34) 가압 시 상이한 압착력 작용에 의해 상이한 깊이로 압축 슬리브(33) 내로 몰딩되고, 이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케이블(31)에 할당된 압출 다이-압입부(35)는 상대적으로 큰 지름의 케이블(31)에 할당된 압출 다이-압입부(35)보다 더 깊이 상기 압축 슬리브(33) 내로 몰딩되는, 가압 장치.
  12. 이동이 가능하고, 클램핑부(clamping part)로서 이용 가능한 압출 다이를 갖고, 그리고 상기 압출 다이는 유압 실린더 내에서 반동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운동 가능한 유압 피스톤에 의해 구동되는, 케이블들이 삽입된 케이블 슈들을 가압하기 위한 유압식 핸드헬드 가압 장치에서 공작물을 클램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및 제 2 클램핑부가 제공되고, 제 1 및 제 2 부분 피스톤(20, 22)이 제공되며,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 피스톤은 공동의 유압 실린더(17) 내에서 개개의 반동 스프링(21, 23)의 힘에 대항하여 서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2개의 부분 피스톤 중 제 2 부분 피스톤이 공작물을 클램핑하기 위해 제 2 클램핑부를 이동시키며, 이 경우 계속해서 부분 피스톤(20, 22)들에 유압 매체 공급 시 2개의 부분 피스톤(20, 22)은, 제 1 부분 피스톤이 제 2 부분 피스톤보다 선행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공작물 클램핑이 주어지는 클램핑 위치까지 이동되며, 그리고 상기 부분 피스톤(20, 22)들의 이동이 상기 클램핑 위치에서 종료되며, 이 경우 2개의 부분 피스톤 중 하나의 피스톤만 또는 이와 관련한 클램핑부 또는 가압부만 공작물에 접함으로써, 공작물의 소정의 이동 시 상기 공작물에 접한 가압부 또는 클램핑부가 유압 매체에 의해, 자체 반동 스프링으로 인해 다소 편향될 수 있는 다른 하나의 부분 피스톤에 대한 압력 보정이 이루어짐으로써 탄성적으로 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클램핑 방법.
  13. 이동이 가능하고, 클램핑부로서 이용 가능한 압출 다이를 갖고, 그리고 상기 압출 다이는 유압 실린더 내에서 반동 스프링(21, 23)의 힘에 대항하여 운동 가능한 유압 피스톤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제 12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유압식 핸드헬드 가압 장치로서,
    제 1 및 제 2 클램핑부가 제공되고, 제 1 및 제 2 부분 피스톤(20, 22)이 제공되며,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 피스톤은 공동의 유압 실린더 내에서 개개의 반동 스프링(21, 23)의 힘에 대항하여 서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 1 클램핑부가 공작물을 클램핑하기 위해 제 1 부분 피스톤(20, 22)에 의해 이동 가능하며, 이 경우 계속해서 부분 피스톤(20, 22)들에 유압 매체 공급 시 2개의 부분 피스톤(20, 22)은, 제 1 부분 피스톤이 제 2 부분 피스톤보다 선행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공작물 클램핑이 주어지는 클램핑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부분 피스톤(20, 22)들의 이동이 상기 클램핑 위치에서 종료될 수 있으며, 이 경우 2개의 부분 피스톤 중 하나의 피스톤만 또는 이와 관련한 클램핑부 또는 가압부만 공작물에 접함으로써, 공작물의 소정의 이동 시 상기 공작물에 접한 가압부 또는 클램핑부가 유압 매체에 의해, 자체 반동 스프링으로 인해 다소 편향될 수 있는 다른 하나의 부분 피스톤에 대한 압력 보정이 이루어짐으로써 탄성적으로 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핸드헬드 가압 장치.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충돌면이 상기 제 2 부분 충돌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장치.
KR1020157021458A 2013-01-09 2014-01-06 유압 작동 가능한 가압 장치, 가압 실시 방법, 전도성 압입 연결부 제조 방법, 전도성으로 가압된 압축 슬리브, 공작물 클램핑 방법 및 유압 장치 KR102112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0183.1A DE102013100183A1 (de) 2013-01-09 2013-01-09 Hydraulisch betätigbare Pressvorrichtung,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r Verpress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 leitfähigen Pressverbindung, elektrisch leitfähig verpresste Presshülse, Verfahren zum Klemmen eines Werkstücks und hydraulische Vorrichtung
DE102013100183.1 2013-01-09
PCT/EP2014/050075 WO2014108361A1 (de) 2013-01-09 2014-01-06 Hydraulisch betätigbare pressvorrichtung,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r verpress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 leitfähigen pressverbindung, elektrisch leitfähig verpresste presshülse, verfahren zum klemmen eines werkstücks und hydraulische 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621A KR20150104621A (ko) 2015-09-15
KR102112983B1 true KR102112983B1 (ko) 2020-05-20

Family

ID=4995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458A KR102112983B1 (ko) 2013-01-09 2014-01-06 유압 작동 가능한 가압 장치, 가압 실시 방법, 전도성 압입 연결부 제조 방법, 전도성으로 가압된 압축 슬리브, 공작물 클램핑 방법 및 유압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468847B2 (ko)
EP (1) EP2944001B1 (ko)
KR (1) KR102112983B1 (ko)
CN (1) CN104904076B (ko)
AU (1) AU2014204921B2 (ko)
BR (1) BR112015015248A2 (ko)
CA (1) CA2896736A1 (ko)
DE (1) DE102013100183A1 (ko)
ES (1) ES2790643T3 (ko)
MX (1) MX2015008746A (ko)
RU (1) RU2668989C2 (ko)
WO (1) WO2014108361A1 (ko)
ZA (1) ZA2015049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2806A1 (de) 2015-02-27 2016-09-01 Gustav Klauk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draulisch betriebenen Handgerätes sowie hydraulisch betriebenes Handgerät
DE102015119734A1 (de) * 2015-08-10 2017-02-16 Gustav Klauke Gmbh Vorrichtung zur Aufbringung einer Presskraft, sowie Paar von Pressbacken
DE102016111874A1 (de) 2016-06-29 2018-01-04 Gustav Klauk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draulisch betriebenen Handgerätes sowie hydraulisch betriebenes Handgerät
CN106785781B (zh) * 2016-12-15 2019-09-10 上海科颉贸易有限公司 便携充电式正六角形免换模具压接机及操作方法
AT520046B1 (de) 2017-06-12 2022-10-15 Weber Hydraulik Gmbh Hydraulikaggregat für hydraulische Rettungswerkzeuge sowie damit ausgestattetes Rettungswerkzeug
PL238772B1 (pl) 2017-09-27 2021-10-04 Zakl Metalowe Erko R Petlak Spolka Jawna Bracia Petlak Sposób zaciskania złączek lub końcówek kablowych
CN108110586B (zh) * 2017-11-07 2023-12-01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百色供电局 一种用于压接线管的分体式液压钳及其压接方法
DE102018100517A1 (de) 2018-01-11 2019-07-11 Gustav Klauke Gmbh & Co Akkumulatorbetriebenes Hand-Arbeitsgerät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Gerätes
CN110270941A (zh) * 2018-03-13 2019-09-24 深圳大学 一种可伸缩的多功能数显电动液压钳
JP6993268B2 (ja) * 2018-03-20 2022-01-13 三和テッキ株式会社 単動式油圧圧縮工具
EP4129576B1 (de) 2018-05-18 2024-04-17 Gustav Klauke GmbH Arbeitsgerät mit einem hydraulikzylinder, wie eine zange oder presse
DE102018122021A1 (de) 2018-09-10 2020-03-12 Gustav Klauke Gmbh & Co Handwerkzeug und Hüllteil für ein Handwerkzeug
DE102018121971A1 (de) 2018-09-10 2020-03-12 Gustav Klauke Gmbh Presswerkzeug
US10987794B2 (en) 2019-01-23 2021-04-27 Gustav Klauke Gmbh Accumulator-operated hand-held working apparatus as well as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apparatus
US11236849B2 (en) 2019-09-04 2022-02-01 Techtronic Cordless Gp Pressing tool and method for a re-pressing operation
CN111525362A (zh) * 2020-04-29 2020-08-1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动液压装置
KR102134318B1 (ko) * 2020-05-20 2020-07-16 김인호 케이블 연결용 슬리브 압착장치
DE102020120825A1 (de) 2020-08-06 2022-02-10 Gustav Klauke Gmbh Pressback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esslings und Verfahren zum Verpressen mit Pressbacken
DE102020131036A1 (de) 2020-10-12 2022-04-14 Gustav Klauke Gmbh Hydraulisch betätigbare, als Handgerät ausgebildete Arbeitsvorrichtung
DE102021122853A1 (de) 2021-09-03 2023-03-09 Gustav Klauke Gmbh Paar von Werkzeugteilen, Verfahren zur Abisolierung eines Kabels sowie Verfahren zum Vercrimpen eines Presslings
DE202023101054U1 (de) 2023-03-06 2023-07-14 Gustav Klauke Gmbh Presswerkzeug mit einem Paar von Werkzeugteilen zum Vercrimpen eines Presslings sowie Paar von Werkzeugteilen für ein Presswerk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8202A (en) 1958-04-11 1961-01-17 Amp Inc Hydraulic crimping tool for crimping t-tap connector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283C (ko) 1956-03-26
US3006983A (en) * 1959-02-11 1961-10-31 Anderson Electric Corp Universal compression connector and method of crimping same
NL269711A (ko) * 1961-06-08
US4096727A (en) * 1976-04-29 1978-06-27 Daniel Pierre Gargaillo Punching, stamping and rivetting apparatus
US4365402A (en) * 1978-09-12 1982-12-28 Baker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for counting turns when making threaded joints
US4365401A (en) * 1980-10-20 1982-12-28 Owatonna Tool Company Rivet removal and fastening tool
DE3235040C2 (de) 1982-09-22 1984-12-06 Helmut Dipl.-Ing. 4040 Neuss Dischler Presse zum Aufpressen von Hülsen, Kabelschuhen oder dergleichen
US4796461A (en) * 1986-06-02 1989-01-10 Greenlee Textron Inc. Hydraulic crimping tool
DE10216213A1 (de) 2002-04-10 2003-10-23 Klauke Gmbh Gustav Elektrohydraulisches Verpress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US5195042A (en) 1990-06-27 1993-03-16 Burnd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rimping of articles
TW235262B (ko) * 1991-06-14 1994-12-01 Kosumekku Kk
AU7649598A (en) 1997-07-19 1999-02-10 Gustav Klauke Gmbh Piston pump
ES2172224T3 (es) 1997-10-15 2002-09-16 Klauke Gmbh Gustav Aparato hidraulico para apretar a presion.
US6202663B1 (en) 1999-08-09 2001-03-20 Crystal Industrial Co., Ltd. Stick-used stageless adjusting device
DE10031073B4 (de) * 2000-06-30 2016-11-24 Gustav Klauke Gmbh Verfahren zum Vernieten
DE10124265B4 (de) 2001-05-18 2015-10-29 Gustav Klauke Gmbh Pumpe
DE102006003044B4 (de) * 2006-01-23 2015-10-08 Gustav Klauke Gmbh Hydraulisch angetriebenes Verpressgerät sowie Verfahren zum Verpressen eines Fittings
CN101754836B (zh) 2007-05-16 2014-06-11 古斯塔夫.克劳克有限责任公司 电动操纵的手持挤压机的工作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8202A (en) 1958-04-11 1961-01-17 Amp Inc Hydraulic crimping tool for crimping t-tap connec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96736A1 (en) 2014-07-17
MX2015008746A (es) 2015-11-13
RU2015133180A (ru) 2017-02-15
BR112015015248A2 (pt) 2017-07-11
RU2668989C2 (ru) 2018-10-05
US20150364889A1 (en) 2015-12-17
AU2014204921A1 (en) 2015-07-09
ZA201504940B (en) 2016-10-26
CN104904076A (zh) 2015-09-09
CN104904076B (zh) 2017-11-10
EP2944001B1 (de) 2020-02-26
DE102013100183A1 (de) 2014-07-10
AU2014204921B2 (en) 2018-03-01
ES2790643T3 (es) 2020-10-28
EP2944001A1 (de) 2015-11-18
KR20150104621A (ko) 2015-09-15
US10468847B2 (en) 2019-11-05
WO2014108361A1 (de)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983B1 (ko) 유압 작동 가능한 가압 장치, 가압 실시 방법, 전도성 압입 연결부 제조 방법, 전도성으로 가압된 압축 슬리브, 공작물 클램핑 방법 및 유압 장치
US10312653B2 (en) Hydraulic tool
US10763597B2 (en) Crimp terminal having a groove for facilitating crimping workability and a water stop member
US11597070B2 (en) Hydraulic power tool
US10981264B2 (en) Hydraulic power tool
JP2007514561A (ja) 迅速ラムアドバンス装置を備える液圧工具
CA2939110A1 (en) Smart conductor/connector selecting die
CN108871430B (zh) 监测压接过程的方法
KR101084593B1 (ko) 인슐레이션 바렐 제작 장치
JP6478820B2 (ja) 端子圧着工具
CN105500278B (zh) 液压工具
KR20090100992A (ko) 파이프 가공장치
KR20090130652A (ko) 피봇 볼트 가공용 금형장치 및 그 방법
KR102348652B1 (ko) 유압작동식 전선 압착기용 승압장치
RU2657952C1 (ru) Поводковый центр радиально-обжимной машины (РОМ)
WO2014020126A9 (en) A method for making a joint between a generally flat member, metal or non-metal, and an elongated member like a wire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JP3322859B2 (ja) カシメダイス装置
JPH0227515Y2 (ko)
JP2010158700A (ja) カム装置の戻し機構
JP2019185937A (ja) 端子付き電線
JP2017041316A (ja) 端子圧着工具
CN104364866A (zh) 用于电气功率开关的驱动器的工作缸
JPH0315041B2 (ko)
JP2000117498A (ja) 圧縮ダ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