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709A -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5709A KR20220035709A KR1020200117787A KR20200117787A KR20220035709A KR 20220035709 A KR20220035709 A KR 20220035709A KR 1020200117787 A KR1020200117787 A KR 1020200117787A KR 20200117787 A KR20200117787 A KR 20200117787A KR 20220035709 A KR20220035709 A KR 202200357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ckling
- safety
- brace
- earth retaining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615 non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6—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more than one pendulum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이 일부 설치된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버팀보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제2좌굴강화수단 부위가 도시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좌굴감지수단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2좌굴강화수단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A"부위가 확대되어 제2 좌굴감지수단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기울기감지수단이 도시된 내부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안전수단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안전수단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흙막이 시스템의 경보계통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200:이음재
210:반고리형 플레이트 211:연결부
212:제1리브 220:고정부재
300:제1 좌굴감지수단
310:체결편 320:상부편
321:상부슬롯 330:하부편
331:하부슬롯 340:장착부재
400:제1좌굴강화수단
410:고정판 411:제1고정판
412:제2고정판 420:끼움부
421:제1끼움부 422:제2끼움부
500:제2좌굴강화수단
510:연장부재 520:제2리브
530:관통체결부재
600:제2 좌굴감지수단
610:감지센서 611:감지링
612:고무패드 620:제1전원
700:기울기감지수단
710:본체 720:와이어
730:무게추 740:롤러
750:접촉판 760:제2전원
770:경광등
800:안전수단
810: 상부몸체 811:상부결합홀
820:하부몸체 821:하부결합홀
830:거치대 831:체결홀
840:체결부재 850:안전로프
860:본체 861:정착홀
862:정착구
900:제어기
W:흙막이벽체. S:발판.
Claims (6)
- 흙막이벽체(W), 이 흙막이벽체(W)를 지지하도록 다수 연결된 버팀보(100)와, 버팀보(100)의 상부에 설치된 발판(S)을 구비하는 흙막이 시스템에서,
상기 발판(S)의 하면에 고정된 체결편(310), 체결편(310)에 고정되어 하방 돌출되고 상부슬롯(321)을 구비한 상부편(320), 상부편(320)에 겹쳐져 하면이 버팀보(100)에 접촉되고 상부슬롯(321)에 중첩되면서 높이 방향으로 가공된 하부슬롯(331)을 구비한 하부편(330)과, 상부편(320)에 대해 하부편(330)이 상하 이동하도록 상부슬롯(321)과 하부슬롯(331)을 관통하여 체결된 장착부재(340)를 구비한 제1 좌굴감지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버팀보(100)의 좌굴에 의해 하부편(330)이 상부편(320)에 대해 상하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
- 청구항 1에서,
상기 이웃한 버팀보(100)들의 선단부위를 감싸는 적어도 1개의 반고리형 플레이트(210), 반고리형 플레이트(210)들의 양쪽 선단이 외향 굴절된 연결부(211)와, 연결부(211)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가공된 다수의 제1리브(212)와, 상호 맞닿은 연결부(211)들을 체결하는 고정부재(220)를 구비한 이음재(200);와
상기 버팀보(100)에 고정된 일정 길이의 연장부재(510), 연장부재(5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가공된 다수의 제2리브(520)를 구비한 제2좌굴강화수단(500);을 포함하고,
상기 제2좌굴강화수단(500)은 이음재(200)와 길이 방향으로 잇대어 연속 배치된 상태에서 제1리브(212)들과 제2리브(520)들을 관통하여 체결된 관통체결부재(530)를 더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
- 청구항 2에서,
상기 이음재(200)와 제2좌굴강화수단(500) 사이에 개재되고, 관통체결부재(530)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2 좌굴감지수단(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좌굴감지수단(600)은 도체의 감지링(611), 감지링(611)의 중앙 부위의 일부 범위에 돌출 고정된 부도체의 고무패드(612)와, 감지링(611)에 양극, 이음재(200) 및 제2좌굴강화수단(500)에 음극을 각각 연결한 제1전원(620)을 구비하고,
상기 부도체의 고무패드(612)에 의해 이음재(200)와 제2좌굴강화수단(500)이 이격된 상태에서 버팀보(100)가 좌굴되면 이음재(200)와 제2좌굴강화수단(500)이 굽혀지면서 감지링(611)과 맞닿아 통전되면 경고등 및 경보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
- 청구항 1에서,
상기 발판(S)에 고정되는 적어도 1개의 고정판(410), 고정판(410)에 하방 돌출된 적어도 1개의 끼움부(420)를 구비하는 제1좌굴강화수단(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좌굴강화수단(400)은 발판(S)에 고정판(410)이 고정되고, 끼움부(420)가 반고리형 플레이트(210)의 양쪽 선단부의 연결부(211)들 사이에 개재되어 함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
- 청구항 1에서,
상기 발판(S)에 고정된 본체(710), 흙막이벽체(W)에 일단이 고정된 와아어(720), 본체(71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롤러(740)를 따라 하방 굴절된 와아어(720)의 타단에 고정된 무게추(730), 무게추(730)의 하방에 이격되어 위치한 접촉판(750), 무게추(730)와 접촉판(750)에 각각 양극과 음극을 연결한 제2전원(760)을 구비한 기울기감지수단(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팀보(100)가 좌굴되면 무게추(730)와 접촉판(750)이 통전되어 경보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
- 청구항 1에서,
상기 발판(S)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세워진 거치대(830), 거치대(83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면에 반원 형상의 하부결합홀(821)을 갖는 하부몸체(820), 하부몸체(820)에 합체되고 하면에 반원 형상의 상부결합홀(811)을 갖는 상부몸체(810), 정합된 상부결합홀(811)과 하부결합홀(821)을 통과하면서 상부몸체(810)와 하부몸체(820)에 의해 파지되는 안전로프(850)를 구비하거나,
상기 발판(S)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세워진 거치대(830), 거치대(830)의 상부에 장착되고 양측부에 상하의 사선 방향으로 정착홀(861)이 가공된 몸체(860), 정착홀(861)을 관통한 안전로프(850)의 끝 부위를 감싸면서 고정되고 정착홀(861)에 억지끼움결합하는 쐐기 형상의 정착구(862)를 구비하는 안전수단(8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로프(850)는 양측 선단이 각각 대응 위치한 흙막이벽체(W)에 고정된 1가닥이거나, 흙막이벽체(W) 및 상,하부몸체(810,820) 또는, 상,하부몸체(810,820)들 사이 마다 배치된 여러 가닥이고,
상기 안전로프(850)는 상부결합홀(811)과 하부결합홀(821)이 적어도 1개가 가공되거나, 상기 정착홀(861)이 적어도 1개가 가공되어 적어도 1가닥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7787A KR102430871B1 (ko) | 2020-09-14 | 2020-09-14 |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7787A KR102430871B1 (ko) | 2020-09-14 | 2020-09-14 |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5709A true KR20220035709A (ko) | 2022-03-22 |
KR102430871B1 KR102430871B1 (ko) | 2022-08-09 |
Family
ID=80992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7787A Active KR102430871B1 (ko) | 2020-09-14 | 2020-09-14 |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087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005475A (zh) * | 2023-08-11 | 2023-11-07 | 宁波宁大工程建设监理有限公司 | 一种建筑施工基坑支护检测装置 |
KR102780151B1 (ko) * | 2024-06-26 | 2025-03-13 | (주)에이티맥스 | 흙막이 가시설용 이상 거동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상 거동 모니터링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8977B1 (ko) | 2006-11-01 | 2008-03-04 | (주)써포텍 |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버팀보의 연결장치 |
KR100857154B1 (ko) * | 2008-04-18 | 2008-09-05 | 주식회사 정신 |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
KR101322020B1 (ko) | 2011-12-01 | 2013-10-28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마찰접합형 강관 버팀보용 연결장치,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지지용 강관 버팀보 및 그 버팀보의 시공방법 |
KR101601166B1 (ko) | 2015-10-21 | 2016-03-08 |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 간격조절이 가능한 강관버팀보 일체형 연결잭 |
KR20170036919A (ko) * | 2015-09-24 | 2017-04-04 | 주식회사 씨케이 | 작업 발판을 구비하는 원형 강관 버팀보 |
-
2020
- 2020-09-14 KR KR1020200117787A patent/KR10243087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8977B1 (ko) | 2006-11-01 | 2008-03-04 | (주)써포텍 |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버팀보의 연결장치 |
KR100857154B1 (ko) * | 2008-04-18 | 2008-09-05 | 주식회사 정신 | 교량 상부시설의 처짐상태 진단장치 |
KR101322020B1 (ko) | 2011-12-01 | 2013-10-28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마찰접합형 강관 버팀보용 연결장치,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지지용 강관 버팀보 및 그 버팀보의 시공방법 |
KR20170036919A (ko) * | 2015-09-24 | 2017-04-04 | 주식회사 씨케이 | 작업 발판을 구비하는 원형 강관 버팀보 |
KR101601166B1 (ko) | 2015-10-21 | 2016-03-08 |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 간격조절이 가능한 강관버팀보 일체형 연결잭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005475A (zh) * | 2023-08-11 | 2023-11-07 | 宁波宁大工程建设监理有限公司 | 一种建筑施工基坑支护检测装置 |
CN117005475B (zh) * | 2023-08-11 | 2024-03-26 | 宁波宁大工程建设监理有限公司 | 一种建筑施工基坑支护检测装置 |
KR102780151B1 (ko) * | 2024-06-26 | 2025-03-13 | (주)에이티맥스 | 흙막이 가시설용 이상 거동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상 거동 모니터링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0871B1 (ko) | 2022-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08604B2 (en) | Single anchor terminal | |
KR101928332B1 (ko) | 가설구조물 붕괴감지 모니터링 장치 | |
KR20220035709A (ko) | 좌굴감지 및 좌굴강화수단을 구비한 안전보강 흙막이 시스템 | |
KR101595702B1 (ko) | 보강브릿지가 구비된 강판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0991208B1 (ko) | 개량된 흙막이 가시설용 프리스트레스 강재띠장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420374B1 (ko) | 에이치빔 띠장 지지용 브라켓 | |
KR101844743B1 (ko) | 배부름 현상에 대응하는 흙막이 장치 및 흙막이 공법 | |
KR20130128886A (ko) |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 | |
CN110778094A (zh) | 高空大跨度拉索网操作平台及施工方法 | |
KR101767845B1 (ko) | 상부구조물의 추락방지를 겸하는 교량받침 교체 방법 | |
KR101203725B1 (ko) | 긴장장치를 구비하는 철골구조체 | |
KR101257367B1 (ko) | 절곡연결대를 이용한 방호시설 시공방법 | |
KR101955852B1 (ko) | 흙막이 가지설용 버팀보 및 지주 구조체 | |
KR102704736B1 (ko) | 시공 안전성을 높인 띠장의 설치 방법 및 그 구조 | |
KR101910844B1 (ko) | 타워크레인 rc 하부 지지대 구조물 및 시공방법 | |
KR101912770B1 (ko) | 스프링판재를 이용한 강지보재 임시고정장치 | |
JP2019108701A (ja) | 補強土壁工事の安全対策用柵 | |
CN211036969U (zh) | 钻孔灌注桩钢筋笼导向装置 | |
CN221002023U (zh) | 一种型钢悬挑卸料平台装置 | |
JP5322214B2 (ja) | 既存の木造住宅における土台の補強方法 | |
KR200414065Y1 (ko) | 강관 및 다수의 강선을 구비한 h 빔 띠장 | |
KR200449592Y1 (ko) | 어스 앵커용 브라켓 | |
KR20070015833A (ko) | 강관 및 다수의 강선을 구비한 h 빔 띠장 및 그 h 빔띠장의 시공 방법 | |
JP2019183437A (ja) | 腹起し設置具及び腹起し設置構造 | |
JP6368562B2 (ja) | 杭基礎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