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909Y1 - 친환경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친환경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909Y1
KR200465909Y1 KR2020110004927U KR20110004927U KR200465909Y1 KR 200465909 Y1 KR200465909 Y1 KR 200465909Y1 KR 2020110004927 U KR2020110004927 U KR 2020110004927U KR 20110004927 U KR20110004927 U KR 20110004927U KR 200465909 Y1 KR200465909 Y1 KR 200465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late
eco
friendl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552U (ko
Inventor
방부현
Original Assignee
방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부현 filed Critical 방부현
Priority to KR2020110004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90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5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9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3/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13/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the same material, other than metal, plastics,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of glass, pottery, or other ceram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 B65D81/380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용기; 제1용기를 둘러싸며, 이중으로 구비되는 내측용기와 외측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용기; 제1용기와 제2용기 상단에 위치하며,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플레이트와 제1플레이트 상측에 위치하며 이중으로 구비되는 하측플레이트와 상측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밀폐뚜껑; 및 제1용기 및 제2용기와 밀폐뚜껑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내측용기와 외측용기 사이와 하측플레이트와 상측플레이트 사이에는 진공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밀폐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친환경 밀폐용기 {ECO-FRIENDLY AIRTIGHT CONTAINER}
본 고안은 친환경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으로 이루어진 용기와 뚜껑을 사용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용기와 뚜껑이 보호되며, 뚜껑대신 어댑터가 적용되어 정수기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친환경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고도화, 산업화되어 가는 과정에서 수질의 오염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각종 공장으로부터 산업폐수나 가정의 생활하수로부터 오염된 물들은 하천으로 방류되거나 수처리시설로 모아 처리한 후 하천으로 방류하고 있으나 이들 모두를 온전하게 정화 처리할 수 없는 것이어서 하천과 지하수의 오염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오염으로 인하여 지하수를 막론하고 곧바로 취음할 수 있는 물이 고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체는 80% 이상이 물로 구성되어 있어서, 매일 일정량의 물을 섭취하여야 하는데, 오염되지 않고 미네랄이 풍부한 깨끗한 물을 장기적으로 음용한다는 것은 곧 인체의 건강을 좌우하는 지름길이나, 심지어 각 가정에서 매일 섭취하는 수돗물 역시 낡은 수도관 등으로 인해 매우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어서 각 가정에서는 수돗물을 그대로 음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돗물을 끓여먹고 있는 실정으로 수돗물 속에 정화 처리한 약품냄새와 수도관의 부식이나 오염 등으로 소비자들의 불만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시판되는 정수기의 생수통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생수가 플라스틱과 직접 접촉되므로 생수 고유의 맛을 그대로 보관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생수통 자체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플라스틱 표면에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생수를 그대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유리로 이루어진 용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유리용기의 경우 이동중에 쉽게 깨질 우려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제1용기와 제2용기를 적용하여 지면과 접촉시에도 제2용기의 파손이 방지되며, 보관용 뚜껑과 교체용 뚜껑을 각각 적용하여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과 관련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용기; 제1용기를 둘러싸며, 이중으로 구비되는 내측용기와 외측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용기; 제1용기와 제2용기 상단에 위치하며,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플레이트와 제1플레이트 상측에 위치하며 이중으로 구비되는 하측플레이트와 상측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밀폐뚜껑; 및 제1용기 및 제2용기와 밀폐뚜껑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내측용기와 외측용기 사이와 하측플레이트와 상측플레이트 사이에는 진공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밀폐용기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첫째, 유리로 이루어진 제1용기 외부에 내측용기와 외측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용기가 구비되므로, 제1용기의 파손이 방지된다.
둘째, 제1용기 및 제2용기와 밀폐뚜껑 사이에 패킹이 구비되므로, 제1용기 및 제2용기에 밀폐뚜껑이 빈틈없이 밀착된다.
셋째, 뚜껑도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1플레이트는 유리로 이루어지므로, 내부에 보관되는 물을 장시간 그대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보관용 뚜껑 대신에 교체용 뚜껑인 어댑터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동후에 정수기와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용기의 제1용기와 제2용기에 대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용기의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에 대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용기의 어댑터에 대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용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용기의 제1용기와 제2용기에 대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용기의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에 대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용기의 어댑터에 대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용기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용기(100); 상기 제1용기(100)를 둘러싸며, 이중으로 구비되는 내측용기(210)와 외측용기(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용기(200); 상기 제1용기(100)와 제2용기(200) 상단에 위치하며,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상측에 위치하며 이중으로 구비되는 하측플레이트(410)와 상측플레이트(42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2플레이트(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밀폐뚜껑; 및 상기 제1용기(100) 및 제2용기(200)와 상기 밀폐뚜껑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용기(210)와 외측용기(220) 사이와 상기 하측플레이트(410)와 상측플레이트(420) 사이에는 진공층(230)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친환경 밀폐용기는 제1용기(100)와 제2용기(200)와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400)와 패킹(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용기(100)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플라스틱 용기에 비하여 생수 등의 내용물을 친환경적으로 장기간 보존할 수 있으며, 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용기(200)는 제1용기(100)를 감싸며, 내측용기(210)와 외측용기(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측용기(210)는 직접적으로 제1용기(100)와 접촉되는 부분이며, 내측용기(210)와 이격되어 외측용기(220)가 구비된다. 내측용기(210)와 외측용기(2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진공으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제1용기(10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용기(100)와 제2용기(200) 상측의 개구부에는 밀폐뚜껑이 결합된다. 개구부의 크기는 제1용기(100)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세척솔이 통과할 수 있는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뚜껑은 제1플레이트(300)와 제2플레이트(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플레이트(300)는 제1용기(100)와 마찬가지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플레이트(300)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밀폐용기 내부에 보관되는 생수 등은 유리와만 접촉되도로 이루어져 친환경적으로 보존된다.
제1플레이트(300) 상측에는 제2플레이트(400)가 위치하며, 제2플레이트(400)는 하측플레이트(410)와 상측플레이트(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플레이트(300) 바로 위에 하측플레이트(410)가 적층되며, 하측플레이트(410)와 이격되어 상측플레이트(420)가 위치한다.
하측플레이트(410)와 상측플레이트(420) 사이의 공간은 진공으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제1플레이트(300)로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제1용기(100) 및 제2용기(200)와 밀폐뚜껑 사이에는 패킹(500)이 개재된다. 패킹(500)이 제1용기(100)와 제2용기(200) 상측면에 구비됨에 따라 제1용기(100) 및 제2용기(200)와 밀폐뚜껑이 결합시 빈틈없이 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패킹(500)의 정확한 안착을 위하여 패킹(500)의 상면과 하면에 돌기를 형성시키며, 패킹(500)과 결합되는 제1용기(100) 및 제2용기(200)와 밀폐뚜껑 부위에 돌기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300)와 제2플레이트(400)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걸림후크(600)가 걸리도록, 상기 외측용기(220) 상측 테두리에는 걸림턱(700)이 구비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걸림후크(600)와 걸림턱(700)이 구비된다.
제1걸림후크(600)는 제1플레이트(300)와 제2플레이트(400) 외주면을 둘러싸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 하단에서 연장되는 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걸림후크(600)가 걸릴 수 있도록, 외측용기(220) 상측 테두리에서 연장되어 걸림턱(700)이 구비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층(230)에는 다수개의 충격흡수편(240)이 구비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충격흡수편(240)이 구비된다.
진공층(230)이 형성되는 공간에 다수개의 탄성력을 가지는 충격흡수편(240)이 구비되므로, 외측용기(220)로부터 내측용기(210)로 전달되는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용기에 있어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관(800)과 상기 제1관(800)을 둘러싸며 이중으로 구비되는 내측관(910)과 외측관(9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관(9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단에 위치하는 연결플랜지(1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어댑터가 구비되며, 상기 밀폐뚜껑을 분리한 뒤 상기 어댑터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댑터가 구비된다.
어댑터는 몸체와 연결플랜지(1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는 제1관(800)과 제2관(9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일 내측에 위치하는 제1관(800)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며, 밀폐용기에 보관된 생수통이 제1관(800)과 접촉되며, 정수기(1100) 등으로 공급되게 된다.
제2관(900)은 제1관(800)을 둘러싸며, 내측관(910)과 외측관(9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측관(910)과 외측관(920) 사이에는 진공층이 형성되며, 진공층에 의해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저감되게 된다.
몸체 상단에는 연결플랜지(1000)가 구비된다. 연결플랜지(1000)는 정수기(1100) 등과 접촉되는 부분이며, 축방향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밀폐용기에 저장된 생수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관통홀 부위에 유리관을 형성시켜 생수가 유리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랜지(1000)는 정수기(1100) 상단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와 상기 제1용기(100)와 제2용기(200) 사이에는 패킹(500)이 구비되며, 상기 제2관(900) 외주면 하측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걸림후크(610)가 상기 걸림턱(700)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플랜지(1000)는 정수기(1100) 상단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제2관(900) 외주면 하단에서 연장되어 제2걸림후크(610)가 구비되며, 제2걸림후크(610)가 외측용기(220) 상측 테두리에서 연장되는 걸림턱(700)에 걸리게 된다. 제2걸림후크(600)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제1용기(100) 및 제2용기(200)와 어댑터 사이에는 패킹(500)이 구비되므로, 생수가 완전 밀봉 상태로 보존되도록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경우, 생수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밀폐뚜껑을 이용하며, 보관된 생수를 정수기(1100)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밀폐뚜껑대신에 어댑터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활용성이 증대된다.
100 : 제1용기
200 : 제2용기, 210 : 내측용기, 220 : 외측용기, 230 : 진공층, 240 : 충격흡수편
300 : 제1플레이트
400 : 제2플레이트, 410 : 하측플레이트, 420 : 상측플레이트
500 : 패킹
600 : 제1걸림후크, 610 : 제2걸림후크
700 : 걸림턱
800 : 제1관
900 : 제2관, 910 : 내측관, 920 : 외측관
1000 : 연결플랜지
1100 : 정수기

Claims (5)

  1.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를 둘러싸며, 이중으로 구비되는 내측용기와 외측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용기;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 상단에 위치하며,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상측에 위치하며 이중으로 구비되는 하측플레이트와 상측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밀폐뚜껑; 및
    상기 제1용기 및 제2용기와 상기 밀폐뚜껑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용기와 외측용기 사이와 상기 하측플레이트와 상측플레이트 사이에는 진공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밀폐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걸림후크가 걸리도록, 상기 외측용기 상측 테두리에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밀폐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층에는 다수개의 충격흡수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밀폐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관과 상기 제1관을 둘러싸며 이중으로 구비되는 내측관과 외측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2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단에 위치하는 연결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어댑터가 구비되며,
    상기 밀폐뚜껑을 분리한 뒤 상기 어댑터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밀폐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랜지는 정수기 상단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와 상기 제1용기와 제2용기 사이에는 패킹이 구비되며,
    상기 제2관 외주면 하측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걸림후크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밀폐용기.
KR2020110004927U 2011-06-03 2011-06-03 친환경 밀폐용기 KR200465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927U KR200465909Y1 (ko) 2011-06-03 2011-06-03 친환경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927U KR200465909Y1 (ko) 2011-06-03 2011-06-03 친환경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552U KR20120008552U (ko) 2012-12-12
KR200465909Y1 true KR200465909Y1 (ko) 2013-03-18

Family

ID=5136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927U KR200465909Y1 (ko) 2011-06-03 2011-06-03 친환경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90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19682T3 (es) * 2013-02-25 2017-06-26 Iwata Label Co., Ltd. Recipiente de botella con función de prevención de rotura de botell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085Y1 (ko) 2001-06-14 2001-11-16 박원기 이중구조의 먹는샘물 포장용기
KR100400618B1 (ko) 2000-10-23 2003-10-08 진미숙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분리된 용기 및 그를 사용하는데 이용되는 냉온수기
KR200437061Y1 (ko) 2007-01-09 2007-10-30 강순조 녹조균방지용 생수통 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618B1 (ko) 2000-10-23 2003-10-08 진미숙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분리된 용기 및 그를 사용하는데 이용되는 냉온수기
KR200253085Y1 (ko) 2001-06-14 2001-11-16 박원기 이중구조의 먹는샘물 포장용기
KR200437061Y1 (ko) 2007-01-09 2007-10-30 강순조 녹조균방지용 생수통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552U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4744B2 (ja) 液体用輸送兼貯蔵容器
US11214398B2 (en) Bottle liner
CN102874520A (zh) 垃圾桶
KR200465909Y1 (ko) 친환경 밀폐용기
CN104724380A (zh) 一种具有两层密封盖的容器口封装结构
CN204184763U (zh) 一种饮水瓶
KR101125822B1 (ko) 다용도 음료용 합성수지용기
JP2010189037A (ja) 飲料容器の栓体
JP2000079991A (ja) 飲料容器用フィッティング
AU2011226042A1 (en) Sterilising apparatus
CN205060353U (zh) 高耐环境应力开裂容器盖
KR200401843Y1 (ko) 탄력성 실리콘 밀폐 덮개
KR200354351Y1 (ko) 생수통 봉인마개
CN107224097A (zh) 一种可拆卸式保温水杯
CN201023878Y (zh) 内附吸管的卫生易拉罐
KR200337475Y1 (ko) 생수통 봉인마개
JP7401139B2 (ja) 飲料容器注入口結合型浄水フィルター
CN201023877Y (zh) 卫生易拉罐
CN205418542U (zh) 一种带有吸管的瓶体
KR200415661Y1 (ko) 생수통
JP3159128U (ja) 中袋を挿入する再利用を目的とした飲料水容器
JP2002088850A (ja) 流し台の排水装置
KR200354674Y1 (ko) 생수통 봉인마개
CN201381024Y (zh) 一种饮料容器的带开关的盖子
KR200413197Y1 (ko) 자석받침 캡을 부착한 액상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