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154B1 -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154B1
KR100857154B1 KR1020080035993A KR20080035993A KR100857154B1 KR 100857154 B1 KR100857154 B1 KR 100857154B1 KR 1020080035993 A KR1020080035993 A KR 1020080035993A KR 20080035993 A KR20080035993 A KR 20080035993A KR 100857154 B1 KR100857154 B1 KR 100857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plate
frame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은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신
Priority to KR1020080035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58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or probe and a control or evaluation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상판과 교량거더 사이의 교량교각 전후방측에 각각 하단이 기립고정되는 전후방판을 갖고, 전후방판 상단을 수평으로 이어주는 수평판을 갖되, 전후방판 중심측에는 상하측으로 수직장공이 각각 형성되는 내부고정틀과; 상기 내부고정틀 전후방판의 전후방측에 각각 위치되는 전후방승강판을 각각 갖고, 전후방승강판 상단을 수평으로 이어주되 교량상판 저면에 체결고정되는 수평승강판을 갖으며, 상기 수직장공 연장선상의 전후방승강판에는 중심측하단에서 상부로 슬라이딩장공이 각각 형성되는 외부승강틀과; 상기 내부고정틀의 수평판 상면중심에는 축바를 관통하는 축핀에 의해 좌우측으로 회동되는 수직관이 형성되되, 수직관 내부 하단에는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누름바를 갖는 상측누름스위치가 형성되고, 누름바는 외측나사부를 갖으며, 내측나사부를 갖는 높낮이조절관이 상단부에서 승강되어 길이가 연장/축소되고, 수직관 내주연에는 수평유지탄성스프링이 위치되며, 수직관 상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단은 관통공을 통해 수직관 내측에서 수평유지탄성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는 탄발판을 갖고 타단은 관통공을 통해 직상부의 상기 외부승강틀 수평승강판 저면에 축고정되는 수직봉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승강틀의 침하시 이를 감지한 상측누름스위치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신호를 송출하는 상판침하진단틀과; 상기 내부고정틀의 수평판 전후방 중심측에 각각 위치되어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하부로 돌출된 누름바를 갖는 하측누름스위치가 형성되되, 하측누름스위치 하단에는 수평판을 하부로 관통하는 통공을 통해 하 단에 고리부를 갖고 스프링에 의해 수평판과 하측누름스위치를 이격시키는 작동고리가 형성되고, 작동고리 하단의 고리부에는 인장코일스프링 상단이 고정설치되며, 상측으로는 인장코일스프링 하단이 걸림고정되는 걸고리를 갖고 전후방측으로는 상기 내부고정틀의 수직장공을 통해 상기 외부승강틀의 슬라이딩장공 내외측에서 승강안내판이 고정볼트에 의해 선단면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승강되는 승하강축을 갖으며 승하강축 중심측에서 좌우측으로 수평연장되어 교량거더 하단면에 상기 인장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걸림고정되는 좌우측걸림바가 형성되어 교량거더의 침하시 이를 감지한 하측누름스위치에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신호를 송출하는 거더침하진단틀과; 상기 상판침하진단틀의 상측누름스위치와 상기 거더침하진단틀의 하측누름스위치와 각각 연결되어 신호 송출시 이를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이를 인지시키고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시행하도록 유도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구비하는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량기초의 교량교각 전후방측에 고정되는 내부고정틀이 형성되고, 그 상측에 교량상판 하면에 밀착되어 승강되는 외부승강틀이 고정설치되어 교량 상부시설의 상하방향으로의 처짐상태 변위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교량 상부시설에서의 처짐상태 변위를 쉽고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어 교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내부고정틀, 외부승강틀, 상판침하진단틀, 거더침하진단틀, 관리자 단말기

Description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Apparatus for diagnostic hang down of bridge upper intrastructure}
본 발명은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기초의 교량교각 전후방측에 고정되는 내부고정틀이 형성되고, 그 상측에 교량상판 하면에 밀착되어 승강되는 외부승강틀이 고정설치되어 교량 상부시설의 상하방향으로의 처짐상태 변위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교량 상부시설에서의 처짐상태 변위를 쉽고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어 교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라 함은 하천 ·호소(湖沼) ·해협 ·만(灣) ·운하 ·저지 또는 다른 교통로나 구축물(構築物)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만든 고가구조물로서, 교량기초의 상부에 교좌장치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교량상판을 지지하는 스틸박스가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교량은 상부에서의 지속적인 하중과, 교량이 설치되는 지반의 변화 및 교좌장치의 변형 등 여러 이유로 인해 교량상부시설에 처짐이 발생하는 등의 변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교량에서의 변위가 발생되면, 교량기초 및 스틸박스의 안정성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으며, 현재에는 교량 상부시설에서의 처짐 등으로 인한 교량 상부시설의 변위를 측정하는 장치가 없어 교량의 안정성 측면을 측정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량기초의 교량교각 전후방측에 고정되는 내부고정틀이 형성되고, 그 상측에 교량상판 하면에 밀착되어 승강되는 외부승강틀이 고정설치되어 교량 상부시설의 상하방향으로의 처짐상태 변위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교량 상부시설에서의 처짐상태 변위를 쉽고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어 교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상판과 교량거더 사이의 교량교각 전후방측에 각각 하단이 기립고정되는 전후방판을 갖고, 전후방판 상단을 수평으로 이어주는 수평판을 갖되, 전후방판 중심측에는 상하측으로 수직장공이 각각 형성되는 내부고정틀과;
상기 내부고정틀 전후방판의 전후방측에 각각 위치되는 전후방승강판을 각각 갖고, 전후방승강판 상단을 수평으로 이어주되 교량상판 저면에 체결고정되는 수평승강판을 갖으며, 상기 수직장공 연장선상의 전후방승강판에는 중심측하단에서 상부로 슬라이딩장공이 각각 형성되는 외부승강틀과;
상기 내부고정틀의 수평판 상면중심에는 축바를 관통하는 축핀에 의해 좌우측으로 회동되는 수직관이 형성되되, 수직관 내부 하단에는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누름바를 갖는 상측누름스위치가 형성되고, 누름바는 외측나 사부를 갖으며, 내측나사부를 갖는 높낮이조절관이 상단부에서 승강되어 길이가 연장/축소되고, 수직관 내주연에는 수평유지탄성스프링이 위치되며, 수직관 상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단은 관통공을 통해 수직관 내측에서 수평유지탄성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는 탄발판을 갖고 타단은 관통공을 통해 직상부의 상기 외부승강틀 수평승강판 저면에 축고정되는 수직봉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승강틀의 침하시 이를 감지한 상측누름스위치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신호를 송출하는 상판침하진단틀과;
상기 내부고정틀의 수평판 전후방 중심측에 각각 위치되어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하부로 돌출된 누름바를 갖는 하측누름스위치가 형성되되, 하측누름스위치 하단에는 수평판을 하부로 관통하는 통공을 통해 하단에 고리부를 갖고 스프링에 의해 수평판과 하측누름스위치를 이격시키는 작동고리가 형성되고, 작동고리 하단의 고리부에는 인장코일스프링 상단이 고정설치되며, 상측으로는 인장코일스프링 하단이 걸림고정되는 걸고리를 갖고 전후방측으로는 상기 내부고정틀의 수직장공을 통해 상기 외부승강틀의 슬라이딩장공 내외측에서 승강안내판이 고정볼트에 의해 선단면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승강되는 승하강축을 갖으며 승하강축 중심측에서 좌우측으로 수평연장되어 교량거더 하단면에 상기 인장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걸림고정되는 좌우측걸림바가 형성되어 교량거더의 침하시 이를 감지한 하측누름스위치에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신호를 송출하는 거더침하진단틀과;
상기 상판침하진단틀의 상측누름스위치와 상기 거더침하진단틀의 하측누름스위치와 각각 연결되어 신호 송출시 이를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이를 인지시키고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시행하도록 유도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기초의 교량교각 전후방측에 고정되는 내부고정틀이 형성되고, 그 상측에 교량상판 하면에 밀착되어 승강되는 외부승강틀이 고정설치되어 교량 상부시설의 상하방향으로의 처짐상태 변위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교량 상부시설에서의 처짐상태 변위를 쉽고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어 교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의 요부확대한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는, 교량교각(62)의 중심측 전후방측에 하단이 고정되는 내부고정틀(10)과, 내부고정틀(10) 외측에 위치되어 상단면이 교량상판(60) 저면에 고정되는 외부승강틀(20)과, 내부고정틀(10)과 외부고정틀(20) 사이에 위치되어 교량상판(60)의 침하를 진단하는 상판침하진단틀(30,30a)과, 교량거더(61,61a)의 침하를 진단하는 거더침하진단틀(40)과, 상판침하진단틀(30,30a)과 거더침하진단틀(40)과 각각 연결되어 침하시 이를 관리자에게 인지시키는 관리자 단말기(50)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고정틀(10)은 교량상판(60)과 교량거더(61,61a) 사이의 교량교각(62) 전후방측에 각각 하단이 기립고정되는 전후방판(11,11a)을 갖고, 전후방판(11,11a) 상단을 수평으로 이어주는 수평판(12)을 갖되, 전후방판(11,11a) 중심측에는 상하측으로 수직장공(13,13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외부승강틀(20)은 상기 내부고정틀(10) 전후방판(11,11a)의 전후방측에 각각 위치되는 전후방승강판(21,21a)을 각각 갖고, 전후방승강판(21,21a) 상단을 수평으로 이어주되 교량상판(60) 저면에 체결고정되는 수평승강판(22)을 갖으며, 상기 수직장공(13,13a) 연장선상의 전후방승강판(21,21a)에는 중심측하단에서 상부로 슬라이딩장공(23,23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판침하진단틀(30,30a)은 상기 내부고정틀(10)의 수평판(12) 상면중심에는 축바(31)를 관통하는 축핀(31a)에 의해 좌우측으로 회동되는 수직관(32)이 형성되되, 수직관(32) 내부 하단에는 관리자 단말기(50)와 연결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누름바(33a)를 갖는 상측누름스위치(33)가 형성되고, 누름바(33a)는 외측나사부(33b)를 갖으며, 내측나사부(34a)를 갖는 높낮이조절관(34)이 누름바(33a) 상단부에서 승강되면서 길이가 연장/축소되고, 수직관(32) 내주연에는 수평유지탄성스프링(35)이 위치되며, 수직관(32) 상단에는 관통공(32a)이 형성되며, 일단은 관통공(32a)을 통해 수직관(32) 내측에서 수평유지탄성스프링(35)에 의해 탄발되는 탄발판(36a)을 갖고 타단은 관통공(32a)을 통해 직상부의 상기 외부승강틀(20) 수평승강판(22) 저면에 축고정되는 수직봉(36)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승강틀(20)의 침하시 이를 감지한 상측누름스위치(33)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50)로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거더침하진단틀(40)은 상기 내부고정틀(10)의 수평판(12) 전후방 중심측에 각각 위치되어 관리자 단말기(50)와 연결되어 하부로 돌출된 누름바(41a)를 갖는 하측누름스위치(41)가 형성되되, 하측누름스위치(41) 타측하단에는 상기 수평판(12)을 하부로 관통하는 통공(42c)을 통해 하단에 고리부(42a)를 갖고 스프링(42b)에 의해 수평판(12)과 하측누름스위치(41)를 이격시키는 작동고리(42)가 형성되고, 작동고리(42) 하단의 고리부(42a)에는 인장코일스프링 (43) 상단이 고정설치되며, 상측으로는 인장코일스프링(43) 하단이 걸림고정되는 걸고리(44a)를 갖고 전후방측으로는 상기 내부고정틀(10)의 수직장공(13,13a)을 통해 상기 외부승강틀(20)의 슬라이딩장공(23,23a) 내외측에서 승강안내판(44b)이 고정볼트(44c)에 의 해 선단면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승강되는 승하강축(44)을 갖으며 승하강축(44) 중심측에서 좌우측으로 수평연장되어 교량거더(61,61a) 하단면에 각각 상기 인장코일스프링(43)의 탄성에 의해 걸림고정되는 좌우측걸림바(45,45a)가 형성되어 교량거더(61,61a)의 침하시 이를 감지한 하측누름스위치(41)에 통해 관리자 단말기(50)로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50)는 상기 상판침하진단틀(30,30a)의 상측누름스위치(33)와 상기 거더침하진단틀(40)의 하측누름스위치(41)와 각각 연결되어 신호 송출시 이를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이를 인지시키고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시행하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내부고정틀(10) 전후방판(11,11a)의 상기 외부승강틀(20) 하단 주변과 상기 승강안내판(44b)의 상하부 주면에는 일정 범위 내에서 안전표시부(14)를 색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표시부(14) 외측으로는 보다 구별되는 색상으로 일정범주를 표현한 위험표시부(15)를 형성하여 관리자가 교량 상부시설의 침하상태를 시각적으로도 바로 구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의 요부확대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부고정틀 11,11a : 전후방판
12 : 수평판 13,13a : 수직장공
14 : 안전표시부 15 : 위험표시부
20 : 외부승강틀 21,21a : 전후방승강판
22 : 수평승강판 23,23a : 슬라이딩장공
30,30a : 상판침하진단틀 31 : 축바
31a : 축핀 32 : 수직관
32a : 관통공 33 : 상측누름스위치
33a : 누름바 33b : 외측나사부
34 : 높낮이조절관 34a : 내측나사부
35 : 수평유지탄성스프링 36 : 수직봉
36a : 탄발판
40 : 거더침하진단틀 41 : 하측누름스위치
41a : 누름바 42 : 작동고리
42a : 고리부 42b : 스프링
42c : 통공 43 : 인장코일스프링
44 : 승하강축 44a : 걸고리
44b : 승강안내판 44c : 고정볼트
45,45a : 좌우측걸림바
50 : 관리자 단말기
60 : 교량상판 61,61a : 교량거더
62 : 교량교각

Claims (1)

  1. 교량상판과 교량거더 사이의 교량교각 전후방측에 각각 하단이 기립고정되는 전후방판을 갖고, 전후방판 상단을 수평으로 이어주는 수평판을 갖되, 전후방판 중심측에는 상하측으로 수직장공이 각각 형성되는 내부고정틀과;
    상기 내부고정틀 전후방판의 전후방측에 각각 위치되는 전후방승강판을 각각 갖고, 전후방승강판 상단을 수평으로 이어주되 교량상판 저면에 체결고정되는 수평승강판을 갖으며, 상기 수직장공 연장선상의 전후방승강판에는 중심측하단에서 상부로 슬라이딩장공이 각각 형성되는 외부승강틀과;
    상기 내부고정틀의 수평판 상면중심에는 축바를 관통하는 축핀에 의해 좌우측으로 회동되는 수직관이 형성되되, 수직관 내부 하단에는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누름바를 갖는 상측누름스위치가 형성되고, 누름바는 외측나사부를 갖으며, 내측나사부를 갖는 높낮이조절관이 상단부에서 승강되어 길이가 연장/축소되고, 수직관 내주연에는 수평유지탄성스프링이 위치되며, 수직관 상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단은 관통공을 통해 수직관 내측에서 수평유지탄성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는 탄발판을 갖고 타단은 관통공을 통해 직상부의 상기 외부승강틀 수평승강판 저면에 축고정되는 수직봉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승강틀의 침하시 이를 감지한 상측누름스위치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신호를 송출하는 상판침하진단틀과;
    상기 내부고정틀의 수평판 전후방 중심측에 각각 위치되어 관리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하부로 돌출된 누름바를 갖는 하측누름스위치가 형성되되, 하측누름스위 치 하단에는 수평판을 하부로 관통하는 통공을 통해 하단에 고리부를 갖고 스프링에 의해 수평판과 하측누름스위치를 이격시키는 작동고리가 형성되고, 작동고리 하단의 고리부에는 인장코일스프링 상단이 고정설치되며, 상측으로는 인장코일스프링 하단이 걸림고정되는 걸고리를 갖고 전후방측으로는 상기 내부고정틀의 수직장공을 통해 상기 외부승강틀의 슬라이딩장공 내외측에서 승강안내판이 고정볼트에 의해 선단면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승강되는 승하강축을 갖으며 승하강축 중심측에서 좌우측으로 수평연장되어 교량거더 하단면에 상기 인장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걸림고정되는 좌우측걸림바가 형성되어 교량거더의 침하시 이를 감지한 하측누름스위치에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신호를 송출하는 거더침하진단틀과;
    상기 상판침하진단틀의 상측누름스위치와 상기 거더침하진단틀의 하측누름스위치와 각각 연결되어 신호 송출시 이를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이를 인지시키고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시행하도록 유도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구비하는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KR1020080035993A 2008-04-18 2008-04-18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KR100857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993A KR100857154B1 (ko) 2008-04-18 2008-04-18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993A KR100857154B1 (ko) 2008-04-18 2008-04-18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154B1 true KR100857154B1 (ko) 2008-09-05

Family

ID=4002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993A KR100857154B1 (ko) 2008-04-18 2008-04-18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1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689B1 (ko) 2011-01-07 2011-03-25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KR20170034801A (ko) * 2017-03-06 2017-03-29 임재홍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KR20210089471A (ko) * 2020-01-08 2021-07-16 재단법인 한국전자기계융합기술원 노내비계 하중 모니터링을 위한 저항형 변위센서
KR20220035709A (ko) * 2020-09-14 2022-03-22 주식회사 지오테크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739Y1 (ko) 2001-04-17 2001-10-26 (주) 한국건설안전기술단 다리나 고가도로의 처짐을 측정하는 장치
KR200329596Y1 (ko) 2003-06-23 2003-10-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접촉식 센서 모듈
KR100667585B1 (ko) 2006-09-15 2007-01-1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상하수도관용 침하 계측장치
KR100722173B1 (ko) 2006-10-17 2007-05-28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교량 횡방향 변형계측 안전진단장치
KR100723013B1 (ko) 2006-11-18 2007-05-30 (주) 장맥엔지니어링 지중매설물 안전점검 및 진단구조
KR100807128B1 (ko) 2007-08-06 2008-02-27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안전진단 계측물과 낙하 방지물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안전진단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739Y1 (ko) 2001-04-17 2001-10-26 (주) 한국건설안전기술단 다리나 고가도로의 처짐을 측정하는 장치
KR200329596Y1 (ko) 2003-06-23 2003-10-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접촉식 센서 모듈
KR100667585B1 (ko) 2006-09-15 2007-01-1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상하수도관용 침하 계측장치
KR100722173B1 (ko) 2006-10-17 2007-05-28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교량 횡방향 변형계측 안전진단장치
KR100723013B1 (ko) 2006-11-18 2007-05-30 (주) 장맥엔지니어링 지중매설물 안전점검 및 진단구조
KR100807128B1 (ko) 2007-08-06 2008-02-27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안전진단 계측물과 낙하 방지물을 이용한 교량 상판의안전진단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689B1 (ko) 2011-01-07 2011-03-25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KR20170034801A (ko) * 2017-03-06 2017-03-29 임재홍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KR101991346B1 (ko) * 2017-03-06 2019-06-20 임재홍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KR20210089471A (ko) * 2020-01-08 2021-07-16 재단법인 한국전자기계융합기술원 노내비계 하중 모니터링을 위한 저항형 변위센서
KR102304686B1 (ko) * 2020-01-08 2021-09-23 재단법인 한국전자기계융합기술원 노내비계 하중 모니터링을 위한 저항형 변위센서
KR20220035709A (ko) * 2020-09-14 2022-03-22 주식회사 지오테크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
KR102430871B1 (ko) * 2020-09-14 2022-08-09 주식회사 지오테크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154B1 (ko)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CN101717047B (zh) 一种电动葫芦起重机超载保护装置
KR200443692Y1 (ko) 교량 강교박스 슬리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KR200444090Y1 (ko) 교량 캔틸레버 구간의 변형감지를 이룰 수 있는 안전진단장치
KR102271533B1 (ko) 안정성이 향상된 교량받침 구조
KR100742154B1 (ko)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
KR100842206B1 (ko) 교량 상부 캔틸레버 구간의 철재빔 처짐진단장치
KR100866319B1 (ko) 교량 강교 캔틸레버 구간의 철재빔 처짐 진단장치
KR100607470B1 (ko) 교량 상부구조물 변형측정용 안전진단장치
KR100479677B1 (ko)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KR100725059B1 (ko) 교각 수직부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CN210263180U (zh) 一种工程桩基检测装置
KR100585336B1 (ko) 교량 캔틸레버 안전진단장치
KR100741716B1 (ko) 교량 캔틸레버 구간의 변형감지를 이룰 수 있는안전진단장치
KR100857160B1 (ko)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KR100952593B1 (ko) 교량의 안전진단용 신축 계측장치
KR100473480B1 (ko) 교량상판 안전진단용 변형측정장치
KR20110010844A (ko) 교좌장치
KR100457169B1 (ko) 교량상판 캠버측정용 안전진단장치
KR100851246B1 (ko)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KR100565848B1 (ko) 교량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안전진단장치
KR100457376B1 (ko) 교량상판 캠버측정용 안전진단장치
KR100473482B1 (ko) 교량의 안전 진단용 변형측정장치
KR200362380Y1 (ko) 와이어를 이용한 교량상판의 안전진단장치
KR20040103867A (ko) 구조물 처짐측정용 안전진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