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424B1 -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424B1
KR102087424B1 KR1020180031994A KR20180031994A KR102087424B1 KR 102087424 B1 KR102087424 B1 KR 102087424B1 KR 1020180031994 A KR1020180031994 A KR 1020180031994A KR 20180031994 A KR20180031994 A KR 20180031994A KR 102087424 B1 KR102087424 B1 KR 102087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resin
less
weight
thermoplastic polyurethane
isocya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991A (ko
Inventor
이상율
홍주희
박세정
김상환
김장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80106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solvents or swell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cu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2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continuous webs only
    • B32B37/203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08G18/24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organometallic compounds containing tin-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50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the low-molecular compounds being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511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the low-molecular compounds being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33Compounds of group C08G18/42
    • C08G18/6637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4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21Two or more polyisocyanate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08G18/73 - C08G18/80
    • C08G18/722Combination of two or more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08J5/121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82Testing the joint
    • B29C65/8207Testing the joint by mechanical methods
    • B29C65/8215Tensile t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5Joining of substantially the whole surface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7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375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uncured, partially cured or fully cured
    • B29C66/7375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uncured, partially cured or fully cured the to-be-joined area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partially cured, i.e. partially cross-linked, partially vulcanized
    • B29C66/73754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uncured, partially cured or fully cured the to-be-joined area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partially cured, i.e. partially cross-linked, partially vulcanized the to-be-joined areas of both parts to be joined being partially c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ime
    • B29C66/94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ime characterised by specific time values or r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72Cured, e.g. vulcanised, cross-lin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32B2309/025Temperature vs time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5/00Polyureas;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내구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MANUFACTURING METHOD FOR THERMOPLASTIC POLYURETHANE FILM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 FILM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명세서는 2017년 3월 20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7-0034801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필름은 강도, 신장 특성, 인성(toughness) 및 내마모성(abrasion resistance)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분야 등에서 주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압출되어 성형된 폴리 우레탄 펠렛을 용제에 녹여 폴리 우레탄 용액을 제조하고, 폴리 우레탄 용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여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조하고 있다. 다만, 분자량이 높은 폴리 우레탄 펠렛은 용제에 잘 용해되지 않아, 제조되는 폴리 우레탄 용액의 고형분 함량은 약 15 % 이하로 낮다. 고형분 함량이 낮은 폴리 우레탄 용액은 기재 상에 일정 두께 이상으로 도포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두꺼운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폴리 우레탄 펠렛은 추가적인 중합 반응이 진행되기 어려워, 폴리 우레탄 용액으로부터 제조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물성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고분자량의 폴리 우레탄 펠렛을 용해시키기 위하여 독성이 강한 용제를 사용해야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자동차 분야에서는 내구성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고분자량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면서도 독성이 낮은 용제를 사용하여,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내구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내구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폴리 우레탄 수지,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적층체를 2개 준비하고, 상기 적층체 각각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적층체를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합지된 적층체를 숙성하여, 직접 접하여 구비되는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계면 접합력은 14 Mpa 이상 18 Mpa 이하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직접 접하여 구비되는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계면 접합력은 14 Mpa 이상 18 Mpa 이하이며,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층은 폴리 우레탄 수지,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은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내구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은 두께가 두꺼우며,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원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계면 접합력을 측정하는 실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단위 "wt%"는 부재의 총 중량에 대하여, 부재에 포함되는 성분의 중량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중합 단위"는 중합체 내에서 단량체가 반응된 형태를 의미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그 단량체가 중합 반응을 거쳐서 그 중합체의 골격, 예를 들면, 주쇄 또는 측쇄를 형성하고 있는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화합물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수평균분자량”은 그 화합물의 분자량과 분자량 분포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 ml의 유리병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와 화합물을 넣어 화합물의 농도가 1 wt%인 샘플 시료를 준비하고, 표준 시료(폴리스티렌, polystryere)와 샘플 시료를 필터(포어 크기가 0.45 mm)를 통해 여과시킨 후, GPC 인젝터(injector)에 주입하여, 샘플 시료의 용리(elution) 시간을 표준 시료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곡선과 비교하여 화합물의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측정 기기로 Infinity II 1260(Agilient 社)를 이용할 수 있고, 유속은 1.00 mL/min, 컬럼 온도는 40.0 ℃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폴리 우레탄 수지,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적층체를 2개 준비하고, 상기 적층체 각각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적층체를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합지된 적층체를 숙성하여, 직접 접하여 구비되는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계면 접합력은 14 Mpa 이상 18 Mpa 이하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은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내구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직접 접하여 구비함으로써,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고 내구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직접 접하고 있는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계면 접합력은 14 Mpa 이상 18 Mpa 이하로써,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이 서로 박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계면 접합력이 우수한 상기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은 내구성 및 수명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초과 7.5 중량부 미만, 또는 5.5 중량부 이상 7.2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계면 접합력 및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2 이상 6 이하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Evonik 社의 2관능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인 H12MDI, AsahiKASEI 社의 6관능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인 MHG-80B, AsahiKASEI 社의 6관능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인 MFA-100, 및 AsahiKASEI 社의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인 TKA-1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1,800 g/mol 이상 2,200 g/mol 이하인 폴리올; 탄소수 4 이상 10 이하의 디올을 포함하는 사슬 연장제; 및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기용제에서 공중합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는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와 하드 세그먼트(hard segment)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의 소프트 세그먼트는 상기 폴리올과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부터 유래된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의 하드 세그먼트는 상기 사슬 연장제와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부터 유래된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의 수평균분자량은 1,800 g/mol 이상 2,200 g/mol 이하, 1,950 g/mol 이상 2,050 g/mol 이하, 또는 1,900 g/mol 이상 2,1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수평균분자량이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신율이 감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은 2개의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디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은 폴리카보네이트디올, 폴리카프로락톤디올, 폴리에스터디올 및 폴리이서디올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45 중량% 이상 5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48 중량% 이상 54 중량% 이하, 또는 50 중량% 이상 53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 내의 상기 폴리올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폴리 우레탄 수지의 중합 반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사슬 연장제는 탄소수 4 이상 10 이하의 디올, 또는 탄소수 4 이상 6 이하의 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범위의 탄소수를 가지는 디올을 포함하는 사슬 연장제는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사슬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슬 연장제는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오펜틸글리콜, 1,10-데칸디올, 1,1-시클로헥산디메탄올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사슬 연장제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0.5 중량% 이상 14 중량% 이하, 또는 12 중량% 이상 12.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 내의 사슬 연장제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슬 연장제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사슬 연장제는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반응하여 폴리 우레탄 수지의 하드 세그먼트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제조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2 이상 6 이하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2 개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horone diisocyanate), 메틸렌다이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xylene diisocyanate), 나프탈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시클로헥산디이소아네이트(cyclohexane diisocyan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32.5 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34 중량% 이상 38 중량% 이하, 또는 35 중량% 이상 36.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폴리 우레탄 수지를 효과적으로 중합할 수 있으며, 제조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가공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은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촉매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중량부 이상 0.02 중량부 이하, 또는 0.008 중량부 이상 0.01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촉매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폴리 우레탄 수지의 중합 반응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고,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폴리 우레탄 수지를 중합시킬 수 있다. 상기 촉매로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촉매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디부틸주석디라우릴레이트(dibutyl tin dilaurate; DBTDL)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사슬 연장제로 사용되는 디올을 구성하는 탄소수는 상기 폴리올을 구성하는 탄소수보다 작아, 상기 혼합물 내에서 상기 디올은 상기 폴리올보다 유동성이 높다. 이에 의해, 상기 혼합물 내에서, 상기 사슬 연장제와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반응이 상기 폴리올과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반응 보다 먼저 일어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슬 연장제로 부탄디올을 사용하는 경우, 부탄디올의 2 개의 하이드록시기 중 1 개의 하이드록시기가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결합하고, 상기 부탄디올의 미반응 하이드록시기가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새로운 이소시아네이트기와 결합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길게 연장된 사슬 구조를 가지는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후, 길게 연장된 사슬 구조를 가지는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상기 폴리올이 반응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증가된 폴리 우레탄 수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40,000 g/mol 이상 70,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수평균분자량, 상기 사슬 연장제로 사용되는 디올의 탄소수, 상기 혼합물 내의 폴리올의 함량, 사슬 연장제의 함량,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 등을 조절하여,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인장강도 및 내구성 등의 물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 반응은 50 ℃ 이상 70 ℃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반응 온도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폴리 우레탄 수지를 안정적으로 중합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폴리 우레탄 수지를 중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의 중합 반응은 유기용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수용성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 우레탄 입자를 수십 나노미터 내지 수백 나노미터의 직경을 가지는 구슬(bead) 형태로 가공하여 수용성 용제 상에 분산시켜야 된다. 이 때, 우레탄 입자를 수용성 용제 상에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서 각종 계면활성제 및 모노머 등의 첨가제를 사용해야 되므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며,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는 상기 유기용제에 용해(dissolve)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우레탄 조성물에 추가적인 분산제 및 계면 활성제 등의 분산 안정계의 첨가제를 부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용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시클로헥산, 톨루엔, 크실렌,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메틸셀로솔브) 및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에틸셀로솔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중합 시에 사용되는 전술한 종류의 유기용제는 독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서, 상기 유기용제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유기용제에서 상기 혼합물을 반응시켜, 폴리 우레탄 수지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조성물에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첨가하여,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유기용제는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의 제조시에 사용되고 잔류하는 유기용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추가의 유기용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용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열처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이 급격하게 건조되어 유기용제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20 % 이상 70 % 이하, 구체적으로 30 % 이상 60 % 이하, 또는 40 % 이상 55 %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은 용액 전체에서 용제를 제외한 용질 또는 고형물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이란 상기 유기용제를 제외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촉매 등의 첨가제를 총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이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기재 상에 두껍게 도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두께가 두꺼운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기재 필름 상에 도포된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열처리하여, 폴리 우레탄 수지층(20, 20') 및 기재 필름(10, 10')을 포함하는 적층체(100, 100') 2 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100, 100')에 포함된 2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20, 20')이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시키고, 2 개의 적층체(100, 100')를 합지시켜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20, 20')을 접합할 수 있다. 이후, 적층체를 숙성시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200)을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추가적으로 2 개의 기재 필름(10, 10')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스프레이 코팅, 그라비어 코팅, 마이크로그라비어 코팅, 롤 코팅, 플렉소 코팅, 스크린 코팅, 스핀 코팅, 플로우 코팅, 나이프 코팅, 노즐 코팅, 로터리 스크린 코팅, 리버스 로스 코팅, 콤마 코팅, 립 코팅 및 다이 코팅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도포된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열처리하여, 기재 필름 상에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20 ㎛ 이상 500 ㎛ 이하의 두께로 도포하고 열처리함으로써, 기재 필름 상에 두께가 10 ㎛ 이상 250 ㎛ 이하인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도포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유기용제가 휘발됨에 따라, 형성되는 폴리 우레탄 수지층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이에, 유기용제가 휘발됨에 따라 감소되는 폴리 우레탄 수지층의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도포되는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100 ℃ 이상 150 ℃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온도 조건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효과적으로 휘발시켜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전술한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이 급격하게 건조되어 유기용제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제조되는 폴리 우레탄 수지층에 황변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80 ℃ 이상 140 ℃ 이하의 온도에서 상기 적층체를 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적층체를 2 개 준비한 다음, 각각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이 대향하도록 상기 2 개의 적층체를 적층하고, 전술한 온도 범위에서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가열하여, 상기 2 개의 적층체를 합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층이 가열되어 폴리 우레탄 수지층의 온도가 유리전이온도에 도달되면, 상기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이 접하고 있는 면이 녹아 점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이 접합되고, 접합된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박리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은 접착제 또는 접착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접합하여, 두께가 두꺼운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체의 합지는 80 ℃ 이상 140 ℃ 이하, 80 ℃ 이상 130 ℃ 이하, 또는 100 ℃ 이상 120 ℃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적층체의 합지 온도를 전술한 온도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계면 접합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온도 조건에서 상기 2 개의 적층체를 합지함으로써, 폴리 우레탄 수지층이 과도하게 녹아 기재 필름 밖으로 흘러내려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통해 2 개의 적층체를 합지하여, 상기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직접 접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80 ℃ 이상 140 ℃ 이하로 가열된 2 개의 압착롤 사이에 상기 2 개의 적층체를 통과시키면서, 적층체를 합지시켜 상기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합지된 적층체를 20 ℃ 이상 60 ℃ 이하의 온도에서 12 시간 이상 24 시간 이하의 시간 동안 숙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지된 적층체를 25 ℃ 이상 55 ℃ 이하, 20 ℃ 이상 35 ℃ 이하, 또는 40 ℃ 이상 50 ℃ 이하의 온도에서 숙성할 수 있다.
전술한 온도 및 시간 조건에서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숙성함으로써,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계면 접합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합된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가 숙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이 접하고 있는 면에 존재하는 폴리 우레탄 수지들이 추가 경화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2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접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체에 포함된 폴리 우레탄 수지층은 반경화 상태로, 접합된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숙성시켜 최종적으로 경화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합지된 적층체가 숙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층에 포함된 폴리 우레탄 수지와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반응하여,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경화된 폴리 우레탄 수지층에 잔존하는 미량의 폴리올, 사슬 연장제 및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간의 추가적인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합지된 적층체를 숙성한 다음 기재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기재를 제외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두께는 20 ㎛ 이상 50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두께는 40 ㎛ 이상 450 ㎛ 이하, 100 ㎛ 이상 300 ㎛ 이하, 또는 200 ㎛ 이상 450 ㎛ 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은 기존의 폴리 우레탄 필름 대비,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직접 접하여 구비되는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계면 접합력은 14 Mpa 이상 18 Mpa 이하이며,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층은 폴리 우레탄 수지,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은 전술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은 두께가 두꺼우며,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은 직접 접하여 구비되는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포함하고 있어, 기존의 폴리 우레탄 필름 대비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계면 접합력은 14 Mpa 이상 18 Mpa 이하, 15 Mpa 이상 17 Mpa 이하, 14 Mpa 이상 16 Mpa 이하, 또는 16.5 Mpa 이상 18 Mpa 이하일 수 있다. 계면 접합력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포함하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은 내구성 및 수명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초과 7.5 중량부 미만, 또는 5.5 중량부 이상 7.2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계면 접합력이 우수한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1,800 g/mol 이상 2,200 g/mol 이하인 폴리올; 탄소수 4 이상 10 이하의 디올을 포함하는 사슬 연장제; 및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40,000 g/mol 이상 70,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인장강도 및 내구성 등의 물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에서의 폴리올, 사슬 연장제,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유기용제 및 촉매 등은 전술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폴리올, 사슬 연장제,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유기용제 및 촉매 등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45 중량% 이상 55 중량%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48 중량% 이상 54 중량% 이하, 또는 50 중량% 이상 53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 내의 상기 폴리올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사슬 연장제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슬 연장제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10.5 중량% 이상 14 중량% 이하, 또는 12 중량% 이상 12.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 내의 사슬 연장제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사슬 연장제는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반응하여 폴리 우레탄 수지의 하드 세그먼트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제조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32.5 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4 중량% 이상 38 중량% 이하, 또는 35 중량% 이상 36.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폴리 우레탄 수지를 효과적으로 중합할 수 있고, 제조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가공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은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촉매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중량부 이상 0.02 중량부 이하, 또는 0.008 중량부 이상 0.01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촉매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폴리 우레탄 수지의 중합 반응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고,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폴리 우레탄 수지를 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용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코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20 % 이상 7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30 % 이상 60 % 이하, 또는 40 % 이상 5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이 전술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두껍게 도포할 수 있으며, 기재 필름 상에 두께가 두꺼운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두께는 20 ㎛ 이상 500 ㎛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두께는 40 ㎛ 이상 450 ㎛ 이하, 100 ㎛ 이상 300 ㎛ 이하, 또는 200 ㎛ 이상 450 ㎛ 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은 기존의 폴리 우레탄 필름 대비,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제조
폴리올로서 수평균분자량이 2,050 g/mol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polycarbonatediol; PCDL, Asahi kasei 社), 사슬 연장제로서 1,4-부탄디올(1,4-butanediol; 1,4BD, 바스프 社),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서 2개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H12MDI(Evonik 社),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서 디이소시안산 이소포론(isophorone diisocyanate; IPDI, Evonik 社), 촉매로서 디부틸주석디라우릴레이트(dibutyl tin dilaurate; DBTDL), 유기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을 준비하였다. 이후, 폴리올의 함량이 약 52.6 wt%, 사슬 연장제의 함량이 약 12.3 wt%,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이 약 35.1 wt%인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와 유기용제 약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 용액을 반응기에 장입시키고, 55 ℃까지 승온시키고 온도를 유지하면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촉매를 0.005 중량부 첨가하였다. 57℃에서 25 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51,000 g/mol인 폴리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폴리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7 중량부의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상기 조성물에 첨가하여,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약 45 %이었다.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제조된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기재 필름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상에 약 200 ㎛로 도포하였다. 이후,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100 ℃로 열처리하여, 기재 필름 상에 95 ㎛의 두께를 가지는 폴리 우레탄 수지층이 형성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체를 하나 더 제조하고, 2 개의 적층체 각각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적층체를 위치시켰다. 이후, 2 개의 적층체를 100 ℃로 가열된 한 쌍의 압착롤 사이에 통과시켜 적층체를 합지하여,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접합하였다. 이후, 합지된 적층체를 25 ℃의 온도에서 24 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적층체로부터 PET 필름을 제거하여, 약 190 ㎛의 두께를 가지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
적층체를 합지하는 온도 및 합지된 적층체의 숙성 온도를 하기 표 1과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
적층체를 합지하는 온도 및 합지된 적층체의 숙성 온도를 하기 표 1과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계면 접합력 측정 실험
가로 15 cm, 세로 2.5 cm의 크기를 가지는 적층체 2 개를 제조하고, 가로 7.5 cm, 세로 2.5 cm 부분만 2 개의 적층체를 합지하고, 나머지 부분은 합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샘플을 제조하였다. 또한,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에 따른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에 따른 샘플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계면 접합력은 UTM(Ultimate Tensile Machine, Model 3343, INSTRON 社)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계면 접합력을 측정하는 실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듯이, 실시예 1에 따른 샘플에서 접합되지 않은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20, 20') 각각의 단부를 UTM(30)에 고정시키고 단부를 잡아당기며,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이 서로 박리되는 시점에서의 샘플에 인가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에 따른 샘플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계면 접합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숙성 온도
(℃)
합지 온도
(℃)
계면 접합력
(Mpa)
실시예 1 25 100 14.1
실시예 2 25 120 15.8
실시예 3 50 80 15.6
실시예 4 50 100 15.9
실시예 5 50 120 16.5
비교예 1 -20 60 5.2
비교예 2 -20 80 9.2
비교예 3 -20 100 10.1
비교예 4 -20 120 12.5
비교예 5 25 60 11.1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80 ℃ 이상 140 ℃ 이하의 온도에서 적층체를 합지시키고, 합지된 적층체를 20 ℃ 이상 60 ℃ 이하의 온도에서 숙성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는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의 계면 접합력이 14 Mpa 이상 18 Mpa 이하인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60 ℃의 온도에서 적층체를 합지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5는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의 계면 접합력이 열등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 20 ℃의 온도에서 합지된 적층체를 숙성시킨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4는, 적층체의 합지 온도를 80 ℃ 이상 140 ℃ 이하로 조절한 경우에도,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의 계면 접합력이 열등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은, 계면 접합력이 우수한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포함하여, 수명 특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적층체
10, 10': 기재 필름
20, 20': 폴리 우레탄 수지층
200: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300: 계면 접합력 측정 실험 장치

Claims (16)

  1. 폴리 우레탄 수지,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적층체를 2개 준비하고, 상기 적층체 각각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적층체를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합지된 적층체를 숙성하여, 직접 접하여 구비되는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계면 접합력은 14 Mpa 이상 18 Mpa 이하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100 ℃ 이상 150 ℃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합지는 80 ℃ 이상 140 ℃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지된 적층체의 숙성은 20 ℃ 이상 60 ℃ 이하의 온도에서 12 시간 이상 24 시간 이하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은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초과 7.5 중량부 미만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2 이상 6 이하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1,800 g/mol 이상 2,200 g/mol 이하인 폴리올; 탄소수 4 이상 10 이하의 디올을 포함하는 사슬 연장제; 및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기용제에서 공중합 반응시켜 제조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반응은 50 ℃ 이상 70 ℃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45 중량% 이상 55 중량% 이하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슬 연장제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32.5 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20 % 이상 70 % 이하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두께는 20 ㎛ 이상 500 ㎛ 이하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14. 직접 접하여 구비되는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폴리 우레탄 수지층 간의 계면 접합력은 14 Mpa 이상 18 Mpa 이하이며,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층은 폴리 우레탄 수지, 제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폴리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폴리 우레탄 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1,800 g/mol 이상 2,200 g/mol 이하인 폴리올; 탄소수 4 이상 10 이하의 디올을 포함하는 사슬 연장제; 및 제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두께가 20 ㎛ 이상 500 ㎛ 이하인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KR1020180031994A 2017-03-20 2018-03-20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KR102087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01 2017-03-20
KR20170034801 2017-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991A KR20180106991A (ko) 2018-10-01
KR102087424B1 true KR102087424B1 (ko) 2020-03-10

Family

ID=6358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994A KR102087424B1 (ko) 2017-03-20 2018-03-20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77497B2 (ko)
EP (1) EP3581610B1 (ko)
JP (1) JP6980334B2 (ko)
KR (1) KR102087424B1 (ko)
CN (1) CN110431173B (ko)
TW (1) TWI695025B (ko)
WO (1) WO20181744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6419B (zh) * 2020-04-14 2022-01-25 成都航天烽火精密机电有限公司 一种核用机械手防护套的喷制方法
KR102642642B1 (ko) * 2023-01-25 2024-03-04 윤태웅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92B1 (ko) 2006-05-30 2013-09-12 렉티셀 오토모빌시스템 게엠베하 가요성 복합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스킨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9941A (ja) * 1983-08-31 1985-03-19 日本ポリウレタン工業株式会社 弾性積層材料の製造方法
JPH108383A (ja) * 1996-06-26 1998-01-13 Nippon Polyurethane Ind Co Ltd 優れた溶解性を有する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樹脂を用いた高耐久性を有する合成皮革の製造方法
JPH10130615A (ja) * 1996-10-25 1998-05-19 Toyo Mooton Kk ポリウレタン接着剤組成物
JP4364993B2 (ja) * 2000-03-09 2009-11-1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マーキングフィルム
US6607831B2 (en) * 2000-12-28 2003-08-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article
JP3794344B2 (ja) * 2002-04-19 2006-07-05 三菱化学エムケーブイ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製積層フィルム
JP4239214B2 (ja) * 2003-01-31 2009-03-18 日本ポリウレタン工業株式会社 ラミネ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307138B1 (ko) * 2005-09-16 2013-09-10 토요잉크Sc홀딩스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 이것을 사용한 접착제 시트, 및 이들의이용
KR100901199B1 (ko) * 2007-06-26 2009-06-08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휘도와 강도가 개선된 시인성 형광/축광 폴리우레탄 필름의제조 방법
KR101442280B1 (ko) * 2006-10-04 2014-09-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다층 폴리우레탄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ATE468220T1 (de) 2007-01-17 2010-06-15 Basf Se Laminat enthaltend folie und vlies auf der basis von thermoplastischem polyurethan
KR101134003B1 (ko) * 2009-12-01 2012-04-05 주식회사 제네웰 경피 흡수 제제용 액상 조성물과 제조방법
KR101343415B1 (ko) * 2011-05-31 2013-12-20 국방과학연구소 다층 폴리우레탄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481367B2 (ja) * 2012-10-31 2019-03-13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該フィルムを用いた積層体、および該積層体とシーラント層を含む構成体
JP5372270B1 (ja) * 2013-02-19 2013-12-18 ビッグテクノス株式会社 熱放射性フィルム及び熱放射性粘着テープ
CN105636999A (zh) 2013-10-17 2016-06-01 东丽奥培隆特士株式会社 聚氨酯弹性纤维及其制造方法
US20180362785A1 (en) * 2015-12-21 2018-12-20 Dic Corporation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
KR101991346B1 (ko) 2017-03-06 2019-06-20 임재홍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92B1 (ko) 2006-05-30 2013-09-12 렉티셀 오토모빌시스템 게엠베하 가요성 복합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스킨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74498A1 (ko) 2018-09-27
US20200009842A1 (en) 2020-01-09
US11577497B2 (en) 2023-02-14
EP3581610B1 (en) 2023-01-11
CN110431173A (zh) 2019-11-08
JP6980334B2 (ja) 2021-12-15
TWI695025B (zh) 2020-06-01
CN110431173B (zh) 2022-05-13
EP3581610A1 (en) 2019-12-18
JP2020507499A (ja) 2020-03-12
TW201840661A (zh) 2018-11-16
EP3581610A4 (en) 2020-03-04
KR20180106991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76889B (zh) 粘着片
KR20180110538A (ko) 텍스타일 스킨 코팅용 친수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친수성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87424B1 (ko)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KR102338825B1 (ko)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6243929B2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の製造方法
KR20200031350A (ko)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폴리 우레탄 필름
KR102034640B1 (ko)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31734B1 (ko)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CN114787284B (zh) 树脂组合物、由该树脂组合物形成的树脂膜、具备该树脂膜的玻璃叠层体
JPWO2015115291A1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2液硬化型ポリウレタン樹脂、塗料および接着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