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006B1 - 배변 리프터 - Google Patents
배변 리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7006B1 KR102107006B1 KR1020200012274A KR20200012274A KR102107006B1 KR 102107006 B1 KR102107006 B1 KR 102107006B1 KR 1020200012274 A KR1020200012274 A KR 1020200012274A KR 20200012274 A KR20200012274 A KR 20200012274A KR 102107006 B1 KR102107006 B1 KR 1021070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onnecting member
- seating
- lifter
- rot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09—Buttock lifting device for placing bed-pans under pat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4—Hand or wris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변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뒤돌아서 화장실의 변기에 앉아야 하는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로의 이동을 위한 휠체어 등의 이동수단과 화장실에 도착한 사용자가 옮겨 앉아야 하는 화장실용 활동보조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특히 사용자가 착석한 착석부가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부위가 서포트에 걸릴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변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뒤돌아서 화장실의 변기에 앉아야 하는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로의 이동을 위한 휠체어 등의 이동수단과 화장실에 도착한 사용자가 옮겨 앉아야 하는 화장실용 활동보조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특히 사용자가 착석한 착석부가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부위가 서포트에 걸릴우려가 없는 배변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중풍환자, 신체 일부 또는 전부가 마비된 환자, 신체장애인, 중환자 등과 같이 스스로 배변 또는 배뇨를 해결하지 못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배변 또는 배뇨 등의 배설물을 처리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설물의 뒤처리는 불쾌감, 육체적 피로, 오염 또는 전염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냄새 등으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자리를 비운 경우에는 배설물이 즉시 처리되지 못해서 환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주변 환경의 오염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통스러운 배변 처리 작업 때문에 간병인의 인건비가 상승하여 보호자에게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지우게 된다.
따라서, 보다 위생적이고 효율적인 배변 처리 방법 또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0001(JP6587444B2), 특허문헌0002(JP3773137B2) 및 특허문헌 0003(WO2004-052263A1)으로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0001은 용이하게 신체 지지부의 위치를 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이승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배변을 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뒤돌아서 변기에 앉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2는 화장실로의 이승 개호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화장실용 활동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 방향으로 입설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일단을 설치해 수직축 방향에 선회 가능한 암과 상기 암의 타단에 마련되어 변좌를 지지하는 변좌 지지체로 구성되어, 상기 변좌를 변기의 바로 위 위치에서 화장실 출입구까지 이동 가능하게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휠체어 등을 이용하여 화장실까지 이동한 후 다시 화장실용 활동보조장치에 옮겨 앉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3은 대차 본체에 지지 암이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운반물이 재치 가능한 재치부가 지지 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계할 수 있는 기능 운반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재치부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방향을 반대로 전환하기 위해 회전한경우 사용자의 하반신이 상하 프레임부에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뒤돌아서 화장실의 변기에 앉아야 하는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로의 이동을 위한 휠체어 등의 이동수단과 화장실에 도착한 사용자가 옮겨 앉아야 하는 화장실용 활동보조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특히 사용자가 착석한 착석부가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부위가 서포트에 걸릴우려가 없는 배변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포트와;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회전가능하게 회전고정하는 회전부와; 상기 서포트에 후측이 고정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가 상기 서포트와 상기 착석부 사이로 삽입되도록 전측이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의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서포트의 하부에 베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상기 바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설치되는 서포트 몸체와; 상기 서포트 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 서포트와; 상기 승강 서포트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포트의 승강 서포트에 핸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착석부의 중앙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회전부는 상기 착석부의 하부를 회전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착석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링과; 상기 연결부의 전측이 고정되는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과 하부링 사이에 배치되는 롤링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회전부는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전측에 회전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착석부의 측부에 고정되는 회전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의 후측이 상기 서포트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전측이 개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서포트에 고정되는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와;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의 측부에서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구비되는 수직연결부재와; 상기 수직연결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연결부재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구비되는 전측 연장연결부재와;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의 전측에서 상기 회전부의 측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측부에 연결되는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서포트에 고정되는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와;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의 측부에서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구비되는 전측 연장연결부재와;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의 전측에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구비되는 수직연결부재와; 상기 수직연결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측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측부에 연결되는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연결부의 수직연결부재는 상기 서포트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승강 서포트가 하강할 경우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착탈되는 배변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한 착석부가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부위가 서포트에 걸릴 우려없이 상기 서포트와 상기 착석부 사이로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상태 그대로 화장실로 이동하여 변기에 배변을 보거나 화장실로 이동할 필요없이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상태에서 배변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뒤돌아서 화장실의 변기에 앉아야 하는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로의 이동을 위한 휠체어 등의 이동수단과 화장실에 도착한 사용자가 옮겨 앉아야 하는 화장실용 활동보조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제 1실시예의 착석부가 침대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제 1실시예의 착석부의 회전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1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제 1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제 1실시예의 착석부의 하부에 배변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고,
도 14는 서포트로부터 분리된 착석부의 하부에 지지다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14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제 1실시예의 연결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제 2실시예의 연결부와 회전지지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0 내지 도 22는 제 2실시예의 착석부의 회전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평면도이고,
도 25는 제 3실시예의 연결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평면도이고,
도 27은 제 3실시예의 착석부가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측면도이고,
도 29는 제 3실시예의 착석부의 회전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평면도이고,
도 31은 제 3실시예이 착석부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평면도이고,
도 33은 제 3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측면도이고,
도 35는 제 3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5의 측면도이고,
도 37은 제 3실시예의 착석부의 하부에 배변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8은 서포트의 상부에 구비된 커튼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9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제 1실시예의 착석부가 침대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제 1실시예의 착석부의 회전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1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제 1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제 1실시예의 착석부의 하부에 배변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고,
도 14는 서포트로부터 분리된 착석부의 하부에 지지다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14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제 1실시예의 연결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제 2실시예의 연결부와 회전지지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0 내지 도 22는 제 2실시예의 착석부의 회전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평면도이고,
도 25는 제 3실시예의 연결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평면도이고,
도 27은 제 3실시예의 착석부가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측면도이고,
도 29는 제 3실시예의 착석부의 회전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평면도이고,
도 31은 제 3실시예이 착석부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평면도이고,
도 33은 제 3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측면도이고,
도 35는 제 3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5의 측면도이고,
도 37은 제 3실시예의 착석부의 하부에 배변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8은 서포트의 상부에 구비된 커튼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9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서포트(10), 착석부(20), 회전부(30) 및 연결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서포트(10)는 서포트 몸체(110)와; 상기 서포트 몸체(11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 서포트(120)와; 상기 승강 서포트(120)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와 같은 상기 서포트(10)는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37024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서포트(1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기 서포트(10)의 하부에 케스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퀴(11)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서포트(10)의 하부에 베이스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2)의 후측이 상기 서포트(10)의 하부에 고정 및 상기 베이스부(12)의 전측이 개방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2)는 전측베이스부재(121)와 후측베이스부재(1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베이스부재(121)는 상기 서포트(10)의 전측 하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측베이스부재(122)는 상기 전측베이스부재(121)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베이스부재(122)의 상부에 상기 서포트(10)의 서포트 몸체(110)의 하부가 볼트 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측베이스부재(121)의 전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전측베이스부재(121)는 'C'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후측베이스부재(122)의 전측부 일측과 전측부 타측에서 각각 상기 후측베이스부재(122)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베이스부재(121)의 전측부 하부 일측과 전측부 하부 타측 및 상기 후측베이스부재(122)의 하부 일측 및 하부 타측에 각각 상기 바퀴(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에 핸들(1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14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프레임(141)이 상기 핸들(14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140)의 전측에 상기 승강 서포트(120)가 위치하도록 상기 핸들(140)의 고정프레임(141)의 전측은 상기 승강 서포트(120)의 일측과 타측에 체결부재(142)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42)는 상기 고정프레임(14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승강 서포트(120)의 일측과 타측에 밀착고정되는 체결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42)의 체결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핸들(140)을 환자 또는 고령자의 보호자, 간병인 등의 신체구조에 따라 상기 승강 서포트(12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시켜 상기 핸들(140)의 상하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체결부재(142)를 다시 상기 승강 서포트(120)에 고정시켜 상하위치조절된 상기 핸들(140)을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착석부(20)에는 환자 또는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둔부를 안착시킨 상태로 착석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착석부(20)의 상부에 방석이 안착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상태로 변기 또는 후술할 배변통에 용이하게 배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착석부(20)의 중앙에 관통구(2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관통구(201)가 형성된 상기 착석부(20)의 상부에 별도의 덮개를 구비시켜 환자 또는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승용차 등의 승차 및 하차하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할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착석부(20)를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회전고정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30)의 상부에 상기 착석부(20)가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안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착석부(20)의 하부를 회전지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0)는 일예로, 상기 착석부(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링(310)과, 상기 연결부(40)의 전측이 고정되는 하부링(320) 및 상기 상부링(310)과 하부링(320) 사이에 배치되는 롤링요소(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지된 스러스트 베어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5 참조.)
상기 착석부(20)는 일예로, 상기 상부링(310)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중앙에 관통구(201)가 형성되는 하부 착석부재(210)와; 상기 하부 착석부재(210)의 상부 후측에 후측이 축결합되고, 전측이 상기 회전프레임(210)의 전측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며, 상기 하부 착석부재(210)를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중앙에 관통구(201)가 형성되는 상부 착석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15 참조.)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40)의 후측은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의 전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사용자 또는 보호자 및 간병인 등에 의해 상기 회전부(30)를 중심으로 상기 착석부(20)의 전측이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의 전측을 향하도록 상기 착석부(20)가 제자리에서 회전(도 6 및 도 7 참조)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 특히, 다리부위가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와 상기 착석부(20) 사이로 간섭없이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40)의 전측은 상기 회전부(30)의 하부 고정링(32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제 1실시예의 착석부가 침대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착석부(20)의 높이가 침대(1)보다 높도록 상기 서포트(10)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착석부(20)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20)의 하부방향에 침대(1)의 상부가 위치하도록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20)와 함께 상기 베이스부(12) 및 상기 서포트(10)가 상기 침대(1) 방향으로 환자의 보호자 또는 간병인 등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착석부(20)가 상기 서포트(10)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침대(1)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침대(1)에서 휴식을 취하는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는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할 수 있다.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상태에서 보호자 또는 간병인 등에 의해 상기 착석부(20)와 함께 상기 베이스부(12) 및 상기 서포트(10)가 상기 침대(1)의 외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제 1실시예의 착석부의 회전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한편, 환자의 보호자 또는 간병인 등에 의해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착석한 상기 착석부(20)와 함께 상기 베이스부(12) 및 상기 서포트(10)가 화장실로 이동될 수 있다.
화장실에 도착한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사용자 또는 보호자 및 간병인 등에 의해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30)를 중심으로 상기 착석부(20)의 전측이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의 전측을 향하도록 상기 착석부(20)가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 8은 제 1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20)의 높이가 화장실의 변기(2)보다 높도록 상기 서포트(10)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착석한 상기 착석부(20)가 상승된 상태에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2)의 전측베이스부재(121)의 내측에 화장실의 변기(2)가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2)가 보호자 또는 간병인 등에 의해 화장실의 변기(2)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은 제 1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이 후, 상기 서포트(10)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착석한 상기 착석부(20)가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실의 변기(2)의 상부방향으로 하강하여 화장실의 변기(2)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배변을 볼 수 있다.
도 12는 제 1실시예의 착석부의 하부에 배변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다.
이와 달리,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화장실로 이동하지 않고도 배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20)의 하부에 배변통(21)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배변통(21)의 상부는 상기 착석부(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부(30)의 하부링(320)의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서포트로부터 분리된 착석부의 하부에 지지다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14의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착석부(20)는 상기 연결부(40)의 전측으로부터 분리되어 좌식 변기로 사용될수도 있다.
이때, 상기 착석부(2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해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30)의 하부링(320)의 하부에 복수의 지지다리(22)가 분리가능하게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지지다리(22)의 상부는 상기 회전부(30)의 하부링(320)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삽입공(211)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40)는 일예로, 도 1, 도 2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 수직연결부재(420), 전측 연장연결부재(430) 및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는 상기 서포트(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의 일측은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프레임(401)의 전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401)의 내측에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402)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승강 서포트(120)의 일측과 타측에 체결부재(402)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02)는 상기 고정프레임(40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승강서포트(120)의 일측과 타측에 밀착고정되는 체결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02)의 체결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고정프레임(401)과 함께 상기 착석부(20) 및 상기 연결부(40)를 환자 또는 고령자의 보호자, 간병인 등의 신체구조에 따라 상기 승강 서포트(12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시켜 상기 고정프레임(401)과 함께 상기 착석부(20) 및 상기 연결부(40)의 상하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체결부재(402)를 다시 승강 서포트(120)에 고정시켜 상하위치조절된 상기 고정프레임(401), 상기 착석부(20) 및 상기 연결부(40)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직연결부재(420)는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의 측부, 일예로,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의 타측부에서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서포트(120)와 함께 상기 착석부(20)가 하강할 경우, 상기 수직연결부재(420)로 인해 상기 착석부(20)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회전부(30)의 하부에 고정된 배변통(21)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430)는 상기 수직연결부재(420)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연결부재(42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와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430)를 통해 상기 착석부(20)의 전측이 상기 서포트(10)의 전측을 향하도록 상기 착석부(20)가 보다 안정적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20)와 상기 서포트(10) 사이에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체, 특히 다리부위가 간섭없이 삽입될 수 있는 개방공간(S)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0)은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430)의 전측에서 상기 회전부(30)의 측부, 일예로, 상기 회전부(30)의 하부링(320)의 일측부의 반대측인 타측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구비되어 상기 회전부(30)의 하부링(320)의 타측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0)를 통해 상기 착석부(20)와 함께 상기 회전부(30)를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0)는 일예로, 제 1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1), 연결소켓(442) 및 제 2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1)는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430)의 전측에서 상기 회전부(30)의 하부링(32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442)의 타측은 상기 제 1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1)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442)의 중간부는 환형의 플랜지(44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442)의 일측 상부와 일측 하부에 각각 삽입구(44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3)의 일측은 상기 회전부(30)의 하부링(320)의 타측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3)의 타측 상부와 타측 하부에 각각 삽입구(44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3)의 타측 내부에 상기 연결소켓(442)의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3)의 삽입구(443a)와 상기 연결소켓(442)의 삽입구(442b)를 분리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하는 체결핀 등의 체결부재(44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3)의 삽입구(443a)와 상기 연결소켓(442)의 삽입구(442b)로부터 상기 체결부재(443b)를 분리한 후 상기 연결부(40)로부터 상기 회전부(30)와 함께 착석부(20)를 이탈시켜 상기 착석부(20)를 좌식 변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6은 제 1실시예의 연결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430)는 다른예로서,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전측 연장연결부재(431), 제 1연결소켓(432), 제 2연결소켓(433) 및 제 2전측 연장연결부재(4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 연장연결부재(431)는 상기 수직연결부재(420)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연결부재(42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소켓(432)의 후측은 상기 제 1전측 연장연결부재(431)의 전측 내부에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소켓(432)의 중간부에 환형의 플랜지(43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소켓(432)의 전측 상부와 전측 하부에 각각 삽입구(43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소켓(433)의 후측 상부와 후측 하부에 각각 삽입구(43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소켓(433)의 후측 내부에 상기 제 1연결소켓(432)의 전측이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 연장연결부재(434)의 후측 내부에 상기 제 2연결소켓(433)의 전측이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 연장연결부재(434)의 전측에 상기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소켓(433)의 삽입구(433a)와 상기 제 1연결소켓(432)의 삽입구(432b)를 분리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하는 체결핀 등의 체결부재(43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40)의 하부는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40)의 상부는 상기 서포트(1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30)는 회전지지대(3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대(310)는 상부 수직회전지지대(311), 상부 수평회전지지대(312), 중간 수직회전지지대(313) 및 하부 수평회전지지대(3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직회전지지대(311)는 상기 서포트(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평회전지지대(312)는 상기 상부 수직회전지지대(311)의 하부에서 상기 서포트(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직회전지지대(311)와 상기 상부 수평회전지지대(312)를 통해 상기 착석부(20)의 전측이 상기 서포트(10)의 전측을 향하도록 상기 착석부(20)가 상기 회전지지대(3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착석부(20)와 상기 서포트(10) 사이에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체, 특히 다리부위가 간섭없이 삽입될 수 있는 개방공간(S)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수직회전지지대(313)는 상기 상부 수평회전지지대(312)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서 상기 서포트(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서포트(120)와 함께 상기 착석부(20)가 하강할 경우, 상기 중간 수직회전지지대(313)를 통해 상기 착석부(20)의 하부에 상부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된 배변통(21)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평회전지지대(314)는 상기 중간 수직회전지지대(313)의 하부에서 상기 착석부(20)의 일측부의 반대측인 타측부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평회전지지대(314)의 일측은 상기 착석부(20)의 일측부의 반대측인 타측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평회전지지대(314)를 통해 상기 착석부(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40)의 상부 전측에 상기 회전지지대(310)의 상부 수직회전지지대(311)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4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은 제 2실시예의 연결부와 회전지지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연결부재(41)는 일예로,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411), 회전축(412), 상부베어링(413) 및 하부베어링(4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411)는 상기 연결부(40)의 상부 전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수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12)은 상기 몸체(4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12)의 하부는 상기 회전지지대(310)의 상부 수직회전지지대(311)의 상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베어링(413)의 내측에 상기 회전축(412)의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상부베어링(413)은 상기 몸체(411)이 상부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베어링(414)의 내측에 상기 회전축(412)의 하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부베어링(414)은 상기 몸체(411)의 하부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제 2실시예의 착석부의 회전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의 보호자 및 간병인 등은 도 20 내지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대(310)와 함께 함께 상기 착석부(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는 제 1, 2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23 및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팔걸이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0)는 일예로,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430) 및 상기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430)는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서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
도 25는 제 3실시예의 연결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평면도이다.
상기 연결부(40)는 다른예로, 도 25 및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430), 상기 수직연결부재(420) 및 상기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7은 제 3실시예의 착석부가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측면도이다.
특히, 도 27 및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40)의 수직 연결부재(420)는 상기 서포트(10)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승강 서포트(120)가 하강할 경우 상기 베이스부(12)의 전측베이스부재(12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 서포트(120)와 함께 상기 착석부(20)가 하강할 경우, 상기 베이스부(12)의 전측베이스부재(121)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연결부재(420)로 인해 상기 착석부(20) 또는 배변통(21)가 온돌 바닥 등의 지면에 들뜸 현상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도 29는 제 3실시예의 착석부의 회전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평면도이고, 도 31은 제 3실시예이 착석부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평면도이다.
도 29 내지 도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서의 상기 착석부(20) 또한, 상기 회전부(30)를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 33은 제 3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측면도이고, 도 35는 제 3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5의 측면도이다.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착석한 상기 착석부(20)가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부위가 상기 서포트(10)에 걸릴 우려없이 상기 서포트(10)와 상기 착석부 (20)사이로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상태 그대로 화장실로 이동하여 도 33 내지 도 36에 도시된 화장실의 변기(2)에 배변을 보거나 화장실로 이동할 필요없이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상태에서 배변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뒤돌아서 화장실의 변기(2)에 앉아야 하는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로의 이동을 위한 휠체어 등의 이동수단과 화장실에 도착한 사용자가 옮겨 앉아야 하는 화장실용 활동보조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도 37은 제 3실시예의 착석부의 하부에 배변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의 상기 착석부(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회전부(30)의 하부에 상기 배변통(21)의 상부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 38은 서포트의 상부에 구비된 커튼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배변을 보는 환자, 고령자 등의 프라이버시 존중을 위해, 상기 서포트(10)에는 배변을 보는 환자, 고령자 등을 가려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게 하기 위한 커튼부재(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튼부재(13)는 일예로, 도 3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커튼트랙(131), 커튼고리(132) 및 커튼(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튼트랙(131)은 환형형상, 사각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튼트랙(131)의 내측 하부방향에 상기 착석부(2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커튼트랙(13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중간부에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의 상부가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튼고리(132)의 내측에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의 상부에 수평고정된 상기 커튼트랙(131)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커튼고리(132)는 상기 커튼트랙(131)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상기 커튼트랙(13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기 커튼트랙(13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커튼(133)의 상부는 복수의 상기 커튼고리(132)의 하부에 연결고정된 상태로 상기 커튼트랙(131)을 따라 이동하여 배변을 보는 환자, 고령자 등을 가릴 수 있다.
도 39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도 3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 스위치부(70) 및 음향출력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배터리 등의 전원공급부(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액추에이터(1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70)는 상기 제어부(50)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누름식 버튼,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위치부(70)는 별도의 리모콘에 복수개로 누름식 버튼,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50)로 상기 액추에이터(130)와 상기 음향출력부(80)의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80)는 상기 제어부(5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80)는 배변을 보는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에게 라디오 방송 또는 음악 등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10; 서포트, 20; 착석부,
30; 회전부, 40; 연결부.
30; 회전부, 40; 연결부.
Claims (14)
- 서포트와;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회전가능하게 회전고정하는 회전부와;
상기 서포트에 후측이 고정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가 상기 서포트와 상기 착석부 사이로 삽입되도록 전측이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착석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링과;
상기 연결부의 전측이 고정되는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과 하부링 사이에 배치되는 롤링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 서포트와;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회전가능하게 회전고정하는 회전부와;
상기 서포트에 후측이 고정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가 상기 서포트와 상기 착석부 사이로 삽입되도록 전측이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는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전측에 회전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착석부의 측부에 고정되는 회전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 서포트와;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회전가능하게 회전고정하는 회전부와;
상기 서포트에 후측이 고정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가 상기 서포트와 상기 착석부 사이로 삽입되도록 전측이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서포트에 고정되는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와;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의 측부에서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구비되는 수직연결부재와;
상기 수직연결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연결부재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구비되는 전측 연장연결부재와;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의 전측에서 상기 회전부의 측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측부에 연결되는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 서포트와;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회전가능하게 회전고정하는 회전부와;
상기 서포트에 후측이 고정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가 상기 서포트와 상기 착석부 사이로 삽입되도록 전측이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서포트에 고정되는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와;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의 측부에서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구비되는 전측 연장연결부재와;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의 전측에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구비되는 수직연결부재와;
상기 수직연결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측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측부에 연결되는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의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의 하부에 베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상기 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설치되는 서포트 몸체와;
상기 서포트 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 서포트와;
상기 승강 서포트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의 승강 서포트에 핸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의 중앙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 제 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착석부의 하부를 회전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후측이 상기 서포트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전측이 개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의 하부에 베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설치되는 서포트 몸체와;
상기 서포트 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 서포트와;
상기 승강 서포트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수직연결부재는 상기 서포트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승강 서포트가 하강할 경우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착탈되는 배변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2274A KR102107006B1 (ko) | 2020-01-31 | 2020-01-31 | 배변 리프터 |
PCT/KR2021/000180 WO2021153919A1 (ko) | 2020-01-31 | 2021-01-07 | 배변 리프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2274A KR102107006B1 (ko) | 2020-01-31 | 2020-01-31 | 배변 리프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7006B1 true KR102107006B1 (ko) | 2020-05-06 |
Family
ID=70737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2274A KR102107006B1 (ko) | 2020-01-31 | 2020-01-31 | 배변 리프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7006B1 (ko) |
WO (1) | WO2021153919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53919A1 (ko) * | 2020-01-31 | 2021-08-05 | 허민 | 배변 리프터 |
KR20240071568A (ko) | 2022-11-16 | 2024-05-23 | 주식회사 휴버스 | 세정식 배변리프트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28263A (ja) * | 1997-06-02 | 1998-12-15 | Yoshiaki Kamo | 風呂用リフト装置 |
JP2001129034A (ja) * | 1999-11-04 | 2001-05-15 | Eiichi Asami | 介護補助装置 |
WO2004052263A1 (ja) | 2002-12-06 | 2004-06-24 | Natsume Optical Corporation | 機能運搬具 |
JP2006000196A (ja) * | 2004-06-15 | 2006-01-05 | Koito Ind Ltd | 便座昇降装置 |
JP3773137B2 (ja) | 1996-11-19 | 2006-05-10 | 株式会社いうら | トイレ用介助装置 |
JP2013215249A (ja) * | 2012-04-05 | 2013-10-24 | Toyo Vending Kk | トイレ用の介護用補助装置 |
JP6587444B2 (ja) | 2015-07-17 | 2019-10-09 |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 移乗支援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7024B1 (ko) * | 2019-01-09 | 2019-10-28 | 허민 | 의자를 이용한 상체운동기구 |
KR102107006B1 (ko) * | 2020-01-31 | 2020-05-06 | 허민 | 배변 리프터 |
-
2020
- 2020-01-31 KR KR1020200012274A patent/KR10210700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1-07 WO PCT/KR2021/000180 patent/WO202115391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73137B2 (ja) | 1996-11-19 | 2006-05-10 | 株式会社いうら | トイレ用介助装置 |
JPH10328263A (ja) * | 1997-06-02 | 1998-12-15 | Yoshiaki Kamo | 風呂用リフト装置 |
JP2001129034A (ja) * | 1999-11-04 | 2001-05-15 | Eiichi Asami | 介護補助装置 |
WO2004052263A1 (ja) | 2002-12-06 | 2004-06-24 | Natsume Optical Corporation | 機能運搬具 |
JP4199233B2 (ja) * | 2002-12-06 | 2008-12-17 | 夏目光学株式会社 | 車椅子 |
JP2006000196A (ja) * | 2004-06-15 | 2006-01-05 | Koito Ind Ltd | 便座昇降装置 |
JP2013215249A (ja) * | 2012-04-05 | 2013-10-24 | Toyo Vending Kk | トイレ用の介護用補助装置 |
JP6587444B2 (ja) | 2015-07-17 | 2019-10-09 |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 移乗支援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53919A1 (ko) * | 2020-01-31 | 2021-08-05 | 허민 | 배변 리프터 |
KR20240071568A (ko) | 2022-11-16 | 2024-05-23 | 주식회사 휴버스 | 세정식 배변리프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153919A1 (ko) | 2021-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22809A (en) | Transfer seat apparatus | |
JP4491631B1 (ja) | 介護ベッドシステム | |
KR102107006B1 (ko) | 배변 리프터 | |
JP2748227B2 (ja) | 電動式車椅子 | |
JP2009172108A (ja) | 排泄支援車椅子 | |
NZ505389A (en) | Toilet grab rail support for children , the elderly , and the disabled | |
JPH119625A (ja) | 車椅子及び車椅子用便器装置 | |
JP3034245B1 (ja) | 車椅子用の座席ユニット及び車椅子 | |
JP2561199B2 (ja) | 電動車椅子 | |
CN216908399U (zh) | 一种适用于卧床人的折叠加宽床 | |
US20100011496A1 (en) | Comfort seat and commode device for a wheel chair and the like | |
US5542131A (en) | Sectional toilet seat | |
US5381573A (en) | Automatic invalid relief facility | |
KR100665067B1 (ko) | 노약자 및 장애인용 화장실의 좌변기 | |
JP2006212377A (ja) | 洗浄機能を備えたトイレ付介護用ベッド | |
JP3247738U (ja) | 介護用ベッド | |
US20040148691A1 (en) | Extended transfer platform | |
JPH10328249A (ja) | 介護ベッド用水洗便器 | |
JPH10263019A (ja) | 介護ベッド | |
JP7471254B2 (ja) | 人体移動補助装置、人体移動補助装置用ハンモック | |
CN214549869U (zh) | 设有人体提升装置的座椅 | |
JP3205907U (ja) | 排泄介助装置 | |
CN201533898U (zh) | 具有坐便和坐浴功能的病床 | |
JP3115087U (ja) | 便器付き療養ベッド | |
CN211213972U (zh) | 一种用于瘫痪病人移位的床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