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328A -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무용접식 벽면 마감패널 격자틀 - Google Patents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무용접식 벽면 마감패널 격자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328A
KR20230014328A KR1020210095546A KR20210095546A KR20230014328A KR 20230014328 A KR20230014328 A KR 20230014328A KR 1020210095546 A KR1020210095546 A KR 1020210095546A KR 20210095546 A KR20210095546 A KR 20210095546A KR 20230014328 A KR20230014328 A KR 20230014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frame
channel
horizont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배
Original Assignee
이원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배 filed Critical 이원배
Priority to KR1020210095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328A/ko
Publication of KR20230014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 시공을 위해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직교 상태로 연결해서 고정 가능한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하지틀(격자틀)을 개시한다. 상기 프레임 커넥터는: 좌우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을 갖는 제1 홀더(Holder); 상기 제1 홀더의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홀더에 면대칭되는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를 일직선상에 일체로 연결하는 센터 브릿지(Center Bridge); 전후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을 가지며 상기 센터 브릿지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3 홀더; 및 상기 센터 브릿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3 홀더에 면대칭되는 제4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와 제3 홀더와 제4 홀더는, 복수의 프레임 지지부재들의 결합에 의해 십자 형상으로 일체화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 커넥터 제조용 금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작 공정이 단순하고 프레스 금형 중량 감소 및 소중량 프레스로 제작이 가능하고, 균등한 힘으로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직교 구조로 고정/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무용접식 벽면 마감패널 격자틀{Non-welding Type Frame Connector And Latticed Frame For Wall Finishing Pan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벽면 마감패널 지지틀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프레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 마감패널 지지틀을 형성하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십자형 구조로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내외장 패널은 일반 주택의 건축이나 공장 및 상업용 건물 구축시에 건축물의 내외부 벽면에 부착되어 외벽보호 및 장식의 효과를 부여하는 벽면 마감패널이다.
상기 벽면 마감패널은, 하지틀이라고 불리는 벽면 마감패널 지지틀에 설치되며, 조립식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에, 벽면 마감시공에 상당히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벽면 마감패널의 시공을 위하여, 종래에는 먼저 건물 벽면에 스틸브라켓을 설치하고, 복수개의 수직부재(세로 프레임)를 스틸브라켓에 용접한 다음 수평부재(가로 프레임)를 수직부재에 용접해서 격자형의 하지틀을 시공한 후, 상기 하지틀에 벽면 마감패널을 나사 피스로 고정함으로써 벽면을 마감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용접방식은 화재나 감전/화상의 위험이 있고, 옆 건물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으며 용접이 숙련된 전문 작업자를 요구하므로, 시공 비용이 증가하고 시공에 소요되는 기간이 늘어날 수 있다.
근래에는, 위와 같은 용접식 하지틀 시공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용접을 하지 않고 조립식으로 격자형 하지틀을 시공하는 방식 즉 무용접식 하지틀 시공방법이 시행되고 있는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간의 고정력이 약하고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규격이 제한되는 등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69468호,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 트러스의 유니트브라켓과 코너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패널 시공방법, 2014년 2월 25일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2124775호, 조립식 무용접 트러스, 2020년 6월 15일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2107971호, 무용접 외장 패얼 트러스, 2020년 4월 29일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2097363호,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연결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하지 트러스, 2020년 3월 31일 등록
본 발명은, 벽면 마감패널 지지요 격자틀을 형성하는 프레임들을 십자형 구조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 시공을 위해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직교 상태로 연결해서 고정 가능한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Frame Connector)로서: 상기 가로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좌우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을 갖는 제1 홀더(Holder); 상기 제1 홀더의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홀더에 면대칭되는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를 일직선상에 일체로 연결하는 센터 브릿지(Center Bridge); 상기 가로 프레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세로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해 전후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을 가지며, 상기 센터 브릿지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에서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에 직교하는 제3 홀더; 및 상기 센터 브릿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3 홀더와 일직선을 이루며 상기 제3 홀더에 면대칭되는 제4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와 제3 홀더와 제4 홀더는, 복수의 프레임 지지부재들의 결합에 의해 십자 형상으로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와 제3 홀더와 제4 홀더는, 상기 센터 브릿지를 통해 상호 연통한다. 즉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와 제3 홀더와 제4 홀더에 형성되는 프레임 조립공간들이 상기 센터 브릿지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는 각각, 서로 나란하게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좌우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가로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홀더와 제4 홀더는 각각, 서로 나란하게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전후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세로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벽들 각각의 중간 높이에는 상기 가로 프레임 고정용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제1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장공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상기 가로 프레임 고정용 스크류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크류 홀(Screw Hole)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벽들 각각의 중간 높이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 고정용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제2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장공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상기 세로 프레임 고정용 스크류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류 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는;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가 상측이 개방된 채널(Channel) 형상을 갖도록, 상기 가로벽들의 하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베이스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지지대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의 베이스 지지대와 상기 센터 브릿지의 상측면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와 센터 브릿지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로 개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3 홀더와 제4 홀더와 센터 브릿지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세로 개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가로 개통로와 세로 개통로는 상기 센터 브릿지에서 교차한다.
상기 센터 브릿지의 좌반부(Left Half)와 우반부(Right half)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로벽들의 전후 방향 길이는 상기 세로벽들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 브릿지를 좌우로 양분하는 전후방향의 중앙선을 따라, 상기 프레임 지지부재들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이음 경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 경계부는; 상기 센터 브릿지의 좌반부 우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제1 이음부와, 상기 센터 브릿지의 우반부 좌측단에서 하향 절곡되며 상기 제1 이음부에 맞접 결합된 제2 이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음부와 제2 이음부는, 상호 맞접된 채로 나사와 리벳 등과 같은 체결요소에 의해 상호 결합되거나, 용접 등과 같은 접합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지지부재들은 동일 형상을 가지며,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재들이 면대칭을 이루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지지부재들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이음 경계부는, 상기 센터 브릿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음 경계부를 기준으로, 상기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의 일측부와 타측부는 면대칭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지지부재들은; 동일 형상으로 각각 제조되어서 상호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좌우 방향을 관통된 'ㄷ'자 단면의 프레임 채널과, 상기 프레임 채널의 전방벽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채널윙(Wing)과, 상기 프레임 채널의 후방벽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채널윙과, 상기 제2 지지부재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 채널의 기저면을 이루는 채널 바닥에서 우측으로 돌출되는 채널 연결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채널 바닥은, 상기 프레임 채널의 전방벽과 후방벽의 하단을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채널 연결부는, 상기 채널 바닥과 동일 면상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프레임 채널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센터 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채널 브릿지의 절반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는, 단 2개 지지부재들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홀더 내지 제4 홀더 및 센터 브릿지를 갖는 십자형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이음 경계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는 면대칭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채널 연결부는; 상기 센터 베이스의 우측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센터 베이스와 직교하는 이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채널은 상기 제1 홀더 또는 제3 홀더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벽면 마감패널 지지를 위해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로서: 벽면에 가로 방향을 설치되는 가로 프레임; 상기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세로 프레임; 및 상기 가로 프레임에 상기 세로 프레임을 직교 상태로 연결해서 고정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Frame Connector)를 포함하는 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 커넥터는: 상기 가로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좌우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을 갖는 제1 홀더(Holder)와; 상기 제1 홀더의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홀더에 면대칭되는 제2 홀더와;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를 일직선상에 일체로 연결하는 센터 브릿지(Center Bridge)와; 상기 가로 프레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세로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해 상하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을 가지며, 상기 센터 브릿지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에서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에 직교하는 제3 홀더와; 상기 센터 브릿지의 상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3 홀더와 일직선을 이루며 상기 제3 홀더에 면대칭되는 제4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와 제3 홀더와 제4 홀더는, 복수의 프레임 지지부재들의 결합에 의해 십자 형상으로 일체화된 구조를 이룬다. 즉, 수직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의 제3 홀더와 제4 홀더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채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는 복수의 프레임 지지부재들이 결합에 의해 구현되는 하지틀(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 시공부재로서, 가로 프레임을 지지하는 홀더의 양측벽과 세로 프레임을 지지하는 홀더의 양측벽을 동일하거나 거의 같은 길이 및 높이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균등한 힘으로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직교 구조로 고정/연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십자(+)로 연결하는 부분과 T자 연결하는 부분에, 동일한 금형에 의해 동일한 형태로 제조되는 프레임 지지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금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작 공정이 단순하고 프레스 금형 중량 감소 및 소중량 프레스로 제작이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을 고정하는 홀더의 크기(면적)에 여유가 있으므로, 나사 피스 고정용 홀(스크류 홀)과 볼트 홀(장공)의 타공에서 자유도가 향상되고, 폭과 높이가 동일한 일반형 사각 프로파일이나 특정의 구조로 제조된 전용 프로파일을 자유롭게 취사선택해서 가로 프레임 및/또는 세로 프레임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전용 프로파일을 제작 후 가로 프레임 및/또는 세로 프레임으로 적용해서 볼트(Bolt) 및 너트(Nut)로 쉽고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의 일 예와 도 1에 도시된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를 이용한 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의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의 좌측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를 위한 프레임 지지부재의 전개도;
도 9와 도 10은 사각 프레임을 이용한 십자 연결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정면도와 배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십자 연결구조를 이용한 벽면 마감패널의 시공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틀에 적용 가능한 벽면 마감패널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틀에 적용 가능한 프레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프레임을 이용한 십자 연결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와 배면도;
도 15는 도 14의 십자 연결구조를 D1과 D2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틀에 적용 가능한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프레임을 이용한 십자 연결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8은 도 17의 십자 연결구조를 D3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십자 연결구조를 이용한 벽면 마감패널의 다른 시공 예를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벽면 마감패널의 시공을 위한 패널 브라켓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제1"과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동일 명칭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할 때 이들을 상호 구분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의 수를 정의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접속", "조립", 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거나 조립되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연결 관계 즉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등의 관계도 포함한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즉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서, 당업자(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라면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들은 본 발명을 예시한 것으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임을 고려하여야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의 일 실시 예와 이를 이용한 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하지틀)의 일 실시 예가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100; Frame Connector)는, 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 시공을 위해 가로 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20)을 직교 상태로 연결해서 고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 시공용 부재로서, 상기 가로 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20)을 용접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 즉 비용접 방식, 예를 들면 상기 가로 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20)을 나사 피스(나사못)나 볼트(bolt)로 체결해서 직교 구조로 연결할 수 있는 프레임 연결구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100; 이하 '프레임 커넥터'라 칭함)는, 복수의 프레임 지지부재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2개 이상의 프레임 지지부재들이 합체되어서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를 형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는, 상기 가로 프레임(10)을 고정하기 위한 좌우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10a)을 갖는 제1 홀더(110; Holder)와, 상기 제1 홀더(110)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2 홀더(120)와,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를 일직선상에 일체로 연결하는 센터 브릿지(C; Center Bridge)와, 상기 센터 브릿지(C)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3 홀더(130)와, 상기 센터 브릿지(C)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4 홀더(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홀더(120)는 상기 제1 홀더(110)에 면대칭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2 홀더(120)에도 좌우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10b)이 형성되고 상술한 가로 프레임(10)을 고정/지지할 수 있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브릿지(C)는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를 일직선상에 일체로 연결한다.
상기 제3 홀더(130)는 상기 가로 프레임(1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세로 프레임(20)을 고정하기 위해 전후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20a)을 가지며,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 사이에서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에 직교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4 홀더(140)는, 상기 제3 홀더(130)와 일직선을 이루며 상기 제3 홀더에 면대칭되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세로 프레임(20)을 고정/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홀더의 프레임 조립공간(20a)과 일직선을 이루는 전후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20b)을 갖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복수의 프레임 지지부재들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와 제3 홀더(130)와 제4 홀더(140)는 십자 형상으로 일체화된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센터 브릿지(C)를 기준으로, 상기 센터 브릿지(C)의 좌측에는 상기 제1 홀더(110)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 브릿지(C)의 우측에는 상기 제2 홀더(120)가 형성되며, 상기 센터 브릿지(C)의 전방에는 상기 제3 홀더(130)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 브릿지(C)의 후방에는 상기 제4 홀더(1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와 제3 홀더(130)와 제4 홀더(140)는, 상기 센터 브릿지(C)를 통해 상호 연통한다. 즉,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와 제3 홀더(130)와 제4 홀더(140)에 형성되는 프레임 조립공간들이 상기 센터 브릿지(C)를 중심으로 일체로 연결되어서 서로 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가, 도 3에 도시된 예처럼 바닥에 십자 형태로 놓여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는 좌우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3 홀더(130)와 제4 홀더(140)는 전후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벽면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로 프레임(10)과 벽면의 상하 방향(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세로 프레임(20)을 서로 직각으로 연결/고정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는 세워진 상태 즉 상기 제3 홀더(130)와 제4 홀더(140)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시공되며, 도 2에 도시된 예처럼 정사각 또는 직사각형의 격자틀(200)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벽면 상에 마름모 형의 격자틀(하지틀)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가 벽체에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가 바닥에 십자 형태로 놓여진 상태, 제1 홀더와 제2 홀더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제3 홀더와 제4 홀더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의 구조가 설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홀더(110)는, 서로 나란하게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좌우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10a)을 형성하는 한 쌍의 가로벽(111)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3 홀더(130)는, 서로 나란하게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전후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20a)을 형성하는 한 쌍의 세로벽(13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홀더(120) 역시, 좌우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10b)을 형성하기 위해 나란하며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가로벽(121)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4 홀더(140) 역시, 전후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20b)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나란하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세로벽들(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벽들(111, 121) 각각의 중간 높이에는 상기 가로 프레임 고정용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제1 볼트홀(111a, 12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볼트홀(111a, 121a)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상기 가로 프레임 고정용 스크류(S) 예를 들면 나사 피스(나사못)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크류 홀(Screw Hole; 111b, 121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볼트홀(111a, 121a)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복수의 제1 스크류 홀(111b, 121b)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볼트홀(111a, 121a)은 상기 가로벽(111, 121) 각각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장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벽들(131, 141) 각각의 중간 높이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 고정용 볼트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제2 볼트홀(131a, 14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볼트홀(131a, 141a)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상기 세로 프레임 고정용 스크류 예를 들면 나사 피스(나사못)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류 홀(131b, 141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볼트홀(131a, 141a)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복수의 제2 스크류 홀(131b, 141b)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볼트홀(131a, 141a)은 상기 세로벽들(131, 141) 각각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장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는,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가 상측이 개방된 채널 형상을 갖도록, 상기 가로벽들(111, 121)의 하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베이스 지지대(112, 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홀더(110)가 "ㄷ"자 단면 형상이 되도록, 상기 제1 홀더의 가로벽들(111) 하단이 베이스 지지대(112; 이하 '제1 베이스'라 칭함)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 베이스(112)가 상기 제1 홀더(110)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 홈의 기저면 즉 바닥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홀더(120) 역시 "ㄷ"자 단면 형상이 되도록, 상기 제2 홀더의 가로벽들(121) 하단 역시 베이스 지지대(122; 이자 '제2 베이스'라 칭함)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 베이스(122)가 상기 제2 홀더(120)에 의해 형성되는 채널 홈의 기저면 즉 바닥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홀더의 채널 홈(프레임 조립공간; 10a)과 상기 제2 홀더의 채널 홈(프레임 조립공간; 10b)에 가로 프레임(10)이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 프레임(1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 지지대 즉 상기 제1 베이스(112)와 제2 베이스(112)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홀(112a, 122a)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지지대(112, 122)에 복수의 스크류 홀(112a, 122a)이 형성되며, 예를 들면 상기 제1 베이스(112)와 제2 베이스(122)의 중앙선(가로 중앙선, 가상선)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스크류 홀(112a, 122a)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가 아닌 상기 제3 홀더(130)와 제4 홀더(140)가 "ㄷ"자 단면 형상의 구조 즉 채널 구조가 되도록, 상기 제3 홀더의 세로벽들(131) 하단이 베이스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4 홀더의 세로벽들(141) 하단도 베이스 지지대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와 함께 상기 제3 홀더(130)와 제4 홀더(140) 역시 "ㄷ"자 단면 형상의 구조 즉 채널 구조가 될 수도 있다. 다만, 1장의 철편 등과 같은 금속 플레이트 1장의 절단/굽힘 가공을 거쳐서 단순하고 쉽게 커넥터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해서, 4 방향의 홀더들 중에 상호 면대칭을 이루는 임의의 2 방향 홀더들만 채널 구조를 갖는 구조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가 가로 프레임(1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적용되는 점을 감안할 때,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에 채널 구조를 적용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의 베이스 지지대, 즉 상기 제1 베이스(112)와 제2 베이스(122) 및 상기 센터 브릿지(C)의 상측면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와 센터 브릿지(C)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로 개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3 홀더(130)와 제4 홀더(140)와 센터 브릿지(C)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세로 개통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커넥터(100)는 상호 연통하는 +자형 통로를 형성하며, 상술한 가로 개통로와 세로 개통로는 상기 센터 브릿지(C)에서 교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 브릿지(C)의 좌반부(C1)와 우반부(C2)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센터 브릿지(C)의 좌반부(C1)와 우반부(C2)에 각각 복수의 스크류 홀(H1)들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센터 브릿지(C)를 전후로 양분하는 가상의 중앙선(가로 중앙선)을 기준으로, 상기 가로 중앙선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브릿지(C)의 가로 중앙선상에는 센터 슬롯(Slot; H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센터 슬롯(H2)은, 상기 센터 브릿지(C)를 좌우로 양분하는 가상의 중앙선(세로 중앙선)을 기준으로, 상기 세로 중앙선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 슬롯(H2)은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을 세로 프레임(10)의 기설정된 위치에 정렬하기 위한 창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로 프레임의 연결 위치에 정확하게 프레임 커넥터를 조립하기 위한 식별부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세로벽들(131, 141)의 전후 방향 길이가 상기 세로벽들(131, 14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상기 가로벽들(111, 121)의 좌우 방향 길이와 상기 세로벽들(131, 141)의 전후 방향 길이가 동일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형상으로 금속 플레이트를 가공한 후에 구부려서 동일한 형상의 프레임 지지부재들(P1, P2)을 형성하고 이들을 2개씩 맞접 결합시키면, 상술한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와 제3 홀더(130) 및 제4 홀더(140)의 길이가 동일한 구조의 프레임 커넥터(100)가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가로 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20)의 양측 고정력을 고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센터 브릿지(C)를 좌우로 양분하는 세로 중앙선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지지부재들(P1, P2)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이음 경계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음 경계부(150)가 상술한 세로 중앙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음 경계부(150)는, 상기 센터 브릿지의 좌반부(C1) 우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제1 이음부(151)와, 상기 센터 브릿지의 우반부(C2) 좌측단에서 하향 절곡되며 상기 제1 이음부에 맞접 결합되는 제2 이음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커넥터(100)가 상기 이음 경계부(150)를 기준으로 면대칭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프레임 지지부재들(P1, P2)을 면대칭 구조로 결합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음부(151)와 제2 이음부(152)는, 상호 맞접된 채로 나사나 리벳 등과 같은 체결요소(R)에 의해 상호 맞접 결합되거나, 용접 등과 같은 접합에 의해 상호 맞접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이음부(151)와 제2 이음부(152)는 리벳에 의해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이음부(151)와 제2 이음부(152)에는 리벳 홀(H3)이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제1 이음부(151)와 제2 이음부(152)간의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이음부(151)와 제2 이음부(152)에 리벳 홀을 형성하지 않고 용접 기타의 접합 방식으로 맞접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커넥터(100)를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재들(P1, P2)은 동일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재들(P1, P2)이 면대칭을 이루는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지지부재들(P1, P2)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 즉 이음 경계부(150)는, 상기 센터 브릿지(C)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음 경계부(150)를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의 일측부와 타측부는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 지지부재들은, 본 실시 예처럼 동일 형상으로 각각 제조되어서 상호 결합되는 프레임 지지부재들, 예를 들면 제1 지지부재(P!)와 제2 지지부재(P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형상으로 제조되어서 상호 결합될 수도 있고, 각각의 프레임 지지부재는 상기 프레임 커넥터의 일부 영역을 형성한다.
다만, 본 실시 예처럼 동일한 형태로 제조되는 프레임 지지부재들만의 결합에 의해 1개의 십자형 프레임 커넥터를 형성하는 경우, 금형 비용 등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프레임 커넥터의 제작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단 2개의 프레임 지지부재들, 즉 제1 지지부재(P1)와 제2 지지부재(P2)의 결합에 의해, 상술한 제1 홀더(110) 내지 제4 홀더(140)를 갖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제1 지지부재(P1)의 일 예는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부재(100A)는, 프레임 채널(101; Frame Channel), 제1 채널 윙(102; Channel Wing), 제2 채널윙(103), 및 채널 연결부(104)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채널(101)은, 좌우 방향을 관통된 'ㄷ'자 단면을 갖는 부분 즉 'ㄷ'자 단면의 홈(채널 홈)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채널윙(102)은 상기 프레임 채널(101)의 전방벽(101a)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채널윙(103)은 상기 프레임 채널의 후방벽(101b)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채널 연결부(104)는 상기 제2 지지부재(P2)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며, 상기 프레임 채널(101)의 기저면을 이루는 채널 바닥(101c)에 일체로 연결되어서 상기 프레임 채널(101)의 우측으로 돌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채널 바닥(101c)은, 상기 프레임 채널의 전방벽(101a)과 후방벽(101b)의 하단을 일체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채널 연결부(104)는, 상기 프레임 채널(101)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센터 베이스(104a)를 갖는다. 상기 센터 베이스(104a)는 상기 채널 바닥(101c)과 동일 평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채널 연결부(104)는 상기 센터 브릿지(C)의 절반 즉 상술한 센터 베이스의 좌반부(C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베이스(104a)에는 상술한 스크류 홀(H1)과 센터 슬롯(H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부재(P1)와 동일한 형상인 제2 지지부재(P2)와 제1 지지부재(P1)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지지부재(P1)와 제2 지지부재(P2)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 즉 상술한 이음 경계부(15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P1)와 제2 지지부재(P2)는 면대칭을 이루게 된다.
상기 채널 연결부(104)는, 상기 센터 베이스(104a)의 우측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센터 베이스(104a)와 직교하는 이음부(10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P1)와 제2 지지부재(P2)는 동일한 형상이므로, 상기 제2 지지부재(P2) 역시 프레임 채널(101), 제1 채널윙(102), 제2 채널윙(103), 및 채널 연결부(104)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커넥터 제조용 프레임 지지부재, 즉 상기 제1 지지부재(P1)와 제2 지지부재(P2)는 동일 금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이음부(104b)는 상기 제2 지지부재(P2)의 이음부에 리벳 등의 체결요소에 의한 기계적 결합방식이나 접합방식 등에 의해 맞접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프레임 채널(101)은 상기 제1 홀더(110) 또는 제3 홀더(130)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프레임 채널(101)은 가로 프레임(1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적용되거나 세로 프레임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상기 프레임 채널(101)을 가로 프레임을 지지(Support)하는 구성요소 즉 제1 홀더(110)로 적용한 예이며,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제1 채널윙(102)과 제2 채널윙(103)은 각각 상기 제3 홀더(130)와 제4 홀더(140)의 일측벽(세로벽들 중 좌측벽)을 형성해서 세로 프레임(20)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조가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 채널의 전방벽(101a)과 후방벽(101b)은 상기 제1 홀더의 가로벽(111)이 되고, 상기 프레임 채널의 채널 바닥(101c)은 상기 제1 홀더의 제1 베이스(112)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커넥터(100)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단 2개 지지부재들(P1, P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홀더 내지 제4 홀더가 상기 센터 브릿지를 중심으로 일체화된 십자형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를 이용하면, 나사피스나 볼트 등의 체결요소에 의해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십자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용접없이 무용접 방식으로 하지틀 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200; 이하 '하지틀'이라 칭함)은 상술한 프레임 커넥터(100)를 이용해서 시공되는 격자 구조의 틀이다. 상기 하지틀(200)은, 벽면에 가로 방향을 설치되는 가로 프레임(10)과, 상기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세로 프레임(20)과, 상기 가로 프레임에 상기 세로 프레임을 직교 상태로 연결해서 고정하는 프레임 커넥터(100)를 포함하는 벽면 마감패 지지틀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술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커넥터(100)를 이용한 하지틀과 벽면 마감패널의 일 예를 시공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수직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에서는, 상술한 프레임 커넥터의 제3 홀더(130)와 제4 홀더(140)가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채로 적용된다.
먼저, 상기 세로 프레임(10)의 배면에 사인펜 등과 같은 마커(Marker)를 이용해서 원하는 위치(가로 프레임의 연결 위치)마다 식별 마크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3 홀더(130)와 제4 홀더(140)를 상기 세로 프레임(20)이 관통한 채로 상기 프레임 커넥터의 센터 슬롯(H2)이 상기 식별 마크와 일치하도록, 상기 세로 프레임(20)에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를 정렬 배치한 후, 상기 센터 브릿지(C)에 형성된 스크류 홀(H1)에 나사피스(S; 직결피스)를 박아서 상기 센터 브릿지(C) 부분을 상기 세로 프레임(2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3 홀더(130)와 제4 홀더(140)를 나사피스(S) 및/또는 볼트로 상기 세로 프레임(20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를 상기 세로 프레임(20)의 기설정된 위치마다 완전 조립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들이 조립된 세로 프레임(20)은, 앵커 볼트 스틸 브라켓 등과 같은 앵글형 브라켓(30)에 의해 벽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사각 세로 프레임의 표면 중 센터 브릿지(C)가 결합되는 면이 벽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로 프레임(10)을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의 제1 홀더(110)와 제2 홀더(120)에 끼워서 나파피스(S) 및/또는 볼트로 고정하면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십자(+) 형태로 연결된 구조의 하지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하지틀(200)이 완성될 수 있다. 앵커 볼트와 앵글형 브라켓을 이용한 세로 프레임의 벽면 고정 방식 그 자체는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이때, 상기 하지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T자 연결 부분(예를 들면 도 1의 "T" 부분)은 상술한 프레임 지지부재(제1 지지부재) 하나만으로 고정이 가능하므로, 본 실시 예는 T자 연결 부분과 +자 연결 부분이 모두 동일한 프레임 지지부재를 기반으로 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지틀의 프레임 즉 가로 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20)의 일 예(제1 실시 예)로는 속이 빈 민무늬형 사각단면의 프레임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가로 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20)은 나사피스(S)에 의해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와 결합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하지틀(200)의 전방에는 복수의 사각 마감패널(300)들이 설치된다. 상기 마감패널(300)의 배면 테두리에는, 각 가장자리마다 외측으로 패널 고정편(310)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패널 고정편(310)에는 나사피스(S1)의 체결을 위한 피스홀(311)이 형성된다.
상기 패널 고정편(310)은 나사피스(S1)에 의해 상기 하지틀의 가로 프레임(10)이나 세로 프레임(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벽면 마감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초 설치되는 1차 마감패널(300a)의 사방 가장자리에 형성된 패널 고정편(310)은 모두 나사피스(S1)에 의해 하지틀의 프레임(가로 프레임, 세로 프레임)에 고정되고, 그 다음에 설치되는 2차 마감패널(300b) 테두리 중 상기 1차 마감패널(300a)와 인접하는 가장자리의 패널 고정편은 상기 1차 마감패널의 가장자리 뒤로 끼워져서 구속되고, 상기 1차 마감패널과 인접하지 않은 다른 가장자리의 패널 고정편은 나사피스(S1)에 의해 하지틀에 고정된다. 즉, 선시공된 마감패널(들)와 인접하지 않는 후시공 마감패널의 가장자리는 나사피스에 의해 고정되고, 선시공된 마감패널(들)와 인접하는 후시공 마감패널의 가장자리는 나사피스의 체결없이 인접하는 다른 선시공 마감패널의 가장자리 뒤에 끼워지는 구조가 된다.
물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선행기술문헌 등에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며 공지된 구조의 벽면 마감패널이 본 발명에 따른 하지틀의 실시 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벽면 마감패널의 구조나 시공방식이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하지틀의 프레임 즉 가로 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20)으로 적용 가능한 프레임의 다른 예(제2 실시 예)로서, 양측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볼트 홈(41)이 형성된 속이 빈 사각 프레임(40), 예를 들면 사각의 알루미늄 프로파일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예처럼 볼트(B)에 의해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에 결합되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0; 가로 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20)으로 사용됨)의 양측면에는 각각, 중앙선상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볼트 홈(41)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볼트의 헤드(BH)는 각각의 홀더 내측에서 상기 볼트 홈(41)의 내부에 끼워진 채로 걸리고, 볼트 몸체(나사부; BS)는 각 홀더(110, 120, 130, 140)의 볼트 홀(111a, 121a, 131a, 141a)를 관통해서 각 홀더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볼트 홈(41)은,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형성되어서 갈라진 틈새를 이루는 슬롯(Slot; Slot, 도면부호는 도 16 참조 바랍니다)과, 상기 슬롯의 내부에 형성되며 슬롯보다 넓은 헤드 수용부(41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의 헤드(BH)는 장방형 즉 일방향이 길고 그에 수직한 방향의 폭이 좁은 형상으로서, 상기 볼트의 헤드(BH)에서 폭이 좁은 방향의 길이는 상기 볼트 홈(41)의 슬롯보다 좁고, 그에 수직한 방향의 길이는 상기 볼트 홈(41)의 슬롯보다 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트의 헤드(BH)를 상기 볼트 홈(41)의 슬롯을 통해 끼운 후에 90° 돌리면, 상기 볼트의 헤드(BH)가 상기 볼트 홈(41)의 내부 즉 헤드 수용부에 걸려서 구속될 수 있다. 이러한 장방형 헤드를 갖는 볼트를 이용해서 서로 다른 부재들을 결합하는 예는 등록특허 제10-1554075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장방형 헤드를 갖는 볼트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그리고 각 홀더(110, 120, 130, 140)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볼트 몸체(BS)의 단부에는 너트(N)가 체결됨으로써, 도 13에 도시된 프레임(40)을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으로 적용해서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에 의해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도 14와 도 15처럼 십자(+)로 연결된 구조의 격자틀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프레임의 제2 실시 예가 적용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프레임의 제1 실시 예가 적용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프레임 커넥터(100)는 두개의 프레임 지지부재가 접합 방식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된 구조로서 리벳 홀이 없는 구조이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하지틀의 프레임 즉 가로 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20)으로 적용 가능한 프레임의 또 다른 예 및 이를 이용한 하지틀의 프레임 연결구조와 벽면 마감패널 시공 예가 설명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하지틀의 프레임 즉 가로 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20)으로 적용 가능한 프레임의 또 다른 예(제3 실시 예)로서, 4개 표면 중 3개 표면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볼트 홈(41)이 형성된 속이 빈 사각 프레임(40A), 예를 들면 사각의 알루미늄 프로파일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의 제3 실시 예(40A)에서는, 프레임의 3면에 각각 중앙선상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볼트 홈(41)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볼트 홈(41)에는 상술한 프레임의 제2 실시 예(40)에서 설명된 구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제3 실시 예(40A)는 상술한 프레임의 제2 실시 예(40)와 동일한 방식, 즉 볼트(B)에 의해 상기 프레임 커넥터(100)에 결합되어서 상기 하지틀의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배면, 즉 상술한 볼트 홈(41)이 형성되지 않는 표면에는 요철(42) 예를 들면 세레이션(Serration)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42)은 상기 프레임(40A)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나사피스(S)로 상기 프레임을 상기 프레임 커넥터에 고정할 때 밀림(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요철(42)은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중간영역과 상부영역 및 하부영역에 분할 형성될 수도 있고,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2부분 예를 들면 상부와 하부에 분할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요철(42)은 상술한 프레임의 제2 실시 예(40) 및 제1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프레임의 제2 실시 예(40) 및 제1 실시 예의 전면과 배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상기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0A)의 전면에 형성되는 볼트 홈(41)에는 벽면 마감패널의 다른 예(300A)를 지지하는 패널 브라켓(400)이 고정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 브라켓(400)은 상기 프레임(40A)으로 시공되는 가로 프레임(10)에 연결되는 브라켓 몸체(410)와, 상기 브라켓 몸체의 선단에서 상향 절곡되는 상부 돌기(420)와, 상기 브라켓 몸체의 선단에서 하향 절곡되는 하부 돌기(430)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 몸체(410)는, "ㄱ"자 형상의 앵글(Angle; 500), 예를 들면 등록디자인 제30-1066983호에 개시된 앵글을 매개로 상기 가로 프레임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9에 도시된 예처럼, 상기 앵글이 "ㄱ"자로 상기 가로 프레임(10)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앵글의 수직부(510)과 수평부(520)에는 각각 볼트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앵글의 수직부(510)는 볼트(B1)와 너트(N1)에 의해 상기 프레임(40A)의 전면에 형성되는 볼트 홈에 고정되고, 상기 앵글의 수평부(520)에는 상기 패널 브라켓(400)이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 몸체(410)에는 상기 앵글과의 볼트 결합을 위한 앵글 체결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브라켓 몸체(410)는 상기 앵글(500)에 용접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패널 브라켓(400)에 의해 지지되는 벽면 마감패널(300A)은,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브라켓 홈(Groove)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의 제3 실시 예(40A)를 이용해서 시공되는 하지틀에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벽면 마감패널들이 순차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로 프레임에 상기 프레임의 제3 실시 예가 적용되고, 세로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의 제1 실시 예나 제2 실시 예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가로 프레임 20: 세로 프레임
100: 프레임 커넥터 110: 제1 홀더
120: 제2 홀더 111, 121: 가로벽
130: 제3 홀더 140: 제4 홀더
131, 141: 세로벽 150: 이음 경계부
B: 볼트 C: 센터 브릿지
P1, P2: 프레임 지지부재 S: 스크류

Claims (20)

  1. 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 시공을 위해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직교 상태로 연결해서 고정 가능한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Frame Connector)로서:
    상기 가로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좌우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을 갖는 제1 홀더(Holder);
    상기 제1 홀더의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홀더에 면대칭되는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를 일직선상에 일체로 연결하는 센터 브릿지(Center Bridge);
    상기 가로 프레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세로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해 전후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을 가지며, 상기 센터 브릿지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에서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에 직교하는 제3 홀더; 및
    상기 센터 브릿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3 홀더와 일직선을 이루며 상기 제3 홀더에 면대칭되는 제4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와 제3 홀더와 제4 홀더는, 복수의 프레임 지지부재들의 결합에 의해 십자 형상으로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와 제3 홀더와 제4 홀더는, 상기 센터 브릿지를 통해 상호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는 각각, 서로 나란하게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좌우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가로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홀더와 제4 홀더는 각각, 서로 나란하게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상기 전후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세로벽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벽들 각각의 중간 높이에는 상기 가로 프레임 고정용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제1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장공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상기 가로 프레임 고정용 스크류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크류 홀(Screw Hole)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세로벽들 각각의 중간 높이에는 상기 세로 프레임 고정용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제2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장공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상기 세로 프레임 고정용 스크류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류 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가 상측이 개방된 채널 형상을 갖도록, 상기 가로벽들의 하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베이스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대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의 베이스 지지대와 상기 센터 브릿지의 상측면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와 센터 브릿지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로 개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3 홀더와 제4 홀더와 센터 브릿지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세로 개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가로 개통로와 세로 개통로는 상기 센터 브릿지에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브릿지의 좌반부와 우반부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벽들의 전후 방향 길이는 상기 세로벽들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브릿지를 좌우로 양분하는 중앙선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 지지부재들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이음 경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경계부는;
    상기 센터 브릿지의 좌반부 우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제1 이음부와,
    상기 센터 브릿지의 우반부 좌측단에서 하향 절곡되며, 상기 제1 이음부에 맞접 결합된 제2 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음부와 제2 이음부는, 상호 맞접된 채로 체결요소에 의해 상호 결합되거나 접합에 의해 상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재들은 동일 형상을 가지며,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면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재들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이음 경계부는, 상기 센터 브릿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경계부를 기준으로, 상기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의 일측부와 타측부는 면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재들은; 동일 형상으로 각각 제조되어서 상호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좌우 방향을 관통된 'ㄷ'자 단면의 프레임 채널과, 상기 프레임 채널의 전방벽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채널윙과, 상기 프레임 채널의 후방벽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채널윙과, 상기 제2 지지부재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 채널의 기저면을 이루는 채널 바닥에서 우측으로 돌출되는 채널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바닥은, 상기 프레임 채널의 전방벽과 후방벽의 하단을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채널 연결부는, 상기 채널 바닥과 동일 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채널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센터 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채널 브릿지의 절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이음 경계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는 면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연결부는; 상기 센터 베이스의 우측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센터 베이스와 직교하는 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채널은 상기 제1 홀더 또는 제3 홀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20. 벽면 마감패널 지지를 위해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로서:
    벽면에 가로 방향을 설치되는 가로 프레임;
    상기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세로 프레임; 그리고
    상기 가로 프레임에 상기 세로 프레임을 직교 상태로 연결해서 고정하는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Frame Connector)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커넥터는;
    상기 가로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좌우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을 갖는 제1 홀더(Holder)와,
    상기 제1 홀더의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홀더에 면대칭되는 제2 홀더와,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를 일직선상에 일체로 연결하는 센터 브릿지(Center Bridge)와,
    상기 가로 프레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세로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해 상하 방향의 프레임 조립공간을 가지며, 상기 센터 브릿지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에서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에 직교하는 제3 홀더와;
    상기 센터 브릿지의 상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3 홀더와 일직선을 이루며 상기 제3 홀더에 면대칭되는 제4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더와 제2 홀더와 제3 홀더와 제4 홀더는, 복수의 프레임 지지부재들의 결합에 의해 십자 형상으로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마감패널 지지용 격자틀.
KR1020210095546A 2021-07-21 2021-07-21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무용접식 벽면 마감패널 격자틀 KR20230014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546A KR20230014328A (ko) 2021-07-21 2021-07-21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무용접식 벽면 마감패널 격자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546A KR20230014328A (ko) 2021-07-21 2021-07-21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무용접식 벽면 마감패널 격자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328A true KR20230014328A (ko) 2023-01-30

Family

ID=85106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546A KR20230014328A (ko) 2021-07-21 2021-07-21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무용접식 벽면 마감패널 격자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432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468B1 (ko) 2013-10-07 2014-03-03 덕인금속 주식회사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 트러스의 유니트브라켓과 코너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패널 시공방법
KR102097363B1 (ko) 2019-08-30 2020-04-06 (주)에이치엘메디칼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연결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하지 트러스
KR102107971B1 (ko) 2019-08-01 2020-05-07 (주)삼우에이피엔 무용접 외장 패널 트러스
KR102124775B1 (ko) 2019-09-30 2020-06-19 (주)미성이앤씨 조립식 무용접 트러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468B1 (ko) 2013-10-07 2014-03-03 덕인금속 주식회사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 트러스의 유니트브라켓과 코너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패널 시공방법
KR102107971B1 (ko) 2019-08-01 2020-05-07 (주)삼우에이피엔 무용접 외장 패널 트러스
KR102097363B1 (ko) 2019-08-30 2020-04-06 (주)에이치엘메디칼 하지 트러스용 코너브라켓, 연결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하지 트러스
KR102124775B1 (ko) 2019-09-30 2020-06-19 (주)미성이앤씨 조립식 무용접 트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7211C1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в каркасных конструкциях
JP2011247081A (ja) 壁板材及び木造軸組構造
KR102052504B1 (ko)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233537B1 (ko)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CN104763059A (zh) 建筑用连接件、框架结构和用连接件组装框架结构的方法
KR101134180B1 (ko) 피벗힌지 결합을 위한 보강재 및 용접이 필요 없는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14328A (ko) 무용접식 프레임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무용접식 벽면 마감패널 격자틀
KR20110015899A (ko) 스틸 커튼 월 시스템의 수직프레임 및 프레임 결합구조
JP5172607B2 (ja) 扁平柱と梁との接合部構造
JP4625528B2 (ja) 建物の単位構造部材と該単位構造部材を用いた床構造
JPH10152893A (ja) 通し柱用接合具
JP5396663B2 (ja) 建材接続構造
JP5641456B2 (ja) 建材接続構造
CN113700374A (zh) 一种装配式护栏结构
KR101258539B1 (ko) 칸막이 시스템용 윈도우 구조
KR20200032849A (ko) 조립식 방화문틀
JP7215968B2 (ja) 無目材の連結構造
JPS626169Y2 (ko)
JP3364656B2 (ja) 横目地パネル取付構造
CN216076625U (zh) 一种装配式护栏结构
KR102505970B1 (ko) 경량철골용 사각파이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사각 파이프 연결방법
KR102670673B1 (ko)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
JP2023021852A (ja) 建物及びその施工方法
CN104005497A (zh) T型钢幕墙龙骨及其连接方法
JP2016141938A (ja) 骨組構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