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467U -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 Google Patents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467U
KR20130002467U KR2020110009195U KR20110009195U KR20130002467U KR 20130002467 U KR20130002467 U KR 20130002467U KR 2020110009195 U KR2020110009195 U KR 2020110009195U KR 20110009195 U KR20110009195 U KR 20110009195U KR 20130002467 U KR20130002467 U KR 201300024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lip
insertion hole
fixing clip
synthetic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1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9714Y1 (ko
Inventor
이연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우드
Priority to KR2020110009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71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4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4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7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clamps, clips, wedges, sliding bol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고정클립과 하측고정클립을 사용하여 합성목재를 보다 간편하게 서로 연결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RETAINING CLIPS FOR COMPOSITE WOOD CONSTRUCTION}
본 고안은 상측고정클립과 하측고정클립을 사용하여 합성목재를 보다 간편하게 서로 연결고정시킬 수 있는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목재는 강도가 높고, 미관이 아름다우며, 성형이 용이하여 제조가 편리하고, 구조적 안전성이 높아 인테리어 용도뿐만 아니라 테라스, 데크 등 옥외 시설용, 건물 내외장재 또는 보도 패널 등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합성목재는 스트립형 또는 사각형 패널 등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패널 측면에 합성목재 패널들의 연결을 위한 수용홈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술한 합성목재는 수용홈에 끼워져 합성목재 패널을 고정하는 클립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건물 내외장재, 가정용 바닥, 공원의 보도, 테라스 등의 합성목재 조립체로 된다.
본 고안자는 상측고정클립과 하측고정클립을 사용하여 합성목재를 보다 간편하게 서로 연결고정시킬 수 있는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상측고정클립과 하측고정클립을 사용하여 합성목재를 보다 간편하게 서로 연결고정시킬 수 있는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가로관부재와 상기 가로관부재의 상측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세로관부재로 구성되는 골조의 상기 세로관부재의 상측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세로관부재의 상측에 구비된 합성목재의 일측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편으로 구성되는 상측고정클립과; 상기 골조의 세로관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측고정클립의 고정판의 하부면에 연결되며 상기 세로관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합성목재의 상측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편으로 구성되는 하측고정클립;으로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측고정클립의 고정판의 타측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고정클립의 고정판의 하측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고정클립과 고정판의 삽입공과 상기 하측고정클립의 고정판의 삽입공을 각각 통과한 후 상기 세로관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측고정클립의 고정판의 삽입공은 상기 고정부의 헤드부가 수용되는 상측삽입공과; 상기 상측삽입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측삽입공의 하측에 형성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상측삽입공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측삽입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고정클립의 고정판의 삽입공은 상기 고정부의 헤드부가 수용되는 일측삽입공과; 상기 일측삽입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삽입공의 타측에 형성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일측삽입공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타측삽입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상측고정클립의 걸림고정편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고정클립의 걸림고정편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고정클립의 걸림고정편의 관통구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로관부재의 상측에 구비된 합성목재의 일측에 밀착고정되는 상측고정편과, 상기 하측고정클립의 걸림고정편의 관통구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로관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합성목재의 상측에 밀착고정되는 하측고정편으로 구성되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상측고정클립의 고정판의 하부면에 상기 하측고정클립의 걸림고정편의 상부면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측고정클립의 고정판의 하부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고정클립의 걸림고정편의 상부면에 상기 가이드홈내에 수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골조의 세로관부재의 상측에 구비된 합성목재의 일측에 걸림고정되는 상측고정클립과, 상기 골조의 세로관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합성목재의 상측에 걸림고정되는 하측고정클립을 사용하여 상기 세로관부재의 상측에 구비된 상기 합성목재와 상기 세로관부재의 일측에 구비된 합성목재를 보다 간편하게 서로 연결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능률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골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측고정클립과 하측고정클립이 세로관부재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상측고정클립이 합성목재에 걸림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하측고정클립이 합성목재에 걸림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상측고정클립의 삽입공과 하측고정클립의 삽입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상측고정클립의 삽입공과 하측고정클립의 삽입공내에 고정부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상측고정클립의 걸림고정편에 관통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고정편이 합성목재에 밀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상측고정클립에서 하측고정클립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상측고정클립에 하측고정클립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골조(5)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건축물의 실내공간의 바닥 등을 포함한 작업현장의 바닥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골조(5)가 설치된다.
상기 골조(5)는 가로관부재(51)와 세로관부재(52)로 구성된다.
상기 가로관부재(51)와 세로관부재(52)는 사각관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로관부재(51)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으며, 작업현장의 바닥에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로관부재(52)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가로관부재(51)와 직교를 이룬 상태로 상기 가로관부재(51)의 상측에 등간격으로 용접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측고정클립(10)과 하측고정클립(2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측고정클립(10)은 고정판(110)과 걸림고정편(120)으로 구성된다.
도 3은 상측고정클립(10)과 하측고정클립(20)이 세로관부재(52)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고정판(11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골조(5)의 세로관부재(52)의 상측에 수평으로 안착고정된다.
상기 걸림고정편(120)은 상기 고정판(110)의 일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편(120)은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상측에 구비된 합성목재(7)의 일측에 작업자에 의해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합성목재(7)의 일측면 중심부와 타측면 중심부에는 상기 합성목재(7)의 내측으로 각각 일정깊이로 수평으로 함몰형성되는 수용홈(7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71)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목재(7)의 일측면 상측과 타측면 상측에는 상기 합성목재(7)의 외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상측연장판(7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71)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합성목재(7)의 일측면 하측과 타측면 하측에는 상기 합성목재(7)의 외측으로 수평연장되는 하측연장판(7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편(12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판(121)과 수평판(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121)은 상기 고정판(11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121)은 상기 고정판(1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122)은 상기 수직판(121)의 상측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122)은 상기 고정판(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도 4는 상측고정클립(10)이 합성목재(7)에 걸림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정편(120)의 수평판(122)의 하부와 상기 고정판(110)의 일측 상부 사이에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상측에 구비된 상기 합성목재(7)의 상기 하측연장판(72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고정편(120)은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상측에 구비된 상기 합성목재(7)의 일측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판(210)과 걸림고정편(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21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골조(5)의 세로관부재(52)의 일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일측에 수직고정된다.
상기 걸림고정편(220)은 상기 고정판(210)의 상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편(220)은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고정판(110)의 하부면에 연결된다.
상기 걸림고정편(220)은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일측에 수직구비되는 상기 합성목재(7)의 상측에 작업자에 의해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편(220)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판(221)과 수직판(2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221)은 상기 고정판(210)의 상측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221)은 상기 고정판(210)의 일측면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222)은 상기 수평판(221)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222)은 상기 수평판(221)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도 5는 하측고정클립(20)이 합성목재(7)에 걸림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정편(220)의 수직판(222)의 타측과 상기 고정판(210)의 상부 일측 사이에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일측에 수직구비된 상기 합성목재(7)의 상기 상측연장판(71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고정편(220)은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일측에 수직구비된 상기 합성목재(7)의 상측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상측고정클립(10)의 삽입공(130)과 하측고정클립(20)의 삽입공(23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상측고정클립(10)의 삽입공(130)과 하측고정클립(20)의 삽입공(230)내에 고정부(30)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고정판(110)의 타측에는 삽입공(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고정판(220)의 하측에는 삽입공(2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고정판(110)의 삽입공(130)내에는 작업자에 의해 피스 등을 포함한 고정부(30)가 수용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고정판(220)의 삽입공(230)내에는 작업자에 의해 피스 등을 포함한 상기 고정부(30)가 수용구비될 수 있다.
피스 등을 포함한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상측고정클립(10)과 고정판(110)의 삽입공(130)과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고정판(210)의 삽입공(230)을 각각 통과한 후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상부 일측 및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일측 중간부에 각각 삽입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30)의 헤드부(310)가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외부 및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고정판(110)의 삽입공(130)은 상측삽입공(131)과 하측삽입공(132)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고정판(210)의 삽입공(230)은 일측삽입공(231)과 타측삽입공(2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삽입공(131)내에는 상기 고정부(30)의 헤드부(31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측삽입공(132)은 상기 상측삽입공(131)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측삽입공(13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삽입공(132)의 내경크기는 상기 상측삽입공(131)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삽입공(231)내에는 상기 고정부(30)의 헤드부(31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타측삽입공(232)은 상기 일측삽입공(231)과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삽입공(231)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삽입공(232)의 내경크기는 상기 일측삽입공(231)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상측고정클립(10)의 걸림고정편(120)에 관통구(140)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걸림고정편(120)의 수평판(122)의 중심부에는 관통구(1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걸림고정편(220)의 수직판(222)의 중심부에는 관통구(2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고정편(40)이 합성목재(7)에 밀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걸림고정편(120)의 수평판(122)의 관통구(140) 내측 및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걸림고정편(220)의 수직판(222)의 관통구(240) 내측에는 합성목재(7)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상측고정클립(10) 및 상기 하측고정클립(20)에서 각각 상기 합성목재(7)가 너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편(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40)은 상측고정편(410)과 하측고정편(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고정편(410)은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걸림고정편(120)의 수평판(122)의 관통구(140)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고정편(140)은 상기 수평판(122)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직판(121)의 타측면 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걸림고정편(120)의 내측에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상측에 수평구비된 상기 합성목재(7)의 하측연장판(720)이 수용될 시 상기 상측고정편(140)의 일측은 상기 합성목재(7)의 하측연장판(720)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걸림고정편(120)의 내측에 상기 합성목재(7)의 하측연장판(720)이 수용되는 과정 중에 상기 상측고정편(140)의 일측은 상기 합성목재(7)의 하측연장판(720)의 두께에 의해 상기 상측고정편(140)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측고정편(420)은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걸림고정편(220)의 수직판(222)의 관통구(240)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측고정편(420)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평판(221)의 하부면 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걸림고정편(220)의 내측에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일측에 수직구비된 상기 합성목재(7)의 상측연장판(710)이 수용될 시 상기 하측고정편(420)의 상측은 상기 합성목재(7)의 상측연장판(710)의 일측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걸림고정편(220)의 내측에 상기 합성목재(7)의 상측연장판(710)이 수용되는 과정 중에 상기 하측고정편(420)의 상측은 상기 합성목재(7)의 상측연장판(710)의 두께에 의해 상기 하측고정편(420)의 일측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편(40)의 간편한 형성을 위해 작업자는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걸림고정편(120)의 수평판(122)의 중심부와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걸림고정편(220)의 수직판(222)의 중심부를 각각 'ㄷ'자로 절개한 후 절개선(도 8의 i) 내측에 위치한 상기 수평판(122의) 중심부위 및 상기 수직판(222)의 중심부위를 각각 상기 걸림고정편(120, 220)의 내측으로 밀어 상기 고정편(40)을 보다 간편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1은 상측고정클립(10)에서 하측고정클립(20)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상측고정클립(10)에 하측고정클립(20)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고정판(110)의 하부면에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걸림고정편(220)의 상부면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고정판(110)의 하부면 중간부에는 'T'형상의 가이드홈(150)이 상기 고정판(1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걸림고정편(220)의 수평판(221)의 상부면 중심부에는 상기 가이드홈(150)내에 작업자에 의해 슬라이딩결합되어 수용되는 'T'형상의 가이드돌기(250)가 상기 수평판(221)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고정판(110)의 하부면에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걸림고정편(220)의 상부면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상기 상측고정클립(10)과 상기 하측고정클립(20) 중 어느 하나가 훼손될 시 상기 상측고정클립(10)과 상기 하측고정클립(20) 모두를 교체할 필요없이 훼손된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상측고정클립(10) 또는 하측고정클립(20)만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골조(5)의 세로관부재(52)의 상측에 구비된 상기 합성목재(7)의 일측에 걸림고정되는 상기 상측고정클립(10)과, 상기 골조(5)의 세로관부재(52)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합성목재(7)의 상측에 걸림고정되는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을 사용하여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상측에 구비된 상기 합성목재(7)와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합성목재(7)를 보다 간편하게 서로 연결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능률 또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7; 합성목재, 10; 상측고정클립.
20; 하측고정클립.

Claims (6)

  1.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가로관부재(51)와 상기 가로관부재(51)의 상측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세로관부재(52)로 구성되는 골조(5)의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상측에 고정되는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상측에 구비된 합성목재(7)의 일측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편(120)으로 구성되는 상측고정클립(10)과;
    상기 골조(5)의 세로관부재(52)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판(210)과, 상기 고정판(210)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고정판(110)의 하부면에 연결되며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합성목재(7)의 상측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편(220)으로 구성되는 하측고정클립(20);으로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고정판(110)의 타측에 삽입공(130)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고정판(210)의 하측에 삽입공(230)이 형성되고,
    상기 상측고정클립(10)과 고정판(110)의 삽입공(130)과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고정판(210)의 삽입공(230)을 각각 통과한 후 상기 세로관부재(52)에 고정되는 고정부(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고정판(110)의 삽입공(130)은 상기 고정부(30)의 헤드부(310)가 수용되는 상측삽입공(131)과;
    상기 상측삽입공(131)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측삽입공(131)의 하측에 형성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상측삽입공(131)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측삽입공(132);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고정판(210)의 삽입공(230)은 상기 고정부(30)의 헤드부(310)가 수용되는 일측삽입공(231)과;
    상기 일측삽입공(231)과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삽입공(321)의 타측에 형성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일측삽입공(231)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타측삽입공(2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걸림고정편(120)에 관통구(140)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걸림고정편(220)에 관통구(240)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걸림고정편(120)의 관통구(140)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상측에 구비된 합성목재(7)의 일측에 밀착고정되는 상측고정편(410)과,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걸림고정편(220)의 관통구(140)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로관부재(52)의 일측에 구비된 합성목재(7)의 상측에 밀착고정되는 하측고정편(420)으로 구성되는 고정편(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고정판(110)의 하부면에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걸림고정편(220)의 상부면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고정클립(10)의 고정판(110)의 하부면에 가이드홈(150)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고정클립(20)의 걸림고정편(220)의 상부면에 상기 가이드홈(150)내에 수용되는 가이드돌기(2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KR2020110009195U 2011-10-17 2011-10-17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KR200469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195U KR200469714Y1 (ko) 2011-10-17 2011-10-17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195U KR200469714Y1 (ko) 2011-10-17 2011-10-17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67U true KR20130002467U (ko) 2013-04-25
KR200469714Y1 KR200469714Y1 (ko) 2013-11-11

Family

ID=5074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195U KR200469714Y1 (ko) 2011-10-17 2011-10-17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7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305B1 (ko) * 2020-07-30 2021-06-16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데크 마감용 몰딩
KR102339705B1 (ko) * 2021-06-30 2021-12-16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강도와 안전성을 높여주는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데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904B1 (ko) * 2018-02-20 2018-12-21 이관궁 목재데크시스템
KR102465425B1 (ko) * 2022-07-22 2022-11-10 주식회사 임성 탄성 클립이 적용된 데크 블록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440Y1 (ko) * 1996-10-31 1999-08-02 양재신 자동차의 판재 체결용 클립
KR200324321Y1 (ko) * 2003-05-20 2003-08-25 명광호 블록타입의 가구조립용 체결구
KR20050050403A (ko) * 2003-11-25 2005-05-31 명광호 블록타입의 가구조립용 체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305B1 (ko) * 2020-07-30 2021-06-16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데크 마감용 몰딩
KR102339705B1 (ko) * 2021-06-30 2021-12-16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강도와 안전성을 높여주는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데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714Y1 (ko) 2013-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714Y1 (ko)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KR101164727B1 (ko) 건물의 벽면 구조
JP2008082028A (ja) 縦桟の取付け構造
KR20150019640A (ko) 조립식부스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부스 제조방법
CN110565845A (zh) 一种可快速组装的多用途龙骨结构
KR101250508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RU2012149901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борки деревянных домов, строений, сооружений из древоблоков, древоблок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и здание из древоблока
CN107882217B (zh) 带有框架的玻璃板隔断墙系统及其装配方法
CN203834834U (zh) 护栏
KR101789684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
KR101581915B1 (ko) 파스너를 이용한 벽체와 구조물 고정 구조
KR101702221B1 (ko)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KR101040234B1 (ko) 데크 어셈블리
CN110761483B (zh) 一种抗震性能好的隔墙板的安装方法
KR101447359B1 (ko) 인서트 채널을 이용한 에이엘씨 외장패널의 종벽 록킹 설치방법
KR101200012B1 (ko)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KR101922216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CN205604474U (zh) 基于内角通用夹板连接件的纯板结构组装房屋
KR101418213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CN204876454U (zh) 一种易拼接的地垫
CN204139723U (zh) 一种改良的具有装饰花板的围栏
KR101079822B1 (ko) 건축물용 조립식 바닥재
KR20150004343U (ko) 휀스, 난간 및 내부 인테리어용 목재 패널
CN106760396A (zh) 导轨式可拆卸地板
JP2008255623A (ja) 耐力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