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53919A1 - 배변 리프터 - Google Patents

배변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53919A1
WO2021153919A1 PCT/KR2021/000180 KR2021000180W WO2021153919A1 WO 2021153919 A1 WO2021153919 A1 WO 2021153919A1 KR 2021000180 W KR2021000180 W KR 2021000180W WO 2021153919 A1 WO2021153919 A1 WO 20211539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ing
connecting member
lifter
rot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01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허민
Original Assignee
허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민 filed Critical 허민
Publication of WO20211539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539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09Buttock lifting device for placing bed-pans under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4Hand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lift, and not only does not cause the user to turn around and sit on the toilet seat, but also provides a means of transport such as a wheelchair for moving to the toilet and an activity assisting device for the toilet in which the user who arrives at the toilet must move It relates to a bowel movement lifter that does not need to be used, and there is no fear that the user's lower body is caught on the support when the seated part on which the user is seated rotates.
  • a guardian or caregiver In the case of a patient who cannot defecate or urinate on his own, such as a paralyzed patient, a patient with a part or all of the body paralyzed,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or a critically ill patient, a guardian or caregiver must dispose of defecation or urination.
  • Patent Document 0001 JP6587444B2, September 20, 2001
  • Patent Document 0002 JP3773137B2, February 24, 2006
  • Patent Document 0003 WO2004-052263A1, June 24, 2004
  • Patent document 0001 relates to a lifting support device that can easily and finely adjust the position of a body support part.
  • Patent document 0002 relates to an activity assisting device for a toilet that can easily and safely perform transfer care to the toilet, and an arm that can be rotated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by installing one end on a post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ost, and the other of the arm It is composed of a toilet seat support provided at the end to support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toilet seat is provided to be movable from a position directly above the toilet to the toilet entrance.
  • Patent Document 0003 relates to a functional carrier in which a support arm is installed in a bogie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mounting part on which an object can be placed is rotat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arm and detachably linked in the up-down dir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has to turn around and sit on the toilet seat, as well as a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wheelchair for moving to the toilet and a toilet in which the user who arrives at the toilet must mov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lifter that does not require the use of an activity assisting device for use, and does not cause the user's lower body to be caught on the support, especially when the user's seated part rotates.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upport; a seating unit on which the user sits; a rotating part for rotatably fixing the seating part; a connection part having a rear side fixed to the support and connecting the front side to the rotating part so that when the seating part rotates around the rotating part, the lower body of the user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eating part; It provides a defecation lif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a wheel is provided under the support.
  • the base portion is provided under the support, and the wheel is provided under the base portion.
  • the support includes a support body fixed to the base portion; an elevating support for elev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actuator for elevating the elevating support.
  • a handle is provided on the elevating support of the support.
  •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ating part.
  • the rotating part rotates and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seating part.
  • the rotating part includes an upper ring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seating part; a lower ring to which the front side of the connection part is fix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olling element disposed between the upper ring and the lower ring.
  • the rotating part is made of a rotation support in which the upp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connecting unit,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side of the seating unit.
  • the rear side of the base part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and the front side of the base part is opened.
  •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rear upp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support; a vertical connecting member vertically extending from a side of the rear upp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to a lower direction of the rear upp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by a predetermined length; a front extension connecting member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a front low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which is horizont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front extended connecting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rotating part.
  •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rear upp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support; a front extension connecting member extending from a side of the rear upp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to a front side of the rear upp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by a predetermined length; a vertical connecting member provided on a front side of the front extending connecting member and vertically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ront extending connecting memb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ront low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which is horizont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rotating part from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rotating part.
  •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preferably located inside the base portion when the elevating support is lowered by the actuator of the support.
  • a bowel movement tube detachable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ating unit is provided.
  • the user's lower body when the seat where the user is seated rotates, the user's lower body can be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eat without fear of being caught on the support. Because the user can have a bowel movement while seated in the sitting unit without having to go to the toilet or go to the toilet, there is no inconvenience of the user having to turn around and sit on the toilet seat, as well as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 wheelchair for moving to the toilet There is an effect that there is no need to use an activity assisting device for the toilet that the user who arrives at the toilet has to mov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fecation lifter which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 Figure 3 is a plan view of Figure 1
  • 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seating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bed
  • FIGS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seating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 FIG. 9 is a side view of FIG. 8;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 FIG. 10 is a side view of FIG. 10;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ilet bowl is provided under the seating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 FIG. 13 is a side view of FIG. 12 ;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leg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ating unit separated from the support;
  • connection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wel movement lif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rotating support of the second embodiment
  •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 A of FIG. 17;
  • 20 to 22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seating part of the second embodiment
  •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wel lifter that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4 is a plan view of FIG. 23;
  • connection part of the third embodiment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third embodiment
  • FIG. 26 is a plan view of FIG. 25;
  •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art of the third embodiment is lowered;
  • FIG. 28 is a side view of FIG. 27;
  • 2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seating part of the third embodiment.
  • FIG. 29 is a plan view of FIG. 29;
  • FIG. 3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seating part, which is the third embodiment, is completed;
  • FIG. 32 is a plan view of FIG. 31;
  • FIG. 3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art of the third embodiment is positioned in the upper front direction of the toilet;
  • FIG. 34 is a side view of FIG. 33;
  • 3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art of the third embodiment is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oilet;
  • Fig. 36 is a side view of Fig. 35;
  • FIG. 3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ilet bowl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seating part of the third embodiment
  • 3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rtain memb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 3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a control uni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fecation lif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 FIG. 3 is a plan view of FIG.
  • the defecation lift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support 10 , a seating unit 20 , a rotating unit 30 and a connection unit 40 .
  • the support 10 includes a support body 110; an elevating support 120 that elev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1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ctuator for elevating the elevating support 120, and such a support 10 is known through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37024,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a wheel 11 that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casters may be provided under the support 10 .
  • the base part 12 may be provided under the support 10 .
  • a rear side of the base unit 12 may be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10 , and a front side of the base unit 12 may be opened.
  • the base part 12 may include a front base member 121 and a rear base member 122 .
  • the front base member 121 may be disposed in a lower front direction of the support 10 .
  • the rear base member 122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base member 121 .
  •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110 of the support 10 may be seat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base member 122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 the front base member 121 is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 shape so that the front side of the front base member 121 is opened, or the rear side at one side of the front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rear base member 122 , respectively. It may be formed to extend back and forth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122 .
  • the wheel 11 may be provided on on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ront base member 121 , and at the low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rear base member 122 , respectively.
  • a handle 140 may be provided on the elevating support 120 of the support 10 .
  • each fixing frame 141 may be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handle 140 .
  •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frame 141 of the handle 140 is separated by a fastening member 142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ifting support 120 so that the lifting support 120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handle 140 . possible to be fastened.
  • the fastening member 142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fastening bolts screwed to the fixing frame 141 to be closely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elevating support 120 .
  • the handle 140 After releasing the fastening state of the fastening member 142, the handle 140 is moved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levating support 120 according to the body structure of the patient or elderly person's protector, caregiver, etc. After adjusting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handle 140 by fixing the fastening member 142 to the lifting support 120 agai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handle 140 can be fixed.
  • a user such as a patient or an elderly person is seated in the seating unit 20 in a state in which the buttocks are seated.
  • the cushion may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unit 20 .
  • a through hole 201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ating part 2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e a bowel movement in a toilet or a bowel movement tube to be described later while seated in the seating part 20. there is.
  • a separate cover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20 in which the through hole 201 is formed to help a user such as a patient or an elderly person get on and off a passenger car. you may be able to make it
  • the rotating part 30 is rotatably fixed in place of the seating part 20 .
  • the rotating unit 30 may rotationall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unit 20 .
  • the rotation unit 30 includes, for example, an upper ring 310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unit 20 , a lower ring 320 to which the front side of the connection unit 40 is fixed, and the upper ring 310 , It may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a known thrust bearing including a rolling element 330 disposed between the lower rings 320. (See FIG. 15.)
  • the seating part 20 is, for example, seated and fix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ring 310 in various ways such as bolted to rotate in place, and a lower seating member 210 in which a through hole 201 is formed in the center; ;
  • the rear side is shaft-coupled to the upper rear side of the lower seating member 210, and the front side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rotating frame 210, rotates in place along the lower seating member 210, and at the center
  • the upper seating member 220 in which the through hole 201 is forme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See Fig. 15.)
  • connection part 40 may be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elevating support 120 of the support 10 .
  • the front side of the seating unit 20 is direct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elevating support 120 of the support 10 around the rotating unit 30 by the user, guardian, or caregiver who is seated in the seating unit 20 .
  • the seating unit 20 rotates in place (see FIGS. 6 and 7 )
  • the user's lower body, especially the leg smoothly moves between the elevating support 120 of the support 10 and the seating unit 20 without interference.
  • the front side of the connection part 4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lower fixing ring 320 of the rotating part 30 so that it can be inserted.
  • 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eating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is mov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bed.
  • the bed 1 In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art 20 is raised by the actuator of the support 10 so that the height of the seating part 20 is higher than the bed 1, the bed 1 is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seating part 20. 4 and 5, the base part 12 and the support 10 together with the seating part 20 ar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bed 1 by the patient's guardian or caregiver, etc. can be
  • a user such as a patient or an elderly person taking a break in the bed 1 in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art 2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1 by the actuator of the support 10 is the seating part 20 ) can be seated.
  • the base part 12 and the support 10 together with the seating part 20 by a guardian or caregiver of the bed 1 It can be moved outward.
  • FIGS.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otation process of the seat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the base part 12 and the support 10 may be moved to the toilet together with the seating part 20 on which a user such as a patient or an elderly person is seated by a guardian or caregiver of the patient.
  • the front side of the seating part 20 around the rotating part 30 is the support ( 10)
  • the seating portion 20 may be rotated in place to face the front side of the lifting support 120 .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is positioned above the toilet bowl
  • FIG. 9 is a side view of FIG. 8 .
  • the seating part 20, on which a user such as a patient or an elderly person is seated is raised by the actuator of the support 10 so that the height of the seating part 20 is higher than the toilet bowl 2 of the toilet.
  • the base part 12 is installed by a guardian or caregiver so that the toilet bowl 2 is positioned inside the front base member 121 of the base part 12. 2) can be moved.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and FIG. 11 is a side view of FIG. 10 .
  • the seating part 20 in which a user such as a patient or an elderly person is seated, is lower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oilet 2 of the toilet by the actuator of the support 10.
  • a user such as a patient or an elderly person who is seated on the seating unit 20 in a state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bowl 2 can have a bowel movement.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ilet bowl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seating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 FIG. 13 is a side view of FIG. 12 .
  • the bowel movement tube 21 may be provided detachably.
  •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bowl 21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fixing bolt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ring 320 of the rotating unit 30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seating unit 20.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leg is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a seating unit separated from a support
  •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 the seating part 20 may be separat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connection part 40 to be used as a sitting toilet.
  • a plurality of support legs 22 are detachable under the lower ring 320 of the rotating part 30 . It may be provided vertically at regular intervals in a radial manner.
  •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22 may be detachably inserted and fixed to the insertion holes 211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 radial direction on the lower ring 320 of the rotating unit 30 .
  • connection part 40 is, for example, large, as shown in FIGS. 1, 2 and 15 , a rear upper horizontal connection member 410 , a vertical connection member 420 , a front extension connection member 430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ront low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40 .
  • the rear upp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10 may be horizontally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10 to the other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 One side of the rear upp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10 may be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welding fixing, etc., on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frame 401 that is provided to be able to be lifted on the lifting support 120 of the support 10 . .
  • fastening members ( 402) may be detachably fastened and fixed.
  • the fastening member 402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fastening bolts that are screw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frame 402 and are closely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elevating support 120 .
  • the seating part 20 and the connecting part 40 together with the fixed frame 401 are moved according to the body structure of the patient or the elderly person's protector, caregiver, etc.
  • the fastening member 402 is again moved to the lifting support 120. It is possible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xed frame 401, the seating part 20, and the connection part 40, which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by fixing them.
  •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420 is a side of the rear upp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10, for example, from the other side of the rear upp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10 to the lower direction of the rear upp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10. It may be provided with a vertical extension in length.
  • the toilet bowl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portion 30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20 due to the vertical connection member 420 (21) can be seated and fixed on the ground more stably.
  • the front extension connecting member 430 may be provided to extend forward and back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420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420 .
  • the seat 20 is more stably in place so that the front side of the seat 20 faces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10 .
  • the lower body, particularly the leg, of the user seated on the seating part 20 between the seating part 20 and the support 10 can be inserted without interference. It is possible to easily form the open space (S).
  • the front low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40 is a side of the rotating part 30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extending connecting member 430, for example,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lower ring 320 of the rotating part 30 It may be horizont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ide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ring 320 of the rotating part 30 .
  •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part 30 together with the seating part 20 can be more stably fixed through the front low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40 .
  • the front low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40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front low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41 , a connection socket 442 and a second front low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43 .
  • the first front low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41 may be horizontally bent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lower ring 320 of the rotating part 30 from the front side of the front extended connecting member 430 .
  • connection socket 442 may be separ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ront lower horizontal connection member 441 in various ways, such as by force fitting and fixing.
  • An annular flange 442a may b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connection socket 442 .
  • Insertion holes 442b may b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one side of the connection socket 442 , respectively.
  • One side of the second front low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43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ring 320 of the rotating part 30 in various ways such as bolting, welding, and the like.
  • Insertion holes 443a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 the other upper portion and the other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ront low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43 .
  • connection socket 442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ront side lower horizontal connection member 443 in various ways, such as press-fitting and fixing.
  • a fastening member 443b such as a fastening pin that vertically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443a of the second front lower horizontal connection member 443 and the insertion hole 442b of the connection socket 442 in a separable order may be provided. there is.
  • the rotation part 30 from the connection part 40 The seating part 20 may be separated together with the seat part 20 to use the seating part 20 as a sitting toilet.
  • connection part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the front extension connection member 430 is another example, and as shown in FIG. 16 , a first extension connection member 431 , a first connection socket 432 , a second connection socket 433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front side extension connecting member (434).
  • the first front side extension connecting member 431 may be horizontally bent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420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420 .
  • the rea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socket 432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front side extension connection member 431 in various ways, such as by force fitting and fixing.
  • An annular flange 432a may be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connection socket 432 .
  • Insertion holes 432b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 the front upper portion and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socket 432 .
  • Insertion holes 433a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 the rear upper portion and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socket 433 .
  • the front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socket 432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socket 433 in various ways, such as by force fitting and fixing.
  •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socket 433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rear side of the second front side extension connection member 434 in various ways, such as by force fitting and fixing.
  • the front lower horizontal connection member 44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front side extension connection member 434 .
  • a fastening member 435 such as a fastening pin that vertically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433a of the second connection socket 433 and the insertion hole 432b of the first connection socket 432 in a separable order may be provided. .
  •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wel movement lif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fecation lifter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art 40 is the front side of the elevating support 120 of the support 10 as shown in FIG. It can be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welding fixing, etc. on the rear side opposite to the side, and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40 can be horizontally bent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upport 10 .
  • the rotation unit 30 may be formed of a rotation support 310 .
  • the rotation support 310 may include an upper vertical rotation support 311 , an upper horizontal rotation support 312 , an intermediate vertical rotation support 313 , and a lower horizontal rotation support 314 .
  • the upper vertical rotation support 311 may be vertic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pport 10 .
  • the upper horizontal rotation support 312 may be formed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vertical rotation support 311 to the other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opposite side of one side of the support 10 .
  • the seating part 20 move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10 so that the front side of the seating part 20 faces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10 .
  • an open space (S) in which the lower body of the user seated in the seating unit 20, particularly the legs, can be inserted between the seating unit 20 and the support 10 without interference. ) can be easily formed.
  • the intermediate vertical rotation support 313 may be vertic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support 10 from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upper horizontal rotation support 312 .
  •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20 through the intermediate vertical rotation support 313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20 by bolts, etc.
  • the barrel 21 may be more stably seated and fixed on the ground.
  • the lower horizontal rotation support 314 may be formed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vertical rotation support 313 to the other side, which is opposite to one side of the seating unit 20 , by a predetermined length.
  • One side of the lower horizontal rotation support 314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seating unit 20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and welding fixing.
  • the seating portion 20 can be more stably fixed in position.
  • connection member 41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upper vertical rotation support 311 of the rotation support 310 to the upper front side of the connection part 40 may be provided.
  •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part and the rotating suppo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 A of FIG. 17 .
  • the connecting member 4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body 411, a rotating shaft 412, an upper bearing 413 and a lower bearing 414, as shown in FIGS. 18 and 19 .
  • the body 411 may be vertically fixed to the upper front side of the connection part 40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welding fixing, and the like.
  • the rotation shaft 412 may be rotatably vertically accommodated in the body 411 .
  •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412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vertical rotation support 311 of the rotation support 310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or welding fixing.
  • the body 411 may be provided inside the upper bearing 413 in a state w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412 is accommodated inside the upper bearing 413 .
  • the lower bearing 414 may be provid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411 in a state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412 is accommodated inside the lower bearing 414 .
  • 20 to 22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seat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a guardian and caregiver of a user such as a patient, an elderly person, etc. may rotate the seating unit 20 together with the rotation support 310 as shown in FIGS. 20 to 22 .
  •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wel lif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4 is a plan view of FIG.
  • the third embodiment of the defecation lif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he same as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armrests 22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unit 2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23 and 24 . ) may be provided.
  • connection part 40 may include, for example, the rear upp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10 , the front extended connecting member 430 , and the front low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40 .
  • the front extension connecting member 430 may be horizontally bent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rear upp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10 from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rear upp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10 .
  •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FIG. 26 is a plan view of FIG. 25 .
  • connection part 40 is large, the rear upper horizontal connecting member 410 , the front extended connecting member 430 ,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420 and the front lower par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connection member (440).
  •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art of the third embodiment is lowered
  • FIG. 28 is a side view of FIG. 27 .
  • the vertical connecting member 420 of the connecting part 40 is the base part 12 when the lifting support 120 is lowered by the actuator of the support 10 . It may be located inside the front base member 121 .
  • the seating portion 20 when the seating portion 20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elevating support 120 , the seating is caused by the vertical connection member 420 located inside the front base member 121 of the base portion 12 .
  • the part 20 or the toilet bowl 21 can be more stably seated on the ground, such as an ondol floor, without a lifting phenomenon.
  • FIG. 2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seating part of the third embodiment
  • FIG. 30 is a plan view of FIG. 29
  • FIG. 3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seating part of the third embodiment is completed
  • FIG. 31 is a plan view.
  • the seating unit 20 of the third embodiment may also be rotated in place around the rotating unit 30 .
  • FIG. 3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art of the third embodiment is positioned in the upper front direction of the toilet
  • FIG. 34 is a side view of FIG. 33
  • FIG. 35 is a state in which the seating part of the third embodiment is position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toilet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 FIG. 36 is a side view of FIG. 35 .
  • the seating unit 20 on which a user such as a patient or an elderly person is seated rotates, it can be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10 and the seating unit 20 without fear of the user's lower body being caught in the support 10 .
  • the user moves to the toilet in the state of being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20, and in the seating portion 20 without having to go to the toilet or go to the toilet 2 of the toilet shown in FIGS. 33 to 36. Because it is possible to defecate in a seated state, the user does not have to turn around and sit on the toilet bowl (2) of the toilet, as well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a wheelchair for moving to the toilet and a toilet in which the user who arrives at the toilet must move
  • the advantage is that there is no need to use an activity assist device.
  • FIG. 3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toilet bowl is provided under the seating portion of the third embodiment.
  •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bowl 21 is detachably connected and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to the lower part of the rotating part 30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seating part 20 of the third embodiment.
  • 3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urtain memb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support.
  • the support 10 may be provided with a curtain member 13 for covering the defecating patient, the elderly, etc. and not exposing to the outside.
  • the curtain member 13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curtain track 131 , a curtain ring 132 and a curtain 133 , as shown in FIG. 38 .
  • the curtain track 13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n annular shape,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the like.
  •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support 120 of the support 10 in the rear middle portion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curtain track 131 so that the seating portion 20 can be positioned in the lower inner direction of the curtain track 131 . can be connected and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and welding fixing.
  • the curtain track 131 horizontally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support 120 of the support 10 on the inside of the curtain ring 132 is
  • a plurality of curtain rings 132 are provided on the curtain track 131 at regular intervals to move along the curtain track 131 from one side of the curtain track 131 to the other side.
  • the upper portion of the curtain 133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urtain rings 132 and moves along the curtain track 131 to cover a patient, an elderly person, and the like having a bowel movement.
  • 3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a control unit.
  • control unit 50 the switch unit 70 , and the sound output unit 80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control unit 50 may control the actuator 130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60 such as a battery.
  • the control unit 50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being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support 120 of the support 10 .
  • the switch unit 7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the control unit 50 at regular intervals in various ways, such as a push-type button, a dial button, and the like.
  • the switch unit 70 is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a plurality of push-type buttons and dial buttons on a separate remote control, so as to transmit control signals of the actuator 130 and the sound output unit 80 to the control unit 50 . can be printed out.
  • the sound output unit 80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such as being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support 120 of the support 10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trol unit 50 .
  • the sound output unit 80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a speaker capable of outputting radio broadcasts or music to users such as a patient who has a bowel movement or an elderly pers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변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뒤돌아서 화장실의 변기에 앉아야 하는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로의 이동을 위한 휠체어 등의 이동수단과 화장실에 도착한 사용자가 옮겨 앉아야 하는 화장실용 활동보조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특히 사용자가 착석한 착석부가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부위가 서포트에 걸릴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변 리프터
본 발명은 배변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뒤돌아서 화장실의 변기에 앉아야 하는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로의 이동을 위한 휠체어 등의 이동수단과 화장실에 도착한 사용자가 옮겨 앉아야 하는 화장실용 활동보조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특히 사용자가 착석한 착석부가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부위가 서포트에 걸릴우려가 없는 배변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중풍환자, 신체 일부 또는 전부가 마비된 환자, 신체장애인, 중환자 등과 같이 스스로 배변 또는 배뇨를 해결하지 못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배변 또는 배뇨 등의 배설물을 처리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설물의 뒤처리는 불쾌감, 육체적 피로, 오염 또는 전염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냄새 등으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자리를 비운 경우에는 배설물이 즉시 처리되지 못해서 환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주변 환경의 오염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통스러운 배변 처리 작업 때문에 간병인의 인건비가 상승하여 보호자에게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지우게 된다.
따라서, 보다 위생적이고 효율적인 배변 처리 방법 또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0001(JP6587444B2, 20019.09.20), 특허문헌 0002(JP3773137B2, 2006.02.24) 및 특허문헌 0003(WO2004-052263A1, 2004.06.24)으로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0001은 용이하게 신체 지지부의 위치를 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이승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배변을 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뒤돌아서 변기에 앉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2는 화장실로의 이승 개호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화장실용 활동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 방향으로 입설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일단을 설치해 수직축 방향에 선회 가능한 암과 상기 암의 타 단에 마련되어 변좌를 지지하는 변좌 지지체로 구성되어, 상기 변좌를 변기의 바로 위 위치에서 화장실 출입구까지 이동 가능하게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휠체어 등을 이용하여 화장실까지 이동한 후 다시 화장실용 활동보조장치에 옮겨 앉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3은 대차 본체에 지지 암이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운반물이 재치 가능한 재치부가 지지 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계할 수 있는 기능 운반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재치부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방향을 반대로 전환하기 위해 회전한경우 사용자의 하반신이 상하 프레임부에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뒤돌아서 화장실의 변기에 앉아야 하는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로의 이동을 위한 휠체어 등의 이동수단과 화장실에 도착한 사용자가 옮겨 앉아야 하는 화장실용 활동보조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특히 사용자가 착석한 착석부가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부위가 서포트에 걸릴 우려가 없는 배변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포트와;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회전가능 하게 회전고정하는 회전부와; 상기 서포트에 후측이 고정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가 상기 서포트와 상기 착석부 사이로 삽입되도록 전측이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의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서포트의 하부에 베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상기 바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설치되는 서포트 몸체와; 상기 서포트 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 서포트와; 상기 승강 서포트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포트의 승강 서포트에 핸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착석부의 중앙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회전부는 상기 착석부의 하부를 회전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착석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링과; 상기 연결부의 전측이 고정되는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과 하부링 사이에 배치되는 롤링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회전부는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전측에 회전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착석부의 측부에 고정되는 회전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의 후측이 상기 서포트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전측이 개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서포트에 고정되는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와;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의 측부에서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 구비되는 수직연결부재와; 상기 수직연결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연결부재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구비되는 전측 연장연결부재와;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의 전측에서 상기 회전부의 측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측부에 연결되는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서포트에 고정되는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와;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의 측부에서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구비되는 전측 연장연결부재와;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의 전측에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 구비되는 수직연결부재와; 상기 수직연결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측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측부에 연결되는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연결부의 수직연결부재는 상기 서포트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승강 서포트가 하강할 경우 상기베이스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착탈되는 배변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한 착석부가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부위가 서포트에 걸릴 우려없이 상기 서포트와 상기 착석부 사이로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상태 그대로 화장실로 이동하여 변기에 배변을 보거나 화장실로 이동할 필요없이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상태에서 배변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뒤돌아서 화장실의 변기에 앉아야 하는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로의 이동을 위한 휠체어 등의 이동수단과 화장실에 도착한 사용자가 옮겨 앉아야 하는 화장실용 활동보조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제 1실시예의 착석부가 침대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제 1실시예의 착석부의 회전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1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제 1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제 1실시예의 착석부의 하부에 배변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고,
도 14는 서포트로부터 분리된 착석부의 하부에 지지 다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14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제 1실시예의 연결부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제 2실시예의 연결부와 회전지지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0 내지 도 22는 제 2실시예의 착석부의 회전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평면도이고,
도 25는 제 3실시예의 연결부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평면도이고,
도 27은 제 3실시예의 착석부가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측면도이고,
도 29는 제 3실시예의 착석부의 회전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평면도이고,
도 31은 제 3실시예인 착석부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평면도이고,
도 33은 제 3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측면도이고,
도 35는 제 3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5의 측면도이고,
도 37은 제 3실시예의 착석부의 하부에 배변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8은 서포트의 상부에 구비된 커튼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9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인 배변 리프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서포트(10), 착석부(20), 회전부(30) 및 연결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서포트(10)는 서포트 몸체(110)와; 상기 서포트 몸체(11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 서포트(120)와; 상기 승강 서포트(120)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와 같은 상기 서포트(10)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37024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서포트(1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기 서포트(10)의 하부에 캐스터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퀴(11)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서포트(10)의 하부에 베이스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2)의 후측이 상기 서포트(10)의 하부에 고정 및 상기 베이스부(12)의 전측이 개방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2)는 전측베이스부재(121)와 후측베이스부재(1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베이스부재(121)는 상기 서포트(10)의 전측 하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측베이스부재(122)는 상기 전측베이스부재(121)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베이스부재(122)의 상부에 상기 서포트(10)의 서포트 몸체(110)의 하부가 볼트 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측베이스부재(121)의 전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전측베이스부재(121)는 'C'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후측베이스부재(122)의 전측부 일측과 전측부 타측에서 각각 상기 후측베이스부재(122)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베이스부재(121)의 전측부 하부 일측과 전측부 하부 타측 및 상기 후측베이스부재(122)의 하부 일측 및 하부 타측에 각각 상기 바퀴(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에 핸들(1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14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프레임(141)이 상기 핸들(14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140)의 전측에 상기 승강 서포트(120)가 위치하도록 상기 핸들(140)의 고정프레임(141)의 전측은 상기 승강 서포트(120)의 일측과 타측에 체결부재(142)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42)는 상기 고정프레임(14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승강 서포트(120)의 일측과 타측에 밀착 고정되는 체결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42)의 체결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핸들(140)을 환자 또는 고령자의 보호자, 간병인 등의 신체구조에 따라 상기 승강 서포트(12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 운동시켜 상기 핸들(140)의 상하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체결부재(142)를 다시 상기 승강 서포트(120)에 고정시켜 상, 하 위치 조절된 상기 핸들(140)을 위치고정 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착석부(20)에는 환자 또는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둔부를 안착시킨 상태로 착석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착석부(20)의 상부에 방석이 안착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상태로 변기 또는 후술할 배변통에 용이하게 배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착석부(20)의 중앙에 관통구(2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관통구(201)가 형성된 상기 착석부(20)의 상부에 별도의 덮개를 구비시켜 환자 또는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승용차 등의 승차 및 하차하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착석부(20)를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회전고정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30)의 상부에 상기 착석부(20)가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안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착석부(20)의 하부를 회전지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0)는 일례로, 상기 착석부(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링(310)과, 상기 연결부(40)의 전측이 고정되는 하부링(320) 및 상기 상부링(310)과 하부링(320) 사이에 배치되는 롤링요소(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지된 스러스트 베어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5 참조.)
상기 착석부(20)는 일 예로, 상기 상부링(310)의 상부에 볼트 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중앙에 관통구(201)가 형성되는 하부 착석부재(210)와; 상기 하부 착석부재(210)의 상부 후측에 후측이 축결합되고, 전측이 상기 회전프레임(210)의 전측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며, 상기 하부 착석부재(210)를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중앙에 관통구(201)가 형성되는 상부 착석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5 참조.)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40)의 후측은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의 전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사용자 또는 보호자 및 간병인 등에 의해 상기 회전부(30)를 중심으로 상기 착석부(20)의 전측이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의 전측을 향하도록 상기 착석부(20)가 제자리에서 회전(도 6 및 도 7 참조)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 특히, 다리부위가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와 상기 착석부(20) 사이로 간섭없이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40)의 전측은 상기 회전부(30)의 하부 고정링(320)의 일측의 반대 측인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제 1실시예의 착석부가 침대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착석부(20)의 높이가 침대(1)보다 높도록 상기 서포트(10)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착석부(20)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20)의 하부방향에 침대(1)의 상부가 위치하도록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20)와 함께 상기 베이스부(12) 및 상기 서포트(10)가 상기 침대(1) 방향으로 환자의 보호자 또는 간병인 등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착석부(20)가 상기 서포트(10)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침대(1)의 상부 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침대(1)에서 휴식을 취하는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는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할 수 있다.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상태에서 보호자 또는 간병인 등에 의해 상기 착석부(20)와 함께 상기 베이스부(12) 및 상기 서포트(10)가 상기 침대(1)의 외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제 1실시 예의 착석부의 회전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환자의 보호자 또는 간병인 등에 의해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착석한 상기 착석부(20)와 함께 상기 베이스부(12) 및 상기 서포트(10)가 화장실로 이동될 수 있다.
화장실에 도착한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사용자 또는 보호자 및 간병인 등에 의해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30)를 중심으로 상기 착석부(20)의 전측이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의 전측을 향하도록 상기 착석부(20)가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 8은 제 1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20)의 높이가 화장실의 변기(2)보다 높도록 상기 서포트(10)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착석한 상기 착석부(20)가 상승된 상태에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2)의 전측베이스부재(121)의 내측에 화장실의 변기(2)가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2)가 보호자 또는 간병인 등에 의해 화장실의 변기(2)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은 제 1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이후, 상기 서포트(10)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착석한 상기 착석부(20)가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실의 변기(2)의 상부방향으로 하강하여 화장실의 변기(2)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배변을 볼 수 있다.
도 12는 제 1실시예의 착석부의 하부에 배변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다.
이와 달리,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화장실로 이동하지 않고도 배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20)의 하부에 배변통(21)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배변통(21)의 상부는 상기 착석부(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부(30)의 하부링(320)의 하부에 볼트 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서포트로부터 분리된 착석부의 하부에 지지 다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15는 14의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착석부(20)는 상기 연결부(40)의 전측으로부터 분리되어 좌식 변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착석부(2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해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30)의 하부링(320)의 하부에 복수의 지지다리(22)가 분리가능하게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지지다리(22)의 상부는 상기 회전부(30)의 하부링(320)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삽입공(211)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40)는 일례로, 도 1, 도 2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 수직연결부재(420), 전측 연장연결부재(430) 및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는 상기 서포트(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의 일측은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프레임(401)의 전측에 볼트 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401)의 내측에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402)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승강 서포트(120)의 일측과 타측에 체결부재(402)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02)는 상기 고정프레임(40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승강서포트(120)의 일측과 타측에 밀착고정되는 체결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02)의 체결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고정프레임(401)과 함께 상기 착석부(20) 및 상기 연결부(40)를 환자 또는 고령자의 보호자, 간병인 등의 신체구조에 따라 상기 승강 서포트(12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 운동시켜 상기 고정프레임(401)과 함께 상기 착석부(20) 및 상기 연결부(40)의 상하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체결부재(402)를 다시 승강 서포트(120)에 고정시켜 상하 위치 조절된 상기 고정프레임(401), 상기 착석부(20) 및 상기연결부(40)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직연결부재(420)는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의 측부, 일례로,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의 타측부에서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 연장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서포트(120)와 함께 상기 착석부(20)가 하강할 경우, 상기 수직연결부재(420)로 인해 상기 착석부(20)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회전부(30)의 하부에 고정된 배변통(21)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430)는 상기 수직연결부재(420)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연결부재(42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 연장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와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430)를 통해 상기 착석부(20)의 전측이 상기 서포트(10)의 전측을 향하도록 상기 착석부(20)가 보다 안정적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20)와 상기 서포트(10) 사이에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체, 특히 다리부위가 간섭없이 삽입될 수 있는 개방공간(S)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0)는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430)의 전측에서 상기 회전부(30)의 측부, 일예로, 상기 회전부(30)의 하부링(320)의 일측부의 반대측인 타측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구비되어 상기 회전부(30)의 하부링(320)의 타측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0)를 통해 상기 착석부(20)와 함께 상기 회전부(30)를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0)는 일예로, 제 1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1), 연결소켓(442) 및 제 2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1)는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430)의 전측에서 상기 회전부(30)의 하부링(32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442)의 타측은 상기 제 1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1)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442)의 중간부는 환형의 플랜지(44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442)의 일측 상부와 일측 하부에 각각 삽입구(44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3)의 일측은 상기 회전부(30)의 하부링(320)의 타측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3)의 타측 상부와 타측 하부에 각각 삽입구(44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3)의 타측 내부에 상기 연결소켓(442)의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 고정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3)의 삽입구(443a)와 상기 연결소켓(442)의 삽입구(442b)를 분리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하는 체결핀 등의 체결부재(44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3)의 삽입구(443a)와 상기 연결소켓(442)의 삽입구(442b)로부터 상기 체결부재(443b)를 분리한 후 상기 연결부(40)로부터 상기 회전부(30)와 함께 착석부(20)를 이탈시켜 상기 착석부(20)를 좌식 변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6은 제 1 실시 예의 연결부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430)는 다른 예로서,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전측 연장연결부재(431), 제 1연결소켓(432), 제 2연결소켓(433) 및 제 2전측 연장연결부재(4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 연장연결부재(431)는 상기 수직연결부재(420)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연결부재(42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소켓(432)의 후측은 상기 제 1전측 연장연결부재(431)의 전측 내부에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소켓(432)의 중간부에 환형의 플랜지(43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소켓(432)의 전측 상부와 전측 하부에 각각 삽입구(43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소켓(433)의 후측 상부와 후측 하부에 각각 삽입구(43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소켓(433)의 후측 내부에 상기 제 1연결소켓(432)의 전측이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 연장연결부재(434)의 후측 내부에 상기 제 2연결소켓(433)의 전측이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 연장연결부재(434)의 전측에 상기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소켓(433)의 삽입구(433a)와 상기 제 1연결소켓(432)의 삽입구(432b)를 분리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하는 체결핀 등의 체결부재(43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인 배변 리프터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40)의 하부는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40)의 상부는 상기 서포트(1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 절 곡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30)는 회전지지대(3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대(310)는 상부 수직회전지지대(311), 상부 수평회전지지대(312), 중간 수직회전지지대(313) 및 하부 수평회전지지대(3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직회전지지대(311)는 상기 서포트(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평회전지지대(312)는 상기 상부 수직회전지지대(311)의 하부에서 상기 서포트(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직회전지지대(311)와 상기 상부 수평회전지지대(312)를 통해 상기 착석부(20)의 전측이 상기 서포트(10)의 전측을 향하도록 상기 착석부(20)가 상기 회전지지대(3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착석부(20)와 상기 서포트(10) 사이에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체, 특히 다리부위가 간섭없이 삽입될 수 있는 개방공간(S)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수직회전지지대(313)는 상기 상부 수평회전지지대(312)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서 상기 서포트(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서포트(120)와 함께 상기 착석부(20)가 하강할 경우, 상기 중간 수직회전지지대(313)를 통해 상기 착석부(20)의 하부에 상부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된 배변통(21)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에 안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평회전지지대(314)는 상기 중간 수직회전지지대(313)의 하부에서 상기 착석부(20)의 일측부의 반대측인 타측부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수평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평회전지지대(314)의 일측은 상기 착석부(20)의 일측부의 반대측인 타측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평회전지지대(314)를 통해 상기 착석부(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40)의 상부 전측에 상기 회전지지대(310)의 상부 수직회전지지대(31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4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은 제 2실시예의 연결부와 회전지지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연결부재(41)는 일예로,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411), 회전축(412), 상부베어링(413) 및 하부베어링(4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411)는 상기 연결부(40)의 상부 전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수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12)은 상기 몸체(4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12)의 하부는 상기 회전지지대(310)의 상부 수직회전지지대(311)의 상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베어링(413)의 내측에 상기 회전축(412)의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상부베어링(413)은 상기 몸체(411)이 상부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베어링(414)의 내측에 상기 회전축(412)의 하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부베어링(414)은 상기 몸체(411)의 하부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제 2실시예의 착석부의 회전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의 보호자 및 간병인 등은 도 20 내지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대(310)와 함께 상기 착석부(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배변 리프터는 제 1, 2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23 및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팔걸이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0)는 일예로,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430) 및 상기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430)는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서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
도 25는 제 3실시예의 연결부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평면도이다.
상기 연결부(40)는 다른 예로, 도 25 및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410),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430), 상기 수직연결부재(420) 및 상기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7은 제 3실시예의 착석부가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측면도이다.
특히, 도 27 및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40)의 수직 연결부재(420)는 상기 서포트(10)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승강 서포트(120)가 하강할 경우 상기 베이스부(12)의 전측베이스부재(12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 서포트(120)와 함께 상기 착석부(20)가 하강할 경우, 상기 베이스부(12)의 전측베이스부재(121)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직연결부재(420)로 인해 상기 착석부(20) 또는 배변통(21)이 온돌 바닥 등의 지면에 들뜸 현상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도 29는 제 3실시예의 착석부의 회전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평면도이고, 도 31은 제 3 실시 예의 착석부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평면도이다.
도 29 내지 도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의 상기 착석부(20) 또한, 상기 회전부(30)를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 33은 제 3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측면도이고, 도 35는 제 3실시예의 착석부가 변기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5의 측면도이다.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착석한 상기 착석부(20)가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부위가 상기 서포트(10)에 걸릴 우려없이 상기 서포트(10)와 상기 착석부 (20) 사이로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상태 그대로 화장실로 이동하여 도 33 내지 도 36에 도시된 화장실의 변기(2)에 배변을 보거나 화장실로 이동할 필요없이 상기 착석부(20)에 착석한 상태에서 배변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뒤돌아서 화장실의 변기(2)에 앉아야 하는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로의 이동을 위한 휠체어 등의 이동수단과 화장실에 도착한 사용자가 옮겨 앉아야 하는 화장실용 활동보조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도 37은 제 3실시예의 착석부의 하부에 배변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의 상기 착석부(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회전부(30)의 하부에 상기 배변통(21)의 상부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 38은 서포트의 상부에 구비된 커튼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배변을 보는 환자, 고령자 등의 프라이버시 존중을 위해, 상기 서포트(10)에는 배변을 보는 환자, 고령자 등을 가려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게 하기 위한 커튼부재(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튼부재(13)는 일예로, 도 3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커튼트랙(131), 커튼고리(132) 및 커튼(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튼트랙(131)은 환형형상, 사각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튼트랙(131)의 내측 하부방향에 상기 착석부(2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커튼트랙(131)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중간부에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의 상부가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튼고리(132)의 내측에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의 상부에 수평고정된 상기 커튼트랙(131)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커튼고리(132)는 상기 커튼트랙(131)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되어 상기 커튼트랙(13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기 커튼트랙(13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커튼(133)의 상부는 복수의 상기 커튼고리(132)의 하부에 연결고정된 상태로 상기 커튼트랙(131)을 따라 이동하여 배변을 보는 환자, 고령자 등을 가릴 수 있다.
도 39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도 3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 스위치부(70) 및 음향출력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배터리 등의 전원공급부(60)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액추에이터(1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70)는 상기 제어부(50)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누름식 버튼,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위치부(70)는 별도의 리모콘에 복수개로 누름식 버튼,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50)로 상기 액추에이터(130)와 상기 음향출력부(80)의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80)는 상기 제어부(5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서포트(10)의 승강 서포트(120)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80)는 배변을 보는 환자, 고령자 등의 사용자에게 라디오 방송 또는 음악 등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3)

  1. 서포트와;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회전가능하게 회전고정하는 회전부와;
    상기 서포트에 후측이 고정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가 상기 서포트와 상기 착석부 사이로 삽입되도록 전측이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착석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링과;
    상기 연결부의 전측이 고정되는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과 하부링 사이에 배치되는 롤링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2. 서포트와;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회전가능하게 회전고정하는 회전부와;
    상기 서포트에 후측이 고정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가 상기 서포트와 상기 착석부 사이로 삽입되도록 전측이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는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전측에 회전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착석부의 측부에 고정되는 회전지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3. 서포트와;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회전가능하게 회전고정하는 회전부와;
    상기 서포트에 후측이 고정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가 상기 서포트와 상기 착석부 사이로 삽입되도록 전측이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서포트에 고정되는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와;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의 측부에서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구비되는 수직연결부재와;
    상기 수직연결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연결부재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구비되는 전측 연장연결부재와;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의 전측에서 상기 회전부의 측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측부에 연결되는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4. 서포트와;
    사용자가 착석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회전가능하게 회전고정하는 회전부와;
    상기 서포트에 후측이 고정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사용자의 하체가 상기 서포트와 상기 착석부 사이로 삽입되도록 전측이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서포트에 고정되는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와;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의 측부에서 상기 후측 상부수평연결부재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구비되는 전측 연장연결부재와;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의 전측에 상기 전측 연장연결부재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구비되는 수직연결부재와;
    상기 수직연결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측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측부에 연결되는 전측 하부수평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의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의 하부에 베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상기 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설치되는 서포트 몸체와;
    상기 서포트 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 서포트와;
    상기 승강 서포트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의 승강 서포트에 핸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의 중앙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10. 제 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착석부의 하부를 회전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후측이 상기 서포트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전측이 개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의 하부에 베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설치되는 서포트 몸체와;
    상기 서포트 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 서포트와;
    상기 승강 서포트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수직연결부재는 상기 서포트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승강 서포트가 하강할 경우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착탈되는 배변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리프터.
PCT/KR2021/000180 2020-01-31 2021-01-07 배변 리프터 WO202115391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274 2020-01-31
KR1020200012274A KR102107006B1 (ko) 2020-01-31 2020-01-31 배변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53919A1 true WO2021153919A1 (ko) 2021-08-05

Family

ID=70737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0180 WO2021153919A1 (ko) 2020-01-31 2021-01-07 배변 리프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7006B1 (ko)
WO (1) WO20211539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006B1 (ko) * 2020-01-31 2020-05-06 허민 배변 리프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3137B2 (ja) * 1996-11-19 2006-05-10 株式会社いうら トイレ用介助装置
JP4199233B2 (ja) * 2002-12-06 2008-12-17 夏目光学株式会社 車椅子
JP5752079B2 (ja) * 2012-04-05 2015-07-22 トーヨーベンディング株式会社 トイレ用の介護用補助装置
JP6587444B2 (ja) * 2015-07-17 2019-10-09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移乗支援装置
KR102037024B1 (ko) * 2019-01-09 2019-10-28 허민 의자를 이용한 상체운동기구
KR102107006B1 (ko) * 2020-01-31 2020-05-06 허민 배변 리프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8263A (ja) * 1997-06-02 1998-12-15 Yoshiaki Kamo 風呂用リフト装置
JP2001129034A (ja) * 1999-11-04 2001-05-15 Eiichi Asami 介護補助装置
JP2006000196A (ja) * 2004-06-15 2006-01-05 Koito Ind Ltd 便座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3137B2 (ja) * 1996-11-19 2006-05-10 株式会社いうら トイレ用介助装置
JP4199233B2 (ja) * 2002-12-06 2008-12-17 夏目光学株式会社 車椅子
JP5752079B2 (ja) * 2012-04-05 2015-07-22 トーヨーベンディング株式会社 トイレ用の介護用補助装置
JP6587444B2 (ja) * 2015-07-17 2019-10-09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移乗支援装置
KR102037024B1 (ko) * 2019-01-09 2019-10-28 허민 의자를 이용한 상체운동기구
KR102107006B1 (ko) * 2020-01-31 2020-05-06 허민 배변 리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006B1 (ko)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95973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18164319A1 (ko)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WO2021095971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1096129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1095970A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16013805A1 (ko)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WO2021153919A1 (ko) 배변 리프터
WO2012086907A2 (ko) 거동불편자의 목욕과 이동을 돕기 위한 목욕의자
WO2018074676A1 (ko) 배변 자세 교정이 가능한 양변기
WO2014168348A1 (ko) 거동 불편자용 목욕의자
WO2013055057A2 (ko) 의료용 전동 절첩침대
WO2010128813A2 (ko) 배설물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4065504A1 (ko) 환자 간호용 이승로봇
WO2016117963A1 (ko) 음성 인식 구동 시스템을 갖는 전동 휠체어
WO2014168421A1 (ko) 온열치료기
WO2020105997A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웨건
WO2019172612A1 (ko) 별도의 틸팅 프레임을 갖는 안마볼 조립체 및 안마볼 조립체가 적용된 안마의자
WO2021006595A1 (ko) 용변 자동 처리장치
WO2019139213A1 (ko) 마사지 장치
WO2016129913A1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컵유닛 분사노즐
WO2019190112A1 (ko) 수직 회전과 수평 회전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WO2019177260A1 (ko) 동작 모드에 따라 자세가 제어되는 근력 보조 장치
WO2016089040A1 (en) Nozzle of cleaner and vacuum cleaner
WO2014175707A1 (ko) 가변좌석유닛, 보행보조유닛, 및 이들을 포함하는 휠체어
WO2016039563A1 (ko) 독립형 2열 도자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478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478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