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829B1 -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 - Google Patents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829B1
KR102095829B1 KR1020157018733A KR20157018733A KR102095829B1 KR 102095829 B1 KR102095829 B1 KR 102095829B1 KR 1020157018733 A KR1020157018733 A KR 1020157018733A KR 20157018733 A KR20157018733 A KR 20157018733A KR 102095829 B1 KR102095829 B1 KR 102095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uffer
bottle
inner contain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631A (ko
Inventor
히로노리 이와마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와타 라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와타 라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와타 라벨
Publication of KR20150122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carb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42Sheets or tubes applied around the bottle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 B65D23/0878Shrunk on the bo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3/0885Rigid shells for receiving the bottle or part of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7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insulating sleeves or jackets for cans, bottles, barrels,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65D2501/24006Details relating to bottle crates
    • B65D2501/24197Arrangements for locating the bottles
    • B65D2501/24312Means for preventing bottle brea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상부에 뚜껑부를 구비하고 통 형상을 이루며, 깨지기 쉬운 소재로 형성된 내측 용기(2)와, 내측 용기(2)의 몸통부(5)와 바닥부(6)를 따르도록 장착되는 외측 용기(3)를 구비하고, 내측 용기(2)는 외측 용기(3)로 씌워지지 않는 상부에 잘록한 형상 또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어깨부(8)를 형성하고, 외측 용기(3)의 바닥(13)의 외주부(13b)는 외측 용기(3)의 측벽(14)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하고, 외측 용기(3)의 바닥(13)의 중앙부(13a)는 내측 용기(2)의 바닥부(6)와 접촉하지 않는 공간부(13c)를 형성하고 두께를 외주부(13b)보다도 얇게 하고, 내측 용기(2)에 장착한 외측 용기(3)와, 적어도 내측 용기(2)의 어깨부(8)가 열수축 필름(4)으로 덮여,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가 일체화 된다. 이것에 의해 병 용기의 바닥부와 몸통부에 대한 충격 등에 의한 파병을 방지하는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Description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BOTTLE CONTAINER WITH BOTTLE BREAKAGE-PREVENTING FUNCTION}
본 발명은 파병(破甁)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에 관한 것이다.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 2012-236608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병 용기는 용기의 바닥부를 완충 부재로 씌우기 때문에, 낙하 등에 의해 병 용기의 몸통부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파병의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병 용기의 바닥부와 몸통부에 대한 충격 등에 의한 파병을 방지하는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는,
상부에 뚜껑부를 구비하고 통 형상을 이루며, 깨지기 쉬운 소재로 형성된 내측 용기와,
내측 용기의 바닥부와 몸통부를 따르도록 장착되는 외측 용기를 구비하고,
내측 용기는 외측 용기로 씌워지지 않는 상부에 잘록한 형상 또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어깨부를 형성하고,
외측 용기의 바닥의 외주부는 외측 용기의 몸통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하고, 외측 용기의 바닥의 중앙부는 내측 용기의 바닥부와 접촉하지 않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두께를 외주부보다도 얇게 하고,
내측 용기에 장착한 외측 용기와, 적어도 내측 용기의 어깨부가 열수축 필름으로 씌워져,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깨지기 쉬운 소재의 내측 용기의 바닥부와 몸통부를 따르도록 외측 용기를 장착하고, 그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를 열수축 필름으로 일체화함으로써, 내측 용기의 바닥부와 몸통부에 대한 충격 등을 외측 용기에 흡수시켜, 내측 용기의 파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병 용기의 1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2a는 도 1의 병 용기를 구성하는 바이얼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
도 2b는 도 2a의 바이얼 용기의 측면 모식도.
도 3은 도 2b의 바이얼 용기의 III-III 단면 모식도.
도 4a는 도 1의 병 용기를 구성하는 완충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
도 4b는 도 4a의 측면 모식도.
도 5a는 도 4a의 완충 용기의 VA-VA 단면 모식도.
도 5b는 도 4a의 완충 용기의 VB-VB 단면 모식도.
도 6은 도 2b의 바이얼 용기를 도 5a의 완충 용기에 장착하는 흐름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7a는 도 2b의 바이얼 용기에 도 5a의 완충 용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b는 도 7a의 부분 확대도.
도 8a는 도 7a의 바이얼 용기와 완충 용기를 열수축 필름으로 일체로 하여 포장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개념도.
도 8b는 도 8a의 부분 확대도.
도 9a는 병 용기가 바닥면에 낙하하는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9b는 바닥면에 재치된 병 용기가 넘어지는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10은 병 용기를 구성하는 내측 용기의 변형예 1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11은 병 용기를 구성하는 외측 용기의 변형예 1을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12는 병 용기를 구성하는 외측 용기의 변형예 2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 13은 병 용기를 구성하는 열수축 필름의 변형예 1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4는 병 용기를 구성하는 열수축 필름의 변형예 2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5는 병 용기를 구성하는 열수축 필름의 변형예 3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6은 병 용기를 구성하는 열수축 필름의 변형예 4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병 용기(1)는 내측 용기(2)와, 내측 용기(2)를 내부에 수용하는 외측 용기(3)와, 내측 용기(2)와 외측 용기(3)를 일체로 하여 포장하는 열수축 필름(4)을 갖는다. 또한, 도 1에서는, 내측 용기(2)만을 측면도로 나타내고, 외측 용기(3) 및 열수축 필름(4)을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용기(2)는 내측 용기 본체(2a)와 뚜껑부(2b)를 구비하고, 뚜껑부(2b)는 내측 용기 본체(2a)의 상부에 위치한다. 내측 용기 본체(2a)는 원통 형상의 몸통부(5)와 몸통부(5)의 하단부를 구성하는 바닥부(6)를 가지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몸통부(5)의 상측에는 환상의 개구부(7)가 위치하고, 몸통부(5)로부터 개구부(7)를 향하는 도중에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어깨부(8)가 형성된다. 내측 용기 본체(2a)는 깨지기 쉬운 소재(병)로 형성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광성을 갖는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용기 본체(2a)의 개구부(7)를 씌우는 뚜껑부(2b)는 밀봉 마개(9)와 밀봉부(10)와 캡부(11)를 갖고, 밀봉 마개(9)는 내측 용기 본체(2a)의 개구부(7)를 막도록 탄성체로 형성되고, 밀봉 마개(9)로 막힌 개구부(7)의 주위를 금속제의 밀봉부(10)로 고정하고, 밀봉 마개(9) 및 밀봉부(10)의 상면을 씌우도록 캡부(11)가 형성된다.
뚜껑부(2b)와, 뚜껑부(2b)에 의해 개구부(7)가 막힌 내측 용기 본체(2a)를 갖는 내측 용기(2)는 내측 용기 본체(2a)의 내부에 약액이 주입된 후에 뚜껑부(2b)로 내측 용기 본체(2a)의 개구부(7)가 막히는 의료용의 바이얼 용기(12)이다.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용기(3)는 바닥(13), 측벽(14) 및 개구(15)를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원통 형상의 완충 용기(16)이며, 내부에 바이얼 용기(12)가 수용된다. 완충 용기(16)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광성을 갖고, 수지에 의해 성형된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 용기(16)의 바닥(13)은 중앙부(13a)와 외주부(13b)를 갖고, 중앙부(13a)의 두께(T1)는 외주부(13b)의 두께(T2)보다도 얇게 형성함으로써(T1<T2), 공간부(13c)가 형성된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14)은 내측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내벽(14a)의 하부로부터 개구(15)를 향하여, 즉 도시 상하 방향(측벽(14)의 높이 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돌출부(14b)를 갖는다. 측벽(14)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14)의 두께(T3)는 바닥(13)의 외주부(13b)의 두께(T2)보다도 얇게 형성된다(T3<T2).
돌출부(14b)는 바닥(13)으로부터 개구(15)를 향하여, 개구(15)에 이르지 않고, 개구(15)의 근방까지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14b)는 횡단면이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서로 대향하는 대향 외면(17)(도 4a)과, 양쪽 대향 외면을 연결하는 평면 형상의 접속면(18)과, 돌출부(14b)의 상단에서 완충 용기(16)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단차부(19)를 갖고, 대향 외면(17)의 간격은 길이 방향을 따라 균등하게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4b)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에서 보아 원 형상을 이루는 완충 용기(16)의 내벽(14a)에 둘레 방향으로 불연속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완충 용기(16)를 평면으로 본 완충 용기(16)의 중심부의 주위에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완충 용기(16)의 내벽(14a)에 돌출부(14b)가 형성된다(도 4a에서는 3개의 돌출부(14b)를 120도 간격으로 형성한 것이 예시되어 있음).
다음에 바이얼 용기(12)를 완충 용기(16)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a는 내부에 약액이 주입된 바이얼 용기(12)를 완충 용기(16)에 장착하는 1예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바이얼 용기(12)의 바닥부(6)를 선두로 하여, 개구(15)를 위를 향하게 하여 재치한 완충 용기(16)의 개구(15)를 향하여, 바이얼 용기(12)를 이동시킨다(도 6). 그리고, 완충 용기(16)의 개구(15)에 바이얼 용기(12)의 바닥부(6)를 삽입하고, 바닥부(6)를 완충 용기(16)의 바닥(13)과 맞대고, 바이얼 용기(12)에 완충 용기(16)를 장착한 상태로 한다(도 7a).
이 상태에서는,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 용기(16)가 바이얼 용기(12)의 바닥부(6)로부터 몸통부(5)에 둘러져 있고, 완충 용기(16)의 개구(15)가 바이얼 용기(12)의 어깨부(8) 또는 어깨부(8) 근방에 이른다. 여기에서, 완충 용기(16)의 내부에 배치된 바이얼 용기(12)의 몸통부(5)와, 몸통부(5)에 대향하는 완충 용기(16)의 내벽(14a) 사이에는, 도 7b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극(2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바이얼 용기(12)의 몸통부(5)의 주위를 씌우도록 간극(20)이 형성되고, 완충 용기(16)의 돌출부(14b)와 바이얼 용기(12)의 몸통부(5) 사이에도 간극(20)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 용기(16)의 바닥(13)에서는, 바닥(13)의 중앙부(13a)가 바이얼 용기(12)의 바닥부(6)와 접촉하지 않는 공간부(13c)가 형성된다.
도 8a는 도 7a의 바이얼 용기(12)와 완충 용기(16)를 일체로 하기 위하여 바이얼 용기(12)와 완충 용기(16)를 열수축 필름(4)으로 씌운 것으로, 완충 용기(16)의 측벽(14)과 적어도 바이얼 용기(12)의 어깨부(8)의 일부가 열수축 필름(4)으로 씌워진다. 구체적으로는, 열수축 필름(4)이 바이얼 용기(12)의 밀봉부(10)로부터 어깨부(8)를 거쳐 완충 용기(16)의 측벽(14)에 걸치고, 바이얼 용기(12)의 밀봉부(10)로부터 완충 용기(16)의 측면에 걸치는 범위를 포장한다. 여기에서, 열수축 필름(4)의 두께는 설명의 편의상 과장하여 그렸으며, 실제로는 바이얼 용기(12) 및 완충 용기(16)의 두께에 비해 대단히 얇다.
도 8b는 도 8a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 용기(16)의 내부에 배치된 바이얼 용기(12)의 어깨부(8)와 어깨부(8)에 대향하는 열수축 필름(4) 사이에 어깨부 공간(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간극(20)이 확보되면서, 바이얼 용기(12)의 몸통부(5)와 어깨부(8)의 접속부 주변의 주위를 씌우도록 어깨부 공간(21)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완충 용기(16)를 장착한 바이얼 용기(12)가 열수축 필름(4)으로 포장됨으로써 병 용기(1)가 완성된다. 병 용기(1)로부터 바이얼 용기(12)의 내부에 주입된 약액을 꺼내는 경우에는, 바이얼 용기(12)의 캡부(11)를 떼어내고, 주사기 등의 바늘의 선단을 밀봉 마개(9)에 찔러 관통시키고, 바이얼 용기(12)의 내부로부터 약액을 뽑아냄으로써 병 용기(1) 내부의 약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병 용기(1)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얼 용기(12)의 몸통부(5)와 바닥부(6)를 따르도록 완충 용기(16)를 장착하고, 바이얼 용기(12)와 완충 용기(16)를 열수축 필름(4)으로 일체로 함으로써 바이얼 용기(12)의 몸통부(5)와 바닥부(6)에 대한 충격 등을 완충 용기(16)에 흡수시켜, 바이얼 용기(12)의 파병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완충 용기(16)는,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얼 용기(12)의 바닥부(6)로부터 몸통부(5)에 둘러져 있고, 완충 용기(16)의 개구(15)가 바이얼 용기(12)의 어깨부(8) 또는 어깨부(8) 근방에 이르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 용기(16)의 바닥(13)으로 병 용기(1)가 바닥면(22)에 내던져져도 완충 용기(16)의 바닥(13)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면(22)에 재치된 병 용기(1)가 넘어져도 완충 용기(16)의 측벽(14)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넘어짐뿐만 아니라, 병 용기(1)의 낙하에 의해 완충 용기(16)의 측벽(14)으로 내던져져도 마찬가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즉,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 용기(16)의 바닥(13)의 중앙부(13a)에는, 바이얼 용기(12)의 바닥부(6)와 접촉하지 않는 공간부(13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완충 용기(16)의 바닥(13)이 바닥면(22)에 내던져져도 완충 용기(16)의 중앙부(13a)로부터 직접, 바이얼 용기(12)의 바닥부(6)에 충격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바이얼 용기(12)에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얼 용기(12)의 몸통부(5)와, 몸통부(5)에 대향하는 완충 용기(16)의 내벽(14a) 사이에 간극(2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재치된 병 용기(1)가, 넘어짐 또는 완충 용기(16)의 측벽(14)으로 낙하해도, 간극(20)이 소위 에어 쿠션이 되어, 완충 용기(16)의 내벽(14a)으로부터 바이얼 용기(12)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또한 간극(20)은 바이얼 용기(12)의 몸통부(5)의 주위를 씌우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모든 방향으로 병 용기(1)가 넘어짐 또는 완충 용기(16)의 측벽(14)으로 낙하해도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열수축 필름(4)에 의한 포장 시에는, 열수축 필름(4)의 수축에 의해 완충 용기(16)의 측벽(14)에 외압이 가해지고, 완충 용기(16)의 재질(완충 용기(16)의 소재가 부드러운 경우)에 따라서는, 측벽(14)과 바이얼 용기(12)의 몸통부(5)의 간극(20)을 좁히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완충 용기(16)의 돌출부(14b)에 의해 완충 용기(16)의 내벽(14a)과 바이얼 용기(12)의 몸통부(5)의 접촉이 억제된다. 돌출부(14b)가 간극(20)의 형성을 보조하는 간극 형성 보조부로서 기능하여, 간극(20)에 의한 에어 쿠션 효과를 향상시킨다. 또한 완충 용기(16)의 내벽(14)과 바이얼 용기(12)의 몸통부(5)의 접촉이 억제되는 것은, 열수축 필름(4)에 의한 외압에 한하지 않고,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의 다른 외압이 가해지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완충 용기(16)의 소재가 단단한 경우에도 돌출부(14b)에 의해 어쩌다가 측벽(14)과 바이얼 용기(12)의 몸통부(5)와의 간극(20)이 좁아진 경우도 완충 용기(16)의 내벽(14)과 바이얼 용기(12)의 몸통부(5)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간극(20)이 좁아지지 않아도 돌출부(14b)가 리브로서 기능하여, 완충 용기(16)의 강성이 높아져, 바이얼 용기(12)에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4b)는 완충 용기(16)의 개구(15)에 이르지 않고, 개구(15)의 근방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치된 병 용기(1)가 넘어진 경우이며, 특히 돌출부(14b)가 형성된 완충 용기(16)의 내벽(14a)에 대응하는 외벽측이 바닥면(22)에 내던져지는 것과 같이 병 용기(1)가 넘어진 경우(또는, 그와 같이 병 용기(1)가 낙하한 경우)이어도, 큰 충격력이 작용하는 완충 용기(16)의 개구(15)의 주변에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극(20)의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돌출부(14b)를 설치해도 에어 쿠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4b)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 용기(16)의 바닥(13)으로부터 개구(15)를 향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적어도 돌출부(14b)가 형성되는 완충 용기(16)의 바닥(13)으로부터 개구(15)의 영역의 근방에서, 완충 용기(16)의 내벽(14a)과 바이얼 용기(12)의 몸통부(5)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4a∼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4b)의 대향 외면(17)끼리를 연결하는 접속면(18)이 평면이기 때문에, 통 형상의 완충 용기(16)와의 접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대향 외면(17)의 간격은 균등하기 때문에, 바이얼 용기(12) 및 완충 용기(16)의 상하 방향에서 거의 균등하게 간극(20)을 형성할 수 있어, 돌출부(14b)의 단차부(19)에 의해 바이얼 용기(12)의 어깨부(8)의 근방과 완충 용기(16)의 개구(15) 사이에서 간극(20)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돌출부(14b)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에서 보아 원 형상을 이루는 완충 용기(16)의 내벽(14a)에 둘레 방향으로 불연속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완충 용기(16)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간극(20)의 형성을 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완충 용기(16)를 평면으로 보아(도 4a), 완충 용기(16)의 중심부의 주위에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돌출부(14b)가 형성됨(도 4a에서는 3개의 돌출부(14b)가 형성됨)으로써 완충 용기(16)의 둘레 방향에서 균등하게 간극(20)의 형성을 보조할 수 있어, 완충 용기(16)의 둘레 방향의 쿠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4b)를 갖는 측벽(14)의 두께(T3)는 바닥(13)에서의 외주부(13b)의 두께(T2)보다도 얇게 형성됨으로써 완충 용기(16)의 무게중심이 낮아져, 재치시에 완충 용기(16)가 안정된다.
열수축 필름(4)에 의해 완충 용기(16)와 바이얼 용기(12)가 일체가 될 때,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얼 용기(12)의 어깨부(8)와 어깨부(8)에 대향하는 열수축 필름(4) 사이에 어깨부 공간(21)이 형성되기 때문에,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치된 병 용기(1)가 넘어진 경우(또는, 그와 같이 병 용기(1)가 낙하한 경우)에, 큰 충격력이 작용하는 완충 용기(16)의 개구(15)의 주변을 어깨부 공간(21)으로 보호할 수 있다. 어깨부 공간(21)은 간극(20)과 함께 에어 쿠션 효과를 향상시킨다.
또한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수축 필름(4)은 바이얼 용기(12)의 밀봉부(10)로부터 어깨부(8)를 거쳐 완충 용기(16)의 측벽(14)에 걸치는 범위를 포장하고, 캡부(11)는 열수축 필름(4)에 의해 씌워지지 않기 때문에, 열수축 필름(4)을 벗기지 않고 바이얼 용기(12)의 내부의 약액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출되어 있는 캡부(11)를 바이얼 용기(12)로부터 떼고, 주사기 등으로 밀봉 마개(9)로부터 약액을 빼낼 수 있다. 따라서, 병 용기(1)는 병 용기(1)의 낙하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병 용기(1)의 사용시에 있어서도, 완충 용기(16)와 바이얼 용기(12)가 일체임으로써 바이얼 용기(12)의 파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얼 용기(12)는 완충 용기(16)로 씌워져 있지 않은 부분이 테이퍼 형상이며, 바이얼 용기(12)의 개구부(7)가 뚜껑부(2b)로 씌워지고, 완충 용기(16) 및 뚜껑부(2b)로 씌워져 있지 않은 바이얼 용기(12)의 부분이 잘록한 형상으로 됨으로써, 병 용기(1)가 낙하해도, 완충 용기(16)에 씌워지지 않은 바이얼 용기(12)의 테이퍼 형상 부분이 바닥면에 직접 내던져질 가능성은 낮아, 바이얼 용기(12)의 표면을 모두 씌우지 않고, 파병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파병 방지 기능을 갖는 병 용기(1)를 설명했다. 다음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용기(2)의 어깨부(8)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어깨부(8) 이외의 구성은 전술의 바이얼 용기(12)의 구성과 동일하며, 주된 차이는 어깨부(8)의 형상이다. 도 10은 내측 용기(2)의 어깨부(8a)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몸통부(5)로부터 개구부(7)를 향하는 도중에는 잘록한 형상을 갖는 어깨부(8a)가 형성되기 때문에, 완충 용기(16) 또는 뚜껑부(2b)로 씌워지지 않은 바이얼 용기(12)의 부분이 말하자면 움푹 패인 형상으로 됨으로써 완충 용기(16)에 씌워지지 않는 바이얼 용기(12)의 잘록한 형상 부분에 직접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완충 용기(16)의 돌출부(14b)는 측벽(14)의 하부(바닥(13))로부터 개구(15)를 향하여 뻗어 나와 있었지만,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14)의 도중에서 개구(15)를 향하도록 뻗어 나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병 용기(1)이어도 된다.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간극(20) 및 공간부(13c)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바이얼 용기(12)에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열수축 필름(4)이 바이얼 용기(12)의 밀봉부(10)로부터 완충 용기(16)의 측면에 걸치는 범위를 포장하고 있었지만,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얼 용기(12)의 밀봉부(10)의 아래로부터 어깨부(8)를 거쳐 완충 용기(16)의 측면에 걸치는 범위를 포장해도 되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얼 용기(12)의 어깨부(8)와 몸통부(5)가 접속하는 접속 부분 및 그 주변을 포장해도 된다. 접속 부분 및 그 주변을 포장함으로써 열수축 필름(4)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수축 필름(4)의 이면에 점착부(4a)를 형성해도 된다. 점착부(4a)에 의해 바이얼 용기(12) 및 완충 용기(16)와 열수축 필름(4)이 접착된 상태에서 포장된다. 따라서, 간극(20)이 밀봉되어, 간극(20)에 의한 쿠션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수축 필름(4)에 인자부(4b)를 형성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태양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구체적인 기재에 한정되지 않고, 예시한 구성 등을 기술적으로 모순이 없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어떤 요소, 처리를 주지의 형태로 치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1 병 용기
2 내측 용기(바이얼 용기(12))
3 외측 용기(완충 용기(16))
4 열수축 필름
5 몸통부
6 바닥부
7 개구부
8 어깨부
13 바닥
14 측벽
15 개구
20 간극
21 어깨부 공간
22 바닥면

Claims (7)

  1. 상부에 뚜껑부를 구비하고 통 형상을 이루며, 깨지기 쉬운 소재로 형성된 내측 용기와,
    상기 내측 용기의 바닥부와 몸통부를 따르도록 장착되는 외측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용기의 상부에 잘록한 형상 또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어깨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 용기의 바닥의 외주부는 상기 외측 용기의 몸통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하고, 상기 외측 용기의 바닥의 중앙부는 상기 내측 용기의 바닥부와 접촉하지 않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두께를 상기 외주부보다도 얇게 하고,
    상기 외측 용기는 용기의 하부로부터 상기 어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측 용기에 장착한 상기 외측 용기와, 적어도 상기 내측 용기의 어깨부가 열수축 필름으로 덮여져, 상기 내측 용기와 상기 외측 용기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용기는 상기 내측 용기를 보호하는 완충 용기이며,
    상기 완충 용기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내측 용기의 몸통부와, 이 몸통부에 대향하는 상기 완충 용기의 내벽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용기와 상기 완충 용기가 상기 열수축 필름으로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용기의 내벽에서 상기 완충 용기의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완충 용기의 내벽과 상기 내측 용기의 몸통부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간극의 형성을 보조하는 간극 형성 보조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완충 용기의 상기 개구에 이르지 않고, 상기 개구의 근방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용기는 위에서 보아 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완충 용기의 내벽에 상기 돌출부가 둘레 방향으로 불연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 필름의 이면에는 점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점착부에 의해 상기 내측 용기 및 상기 외측 용기가 상기 열수축 필름과 접착한 상태에서 상기 열수축 필름으로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에 의해 상기 간극이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열수축 필름에 상기 내측 용기 및 상기 외측 용기가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
KR1020157018733A 2013-02-25 2013-11-28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 KR102095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34863 2013-02-25
JP2013034863 2013-02-25
PCT/JP2013/082023 WO2014129041A1 (ja) 2013-02-25 2013-11-28 破瓶防止機能を備えた瓶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631A KR20150122631A (ko) 2015-11-02
KR102095829B1 true KR102095829B1 (ko) 2020-04-01

Family

ID=51390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733A KR102095829B1 (ko) 2013-02-25 2013-11-28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592950B2 (ko)
EP (1) EP2937292B1 (ko)
JP (2) JP5931271B2 (ko)
KR (1) KR102095829B1 (ko)
CN (1) CN105143054B (ko)
AU (1) AU2013378990B2 (ko)
CA (1) CA2899986C (ko)
ES (1) ES2619682T3 (ko)
MX (1) MX359906B (ko)
WO (1) WO2014129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4271A (zh) * 2015-04-08 2016-11-23 百岳特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防止玻璃瓶破裂的承载器
CN107708847A (zh) 2015-04-08 2018-02-16 SonoCore株式会社 气泡的制造方法
DE202015105736U1 (de) * 2015-10-28 2016-10-31 Morlo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Kapsel für ein im Wesentlichen zylindrisches Gefä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6608A (ja) * 2011-05-09 2012-12-06 Iwata Label Co Ltd 破瓶防止包装容器及び破瓶防止包装容器の包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0968A (en) * 1971-07-02 1973-09-25 Owens Illinois Inc Composite container article
JPS5526276Y2 (ko) * 1974-10-01 1980-06-24
DE2731635C2 (de) * 1976-07-16 1985-07-25 Owens-Illinois, Inc., Toledo, Ohio Flasche aus biaxial orientiertem Polyester
JPS53150194U (ko) * 1977-04-28 1978-11-27
JPS5931257Y2 (ja) * 1979-05-21 1984-09-05 荒木コルク工業株式会社 容器の懸垂保持具
US4241839A (en) * 1979-08-14 1980-12-30 Sewell Plastics, Inc. Base-cup for assuring vertical alignment of semi-hemispherically bottomed bottles
JPH0228193Y2 (ko) * 1984-12-07 1990-07-30
JPS6342549U (ko) * 1986-09-08 1988-03-22
US4880126A (en) * 1988-03-15 1989-11-14 Anderson Dennis C Nesting preventer for bottle bases
JPH0642668U (ja) * 1992-11-06 1994-06-07 冨士シール工業株式会社 ガラス容器
US5462180A (en) * 1994-01-21 1995-10-31 Electra Form, Inc. Bottle base stand
JP2000007057A (ja) * 1998-06-18 2000-01-11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容器
JP2000190980A (ja) * 1998-12-28 2000-07-11 Shiseido Co Ltd 衝撃吸収容器
JP2000247337A (ja) * 1998-12-28 2000-09-12 Shiseido Co Ltd 衝撃吸収容器
JP4716303B2 (ja) * 2001-07-27 2011-07-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衝撃吸収容器
JP2003231568A (ja) * 2002-02-08 2003-08-19 Mitsuharu Inoue 包装材及び包装構造
US20040124192A1 (en) * 2002-12-31 2004-07-01 David Teller Disposable bottle insert system
US20050115978A1 (en) * 2003-11-13 2005-06-02 De La Guardia Mario F. Universal bottle base cup
JP4226538B2 (ja) * 2004-09-30 2009-02-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ベースカップ付き被覆容器
JP4226539B2 (ja) * 2004-09-30 2009-02-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ベースカップ付き容器
JP2006131291A (ja) 2004-11-09 2006-05-25 Eisai Co Ltd バイアルの遮光包装体及び同包装体を備えたバイアル製剤
KR200465909Y1 (ko) * 2011-06-03 2013-03-18 방부현 친환경 밀폐용기
DE102011079031A1 (de) 2011-07-12 2013-01-17 Algeta Asa Flüssigkeitsbehäl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6608A (ja) * 2011-05-09 2012-12-06 Iwata Label Co Ltd 破瓶防止包装容器及び破瓶防止包装容器の包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378990A1 (en) 2015-07-09
MX2015010759A (es) 2015-11-30
AU2013378990B2 (en) 2017-06-22
EP2937292B1 (en) 2017-03-01
US9592950B2 (en) 2017-03-14
CN105143054A (zh) 2015-12-09
US20150353233A1 (en) 2015-12-10
CN105143054B (zh) 2018-02-06
KR20150122631A (ko) 2015-11-02
JP2016137946A (ja) 2016-08-04
JP5931271B2 (ja) 2016-06-08
CA2899986A1 (en) 2014-08-28
JPWO2014129041A1 (ja) 2017-02-02
WO2014129041A1 (ja) 2014-08-28
MX359906B (es) 2018-10-16
JP6192185B2 (ja) 2017-09-06
EP2937292A1 (en) 2015-10-28
EP2937292A4 (en) 2016-08-10
CA2899986C (en) 2020-07-21
ES2619682T3 (es) 201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0257B2 (ja) 燃料タンク
JP6159393B2 (ja) 飲料容器用の水素封入キャップ
KR102095829B1 (ko) 파병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병 용기
JP5146926B2 (ja) 金属製真空断熱容器
JP3130480U (ja) ボトルキャップ
JP2009541169A (ja) 酸素吸収物質を有するシールリング
JP2012236608A (ja) 破瓶防止包装容器及び破瓶防止包装容器の包装方法
JP2011230839A (ja) バイアル用栓体とこれに用いるシール部材
JP4911785B2 (ja) ドーム状化粧料保持容器
KR101049660B1 (ko) 힌지캡
KR101953986B1 (ko) 와인병 보호 커버
EA201001709A1 (ru) Крышка для бутылки с защитой
JP5622017B2 (ja) 蓋体及び蓋体を有するパッケージ
JP2011207513A (ja) ワンタッチキャップ
JP2009234638A (ja) 混合容器
JP2010272561A (ja) 防水構造
JP5718142B2 (ja) 開封防止機能付き注出キャップ
JP4666442B2 (ja) 衝撃吸収容器
JP2000168822A (ja) 容器用キャップ
JPS6328108Y2 (ko)
JP2583881Y2 (ja) 容器のふた
JP2022049900A (ja) 蓋および密閉容器
JPS6310128Y2 (ko)
US20090184027A1 (en) Impact resistant container
JPS622826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