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0992A - 파이프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0992A
KR20090100992A KR1020080026578A KR20080026578A KR20090100992A KR 20090100992 A KR20090100992 A KR 20090100992A KR 1020080026578 A KR1020080026578 A KR 1020080026578A KR 20080026578 A KR20080026578 A KR 20080026578A KR 20090100992 A KR20090100992 A KR 20090100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mpression
unit
vise
compress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태진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진산업(주) filed Critical 태진산업(주)
Priority to KR1020080026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0992A/ko
Publication of KR20090100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2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y stretching with or without 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관통공(212)이 마련된 전방압축틀(210)과; 후방관통공(222)이 마련된 후방압축틀(220)과; 복수개의 압축유닛(232)과 탄성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관통공(212)과 후방관통공(222)의 둘레가 상기 압축유닛(232)의 외측표면(236)에 형성된 경사면(244)에 위치되는 중앙압축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압축틀(210)과 후방압축틀(2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상기 경사면(244)이 눌리면서 상기 압축유닛(232)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가공, 장치, 전방관통공, 탄성

Description

파이프 가공장치{Processing device of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인발가공 공정에서는 인발용바이스가 파이프 일측을 잡기 용이하도록 가공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즉, 직경이 10mm인 파이프가 직경이 8mm인 인발가공용 틀을 통과하여 직경이 8mm인 파이프로 만들어 지기 위해서는 상기 직경이 10mm인 파이프의 선단이 직경이 8mm 이하의 상태로 만들어진 후에, 만들어진 상기 파이프의 선단이 상기 인발가공용 틀을 통과하고, 상기 인발용바이스가 통과된 선단을 잡아당겨 상기 파이프를 직경이 8mm인 파이프로 가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의 선단이 10mm인 직경에서 8mm 이하의 직경으로 만들어 지기 위한 작업은 프레스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선단을 프레스 가공하는 공정도이다.
프레스(10)는 상부프레스(12)와 하부프레스(14)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스(12)와 하부프레스(14)는 각각 3mm의 반경을 가진 반원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의 (a)와 같이 상기 프레스(10)에 파이프선단(20)을 위치시킨 후에 눌러 찍어내면 파이프선단(20)이 눌리면서 도 1의 (b)와 같이 파이프선단(20)의 일부(21)가 상부프레스(12)와 하부프레스(14) 사이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의 (c)와 같이 상기 파이프선단(20)이 90도 회전되고 다시 한번 상기 프레스(10)가 파이프선단(20)을 눌러 찍어내면 도 1의 (d)와 같이 상기 파이프(20)의 선단 형상은 8mm 이하의 형태로 변하게 된다.
상기 파이프선단(20)은 인발공정 후에 잘라버리는 부분이므로 정밀가공은 필요하지 않는 부분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 가공장치는 파이프선단(20)을 프레스(10)로 2번 눌러주는 공정을 거쳐야 하고, 상기 프레스(10)가 파이프선단(20) 전체를 누르는 구조로 인해 고출력의 가압구조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의 선단을 가공하는데 있어서 고출력의 가압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가공공정이 간단한 구조를 가진 파이프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파이프 가공장치는 전방관통공(212)이 마련된 전방압축틀(210)과, 후방관통공(222)이 마련된 후방압축틀(220)과, 복수개의 압축유닛(232)과 탄성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관통공(212)과 후방관통공(222)의 둘레가 상기 압축유닛(232)의 외측표면(236)에 형성된 경사면(244)에 위치되는 중앙압축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압축틀(210)과 후방압축틀(2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상기 경사면(244)이 눌리면서 상기 압축유닛(232)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압축틀(220)에는 로드(224)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압축유닛(232)의 외측표면(236)은 중앙(238)으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유닛은 스프링(234)일 수 있고, 상기 압축유닛(232)에는 성형용바이스(2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파이프의 선단을 성형시키기 위하여 전방압축틀과 후 방압축틀에서 파이프 선단에 힘을 직접 가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에만 성형용바이스가 접촉되어 힘을 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적은 힘으로도 원하는 성형가공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프링은 중앙압축부재가 압축되면 같이 압축되었다가 중앙압축부재에 가해진 압축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중앙압축부재의 형상을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파이프의 선단을 가공하는 공정이 한 번의 공정으로 끝나기 때문에 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로드인입관통홈과 로드는 전방압축틀과 후방압축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파이프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성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성형부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인 파이프 가공장치는 도 2와 같이 바이스부(100)와, 상기 바이스부(100)와 이격되어 마련되는 성형부(200)와, 상기 바이스부(100)와 성형부(200) 사이에 마련되는 스위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이스부(100)는 기판(110)과, 상기 기판(110)에 고정되는 고정바이스(120)와, 상기 고정바이스(120)와 이격되어 마련되는 이동바이스(130) 및 상기 이동바이스(130)와 연결되어 이동바이스(13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바이스부피스톤(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성형부(200)는 전방압축틀(210)과, 상기 전방압축틀(210)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방압축틀(220) 및 상기 전방압축틀(210)과 후방압축틀(220) 사이에 마련되는 중앙압축부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방압축틀(210)에는 중앙에 전방관통공(212)이 마련되고, 상기 전방관통공(212)의 주위로 로드인입관통홈(214)이 복수개 마련된다.
또한, 상기 후방압축틀(220)에는 중앙에 후방관통공(222)이 마련되고, 상기 로드인입관통홈(214)에 인입되는 복수개의 로드(224)가 복수개의 로드인입관통홈(214)과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마련된다.
상기 중앙압축부재(230)는 도 3과 같이 8개의 압축유닛(232)이 수직평면상에 원형을 이루며 마련되고, 인접한 상기 압축유닛(232) 사이에는 스프링(234)이 마련된다.
그리고 8개의 압축유닛(232)이 수직평면상에 원형을 이루며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유닛(232)의 형상은 압축유닛(232)의 외측표면(236)이 외측표면(236)의 중앙(238)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상기 중앙(238)으로 돌출되고, 상기 중앙(238)의 반대측에는 삽입홈(240)이 압축유닛(232)의 장방향으로 마련되는 형상이다.
또한, 상기 8개의 압축유닛(232)은 필요한 경우에 개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고, 이 경우에 도 4의 (a)와 같이 성형부(200)가 작동되기 전에 상태에서 상기 압축유닛(232)들의 외측표면(236) 중앙(238)을 이어주는 원의 반경인 중앙반경(a)은 상기 전방관통공(212) 또는 후방관통공(222)의 반경인 관통반경(b)보다 크고, 상기 압축유닛(232)들의 외측표면(236) 중 상기 중앙(238)에서 가장 먼 외측끝단(242)을 이어주는 원의 반경인 끝단반경(c)은 상기 관통반경(b)보다 작다.
따라서, 도 4의 (a)와 같이 성형부(200)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전방관통공(212) 또는 후방관통공(222)의 둘레는 외측표면(236)의 경사면(244)에 위치된다.
상기 삽입홈(240)에는 성형용바이스(250)가 인입되는데, 상기 성형용바이스(250)의 크기는 파이프(400)의 크기나 성형 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300)는 스위치부(300)의 상단에 마련되는 감지유닛(310)과, 상기 감지유닛(310)의 하방에 형성되는 스위치부피스톤(3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서 상기 바이스부(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터 등의 구동 장치에 의하여 상기 기판(110)이 성형부(200)를 향하여 이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성형부(200)에는 전방압축틀(210)과 후방압축틀(220)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벌릴 수 있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모터 등의 구동장치는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파이프(400)의 선단을 성형하기 위해서 상기 파이프(400)는 별도로 마련된 일반적인 이송롤러 등에 의해 기판(110) 위의 고정바이스(120)와 이동바이스(130) 사이에서 성형부(200)를 향하여 전진하다가, 상기 스위치부(300)의 감지유닛(310)에 접촉된다.
상기 파이프(400)가 감지유닛(310)에 접촉되면 상기 바이스부피스톤(140)이 이동바이스(130)를 이동시켜 파이프(400)가 고정바이스(120)와 이동바이스(130)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만든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피스톤(32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감지유닛(310)도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에 도 2와 같이 상기 기판(110)이 성형부(200)를 향하여 이동되고, 도 4의 (a)의 위치에 있던 상기 파이프(400)의 선단(410)이 도 4의 (b)와 같이 중앙압축부재(230)의 내부로 인입되어 성형위치에 놓이게 된다.
상기 파이프(400)가 멈추면 도 4의 (c)와 같이 상기 전방압축틀(210)과 후방압축틀(2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압축유닛(232)의 경사면(244)을 눌러 중앙압축부재(230)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압축유닛(232)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상 기 성형용바이스(250)는 파이프(400)의 선단(410)을 압축한다.
그리고 가공이 끝나면 도 4의 (d)와 같이 상기 전방압축틀(210)과 후방압축틀(22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원위치로 돌아오고, 성형된 파이프(400)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파이프(400)의 선단(410)을 성형시키기 위하여 전방압축틀(210)과 후방압축틀(220)에서 파이프(400) 선단(410)에 힘을 직접 가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에만 성형용바이스(250)가 접촉되어 힘을 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적은 힘으로도 원하는 성형가공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234)은 도 4의 (b)와 같이 중앙압축부재(230)가 압축되면 같이 압축되었다가 도 4의 (d)와 같이 중앙압축부재(230)에 가해진 압축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중앙압축부재(230)의 형상을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이프(400) 선단(410)을 가공하는 공정이 한 번의 공정으로 끝나기 때문에 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로드인입관통홈(214)과 로드(224)는 상기 전방압축틀(210)과 후방압축틀(2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 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선단을 프레스 가공하는 공정도.
도 2은 본 발명인 파이프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는 도 2의 성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은 도 2의 성형부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바이스부 110: 기판
200: 성형부 210: 전방압축틀
220: 후방압축틀 300: 스위치부

Claims (5)

  1. 전방관통공(212)이 마련된 전방압축틀(210)과;
    후방관통공(222)이 마련된 후방압축틀(220)과;
    복수개의 압축유닛(232)과 탄성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관통공(212)과 후방관통공(222)의 둘레가 상기 압축유닛(232)의 외측표면(236)에 형성된 경사면(244)에 위치되는 중앙압축부재(2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압축틀(210)과 후방압축틀(2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상기 경사면(244)이 눌리면서 상기 압축유닛(232)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압축틀(220)에는 로드(224)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가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축유닛(232)의 외측표면(236)은 중앙(238)으로 돌출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가공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스프링(2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가공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유닛(232)에는 성형용바이스(25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가공장치.
KR1020080026578A 2008-03-21 2008-03-21 파이프 가공장치 KR20090100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578A KR20090100992A (ko) 2008-03-21 2008-03-21 파이프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578A KR20090100992A (ko) 2008-03-21 2008-03-21 파이프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992A true KR20090100992A (ko) 2009-09-24

Family

ID=4135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578A KR20090100992A (ko) 2008-03-21 2008-03-21 파이프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09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623B1 (ko) * 2015-01-21 2015-06-17 주식회사 현대알비 코팬더 머신
CN110405025A (zh) * 2019-08-19 2019-11-05 贵州航天智慧农业有限公司 一种用于弯管作业的内衬件
CN112893665A (zh) * 2021-01-25 2021-06-04 南昌航空大学 一种电脉冲辅助管材缩口增厚的成形装置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623B1 (ko) * 2015-01-21 2015-06-17 주식회사 현대알비 코팬더 머신
WO2016117759A1 (ko) * 2015-01-21 2016-07-28 주식회사 현대알비 코팬더 머신
CN110405025A (zh) * 2019-08-19 2019-11-05 贵州航天智慧农业有限公司 一种用于弯管作业的内衬件
CN112893665A (zh) * 2021-01-25 2021-06-04 南昌航空大学 一种电脉冲辅助管材缩口增厚的成形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804021U (zh) 一种冷冲模侧冲孔冲头导向限位结构
US20140255532A1 (en) Press die
CN101569907A (zh) 折弯模具
KR20090100992A (ko) 파이프 가공장치
KR101557491B1 (ko) 엘보우 제조장치
JP2015165492A (ja) 圧着ツール
CN104369010A (zh) 夹持装置
KR101788480B1 (ko) 파이프 절단장치의 받침코어 고정장치
CN105234212A (zh) 一种金属板弯曲装置
JP2010036246A (ja) 曲げ加工用押圧装置
CN211304362U (zh) 一种管状零件的冲压装置
CN213496076U (zh) 一种圆管涨型结构
CN210549367U (zh) 卡托压合设备
CN209953561U (zh) 一种油浸式电力变压器降噪装置生产用折弯装置
KR101575213B1 (ko) 프레스 금형 장치 및 프레스 성형 방법
CN104308016B (zh) 冲压模具板料定位装置
CN108177120B (zh) 一种天线振子的压合成型装置
KR101283057B1 (ko) 차량의 도어 프레임 제조장치
CN205436781U (zh) 钩爪快速止动固定机构
CN110126013A (zh) 一种蓄电池外壳的内部隔板冲孔模具
US8714859B2 (en) Clamping assembly that acts as an interface between two components
CN203798670U (zh) 气动拉伸夹具
CN204583920U (zh) 薄件平整度自动整形装置
KR101580832B1 (ko) 플랜지 타각 장치
CN103934354B (zh) 一种冲模防粘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