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830B1 -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 Google Patents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830B1
KR102316830B1 KR1020210047319A KR20210047319A KR102316830B1 KR 102316830 B1 KR102316830 B1 KR 102316830B1 KR 1020210047319 A KR1020210047319 A KR 1020210047319A KR 20210047319 A KR20210047319 A KR 20210047319A KR 102316830 B1 KR102316830 B1 KR 102316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ler
coupling
elder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구
Original Assignee
(주)해인엔지니어링 건축사 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인엔지니어링 건축사 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해인엔지니어링 건축사 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4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8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exten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4Suppo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받침의 연단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에 관한 것으로, 수직자; 상기 수직자가 결합되며, 결합된 수직자가 길이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수직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측정눈금을 형성하는 수평자 및 상기 수평자의 길이를 확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직자의 이동범위를 확장시키며, 수직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수평자의 측정눈금과 연결되는 연장측정눈금을 형성하는 연장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Bridge support podium measurer}
본 발명은 측정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받침의 연단거리를 측정 및 점검하는데 사용되는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교각 또는 교대에서는 받침교체를 위한 잭업 작업에서 명확한 하중저항구조를 갖추기 위해 소정의 연단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도로설계기준에서는 하부구조 정부(頂部)에 있어서 교축방향의 받침 연단과 하부구조 정부 연단 사이의 거리를 일정 값 이상으로 하도록 하고 있다.
강제(鋼製)받침의 경우 받침이 교좌부에 직접 설치되어 있고 받침 단부에서 교좌부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므로, 받침 단부에서 하부구조물 연단까지의 거리를 연단거리로 한다. 고무받침의 경우에는 받침을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볼트의 중심에서 하부구조물 연단까지의 거리가 연단거리이다. 이는 받침부의 파괴 형상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교 혹은 곡선교의 경우에는 하부구조 정부 연단과의 최단거리 방향으로 연단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종래에는 전술한 연단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 줄자 등을 이용하였는데 불편한 점이 많았다. 구체적으로, 줄자의 일측은 교량받침에 위치시키고 타측은 교량받침 지지체(예를 들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부에 위치시켜 눈금을 읽어 측정하였는데, 이 경우 혼자서 작업하기 힘들어 2인이 같이 작업해야 하므로 인력 낭비가 되고, 교량받침 지지체의 단부에서 수직한 위치의 눈금을 읽어야 하는데 정확한 수직 위치를 가늠하기가 불가능하여 측정 오차가 증가되므로 정확한 측정이 힘든 단점이 있다.
또한, 줄자가 탄성이 있어 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힘들고 특히, 줄자의 측정범위를 넘어서는 연단거리에 대해서는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굽힘 없이 측정할 수 있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작업자 혼자서도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고, 나아가 측정범위를 확장하여 보다 긴 연단거리도 측정이 가능한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는, 수직자; 상기 수직자가 결합되며, 결합된 수직자가 길이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수직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측정눈금을 형성하는 수평자 및 상기 수평자의 길이를 확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직자의 이동범위를 확장시키며, 수직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수평자의 측정눈금과 연결되는 연장측정눈금을 형성하는 연장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자는, 수평자의 일단부를 형성하며, 끝단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자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수직자 결합부; 상기 수직자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측정눈금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자를 이동시킬 수직자 이동홀과 상기 결합부재를 이동시킬 결합부재 이동홀이 길이를 따라 마련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연장자가 결합되는 연장자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자는, 상기 연장자 결합부에 결합되는 수평자 결합부; 상기 수평자에서 확장될 경우에 상기 수직자 이동홀의 연장을 이루어 수직자의 이동범위를 확장시키는 수직자 이동 연장홀 및 상기 수평자에서 확장될 경우에 상기 결합부재 이동홀의 연장을 이루어 결합부재의 이동범위를 확장시키는 결합부재 이동 연장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자 결합부는, 상기 연장자에서 수평자에 대한 결합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 및 상기 돌출편에서 상측과 하측 방향으로 대칭 돌출되어 연장자에 삽입되는 축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자 결합부는, 상기 돌출편이 수평자와 중첩된 위치로 배치되며, 배치된 위치에서 회전 반경을 형성하도록 공간을 마련하는 돌출편 삽입홈 및 상기 축 돌기가 삽입되도록 돌출편 삽입홈에서 상측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축 돌기 삽입홈을 포함하여, 상기 수평자와 연장자가 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자는, 연단 거리 측정시에 돌출된 앵커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앵커 끼움홀이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앵커 끼움홀은, 복수로 마련될 경우 직경이 각기 달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자는, 상기 결합부재 이동홀을 향해 수평자에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삽입 정도에 따라 결합부재 이동홀로 단부가 노출되어 결합부재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연장자 미사용 시에 수직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삽입형 스토퍼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결합부재 이동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되 설치된 위치에서 회전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회전 동작 시에는 결합부재 이동홀로 단부가 노출되어 결합부재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연장자 미사용 시에 수직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전형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 돌기와 축 돌기 삽입홈 사이에는, 연장자를 언폴딩(unfolding)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이 개재되고, 상기 수평자와 연장자 중 하나에는, 수평자와 연장자의 폴딩 시 설치된 위치의 자에서 타측 자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언폴딩을 제한할 수 있는 회전제한고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자는, 복수의 연장자 조각 부재를 조립하여 일 몸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연장자 조각 부재는, 일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결합돌기에 상응하는 결합홈이 마련되어, 일측 연장자 조각 부재의 결합돌기를 타측 연장자 조각 부재의 결합홈에 삽입함으로써 조립이 수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연장자 조각 부재를 조립 시에, 중공부를 따라 고정핀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수직자에 마련되는 확장부재 및 상기 확장부재로 삽입되어 확장부재를 확장시키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외표면에 다수의 표면돌기 또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뿔대 형태로 형성되는 중심대 및 상기 중심대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중심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 이동홀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확장 윙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중심대와 확장 윙 사이의 이격된 위치로 삽입되되, 중심대의 다수의 표면돌기 또는 나사산을 따라 삽입되면서 상기 확장 윙이 확장되도록 외력을 발생시키며, 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편이 마련되는 삽입편 및 상기 삽입편과 연결되되 결합부재 이동홀의 높이보다는 더 큰 높이의 면적을 형성하는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편을 원뿔대의 내측 방향 위치에서 걸림시키는 제1 걸림턱 및 상기 걸림편을 원뿔대의 외측 방향 위치에서 걸림시키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는, 굽힘 없이 측정할 수 있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작업자 혼자서도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고, 나아가 측정범위를 확장하여 보다 긴 연단거리도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를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의 수평자와 연장자의 결합부위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수평자와 연장자의 결합부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의 수평자와 연장자가 폴딩된 상태를 평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앵커 끼움홀이 마련된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삽입형 스토퍼의 작용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스토퍼의 작용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토션스프링이 마련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도 10의 토션스프링과 회전제한고리의 작용에 따라 연장자의 폴딩과 언폴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의 (a) 및 (b)는 연장자 조각 부재로 이루어진 연장자의 길이 가변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연장자 조각 부재를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14는 연장자 조각 부재로 이루어진 연장자에 고정핀이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연장자 내부 구성도이다.
도 15는 확장부재 및 삽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결합부재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결합부재 중 확장부재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결합부재 중 삽입부재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를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며,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의 사용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10)는, 수직자(100), 수평자(200) 및 연장자(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자(100)는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10)를 정면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수직을 이루는 자로서, 수평자(200)와 연장자(3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이때, 수직자(100)는 수평자(200)의 내측에서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400)에 의해 수평자(200)와 결합되어 수평자(2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한편, 수직자(1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측정눈금(101)을 형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정눈금(101)은 설정에 따라 없을 수도 있고, 길이 방향 기준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수평자(200)는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10)를 정면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수평을 이루는 자로서, 상술한 수직자(100)가 내측에 이동할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이때, 수평자(200)는 수직자(10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측정눈금(20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수직자(100)는 수평자(200)의 내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경우에, 측정눈금(201)을 통해 수직자(100)의 이동거리만큼 측정하여 교량 받침의 연단 거리를 측정할 수가 있다.
연장자(300)는 교량 받침의 연단 거리가 수평자(200)의 측정 범위를 넘어설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수평자(200)의 길이를 확장하도록 구성되어 수직자(100)의 이동범위를 확장시킬 수가 있다. 즉, 연장자(300)의 사용 시 수직자(100)는 연장자(300)의 길이만큼 더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연장자(300)는 수직자(10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수평자(200)의 측정눈금(201)과 연결되는 연장측정눈금(301)을 형성하여 보다 확장된 측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예컨대, 수평자(200)의 측정눈금(201)이 50cm까지 표기되어 있으면, 연장자(300)의 연장측정눈금(301)은 51cm부터 표기되도록 형성되어 확장된 측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수직자(100), 수평자(200), 연장자(300)는 모두 플라스틱 소재나 금속 소재로 마련되어 일정 수준 이상의 강성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1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자(100)를 움직여 코핑부(CP)에 고정시킨 후, 수직자(100)가 움직인 거리를 수평자(200)의 측정눈금(201)을 통해 파악하여 교량 받침(BS)의 연단 거리를 측정할 수가 있다.
이 과정에서, 만약 연단 거리가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자(200)의 측정 범위를 넘어설 경우, 연장자(300)를 확장하여 측정 범위를 확장시킴으로써, 보다 긴 연단 거리 측정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줄자로 측정하는 것에 대비하여 긴 연단 거리에도 휘어짐이나 굽음 등 없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의 상세도이며, 도 4는 도 3의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의 수평자와 연장자의 결합부위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수평자와 연장자의 결합부위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의 수평자와 연장자가 폴딩된 상태를 평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수평자(200)는 수직자 결합부(210), 측정부(220) 및 연장자 결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자 결합부(210)는 수평자(200)의 일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직자 결합부(210)는 끝단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자(1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하였듯이 수직자(100)는 결합부재(400)에 의해 수평자(20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400)는 볼트와 같은 통상의 결합부재로 형성되어 수직자(100)를 수평자(200)에 결합시킬 수 있으나, 한편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확장부재(410) 및 삽입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결합부재(400)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확장부재(410) 및 삽입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결합부재(400)에 대해서는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측정부(220)는 수직자 결합부(210)에 결합된 수직자(100)가 이동될 공간을 마련하고, 측정눈금(201)이 형성되는 곳으로, 수직자(100)의 이동을 위한 수직자 이동홀(221)과, 수직자(100)의 이동 시 수직자(100)를 수평자(20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400)가 함께 이동될 결합부재 이동홀(222)이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직자 이동홀(221)은 수평자(2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내측에서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도록 관통 형성되고, 관통 형성된 상태로 수평자(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홀로서, 수직자 결합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 이동홀(222)은, 수직자(100)를 수평자(20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400)가 외측으로 노출될 경우, 노출된 결합부재(400)를 이동되도록 하는 홀로서, 수직자 이동홀(221)과 마찬가지로 수직자 결합부(21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이때, 결합부재 이동홀(222)은 수직자 이동홀(221)과도 연결된 구조를 지닌다.
한편, 측정부(220)는 수직자 이동홀(221)이 정면에 형성될 경우, 수직자 이동홀(221)의 상측과 하측 중 일측에 상술한 측정눈금(201)이 형성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수직자 이동홀(221)과 결합부재 이동홀(222)을 통하여, 수직자 결합부(210)에 결합부재(400)와 함께 구비된 수직자(100)는, 결합부재(4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고, 이동 범위에 있는 측정눈금(201)으로 하여금 측정을 수행할 수가 있다.
연장자 결합부(230)는 측정부(220) 말단에 형성되어 연장자(300)가 결합되는 곳으로, 연장자(300)는 연장자 결합부(230)에서 수평자(200)의 길이를 확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장자(300)는 연장자 결합부(230)에 결합되는 수평자 결합부(330) 및 수평자(200)에서 확장될 경우에 수직자 이동홀(221)의 연장을 이루어 수직자(100)의 이동범위를 확장시키는 수직자 이동 연장홀(321) 및 수평자(200)에서 확장될 경우에 결합부재 이동홀(222)의 연장을 이루어 결합부재(400)의 이동범위를 확장시키는 결합부재 이동 연장홀(3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연장자(300)의 확장 사용 시에 수직자 이동 연장홀(321)은 수직자 이동홀(221)과 연결되고, 결합부재 이동 연장홀(322)은 결합부재 이동홀(222)과 연결되면서 연장측정눈금(301)은 측정눈금(201)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연장자(300)를 확장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연장자(300)의 확장 방식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례로서 연장자(300)가 수평자(200)에 대해 폴딩되는 폴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폴딩식의 구성을 위해 수평자 결합부(330)는 돌출편(331) 및 축 돌기(332)를 포함할 수 있고, 연장자 결합부(230)는 돌출편 삽입홈(231) 및 축 돌기 삽입홈(2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편(331)은 연장자(300)에서 수평자(200)에 대한 결합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축 돌기(332)는 돌출편(331)에서 상측과 하측 방향으로 대칭 돌출되어 연장자(30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돌출편 삽입홈(231)은 돌출편(331)이 수평자(200)와 중첩된 위치로 배치되며, 배치된 위치에서 회전 반경을 형성하도록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축 돌기 삽입홈(232)은 축 돌기(332)가 삽입되도록 돌출편 삽입홈(231)에서 상측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편(331)은 축 돌기(332)가 축 돌기 삽입홈(232)에 삽입된 상태로 돌출편 삽입홈(231)에서 회전 반경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돌출편(331)과 연결된 연장자(300)는 수평자(200)에 대해 폴딩(Folding) 되거나 언폴딩(Unfolding)되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연장자(300)의 미사용 시에는 연장자(300)를 수평자(200)에 폴딩시키고, 연장자(300)의 확장 사용 시에만 연장자(300)를 수평자(200)에 언폴딩 시켜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10)는 간단한 확장 구조를 형성하여 연단 길이가 길어도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정확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도 7의 (a) 및 (b)는 앵커 끼움홀이 마련된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직자(100)는 교량 받침의 연단 거리 측정시에 돌출된 앵커 볼트(ACB)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앵커 끼움홀(110)이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가 있다.
즉, 앵커 끼움홀(110)을 앵커 볼트(ACB)에 끼워 수직자(100)의 위치를 고정시킨 후에 수평자(200)를 움직이도록 형성될 수가 있는데, 이는 수직자(100)를 눕혀 앵커 볼트(ACB)에 고정시킨 후에 측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앵커 끼움홀(110)은 복수로 마련될 경우에는 직경이 각기 달리 형성되어 앵커 볼트(ACB)의 크기에 따라 다른 앵커 끼움홀(110)을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자(200)는, 연장자(300)를 수평자(200)에 대해 언폴딩 시에, 연장자(300)와 연결되는 수직자 이동홀(221)과 결합부재 이동홀(222)이 외부로 노출되어 수직자(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삽입형 스토퍼의 작용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스토퍼의 작용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수평자(200)는, 수평자(200)에 삽입되는 삽입형 스토퍼(500) 또는 수평자(200)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형 스토퍼(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형 스토퍼(500)는 결합부재 이동홀(222)을 향해 수평자(200)에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형 스토퍼(500)의 삽입 형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나사산에 의한 회전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삽입형 스토퍼(500)는 삽입 정도에 따라 결합부재 이동홀(222)로 단부가 노출될 수 있고, 노출 시에는 결합부재(40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연장자(300)의 미 사용 시에 수직자(100)가 결합부재 이동홀(222) 끝으로 이동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형 스토퍼(550)는 수평자(200)에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결합부재 이동홀(222)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형 스토퍼(550)는 수평자(200)에 축 결합되어 설치된 위치에서 회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형 스토퍼(550)는 회전 동작 시에는 결합부재 이동홀(222)로 단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결합부재(40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연장자(300) 미사용 시에 수직자(1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토션스프링이 마련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1의 (a) 및 (b)는 도 10의 토션스프링과 회전제한고리의 작용에 따라 연장자의 폴딩과 언폴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축 돌기(332)와 축 돌기 삽입홈(232) 사이에는 연장자(300)를 언폴딩(unfolding)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600)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수평자(200)와 연장자(300) 중 하나에는, 수평자(200)와 연장자(300)의 폴딩 시 설치된 위치의 자에서 타측 자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회전제한고리(65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토션스프링(600)은 연장자(300)의 사용 시에 의도적이지 않은 폴딩을 방지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회전제한고리(650)는 연장자(300)의 미사용 시에 토션스프링(600)의 탄성력에 의한 의도적이지 않은 언폴딩을 방지하도록 하여 사용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2의 (a) 및 (b)는 연장자 조각 부재로 이루어진 연장자의 길이 가변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3은 도 12의 연장자 조각 부재를 분해한 분해도이고, 도 14는 연장자 조각 부재로 이루어진 연장자에 고정핀이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연장자 내부 구성도이다.
도 12을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연장자(300)는 복수의 연장자 조각 부재(350)를 조립하여 일 몸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연장자 조각 부재(350)는 일측에 결합돌기(351)가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돌기(351)에 상응하는 결합홈(35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측 연장자 조각 부재(350)에 타측 연장자 조각 부재(350)를 조립할 경우, 일측 연장자 조각 부재(350)의 결합돌기(351)를 타측 연장자 조각 부재(350)의 결합홈(352)에 끼우거나 그 반대로 일측 연장자 조각 부재(350)의 결합홈(352)에 타측 연장자 조각 부재(350)의 결합돌기(351)를 끼우는 형태로 조립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장자(300)를 복수의 연장자 조각 부재(350)로 구성하면, 연장자(300)의 길이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 수직자 이동 연장홀(321)이나 결합부재 이동 연장홀(322) 등의 형성으로 인하여 내부에 쌓인 이물질 등을 쉽게 청소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돌기(351)는 각기 중공부(351a)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연장자 조각 부재(350)를 조립하여 연장자(300)를 형성할 경우에는, 형성하고자 하는 연장자(300)의 길이만큼 길이를 형성하는 고정핀(353)을 중공부(351a)를 따라 삽입하여, 결속력을 더 높일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정핀(353)을 중공부로 삽입한 후에는 고정핀(353)의 양단부와 중공부(351a)와의 사이에 마찰부재(미도시)를 끼워 이탈을 방지하면 결속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5는 확장부재 및 삽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결합부재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6은 도 15의 결합부재 중 확장부재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15의 결합부재 중 삽입부재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결합부재(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확장부재(410) 및 삽입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확장부재(410)는 수직자(100)에 마련되는 것이며, 삽입부재(420)는 확장부재(410)로 삽입되어 확장부재(410)를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장부재(410)는 중심대(411) 및 확장 윙(4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대(411)는 외표면에 일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표면돌기(미도시) 또는 나사산(411a)이 형성된 원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확장 윙(412)은 중심대(411)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중심대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결합부재 이동홀(222)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확장 윙(412)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41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걸림턱(413)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하나, 일례로서 제1 걸림턱(413a)과 제2 걸림턱(41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걸림턱(413a, 413b)에 대한 설명은 삽입부재(420)에 대한 설명 후에 후술하기로 한다.
삽입부재(420)는 삽입편(421) 및 파지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편(421)은 중심대(411)와 확장 윙(412) 사이의 이격된 위치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중심대(411)의 외표면에 형성된 표면돌기(미도시) 또는 나사산(411a)의 형태에 따라 민자로 형성되거나 나사산(421a)을 형성할 수가 있다. 즉, 중심대(411)가 표면돌기(미도시)를 형성할 경우에는 삽입편(421)은 민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산(411a)을 형성할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나사산(421a)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를 통해, 삽입편(421)은 중심대(411)의 표면돌기(미도시)를 따라 직진 삽입되거나 나사산(411a)을 따라 회전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이때, 삽입편(421)은 깊이 삽입될수록 직경이 점차 확장되는 중심대(411)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되어 확장 윙(412)에 외력을 발생시키고 결국, 확장 윙(412)도 확장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확장 윙(412)은 결합부재 이동홀(222)에 보다 밀착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 이동홀(222)에서 결합부재(400)가 쉽게 이동하지 않고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 작용할 때만이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측정 시에 의도적이지 않은 수직자(100)의 이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파지부(422)는 삽입편(421)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422)는 결합부재 이동홀(222)의 높이보다는 더 큰 높이의 면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심대(411)나 삽입편(421) 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파지가 용이하고 더욱이 삽입부재(420)를 결합부재(400)에 회전 삽입 시킬 경우에 삽입이 용이할 수가 있다.
한편, 삽입편(421)은 단부에, 걸림턱(413)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편(421b)이 마련될 수 있고, 걸림편(421b)이 걸리는 걸림턱은 제1 및 제2 걸림턱(413a, 413b)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걸림턱(413a)은 걸림편(421b)을 원뿔대의 내측 방향 위치에서 걸림시키도록 구성되며, 제2 걸림턱(413b)은 걸림편(421b)을 원뿔대의 외측 방향 위치에서 걸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걸림턱(413a)은 상협하광 원뿔대의 구조에 있어, 하측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걸림턱(413b)은 상협하광 원뿔대의 구조에 있어, 상측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걸림턱(413a, 413b)을 포함하는 걸림턱(413)은, 중심대(411)의 외표면이 표면돌기이고 삽입편(421)의 내주면이 민자일 경우에는 삽입편(421)이 중심대(4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이중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중심대(411)의 외표면이 나사산(411a)이고 삽입편(421)의 내주면도 나사산(421a)일 경우에는 확장력을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가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100 : 수직자
101 : 측정눈금
110 : 앵커 끼움홀
200 : 수평자
201 : 측정눈금
210 : 수직자 결합부
220 : 측정부
221 : 수직자 이동홀
222 : 결합부재 이동홀
230 : 연장자 결합부
231 : 돌출편 삽입홈
232 : 축 돌기 삽입홈
300 : 연장자
301 : 연장측정눈금
321 : 수직자 이동 연장홀
322 : 결합부재 이동 연장홀
330 : 수평자 결합부
331 : 돌출편
332 : 축 돌기
350 : 연장자 조각 부재
351 : 결합돌기
351a : 중공부
352 : 결합홈
353 : 고정핀
400 : 결합부재
410 : 확장부재
411 : 중심대
411a : 나사산
412 : 확장 윙
413 : 걸림턱
413a : 제1 걸림턱
413b : 제2 걸림턱
420 : 삽입부재
421 : 삽입편
421a : 나사산
421b : 걸림편
422 : 파지부
500 : 삽입형 스토퍼
550 : 회전형 스토퍼
600 : 토션스프링
650 : 회전제한고리
ACB : 앵커 볼트
BS : 교량 받침
CP : 코핑부

Claims (12)

  1. 수직자;
    상기 수직자가 결합되며, 결합된 수직자가 길이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수직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측정눈금을 형성하는 수평자 및
    상기 수평자의 길이를 확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직자의 이동범위를 확장시키며, 수직자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수평자의 측정눈금과 연결되는 연장측정눈금을 형성하는 연장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자는,
    수평자의 일단부를 형성하며, 끝단에서 소정의 거리 이격된 위치에 수직자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수직자 결합부;
    상기 수직자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측정눈금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자를 이동시킬 수직자 이동홀과 상기 결합부재를 이동시킬 결합부재 이동홀이 길이를 따라 마련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연장자가 결합되는 연장자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자는,
    상기 연장자 결합부에 결합되는 수평자 결합부;
    상기 수평자에서 확장될 경우에 상기 수직자 이동홀의 연장을 이루어 수직자의 이동범위를 확장시키는 수직자 이동 연장홀 및
    상기 수평자에서 확장될 경우에 상기 결합부재 이동홀의 연장을 이루어 결합부재의 이동범위를 확장시키는 결합부재 이동 연장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자 결합부는,
    상기 연장자에서 수평자에 대한 결합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 및
    상기 돌출편에서 상측과 하측 방향으로 대칭 돌출되어 연장자에 삽입되는 축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자 결합부는,
    상기 돌출편이 수평자와 중첩된 위치로 배치되며, 배치된 위치에서 회전 반경을 형성하도록 공간을 마련하는 돌출편 삽입홈 및
    상기 축 돌기가 삽입되도록 돌출편 삽입홈에서 상측과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축 돌기 삽입홈을 포함하여 상기 수평자와 연장자가 폴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 돌기와 축 돌기 삽입홈 사이에는 연장자를 언폴딩(unfolding)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이 개재되고,
    상기 수평자와 연장자 중 하나에는, 수평자와 연장자의 폴딩 시 설치된 위치의 자에서 타측 자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언폴딩을 제한할 수 있는 회전제한고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자는,
    연단 거리 측정시에 돌출된 앵커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앵커 끼움홀이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끼움홀은,
    복수로 마련될 경우 직경이 각기 달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자는,
    상기 결합부재 이동홀을 향해 수평자에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삽입 정도에 따라 결합부재 이동홀로 단부가 노출되어 결합부재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연장자 미사용 시에 수직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삽입형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자는,
    상기 결합부재 이동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되 설치된 위치에서 회전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회전 동작 시에는 결합부재 이동홀로 단부가 노출되어 결합부재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연장자 미사용 시에 수직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회전형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자는,
    복수의 연장자 조각 부재를 조립하여 일 몸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연장자 조각 부재는,
    일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결합돌기에 상응하는 결합홈이 마련되어,
    일측 연장자 조각 부재의 결합돌기를 타측 연장자 조각 부재의 결합홈에 삽입함으로써 조립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연장자 조각 부재를 조립 시에, 중공부를 따라 고정핀을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수직자에 마련되는 확장부재 및
    상기 확장부재로 삽입되어 확장부재를 확장시키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외표면에 다수의 표면돌기 또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뿔대 형태로 형성되는 중심대 및
    상기 중심대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중심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 이동홀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확장 윙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중심대와 확장 윙 사이의 이격된 위치로 삽입되되, 중심대의 다수의 표면돌기 또는 나사산을 따라 삽입되면서 상기 확장 윙이 확장되도록 외력을 발생시키며, 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편이 마련되는 삽입편 및
    상기 삽입편과 연결되되 결합부재 이동홀의 높이보다는 더 큰 높이의 면적을 형성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편을 원뿔대의 내측 방향 위치에서 걸림시키는 제1 걸림턱 및
    상기 걸림편을 원뿔대의 외측 방향 위치에서 걸림시키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하는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KR1020210047319A 2021-04-12 2021-04-12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KR102316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319A KR102316830B1 (ko) 2021-04-12 2021-04-12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319A KR102316830B1 (ko) 2021-04-12 2021-04-12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830B1 true KR102316830B1 (ko) 2021-10-25

Family

ID=7825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319A KR102316830B1 (ko) 2021-04-12 2021-04-12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8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670B1 (ko) * 2021-10-01 2022-03-28 주식회사 신라이앤씨 교량 안전진단용 연단거리 측정장치
KR102392654B1 (ko) 2021-12-20 2022-04-29 주식회사 동인이앤씨 교량 받침의 수평 변형량 측정장치
CN114440736A (zh) * 2022-01-11 2022-05-06 淮北矿业股份有限公司 一种拱形巷道多角度表面位移测量装置
KR102537674B1 (ko) * 2022-11-22 2023-05-31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교량 안전진단용 연단거리 측정장치
KR102582603B1 (ko) * 2022-11-16 2023-09-26 (주)천일이엔에스 교량 안전진단용 연단거리 측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962B1 (ko) * 2015-10-19 2016-04-28 신종현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연단거리 측정장치
KR101695324B1 (ko) * 2016-09-20 2017-01-13 한국시설기술단(주) 교량 안전진단시 교좌장치의 연단거리 측정장비
KR200485684Y1 (ko) * 2017-04-26 2018-02-07 이주창 휴대용 곡률반경 측정장치
KR102192189B1 (ko) * 2020-03-27 2020-12-17 주식회사 다인안전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962B1 (ko) * 2015-10-19 2016-04-28 신종현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연단거리 측정장치
KR101695324B1 (ko) * 2016-09-20 2017-01-13 한국시설기술단(주) 교량 안전진단시 교좌장치의 연단거리 측정장비
KR200485684Y1 (ko) * 2017-04-26 2018-02-07 이주창 휴대용 곡률반경 측정장치
KR102192189B1 (ko) * 2020-03-27 2020-12-17 주식회사 다인안전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670B1 (ko) * 2021-10-01 2022-03-28 주식회사 신라이앤씨 교량 안전진단용 연단거리 측정장치
KR102392654B1 (ko) 2021-12-20 2022-04-29 주식회사 동인이앤씨 교량 받침의 수평 변형량 측정장치
CN114440736A (zh) * 2022-01-11 2022-05-06 淮北矿业股份有限公司 一种拱形巷道多角度表面位移测量装置
CN114440736B (zh) * 2022-01-11 2023-10-27 淮北矿业股份有限公司 一种拱形巷道多角度表面位移测量装置
KR102582603B1 (ko) * 2022-11-16 2023-09-26 (주)천일이엔에스 교량 안전진단용 연단거리 측정장치
KR102537674B1 (ko) * 2022-11-22 2023-05-31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교량 안전진단용 연단거리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6830B1 (ko) 교량 받침 연단 측정자
US1909267A (en) Guide for bricklayers' use
US5160109A (en) Steel post shore, or prop, for supporting of formwork in constructing buildings
DK3132095T3 (en) A FOUNDATION FOR A WINDMILL
CN108414029A (zh) 墙柱垂直度、平整度、水平度检测尺及其检测方法
CN108759807A (zh) 墙柱模板垂直度检测尺
CN105113413A (zh) 手摇线锤装置
KR101617712B1 (ko) 긴장 검측선을 이용한 교량 신축량 측정장치
US4683633A (en) Articulate rafter framing jig and method of using same
CN111964642A (zh) 管道变形检测装置及方法
CN218782115U (zh) 一种后锚固件拉拔承载力检测仪器的支撑机构
CN108050985B (zh) 裂缝形变监测仪的使用方法
CN208171163U (zh) 检测墙柱垂直度、水平度及平整度的靠尺
CN209699081U (zh) 防撞护栏定位尺
CN210036700U (zh) 倾角测量装置
CN209387009U (zh) 一种建筑设计用测量尺
CN216717240U (zh) 一种箱梁腹板倾角、底板宽度测量装置
CN103114613B (zh) 一种桩位偏差实时检测装置
CN220080122U (zh) 一种建筑工程用地基检测装置
KR102081165B1 (ko) 사다리의 안전성 시험 장치
KR101679284B1 (ko) 스타프
KR102081164B1 (ko) 사다리의 안전성 시험 장치
CN109866195A (zh) 一种防撞护栏定位尺
CN114705107B (zh) 一种用于桩基桩径及垂直度检测仪器
CN219914304U (zh) 一种室内墙面平整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