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233B1 - 수지 조성물용 필러, 필러 함유 슬러리 조성물, 및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용 필러, 필러 함유 슬러리 조성물, 및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233B1
KR102089233B1 KR1020197019233A KR20197019233A KR102089233B1 KR 102089233 B1 KR102089233 B1 KR 102089233B1 KR 1020197019233 A KR1020197019233 A KR 1020197019233A KR 20197019233 A KR20197019233 A KR 20197019233A KR 102089233 B1 KR102089233 B1 KR 102089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resin composition
type
thermal expansio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332A (ko
Inventor
신타 하기모토
노부타카 도미타
오사무 나카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도마텍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도마텍쿠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도마텍쿠스
Publication of KR20190084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5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 C08J3/2053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the additives only being premixed with a liquid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08K5/544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29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carbon
    • H01L23/293Organic, e.g. plastic
    • H01L23/295Organic, e.g. plastic containing a fill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05K1/0353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 H05K1/0373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containing additives, e.g.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epoxy resins;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06Materials
    • H05K2201/0209Inorganic, non-metallic p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06Materials
    • H05K2201/0218Composite particles, i.e. first metal coated with second met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6Thermal details
    • H05K2201/068Thermal details wherei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is import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함유시킴으로써 열팽창률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한다. 실리카 재료 중 FAU 형, FER 형, LTA 형, MFI 형, 및/또는 MWW 형으로 이루어지는 결정 구조를 갖는 결정성 실리카질 재료는, 부의 열팽창 계수를 갖고 있지만, 수지 재료 중에 분산시키면 그 수지 재료의 황변을 촉진시키는 것이 밝혀졌다. 그래서, 결정성 실리카질에 대하여 유기 규소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표면 처리제로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지 재료 황변의 한 요인인 알루미늄 원소 유래의 활성점을 실활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황변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황변을 억제할 수 있는 정도까지 표면 처리제 유래의 층이 표면에 형성되어도 열팽창 계수를 부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였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용 필러, 필러 함유 슬러리 조성물, 및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에 함유시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용 필러, 그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함유하는 필러 함유 슬러리, 및 그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함유하는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열팽창 계수를 조정하는 등의 목적으로, 프린트 배선판이나 봉지재 등의 실장 재료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에는 필러로서 무기 입자가 배합되어 있다. 열팽창 계수가 낮고 절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필러로는 주로 비정질 실리카 입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전자 기기의 고기능화의 요구에 수반하여, 반도체 패키지의 추가적인 박형화, 고밀도화가 진행되고 있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팽창이나 휨이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커지고 있다. 따라서, 프린트 배선판이나 봉지재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열팽창 계수를 낮게 하여 열팽창이나 휨을 저감하는 검토가 실시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등).
일본 특허공보 제519225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214440호 일본 특허공보 제4766852호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수지 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열팽창률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정질 실리카보다 열팽창 계수가 낮은, 열을 가하면 수축하는 부 (負) 의 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를 필러 재료에 응용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부의 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로는, β-유크립타이트 (LiAlSiO4) 나 텅스텐산지르코늄 (ZrW2O8) 으로 이루어지는 입자를 들 수 있다 (특허문헌 2, 3). 그러나, β-유크립타이트는 주요 구성 원소로서 Li 를 함유하고 있고, Li 이온이 확산되어 절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전기적 특성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텅스텐산지르코늄은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합성에 걸리는 시간이나 비용이 커, 실험실 레벨에서 제조한 보고는 많지만,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실리카질 재료 중 FAU 형, FER 형, LTA 형, MFI 형, 및/또는 MWW 형으로 이루어지는 결정 구조를 갖는 결정성 실리카질 재료는, 부의 열팽창 계수를 갖고 있지만, 수지 재료 중에 분산시키면 그 수지 재료의 황변을 촉진시키는 것이 밝혀졌다.
황변 촉진에 대해 검토한 결과, 이들 결정성 실리카질 재료에 포함되는 알루미늄 원소에서 유래하는 하이드록실기가 활성점이 되어 수지에 작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결정성 실리카질 재료에 대하여 유기 규소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표면 처리제로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지 재료 황변의 한 요인인 알루미늄 원소 유래의 활성점을 실활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황변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황변을 억제할 수 있는 정도까지 표면 처리제 유래의 층이 표면에 형성되어도 열팽창 계수를 부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한 것이며,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는, FAU 형, FER 형, LTA 형, MFI 형, 및/또는 MWW 형으로 이루어지는 결정 구조를 갖는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와,
상기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의 표면과 반응 내지 부착한 유기 규소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표면 처리제를 갖는 필러 재료이고,
상기 표면 처리제의 양은, 상기 필러 재료가 부의 열팽창 계수를 나타내는 범위인 수지 조성물에 함유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기 규소 화합물로는, 실라잔 및/또는 실란 커플링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을 표면 처리제로서 채용하면 효과적으로 황변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알루미늄 원소의 함유량이 1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황변의 원인이 되는 알루미늄 원소의 본래의 함유량을 줄임으로써 황변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FAU 형인 결정성 실리카질 재료는 높은 부의 열팽창 계수를 갖고 있어, 열팽창을 억제하는 목적으로는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 조성물용 필러는, 전자 부품의 실장 재료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에 함유시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의 열팽창 계수가 크면, 면 방향의 열팽창에 의해 땜납 접속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두께 방향의 열팽창에 의해 프린트 배선판의 층간에 도통 불량이 발생하거나 한다. 또, 각 부재의 열팽창 계수의 차가 큼으로써, 반도체 패키지의 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열팽창 계수를 낮춤으로써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사용하면, 정 (正) 의 열팽창 계수를 갖는 종래의 필러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적은 필러 배합 비율로 원하는 열팽창 계수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지 함유 비율이 높고, 접착성이나 경화 후 또는 반경화 후의 기계 가공성이 양호한 수지 조성물을 얻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는, 그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분산하는 용매와 조합되어 필러 함유 슬러리 조성물로서 사용하거나, 그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분산하는 수지 재료와 조합되어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로서 사용하거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는, 상기 구성을 갖는 점에서 부의 열팽창 계수를 갖고 또한 수지에 대한 악영향이 적다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의 결정 골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실시예에 있어서 시험예 2 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에 대해 측정한 열팽창을 측정한 도면이다.
도 3 은, 실시예에 있어서 시험예 6 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에 대해 측정한 열팽창을 측정한 도면이다.
도 4 는, 실시예에 있어서 시험예 7 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에 대해 측정한 열팽창을 측정한 도면이다.
도 5 는, 실시예에 있어서 시험예 8 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에 대해 측정한 열팽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실시예에 있어서 시험예 13 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에 대해 측정한 열팽창을 측정한 도면이다.
도 7 은, 실시예에 있어서 시험예 2, 8, 13 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의 열팽창을 측정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는, 열팽창 계수를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수지 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열팽창 계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에 대해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을 실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는, 수지 재료 중에 분산하여 수지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조합되는 수지 재료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에폭시 수지·페놀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경화 전의 것도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아크릴 수지·폴리올레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 이외의 필러 (분립체, 섬유상 등의 형태를 문제삼지 않는다) 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비정질 실리카,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베마이트,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탄소 재료 등의 무기물이나, 필러를 분산시키는 매트릭스로서의 수지 재료 이외의 수지 재료 (섬유상의 것이나 입자상의 것) 로 이루어지는 유기 재료 (매트릭스로서의 수지 재료와 엄밀하게 구별할 필요는 없고, 구별하는 것도 곤란하다) 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수지 재료나 다른 필러가, 정의 열팽창 계수를 갖고 있었다고 해도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가 부의 열팽창 계수를 갖고 있음으로써 제조된 수지 조성물에 대한 열팽창 계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함유시키는 비율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많게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의 열팽창 계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5 % ∼ 85 % 정도의 함유량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수지 재료 중에 분산시키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건조 상태로 혼합하거나, 어떠한 용매를 분산매로 하여 그 중에 분산시켜 슬러리로 한 후에 수지 재료에 혼합하거나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는,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와, 그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를 표면 처리하는 표면 처리제를 갖는다.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는, FAU 형, FER 형, LTA 형, MFI 형, 및/또는 MWW 형으로 이루어지는 결정 구조를 갖는다. 이들 결정 구조를 갖는 결정성 실리카질 재료는 부의 열팽창 계수를 갖는다. 특히 FAU 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는, 모두 이러한 결정 구조를 갖는 것은 필수는 아니며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이 이러한 결정 구조를 갖는 것이면 된다. 여기서 알파벳 3 개로 나타내는 형의 결정 골격 구조를 도 1 에 나타낸다.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의 입도 분포나 입자 형상은, 수지 조성물 중에 함유시켰을 때에 필요한 성질을 발현할 수 있는 정도로 한다. 예를 들어,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이 반도체 봉지재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반도체 봉지재를 침입시키는 간극보다 큰 입경을 갖는 것은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0.5 ㎛ ∼ 50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 이상의 조대 입자가 실질적으로 함유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지 조성물이 예를 들어 프린트 배선판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절연층의 두께보다 큰 입경을 갖는 것은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0.2 ㎛ ∼ 5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의 조대 입자가 실질적으로 함유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입자 형상은, 애스펙트비가 낮은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상 (球狀)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는, 대응하는 결정 구조를 갖는 결정성 실리카질 재료를 원료로 하여 분쇄·분급·조립·혼합 등의 조작을 단독 내지 조합하여 실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각 조작에 있어서 적정한 조건을 채용하고, 적정한 횟수를 실시함으로써 필요한 입도 분포나 입자 형상인 것을 얻을 수 있다. 원료로 하는 결정성 실리카질 재료 자체에 대해서는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어 수열 합성법) 으로 합성 가능하다.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는, 알루미늄 원소의 함유량이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1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 % 이하, 4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 중에 포함되는 알루미늄은 0 % 에 가까운 편이 바람직한 것으로 추측되지만, 현상황에서는 불가피적으로 함유되는 경우가 많다.
표면 처리제는, 유기 규소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유기 규소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표면 처리제가 표면에 반응 내지 부착함으로써 황변을 촉진하는 활성점이 수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실란 화합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실란 화합물 중에서도 실란 커플링제, 실라잔류로 함으로써,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의 표면과 강고히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란 화합물로는,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의 황변의 활성점을 차폐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혼합하는 수지 재료와의 사이의 친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지 재료에 대한 친화성이 높은 관능기를 갖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실란 화합물로는, 페닐기, 비닐기, 에폭시기, 메타크릴기, 아미노기, 우레이드기, 메르캅토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아크릴기, 알킬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실란 화합물 중에서도 실라잔류로는, 1,1,1,3,3,3-헥사메틸디실라잔을 예시할 수 있다.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에 대하여 표면 처리제로 처리를 실시하는 조건으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를 이상 구체라고 가정하여 평균 입자경으로부터 산출한 표면적을 기준으로, 표면 처리제로 피복되는 면적 (표면 처리제의 분자의 크기와 처리량으로부터 산출한 값. 표면 처리제는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의 표면에 한층으로 부착 내지 반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50 % 이상 (나아가서는 60 % 이상, 80 % 이상) 으로 할 수 있다. 다른 기준으로서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의 표면에 존재하는 알루미늄 원소의 양에 따른 양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에 존재하는 알루미늄 원소에 대하여 과잉량으로 하거나, 황변의 억제가 확인되는 정도의 양으로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처리제의 양의 상한으로는 많은 편이 수지에 대한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지만, 지나치게 많으면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로서 부의 열팽창 계수를 나타내지 않게 될 우려가 있는 점에서, 표면 처리제의 양의 상한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가 부의 열팽창 계수를 나타내는 범위로 한다.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에 대하여 실시하는 표면 처리는 어떻게 실시해도 된다. 표면 처리제를 그대로 접촉시키거나, 표면 처리제를 어떠한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접촉시키거나 하여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의 표면에 표면 처리제를 부착시킬 수 있다. 부착한 표면 처리제는, 가열하거나 하여 반응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
·수지의 산화의 평가
표 1 의 물성의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 A ∼ D 에 대하여, 표 2 의 조성이 되도록 실라잔 및 실란 커플링제를 첨가하였다. 그 후, 분체 혼합용 믹서를 사용하여 혼합한 후, 건조시켜 표면 처리를 완료하고 본 시험예 1 ∼ 13 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얻었다. 제작한 각 시험예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필러 충전율 25 질량% 가 되도록 수지 재료로서의 액상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 : 비스페놀 F = 50 : 50) 에 혼합하고, 혼합물을 25 ℃ 에서 24 시간 유지하였다. 유지 후의 수지의 산화 정도를 혼합물의 색상의 변화로 평가하였다. 적변한 것을 「불가」, 황 ∼ 적변했지만 정도가 가벼운 것을 「가능」, 변화가 보이지 않는 것을 「양호」로 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067930515-pct00001
Figure 112019067930515-pct00002
표 2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결정성의 실리카질 입자 재료 (실리카질 입자 재료 A ∼ D) 인 시험예 9 ∼ 12 를 필러로서 사용한 경우에 수지의 산화가 확인되고 있는 것에 대하여 (평가 : 불가), 비정질의 실리카질 입자 재료 (실리카질 입자 재료 E) 인 시험예 13 을 필러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수지의 산화가 확인되지 않는 점에서 (평가 : 양호) 결정성의 실리카질 입자 재료를 채용하면 수지의 산화가 진행되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그 자체로는 수지의 산화를 진행시키는 실리카질 입자 재료 A ∼ D 에 대해서도 실란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표면 처리제로 표면 처리를 실시하여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에 적합한 필러로 함으로써 수지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실리카질 입자 재료 C (시험예 7) 와 비교하여 실리카질 입자 재료 A, B, D (시험예 2, 6, 8) 에 대해서는 표면 처리제로 표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더욱 수지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는 점에서 알루미늄의 함유량이 적은 편이 수지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열팽창 계수의 평가
시험예 2, 6, 7, 8, 및 13 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에 대해, 열팽창 계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SPS 소결기를 사용하여 800 ℃ 1 시간으로 소결시켜, 열팽창 측정용의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각 시험편의 열팽창률을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는 TMA-Q400EM (TA Instruments 제조), 측정 온도는 -50 ℃ ∼ 250 ℃ 의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2 ∼ 6 에 나타낸다. 또, 도 2 ∼ 6 으로부터 산출한 열팽창 계수의 평균값을 표 2 에 나타낸다.
도 2 ∼ 6 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시험예 13 (비정질 실리카) 에서는 열팽창 계수가 정의 값인 것에 대하여, 시험예 2, 6, 7, 8 은, 모두 부의 열팽창 계수를 나타내었다. 또, MFI 형 결정 구조 (시험예 8) 보다 FAU 형 결정 구조 (시험예 2, 6, 7) 가 보다 큰 부의 열팽창 계수를 나타내었다. MFI 형에서는 100 ℃ 이상의 고온에서 부의 열팽창 계수가 커졌다. 또, Al 함유량이 적을수록 보다 큰 부의 열팽창 계수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수지 조성물의 열팽창 계수의 평가
다음으로, 시험예 2, 8, 및 13 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에 대해, 실제로 수지 조성물을 조제했을 때의 열팽창 계수를 평가하였다. 각각의 시험예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필러 충전율 37.5 질량% 가 되도록, 수지 재료로서의 액상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 : 비스페놀 F = 50 : 50) 와 아민계 경화제를 사용하여 수지 경화물을 제작하고, 열팽창률 측정용 시험편으로 하였다. 이들 각 시험편의 열팽창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7 에 나타낸다.
도 7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수지 재료 단독의 수지 경화물의 열팽창에 대하여, 각각의 시험예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배합함으로써 열팽창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시험예 13 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시험예 2, 8 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은 모두 대폭적으로 수지 경화물의 열팽창 계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용 필러는 부의 열팽창 계수를 갖는다. 그 때문에 정의 열팽창 계수를 나타내는 수지 재료와 혼합함으로써, 수지 재료의 정의 열팽창 계수를 상쇄 내지는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열팽창 계수가 작고, 열적 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FAU 형, FER 형, LTA 형, MFI 형, 및 MWW 형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결정 구조를 갖는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와,
    상기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의 표면과 반응 내지 부착한 유기 규소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표면 처리제를 갖는 수지 조성물용 필러이고,
    상기 표면 처리제의 양은 상기 수지 조성물용 필러가 부의 열팽창 계수를 나타내는 범위인, 실장 재료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에 함유시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용 필러.
  2. FAU 형, FER 형, LTA 형, MFI 형, 및 MWW 형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결정 구조를 갖는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와,
    상기 결정성 실리카질 입자 재료의 표면과 반응 내지 부착한 유기 규소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표면 처리제를 갖는 수지 조성물용 필러이고,
    상기 표면 처리제의 양은 상기 수지 조성물용 필러가 부의 열팽창 계수를 나타내는 범위이고,
    은, 구리, 아연, 수은, 주석, 납, 비스무트, 카드뮴, 크롬, 코발트, 및 니켈이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수지 조성물에 함유시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용 필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규소 화합물은, 실라잔 및 실란 커플링제 중 하나 이상에서 선택되는 어느 1 종 이상인, 수지 조성물용 필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알루미늄 원소의 함유량이 12 % 이하인, 수지 조성물용 필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구조가 FAU 형인, 수지 조성물용 필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용 필러와, 상기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분산하는 수지 재료를 갖는 실장 재료용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용 필러와, 상기 수지 조성물용 필러를 분산하는 용매를 갖는 필러 함유 슬러리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규소 화합물은, 실라잔 및 실란 커플링제 중 하나 이상에서 선택되는 어느 1 종 이상인, 필러 함유 슬러리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전체의 질량을 기준으로 알루미늄 원소의 함유량이 12 % 이하인, 필러 함유 슬러리 조성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구조가 FAU 형인, 필러 함유 슬러리 조성물.
KR1020197019233A 2017-04-10 2017-07-28 수지 조성물용 필러, 필러 함유 슬러리 조성물, 및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 KR102089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7865 2017-04-10
JP2017077865 2017-04-10
PCT/JP2017/027489 WO2018189919A1 (ja) 2017-04-10 2017-07-28 樹脂組成物用フィラー、フィラー含有スラリー組成物、及びフィラー含有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332A KR20190084332A (ko) 2019-07-16
KR102089233B1 true KR102089233B1 (ko) 2020-03-13

Family

ID=6379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233A KR102089233B1 (ko) 2017-04-10 2017-07-28 수지 조성물용 필러, 필러 함유 슬러리 조성물, 및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040162A1 (ko)
JP (1) JP6441525B2 (ko)
KR (1) KR102089233B1 (ko)
CN (1) CN110520468B (ko)
TW (1) TWI666246B (ko)
WO (1) WO20181899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3625B2 (en) 2017-04-10 2023-03-28 Admatechs Co., Ltd. Filler for resinous composition, filler-containing slurry composition and filler-containing resinous composition
WO2019193766A1 (ja) 2018-04-06 2019-10-10 株式会社アドマテックス 樹脂組成物用フィラー、フィラー含有スラリー組成物、及びフィラー含有樹脂組成物、並びに樹脂組成物用フィラーの製造方法
JP6564517B1 (ja) * 2018-12-17 2019-08-21 株式会社アドマテックス 電子材料用フィ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電子材料用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高周波用基板、並びに電子材料用スラリー
JP7351477B2 (ja) * 2019-07-23 2023-09-27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樹脂成形体
CN115427520B (zh) * 2021-01-13 2023-04-21 穗晔实业股份有限公司 浆料组成物及其制备方法
WO2023210791A1 (ja) * 2022-04-28 2023-11-02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シリカライト、組成物、液状封止剤、樹脂複合材、封止材、封止材の製造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747A (ja) * 1985-07-04 1987-01-14 Kanebo Ltd シリコーン系コーティング被膜を有する疎水性の抗菌性ゼオライト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7748A (ja) * 1985-07-04 1987-01-14 Kanebo Ltd 防湿能を有する抗菌性ゼオライト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335689B2 (ja) * 1992-12-18 2002-10-21 日本化学工業株式会社 ゼオライト系抗菌剤とその製造法および抗菌性ポリマー組成物
JP4511656B2 (ja) * 1999-10-19 2010-07-28 コニンクリーケ デーエスエム ナ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2020111A (ja) * 2000-06-29 2002-01-23 Kyocera Corp 多孔質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560094B2 (en) * 2003-02-03 2009-07-14 Showa Denko K.K. Modified layered metallosilicate material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JP4766852B2 (ja) 2004-07-30 2011-09-07 学校法人東京理科大学 タングステン酸ジルコニウムの製造方法
CN101170964A (zh) * 2005-03-11 2008-04-30 环球油品公司 高通量微孔筛膜、含有这类膜的分离器和使用这类膜的方法
JP4929910B2 (ja) * 2006-07-31 2012-05-09 日立電線株式会社 ノンハロゲン難燃樹脂組成物
EP2113524A4 (en) 2007-02-23 2011-03-30 Panasonic Elec Works Co Ltd EPOXY RESIN COMPOSITION, PREPREG, LAMINATES AND PCB
US8697777B2 (en) * 2010-08-04 2014-04-15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Development Agency Masterbatch for preparing plastic films with high ethylene permselectivity and the plastic films produced therefrom
CN102212250A (zh) * 2011-04-15 2011-10-12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填料组合物及使用其制作的覆铜箔层压板
EP2859939B1 (en) * 2012-06-08 2020-04-15 LG Chem, Ltd. Reverse osmosis membrane with high permeation flux comprising surface-treated zeolit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6209030B2 (ja) * 2013-04-19 2017-10-04 株式会社アドマテックス シリカ被覆無機酸化物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樹脂組成物
JP6388112B2 (ja) 2014-05-09 2018-09-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フィラー粉末の製造方法
JP2016172689A (ja) * 2016-06-24 2016-09-29 株式会社アドマテックス シリカ粒子及び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11369950B2 (en) * 2018-02-21 2022-06-28 Saudi Arabian Oil Company Multi-functional composite catalyst materials and methods of synthesizing the catalyst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20468B (zh) 2021-11-02
TW201842025A (zh) 2018-12-01
CN110520468A (zh) 2019-11-29
TWI666246B (zh) 2019-07-21
KR20190084332A (ko) 2019-07-16
US20200040162A1 (en) 2020-02-06
JP6441525B2 (ja) 2018-12-19
JP2018178112A (ja) 2018-11-15
WO2018189919A1 (ja)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233B1 (ko) 수지 조성물용 필러, 필러 함유 슬러리 조성물, 및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
KR101070505B1 (ko) 세라믹 분말 및 그 용도
JP2008255004A (ja) ユークリプタイトセラミックフィラー及びこれを含む絶縁複合材
US11091647B2 (en) Filler for resinous composition, filler-containing slurry composition and filler-containing resinous composition as well as production process for filler for resinous composition
JP5410095B2 (ja) 非晶質シリカ質粉末、そ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封止材
JP5101860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と半導体装置
JP2004352783A (ja) 封止用樹脂組成物
US11613625B2 (en) Filler for resinous composition, filler-containing slurry composition and filler-containing resinous composition
JP6557443B1 (ja) 樹脂組成物用フィラー、フィラー含有スラリー組成物、及びフィラー含有樹脂組成物、並びに樹脂組成物用フィラーの製造方法
CN109111689B (zh) 封装用塑料组合物及其应用
JPWO2009096343A1 (ja) シリカ質粉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CN107810551B (zh) 粒状环氧树脂组成物、半导体装置及其封装方法
JP2007031556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半導体装置
CN109111687B (zh) 封装用塑料组合物及其应用
KR101238072B1 (ko) 나노 다공성 입자를 포함한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CN109111686B (zh) 封装用塑料组合物及其应用
CN109111688B (zh) 封装用塑料组合物及其应用
KR102467317B1 (ko) 열팽창성 조정제, 열팽창성 조정제로서의 사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당해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절연재, 봉지제 및 도전 페이스트, 당해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물, 당해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갖는 기판 재료, 당해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기재에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당해 프리프레그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킨 부재, 열팽창율의 조정 방법, 그리고 당해 조정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부재
KR0177305B1 (ko) 반도체 소자 밀봉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JP2007262235A (ja) 半導体封止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半導体装置
KR20170061391A (ko) Emi 차폐용 emc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차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