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346B1 -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 Google Patents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346B1
KR101991346B1 KR1020170028239A KR20170028239A KR101991346B1 KR 101991346 B1 KR101991346 B1 KR 101991346B1 KR 1020170028239 A KR1020170028239 A KR 1020170028239A KR 20170028239 A KR20170028239 A KR 20170028239A KR 101991346 B1 KR101991346 B1 KR 101991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
lifting
hole
lin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4801A (ko
Inventor
임재홍
한상구
Original Assignee
임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홍 filed Critical 임재홍
Priority to KR1020170028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346B1/ko
Publication of KR20170034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02D7/08Drop drivers with free-falling hamm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외면이 관통된 낙하 설정공과, 내외면이 관통된 슬립공이 구성되고, 상하 관통된 통형의 램 하우징과; 상기 램 하우징의 외면에 구성되고, 낙하 설정공의 일부를 덮는 롤러형 또는 판형의 낙하고 설정구와; 상기 램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램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승되어 자유 낙하되고 상면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판형의 인양판이 구성된 주형의 램과; 상기 인양판을 후킹하여 인양 와이어로 인양되어 램을 인양하고, 하부 방향에 위치되는 램을 걸도록 구성되는 인양고리와, 인양고리에 핀 체결되고 와이어 링크와 핀 체결되는 인양링크로 구성되는 인양장치로 구성되고; 인양핀은 양측 끝단이 슬립공의 외부로 노출되고 중간이 램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고, 해제부의 끝단이 낙하 설정공의 내측 공간에서 상하 이동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로서, 드럼 브레이크의 해제에 의한 인양 와이어의 해권이 없이 램이 낙하되어 드럼 등에 충격을 가하지 아니하고, 낙하고 설정구에 의해 램의 낙하고가 설정되어 램의 낙하 높이가 일정하면서 낙하높이를 기사의 감각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초보자도 항타 작업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pile driver for ground reinforcement pipe}
본 발명은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램이 램 하우징 내부에서 작동되게 하고 인양장치가 적정 위치에서 기구적으로 풀림려 인양 와이어의 풀림이 없이 램이 자유 낙하되게 하여 타격 높이가 정확하고 인양 와이어의 손상이나 꼬임 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램의 낙하시 소음 발생이 작은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건축물은 날로 고층화 및 대형화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고층의 건축물은 자중에 의한 수직하중이나 풍력을 크게 작용받게 되며 이와 같은 건축물은 지층을 관통하여서 지반층에 받쳐지는 지지파일로 지지되는 구조로서 시공되며 파일공사는 항타장치 등으로 타격하여 지중에 파일을 직접적으로 박아넣는 충격식과, 오거(auger)를 회전시켜 굴착공을 천공한 후 그 굴착공 내에 말뚝을 근입하는 천공식이 있다.
상기 항타장치는 주행장치가 구비된 크롤러 크레인(crawler crane)의 리더마스터(leader master)에 지지되어 지상에 수직상으로 높게 고정되는 리더(leader)의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충격식 항타장치는 주로 말뚝을 직접 두드려 박는 항타 해머에는 그것을 움직이는 원동력에 따라 해머를 윈치로 감아 올렸다가 내리치는 낙하 해머와 증기력을 이용한 증기 해머, 압축 공기력에 의한 공압 해머, 오일 압력에 의한 유압 해머, 경유의 폭발력을 이용한 디젤 해머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종래기술의 낙하 해머로 구성되는 항타장치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1414호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2015년 11월 25일)는 일측이 크롤러 크레인(a)의 리더 마스터(1)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스크류 로드(4)가 장착된 상부오거와 하부오거(2)가 상하로 결합되어 하부오거(2)가 승강되는 리더(3)와 직각 방향으로 구성되는 지지장치와; 상기 지지장치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면서 지지장치의 사선 방향으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에 삽입되어 인출 가능한 유압로드로 구성되는 유압장치와; 상기 지지장치와 유압장치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리더 마스터(1)와 평행하게 구성되고, 케이싱로드(5)가 장착되는 하부오거(2)의 측후면의 위치에 구성되는 항타리더와; 상기 항타리더에 일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항타리더와 평행하게 구성되고, 가이드(72)와 평행하게 구성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원통형의 중간에 내외경이 관통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의 확인공이 구성되고 일측이 항타브라켓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하부에는 파일캡(53)이 연결되는 램 하우징(50)과, 램 하우징(50)의 내부에 삽입되어 와이어 케이블(b)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되어 자유 낙하되는 원주형의 램(60)으로 구성되는 항타기(40)와, 파일캡(53)의 내부에 위치된 파일(c)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와이어 케이블이 권선되어 램이 상승되고 드럼 브레이크의 해제에 의하여 와이어 케이블이 해권되면서 램이 자유 낙하되는데 이때 와이어 케이블의 풀리는 량을 맞추기 위해 작업자 즉, 기사는 램이 파일을 항타하는 직전에 브레이크를 잡아야 하나 초보 기사는 이를 수행하지 못하여 브레이크를 일찍 잡게 되면서 램이 드럼 등에 충격을 가하여 기계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램이 자유 낙하할 때 드럼이 회전 관성에 의하여 와이어 케이불이 많이 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램의 하강 시에 와이어 케이블의 풀림 량을 맞추지 못하여 해권된 와이어 케이블이 파일 내면에 부딪쳐서 와이어 케이블이 손상되거나 와이어 케이블의 꼬임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램을 상승시키는 기사가 램을 올리는 감각에 의하여 와어어 케이블을 권선하여 램의 상승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과 타격 높이를 정확히 설정할 수 없어서 정확한 재하실험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상승된 램이 램 하우징 외부에 노출되어 램 낙하의 안정성이 감소되고 램이 낙하하자마자 램의 외주면이 램 하우징의 상부 내주면에 접촉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인양 와이어의 끝단에 인양 링크 및 후크형의 인양 고리로 구성된 인양장치를 구성하여 인양장치가 주형의 램 상부에 구성된 램판에 도달하면 스스로 인양판을 걸고 인양 와이어의 상승에 의하여 인양장치가 통형의 램 하우징 내에서 램을 인양 상승시키고 램 하우징에 구성된 낙하고 설정구에 도달하면 인양장치는 기구적으로 스스로 풀려서 인양 와이어가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램이 램 하우징 내에서 자유 낙하되어 램의 정확한 타격 높이가 설정되고 인양 와이어의 손상이나 꼬임 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램의 낙하시 소음 발생이 작은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하 관통된 통형의 램 하우징과; 상기 램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램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승되어 자유 낙하되고 상면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판형의 인양판이 구성된 주형의 램과; 상기 인양판을 후킹하여 인양 와이어로 인양되어 램을 인양하는 인양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램 하우징은 통형의 상부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내외면이 관통된 낙하 설정공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램 하우징은 통형의 상부 좌우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내외면이 관통된 슬립공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램 하우징은 낙하 설정공의 일부를 덮는 롤러형 또는 판형의 낙하고 설정구가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양판은 램의 상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되고 한 쌍으로 구성되는 판형의 램판과, 램판의 상부에 관통된 램판공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양장치는 두꺼운 판형으로 구성되고, 하부 방향에 위치되는 램을 걸도록 구성되는 인양고리와, 인양고리에 핀 체결되고 와이어 링크와 핀 체결되는 인양링크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양고리는 램판과 핀 체결되고 관통된 고리공과, 고리공의 저부에 구성되고 돌출 형성되는 후크 형상의 고리부와, 고리공의 상부에 구성되고 중심이 고리공 중심과 편심 구성되고 핀 체결되고 관통된 인양공과, 인양공의 전방에 구성되고 고리부의 길이방향으로 고리부보다 길게 돌출 형성되는 해제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양링크는 인양공에 인양핀으로 체결되고 관으로 구성되는 링크관과, 링크관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관통된 링크공이 형성된 형성되는 판형의 링크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 링크는 인양 와이어 끝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링크와, 링크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핀 체결되는 링크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양핀은 양측 끝단이 슬립공의 외부로 노출되고 중간이 램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제부의 끝단이 낙하 설정공의 외부로 노출되고 끝단을 제외한 부분은 램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램 하우징의 상부 개방된 부분에는 판형으로 되고 중간에 상하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톱커버 브라켓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램 하우징의 후면에 핀 체결되고 내면이 일정간격으로 구성되고 마주보는 쌍으로 구성되는 반원통의 백가이드가 구성된다.
본 발명은 램이 램 하우징 내부에서 상승하고 자유 낙하되어 램의 낙하가 안정되고 램의 낙하 시에 소음 발생이 작고 램 낙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양장치의 기구적인 해제에 의하여 램이 자유 낙하되어 드럼 브레이크의 해제에 의한 인양 와이어의 해권이 없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램이 드럼 등에 충격을 가하지 아니하여 기계 장치의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램을 상승시켜 낙하시키는 높이를 기사의 감각에 의존하지 아니하는 효과와 낙하고 설정구에 의하여 인양장치가 기구적으로 폴려 램이 낙하되어 초보자도 항타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하고 설정구까지 램이 상승되므로 램의 상승 높이가 일정한 효과와 타격 높이가 장확하게 설정되어 정확한 재하실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양 와이어의 끝단에 구성된 인양장치가 주형의 램 상부에 구성된 인양판에 도달하면 스스로 인양판을 거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램이 드럼의 풀림에 의한 자유 낙하가 아니므로 인양 와이어의 풀림이 없는 크레인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램의 자유 낙하시 인양 와이어가 해권되지 아니하여 인양 와이어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램의 자유 낙하시 인양 와이어가 더 풀리지 아니하여 드럼의 크기가 작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하고 설정구에 의해 인양장치가 기구적으로 풀려 작동되고 전기 또는 유압 장치에 의해 램이 낙하되지 아니하여 전기 또는 유압에 의한 장치의 고장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양핀이 슬립공 내면에서 승강하여 램의 외면과 램 하우징 내면과의 공간이 일정한 효과와 이로 인하여 램과 램 하우징의 마찰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하고 설정구를 낙하 설정공 부근의 램 하우징 외면에 이동 설치가 가능하여 램의 낙하고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톱커버 브라켓이 비나 눈 등을 램 하우징의 상부에서 램 하우징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양 와이어가 과도하게 풀린 경우에 인양 와이어가 동시에 램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되지 아니하여 인양 와이어의 엉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종래기술의 파일 항타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2: 종래기술의 유압로드가 신장된 상태의 평면 상태도.
도 3: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5: 본 발명의 단면 상태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 본 발명의 낙하고 설정구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7: 본 발명의 확인공이 설치되지 아니한 상태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8: 본 발명의 작동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기초파일 즉 지반굴착공사에 있어서 DRA(Double Rod Auger)공법은 내부 오거와 외부 케이싱 오거(Casing Auger) 즉 상부오거와 하부오거(2)를 병용하여 지반을 천공한 후 하부오거(2)로 파일(c)을 건입 후 파일(c)이 안착하면 항타장치로 항타하여 파일(c)이 지지층에 완전히 안착하게 한다.
상기 기초 파일 공사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부오거와 하부오거(2)는 하나의 리더(3: leader)에 상하로 결합되고, 상부오거에는 스크류 로드(4)를 하부오거(2)에는 케이싱로드(5)를 장착하며, 스크류 로드(4)는 케이싱로드(5)의 내부로 들어가며 지반을 천공을 하고 케이싱로드(5)는 토사가 무너지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오거와 하부오거(2)는 서로 힘의 바란스를 잡아주기 위해 스크류 로드(4)는 시계방향으로 케이싱로드(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천공하며 이때 슬라임 배토는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하부오거(2)의 상부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스크류 로드(4)와 케이싱로드(5)가 지지층에 도달하면 상부오거가 스크류 로드(4)를 역회전시켜 스크류 로드(4)를 뽑아 올려 제거하며, 하부오거(2)의 구동부와 케이싱로드(5)를 분리한 후 케이싱로드(5)의 내부로 파일(c)을 삽입한 후 하부오거(2)의 구동부를 다시 케이싱로드(5)에 결합하여 하부오거(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싱로드(5)를 뽑아 올리면 파일(c)이 지반에 설치되고 지반에 설치된 파일(c)을 항타장치로 수차 항타하여 파일(c)이 지지층에 완전히 안착되면 파일(c)의 설치가 완료된다.
일반적으로 지반굴착장치는 주행장치가 구비된 크롤러 크레인(a: crawler crane)의 지지대와 백스테이에 지지되어 지상에 수직상으로 높게 고정되는 리더 마스터(1: leader master)에 리더(3)가 구성되고 리더(3)의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거(auger)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항타장치(100)는 램 하우징(110)과 램(120)과 인양장치(130)와 쿠션부(140)와 파일캡(150)으로 구성되며, 램 하우징(110)은 상하 관통된 사각통 또는 원통형의 통형으로 구성되고, 램 하우징(110)의 후면에 핀 체결되고 내면이 일정간격으로 구성되고 마주보는 쌍으로 구성되는 반원통의 백 가이드(112)가 구성된다.
상기 램 하우징(110)의 후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마주보는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고 상하 한쌍으로 구성되는 가이드 링(111)이 구성되고, 백 가이드(112)가 가이드 링(111)에 핀 체결 즉, 가이드핀으로 체결된다.
상기 백 가이드(112)는 가이드핀이 내부에 삽입되고 상하 관통된 삽입공이 형성된 가이드판(112-1)과 가이드판(112-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삽입공의 후방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상하 방향의 반원통형으로 된 가이드(112-2)가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판(112-1)이 상하 한 쌍의 가이드 링(111)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이드핀이 가이드 링(111) 및 가이드판(112-1)의 삽입공을 관통 삽입되어 가이드판(112-1)이 램 하우징(110)의 외면에 핀 체결된다.
상기 가이드(112-2)는 크롤러 크레인(a)의 리드 마스터(1)의 리더(3)에 구성된 보조리더에 체결 즉, 좌측 보조리더의 외주면 일부를 좌측 가이드(112-2)의 내면이 밀착 구성되고 우측 보조리더의 외주면 일부를 우측 가이드(112-2)의 내면이 밀착 구성되어 램 하우징(110)이 크롤러 크레인(a)의 보조리더에 체결되어 램 하우징(110)이 보조리더의 안내에 의하여 보조리더의 길이 방향인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램 하우징(110)이 보조리더에 장착된 상태에서 지반에 설치된 파일(c)이 지상에 노출된 길이에 따라 가이드(112-2)가 보조리더의 안내에 의하여 램 하우징(110)이 상하 이동되며 파일(c)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램 하우징(110)은 항타 작업 시에 보조리더 및 리드 마스터와 평행하게 구성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거나 크롤러 크레인(a) 및 보조리더가 없을 경우에는 지반의 천공에 삽입된 파일(c)에 파일캡(150)을 외삽하면 항타장치(100)를 파일(c)과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본 발명의 항타장치(100)는 크롤러 크레인(a)의 리더(3)에 구성된 보조리더에 장착하여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램(120)의 상승과 자유 낙하로서 항타 작업을 하거나 지반의 천공에 삽입된 파일(c)에 파일캡(150)을 외삽하면 파일(c)과 같이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일반 크레인에 인양 와이어(d)를 연결하여 일반 크래인으로 램(120)의 상승과 자유 낙하로서 항타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램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인양 와이어(d)에 의하여 인양된 램(120)이 낙하되어 파일(c)에 충돌하면서 파일(c)이 지지층 즉 지반에 박히게 된다.
상기 램(120)은 램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인양 와이어(d)에 의하여 일정한 높이로 인양되었다가 자유 낙하되어 램(120)의 에너지가 운동 에너지로 바뀌고 이 운동 에너지가 파일(c)에 충돌하면서 충격 에너지로 변화되어 파일(c)을 지지층 즉 지반에 박게 된다.
즉, 상기 인양 와이어(d)에 의하여 램(120)을 램 하우징(110) 내부에서 상승시킨 후 상승된 고중량의 램(120)을 자유 낙하시키면 램(120)은 램 하우징(110)의 내부에 자유 낙하되어 파일(c)을 타격하여 램(120)의 낙하가 안정되고 램(120)의 낙하 시에 소음 발생이 작고 램 낙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램 하우징(110)은 상하 관통된 통형의 하부 면의 중간에 램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의 일정간격으로 램 하우징(110) 내외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확인공(113)이 구성되고, 확인공(113)은 램(120)이 인양 와이어(d)에 의하여 램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승되었을 때 램(120)이 어느 정도의 높이로 상승되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확인공(113)은 램(120)이 램 하우징(110)에서 상승되었을 때 일반인의 눈으로 램 하우징(110)의 내부가 보이는 확인공(113)은 램(120)이 상승된 위치로서 최상측에서 2번째 확인공에서는 램 하우징의 내부가 보이고 최상측에서 첫번째 확인공에서는 램이 보인다고 한다면 램이 최상측에서 2번째 확인공까지 상승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확인공(113)은 램 하우징(110) 하부의 4방면, 3방면 또는 2방면에 구성되며, 확인공(113)이 4방면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램 하우징(110)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구성되고, 확인공(113)이 3방면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램 하우징(110)의 후면에서는 사람의 눈으로 확인 불편할 수 있으므로 램 하우징(110)의 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구성되고, 확인공(113)이 2방면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램 하우징(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구성된다.
상기 램 하우징(110)은 통형의 상부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즉, 길이방향의 장방형으로 내외면이 관통된 낙하 설정공(116)이 구성되고 낙하 설정공(116)에 인접한 램 하우징(110)의 전면에 상하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핀공 또는 나사공이 구성된다. 상기 핀공 또는 나사공에 핀 체결 또는 나사 체결되어 낙하 설정공(116)에 일부가 삽입되거나 낙하 설정공(116)의 일부를 덮는 롤러형 또는 판형의 낙하고 설정구(115)가 구성된다.
상기 낙하고 설정구(115)가 낙하 설정공(116)의 최상측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낙하고 설정구(115)의 하측에 낙하 설정공(116)의 일부가 노출되면서 램(120)의 낙하고가 최대가 되고, 낙하 설정공(116)의 중간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낙하고 설정구(115)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 각각에 낙하 설정공(116)의 일부가 노출되면서 램(120)의 낙하고는 최대 낙하고에서 낙하고 설정구(115)의 상측에 노출된 낙하 설정공(116)의 길이와 낙하고 설정구(115)가 롤러형일 경우에는 롤러의 직경을 낙하고 설정구(115)가 판형일 경우에는 판의 높이를 합한 치수를 제외한 높이가 된다.
상기 낙하고 설정구(115)가 롤러형일 경우에는 램 하우징(110)의 길이가 500cm이고 낙하 설정공(116)의 길이가 240cm이고 핀공의 간격이 40cm(낙하 설정공을 상하로 6등분한 경우)이고 낙하고 설정구(115)의 직경이 35cm라고 한다면 램(120)의 자유 낙하의 최대 높이는 최상측에서 첫번째 핀공에 핀 체결 즉, 최하측에서 5번째의 핀공에 낙하고 설정구(115)가 핀 체결되는 것이므로 5배의 핀공 간격에 롤러의 반경을 제외한 값을 제외한 182.5cm(40×5-35÷2)가 되며 최하측 핀공으로부터 3번째의 핀공에 낙하고 설정구(115)를 핀 체결하게 되면 램(120)의 자유 낙하 높이는 3배의 핀공 간격에 롤러의 반경을 제외한 값을 제외한 102.5cm(40×3-35÷2)가 되므로 낙하고 설정구(115)가 핀 체결된는 위치에 따라 램(120)의 자유 낙하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낙하고 설정구(115)가 판형일 경우에는 램 하우징(110)의 길이가 500cm이고 낙하 설정공(116)의 길이가 245cm이고 나사공의 간격이 35cm(낙하 설정공을 상하로 7등분한 경우)이고 낙하고 설정구(115)의 높이가 40cm라고 한다면 램(120)의 자유 낙하의 최대 높이는 최상측 나사공(판형의 낙하고 설정구는 좌우 상하 가장자리 부근마다 나사체결 되므로 최상측 나사공은 낙하고 설정구 상측 끝의 램하우징의 전면에 구성됨)과 상측에서 2번째 나사공에 낙하고 설정구(115)가 나사 체결 즉, 최하측에서 7번째의 핀공에 낙하고 설정구(115)의 하측 핀공과 나사 체결되는 것이므로 낙하 설정공(116)의 길이에서 최하측 7번째 하측 좌우 나사공을 연결한 선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낙하고 설정구(115)의 값을 제외한 207.5cm(35×6-(40-35)÷2)가 되며 최하측 나사공으로부터 5번째 및 6번째의 핀공에 낙하고 설정구(115)를 나사 체결하게 되면 램(120)의 자유 낙하 높이는 최하측에서 5번째의 핀공에 낙하고 설정구(115)의 하측 나사공과 나사 체결되는 것이므로 낙하 설정공(116)의 길이에서 최하측 5번째 하측 좌우 나사공을 연결한 선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낙하고 설정구(115)의 값을 제외한 137.5cm(35×4-(40-35)÷2)가 되므로 낙하고 설정구(115)가 나사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램(120)의 자유 낙하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일(c)의 지지층 즉, 지반 침투 깊이는 램(120)의 자중과 램(120)의 항타 행정에 의해 정해지고 파일(c)의 항타 작업은 파일(c)의 직경에 따라 타격력 즉, 톤수가 규정되어 파일(c)의 직경에 따라 상승 높이가 규정되어 있고 낙하고 설정구(115)를 램 하우징(110)의 전면에 핀 체결 또는 나사 체결하는 핀공 또는 나사공이 램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낙하고 설정구(115)를 핀 체결 또는 나사 체결하는 핀공 또는 나사공을 일정간격으로 구성한다.
상기 핀공 또는 나사공에 낙하고 설정구(115)를 핀 체결 또는 나사 체결하면 램(120)이 램 하우징(110) 내부에서 어느 높이로 상승하였는가를 명확 즉, 램(120)의 상승 높이를 명확하게 결정되어 램(120)의 자유 낙하 높이가 명확하게 결정된다.
상기 램 하우징(110)은 일정 길이를 갖고 상하 관통된 통형의 상부 좌우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즉, 길이방향의 트랙형으로 내외면이 관통된 슬립공(114)이 구성되며 슬립공(114)은 인양장치(130)의 인양핀(132)의 양측 끝단이 슬립공(114) 내에 위치되어 슬립공(114)의 내측 공간에서 상하 이동하여 슬립공(114)의 길이가 인양핀(132)의 최대 이동 거리 즉, 램(120)의 최대 상승 높이가 결정된다. 상기 슬립공(114)의 길이는 낙하 설정공(116)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낙하고 설정구(115)의 높이를 감안할 경우에는 낙하 설정공(116)의 길이에 낙하고 설정구(115)의 높이를 더한 길이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양핀(132)이 슬립공(114) 내면에서 승강하여 램(120)의 외면과 램 하우징(110) 내면과의 공간이 일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램(120)과 램 하우징(110)의 마찰이 감소한다. 상기 램 하우징(110)은 보조리더와 수직으로 평행하게 구성되며 램(120)이 내부 공간에서 상하 이동하므로 램(120)의 유동이 어느 정도 방지되게 램 하우징(110)의 횡단면적과 램(120)의 횡단면적을 적절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램(120)은 사각주형 또는 원주형의 주형으로 구성되고 사각주형은 하부에 짧은 원주형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램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양 와이어(d)의 상승에 의하여 램 하우징(110)의 내부의 일정 높이까지 상승된 후 자유 낙하되고 상면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판형의 인양판(121)이 구성되어 자유 낙하 시에 지반에 설치된 파일(c)을 항타한다. 상기 사각주형의 램(120)은 사각통의 램 하우징(110)에 사용되고 원주형의 램은 원통형의 램 하우징에 사용된다.
상기 램(120)은 램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인양 와이어(d)에 의하여 일정한 높이로 인양되었다가 자유 낙하되어 램(120)의 에너지가 운동 에너지로 바뀌고 이 운동 에너지가 파일(c)에 충돌하면서 충격 에너지로 변화되어 파일(c)을 지지층 즉 지반에 박게 된다.
상기 램 하우징(110)은 크롤러 크레인(a)의 리드(3) 또는 보조리드에 승강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램(120)은 램하우징(50)의 내부에는 상하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중량의 중량체로서 상부가 크롤러 크레인(a)의 리드 마스터(1) 상부와 연결된 인양 와이어(d)에 결합되어 인양 와이어(d)의 권선에 의하여 상승되어 일정한 높이에서 자체의 하중에 의해 자유 낙하하여 하부에 배치된 파일(c)을 타격 즉 항타한다.
상기 인양장치(130)는 램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램(120)의 상부에 구성되고 인양판(121)을 후킹하여 인양 와이어(d)로 인양되어 램(120)을 인양한다. 상기 인양장치(130)는 하측이 램(120)을 후킹 즉 인양판을 후킹하고 상측이 인양 와이어(d)에 핀 체결 즉, 링크핀으로 체결되어 인양 와이어(d)가 하강되어 램의 상부면에 위치되면 램(120)을 후킹하고 인양 와이어(d)의 상승에 따라 인양장치(130) 및 램(120)이 램 하우징(110)의 내면에서 상승되고 인양장치(130)가 램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일정한 높이에 도달하면 램(120)도 인정한 높이에 도달된 후 램(120)의 후킹이 해제되면서 램(120)이 자유 낙하된다.
상기 인양판(121)은 램(120)의 상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되고 한 쌍으로 구성되는 판형의 램판(121-1)과, 램판(121-1)의 상부에 관통된 램핀공(121-2)이 구성된다. 상기 램판(121-1)은 램(120)이 램 하우징(110) 내부에서 상승될 때 중심이 편중되지 않게 램(120)의 상면 중심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이 마주보게 구성되고 저면이 램(120)의 상면에 일체형으로 되고, 램핀공(121-2)은 램 하우징(110) 내부에서 상승될 때 중심이 편중되지 않게 램(120)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인양판(121)의 상부면의 일부에 마주보게 구성된다.
상기 램핀공(121-2)과 핀 체결하는 램핀(121-3)이 구성되고, 램핀(121-3)을 일측의 램핀공(121-2)을 통하여 삽입 통과하여 타측의 램핀공(121-2)으로 인출한다. 상기 램핀(121-3)의 타측 끝단에는 램핀공(121-2)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된 링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램핀(121-3)의 타측 끝단은 램핀공(121-2)을 통과하지 못한 상태가 되면서 일측 끝단은 타측 램핀공(121-2)을 통과하여 외부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타측 램핀(121-3)의 끝단에 램핀공(121-2)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된 마감링을 삽입한 후 볼트로서 마감링과 램핀(121-3)을 체결하면 램핀(121-3)의 일측 끝단도 램핀공(121-2)의 외부에 위치되게 된다. 상기 램핀(121-3)이 램판(121-1)에 체결되면 한 쌍의 램판(121-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인양장치(130)가 하강하여 인양장치(130)의 인양고리(133)가 램(120)의 상면에 위치되면 램판(121-1) 사이의 공간에 인양장치(130)의 고리부(133-2)가 위치된다.
상기 인양장치(130)는 하부 방향에 위치되는 램(120)을 걸도록 구성되는 인양고리(133)와, 인양고리(133)에 핀 체결되고 와이어 링크(134)와 핀 체결되는 인양링크(131)로 구성되고, 인양고리(133)와 인양링크(131)는 하나의 몸체의 두꺼운 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양고리(133)는 램판(121-1)과 핀 체결 즉, 램핀(121-3)으로 체결되고 관통된 고리공(133-1)과, 고리공(133-1)의 저부에 고리공(133-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고리공(133-1)보다 돌출 형성되는 후크 형상의 고리부(133-2)와, 고리공(133-1)의 상부에 구성되고 중심이 고리공(133-1)의 중심보다 더 고리부(133-2)의 끝단 방향으로 편심 구성되고 인양핀(132)으로 체결되고 관통된 인양공(133-4)과, 인양공(133-4)의 전방에 구성되고 인양공(133-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고리부(133-2)의 길이보다 길게 돌출 형성되는 해제부(133-3)로 구성된다.
상기 인양공(133-4)이 고리공(133-1)보다 해제부(133-3) 방향 즉 고리부(133-2) 방향으로 중심이 어긋나게 구성되고, 해제부(133-3)는 고리부(133-2)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인양핀(132)이 고리공(133-1)과 인양링크(131)의 링크관(131-3)을 동시에 핀 결합되고 인양링크(131)가 와이어 링크(134)에 핀 결합된 상태에서 자연적인 상태가 된다.
즉, 외력이 가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인양고리(133)의 무게 중심이 고리공(133-1)보다 해제부(133-3)의 방향의 전방에 위치되어 해제부(133-3)의 끝단이 하측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어 고리부(133-2)도 하측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면서 고리부(133-2)가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인양 와이어(d)가 하강하여 인양고리(133)가 램(120)의 상면의 램판(121-1) 사이에 위치하면 고리부(133-2)의 개방된 부분이 램핀(121-3)으로 전진하게 되어 램핀(121-3)이 고리부(133-2)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램핀(121-3)이 고리부(133-2)에 위치된 상태에서 인양 와이어(d)를 상승하게 되면 인양링크(131)가 상승하면서 인양핀(132)이 인양고리(133)를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때 고리공(133-1)의 중심이 인양공(133-4)의 중심보다 고리부(133-2)와 반대 방향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인양 와이어(d)의 서서히 상승하게 되면 인양고리(133)의 개방부가 하측 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하게 되고 해제부(133-3)도 하측 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하게 되면서 고리부(133-2)는 램핀(121-3)을 후킹하게 되면서 램핀(121-3)을 상승시키게 되어 램(120)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인양링크(131)는 인양공(133-4)에 핀 체결 즉, 인양핀(132)으로 체결되고 짧은 관으로 구성되는 링크관(131-3)과, 링크관(131-3)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관통된 링크공(131-2)이 형성되는 판형의 링크판(131-1)으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판(131-1)의 판형의 저면에 링크관(131-3)이 형성되고, 링크공(131-2)은 판형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어 링크공(131-2)이 링크판(131-1)의 좌우 중심이 되며 링크관(131-3)은 링크공(131-2)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1개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관(131-3)은 2개로 구성되고, 링크판(131-1)의 하측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좌측 및 우측의 하측 각각에 링크관(131-3)의 상부와 일체형으로 구성하게 되면, 2개의 링크관(131-3)이 이격되는 사이의 공간 즉, 이격 공간에 인양고리(133)가 위치되며, 인양고리(133)가 이격 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인양공(133-4)과 링크관(131-3)의 내부 공간이 일치된 상태에서 인양핀(132)을 일측의 링크관(131-3)을 통하여 삽입하여 인양공(133-4)을 통과하여 타측이 링크관(131-3)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인양핀(132)의 타측 끝단에 횡단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하면 인양고리(133)가 인양링크(131)에 인양핀(132)으로 체결 즉, 인양장치(130)가 램(120) 상부에 구성된 인양판(121)에 도달하면 스스로 인양판(121)을 걸게 된다.
상기 인양장치(130) 즉, 인양링크(131)에 핀 체결되고 링크링(134-1)과, 링크링(134-1)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인양 와이어(d)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링크(134-2)로 구성된 와이어 링크(134)가 구성된다.
즉, 상기 와이어 링크(134)는 인양 와이어(d)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링크(134-2)와, 링크(134-2)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관통공이 구성되어 핀 체결되는 링크링(134-1)으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134-2)는 인양 와이어(d)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면서 하측 방향 즉, 인양링크(131)의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크게 구성되고 링크링(134-1)이 마주보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마주 보는 한 쌍의 링크링(134-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링크링(134-1) 사이의 공간에 인양링크(131)의 링크판(131-1)이 위치되면서 링크링(134-1)의 관통공과 링크공(131-2)의 관통공이 일치되게 된 상태에서 링크핀을 일측의 링크링(134-1)을 통하여 삽입하여 링크공(131-2)을 통과하여 타측이 링크핀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링크핀의 타측 끝단에 횡단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하면 인양링크(131)가 와이어 링크(134)에 핀 체결된다.
상기 인양핀(132)은 양측 끝단이 슬립공(114)의 외부로 노출되고 중간이 램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인양핀(132)의 양측 끝단이 슬립공(114)의 내측 공간에서 상하 이동하게 구성된다.
상기 램핀(121-3)이 램핀공(121-2)에 체결된 상태의 램(120)이 램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링크링(134-1)이 링크판(131-1)에 핀 체결되어 인양링크(131)가 인양 와이어(d)에 체결된 상태로 램 하우징(110) 상부의 개방부를 통하여 인양 와이어(d)의 하강에 의해 하강되어 인양링크(131)가 슬립공(114)에 위치되면 인양고리(133)를 링크관(131-3) 사이에 위치시킨 후 링크관(131-3)의 관통공과 인양고리(133)의 인양공(133-4)을 일치시킨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인양핀(132)을 일측을 일측의 슬립공(114)을 통하여 일측의 링크관(131-3)으로 삽입하여 인양공(133-4)을 통하여 타측의 링크관(131-3)을 통과하여 타측으 슬립공으로 통하여 인출한다. 상기 인양핀(132)의 타측 끝단에는 슬립공(114)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된 링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인양핀(132)의 타측 끝단은 일측의 슬립공(114)을 통과하지 못한 상태가 되면서 일측 끝단은 타측 슬립공(114)을 통과하여 외부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타측 인양핀(132)의 끝단에 슬립공(114)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된 링을 삽입한 후 볼트로서 마감링과 인양핀(132)을 일체 체결하면 인양핀(132)의 일측 끝단도 타측 슬립공(114)의 외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인양 와어어(d)로 인양장치(130)를 승강하게 되면 인양핀(132)의 양측 끝단은 링 및 마감링에 의하여 일측 및 타측의 슬립공(114)의 내에서 승강하게 되고, 해제부(133-3)의 끝단은 낙하 설정공(116)의 내에서 승강하게 되며, 인양 와어어(d)의 하강에 의하여 인양고리(133)가 하강하여 램(120)의 상면에 위치된 후 인양 와어어(d)의 상승되면 고리부(133-2)가 수평으로 되면서 램핀(121-3)을 후킹한 후 계속적인 인양 와이어(d)의 상승으로 램(120)이 램 하우징(110) 내에서 상승된다.
상기 해제부(133-3)의 끝단이 낙하 설정공(116)의 외부로 노출되고 끝단을 제외한 부분은 램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해제부(133-3)의 끝단이 낙하 설정공(116)의 내측 공간에서 상하 이동하게 구성된다.
상기 인양고리(133)가 인양핀(132)에 의해 인양링크(1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인양고리(133)의 고리부(133-2)는 램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해제부(133-3)는 길이가 길어 낙하 설정공(116)의 외부로 돌출되어 인양 와어어(d)로 인양장치(130)를 승강하게 되면 해제부(133-3)의 끝단은 낙하 설정공(116)의 내에서 승강하게 되며, 인양 와어어(d)의 하강에 의하여 인양고리(133)가 하강하여 램(120)의 상면에 위치된 후 인양 와어어(d)의 상승되면 고리부(133-2)가 수평으로 되면서 램핀(121-3)을 후킹한 후 계속적인 인양 와이어(d)의 상승으로 램(120)이 램 하우징(110) 내에서 상승된다.
상기 낙하고 설정구(115)가 램 하우징(110)의 낙하 설정공(116)에 핀 체결 또는 나사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양 와이어(d)의 상승으로 램(120)이 상승되면 인양고리(133)의 해제부(133-3)가 낙하 설정공(116)의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해제부(133-3)는 낙하 설정공(116)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낙하고 설정구(115)가 핀 체결 또는 나사 체결된 위치에서 램(120)이 더 상승 즉, 인양고리(133)가 더 상승하게 되면 낙하 설정공(116)의 외부로 돌출된 해제부(133-3)가 낙하고 설정구(115)의 저면에 접촉되게 되면서 해제부(133-3)는 인양고리(133)에 걸리게 되어 하측 방향으로 기울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고리부(133-2)도 하측 방향으로 기울게 된다.
상기 고리부(133-2)가 하측 방향으로 기울게 되면 고리부(133-2)에 후킹되어 있던 램핀(121-3)이 풀리게 되면서 램(120)이 자유 낙하하게 되고 램(120)의 자유 낙하에 의하여 램(120)의 위치에너지가 타격 쿠션(142), 앤빌(143), 캡 쿠션(144) 및 파일캡(150)으로 충격 에너지로 전달되어 파일(c)을 항타한다.
상기 인양장치(130) 즉, 인양고리(133)가 낙하 설정공(116)에 의하여 스스로 기구적인 해제에 의하여 램(120)이 자유 낙하되어 드럼 브레이크의 해제에 의한 인양 와이어(d)의 해권이 필요 없고 이로 인하여 램(120)이 드럼 등에 충격을 가하지 아니하여 기계 장치의 고장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램(120)을 상승시켜 낙하시키는 높이를 기사의 감각에 의존하지 아니하게 되고 초보자도 항타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하고 설정구(115)까지 램(120)이 상승되므로 램(120)의 상승 높이가 일정한 효과와 타격 높이가 정확하게 설정되어 정확한 재하실험이 가능하고, 램(120)이 드럼의 풀림에 의한 자유 낙하가 아니므로 인양 와이어(d)의 풀림이 없는 크레인에 사용할 수 있고, 램(120)의 자유 낙하시 인양 와이어(d)가 더 풀리지 아니하여 드럼의 크기가 작게 되고, 낙하고 설정구(115)에 의해 인양장치(130)가 스스로 기구적으로 풀려 작동되고 전기 또는 유압 장치에 의해 램(120)이 낙하되지 아니하여 전기 또는 유압에 의한 장치의 고장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낙하고 설정구(115)를 낙하 설정공(116) 부근의 램 하우징(110) 외면에 이동 설치가 가능하여 램(120)의 낙하고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램 하우징(110)의 하부에 쿠션부(140)가 구성되고, 쿠션부(140)는 램 하우징(110)의 하부에 나사 체결되는 쿠션 하우징(141)과, 쿠션 하우징(141)의 내부에 위치되는 원판형의 타격 쿠션(142)과, 타격 쿠션(142)의 하측에 위치되고 쿠션 하우징(141)의 내부에 위치되는 일측이 밀폐된 원통형의 앤빌(143)과, 앤빌(143)의 내부에 위치되는 원판형의 캡 쿠션(144)으로 구성된다.
상기 타격 쿠션(142) 및 캡 쿠션(144)은 소음을 감소하기 위하여 파일(c)의 타격점에 상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완충재로서 램(120)이 자유 낙하하여 파일(c)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타격소음 즉 항타 소음을 흡수하여 차폐함으로써 타격 소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앤빌(143)은 금속재로 구성되어 램(120)의 타격력을 파일캡 즉, 파일(c)에 균등하게 전달한다.
상기 쿠션부(140)의 하부에 구성되고 상부 일부가 쿠션부(140)의 내경에 삽입 고정되는 원형 컵형의 파일캡(150)이 구성되며 파일캡(150)의 내부에 지반에 노출된 파일(c)의 상부가 위치되어 파일캡이 파일(c)을 덮는 현상이 되며 파일캡은 파일(c)과 램(12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한다.
상기 램 하우징(110)의 상부 개방된 부분에는 판형으로 되고 중간에 상하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톱커버 브라켓(117)(본 발명의 단면 상태도, 정면도 및 측면도에서만 도시함)이 구성되며, 톱커버 브라켓(117)이 램 하우징(110)의 상부면에 체결된 상태에서 관통공으로 인양 와이어(d)가 관통되고 관통된 인양 와어어(d)는 끝단이 램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와이어 링크(134)에 일체형으로 체결된다.
상기 톱커버 브라켓(117)은 비나 눈 등이 램 하우징(110)의 상부에서 램 하우징(11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양 와이어(d)가 과도하게 풀려 인양 와이어(d)가 램 하우징(110)의 내부에 진입할 때 관통공에 의해 인양 와이어(d)가 동시에 램 하우징(110)의 내부로 진입되지 아니하여 인양 와이어(d)의 엉킴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으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구성은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고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변형 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고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항타장치 110: 램 하우징
111: 가이드 링 112: 백 가이드
112-1: 가이드판 112-2: 가이드
113: 확인공 114: 슬립공
115: 낙하고 설정구 116: 낙하 설정공
117: 톱커버 브라켓 120: 램
121: 인양판 121-1: 램판
121-2: 램판공 121-3: 램핀
130: 인양장치 131: 인양링크
131-1: 링크판 131-2: 링크공
131-3: 링크관 132: 인양핀
133: 인양고리 133-1: 고리공
133-2: 고리부 133-3: 해제부
133-4: 인양공 134: 와이어 링크
134-1: 링크링 134-2: 링크
140: 쿠션부 141: 쿠션 하우징
142: 타격 쿠션 143: 앤빌
144: 캡 쿠션 150: 파일캡
d: 인양 와이어

Claims (13)

  1. 상하 관통된 통형으로 구성되고, 통형의 상부 좌우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내외면이 관통된 슬립공이 구성되는 램 하우징과;
    상기 램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램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승되어 자유 낙하되는 주형의 램과;
    상기 램의 상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되고 한 쌍으로 구성되는 판형의 램판과 램판의 상부에 관통된 램판공이 구성된 인양판과;
    상기 인양판을 후킹하여 인양 와이어로 인양되어 램을 인양하는 인양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 하우징은 통형의 상부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내외면이 관통되고 램의 낙하고를 설정하는 낙하 설정공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 하우징은 램의 상승을 설정하고 낙하 설정공의 일부를 덮는 롤러형 또는 판형의 낙하고 설정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장치는 두꺼운 판형으로 구성되고, 하부 방향에 위치되는 램을 걸도록 구성되는 인양고리와, 인양고리에 핀 체결되고 와이어 링크와 핀 체결되는 인양링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고리는 램판과 핀 체결되고 관통된 고리공과, 고리공의 저부에 구성되고 돌출 형성되는 후크 형상의 고리부와, 고리공의 상부에 구성되고 중심이 고리공 중심과 편심 구성되고 핀 체결되고 관통된 인양공과, 인양공의 전방에 구성되고 고리부의 길이방향으로 고리부보다 길게 돌출 형성되는 해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링크는 인양공에 인양핀으로 체결되고 관으로 구성되는 링크관과, 링크관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관통된 링크공이 형성된 형성되는 판형의 링크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링크는 인양 와이어 끝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링크와, 링크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핀 체결되는 링크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핀은 양측 끝단이 슬립공의 외부로 노출되고 중간이 램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인양핀의 양측 끝단이 슬립공의 내측 공간에서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의 끝단이 낙하 설정공의 외부로 노출되고 끝단을 제외한 부분은 램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해제부의 끝단이 낙하 설정공의 내측 공간에서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램 하우징의 상부 개방된 부분에는 판형으로 되고 중간에 상하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톱커버 브라켓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램 하우징의 후면에 핀 체결되고 내면이 일정간격으로 구성되고 마주보는 쌍으로 구성되는 반원통의 백가이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KR1020170028239A 2017-03-06 2017-03-06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KR101991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239A KR101991346B1 (ko) 2017-03-06 2017-03-06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239A KR101991346B1 (ko) 2017-03-06 2017-03-06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801A KR20170034801A (ko) 2017-03-29
KR101991346B1 true KR101991346B1 (ko) 2019-06-20

Family

ID=5849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239A KR101991346B1 (ko) 2017-03-06 2017-03-06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3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1610B1 (en) 2017-03-20 2023-01-11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 film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 film manufactured thereby
KR102208908B1 (ko) * 2019-11-27 2021-01-27 진인홍 파일 항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항타 방법
KR102498520B1 (ko) * 2022-04-08 2023-02-10 동명중기계 (주) 무인 자동 관입량 측정장치를 갖는 항타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661Y1 (ko) * 2005-04-29 2005-07-18 현대건설주식회사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
KR100857154B1 (ko) * 2008-04-18 2008-09-05 주식회사 정신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23A (ja) * 1981-06-23 1983-01-05 Hitachi Cable Ltd 落下衝撃装置
KR101622558B1 (ko) * 2014-05-14 2016-05-20 오거토탈 주식회사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661Y1 (ko) * 2005-04-29 2005-07-18 현대건설주식회사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
KR100857154B1 (ko) * 2008-04-18 2008-09-05 주식회사 정신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801A (ko)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346B1 (ko)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CN109853512A (zh) 自动可拆卸重型动力触探仪
EP0453487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mounting the piles associated with the installation of a pile-founded offshore platform
JP4545774B2 (ja) 地下埋設体の切断方法と引上げ方法
KR102430654B1 (ko) 파일 인양구
US20160076216A1 (en) Hammering devi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hammering device
KR20060123478A (ko) 동적 지면 다지기 방법 및 장치
JP6523064B2 (ja) パイプ式表層崩壊予防施設及びパイプ式表層崩壊予防施設の施工方法
JP2022537082A (ja) 杭引き上げチャック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杭引き上げ装置
CN210368921U (zh) 一种高速强夯机
KR950007007B1 (ko) 중량물 호이스팅재(hoisting member)의 분리장치
KR101622558B1 (ko)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US3242997A (en) Pile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178546B1 (ko) 케이싱 일체형 드롭해머장치
CN211057883U (zh) 一种高应变法桩基动测试验重锤脱钩装置
KR102099320B1 (ko) 해머안전장치를 가진 항타장치
CN214794263U (zh) 一种建筑检测承载力检测装置
JP6767854B2 (ja) 建物の解体材搬出システム
NO309990B1 (no) Fralands oljeborings- eller produksjonsplattform
KR101976724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가이드 레일의 설치방법
JPS5839974B2 (ja) 地中にコンクリ−トパイルを造るためのボ−リング装置
CN111535316A (zh) 一种与挖掘机配套使用的地下开花打桩机
KR100945243B1 (ko) 갱폼 인양장치
CN214143676U (zh) 一种用于钻孔灌注桩的护筒
KR101011811B1 (ko) 중량물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