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567B1 - 코일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567B1
KR102103567B1 KR1020180103314A KR20180103314A KR102103567B1 KR 102103567 B1 KR102103567 B1 KR 102103567B1 KR 1020180103314 A KR1020180103314 A KR 1020180103314A KR 20180103314 A KR20180103314 A KR 20180103314A KR 102103567 B1 KR102103567 B1 KR 102103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coil device
flange
terminal block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298A (ko
Inventor
마사토시 야스다
히데아키 하라타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563233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0356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8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01F2005/02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wound on formers with several winding chambers separated by flanges, e.g. for high voltag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생산성이 우수하며 특성의 편차가 적고, 절연 내압이 높은 저배형(low profile)의 코일 장치를 제공한다. 보빈(20), 코어 본체(40), 와이어(62, 64) 및 복수의 단자(70, 80)를 가지는 코일 장치(10)이다. 보빈(20)은 코어 본체(40)의 권심부(42)의 양측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권심부(42)와 함께 와이어(62, 64)가 권회되는 한 쌍의 연결측부(26) 및 연결측부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단자대부(22, 23)를 갖는다. 코어 본체(40)는, 권심부(42)의 권회축을 따라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44)를 가지고, 각각의 단자대부(22, 23)에는 플랜지부(44)가 수용되는 플랜지 수용홈부(24, 25)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코일 장치{COIL DEVICE}
본 발명은 절연 내압이 높은 저배형의 코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에서는 토로이덜 코어에 직접 와이어를 권회한 코일부를 상자형 몰드 단자 상자의 내부에 넣고, 와이어의 리드부를 연결하고 있다.
이 종래 기술에서는, 토로이덜 코어에 권선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고, 코일 특성이 불균일한 것 등의 과제가 있다. 또한, 코어에 권선하고 나서 상자형 몰드 단자 상자의 내부에 넣기 때문에, 단자 상자의 두께를 얇게 하기 어려웠다. 또한, 토로이덜 코어 자체의 고정도 불안정하고 절연 내압의 관점에서도 과제가 있었다.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에서는 메인이 되는 코어의 주위 전체를 보빈으로 덮고, 보빈의 외주에 와이어를 권회하여 코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코일 장치에서는 메인이 되는 코어의 주위 전체가 보빈으로 덮여지게 되어, 절연 내압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서는 보빈의 주위 전체에 와이어를 권회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코일 장치를 저배화(low profile)할 수 없는 과제를 갖는다.
일본 특허 공개 평06-32594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149932호 홍보
본 발명은, 이러한 실상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생산성이 우수하고 특성의 편차가 적고, 절연 내압이 높은 저배형의 코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장치는,
보빈, 코어 본체, 와이어 및 복수의 단자를 가지는 코일 장치로서,
상기 보빈은,
상기 코어 본체의 권심부의 양측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권심부와 함께 상기 와이어가 권회되는 한 쌍의 연결측부;
상기 연결측부의 양단에 마련되고, 각각 상기 단자가 상기 권회축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단자대부;를 가지고,
상기 코어 본체는,
상기 권심부의 상기 권회축을 따라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가지고,
각각의 상기 단자대부에는 상기 플랜지부가 수용되는 플랜지 수용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장치에서는 토로이덜 코어에 직접 권선하여 코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코어 본체가 보빈에 장착된 상태에서, 보빈의 일부인 연결측부와 함께 코어 본체의 권선부의 주위에 와이어가 권회되어 코일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의 권회 작업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뛰어나며 특성의 편차도 적다.
또한, 본 발명의 코일 장치에서는, 코어 본체의 권심의 주위 전체를 보빈으로 덮는 것이 아니라, 권심부의 양측만, 또는 권심부의 양측과 하면을 덮고, 적어도 권심부의 상면(혹은 상면 및 하면의 쌍방)은 보빈으로 덮지 않는다. 따라서, 그 만큼 보빈의 저배화가 도모되고, 결과적으로 코일 장치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단자는 각 단자대부의 권회축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므로, 단자가 불필요하게 코일 장치의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 점에서도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본체의 플랜지부는 단자대부의 플랜지 수용홈부의 내부에 수용되므로 절연 내압도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는 외주면에 절연 피막이 형성된 도전성 선재(절연선이라고도 함)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절연 피막의 핀 홀은 실질적으로 0이다. 와이어는 코어 본체의 표면에도 접촉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절연 피막이 형성됨으로써 와이어와 코어의 절연을 도모할 수 있고, 코어 본체로서 금속 코어 등의 도전성을 가지는 코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기 단자는,
상기 와이어의 리드단이 접속되도록 상기 단자대부로부터 돌출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자대부에 매립되는 매립부; 및
상기 매립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단자대부로부터 돌출된 실장부;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와이어와의 연결이 용이해짐과 함께 코일 장치의 실장도 용이해진다. 또한, 단자를 보빈과 일체화하여 성형하기 쉽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실장부는 상기 코일 장치의 높이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단자대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와이어와의 연결이 용이해짐과 함께 코일 장치의 실장도 용이해진다. 또한, 단자를 보빈과 일체화하여 성형하기 쉽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단자대부는 상기 한 쌍의 연결측부와 함께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연결측부와 상기 권심부의 상면 및 하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와이어가 연속해서 권회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저배화를 도모하기 용이해진다.
또는, 상기 한 쌍의 단자대부는 상기 한 쌍의 연결측부와 함께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보빈은 상기 한 쌍의 연결측부를 일체화하여 상기 권심부의 하면을 덮는 밑벽을 더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연결측부, 상기 밑벽 및 상기 권심부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와이어가 연속해서 권회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절연 내압이 향상된다.
상기 연결측부의 상기 권회축을 따라 중간 위치에는 경계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측부가 상기 권회축을 따라 분할되고, 분할된 영역에 서로 다른 상기 와이어가 권회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의 절연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대부의 상기 플랜지 수용홈부의 개구부에는, 상기 플랜지 수용홈부의 내부에 상기 플랜지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 날개부 위에 접착제가 머무를 수 있는 접착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접착용 오목부에 접착제를 흘려넣기만 함으로써 코어 본체와 보빈의 고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코어 본체와 보빈의 위치 맞춤도 용이하며, 특성의 편차 등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기 단자대부에는 상기 권심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경계 부분이 삽입되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보빈에 대한 코어 본체의 장착과 위치 맞춤이 용이하며, 작업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기 노치의 상부에는 상기 코어 본체와는 별개의 평판부의 양단이 각각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평판부, 코어 본체 및 보빈의 위치 맞춤과 장착이 용이해진다. 한편, 평판부는 코어 본체와 동일하거나 다른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자기 특성이 향상된다. 또는, 평판부를 반드시 자성체로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 평판부는, 예를 들면 코일 장치의 흡착부 등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기 단자대부에는 상기 권심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경계 부분이 삽입되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노치의 상부에는 상기 코어 본체와는 별개의 평판부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플랜지 수용홈부의 내부에서는 상기 평판부의 단부의 양측에 상기 플랜지 날개부가 위치한다.
플랜지 날개부의 상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용 오목부가 위치한다. 접착용 오목부에는 접착제가 충전되고, 접착제에 의해, 평판부, 코어 본체 및 보빈의 접착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 평판부의 폭은 플랜지부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권심부의 폭과 대략 동일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 수용홈부의 개구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단자대부의 저면에, 상기 와이어의 리드부가 통과하여 상기 단자를 향하는 도전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연결이 용이해짐과 함께 리드선과 코어 본체의 절연성도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코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코일 장치의 정면도(와이어만 단면도로 나타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코일 장치의 평면도(와이어만 단면도로 나타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코일 장치의 저면도(와이어만 단면도로 나타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코일 장치(와이어는 도시하지 않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보빈의 저면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코일 장치(와이어는 도시하지 않음)의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코일 장치의 횡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코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코일 장치의 정면도(와이어만 단면도로 나타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코일 장치의 평면도(와이어만 단면도로 나타냄)이다.
도 12는 도 9에 나타내는 코일 장치의 저면도(와이어만 단면도로 나타냄)이다.
도 13은 도 9에 나타내는 코일 장치(와이어는 도시하지 않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보빈의 저면측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9에 나타내는 코일 장치(와이어는 도시하지 않음)의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9에 나타내는 코일 장치의 횡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코일 장치로서의 변압기(10)는, 예를 들면 변압기 등으로서 이용되며,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탈 것의 배터리의 전압 변환, 또는 전자 기기의 배터리의 전압 변환 등에 이용되지만,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변압기(10)는, 보빈(20), 코어 본체(40), 평판부(50) 및 코일부(60)를 갖는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20)은 X축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단자대부(22, 23)를 갖는다. 이들 단자대부(22, 23)는 Y축 방향으로 떨어져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봉 형상의 연결측부(26)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각 단자대부(22, 23)에는 Z축 방향의 상부에 개구를 가지는 플랜지 수용홈부(24, 2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 수용홈부(24, 25)의 개구에는 후술하는 코어 본체(40)의 플랜지부(44)가 들어가기 쉽게 테이퍼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대략 직각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 X축은 연결측부(26)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일치(코일부(60)의 권회축 방향에도 대략 일치)하고, Y축은 한 쌍의 연결측부(26)가 멀어지는 방향과 대략 일치하며, Z축은 변압기(10)의 높이 방향과 일치하고, Z축의 하측이 실장면측이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 본체(40)는 평판 형상의 권심부(42), 및 권심부(42)의 X축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플랜지부(44)를 갖는다. 플랜지부(44)는 각각 권심부(42)와 대략 동일한 Y축 방향의 폭을 가지는 플랜지 중앙부(45)를 갖는다. 각 플랜지 중앙부(45)의 Y축 방향의 양측에는 한 쌍의 플랜지 날개부(46)가 일체화하여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 날개부(46)는 권심부(42)의 Y축 방향의 양단부보다 Y축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외측」이란, 변압기(10)의 중심(무게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내측」이란, 변압기(10)의 중심(무게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 중앙부(45)의 Z축 방향의 높이(이하, 간단히 「높이」라고도 함)는 플랜지 날개부(46)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고, 플랜지부(44)의 Z축 방향의 상면(이하, 간단히 「상면」이라고도 함)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부(44)의 Z축 방향의 하면(이하, 간단히 「하면」이라고도 함)은 대략 일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플랜지부(44)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의 높이(Z1)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6~1.1mm 정도이다.
또한, 권심부(42)의 하면은 플랜지 중앙부(45)의 하면과 대략 일면을 이루고, 권심부(42)의 Z축 방향 두께(이하, 간단히 「두께」라고도 함)는 연결측부(26)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연결측부(26)의 하면은 플랜지 수용홈부(24, 25)의 저면과 대략 일면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부(44)가 각 단자대부(22, 23)의 플랜지 수용홈부(24, 25)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 본체(40)의 권심부(42)는 한 쌍의 연결측부(26, 26)의 사이에 위치하고, 권심부(42)의 상면과 연결측부(26)의 상면이 대략 일치하고, 권심부(42)의 하면과 연결측부(26)의 하면이 대략 일치한다. 한편, 「대략 일치한다」란, 후술하는 와이어(62, 64)의 권선 작업에 지장이 없으면, 다소 어긋날 수 있다는 취지이다.
도 5에 나타내는 권심부(42)의 상면으로부터의 플랜지 중앙부(45)의 상면까지의 단차의 높이(Z2)는, 도 7에 나타내 바와 같이, 권심부(42)의 상면과 평판부(50)의 하면 사이에 소정 간격의 틈새(높이(Z2)에 대응)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도 5에 나타내는 단차의 높이(Z2)는, 도 2에 나타내는 코일부(60)를 구성하는 와이어(62, 64)의 권취층수 등에 따라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0.6~1.1 mm이다.
평판부(50)는 코어 본체(40)와는 별도의 부재로서 성형되며, 코어 본체(40)의 X축 방향 길이(이하, 간단히 「길이」라고도 함)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코어 본체(40)의 권심부(42)의 Y축 방향폭(이하, 간단히 「폭」이라고도 함)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다. 평판부(50)의 두께는 권심부(42)의 두께와 비교하여 70~130%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본체(40)의 재질은, 금속, 혹은 페라이트 등의 자성 재료를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평판부(50)는 코어 본체(40)와 동일한 자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동일한 자성 재료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또한, 평판부(50)는 합성 수지 등의 비자성 재료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20)의 각 단자대부(22, 23)의 X축 방향의 내벽에는 노치(27)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27)의 폭은, 권심부(42)의 폭과 동일 이상의 폭이며, 한 쌍의 연결측부(26)의 Y축 방향의 상호간 거리보다 작은 폭이다. 각 노치(27)의 높이는 각 플랜지 수용홈부(24, 25)의 깊이(높이)와 대략 동일하다.
각 노치(27)를 통해, 코어 본체(40)의 권심부(42)와 플랜지부(44)의 경계 부분이 삽입되고, 플랜지부(44)가 플랜지 수용홈부(24, 25)의 내부에 수용되고, 권심부(42)가 한 쌍의 연결측부(26, 26)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각 노치(27)의 상부에는 코어 본체(40)와는 별개의 평판부(5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부(50)의 상면은 각 단자대부(22, 23)의 상면으로부터 Z축 상방으로 소정 높이(Z3)로 돌출되게 되어 있다. 소정 높이(Z3)는 평판부(50)의 두께의 1/2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4 이하이다. 또한, 평판부(50)의 상면은 각 단자대부(22, 23)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Z축 방향으로 들어가 있을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보빈(20)의 각 단자대부(22, 23)에는 각각 한 쌍의 단자(70, 80)가 장착되어 있다. 단자(70)와 단자(80)는 서로 선대칭 형상을 가지고 있고 동일한 구성 부분을 가지고 있지만, 완전히 동일한 부재는 아니다.
단자(70)는, 연결부(72), 매립부(74) 및 실장부(76)를 가지며, 이들은 금속편 등의 도전성 판재로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연결부(72)에는 코킹편(73)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단자(80)는, 연결부(82), 매립부(84) 및 실장부(86)를 가지며, 이들은 금속편 등의 도전성 판재로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연결부(82)에는 코킹편(83)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단자(70, 80)를 구성하는 도전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인청동, 터프피치강, 무산소강, 스텐레스강, 황동, 구리니켈 합금 등의 금속이 예시된다.
각 단자(70, 80)의 매립부(74, 8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자대부(22, 23)의 X축 방향의 외측에서 Z축 방향의 하방 부분으로, 보빈(20)을 구성하는 절연 재료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매립부(74, 84)는 각 단자대부(22, 23)의 플랜지 수용홈부(24, 25)의 내벽면에는 노출되지 않고, 보빈(20)을 구성하는 절연 재료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20)을 구성하는 절연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LCP, 나일론, 페놀, DAP, PBT, PET 등의 합성 수지가 예시된다. 각 단자(70, 80)는 보빈(20)을 성형할 때, 인서트 성형되어 보빈(20)에 일체화된다.
각 단자(70, 80)의 실장부(76, 8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20)의 하면(저면)에서 각 단자대부(22, 23)의 단면으로부터 X축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보빈(2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72, 82)는 실장부(76, 86)보다 Z축 방향으로 높은 위치에서, 각 단자대부(22, 23)의 단면으로부터 X축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보빈(2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Z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각 단자(70, 80)의 연결부(72, 82)와 실장부(76, 86)는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72, 82)가 실장부(76, 86)의 Y축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도 5에 나타내는 매립부(74, 84)가 보빈(20)을 구성하는 절연 재료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대부(22)에서는 Y축 방향을 따라 단자(80, 70)가 이 순서대로 나란히 배치되지만, 단자대부(23)에서는 반대로 단자(70, 80)가 이 순서대로 나란히 배치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장부(76, 86)의 하면은, 보빈(20)의 하면보다 아래 방향으로 소정 높이(Z4)로 돌출되어 이루어져 있다. 소정 높이(Z4)는 0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실장부(76, 86)를 구성하는 판재의 두께의 0.5~2배 정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빈(20)의 하측에는 합계 4개의 실장측 볼록부(28)가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28)의 하면이 보빈(20)의 하면이 된다. 실장측 볼록부(28)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자대부(22, 23)의 하면에 Y축 방향으로 떨어져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실장측 볼록부(28)의 사이에는 리드 통과홈(도전 경로)(29)이 형성되어 있다.
리드 통과홈(29)의 Y축 방향폭(Y1)은 각 단자대부(22, 23)의 Y축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는 연결부(72, 82)의 Y축 방향 상호간 거리(Y2)와 대략 동일한 정도 또는 다소 좁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보다 넓을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72, 82)와 실장부(76, 86)의 이격 틈새폭(Y3)은, 바람직하게는 0보다 크고, 보빈(20)의 Y축 방향의 전체폭(Y0)의 1/3보다 작다. Y3/Y0는, 바람직하게는 실장부(76, 86)의 폭(Y4)의 1/2~2배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장측 볼록부(28)의 X축 방향의 외측 단면은, 보빈(20)의 외단면보다 X축 방향에서 소정 간격(X1)으로 들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간격(X1)은 각 단자대부(22, 23)의 각 X축 방향 길이(X2)와의 관계 등으로 결정되며, X1/X2는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3 이하이며, 0일 수도 있으나 1/6 이상이 바람직하다. 각 단자대부(22, 23)의 길이(X2)는 보빈(20)의 전체 길이(X0) 등으로부터 결정되며, X2/X0는, 바람직하게는 0.2~0.3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장부(76, 86)는 실장측 볼록부(28)의 외단면으로부터 X축 방향의 외측을 향해, 보빈(20)의 외단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실장측 볼록부(28)의 외단면이 실장부(76, 86)와 매립부(74, 84)의 경계 부분을 보강하게 되어, 실장부(76, 86)를 회로 기판 등의 실장면에 실장하기 쉬워진다.
실장측 볼록부(28)의 돌출 높이(Z5)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랜지 수용홈부(24, 25)의 깊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리드 통과홈(29)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측부(26)의 사이에 코어 본체(40)의 권심부(42)가 위치하는 상태에서, 연결측부(26)와 권심부(42)의 사이에는 Y축 방향의 작은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코일부(60)를 구성하기 위한 2개의 와이어(62, 64)가 권심부(42)를 사이에 두고 있는 연결측부(26) 위로부터 권회된다.
와이어(62, 64)는 외주면에 절연 피막이 형성된 도전성 선재(절연선이라고도 함)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 피막의 핀 홀은 0이다. 이러한 와이어(62, 64)의 절연 피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ETFE, PFA, PET, 폴리아미드, PP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와이어(62, 64)가 권심부(42)를 사이에 두고 있는 연결측부(26) 위로부터 권회됨으로써 코일부(60)가 형성된다. 그 권회 작업은 자동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작업으로 행할 수도 있다. 일방의 와이어(62)의 양단부는, 도 4에 나타내는 리드 통과홈(29)을 지나 리드부(62a, 62b)로서 연결부(72, 82)에 각각 가이드된다. 또한, 타방의 와이어(64)의 양단부는 마찬가지로 리드 통과홈(29)을 지나, 리드부(64a, 64b)로서 연결부(72, 82)에 각각 가이드된다.
각 리드부(62a, 62b, 64a, 64b)는 연결부(72, 82)에 필요에 따라 권회될 수 있으며, 코킹편(73, 83)으로 가고정된다. 그 후, 리드부(62a, 62b, 64a, 64b)의 선단부에, 예를 들면 레이저를 조사하여 접속부(100)를 형성하고, 각 리드부(62a, 62b, 64a, 64b)와 연결부(72, 82)를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함께 고정한다. 한편, 접속부(100)는, 레이저 조사 이외의 방법, 예를 들면 땜납 접합, 또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한 접합, 혹은 열융착, 또는 저항 용접 등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접속부(100)를 형성한 후, 평판부(50)가 보빈(2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접속부(100)를 형성하기 전, 코일부(60)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62, 64)의 권회 작업 후에 평판부(50)를 보빈(20)의 노치(27)에 장착할 수도 있다. 평판부(50)를 장착한 후에는, 각 플랜지 수용홈(24, 25)의 Y축 방향의 양측에 형성된 접착용 오목부(30) 안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 접착제의 도포에 의해, 평판부(50), 코어 본체(40), 보빈(20)의 접착 고정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접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UV 수지, 혐기성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변압기(10)에서는, 토로이덜 코어에 직접 권선하여 코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코어 본체(40)가 보빈(20)에 장착된 상태에서, 보빈(20)의 일부인 연결측부(26)와 함께 코어 본체(40)의 코일부(42)의 주위에 와이어(62, 64)가 권회되어 코일부(60)가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62, 64)의 권회 작업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우수하며 특성의 편차도 적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변압기(10)에서는, 코어 본체(40)의 권심부(42)의 주위 전체를 보빈(20)으로 덮는 것이 아니라, 권심부(42)의 Y축 방향의 양측만을 덮고, 적어도 권심부(42)의 상면 및 하면의 쌍방은 보빈(20)으로 덮지 않는다. 따라서, 그 만큼 보빈(20)의 저배화가 도모되고, 결과적으로 변압기(10)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장치(10)의 전체 높이(Z0)를, 바람직하게는 4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mm 이하로 저배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자(70, 80)는 각 단자대부(22, 23)의 권회축(X축)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단자(70, 80)가 불필요하게 변압기(10)의 Z축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 점에서도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본체(42)의 플랜지부(44)는, 단자대부(22, 23)의 플랜지 수용홈부(24, 25)의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절연 내압도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 본체(40)와 단자(70 또는 80)의 최단 거리(절연 거리 또는 연면 거리)를 충분히 길게(예를 들면 5mm 이상)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성이 뛰어나다.
또한, 와이어(62, 64)는 외주면에 절연 피막이 형성된 도전성 선재(절연선이라고도 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 피막의 핀 홀은 실질적으로 0이다. 와이어(62, 64)는 코어 본체(40)의 표면에도 접촉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절연 피막이 형성됨으로써, 와이어(62, 64)와 코어(40)의 절연을 도모할 수 있고, 코어 본체(40)로서 금속 코어 등의 도전성을 가지는 코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각각의 단자(70, 80)는, 연결부(72, 82), 매립부(74, 84) 및 연결부(72, 82)와는 다른 위치에서 단자대부(22, 23)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실장부(76, 86)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와이어(62, 64)와의 연결이 용이해짐과 함께, 변압기(10)의 실장도 용이해진다. 또한, 단자(70, 80)를 보빈(20)과 일체화하여 성형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연결부(72, 82)와 실장부(76, 86)는 Z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이격하여, 단자대부(22, 23)로부터 X축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와이어(62, 64)와의 연결이 용이해짐과 함께, 변압기(10)의 실장도 용이해진다. 또한, 단자(70, 80)를 보빈(20)과 일체화하여 성형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단자대부(22, 23)의 플랜지 수용홈부(24, 25)의 개구부에는, 플랜지 수용홈부(24, 25)의 내부에 플랜지부(44)가 수용된 상태에서, 플랜지부(44)의 플랜지 날개부(46) 위에 접착제가 머무를 수 있는 접착용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접착용 오목부(30)에 접착제를 흘려 넣기만 함으로써, 코어 본체(40)와 보빈(20)의 고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코어 본체(40)과 보빈(20)의 위치 맞춤도 용이하여, 특성의 편차 등을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평판부(50)와의 접착 고정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또한, 단자대부(22, 23)에는, 권심부(42)와 플랜지부(44)의 경계 부분이 삽입되는 노치(2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빈(20)에 대한 코어 본체(40)의 설치와 위치 맞춤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노치(27)의 상부에는 코어 본체(40)와는 별개의 평판부(5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기 때문에, 평판부(50), 코어 본체(40) 및 보빈(20)의 위치 맞춤과 설치가 용이해진다. 한편, 평판부(50)는 반드시 자성체로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에는, 평판부(50)는, 예를 들면 변압기를 실장할 때 변압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흡착 노즐의 흡착부 등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랜지 수용홈부(24, 25)의 개구부는 Z축 방향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자대부(22, 23)의 저면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62, 64)의 리드부(62a, 62b, 64a, 64b)가 통과하여 단자(70, 80)의 연결부(72, 82)를 향하는 도전 경로로서의 리드 통과홈(2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와이어(62, 64)의 연결이 용이해짐과 함께, 리드부(62a, 62b, 64a, 64b)와 코어 본체(40)의 절연성도 향상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9~도 16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코일 장치로서의 변압기(10a)는, 도 1~도 8에 나타내는 변압기(10)와 보빈의 구조가 다른 것 이외에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가능한한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공통되는 부재에는 공통되는 부호를 붙였다.
본 실시 형태의 보빈(20a)에서는, 도 13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단자대부(22, 23)는 한 쌍의 판벽 형상의 연결측부(26a)와 함께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고, 또한 한 쌍의 연결측부(26a)를 평판 형상의 밑벽(32)에 의해 일체화하여, 코어 본체(40)의 권심부(42)의 하면 전체를 덮게 되어 있다. 밑벽(32)은 단자대부(22, 23)와도 일체화되어 있다. 밑벽(32)의 상면은 플랜지 수용홈부(24, 25)의 저면과 대략 일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측부(26a)의 X축을 따라 중간 위치에는 경계벽(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측부(26a)가 X축을 따라 분할되고, 분할된 영역에 서로 다른 와이어가 권회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방의 단자대부(22)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영역에서는 한 쌍의 연결측부(26a), 밑벽(32) 및 권심부(42)(도 1 참조)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와이어(62, 63)가 연속해서 권회되어, 일방의 코일부(60a)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타방의 단자대부(23)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영역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측부(26a), 밑벽(32) 및 권심부(42)(도 1 참조)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와이어(64, 65)가 연속해서 권회되어, 타방의 코일부(60b)가 구성되어 있다.
코일부(60a)와 코일부(60b)는 경계벽(34)에 의해 X축 방향으로 분리되고, 예를 들면, 1차측 코일(코일부(60a))과 2차측 코일(코일부(60b))의 절연성이 향상된다. 한편, 1차측 코일이 코일부(60b)이며, 2차측 코일이 코일부(60a)일 수도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보빈(20a)의 각 단자대부(22, 23)에는 각각 3개의 단자(70 a, 90, 80a)가 장착되어 있다. 단자(70a)와 단자(80a)는 서로 선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동일한 구성 부분을 가지고 있지만, 완전히 동일한 부재는 아니다. 또한, Y축 방향을 따라 단자(70a)와 단자(80a) 사이에 배치되는 단자(90)는, 단자(70a)와 단자(80a)와는 달리 2개의 연결부(92a, 92b)를 가지고 있다.
단자(70a)는 연결부(72a), 매립부(74a) 및 실장부(76a)를 가지고, 이들은 금속편 등의 도전성 판재로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연결부(72a)에는 코킹편(73a)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단자(80a)는, 연결부(82a), 매립부(84a) 및 실장부(86a)를 가지며, 이들은 금속편 등의 도전성 판재로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연결부(82a)에는 코킹편(83a)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단자(70a, 80a)를 구성하는 도전성 재료는 제1 실시 형태의 단자(70, 80)와 동일한 재료이다.
단자(90)는, 예를 들면 중간 탭 등으로서 이용되는 단자이며, 2개의 연결부(92a, 92b), 이들을 접속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매립부(94) 및 매립부(94)의 하단부에 연속되어 있는 단일의 실장부(96)를 갖는다. 이 단자(90)도, 단자(70a, 80a)와 마찬가지로, 금속편 등의 도전성 판재로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각 연결부(92a, 92b)에는 각각 코킹편(93a, 93b)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각 단자(70a, 80a, 90)의 매립부(74a, 84a, 94)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자대부(22, 23)의 X축 방향의 외측에서 Z축 방향의 하방 부분으로, 보빈(20a)을 구성하는 절연 재료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매립부(74a, 84a, 94)는 각 단자대부(22, 23)의 플랜지 수용홈부(24, 25)의 내벽면에는 노출되지 않고, 보빈(20a)을 구성하는 절연 재료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20a)을 구성하는 절연 재료로서는, 제1 실시 형태의 보빈(20)과 동일하며, 각 단자(70a, 80a, 90)는 보빈(20a)을 성형할 때 인서트 성형되어 보빈(20a)에 일체화된다.
각 단자(70a, 80a, 90)의 실장부(76a, 86a, 96)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20a)의 하면(저면)에서 각 단자대부(22, 23)의 단면으로부터 X축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보빈(2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72a, 82a, 92)는 실장부(76a, 86a, 96)보다 Z축 방향으로 높은 위치에서, 각 단자대부(22, 23)의 단면으로부터 X축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보빈(20a)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Z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각 단자(70a, 80a, 90)의 연결부(72a, 82a, 92a, 92b)와 실장부(76a, 86a, 96)는, Y축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72a, 92a, 92b, 82a)가 이 순서대로 Y축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그들 사이에 각각 실장부(76a, 96, 86a)가 대략 등간격으로 위치하도록, 도 10에 나타내는 매립부(74a, 94, 84a)가 보빈(20a)을 구성하는 절연 재료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대부(22)에서는 Y축 방향을 따라 단자(70a, 90, 80a)가 이 순서대로 나란히 배치되지만, 단자대부(23)에서는 반대로 단자(80a, 90, 70a)가 이 순서대로 나란히 배치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장부(76a, 86a, 96)의 하면은 보빈(20a)의 하면보다 아래 방향으로 소정 높이(Z4)로 돌출하게 되어 있다. 소정 높이(Z4)는 제1 실시 형태의 소정 높이(Z4)와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20a)의 하방에는, 합계 6개의 실장측 볼록부(28)가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28)의 하면이 보빈(20a)의 하면이 된다. 실장측 볼록부(28)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자대부(22, 23)의 하면에 각각 Y축 방향으로 떨어져 3개로 형성되어 있고, 3개의 실장측 볼록부(28)의 사이에는 리드 통과홈(도전 경로)(29)이 형성되어 있다.
리드 통과홈(29)의 Y축 방향폭(Y1a)은, 연결부(72a, 82a, 92)의 폭과 대략 동일한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그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연결부(72a, 82a, 92)와 실장부(76a, 86a, 96)의 이격 틈새폭(Y3)은, 바람직하게는 0보다 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장부(76a, 86a, 96)의 폭(Y4)과 대략 동일한 정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장측 볼록부(28)의 X축 방향의 외단면은, 보빈(20)의 외단면보다 X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X1) 들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간격(X1)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결정된다. 또한, 각 단자대부(22, 23)의 각 X축 방향 길이(X2)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결정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밑벽(32)이 보빈(20a)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X2는 제1 실시 형태의 X2보다 짧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장부(76a, 86a, 96)는 실장측 볼록부(28)의 외측 단면으로부터 X축 방향의 외측을 향해, 보빈(20a)의 외단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실장측 볼록부(28)의 돌출 높이(Z5)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결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벽 형상의 연결측부(26a)의 사이에, 코어 본체(40)의 권심부(42)가 위치하는 상태에서 연결측부(26a)와 권심부(42)의 사이에는 Y축 방향의 작은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코일부(60a)를 구성하기 위한 2개의 와이어(62, 63)와, 코일부(60b)를 구성하는 2개의 와이어(64, 65)가 권심부(42)를 사이에 두고 있는 연결측부(26a)와 권심부(42)의 하면에 위치하는 밑벽(32)(도 14 참조) 위로부터 권회된다.
와이어(62~65)는 제1 실시 형태의 와이어(62, 64)와 동일하다. 와이어(62, 63)가 권심부(42), 연결측부(26) 및 밑벽(32)의 위로부터 권회됨으로써, 코일부(60a, 60b)가 형성된다. 그 권회 작업은 자동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작업으로 행할 수도 있다.
코일부(60a)를 구성하는 일방의 와이어(62)의 양단부는, 도 14에 나타내는 단자대부(22)의 리드 통과홈(29)를 지나, 도 9에 나타내는 리드부(62a, 62b)로서 연결부(82a, 92b)에 각각 가이드된다. 또한, 타방의 와이어(63)의 양단부는, 마찬가지로, 도 14에 나타내는 단자대부(22)의 리드 통과홈(29)을 지나, 리드부(63a, 63b)로서 연결부(92a, 72a)에 각각 가이드된다.
각 리드부(62a, 62b, 63a, 63b)는 연결부(82a, 92b, 92a, 72a)에 필요에 따라 권회될 수 있으며, 코킹편(83a, 93b, 93a, 73a)으로 가고정된다. 그 후, 리드부(62a, 62b, 63a, 63b)의 선단부에 접속부(100)를 형성하고, 각 리드부(62a, 62b, 63a, 63b)와 연결부(82a, 92b, 92a, 72a)를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함께 고정한다. 또한, 타방의 코일부(60b)를 구성하는 와이어(64, 65)의 각 리드부(도시 생략)는 상술한 리드부(62a, 62b, 63a, 63b)와 동일하게 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단자대부(23)의 연결부(82a, 92b, 92a, 72a)에 접속되어 접속부(100)가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변압기(10a)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변압기(10)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본체(40)의 권심부(42)의 주위 전체를 보빈(20)으로 덮는 것이 아니라, 권심부(42)의 Y축 방향의 양측과 바닥만을 덮고, 권심부(42)의 상면은 보빈(20)으로 덮지 않는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빈(20a)의 밑벽(32)의 두께(Z축 방향)는 연결측부(26a)의 두께(Y축 방향)보다 얇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보빈(20a)의 저배화가 도모되고, 결과적으로 변압기(10a)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장치(10a)의 전체 높이(Z0)(도 10 참조)를, 바람직하게는 4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5mm 이하로 저배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코어 본체(42)의 플랜지부(44)는 단자대부(22, 23)의 플랜지 수용홈부(24, 25)의 내부에 수용됨과 함께, 권심부(42)의 Z축 하면과 Y축 양측면이 밑벽(32)과 연결측부(26a)에 의해 일체적으로 덮이기 때문에 절연 내압도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본체(40)와 단자(70 또는 80)의 최단 거리(절연 거리 혹은 연면 거리)를 충분히 길게(예를 들면 5mm 이상)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한 쌍의 단자대부(22, 23)는 한 쌍의 연결측부(26a)와 함께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고, 보빈(20a)은 한 쌍의 연결측부(26a, 26a)를 일체화하여 권심부(42)의 하면을 덮는 밑벽(32)을 더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연결측부(26a, 26a), 밑벽(32) 및 권심부(4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와이어(62~65)가 연속해서 권회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절연 내압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연결측부(26a)의 X축을 따라 중간 위치에는 경계벽(34)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측부(26a)가 X축을 따라 분할되고, 분할된 영역에 서로 다른 와이어(62, 63 또는 64, 65)가 권회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1차측 코일(60a)과 2차측 코일(60b)의 절연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어 본체(40)의 형상은 권심부와 플랜지부를 가지는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른바 U형 코어 또는 드럼형 코어일 수도 있다. 또한, 와이어(62~65)의 갯수나 단자(70, 80, 70a, 80a, 90)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와 제2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를 병합 하는 실시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2 실시 형태의 경계벽(34)은 제1 실시 형태의 연결측부(26)에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일 장치에서 평판부(50)는 생략할 수도 있다.
10, 10a…변압기(코일 장치) 20, 20a…보빈
22, 23…단자대부 24, 25…플랜지 수용홈부
26, 26a…연결측부 27…노치
28…실장측 볼록부 29…리드 통과홈
30…접착용 오목부 32…밑벽
34…경계벽 40…코어 본체
42…권심부 44…플랜지부
45…플랜지 중앙부 46…플랜지 날개부
50…평판부 60…코일부
62~65…와이어 62a, 62b, 63a, 63b…리드부
70, 70a, 80, 80a, 90…단자 72, 72a, 82, 82a, 92a, 92b…연결부
73, 73a, 83, 83a, 93a, 93b…코킹편
74, 74a, 84, 84a, 94…매립부
76, 76a, 86, 86a, 96…실장부
100…접합부

Claims (12)

  1. 보빈, 코어 본체, 와이어 및 복수의 단자를 가지는 코일 장치로서,
    상기 보빈은,
    상기 코어 본체의 권심부의 양측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권심부와 함께 상기 와이어가 권회되는 한 쌍의 연결측부;
    상기 연결측부의 양단에 마련되고, 각각의 상기 단자가 상기 권심부의 권회축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단자대부;를 가지고,
    상기 코어 본체는,
    상기 권심부의 상기 권회축을 따라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가지고,
    각각의 상기 단자대부에는 상기 플랜지부가 수용되는 플랜지 수용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코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외주면에 절연 피막이 형성된 도전성 선재인 코일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자는,
    상기 와이어의 리드단이 접속되도록 상기 단자대부로부터 돌출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자대부에 매립되는 매립부; 및
    상기 매립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는 다른 위치에서 상기 단자대부로부터 돌출된 실장부;를 가지는 코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실장부는 상기 코일 장치의 높이 방향으로부터 보아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단자대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코일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자대부는 상기 한 쌍의 연결측부와 함께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연결측부와 상기 권심부의 상면 및 하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와이어가 연속해서 권회된 코일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자대부는 상기 한 쌍의 연결측부와 함께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보빈은 상기 한 쌍의 연결측부를 일체화하여 상기 권심부의 하면을 덮는 밑벽을 더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연결측부, 상기 밑벽 및 상기 권심부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와이어가 연속해서 권회되어 있는 코일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측부의 상기 권회축을 따라 중간 위치에는 경계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측부가 상기 권회축을 따라 분할되고, 분할된 영역에 서로 다른 상기 와이어가 권회되어 있는 코일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부의 상기 플랜지 수용홈부의 개구부에는, 상기 플랜지 수용홈부의 내부에 상기 플랜지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 날개부 위에 접착제가 머물 수 있는 접착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코일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자대부에는 상기 권심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경계 부분이 삽입되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코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노치의 상부에는 상기 코어 본체와는 별개의 평판부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코일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자대부에는 상기 권심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경계 부분이 삽입되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노치의 상부에는 상기 코어 본체와는 별개의 평판부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플랜지 수용홈부의 내부에서는 상기 평판부의 단부의 양측에 상기 플랜지 날개부가 위치하는 코일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수용홈부의 개구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단자대부의 저면에 상기 와이어의 리드부가 통과하여 상기 단자를 향하는 도전 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코일 장치.
KR1020180103314A 2017-09-08 2018-08-31 코일 장치 KR102103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73412A JP7091622B2 (ja) 2017-09-08 2017-09-08 コイル装置
JPJP-P-2017-173412 2017-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298A KR20190028298A (ko) 2019-03-18
KR102103567B1 true KR102103567B1 (ko) 2020-04-22

Family

ID=6563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314A KR102103567B1 (ko) 2017-09-08 2018-08-31 코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24453B2 (ko)
JP (1) JP7091622B2 (ko)
KR (1) KR102103567B1 (ko)
CN (1) CN1094732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57540A (zh) * 2020-02-07 2021-08-13 Tdk株式会社 复合线圈装置
DE102020106982A1 (de) * 2020-03-13 2021-09-16 Tdk Electronics Ag Bauelement mit Wicklungsträger und Ker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elements
JP2022170103A (ja) * 2021-04-28 2022-11-10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コイル部品
US20240096548A1 (en) * 2022-09-20 2024-03-21 Bourns, Inc.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6123A (ja) 2008-08-26 2010-03-11 Sony Corp トランス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132U (ko) * 1980-07-07 1982-02-02
JPH06325943A (ja) 1993-05-14 1994-11-25 Nec Corp コイル・トランス
JPH0778717A (ja) * 1993-06-18 1995-03-20 Tdk Corp 面装着型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H07220950A (ja) * 1994-02-07 1995-08-18 Tdk Corp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H10149932A (ja) 1996-11-19 1998-06-02 Hitachi Ferrite Electronics Ltd 高圧トランス
JPH1154345A (ja) * 1997-08-04 1999-02-26 Hitachi Ferrite Electronics Ltd トランス
JPH11135341A (ja) * 1997-10-27 1999-05-21 Tokin Corp コイル及びトランス
JP2000243633A (ja) * 1999-02-18 2000-09-08 Toko Inc インバータトランス用ボビン
JP2001035723A (ja) * 1999-05-20 2001-02-09 Fuji Elelctrochem Co Ltd ドラムコア,ドラム型直交コア及びそれらを用いた可変型リニアリティーチョークコイル,ベース付き可変型リニアリティーチョークコイル並びに直交トランス
TW463186B (en) * 1999-09-29 2001-11-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ransformer
JP3695295B2 (ja) * 2000-07-21 2005-09-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ョークコイル
JP4064053B2 (ja) * 2000-11-30 2008-03-19 東光株式会社 デジタルアンプ用コイル素子
JP3619812B2 (ja) * 2002-05-10 2005-02-16 東京コイ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低背型トランス
CN1581381A (zh) * 2003-08-14 2005-02-16 耀胜电子股份有限公司 可调漏感的变压器
CN101233589A (zh) * 2005-08-01 2008-07-30 株式会社田村制作所 变压器以及制造变压器的方法
JP2009038244A (ja) * 2007-08-02 2009-02-19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電流共振電源用トランス及び電流共振電源用トランスを用いたスイッチング電源
JP2009117627A (ja) * 2007-11-07 2009-05-28 Tdk Corp 表面実装型コイル部品
KR20090099958A (ko) * 2008-03-19 2009-09-23 주식회사 다성마그네틱 인버터 트랜스포머
TWI370466B (en) * 2008-05-09 2012-08-11 Delta Electronics Inc Trensformer structure
CN101847496A (zh) * 2010-05-26 2010-09-29 深圳市欣锐特科技有限公司 变压器以及应用该变压器的开关电源和led日光灯
TWI424450B (zh) 2011-04-29 2014-01-21 Delta Electronics Inc 變壓器及使用該變壓器的電子裝置
JP5516530B2 (ja) * 2011-07-29 2014-06-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ンス素子
CN202523528U (zh) * 2012-03-02 2012-11-07 郑自伟 充电器电源的变压器
TWI536408B (zh) * 2015-07-06 2016-06-01 明緯(廣州)電子有限公司 立式變壓器結構
JP6558128B2 (ja) * 2015-08-03 2019-08-14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CN205428670U (zh) * 2016-03-31 2016-08-03 安徽世睿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小型变压器用骨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6123A (ja) 2008-08-26 2010-03-11 Sony Corp トラン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73255A (zh) 2019-03-15
US11024453B2 (en) 2021-06-01
CN109473255B (zh) 2022-09-13
JP7091622B2 (ja) 2022-06-28
KR20190028298A (ko) 2019-03-18
JP2019050280A (ja) 2019-03-28
US20190080836A1 (en)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567B1 (ko) 코일 장치
JP6380745B2 (ja) トランス
US20180174740A1 (en) Surface-mount inductor
CN108666103B (zh) 线圈装置
US20180025831A1 (e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il component
JP6623705B2 (ja) コイル装置
CN109841392B (zh) 线圈装置
JPH077123U (ja) 大電流チョークコイル
CN109585137B (zh) 线圈装置
CN109509620B (zh) 线圈装置
JP2014220466A (ja) コイル
JP7255153B2 (ja) リアクト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42021A (ja)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891043B2 (ja) リアクトル
US20190148057A1 (en) Inductor
JP6610515B2 (ja) トランス装置
JP2019067926A (ja) トランス
JP7302236B2 (ja) トランス
US20240079176A1 (en) Coil device
JP2021125695A (ja) 複合コイル装置
US20230317364A1 (en) Coil device
JPH10149931A (ja) チョークコイル
JP2856901B2 (ja) トランス
WO2020004054A1 (ja) 磁気部品、電子装置
JP2020072225A (ja) リアクト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