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363B1 -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연결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하지 트러스 - Google Patents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연결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하지 트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363B1
KR102097363B1 KR1020190107267A KR20190107267A KR102097363B1 KR 102097363 B1 KR102097363 B1 KR 102097363B1 KR 1020190107267 A KR1020190107267 A KR 1020190107267A KR 20190107267 A KR20190107267 A KR 20190107267A KR 102097363 B1 KR102097363 B1 KR 10209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frame
bracket
wing por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덕환
한현규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엘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엘메디칼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엘메디칼
Priority to KR1020190107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벽체 시공 시에 구조물 역할을 하는 하지 트러스를 건식공법으로 체결되어 용접이 필요 없는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연결브라켓과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하지 트러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지 트러스 형성 시에 프레임 부분에 맞는 각 코너브라켓 또는 연결브라켓을 사용하여 작업자 혼자서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연결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하지 트러스{CORNER BRACKET, CONNECTING BRACKET, AND TRUS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 벽체 시공 시에 구조물 역할을 하는 하지 트러스를 건식공법으로 체결되어 용접이 필요 없는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연결브라켓과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하지 트러스에 관한 것이다.
하지 트러스(truss)는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일정한 간격의 격자형 단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건축물의 슬리브(sleeve) 또는 외벽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골조 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 외벽 등에 단열, 방음 및 심미감을 주기 위해 대리석, 화강암, 알루미늄 등의 다양한 소재로 성형된 패널을 건축물에 부착된다.
상기 패널을 부착하기 위해서, 건축물의 벽체 표면으로부터 평행하게 일정 거리를 유지하여 하지 트러스가 설치된다.
종래의 하지 트러스는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을 용접하는 방식으로 건축물 외벽에 부착하였으나, 용접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똥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용접 방식으로 인해 시공되는 하지 트러스는 시간이 지나면서 용접 부위가 부식되어 하지 트러스의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다음은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에 관한 배경기술 문헌들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69468호(이하, 문헌 1)는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 트러스의 유니트브라켓과 코너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패널 시공방법’으로, 수직 프레임이 건축물 내, 외벽에 설치된 후 브라켓을 수직 프레임에 볼트로 설치하고, 수평 프레임을 피스로 브라켓에 설치하여 내진패널의 철물구조 설치 시에 용접 하지 않는 트러스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문헌 1의 브라켓은 도 1에서와 같이, 프레임에 형성된 장공과 브라켓에 형성된 장공의 위치를 대응시켜 하나의 볼트를 관통하여 조여 고정하는 방식은 사용되는 재질에 따라 프레임이 우그러질 수 있다.
또한, 문헌 1의 프레임은 장공이 형성되어 있어, 장공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브라켓을 설치할 경우 볼트 체결이 어려워 작업자가 직접 나사를 수평방향으로 결합할 때, 나사 결합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협착재해가 발생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81008호(이하, 문헌 2)는 ‘하지틀 무용접 체결을 위한 브라켓’으로,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용접하지 않고, 브라켓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하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문헌 2의 브라켓은 도 2에서와 같이, 수직 프레임 리프 사이에 브라켓에 형성된 리프 지지대를 삽입하여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결합하고 있으나, 수직 프레임에서 브라켓이 고정되기 위해 밀착편에 볼트를 수평방향으로 결합하여 결합 시에 작업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프레임에 브라켓 결합 시에 볼트만을 이용하고 있어 지진 등에 의한 진동으로 인해 볼트가 프레임이나 브라켓에서 이탈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08105호(이하, 문헌 3)는 ‘건축물 외장벽체 및 시공방법’으로, 건축물 외벽을 가리고 단열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 작업이 간편하고 용접 작업 등의 배제로 화재의 위험이 없는 건축물 외장벽체에 관한 것이다.
문헌 3의 건축물 외장벽체는 도 3에서와 같이, 지지용 브라켓이 프레임의 이면에 밀착 체결되는 양편의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프레임에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아 작업자가 직접 나사로 프레임과 브라켓을 체결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69962호(이하, 문헌 4)는 ‘패널 설치구조 및 패널 설치방법’으로, 고정프레임과 보조브라켓으로 패널부재를 간편하게 고정 설치하여 패널부재의 시공성이 크게 향상되는 패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문헌 4의 보조브라켓은 도 4에서와 같이, 평면이 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날개판이 작게 형성되어 있어 수직 프레임에 끼움 결합되지 못해 이를 고정함과 동시에 고정 결합하기 위해 최소 2명의 작업자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보조브라켓이 프레임에 결합될 때 사용되는 고정부재가 관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피스나 볼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지진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고정부재가 프레임에서 풀릴 수 있다.
<배경기술 문헌>
(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369468호
(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981008호
(문헌 3) 등록특허공보 제10-1808105호
(문헌 4) 등록특허공보 제10-1369962호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지 트러스를 구성하기 위해 수직 방향 프레임과 수평 방향 프레임을 용접하지 않고 브라켓을 사용하여 시공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볼팅(bolting) 처리하여 진동, 지진에 안전하고 효율적인 하지 트러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X, Y, Z 방향으로 결합된 3개의 각 프레임을 하나의 코너브라켓으로 결합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하지 트러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에 형성된 고정날개부가 수직 프레임에 인입되었을 때, 고정되어 혼자서 작업이 가능하여 시공비가 절감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프레임 일 측면에 슬롯이 형성되어 결속 볼트의 삽입, 이탈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하지 트러스의 조립작업이 용이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은 제1고정부(11), 제2고정부(12), 제3고정부(13) 및 제4고정부(14)가 포함된 판재로 형성되고, 제1고정부(11)와 제4고정부(14) 사이에 제1절단부(b)가 포함되며, 제1고정부(11), 제2고정부(12), 제3고정부(13) 및 제4고정부(14)에 하나 이상의 하부가 개방된 결속공(a)이 포함되고, 제1고정부(11)와 제2고정부(12) 사이, 제2고정부(12)와 제3고정부(13) 사이 및 제3고정부(13)와 제4고정부(14)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은 결속공(a) 일 측 또는 양 측에 절개부(100)가 형성하여 걸림부(1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은 결속공(a) 일 측 또는 양 측 안쪽에 이탈방지부(2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지 트러스용 연결브라켓은 기저면(21), 제1날개부(22), 제2날개부(23), 제1고정날개부(24) 및 제2고정날개부(25)가 포함된 판재로 형성되고, 기저면(21), 제1날개부(22)와 제1고정날개부(24) 사이 및 기저면(21), 제2날개부(23)와 제2고정날개부(25) 사이에 제2절단부(c)가 포함되며, 기저면(21), 제1날개부(22), 제2날개부(23), 제1고정날개부(24) 및 제2고정날개부(25)에 하나 이상의 하부가 개방된 결속공(a)이 포함되고, 제1날개부(22), 제2날개부(23), 제1고정날개부(24) 및 제2고정날개부(25)가 각각 기저면(21)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지 트러스용 연결브라켓은 결속공(a) 일 측 또는 양 측에 절개부(100)가 형성하여 걸림부(1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지 트러스용 연결브라켓은 결속공(a) 일 측 또는 양 측 안쪽에 이탈방지부(2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하지 트러스용 연결브라켓은 제1고정날개부(24) 및 제2고정날개부(25) 일 측면에 걸림턱(30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지 트러스용 프레임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되, 일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슬롯(31)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지 트러스용 프레임은 슬롯(31) 내측에 일체형으로 가이드부 및 가이드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지 트러스용 프레임은 슬롯(31)에 타공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10)이 포함되는 하지 트러스는 상기의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10)과 상기의 하지 트러스용 프레임(30)이 X, Y, Z 방향으로 형성되어 결속 볼트(v)로 결합되는 하지 트러스(1)가 형성되며,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10)은 제1고정부(11)가 X 방향의 프레임(30) 일면과 결합되고, 제2고정부(12)와 제3고정부(13)가 각각 Z 방향의 프레임(30) 일면과 타면과 결합되며, 제4고정부(14)가 Y 방향의 프레임(30) 일면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지 트러스용 연결브라켓(20)이 포함되는 하지 트러스는 상기의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10)과 상기의 하지 트러스용 프레임(30)이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결속 볼트(v)로 결합되는 하지 트러스(1)가 형성되며, 하지 트러스용 연결브라켓(20)은 기저면(21)이 수직과 수평 방향의 프레임(30) 일면에 결합되고, 제1날개부(22)와 제2날개부(23)가 수평 방향의 프레임(30) 타면에 결합되며, 제1고정날개부(24)와 제2고정날개부(25)가 수직 방향의 프레임(30) 타면에 결합되어 중력에 의해 수직 방향의 프레임(30)에서 하지 트러스용 연결브라켓(30)이 흐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용접하지 않고 브라켓을 볼팅 처리하여 하지 트러스를 구성함으로써 시공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진동이나 지진 등의 외부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이고 안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지 트러스 형성 시, 부분에 맞는 각 코너브라켓 또는 연결브라켓을 사용하여 혼자서 작업이 가능하여 시공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프레임 일 측면에 슬롯이 형성되어 결속 볼트의 삽입이나 이탈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프레임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하지 트러스의 조립작업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에 설치함에 따라 소형 또는 대형 건물, 공장 등에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리모델링 또는 보강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에 하지 트러스 작업 시, 용접 작업이 불필요하고, 그에 따른 화재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배경기술이 되는 문헌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코너브라켓의 학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전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가 포함된 연결브라켓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부가 포함된 연결브라켓의 평면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턱이 포함된 연결브라켓의 정면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이 포함되는 하지 트러스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브라켓이 포함되는 하지 트러스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브라켓 및 연결브라켓이 포함되는 하지 트러스가 건축물 외벽에 시공되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코너브라켓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연결브라켓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하지 트러스
10: 코너브라켓; 11: 제1고정부; 12: 제2고정부; 13: 제3고정부; 14: 제4고정부;
20: 연결브라켓; 21: 기저면; 22: 제1날개부; 23: 제2날개부; 24: 제1고정날개부; 25: 제2고정날개부;
30: 프레임; 31: 슬롯; 32: 제1타공부; 33: 제2타공부; 34: 제1가이드부; 35: 제1가이드홈; 36: 제2가이드부; 37: 제2가이드홈;
100: 절개부; 110: 걸림부;
200: 이탈방지부;
300: 걸림턱;
a: 결속공; b: 제1절단부; c: 제2절단부; d: 결합공; v: 결속 볼트; w: 외벽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코너브라켓(10)은 제1고정부(11), 제2고정부(12), 제3고정부(13) 및 제4고정부(14)가 포함된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코너브라켓(10)은 후단에 설명할 하지 트러스(1) 중에서 프레임(30)이 X, Y, Z 방향으로 결합된 경우에 각 프레임(30)을 결합하는 힘이 골고루 분산되기 위해 정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너브라켓(10)은 하나의 판재가 일체형으로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지기 위해, 제1고정부(11)와 제4고정부(14) 사이에 제1절단부(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단부(b)는 도 6에서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슬롯으로 형성되며, 제2고정부(12)와 제3고정부(13)가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지는 길이와 제1절단부(b)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고정부(11), 제2고정부(12), 제3고정부(13) 및 제4고정부(14)가 동일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제1고정부(11), 제2고정부(12), 제3고정부(13) 및 제4고정부(14)에는 하나 이상의 결속공(a)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속공(a)은 후단에 설명할 결속 볼트(v)가 인입되기 위해 하부가 개방될 수 있고, 평면이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속공(a)은 도 6에서와 같이, 절곡 전의 코너브라켓(10)에서 고정부(11, 12, 13, 14)에 2개의 결속공(a)이 바깥 둘레에 형성되어 후단에 설명할 프레임(30)에 형성된 슬롯(31)의 방향에 구애 받지 않고 하지 트러스(1)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코너브라켓(10)은 도 5에서와 같이, 제1고정부(11)와 제2고정부(12) 사이, 제2고정부(12)와 제3고정부(13) 사이 및 제3고정부(13)와 제4고정부(14)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다.
도 6에서 AA’와 BB’는 절곡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제2고정부(12)를 바닥면으로 하였을 때, AA’를 기준으로 제3고정부(13)가 제2고정부(12)의 아래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부(12)를 바닥면으로 하였을 때, BB’를 기준으로 제1고정부(11)가 제2고정부(12)의 윗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제3고정부(13)를 바닥면으로 하였을 때, BB’를 기준으로 제4고정부(14)가 제3고정부(13)의 윗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각도는 후단에 설명할 프레임(30)이 기울어지지 않고 평평하게 결합되기 위해 90°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도 6에서 AA’와 BB’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꺾임으로써 코너브라켓(10)이 도 5와 같이 형성되어, 3개의 프레임(30)이 X, Y, Z 방향으로 결합되는 하지 트러스(1)의 코너 부분에 하나의 코너브라켓(10)을 적용하여 3면을 묶을 수 있다.
특히, 코너브라켓(10)을 하지 트러스(1)의 코너 부분에 적용할 경우 용접방식이 아닌 볼팅 체결하는 건식 공법으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코너브라켓(10)에 절개부(1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코너브라켓(10)에 형성된 결속공(a) 일 측 또는 양 측에 절개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00)는 개방 형성된 결속공(a)의 하부의 안쪽 일 측 또는 양 측에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절개될 수 있다.
상기 코너브라켓(10)에 절개부(100)가 형성됨에 따라 도 7에서와 같이, 걸림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10)는 각 고정부(11, 12, 13, 14)를 바닥면으로 하였을 때, 절개부(100)에 의해 절개된 부분을 각 고정부(11, 12, 13, 14)의 아랫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밀어 절개부(100)가 형성된 고정부(11, 12, 13, 14)와 교차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부(110)는 경사와 턱이 형성되어 결속 볼트(v)가 중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속 볼트(v)가 상기 경사에 의해 결속공(a)으로 걸림 없이 인입되고, 상기 턱에 의해 결속 볼트(v)가 걸림으로써, 중력에 의해 결속 볼트(v)가 결속공(a)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7에서는 제2고정부(12)에 절개부(100)와 걸림부(110)를 도시하였지만, 사용되는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고정부(11, 12, 13, 14)에 형성된 결속공(a)에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00)와 걸림부(110)가 결속공(a)의 한쪽 부분에 형성되는 구성은 결속 볼트(v)에 중력이 작용되지 않는 고정부에 적용하여 진동이나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되어도 결속 볼트(v)가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절개부(100)와 걸림부(110)가 도 7에서와 같이, 결속공(a)의 양쪽 부분에 형성되는 구성은 결속 볼트(v)에 중력이 작용되는 고정부에 적용하여 중력 및 진동이나 지진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결속 볼트(v)가 결속공(a)의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코너브라켓(10)에 이탈방지부(2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코너브라켓(10)에 형성된 결속공(a) 일 측 또는 양 측에 이탈방지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개방 형성된 결속공(a)의 하부의 안쪽 일 측 또는 양 측에 도 7과 같이 소정의 길이로 경사, 산 및 골이 반복되는 나사산과 같이 돌출 형성되어 결속 볼트(v)가 중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결속 볼트(v)가 상기 경사에 의해 결속공(a)으로 걸림 없이 인입되고, 상기 산에 의해 결속 볼트(v)가 걸림으로써, 중력에 의해 결속 볼트(v)가 결속공(a)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7에서는 제4고정부(14)에 이탈방지부(200)를 도시하였지만, 사용되는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고정부(11, 12, 13, 14)에 형성된 결속공(a)에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200)가 결속공(a)의 한쪽 부분에 형성되는 구성은 결속 볼트(v)에 중력이 작용되지 않는 고정부에 적용하여 진동이나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되어도 결속 볼트(v)가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200)가 도 7에서와 같이, 결속공(a)의 양쪽 부분에 형성되는 구성은 결속 볼트(v)에 중력이 작용되는 고정부에 적용하여 중력 및 진동이나 지진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결속 볼트(v)가 결속공(a)의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4>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연결브라켓(20)은 기저면(21), 제1날개부(22), 제2날개부(23), 제1고정날개부(24) 및 제2고정날개부(25)가 포함된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연결브라켓(20)은 후단에 설명할 하지 트러스(1) 중에서 프레임(30)이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경우 각 프레임(30)을 결합하는 힘이 골고루 분산되기 위해 직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브라켓(20)은 하나의 판재가 일체형으로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지기 위해, 기저면(21), 제1날개부(22)와 제1고정날개부(24) 사이 및 기저면(21), 제2날개부(23)와 제2고정날개부(25) 사이에 제2절단부(c)가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제2절단부(c)는 도 9에서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슬롯 또는 사각의 한 점에 하부가 개방된 슬롯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날개부(22)와 제1고정날개부(24) 사이 일 측과 제2날개부(23)와 제2고정날개부(25) 사이 일 측에 경사가 형성되어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질 때, 각 날개부(22, 23)와 각 고정날개부(24, 25)가 서로 교차되지 않고 절곡되는 장점이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기저면(21), 제1날개부(22), 제2날개부(23), 제1고정날개부(24) 및 제2고정날개부(25)에는 하나 이상의 하부가 개방된 결속공(a)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속공(a)은 실시예 1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속공(a)은 도 9에서와 같이, 절곡 전의 연결브라켓(20)에서 기저면(21), 날개부(22, 23), 고정날개부(24, 25)의 바깥 둘레에 형성되어 후단에 설명할 프레임(30)에 형성된 슬롯(31)의 방향에 구애 받지 않고 하지 트러스(1)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저면(21)에 결속공(a)이 4개가 형성되고, 날개부(22, 23)와 고정날개부(24, 25)에 각각 1개의 결속공(a)이 형성될 수 있으나, 연결브라켓(20)의 용도나 크기에 따라 결속공(a)의 개수가 변동될 수 있다.
상기 기저면(21)은 평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날개부(22)는 기저면(21)의 수평 부분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날개부(23)는 기저면(21)의 수평 부분의 타 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날개부(22)와 제2날개부(23)는 수평 방향의 프레임(30) 타면에 결합되어 수평 방향의 프레임(30) 아래 부분을 지지함과 동시에 기울어지지 않고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날개부(24)는 기저면(21)의 수직 부분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날개부(25)는 기저면(21)의 수직 부분의 타 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고정날개부(24)와 제2고정날개부(25)는 수직 방향의 프레임(30) 타면에 결합되어 중력이 작용되어도 연결브라켓(20)이 중력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브라켓(20)이 중력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아 작업자 혼자 단독으로 작업이 가능하여 시공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0)은 도 9에서와 같이, 제1날개부(22), 제2날개부(23), 제1고정날개부(24) 및 제2고정날개부(25)가 각각 기저면(21)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다.
도 9에서 CC’와 DD'는 절곡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기저면(21)을 바닥면으로 하였을 때, CC’를 기준으로 제1날개부(22)와 제2날개부(23)가 각각 기저면(21)의 윗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기저면(21)을 바닥면으로 하였을 때, DD’를 기준으로 제1고정날개부(24)와 제2고정날개부(25)가 각각 기저면(21)의 윗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각도는 후단에 설명할 프레임(30)이 기울어지지 않고 평평하게 결합되기 위해 90°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도 9에서 CC’와 DD'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꺾임으로써 연결브라켓(20)이 도 8과 같이 형성되어 2개 또는 3개의 프레임(30)이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하지 트러스(1)의 이음 부분에 하나의 연결브라켓(20)으로 적용하여 묶을 수 있다.
특히, 연결브라켓(20)을 하지 트러스(1)의 이음 부분에 적용할 경우 용접방식이 아닌 볼팅 체결하는 건식 공법으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의 연결브라켓(20)에 절개부(1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0에서와 같이, 연결브라켓(20)에 형성된 결속공(a) 일 측 또는 양 측에 절개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00)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20)에 절개부(100)가 형성됨에 따라 도 10에서와 같이, 걸림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10)는 도 10의 기저면(21), 날개부(22, 23), 고정날개부(24, 25)를 각각 바닥면으로 하였을 때, 절개부(100)에 의해 절개된 부분을 각 기저면(21), 날개부(22, 23), 고정날개부(24, 25)의 윗면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밀어 절개부(100)가 형성된 기저면(21), 날개부(22, 23), 고정날개부(24, 25)와 교차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면(21), 날개부(22, 23), 고정날개부(24, 25)의 바깥 면에 각각 경사와 턱이 형성되며, 결속 볼트(v)가 상기 경사에 의해 결속공(a)으로 걸림 없이 인입되고, 상기 턱에 의해 결속 볼트(v)가 걸림으로써, 중력에 의해 결속 볼트(v)가 결속공(a)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0에서는 기저면(21)에 절개부(100)와 걸림부(110)를 도시하였지만, 사용되는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기저면(21), 날개부(22, 23), 고정날개부(24, 25)에 형성된 결속공(a)에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단에 설명할 수평 방향 프레임(30)과 결합되는 기저면(21)의 결속공(a)과 날개부(22, 23)의 결속공(a)에 절개부(100)와 걸림부(110)가 형성되는 구성은 결속 볼트(v)에 중력이 작용되지 않지만, 진동이나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되어도 결속 볼트(v)가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직 방향 프레임(30)과 결합되는 기저면(21)의 결속공(a)과 고정날개부(24, 25)의 결속공(a)에 절개부(100)와 걸림부(110)가 형성되는 구성은 결속 볼트(v)에 중력이 작용되는 부분에 적용하고, 중력 및 진동이나 지진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결속 볼트(v)가 결속공(a)의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의 연결브라켓(20)에 이탈방지부(2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연결브라켓(20)에 결속공(a) 일 측 또는 양 측에 이탈방지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개방 형성된 결속공(a)의 하부의 안쪽 일 측 또는 양 측에 도 11과 같이 소정의 길이로 경사, 산 및 골이 반복되는 나사산과 같이 돌출 형성되어 결속 볼트(v)가 중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결속 볼트(v)가 상기 경사에 의해 결속공(a)으로 걸림 없이 인입되고, 상기 산에 의해 결속 볼트(v)가 걸림으로써, 중력에 의해 결속 볼트(v)가 결속공(a)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1에서는 기저면(21)에 이탈방지부(200)를 도시하였지만, 사용되는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기저면(21), 날개부(22, 23), 고정날개부(24, 25)에 형성된 결속공(a)에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200)가 결속공(a)의 한쪽 부분에 형성되는 구성은 결속 볼트(v)에 중력이 작용되지 않는 부분에 적용하여 진동이나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되어도 결속 볼트(v)가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200)가 도 11에서와 같이, 결속공(a)의 양쪽 부분에 형성되는 구성은 결속 볼트(v)에 중력이 작용되는 부분에 적용하여 중력 및 진동이나 지진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결속 볼트(v)가 결속공(a)의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 중 어느 하나의 연결브라켓(20)에 걸림턱(3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2에서와 같이, 연결브라켓(20)의 고정날개부(24, 25) 일 측면에 각각 걸림턱(300)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300)은 제1고정날개부(24)와 제2고정날개부(25)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되, 정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고정날개부(24)와 제2고정날개부(25)의 바깥 면에서 소정의 힘을 가하여 제1고정날개부(24)와 제2고정날개부(25)의 안쪽 면에 혹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턱(300)이 형성되는 고정날개부(24, 25)의 위치는 크게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제1고정날개부(24)와 제2고정날개부(25)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턱(300)이 서로 대칭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후단에 설명할 프레임(30)과 결합될 경우 제1고정날개부(24)와 제2고정날개부(25)의 거리가 걸림턱(300)의 곡면을 따라 프레임(30)이 인입되는 과정 중에서 일시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후, 연결브라켓(20)이 프레임(30)에 완전 인입되어 결합되는 과정 중에서 걸림턱(300)에 의해 일시적으로 늘어났던 제1고정날개부(24)와 제2고정날개부(25)의 거리가 원래대로 줄어들면서, 프레임(30)에 고정되어 중력에 의해 연결브라켓(20)이 중력 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아 작업자 혼자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실시예 8>
도 13 및 도 14의 30a에서와 같이, 프레임(30)은 사각 단면이 형성되되, 일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슬롯(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은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0)은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슬롯(31)은 프레임(30) 내부로 인입된 결속 볼트(v)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8의 프레임(30)에 가이드부 및 가이드홈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4의 30d 또는 30e와 같이, 프레임(3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슬롯(31)이 형성된 프레임(30) 내측에 일체형으로 제1가이드부(34) 또는 제2가이드부(36)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34)가 형성되어, 슬롯(31)이 형성된 프레임(30) 내측에 단면이 사각인 제1가이드홈(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36)가 형성되어, 슬롯(31)이 형성된 프레임(30) 내측에 단면이 반원인 제2가이드홈(3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의 30d 또는 30e와 같이, 슬롯(31)이 형성된 프레임(30)에 가이드부(34, 36)가 형성되어, 결속 볼트(v)가 프레임(30) 내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됨과 동시에, 프레임(30)의 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30)은 가이드부(34, 36)에 의해 가이드홈(35, 37)이 형성됨으로써, 결속 볼트(v)가 가이드홈(35, 37) 내에서 걸림으로써 자연스럽게 위치가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즉, 프레임(30)의 단면에 도 14의 30d 또는 30e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사출 형성되면, 슬롯(31)으로 인입되는 결속 볼트(v)의 머리가 사각 또는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좋다.
상기 사각 또는 평행사변형 형상의 머리를 포함하는 결속 볼트(v)가 슬롯(31)으로 진입할 때 길이 방향의 슬롯(31)과 동일하게 결속 볼트(v)의 머리를 수직 방향으로 돌려 슬롯(31)에 걸림 없이 프레임(30) 내부로 결속 볼트(v)를 넣을 수 있다.
이 후, 프레임(30) 내부로 인입된 결속 볼트(v)의 머리를 수평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가이드(34, 36)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홈(35, 37)에 걸려 프레임(30) 내부에서 결속 볼트(v)가 헛돌지 않고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8의 프레임(30)에 타공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3의 30b 또는 30c와 같이, 결속 볼트(v)가 인입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슬롯(31)이 형성된 프레임(30)의 동일한 면에 등간격으로 제1타공부(32) 또는 제2타공부(33)가 타공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타공부(32)는 평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되, 도 13의 30b와 같이 등간격으로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타공부(33)는 평면이 반원 형상이 대칭 형성된 원 형상으로 형성되되, 도 13의 30c와 같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의 30b 또는 30c와 슬롯(31)이 형성된 프레임(30)에 타공부(32, 33)가 형성되어, 결속 볼트(v)가 프레임(30) 내측으로 쉽게 인입되어 트러스 조립 작업 시에, 조립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타공부(32, 33)가 포함된 프레임(30)의 슬롯(31)으로 인입되는 결속 볼트(v)의 머리가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좋다.
상기 둥근 형상의 머리를 포함하는 결속 볼트(v)가 슬롯(31)으로 진입할 때 타공부(32, 33)를 통해 프레임(30) 내부로 인입된다.
이 후, 프레임(30) 내부로 인입된 결속 볼트(v)의 둥근 머리 부분이 슬롯(31) 부분으로 이동되어 걸림으로써, 슬롯(31)으로 결속 볼트(v)가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11>
상기 실시예 10의 프레임(30)에 가이드부 및 가이드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3의 30b 또는 30c와 같이, 결속 볼트(v)가 인입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슬롯(31)이 형성된 프레임(30)의 동일한 면에 등간격으로 제1타공부(32) 또는 제2타공부(33)가 타공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0)의 단면이 도 14의 30d 또는 30e와 같이, 프레임(3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슬롯(31)이 형성된 프레임(30) 내측에 일체형으로 제1가이드부(34) 또는 제2가이드부(36)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공부(32, 33)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34, 36)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슬롯(31)이 형성된 프레임(30)에 타공부(32, 33)와 가이드부(34, 36)가 동시에 형성됨으로써, 타공부(32, 33)로 인해 결속 볼트(v)가 프레임(30) 내측으로 쉽게 인입되어 트러스 조립 작업 시에, 조립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됨과, 동시에 가이드부(34, 36)로 인해 결속 볼트(v)가 프레임(30) 내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고 프레임(30)의 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프레임(30)은 가이드부(34, 36)에 의해 가이드홈(35, 37)이 형성됨으로써, 결속 볼트(v)가 가이드홈(35, 37) 내에서 걸림으로써 자연스럽게 위치가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타공부(32, 33)와 가이드부(34, 36)가 동시에 형성되는 슬롯(31)이 포함된 프레임(30)으로 인입되는 결속 볼트(v)의 머리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기능을 작용할 수 있다.
<실시예 12>
도 15에서와 같이, 코너브라켓(10)과 프레임(30)이 결합되는 하지 트러스(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너브라켓(10)은 실시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은 X, Y, Z 방향으로 3개의 프레임(30)이 결합되기에, 실시예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5를 살펴보면, 코너브라켓(10)은 제1고정부(11)가 X 방향의 프레임(30) 일면과 결합된다.
또한, 코너브라켓(10)은 제2고정부(12)와 제3고정부(13)가 각각 Z 방향의 프레임(30) 일면과 타면과 결합되고, 제4고정부(14)가 Y 방향의 프레임(30) 일면과 결합되어 하나의 코너브라켓(10)으로 3개의 프레임(30)을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프레임(30)과 코너브라켓(10)은 프레임(30)에 형성된 슬롯(31)에 인입된 결속 볼트(v)가 코너브라켓(10)에 형성된 결속공(a)으로 인입된 후, 너트로 인해 프레임(30)과 코너브라켓(10)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0)과 코너브라켓(10) 결합 시, 압력을 분산시키며 프레임(30) 내부에서 결속 볼트(v)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셔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고정부(11, 12, 13, 14)에 도 18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결합공(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d)은 고정부(11, 12, 13, 14)에 타공 형성되고, 직결 피스를 인입하여, 프레임(30)과 코너브라켓(10)이 결합하게 되면,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결합공(d)은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개수와 타공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 2의 코너브라켓(10)을 사용하여 X, Y, Z 방향으로 3개의 프레임(30)이 결합하게 될 경우 앞서 설명한 중력이 작용하는 고정부에 적용하게 되면, 결속 볼트(v)가 걸림부(110)의 경사를 따라 결속공(a)으로 걸림 없이 인입된다.
또한, 결속 볼트(v)가 걸림부(110)의 턱에 걸려 중력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아 X, Y, Z 방향으로 3개의 프레임(30)을 하나의 코너브라켓(10)으로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13>
도 16에서와 같이, 연결브라켓(20)과 프레임(30)이 결합되는 하지 트러스(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0)은 실시예 4 내지 7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은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2개 또는 3개의 프레임(30)이 결합되기에, 실시예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프레임(30)은 수직 방향의 프레임(30) 1개와 수평 방향의 프레임(30) 1개가 결합되는 것을 의미하고, 3개의 프레임(30)은 수직방향의 프레임(30) 1개와 수평 방향의 프레임(30) 2개가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도 16을 살펴보면, 연결브라켓(20)은 기저면(21)이 수직과 수평 방향의 프레임(30) 일면과 결합된다.
또한, 연결브라켓(20)은 제1날개부(22)와 제2날개부(23)가 수평 방향의 프레임(30) 타면에 결합되고, 제1고정날개부(24)와 제2고정날개부(25)가 수직 방향의 프레임(30) 타면에 결합되어 중력에 의해 연결브라켓(20)이 수직 방향으로 흐르지 않는 장점이 있다.
프레임(30)과 연결브라켓(20)은 프레임(30)에 형성된 슬롯(31)에 인입된 결속 볼트(v)가 연결브라켓(20)에 형성된 결속공(a)으로 인입된 후, 너트로 인해 프레임(30)과 연결브라켓(20)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0)과 연결브라켓(20) 결합 시, 압력을 분산시키며 프레임(30) 내부에서 결속 볼트(v)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셔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기저면(21), 날개부(22, 23) 및 고정날개부(24, 25)에 도 19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결합공(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d)은 기저면(21), 날개부(22, 23) 및 고정날개부(24, 25)에 타공 형성되고, 직결 피스를 인입하여 프레임(30)과 연결브라켓(20)이 결합하게 되면,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결합공(d)은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개수와 타공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 5의 연결브라켓(20)을 사용하여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2개 또는 3개의 프레임(30)이 결합하게 될 경우 앞서 설명한 중력이 작용하는 부분에 적용하게 되면, 결속 볼트(v)가 걸림부(110)의 경사를 따라 결속공(a)으로 걸림 없이 인입된다.
또한, 결속 볼트(v)가 걸림부(110)의 턱에 걸려 중력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2개 또는 3개의 프레임(30)을 하나의 연결브라켓(20)으로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실시예 7의 연결브라켓(20)을 사용하여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2개 또는 3개의 프레임(30)이 결합하게 될 경우 앞서 설명한 중력이 작용하는 부분에 적용하게 되면, 걸림턱(300)의 곡면을 따라 연결브라켓(20)이 일시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프레임(30)에 결합된다.
그 후, 연결브라켓(20)이 프레임(30)에 완전 인입되어 결합되는 과정 중에서 걸림턱(300)에 의해 일시적으로 늘어났던 제1고정날개부(24)와 제2고정날개부(25)의 거리가 원래대로 줄어들면서, 프레임(30)에 고정되어 중력에 의해 연결브라켓(20)이 중력 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아 작업자 혼자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실시예 14>
도 17에서와 같이, 코너브라켓(10), 연결브라켓(20)과 프레임(30)이 결합되는 하지 트러스(1)가 형성될 수 있다.
코너브라렛(10)이나 연결브라켓(20)을 프레임(30)과 프레임(30) 사이에 형성되는 이음 부분에 적용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코너브라켓(10)은 실시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0)은 실시예 4 내지 7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은 2개 혹은 3개의 프레임(30)이 결합되기에, 실시예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7을 살펴보면, 코너브라켓(10)은 3개의 프레임(30)이 X, Y, Z 방향으로 결합될 때 앞서 설명한 실시예 12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20)은 2개 또는 3개의 프레임(30)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결합될 때 앞서 설명한 실시예 13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코너브라켓(10), 연결브라켓(20)과 프레임(30)이 결합된 하지 트러스(1)는 공지의 방법으로 앵커 볼트(미도시)와 결속브라켓(미도시)을 이용하여 도 17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w)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속브라켓은 단면 형상이 ㄴ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축물의 외벽(w)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될 수 있다.
외벽(w)에 형성된 트러스(1)는 외벽(w)에 단열 또는 차음을 위해 등간격으로 트러스(1)에 단열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연결브라켓과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하지 트러스로, 하지 트러스 형성 시에 부분에 맞는 코너브라켓 또는 연결브라켓을 사용하여 혼자서 작업이 가능한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12)

  1. 제1고정부(11), 제2고정부(12), 제3고정부(13) 및 제4고정부(14)가 포함된 판재로 형성되고,
    제1고정부(11)와 제4고정부(14) 사이에 제1절단부(b)가 포함되며,
    제1고정부(11), 제2고정부(12), 제3고정부(13) 및 제4고정부(14)에 하나 이상의 하부가 개방된 결속공(a)이 포함되고,
    제1고정부(11)와 제2고정부(12) 사이, 제2고정부(12)와 제3고정부(13) 사이 및 제3고정부(13)와 제4고정부(14)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지며,
    결속공(a)은 슬롯이 형성된 프레임과 결합 시에 프레임 방향에 구애 받지 않고 트러스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은,
    결속공(a) 일 측 또는 양 측에 절개부(100)가 형성하여 걸림부(1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은,
    결속공(a) 일 측 또는 양 측 안쪽에 이탈방지부(2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4. 기저면(21), 제1날개부(22), 제2날개부(23), 제1고정날개부(24) 및 제2고정날개부(25)가 포함된 판재로 형성되고,
    기저면(21), 제1날개부(22)와 제1고정날개부(24) 사이 및 기저면(21), 제2날개부(23)와 제2고정날개부(25) 사이에 제2절단부(c)가 포함되며,
    기저면(21), 제1날개부(22), 제2날개부(23), 제1고정날개부(24) 및 제2고정날개부(25)에 하나 이상의 하부가 개방된 결속공(a)이 포함되고,
    제1날개부(22), 제2날개부(23), 제1고정날개부(24) 및 제2고정날개부(25)가 각각 기저면(21)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지며,
    제1고정날개부(24) 및 제2고정날개부(25) 일 측면에 걸림턱(300)이 돌출 형성되고,
    걸림턱(300)은 프레임에 고정되어 흘러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연결브라켓.
  5. 청구항 4에 있어서,
    하지 트러스용 연결브라켓은,
    결속공(a) 일 측 또는 양 측에 절개부(100)가 형성하여 걸림부(1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연결브라켓.
  6. 청구항 4에 있어서,
    하지 트러스용 연결브라켓은,
    결속공(a) 일 측 또는 양 측 안쪽에 이탈방지부(2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연결브라켓.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10)과,
    일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슬롯(31)이 형성된 하지 트러스용 프레임(30)이 X, Y, Z 방향으로 형성되어 결속 볼트(v)로 결합되는 하지 트러스(1)가 형성되며,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10)은 제1고정부(11)가 X 방향의 프레임(30) 일면과 결합되고, 제2고정부(12)와 제3고정부(13)가 각각 Z 방향의 프레임(30) 일면과 타면과 결합되며, 제4고정부(14)가 Y 방향의 프레임(30) 일면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10)이 포함되는 하지 트러스.
  12. 청구항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하지 트러스용 연결브라켓(20)과,
    일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슬롯(31)이 형성된 하지 트러스용 프레임(30)이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결속 볼트(v)로 결합되는 하지 트러스(1)가 형성되며,
    하지 트러스용 연결브라켓(20)은 기저면(21)이 수직과 수평 방향의 프레임(30) 일면에 결합되고, 제1날개부(22)와 제2날개부(23)가 수평 방향의 프레임(30) 타면에 결합되며, 제1고정날개부(24)와 제2고정날개부(25)가 수직 방향의 프레임(30) 타면에 결합되어 중력에 의해 수직 방향의 프레임(30)에서 하지 트러스용 연결브라켓(30)이 흐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트러스용 연결브라켓(20)이 포함되는 하지 트러스.
KR1020190107267A 2019-08-30 2019-08-30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연결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하지 트러스 KR10209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67A KR102097363B1 (ko) 2019-08-30 2019-08-30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연결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하지 트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67A KR102097363B1 (ko) 2019-08-30 2019-08-30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연결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하지 트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363B1 true KR102097363B1 (ko) 2020-04-06

Family

ID=7028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267A KR102097363B1 (ko) 2019-08-30 2019-08-30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연결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하지 트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3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558B1 (ko) 2021-04-22 2021-12-01 이수호 금속 프로파일과 브라켓의 고정장치
KR20220068784A (ko) 2020-11-19 2022-05-26 김강 건축용 트러스 구조물 고정 브래킷
KR20230014328A (ko) 2021-07-21 2023-01-30 이원배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무용접식 벽면 마감패널 격자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468B1 (ko) * 2013-10-07 2014-03-03 덕인금속 주식회사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 트러스의 유니트브라켓과 코너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패널 시공방법
KR101921006B1 (ko) * 2017-11-01 2018-11-21 주식회사 산돌기업 볼트 회전 및 슬롯 처짐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스틸 각관을 이용한 내진성능을 갖는 건축용 무용접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468B1 (ko) * 2013-10-07 2014-03-03 덕인금속 주식회사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 트러스의 유니트브라켓과 코너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패널 시공방법
KR101921006B1 (ko) * 2017-11-01 2018-11-21 주식회사 산돌기업 볼트 회전 및 슬롯 처짐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스틸 각관을 이용한 내진성능을 갖는 건축용 무용접 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784A (ko) 2020-11-19 2022-05-26 김강 건축용 트러스 구조물 고정 브래킷
KR102551781B1 (ko) * 2020-11-19 2023-07-04 김강 건축용 트러스 구조물 고정 브래킷
KR102331558B1 (ko) 2021-04-22 2021-12-01 이수호 금속 프로파일과 브라켓의 고정장치
KR20230014328A (ko) 2021-07-21 2023-01-30 이원배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무용접식 벽면 마감패널 격자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363B1 (ko)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연결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하지 트러스
KR101554075B1 (ko) 무용접 하지 트러스 철물
US201303269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KR101242833B1 (ko) 대리석 판넬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JPH083259B2 (ja) 石材等構造物の連結装置
JP6997609B2 (ja) 壁構造、建物、及び連結部材の取り付け方法
JP2006322278A (ja) 耐震補強装置
JP5190904B1 (ja) 木造家屋の耐震補強構造
KR200326563Y1 (ko) 거푸집 체결부재
JP2013060803A (ja) 耐震金物、及びこれを用いた耐震構造
JP2002294904A (ja) 壁パネル、耐力壁、耐力壁の施工方法
JP4654674B2 (ja) 木造建築物の耐震補強金具の取付け方法
JP2002348968A (ja) ブレースの取付け構造
JP4655293B2 (ja) 両引きプレート付仕口装置
KR0152644B1 (ko) 콘크리트 시공용 거푸집 목재체결구
JP7163148B2 (ja) 制振装置
KR102551781B1 (ko) 건축용 트러스 구조물 고정 브래킷
JP7491775B2 (ja) 吊り足場における足場構成部材の継手装置
KR102098059B1 (ko) 목재 펜스용 브라켓
JP3883970B2 (ja) 軸組構造
JP3105033U (ja) 耐震補強装置
JP3355552B2 (ja) 建築仕口接合金物組体および該組体による建築仕口接合方法
JP2700371B2 (ja) 仮設用取付け装置
JP3526849B2 (ja) 木造建築物の補強金物
JP2006161443A (ja) 免震装置の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