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154B1 -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 - Google Patents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154B1
KR100742154B1 KR1020070033061A KR20070033061A KR100742154B1 KR 100742154 B1 KR100742154 B1 KR 100742154B1 KR 1020070033061 A KR1020070033061 A KR 1020070033061A KR 20070033061 A KR20070033061 A KR 20070033061A KR 100742154 B1 KR100742154 B1 KR 10074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bridge
top plate
joi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표
Original Assignee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3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2Constructional details of contacts for gauges actuating one or more conta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교량상판의 신축 조인트 일측선단 상면에 위치되는 판체로, 몸체상면에는 고정볼트에 의해 일측교량상판에 체결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몸체일측으로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일측돌출핑거와 요부형성된 일측핑거요홈이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일측돌출핑거 선단에는 몸체내측으로 원통체인 가이드관이 삽입되는 관삽입공이 형성되며, 몸체하단 중심에는 장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장착홈에는 개방부가 하부로 향하게 ㄷ형상의 센서장착박스가 고정되고, 상기 센서장착박스에는 상기 일측돌출핑거의 가이드관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연장선상에는 센서가 고정장착되는 일측핑거조인트와; 상기 일측핑거조인트와 수평방향으로 대향되는 타측교량상판의 상면에 위치되는 판체로, 몸체상면에는 고정볼트에 의해 타측교량상판에 체결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몸체타측으로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일측핑거요홈에 삽입되는 타측돌출핑거와 상기 일측돌출핑거가 삽입되는 요부형성된 타측핑거요홈이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삽입공의 연장선상인 상기 타측핑거요홈에는 상기 가이드관 내부에 삽입되어 교량상판의 신축시 센서를 눌러 작동시키는 터치봉의 일단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타측핑거조인트와; 상기 일측교량상판의 상단에 고정장착되어 일타측교량상단의 신축으로 상기 일측핑거조인트의 센서가 상기 타측핑거조인트의 터치봉에 의해서 접촉시 이를 감지하여 외부로 발광되는 경광등을 구비하는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각구조물 상부에 교량상판의 팽창과 수축의 정도를 측정하여 측정변위가 기분을 초과할 경우 이를 미리 감지하여 외부로 알려주어 이에 대한 대처를 강구하게 함으로써 교량상판 연결부의 변형으로 인한 교량상판의 균열이나 심한 처짐 및 변형을 미연에 파악할 수 있어 교량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측핑거조인트, 타측핑거조인트, 센서, 터치봉, 경광등

Description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Structure for diagnosis operating state of expansion joint of bridge}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의 시공후 신축전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의 시공후 신축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일측핑거조인트 11 : 일측돌출핑거
12 : 관십입공 13 : 가이드관
14 : 일측핑거요홈 15 : 장착홈
16 : 센서장착박스 17 : 관통공
18 : 센서 19 : 고정공
19a : 고정볼트 20 : 타측핑거조인트
21 : 타측돌출핑거 22 : 타측핑거요홈
23 : 체결공 24 : 터치봉
25 : 고정공 25a : 고정볼트
30 : 경광등 40 : 일측교량상판
50 : 타측교량상판
본 발명은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각구조물 상부에 교량상판의 팽창과 수축의 정도를 측정하여 측정변위가 기분을 초과할 경우 이를 미리 감지하여 외부로 알려주어 이에 대한 대처를 강구하게 함으로써 교량상판 연결부의 변형으로 인한 교량상판의 균열이나 심한 처짐 및 변형을 미연에 파악할 수 있어 교량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橋梁;bridge;다리)은 하천, 호소(湖沼), 해협, 만(灣), 운하, 저지 또는 다른 교통로나 구축물(構築物)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만든 고가구조물로, 지지할 시설의 종류 및 건너야 할 것의 종류에 따라 다종다양한 교량이 있다. 그러나 교량의 역할은 거의 같아서 첫째, 교량이 받쳐주는 통로와 시설의 기능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일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耐久性)을 갖추어야 한다. 다음에 거의 모든 교량은 공공적(公共的)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 로, 가급적 경제적으로 만들 것이 요구되며, 그러기 위해서 구조공학의 정수(精髓)를 모아 사용재료, 구조형식 등을 비교 검토하여 가장 합리적인 안전성과 사용성 및 경제성이 확보되도록 해야 한다. 또 그것이 만들어지는 환경에 어울리게 아름다워야 한다.
이러한 교량은 교각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교좌장치를 설치하여 교량상판을 거치하는 방식으로 교량을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교량은 기온 변화에 의한 연결부의 반복적인 팽창과 수축으로 인해 교량상판의 변형을 미연에 파악하는 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교량상판의 이상유무를 파악할 수 없는바, 이로 인해 교량상판의 심한 처짐이나 교좌장치의 변형 또는 교각시설물의 침하가 발생되었을 경우 교량 안전에 심각한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이 지금의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각구조물 상부에 교량상판의 팽창과 수축의 정도를 측정하여 측정변위가 기분을 초과할 경우 이를 미리 감지하여 외부로 알려주어 이에 대한 대처를 강구하게 함으로써 교량상판의 연결부의 변형으로 인한 교량상판의 균열이나 심한 처짐 및 변형을 미연에 파악할 수 있어 교량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교량상판의 신축 조인트 일측선단 상면에 위치되는 판체로, 몸체상면에는 고정볼트에 의해 일측교량상판에 체결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몸체일측으로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일측돌출핑거와 요부형성된 일측핑거요홈이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일측돌출핑거 선단에는 몸체내측으로 원통체인 가이드관이 삽입되는 관삽입공이 형성되며, 몸체하단 중심에는 장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장착홈에는 개방부가 하부로 향하게 ㄷ형상의 센서장착박스가 고정되고, 상기 센서장착박스에는 상기 일측돌출핑거의 가이드관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연장선상에는 센서가 고정장착되는 일측핑거조인트와;
상기 일측핑거조인트와 수평방향으로 대향되는 타측교량상판의 상면에 위치되는 판체로, 몸체상면에는 고정볼트에 의해 타측교량상판에 체결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몸체타측으로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일측핑거요홈에 삽입되는 타측돌출핑거와 상기 일측돌출핑거가 삽입되는 요부형성된 타측핑거요홈이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삽입공의 연장선상인 상기 타측핑거요홈에는 상기 가이드관 내부에 삽입되어 일타측교량상판의 신축시 센서를 눌러 작동시키는 터치봉의 일단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타측핑거조인트와;
상기 일측교량상판의 상단에 고정장착되어 일타측교량상단의 신축으로 상기 일측핑거조인트의 센서가 상기 타측핑거조인트의 터치봉에 의해서 접촉시 이를 감지하여 외부로 발광되는 경광등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의 체결모습 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의 시공후 신축전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의 시공후 신축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는, 일측교량상판(40)의 선단에 고정되어 센서(18)에 의해 경광등(30)을 작동시키는 일측핑거조인트(10)와, 타측교량상판(50)의 선단에 고정되어 신축시 센서(18)를 작동시키는 타측핑거조인트(20)와, 센서(18) 작동에 의해 발광되는 경광등(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일측핑거조인트(10)는 일측교량상판(40)의 신축 조인트 일측선단 상면에 위치되어 타측핑거조인트(20)에 의해서 일타측교량상판(40,50)의 신축시 센서(18)가 작동되는 판체로, 몸체상면에는 고정볼트(19a)에 의해 일측교량상판(40)에 체결고정되는 고정공(19)이 형성되고, 몸체일측으로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일 측돌출핑거(11)와 요부형성된 일측핑거요홈(14)이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일측돌출핑거(11) 선단에는 몸체내측으로 원통체인 가이드관(13)이 삽입되는 관삽입공(12)이 형성되며, 몸체하단 중심에는 장착홈(15)이 형성되되, 상기 장착홈(15)에는 개방부가 하부로 향하게 ㄷ형상의 센서장착박스(16)가 고정되고, 상기 센서장착박스(16)에는 상기 일측돌출핑거(11)의 가이드관(13)과 연통되는 관통공(17)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7) 연장선상에는 센서(18)가 고정장착된다.
상기 타측핑거조인트(20)는 상기 일측핑거조인트(10)와 수평방향으로 대향되는 타측교량상판(50)의 상면에 위치되어 일타측교량상판(40,50)의 신축시 일측핑거조인트(10)의 센서(18)를 누르는 판체로, 몸체상면에는 고정볼트(25a)에 의해 타측교량상판(50)에 체결고정되는 고정공(25)이 형성되고, 몸체타측으로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일측핑거요홈(14)에 삽입되는 타측돌출핑거(21)와 상기 일측돌출핑거(11)가 삽입되는 요부형성된 타측핑거요홈(22)이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삽입공(12)의 연장선상인 상기 타측핑거요홈(22)에는 상기 가이드관(13) 내부에 삽입되어 일타측교량상판(40,50)의 신축시 센서(18)를 눌러 작동시키는 터치봉(24)의 일단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23)이 형성된다.
상기 경광등(30)은 상기 일측교량상판(40)의 상단에 고정장착되어 일타측교량상단(40,50)의 신축으로 상기 일측핑거조인트(10)의 센서(18)가 상기 타측핑거조인트(20)의 터치봉(24)에 의해서 접촉시 이를 감지하여 외부로 발광시켜 이를 알린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일타측교량상판(40,50) 열기에 의해서 신축되어 확장 되면 일측교량상판(40)의 일측핑거조인트(10)와 타측교량상판(50)의 타측핑거조인트(20)가 서로 가까워져 터치봉(24)의 성단이 일측돌출핑거(11)의 가이드관(13)을 통해 센서장착박스(16)의 관통공(17)을 통해 센서(18)를 누르면, 별도의 전원장치에 의해서 작동되는 센서(18)는 이를 감지하고 경광등(30)을 점증시켜 외부로 알리게 된다.
이를 감지한 관리자는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여 실행하면 되는바, 일타측교량상판(40,5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일타측교량상판(40,50) 중 한 곳만을 보수공사하여 그 간격을 더 넓게 조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교각구조물 상부에 교량상판의 팽창과 수축의 정도를 측정하여 측정변위가 기분을 초과할 경우 이를 미리 감지하여 외부로 알려주어 이에 대한 대처를 강구하게 함으로써 교량상판의 연결부의 변형으로 인한 교량상판의 균열이나 심한 처짐 및 변형을 미연에 파악할 수 있어 교량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일측교량상판의 신축 조인트 일측선단 상면에 위치되는 판체로, 몸체상면에는 고정볼트에 의해 일측교량상판에 체결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몸체일측으로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일측돌출핑거와 요부형성된 일측핑거요홈이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일측돌출핑거 선단에는 몸체내측으로 원통체인 가이드관이 삽입되는 관삽입공이 형성되며, 몸체하단 중심에는 장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장착홈에는 개방부가 하부로 향하게 ㄷ형상의 센서장착박스가 고정되고, 상기 센서장착박스에는 상기 일측돌출핑거의 가이드관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 연장선상에는 센서가 고정장착되는 일측핑거조인트와;
    상기 일측핑거조인트와 수평방향으로 대향되는 타측교량상판의 상면에 위치되는 판체로, 몸체상면에는 고정볼트에 의해 타측교량상판에 체결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몸체타측으로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일측핑거요홈에 삽입되는 타측돌출핑거와 상기 일측돌출핑거가 삽입되는 요부형성된 타측핑거요홈이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삽입공의 연장선상인 상기 타측핑거요홈에는 상기 가이드관 내부에 삽입되어 일타측교량상판의 신축시 센서를 눌러 작동시키는 터치봉의 일단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타측핑거조인트와;
    상기 일측교량상판의 상단에 고정장착되어 일타측교량상단의 신축으로 상기 일측핑거조인트의 센서가 상기 타측핑거조인트의 터치봉에 의해서 접촉시 이를 감지하여 외부로 발광되는 경광등을 구비하는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
KR1020070033061A 2007-04-04 2007-04-04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 KR10074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061A KR100742154B1 (ko) 2007-04-04 2007-04-04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061A KR100742154B1 (ko) 2007-04-04 2007-04-04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2154B1 true KR100742154B1 (ko) 2007-07-24

Family

ID=3849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061A KR100742154B1 (ko) 2007-04-04 2007-04-04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1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6198A (zh) * 2013-06-28 2013-09-18 西安中交万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桥梁减震装置及分析方法
KR101693759B1 (ko) * 2016-11-29 2017-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로드셀이 구비된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교량 안전진단 장치 및 그 방법
CN106436563A (zh) * 2016-06-30 2017-02-22 西安中交万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梳齿板多向变位桥梁伸缩装置和扭转方法
CN113137915A (zh) * 2021-04-22 2021-07-20 淮南市公路管理局直属分局 一种公路桥梁平整性检测设备
CN116289531A (zh) * 2023-03-06 2023-06-23 兰陵县交通运输局 一种道路工程用桥梁伸缩缝报警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77B1 (ko) 2004-12-09 2005-04-06 (주)대한이엔씨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JP2005091034A (ja) 2003-09-12 2005-04-07 Yokohama Rubber Co Ltd:The 鋼材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塩害検知システム及びその検知装置並びに鋼材コンクリート構造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1034A (ja) 2003-09-12 2005-04-07 Yokohama Rubber Co Ltd:The 鋼材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塩害検知システム及びその検知装置並びに鋼材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0479677B1 (ko) 2004-12-09 2005-04-06 (주)대한이엔씨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6198A (zh) * 2013-06-28 2013-09-18 西安中交万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桥梁减震装置及分析方法
CN106436563A (zh) * 2016-06-30 2017-02-22 西安中交万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梳齿板多向变位桥梁伸缩装置和扭转方法
CN106436563B (zh) * 2016-06-30 2018-10-23 西安中交万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梳齿板多向变位桥梁伸缩装置和扭转方法
KR101693759B1 (ko) * 2016-11-29 2017-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로드셀이 구비된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교량 안전진단 장치 및 그 방법
CN113137915A (zh) * 2021-04-22 2021-07-20 淮南市公路管理局直属分局 一种公路桥梁平整性检测设备
CN116289531A (zh) * 2023-03-06 2023-06-23 兰陵县交通运输局 一种道路工程用桥梁伸缩缝报警设备
CN116289531B (zh) * 2023-03-06 2023-10-27 兰陵县交通运输局 一种道路工程用桥梁伸缩缝报警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154B1 (ko)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
KR100917659B1 (ko) 교량 구조물 신축 이음새 안전진단장치
DK1226335T3 (da) System til overvågning og styring af asfaltener
CN201517920U (zh) 光纤布拉格光栅串式多点位移传感器
KR100636897B1 (ko) 교량 신축이음부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CN204228125U (zh) 一种测厚检测辅助操作杆
CN108680115A (zh) 一种用于监测管廊双向位移变形的装置
KR20050053733A (ko) 고정 선로의 하부 구조물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CN101825539A (zh) 临空栏杆玻璃抗冲击性能试验装置
KR100879601B1 (ko)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토목 구조물의 변형 측정 장치 및 그방법
DE602006002113D1 (de) Sicherheitssystem für Bahnübergang
KR100479677B1 (ko) 교량용 신축 이음부의 안전진단용 측정장치
CN209727105U (zh) 一种建筑工程垂直检测尺
KR100746564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KR100585336B1 (ko) 교량 캔틸레버 안전진단장치
KR100787474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진단 장치
CN206343793U (zh) 一种杠杆光感式防漏焊装置
CN102798329B (zh) 一种车身总拼工位夹具精度检测装置
Zrelli et al. Enhanced architecture for SHM system based on optical sensor and WSN
CN211977751U (zh) 螺纹连接质量检测装置
KR100842206B1 (ko) 교량 상부 캔틸레버 구간의 철재빔 처짐진단장치
KR20090065558A (ko) 광섬유격자 변형률 센서
KR20110006758A (ko) 변형률을 감지하는 장치
KR100661053B1 (ko) 교량 안전진단용 변위측정장치 설치구조
KR20050048914A (ko) 광학적 감시수단을 갖는 교량 안전진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