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504B1 -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504B1
KR102052504B1 KR1020160076300A KR20160076300A KR102052504B1 KR 102052504 B1 KR102052504 B1 KR 102052504B1 KR 1020160076300 A KR1020160076300 A KR 1020160076300A KR 20160076300 A KR20160076300 A KR 20160076300A KR 102052504 B1 KR102052504 B1 KR 102052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frame
bracket member
curtain wall
plat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582A (ko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이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연 filed Critical 이태연
Priority to KR1020160076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504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5Connections of mullions and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E04B2001/405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은, 건축물 슬라브에 횡 방향으로 일정한 배치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구조용 단위 새시 프레임과, 그 새시 프레임에 각각 일정한 배치 간격을 유지하며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단위 브래킷 부재 및 그 브래킷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서로 인접하는 각 단위 새시 프레임에 브릿지 형태로 걸쳐져 비내력 벽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외장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건축물 슬라브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조용으로 제작된 경량의 새시 프레임 및 그 새시 프레임에 결합되는 브래킷 부재에 외장 패널을 원 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하여 시공자재의 경량화와 시공성의 향상 및 시공기간과 시공비용의 감축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A curtain wall external pannel constru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피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슬라브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경량의 구조용 바아(bar) 형태로 제작된 다수의 단위 새시 프레임에 외장 패널을 원터치(one-touch) 방식으로 조립하여 커튼 월(Curtain Wall) 형태의 비내력 벽체를 형성하도록 개량된 시공구조에 의해 시공자재의 경량화와 시공성의 향상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업용 건축물이나 주상복합건축물과 같은 대형 신축빌딩은 점점 더 초고층화와 초대형화 및 복합화되는 상태로 건설되면서 해당 지역의 랜드 마크(Land Mark) 역할을 하는 상징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초고층 대형 복합건축물의 경우 자중(自重) 증가에 따른 구조적인 안정성과 자중 경감을 위한 외피 시스템의 경량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될 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미려한 외관에 대한 관심도 점차 고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 초고층으로 대형화 및 복합화되도록 시공되는 건축물의 외피 시스템은 시공상의 구조적인 안전성과 시공방법 및 자재 선택의 다양성 등을 통해 미려한 외관을 추구하기에 효과적인 커튼 월(curtain wall) 외장 시스템으로 시공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커튼 월(curtain wall) 외장 시스템은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구성된 건축물 외벽에 골조벽체가 배제된 비내력벽체(non bearing wall)를 형성하여 외벽구조를 구축하는 시공방법으로서, 일명 백 프레임(back frame)이라고도 명명되는 트러스 프레임(truss frame)을 건축물 슬라브에 설치하고, 그 트러스 프레임에 예를 들면 유리나 목재, 석재 및 알루미늄 등과 같은 비교적 경량의 외장 패널이 커튼 월 형태의 마감재로 설치되도록 시공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시공과정에서 백 프레임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통상적인 트러스 프레임은 구조적인 강성의 확보를 위하여 예를 들면 "C-형강 또는 -형강"이라고 불리는 스틸(steel) 각 파이프로 이루어진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용접에 의해 격자구조의 뼈대를 형성하도록 사각 틀 형태로 제작된다.
따라서, 기존의 통상적인 커튼 월 외장 시스템 시공용 격자형 트러스 프레임의 경우 비교적 중량의 스틸을 자재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 자중(自重) 증가의 요인으로 작용하여 경량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규격에 제한이 따르므로 건축물의 설계구조에 따른 시공상의 제약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격자형 트러스 프레임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절단하고 용접하는 제작과정과 중량물의 현장 이송운반 등의 핸들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시간이 시공 단가와 시공 기간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뿐 아니라 용접부의 응력이 국부적인 휨 등을 발생시켜 강성과 시공 정밀도를 떨어뜨려 구조적인 안정성을 저해할 우려가 상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격자형 트러스 프레임은 외장 패널 고정용 앵커와 브래킷 등과 같은 철재 고정부재와 체결부재 등과 같은 다량의 소요부품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시공비용과 시공기간의 증가 및 시공성의 저하로 인해 시공 효율성과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과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상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은 본 출원인이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지된 내용이라 할 수는 없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5320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7905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2478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7662호
(특허문헌 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2702호
(특허문헌 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2831호
(특허문헌 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137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통상적인 격자형 트러스 프레임에 의해 외장 패널을 커튼 월 형태로 지지하는 건축물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이 지니고 있는 단점과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슬라브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경량의 구조용 바아(bar) 형태로 제작된 다수의 단위 새시 프레임에 외장 패널을 커튼 월 상태로 설치하여 시공자재의 경량화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 슬라브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경량의 구조용 바아(bar) 형태로 제작된 다수의 단위 새시 프레임 및 그 새시 프레임에 결합되는 브래킷 부재를 이용하여 외장 패널을 원터치(one-touch) 방식에 의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시공구조를 개량하여 시공성의 향상을 통한 시공기간 단축 및 시공비용절감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 슬라브에 설치되는 기존의 격자형 철제 트러스 프레임을 건축물 슬라브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량의 구조용 바아(bar) 형태의 새시 프레임으로 대체하여 건축물의 설계구조에 따른 단위 새시 프레임의 제작 규격의 자유도를 향상시켜 시공 편의성과 생산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건축물 커튼 월 외장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은, 건축물 슬라브에 일정한 배치 간격을 유지하며 횡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각각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단위 새시 프레임과; 상기 새시 프레임에 각각 일정한 배치 간격을 유지하며 종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단위 브래킷 부재;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새시 프레임에 브릿지 형태로 걸쳐지도록 상기 브래킷 부재에 의해 각각 상단부와 하단부가 끼워져 파지된 상태로 지지되어 커튼 월 형태의 비내력 벽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외장 패널;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건축물 슬라브에 구조용 단위 새시 프레임을 종 방향으로 설치하는 과정을 순차 시공하여 상기 단위 새시 프레임이 일정한 배치 간격을 유지하며 횡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시공하는 새시 프레임 시공단계와; 상기 새시 프레임에 각각 일정한 배치 간격으로 브래킷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브래킷 부재에 의해 외장 패널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가 파지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설치하여 서로 인접하는 각 단위 새시 프레임에 외장 패널이 브릿지 형태로 걸쳐져 커튼 월 형태의 비내력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새시 프레임은, 상기 건축물 슬라브의 양측 끝단 외곽에 서로 대칭적인 구조로 설치되는 외곽 새시 프레임과,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중앙 새시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은, 판상 몸체의 양측단부가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절곡 성형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형태의 슬릿 홈과, 그 슬릿 홈과 대향되도록 판상 몸체의 후방으로 직립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지판이 구비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은, 판상 몸체의 양측단부가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절곡 성형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형태의 1쌍의 슬릿 홈과, 그 슬릿 홈과 대향되도록 판상 몸체의 후방으로 직립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공용의 지지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 부재는 몸체를 이루는 판재의 양측단부가 휘어지게 절곡 성형되어 이루어진 지지부와 돌출 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와 돌출 절곡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요홈 형태로 가공된 1쌍의 걸림홈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이 제거되도록 가공되어 배제된 가공부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브래킷 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새시 프레임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쐐기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상기 새시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 부재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결합되어 세트를 이루는 제 1 브래킷 부재와 제 2 브래킷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브래킷 부재는, 몸체를 이루는 판재의 양측단부가 휘어지게 절곡 성형되어 이루어진 지지부와 돌출 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와 돌출 절곡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요홈 형태로 가공된 1쌍의 걸림홈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이 제거되도록 가공되어 배제된 가공부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브래킷 부재는 몸체를 이루는 판재의 양측단부가 휘어지게 절곡 성형되어 이루어진 지지부와 돌출 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제 1 브래킷 부재의 돌출 절곡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브래킷 부재의 돌출 절곡부와 상기 제 2의 브래킷 부재의 돌출 절곡부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새시 프레임에 설치되어 외장 패널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장 패널은 상측 단면과 하측 단면에 각각 상기 브래킷 부재의 선단부가 상보적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걸림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물 슬라브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알루미늄 등과 같은 경량의 구조용 바아(bar) 형태로 제작된 단위 새시 프레임에 외장 패널을 커튼 월 상태로 설치함에 따라 기존의 격자형 철제 트러스 프레임에 비하여 자중(自重)이 대폭 감소되는 효과를 통해 자재의 경량화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둘째, 외장 패널을 커튼 월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새시 프레임이 건축물 슬라브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바아(bar) 형태의 수직형 프레임으로 제작하게 됨에 따라 그 제작 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시공시간과 시공비용의 효과적인 절감이 가능하여 유효하게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외장 패널을 커튼 월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새시 프레임이 건축물 슬라브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바아(bar) 형태의 수직형 프레임으로 제작하게 됨에 따라 제작 규격에 대한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 건축물의 설계구조에 따른 시공상의 자유도가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
넷째, 건축물 슬라브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바아(bar) 형태의 단위 새시 프레임에 결합되는 브래킷 부재를 이용하여 외장 패널을 원 터치(one touch) 방식에 의한 조립으로 커튼 월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성의 향상에 의한 시공기간을 효과적으로 감축할 수 있다.
다섯째, 건축물 슬라브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바아(bar) 형태의 단위 새시 프레임에 외장 패널을 브래킷 부재를 이용하여 원 터치(one touch) 방식에 의한 조립으로 커튼 월 시공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격자형 트러스 프레임에 필요로 하는 외장 패널 고정용 앵커와 등의 고정부재와 체결부재 등과 같은 다량의 소요부품을 배체할 수 있게 되어 시공성의 향상과 시공비용의 효과적인 절감을 통해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은 외장 패널이 브래킷 부재에 의해 상단부와 하단부가 파지된 상태로 지지되므로, 특히 석재 패널이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그 지지를 위한 앵커 볼트 체결용 결합홀의 가공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비용의 절감과 시공기간의 단축은 물론 석재 패널에 앵커 볼트 체결용 결합홀의 가공 과정이나 앵커 볼트 체결시 종종 석재 패널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의 시공 품질을 유효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의 일부를 분리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을 이루도록 건축물 슬라브에 설치된 외곽 새시 프레임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앙 새시 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을 이루도록 건축물 슬라브의 양측 끝단 외곽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외곽 새시 프레임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의 외장 패널이 브래킷 부재에 의해 새시 프레임에 커튼 월 형태로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의 외장 패널 지지용 브래킷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의 외장 패널 지지용 브래킷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해 보인 외장 패널 지지용 브래킷 부재가 새시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공정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내용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100)은, 건축물 슬라브(10)에 일정한 배치 간격을 유지하며 횡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각각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단위 새시 프레임(110)(120)과, 상기 각 단위 새시 프레임(110)(120)에 각각 일정한 배치 간격을 유지하며 종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브래킷 부재(140)(150)와, 서로 인접하는 새시 프레임(110)(120)에 브릿지 형태로 걸쳐지도록 상기 브래킷 부재(140)(150)에 의해 각각 상단부와 하단부가 끼워져 파지된 상태로 지지되어 커튼 월 형태의 비내력 벽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외장 패널(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새시 프레임(110)(120)은 기존 커튼 월 외장 시스템에 있어서 건축물 슬라브에 구조용 프레임으로 설치되는 격자형 철제 트러스 프레임을 대체하는 구성요소를 이루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압출 등에 의해 직선형 바아(bar) 형태로 제작되어 건축물 슬라브(10)에 종 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새시 프레임(110)(120)은 건축물 슬라브(10)의 양측 끝단 외곽에 각각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외곽 새시 프레임(120)과, 그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중앙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배치 간격을 유지하며 횡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건축물 슬라브(10)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중앙 새시 프레임(110)으로 구분되는 세트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상기한 중앙 새시 프레임(110)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은 예컨대, 알루미늄 압출 등에 의해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직선형의 바아(bar)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판상 몸체(111)의 양측단부가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절곡 성형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형태의 1쌍의 슬릿 홈(112)과, 그 슬릿 홈(112)과 대향되도록 판상 몸체(111)의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직립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공용의 지지판(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은 후술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외곽 새시 프레임(120) 1쌍이 대칭적인 구조로 합체된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판(113)을 중심으로 양측에 후술하는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전면부가 상반되게 배열되어 1쌍의 대칭적인 구조를 이루도록 합쳐진 형태의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은 후술하는 외곽 새시 프레임(120) 1쌍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을 1쌍의 외곽 새시 프레임(120)으로 대체하여 서로 상반되게 배열되는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건축물 슬라브(10)에 설치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은 외곽 새시 프레임(120) 1쌍이 합체된 단일 유닛으로 제작함으로써, 시공시간의 절감 효과와 제작비용의 절감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의 슬릿 홈(112)에는 후술하는 브래킷 부재(140)(150)가 일정한 배치 간격을 유지하며 종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 부재(140)(150)는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적인 배치 구조로 결합되는 1쌍이 세트를 이루어 외장 패널(170)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각각 파지하는 상태로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브래킷 부재(140)(150)의 구체적인 형상 구조와 결합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의 지지판(113)은 예컨대, 앵커 볼트와 브래킷 등과 같이 건축물 슬라브(10)(도 1 참조)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체결용 결합부재(1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은 길이 방향으로 건축물 슬라브(10)(도 1 참조)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은 슬릿 홈(112)의 일측에 가스켓 등과 같은 씰링부재(도면부호 없음)가 삽입되는 요홈(H)이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구비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상기한 외곽 새시 프레임(120)을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은 예컨대, 알루미늄 압출 등에 의해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직선형의 바아(bar)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판상 몸체(121)의 양측단부가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절곡 성형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형태의 슬릿 홈(122)과, 그 슬릿 홈(122)과 대향되도록 판상 몸체(121)의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직립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지판(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슬릿 홈(122)에는 후술하는 브래킷 부재(140)가 일정한 배치 간격을 유지하며 종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 부재(140)는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적인 배치 구조로 결합되는 1쌍이 세트를 이루어 외장 패널(170)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각각 파지하는 상태로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브래킷 부재(140)의 구체적인 형상 구조와 결합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지지판(123)은 예컨대, 앵커 볼트와 브래킷 등과 같이 건축물 슬라브(10)(도 1 참조)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체결용 결합부재(11)(도 1 참조)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되어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은 길이 방향으로 건축물 슬라브(10)(도 1 참조)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은 슬릿 홈(122)의 일측에 가스켓 등과 같은 씰링부재(도면부호 없음)가 삽입되는 요홈(H)이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구비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은 건축물 슬라브(10)(도 1 참조)의 양측 끝단 외곽 즉, 외장 패널(170)이 건축물의 비내력 벽체를 형성하도록 커튼 월로 시공되는 영역의 양측 외곽 끝단부에 각각 1쌍이 서로 상반되게 배열되는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은 상기 1쌍의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사이에 다수가 일정한 배치 간격으로 건축물 슬라브(10)(도 1 참조)에 종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은 서로 동일한 1쌍의 어느 하나가 상단부와 하단부가 전도된 배열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건축물 슬라브(10)의 양측 끝단 외곽에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바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중앙 새시 프레임(110)과 협력하는 구조에 의해 외장 패널(170)이 브릿지 형태로 걸쳐져 커튼 월 형태의 비내력 벽체를 형성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의 외장 패널이 브래킷 부재에 의해 새시 프레임에 커튼 월 형태로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의 외장 패널 지지용 브래킷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로서, 도 7의 (a)는 상기 하부 브래킷 부재(140)를 발췌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7의 (b)는 상기 상부 브래킷 부재(150)를 발췌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브래킷 부재(140)(150)는 외장 패널(170)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브래킷 부재(140)와, 외장 패널(170)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브래킷 부재(150)가 1조의 1세트를 이루도록 상기 새시 프레임(110)(120)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 브래킷 부재(140)는 몸체를 이루는 금속 판재(141)의 양측단부가 휘어지게 절곡 성형되어 이루어진 지지부(142)와 끝단이 상향 돌출 성형된 절곡부(143)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142)와 돌출 절곡부(14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요홈 형태로 가공된 1쌍의 걸림홈(141a) 및 상기 지지부(142)의 일측이 제거되도록 가공되어 배제된 가공부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141w)을 구비한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 브래킷 부재(140)는 금속 판재(141)의 걸림홈(141a)이 각각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의 슬릿 홈(112) 또는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슬릿 홈(122)의 양측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판상 몸체(111)(121)에 끼워지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 절곡부(143)가 외장 패널(170)의 하측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71)에 상보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 브래킷 부재(140)의 결합 과정에서는 상기 금속 판재(141)를 경사진 상태의 자세로 세팅하여 지지부(142)의 걸림턱(141w)이 형성된 돌출부가 먼저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의 슬릿 홈(112) 또는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슬릿 홈(122)에 삽입한 상태에서 금속 판재(141)를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과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판상 몸체(111)(121)와 나란한 상태로 자세를 변경해 준다. 이때, 별도로 분리된 쐐기편(A)이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의 슬릿 홈(112) 또는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슬릿 홈(122) 및 상기 지지부(142)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쐐기편(A)의 삽입에 의해 상기 브래킷 부재(140)는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의 슬릿 홈(112)과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슬릿 홈(122)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브래킷 부재(140)는 지지부(142)가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의 판상 몸체(111) 또는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판상 몸체(121)와 나란한 상태로 배열되는 세팅 자세를 가지도록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브래킷 부재(140)의 돌출 절곡부(143)는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의 판상 몸체(111) 또는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판상 몸체(121)로부터 일정한 길이 돌출되는 상태로 배열되는 세팅 자세를 가지도록 결합된다.
상기 상부 브래킷 부재(150)는 몸체를 이루는 금속 판재(151)의 양측단부가 휘어지게 절곡 성형되어 이루어진 지지부(152)와 끝단이 하향 돌출 성형된 절곡부(153)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152)와 돌출 절곡부(15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요홈 형태로 가공된 1쌍의 걸림홈(151a) 및 상기 지지부(152)의 일측이 제거되도록 가공되어 배제된 가공부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151w)을 구비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상부 브래킷 부재(150)는 금속 판재(151)의 걸림홈(151a)이 각각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의 슬릿 홈(112) 또는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슬릿 홈(122)의 양측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판상 몸체(111)(121)에 끼워지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 절곡부(153)가 외장 패널(170)의 상측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71)에 상보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하부 브래킷 부재(140)와 상부 브래킷 부재(150)는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의 슬릿 홈(112)과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슬릿 홈(122)에 일정한 배치 간격 즉, 외장 패널(170)의 상하 폭 규격에 해당되는 간격을 유지하며 종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외장 패널(170)은 서로 인접하는 새시 프레임(110)(120)에 브릿지 형태로 걸쳐지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브래킷 부재(140)와 상부 브래킷 부재(150)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외장 패널(170)은 상측 단면과 하측 단면에 각각 구비된 걸림홈(171)에 상기 하부 브래킷 부재(140)의 돌출 절곡부(143)와 상기 상부 브래킷 부재(150)의 돌출 절곡부(153)가 끼워져 걸리도록 파지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커튼 월 형태의 비내력 벽체를 형성하는 외장 시스템으로 시공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의 외장 패널 지지용 브래킷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해 보인 외장 패널 지지용 브래킷 부재가 새시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장 패널 지지용 브래킷 부재는, 도 6 및 도 7에 의해 설명된 하부 브래킷 부재(140)가 다른 형상 구조를 가지는 제2의 하부 브래킷 부재(160)로 대체되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이루는 금속 판재(161)의 일측단부가 휘어지게 절곡 성형되어 이루어진 지지부(162)와, 그 끝단이 상향 성형된 돌출 절곡부(163)를 가지며, 상기 금속 판재(161)에는 상기 상부 브래킷 부재(150)의 몸체를 이루는 금속 판재(151)가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결합공(161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브래킷 부재(150)와 제2의 하부 브래킷 부재(160)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1쌍이 1조를 이루도록 세트화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의 슬릿 홈(112)과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슬릿 홈(122)에 일정한 배치 간격 즉, 외장 패널(170)의 상하 폭 규격에 해당되는 간격을 유지하며 종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요컨대, 상기 제2의 하부 브래킷 부재(160)는 도 6 및 도 7에 의해 설명된 상기 하부 브래킷 부재(140)와, 하부 브래킷 부재(140)를 새시 프레임(110)(120)의 슬릿 홈(112)(122)에 고정되도록 지지해 주기 위한 쐐기편(A)의 역할과 기능 및 작용을 대체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브래킷 부재(150)와 상기 제2의 하부 브래킷 부재(160)가 1조를 이루도록 세트화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의 슬릿 홈(112) 또는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슬릿 홈(122)에 결합되면, 상기 상부 브래킷 부재(150)의 돌출 절곡부(153)는 하향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2의 하부 브래킷 부재(160)의 돌출 절곡부(163)는 상향 배치되어 서로 대향되는 배치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브래킷 부재(150)의 돌출 절곡부(153)와 상기 제2의 하부 브래킷 부재(160)의 돌출 절곡부(163)에 각각 상기 외장 패널(170)의 상측 단면 또는 하측 단면의 걸림홈(171)에 상보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외장 패널(170)을 파지한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비록 도면에 의해 예시해 보이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100)은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을 배제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이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1쌍이 1조를 이루는 상태로 건축물 슬라브에 종 방향으로 설치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100)에 따르면, 건축물 슬라브에 설치되는 구조용 트러스 프레임을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한 종류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자재의 종류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비용의 절감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100)에 있어서, 건축물 슬라브에 설치되는 구조용 트러스 프레임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과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을 혼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은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이 합쳐져 세트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므로, 시공시간의 단축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100)에 있어서, 비록 도면에 의해 예시해 보이지는 않았으나, 상기 새시 프레임(110)(120)에는 예를 들어 단열을 위한 단열 패널 및 방수 또는 차수를 방수 패널이 더 설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100)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개략적 공정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먼저 건축물 슬라브(10)에 구조용 트러스 프레임으로서, 상기 새시 프레임(110)(120)을 종 방향으로 설치하는 과정을 순차 시공한다(101 단계).
상기 새시 프레임(110)(120)의 설치 시공 단계(101)에서는 건축물의 설계 기준에 따라 외장 패널(170)이 건축물의 비내력 벽체를 형성하도록 커튼 월로 시공되는 영역의 건축물 슬라브(10)의 양측 외곽 끝단부에 각각 외곽 새시 프레임(120)을 종 방향으로 설치한다. 이때,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은 좌우 측이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의 사이에 건축물의 설계 기준에 따라 건축물 슬라브(10)에 일정한 배치 간격을 이루도록 중앙 새시 프레임(110)을 종 방향으로 설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새시 프레임(110)(120)의 설치 시공 단계(101)에서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을 배제하고,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이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1쌍이 1조를 이루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재 종류의 감축에 의한 단순화를 통해 시공비용의 절감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새시 프레임(110)(120)의 설치 시공 단계(101)에서 건축물 시공환경 등에 따라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과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은 순차적인 설치 시공방법과, 동시 다발적인 설치 시공방법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새시 프레임(110)(120)에는 요홈(H)에 미리 가스켓(g) 등의 씰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새시 프레임(110)(120)의 설치 시공 단계(101)에서 요홈(H)에 가스켓(g) 등의 씰링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새시 프레임(110)(120)의 설치 시공 단계(101)에서는 비록 도면에 의해 예시해 보이지는 않았으나, 상기 새시 프레임(110)(120)에는 예를 들어 단열을 위한 단열 패널 및 방수 또는 차수를 방수 패널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다음 시공 단계로, 상기 새시 프레임(110)(120)의 설치 시공 단계(101)에서 건축물(10)에 종 방향으로 설치된 새시 프레임(110)(120)에 각각 일정한 배치 간격 즉, 건축물의 설계 기준에 따른 외장 패널(170)의 상하 폭 규격에 해당되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브래킷 부재(140 및 150 또는 140 및 160)를 설치한다(102 단계).이때, 상기 브래킷 부재(140 및 150 또는 140 및 160)는 이웃하는 다른 1쌍이 1조의 세트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브래킷 부재(140 및 150 또는 150 및 160)와는 서로 대향되는 배치 구조로 접하도록 설치되는 배열 구조를 가지게 된다.
다음 시공 단계로, 상기 새시 프레임(110)(120)에 각각 일정한 배치 간격으로 1조의 세트를 이루도록 설치된 브래킷 부재(140 및 150 또는 150 및 160)의 사이에 외장 패널(17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들어맞도록 정렬한 상태에서 외장 패널(170)의 상측 단면과 하측 단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걸림홈(171)에 상기 브래킷 부재(140 및 150 또는 140 및 160)의 돌출 절곡부(143)(153)(163)가 상보적으로 결합되도록 원 터치(one-touch) 방식으로 끼워 넣어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장 패널(170)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1쌍이 1조를 이루게 되는 새시 프레임(110)(120)에 브릿지 형태로 걸쳐지도록 조립되어 상기 브래킷 부재(140)(150)(160)가 외장 패널(170)을 상단부와 하단부를 파지한 상태로 커튼 월 형태의 비내력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 새시 프레임 111 : 판상 몸체
112 : 슬릿 홈 113 : 지지판
120 : 새시 프레임 121 : 판상 몸체
122 : 슬릿 홈 123 : 지지판
140: 하부 브래킷 부재 141 : 판재
142 : 지지부 143 : 돌출 절곡부
150: 상부 브래킷 부재 151 : 판재
152 : 지지부 152h : 결합공
153 : 돌출 절곡부 160: 제2 브래킷 부재
161: 판재 161a : 결합공
162 : 지지부 163 : 돌출 절곡부
170 : 외장 패널 171 : 걸림홈
A : 쐐기편 11 : 체결용 결합부재

Claims (9)

  1. 건축물 슬라브(10)에 일정한 배치 간격을 유지하며 횡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각각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단위 새시 프레임과;
    상기 새시 프레임에 각각 일정한 배치 간격을 유지하며 종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1조1세트로 설치되는 복수의 하부 브래킷 부재(140)와 상부 브래킷 부재(150);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새시 프레임에 브릿지 형태로 걸쳐지도록 상기 하부 브래킷 부재(140)와 상부 브래킷 부재(150)에 의해 각각 하단부와 상단부가 끼워져 파지된 상태로 지지되어 상기 건축물 슬라브에 커튼 월 형태의 비내력 벽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외장 패널(17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브래킷 부재(140)는, 몸체를 이루는 판재(141)의 양측단부가 휘어지게 절곡 성형되어 이루어진 지지부(142)와 돌출 절곡부(143)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142)와 돌출 절곡부(14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요홈 형태로 가공된 1쌍의 걸림홈(141a) 및 상기 지지부142)의 일측이 제거되도록 가공되어 배제된 가공부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141w)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브래킷 부재(150), 몸체를 이루는 판재(151)의 양측단부가 휘어지게 절곡 성형되어 이루어진 지지부(152)와 돌출 절곡부(153)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152)와 돌출 절곡부(15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요홈 형태로 가공된 1쌍의 걸림홈(151a) 및 상기 지지부(152)의 일측이 제거되도록 가공되어 배제된 가공부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151w)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브래킷 부재(140)는 지지부(142)와 상기 새시 프레임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쐐기편(A)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상기 새시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시 프레임은,
    판상 몸체의 양측단부가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절곡 성형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형태의 슬릿 홈과, 그 슬릿 홈과 대향되도록 판상 몸체의 후방으로 직립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지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시 프레임은,
    상기 건축물 슬라브(10)의 양측 끝단 외곽에 서로 대칭적인 구조로 설치되는 외곽 새시 프레임(120)과,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중앙 새시 프레임(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새시 프레임(120)은,
    판상 몸체(121)의 양측단부가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절곡 성형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형태의 슬릿 홈(122)과, 그 슬릿 홈(122)과 대향되도록 판상 몸체(121)의 후방으로 직립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지판(12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새시 프레임(110)은,
    판상 몸체(111)의 양측단부가 중심부를 향해 내측으로 절곡 성형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형태의 1쌍의 슬릿 홈(112)과, 그 슬릿 홈(112)과 대향되도록 판상 몸체(111)의 후방으로 직립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공용의 지지판(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6. 삭제
  7. 건축물 슬라브(10)에 일정한 배치 간격을 유지하며 횡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각각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단위 새시 프레임과;
    상기 새시 프레임에 각각 일정한 배치 간격을 유지하며 종 방향으로 결합되어 세트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 브래킷 부재(150)와 제2의 하부 브래킷 부재(160);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새시 프레임에 브릿지 형태로 걸쳐지도록 상기 상부 브래킷 부재(150)와 제2의 하부 브래킷 부재(160)에 의해 각각 하단부와 상단부가 끼워져 파지된 상태로 지지되어 상기 건축물 슬라브에 커튼 월 형태의 비내력 벽체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외장 패널(17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브래킷 부재(150), 몸체를 이루는 판재(151)의 양측단부가 휘어지게 절곡 성형되어 이루어진 지지부(152)와 돌출 절곡부(153)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152)와 돌출 절곡부(15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요홈 형태로 가공된 1쌍의 걸림홈(151a) 및 상기 지지부(152)의 일측이 제거되도록 가공되어 배제된 가공부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151w)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의 하부 브래킷 부재(160)는 몸체를 이루는 판재(161)의 양측단부가 휘어지게 절곡 성형되어 이루어진 지지부(162)와 돌출 절곡부(163)를 가지고, 상기 판재(161)에는 상기 상부 브래킷 부재(150)의 판재(151)가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결합공(161a)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브래킷 부재(150)의 돌출 절곡부(153)와 상기 제2의 하부 브래킷 부재(160)의 돌출 절곡부(163)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새시 프레임에 설치되어 외장 패널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5항과 제 7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패널(170)은 상측 단면과 하측 단면에 각각 상기 브래킷 부재의 선단부가 상보적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걸림홈(17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9. 삭제
KR1020160076300A 2016-06-20 2016-06-20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052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300A KR102052504B1 (ko) 2016-06-20 2016-06-20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300A KR102052504B1 (ko) 2016-06-20 2016-06-20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582A KR20170142582A (ko) 2017-12-28
KR102052504B1 true KR102052504B1 (ko) 2019-12-05

Family

ID=6093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300A KR102052504B1 (ko) 2016-06-20 2016-06-20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5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8489B (zh) * 2018-04-28 2023-04-14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砌块幕墙及其制造与安装方法
CN111287371B (zh) * 2020-03-26 2021-08-06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大面积幕墙钢龙骨安装方法
KR102194738B1 (ko) * 2020-04-24 2020-12-23 정재근 건축 판넬용 고정 브라켓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4673284B (zh) * 2022-03-10 2023-12-01 浙江绿城建筑幕墙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外墙装配式钢化玻璃幕墙
CN116446575B (zh) * 2023-05-06 2023-12-15 浙江金鹭集团装饰有限公司 一种便于替换拆装的防偏斜式墙壁幕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965B1 (ko) * 2013-06-14 2014-07-30 박광일 테라코타패널 고정장치
KR101447360B1 (ko) * 2013-04-16 2014-10-06 (주) 에스와이씨 결합 채널을 이용한 에이엘씨 패널 횡벽 설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320B1 (ko) 2003-04-30 2006-02-24 정용주 오픈조인트식 외벽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체 시공방법
KR101077662B1 (ko) 2009-03-25 2011-10-28 (주)홍성이엔씨 커튼월용 외벽패널의 결합구조
KR101052478B1 (ko) 2009-04-23 2011-07-28 (주)가이인터내셔날 커튼월용 외벽 단열 유니트 패널 및 그 설치방법
KR101152385B1 (ko) * 2010-04-29 2012-06-05 세종에이앤에스주식회사 알루미늄 시트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037905B1 (ko) 2010-09-29 2011-05-30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오픈 조인트시스템의 오픈 조인트용 일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92702B1 (ko) 2011-09-09 2013-08-02 주식회사 이건창호 커튼월 스팬드럴 구간의 자연순환형 외단열 시스템
KR101336959B1 (ko) * 2011-12-21 2013-12-04 김성근 조립식 건축물의 모서리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342831B1 (ko) 2012-02-21 2013-12-17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위치 이동형 홀딩 ?과 가이드 이동 홈의 지지구조에 의하여 모듈상호간의 시공선이 유지되도록 한 오픈조인트시스템
KR101351378B1 (ko) 2012-03-26 2014-01-15 정일석건 주식회사 방수 단열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360B1 (ko) * 2013-04-16 2014-10-06 (주) 에스와이씨 결합 채널을 이용한 에이엘씨 패널 횡벽 설치방법
KR101421965B1 (ko) * 2013-06-14 2014-07-30 박광일 테라코타패널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582A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504B1 (ko)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404420B1 (ko) Diy 조립식 창고 시스템
CN104790535A (zh) 一种木结构建筑梁柱连接节点结构
KR20110013731A (ko) 조립식 건축물의 조립구조
KR20110015899A (ko) 스틸 커튼 월 시스템의 수직프레임 및 프레임 결합구조
CN211523646U (zh) 面板连接器及应用的挂装式间隔墙
KR101783870B1 (ko) 건축 구조물의 내장재 시공구조
KR101640172B1 (ko) 건물의 단위구조부재와 이 단위구조부재를 이용한 바닥 구조
KR102559815B1 (ko) 스틸커튼월 시공용 지지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스틸커튼월 시공구조
KR101222115B1 (ko) 지붕구조물
KR20130002467U (ko)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KR20200098874A (ko) 카본 커튼월
KR200449811Y1 (ko) 고정 브라켓
KR20090005500U (ko) 경량 칸막이용 벽체 구조
KR101849919B1 (ko) 방화문 보강 구조물
JP2008025096A (ja) 鉄骨造建築物の骨組胴縁一体化構造
JP2021055465A (ja) 水平構面補強プレートおよび水平構面補強構造
JP6473433B2 (ja) 外壁の構造
KR101734087B1 (ko) 비정형 조립식 트러스 지붕 구조물 시스템
CN104818781A (zh) 一体化墙体单元及采用该一体化墙体单元构成的墙体
JP6717571B2 (ja) 腰壁パネル固定構造
KR200449810Y1 (ko) 수평 결합형 고정 브라켓
JP6134949B2 (ja) 板張り壁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建物外部構築物
CN217204882U (zh) 一种轻钢建筑梁端部固定构件
CN204826412U (zh) 一种钢筋钢骨连接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