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189B1 -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189B1
KR102192189B1 KR1020200037768A KR20200037768A KR102192189B1 KR 102192189 B1 KR102192189 B1 KR 102192189B1 KR 1020200037768 A KR1020200037768 A KR 1020200037768A KR 20200037768 A KR20200037768 A KR 20200037768A KR 102192189 B1 KR102192189 B1 KR 102192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r
elastic support
axis direction
deformation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안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안전
Priority to KR1020200037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0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brid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된 탄성받침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는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고정 바;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탄성받침의 하단 측부와 접촉되는 제1 수평 바;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 바에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탄성받침의 상단 측부와 접촉되는 제2 수평 바; 및 상기 제2 수평 바와 연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수평 바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 수평 바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Deformation measurement device of elasticity support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된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바의 상부에 배치된 제2 수평 바 만을 이동시켜 탄성받침의 X축 방향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는 상판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교각에 전달하고, 자중에 의한 처짐,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과 같은 교량 내부적 요인과, 지진, 바람, 온도 변화 외부적 요인에 의한 교량 상판의 변화를 안전하게 적응시키기 위한 탄성받침이 설치된다.
즉, 탄성받침은 상판에 작용하는 하중을 수용하고 온도 변화나 바람, 지진 등의 충격에 의한 상대 변위 및 수평으로 작용하는 전단 변위를 수용하여 교량의 안전성을 유지,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받침의 변형은 차량의 통행 및 주위환경의 변화에 따라 통상 발생되는 것이나 그 허용한도 이상의 변형이 있는 경우, 교량의 균열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탄성받침의 변형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허용한도와 비교하여 교량의 균열이 발생하기 전에 보수 및 보강을 하게 된다.
즉, 탄성받침이 탄성한계의 범위 내에서 변형되는 경우에는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탄성받침이 탄성한계를 초과하여 변형되는 경우, 탄성받침은 복원력을 상실하게 되고 심한 경우 탄성받침이 찢어지게 되어 교량을 제대로 지지할 수 없고, 그 결과 교량에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교량용 탄성받침은 주기적으로 그 변형량을 측정해야 하며, 탄성받침이 탄성한계에 근접한 것으로 측정되면 탄성받침을 교체하거나 보수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한편, 종래에는 탄성받침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교량으로 올라가 측정용 줄자를 이용하여 탄성받침의 변형량을 측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탄성받침의 변형량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장비로 인해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자세가 불편하여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탄성받침에 센서를 설치하여 변형량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시스템은 각각의 탄성부재마다 센서를 설치한 후 지속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10-2050538(2019.12.02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고정 바의 상부에 배치된 제2 수평 바 만을 이동시킨 후, 제2 수평 바와 연동하는 변위 측정부를 통해 자동으로 탄성받침의 X축 방향 변형량을 측정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는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된 탄성받침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고정 바;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탄성받침의 하단 측부와 접촉되는 제1 수평 바;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 바에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탄성받침의 상단 측부와 접촉되는 제2 수평 바; 및 상기 제2 수평 바와 연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수평 바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 수평 바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위 측정부는 상기 고정 바의 일측에 X축 방향으로 길게 제공되고,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눈금이 표기된 고정 척과, 상기 제2 수평 바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 척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 바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2 수평 바의 이동 거리를 측정 및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2 수평 바의 이동 거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출력부의 영점을 셋팅하기 위한 영점조절 스위치를 포함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에 고정되어 상기 출력부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 바는 상기 연동부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제2 수평 바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 홀이 X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로부터 수직되는 방향으로 고정 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홀에는 볼트부재가 결합되어 위치 조정된 상기 제2 수평 바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고정 바의 일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레일 홈부와, 상기 레일 홈부의 말단에 제공되어 상기 제1 수평 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레일 홈부가 배치된 상기 고정 바의 말단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재로 제공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평 바는 상기 레일 홈부에 삽입 및 결합되는 이동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레일 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레일 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X축 방향으로 상기 제1 수평 바가 관통 및 고정되는 관통 홀이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나사 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재 및 상기 고정 바의 일부를 가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홈부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고정 바에는 Y축 방향으로 눈금이 표기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제1 수평 바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바의 영점 눈금과 나란하게 위치한 측정선이 표기된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평 바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더 측정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바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 홈부가 형성된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는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된 탄성받침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고정 바;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탄성받침의 하단 측부와 접촉되는 제1 수평 바;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 바에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탄성받침의 상단 측부와 접촉되는 제2 수평 바; 및 상기 제2 수평 바와 연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수평 바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 수평 바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2 수평 바가 X축 방향으로 이동 거리를 측정 및 출력하는 변위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받침의 X축 방향 변형량을 측정할 때, 제2 수평 바 만을 이동시켜 탄성받침의 상단 측부에 접촉시키면 되므로 사용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수평 바와 연동하여 이동하며 제2 수평 바의 이동 거리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가 구비됨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탄성받침의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탄성받침의 높이에 따라 이동부재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높이를 갖는 탄성받침의 종류에 대응하여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부재를 통해 탄성받침의 X축 방향 변형량 뿐 아니라 Y축 방향 변형량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게 탄성받침의 변형량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와 같이 탄성받침의 변형량을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탄성받침마다 센서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측정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위 측정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위 측정부의 하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위 측정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위 측정부의 하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100)는 교량(10)의 상판(11)과 교각(12) 사이에 설치된 탄성받침(13)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 바(110)와, 제1 수평 바(120)와, 제2 수평 바(130), 및 변위 측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바(110)는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1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바(110)는 Y축 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측 일면에는 후술되는 제1 수평 바(12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레일(111)은 고정 바(110) 상에서 제1 수평 바(12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 홈부(111a)와, 이탈 방지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홈부(111a)는 고정 바(110)의 일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 홈부(111a)는 단면 형상이 하부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고정 바(110)의 일 지점으로부터 말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 홈부(111a)의 형상에 의하여 레일 홈부(111a)에 후술되는 레일부재(151)가 삽입되었을 때, 레일부재(151)가 레일 홈부(111a)의 개구된 일면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11b)는 제1 수평 바(120)가 개구된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 홈부(111a)의 말단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 방지부(111b)는 볼트부재로 제공될 수 있고, 레일 홈부(111a)가 배치된 고정 바(110)의 말단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 방지부(111b)가 파손되거나 변형된 경우, 고정 바(110)로부터 이탈 방지부(111b)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고정 바(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 홈부(112)가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 홈부(112)는 반구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고정 바(110)의 상측 일면 또는 양면에 레일 홈부(111a)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지 홈부(112)를 감싸고 탄성받침(13)의 변형량을 측정하게 되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바(110)를 파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제1 수평 바(120)는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1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평 바(120)는 X축 방향으로 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레일(11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1 수평 바(120)의 일측에는 교각(12)의 단턱에 안착될 수 있는 지지부재(121)가 구비되어 있어 변형량 측정시 보다 안정적으로 측정장치(1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제1 수평 바(120)는 레일 홈부(111a)에 삽입 및 결합되는 이동부재(150)를 통해 가이드 레일(111)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150)는 레일부재(151)와, 돌출부재(152), 및 고정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재(151)는 외관이 레일 홈부(111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레일 홈부(1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일 홈부(111a)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레일 홈부(111a)의 말단에는 이탈 방지부(111b)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레일부재(151)가 레일 홈부(111a)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돌출부재(152)는 레일부재(151)의 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재(152)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일부재(151)의 일면 일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제1 수평 바(12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측부에 X축 방향의 관통 홀(15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 홀(152a)에 제1 수평 바(120)가 관통하여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제1 수평 바(120)는 이동부재(150)와 함께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돌출부재(152)는 레일부재(151)와 하나의 몸체로 제공될 수 있고, 레일부재(151)와 따로 제조되어 레일부재(151)의 일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레일부재(151)에 본딩,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거나 돌출부재(152) 및 레일부재(151)에 고정 홀(152b)을 형성한 후, 이 고정 홀(152b)에 볼트부재(b1)를 결합하여 레일부재(151)의 일면에 돌출부재(152)를 결합할 수 있다.
고정부재(153)는 위치 조정된 레일부재(151)를 고정 바(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부재(151)의 일면에 형성된 나사 홀(151a)에 나사 결합되어 레일부재(151) 및 고정 바(110)의 일부를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53)는 레일부재(151) 및 고정 바(110)를 가압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바디부(51)와, 바디부(51) 중앙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나사 홀(151a)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52)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51)의 지름을 레일부재(151)의 폭 보다 크고 고정 바(110)의 폭 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최소한의 크기로 레일부재(151) 및 고정 바(110)의 일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150)에 고정부재(153)가 구비됨에 따라 Y축 방향으로 배치된 레일 홈부(111a)로부터 레일부재(151)가 하측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수평 바(120)가 이동부재(150)를 통해 Y축 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 가능해짐에 따라, 다양한 높이를 갖는 탄성받침(13)의 종류에 대응하여 측정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제1 수평 바(120)는 일단이 탄성받침(13)의 하단 측부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평 바(120)의 단부에 좌측 하부에서 우측 상부 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제공함으로써 탄성받침(13)의 최하단 측부에 제1 수평 바(120)의 모서리가 접촉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경사면을 통해 제1 수평 바(120)의 말단에는 뾰족한 모서리부가 제공될 수 있고, 이 모서리부가 탄성받침(13)의 최하단 측부에 접촉하는 경우 면으로 제공되는 단부에 비하여 탄성받침(13)과의 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받침(13)의 변형량을 측정할 때 제1 수평 바(120)의 단부에 형성된 모서리 부위가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탄성받침(13)의 하측부위에 밀착할 수 있게 된다.
제2 수평 바(130)는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고정 바(110)에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평 바(130)는 X축 방향으로 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후술되는 출력부(142)와 연동하여 고정 척(141)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수평 바(130)는 탄성받침(13)의 상단 측부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2 수평 바(130)의 단부에 좌측 상부에서 우측 하부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제공함으로써 탄성받침(13)의 최상단 측부에 제2 수평 바(130)의 모서리가 접촉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경사면을 통해 제2 수평 바(130)의 말단에는 뾰족한 모서리부가 제공될 수 있고, 이 모서리부가 탄성받침(13)의 최상단 측부에 접촉하는 경우 탄성받침(13)과의 밀착력이 향상되므로, 탄성받침(13)의 변형량을 측정할 때 제2 수평 바(130)의 단부가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탄성받침(13)의 상측 부위에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변위 측정부(140)는 제2 수평 바(130)와 연동 가능하도록 제2 수평 바(13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제2 수평 바(130)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탄성받침(13)이 X축 방향으로 변형된 길이(L)를 측정할 수 있다.
변위 측정부(140)는 고정 척(141)과, 출력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척(141)은 고정 바(110)의 일측에 X축 방향으로 길게 제공되고,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눈금이 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척(141)은 제1 수평 바(120)와 제2 수평 바(130)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수평 바(130) 근처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척(141)에 형성된 눈금은 밀리미터 단위까지 측정하기 위하여 1mm 단위로 제공될 수 있다.
출력부(142)는 제2 수평 바(130)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 척(141)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2 수평 바(13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2 수평 바(130)의 이동 거리를 측정 및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42)가 고정 척(14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척(141)의 끝단에는 스토퍼(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출력부(142)는 연동부재(160)를 통해 제2 수평 바(13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동부재(160)는 출력부(142)에 고정되어 출력부(142)와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고, 제2 수평 바(130)는 동부재(16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동부재(160)의 측부에는 제2 수평 바(13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 홀(160a)이 X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관통 홀(160a)로부터 수직되는 방향으로 고정 홀(16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홀(160b)에 볼트부재(b2)가 결합되는 경우, 볼트부재(b2)의 단부가 위치 조정된 제2 수평 바(130)의 측부를 가압하여 제2 수평 바(130)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출력부(142)는 제2 수평 바(130)의 이동 거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41)와, 출력부(142)의 영점을 셋팅하기 위한 영점조절 스위치(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영점조절 스위치(42)를 통해 제2 수평 바(130)의 장착 위치에 맞추어 영점을 셋팅할 수 있으며, 영점이 셋팅된 제2 수평 바(130)를 탄성받침(13)의 변형된 위치에 맞추어 이동시키면 디스플레이부(41)에는 제2 수평 바(130)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가 숫자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100)는 제1 수평 바(12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더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 홈부(111a)의 일측에 배치된 고정 바(110)에는 Y축 방향으로 눈금이 표기되고, 이동부재(150)의 일면에는 제1 수평 바(12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고정 바(110)의 영점 눈금과 나란하게 위치한 측정선(M)이 표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150)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레일부재(151)에 표기된 측정선(M)과 일치하는 고정 바(110)의 눈금을 통해 제1 수평 바(12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변위 측정부(140)를 통해 탄성받침(13)의 X축 방향 변위를 측정하고, 이동부재(150)를 통해 탄성받침(13)의 Y축 방향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100)를 통해 탄성받침(13)의 X축 방향 변위뿐 아니라 Y축 방향 변위까지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탄성받침(13)의 변형량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교량(10)에 균열이 발생하기 전 적절한 시기에 보수 및 보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100)는 탄성받침(13)의 X축 방향 변형량을 측정할 때, 제2 수평 바(130) 만을 이동시켜 탄성받침(13)의 상단 측부에 접촉시키면 되므로 사용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수평 바(130)와 연동하여 이동하며 제2 수평 바(130)의 이동 거리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140)가 구비됨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탄성받침의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탄성받침(13)의 높이에 따라 이동부재(15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높이를 갖는 탄성받침(13)의 종류에 대응하여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부재(150)를 통해 탄성받침(13)의 X축 방향 변형량 뿐 아니라 Y축 방향 변형량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게 탄성받침(13)의 변형량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와 같이 탄성받침(13)의 변형량을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탄성받침(13)마다 센서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측정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교량용 탄성받침(13)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탄성받침(13)의 높이에 맞도록 이동부재(150)를 이용하여 제1 수평 바(120)를 가이드 레일(111) 상에서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고정 바(110)에는 제1 수평 바(12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일부재(151)의 측정선(M)과 일치하는 고정 바(110)의 눈금을 확인하는 경우 탄성받침(13)이 Y축 방향으로 변형된 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1 수평 바(120)와 제2 수평 바(130)의 끝단이 일치하도록 출력부(142)의 영점조절 스위치(42)를 통해 영점을 잡는다. 이때, 출력부(142)의 좌측 모서리 부위는 고정 척(141)에 형성된 눈금의 0에 위치하게 된다.
출력부(142)의 영점조절이 완료되면, 제1 수평 바(120) 및 제2 수평 바(130)가 각각 탄성받침(13)의 하단 측부 및 상단 측부와 접촉하도록 탄성받침(13)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2 수평 바(130)는 연동부재(160)를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출력부(142)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받침(13)의 병형된 길이만큼 고정 척(141)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제2 수평 바(130)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끝단이 탄성 받침의 상단 측부에 접촉되는 경우, 변위 측정부(140)는 내부에 구비된 위치 감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제2 수평 바(130)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자동으로 측정한 후 디스플레이부(41)를 통해 출력한다.
그러면,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41)로 출력된 값을 통해 탄성받침(13)이 X축 방향으로 변형된 길이(L)를 확인하고, 이 길이(L)를 통해 탄성받침(13)의 교체 및 보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고정 척(141)에는 1mm 단위로 눈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부(142)가 고장나거나 배터리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도 출력부(142)의 좌측 모서리 부위와 일치하는 고정 척(141)의 눈금을 통해 탄성받침(13)의 변형된 길이(L)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고정 바
120: 제1 수평 바
130: 제2 수평 바
140: 변위 측정부
141: 고정 척
142: 출력부
150: 이동부재
151: 레일부재
152: 돌출부재
153: 고정부재
160: 연동부재

Claims (14)

  1.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된 탄성받침의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한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고정 바;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탄성받침의 하단 측부와 접촉되는 제1 수평 바;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 바에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탄성받침의 상단 측부와 접촉되는 제2 수평 바; 및
    상기 제2 수평 바와 연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수평 바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 수평 바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바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고정 바의 일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테이퍼(taper)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제공는 레일 홈부와, 상기 레일 홈부의 말단에 제공되어 상기 제1 수평 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레일 홈부가 배치된 상기 고정 바의 말단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재로 제공되며,
    상기 제1 수평 바는 상기 레일 홈부에 삽입 및 결합되는 이동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레일 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레일 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고, X축 방향으로 상기 제1 수평 바가 관통 및 고정되는 관통 홀이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측정부는,
    상기 고정 바의 일측에 X축 방향으로 길게 제공되고,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눈금이 표기된 고정 척과,
    상기 제2 수평 바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 척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 바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2 수평 바의 이동 거리를 측정 및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2 수평 바의 이동 거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출력부의 영점을 셋팅하기 위한 영점조절 스위치를 포함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에 고정되어 상기 출력부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 바는 상기 연동부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제2 수평 바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 홀이 X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로부터 수직되는 방향으로 고정 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홀에는 볼트부재가 결합되어 위치 조정된 상기 제2 수평 바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나사 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재 및 상기 고정 바의 일부를 가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홈부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고정 바에는 Y축 방향으로 눈금이 표기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제1 수평 바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바의 영점 눈금과 나란하게 위치한 측정선이 표기된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바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더 측정하는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037768A 2020-03-27 2020-03-27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KR102192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768A KR102192189B1 (ko) 2020-03-27 2020-03-27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768A KR102192189B1 (ko) 2020-03-27 2020-03-27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189B1 true KR102192189B1 (ko) 2020-12-17

Family

ID=7408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768A KR102192189B1 (ko) 2020-03-27 2020-03-27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18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830B1 (ko) * 2021-04-12 2021-10-25 (주)해인엔지니어링 건축사 사무소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KR102333601B1 (ko) * 2021-05-21 2021-12-01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안전 진단을 위한 교량의 받침장치의 이동량 및 연단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383160B1 (ko) * 2021-06-14 2022-04-08 (주)현대기술개발 교량받침 변형량 측정장치
KR102415563B1 (ko) * 2021-12-29 2022-07-01 이상범 교량 탄성받침 변위 측정장치
KR20220105752A (ko) * 2021-01-21 2022-07-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5501A (ja) * 1996-10-11 1998-05-06 Oiles Ind Co Ltd 積層ゴム支承の水平変位測定具
KR100600162B1 (ko) * 2004-05-13 2006-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위계 차체 고정장치
KR20110011069U (ko) * 2010-05-24 2011-11-30 강석상 요철 깊이 측정기
KR101876828B1 (ko) * 2017-11-29 2018-08-07 대진컨설턴트 주식회사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 및 점검장치
KR102050538B1 (ko) 2019-01-09 2019-12-02 영동이앤지(주) 교량 탄성받침의 수평방향 변형량 측정점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5501A (ja) * 1996-10-11 1998-05-06 Oiles Ind Co Ltd 積層ゴム支承の水平変位測定具
KR100600162B1 (ko) * 2004-05-13 2006-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위계 차체 고정장치
KR20110011069U (ko) * 2010-05-24 2011-11-30 강석상 요철 깊이 측정기
KR101876828B1 (ko) * 2017-11-29 2018-08-07 대진컨설턴트 주식회사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 및 점검장치
KR102050538B1 (ko) 2019-01-09 2019-12-02 영동이앤지(주) 교량 탄성받침의 수평방향 변형량 측정점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752A (ko) * 2021-01-21 2022-07-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2457404B1 (ko) 2021-01-21 2022-10-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2316830B1 (ko) * 2021-04-12 2021-10-25 (주)해인엔지니어링 건축사 사무소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KR102333601B1 (ko) * 2021-05-21 2021-12-01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안전 진단을 위한 교량의 받침장치의 이동량 및 연단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383160B1 (ko) * 2021-06-14 2022-04-08 (주)현대기술개발 교량받침 변형량 측정장치
KR102415563B1 (ko) * 2021-12-29 2022-07-01 이상범 교량 탄성받침 변위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2189B1 (ko)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KR101941076B1 (ko) 교량 거더의 처짐 측정 장치
CN111397784A (zh) 高水头船闸浮式系船柱系缆力在线监测系统及方法
JP2009539611A (ja) ストリップを案内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AU2016214181B2 (en) A rail clamp
US20180297820A1 (en) Belt or belt segment
CN110987266A (zh) 道岔转换阻力监测螺栓
CN213714202U (zh) 一种预制板梁间大铰缝损伤的检测装置
JP5331173B2 (ja) ワイヤロープ探傷装置
KR100742154B1 (ko) 교량 신축 조인트 작동상태 진단구조
US20220032974A1 (en)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a temporary rail connection of two rail portions of a rail and rail connection system having such a monitoring device
WO2016124910A1 (en) A rail clamp
KR100585336B1 (ko) 교량 캔틸레버 안전진단장치
KR20190032879A (ko) 철도레일의 계측방법
KR100786221B1 (ko) 강박스 거더교 슬래브의 안전진단 장치
CN210221357U (zh) 一种埋入式应力传感器固定装置
KR100473480B1 (ko) 교량상판 안전진단용 변형측정장치
KR100457376B1 (ko) 교량상판 캠버측정용 안전진단장치
KR102186064B1 (ko) 추락 감지 장치
KR101164892B1 (ko) 교량 상판의 안전 진단 장치
JP5758848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位置ずれ測定方法
KR101877166B1 (ko)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설치용 게이지장치
KR100661442B1 (ko)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레일 정렬오차 측정장치
CN105043279B (zh) 单轨接触线的间距测量方法
WO2011052866A1 (ko) 비절단식 유량 변화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