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404B1 -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404B1
KR102457404B1 KR1020210008483A KR20210008483A KR102457404B1 KR 102457404 B1 KR102457404 B1 KR 102457404B1 KR 1020210008483 A KR1020210008483 A KR 1020210008483A KR 20210008483 A KR20210008483 A KR 20210008483A KR 102457404 B1 KR102457404 B1 KR 102457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ontact
wear
measuring device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752A (ko
Inventor
구형모
한재희
이다헌
류우호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8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404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3Measuring of motor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4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은, 몸체; 상기 몸체에서 진퇴유동되며, 브러시 매거진에 진입되어 브러시의 후단면에 접촉되는 접촉모듈;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접촉모듈의 진입정도에 기반하여 상기 브러시의 마모정도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BRASION}
본 발명은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발전기 브러시는 발전기 회전자에 DC 여자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회전자와 접촉해 있으며, 4개의 브러시가 1개의 매거진에 설치되어 총 44개의 매거진 (176개의 브러시)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주발전기 브러시는 정상운전 중에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소모성 자재로 발전소 정상운전 또는 정지 중에도 수시로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브러시 점검 1년 평균 4,260EA의 브러시를 교체하며, 발전소 1개호기 기준으로 약 177∼ 179EA의 브러시를 매년 교체하고 있다. 여기서, 브러시 마모여부 확인방법은 별도의 측정도구 없이 육안으로 확인하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발전기 회전력에 의한 강한 부압과 고전류에 의해 브러시룸 내부에서 마모량 점검시 감전사고 및 회전기기 협착 등 산업안전에 취약한 구조임 ※ 브러시룸 내부에서 부압에 의해 중심을 잃고 (+)극과 (-)극을 동시에 접촉 시 발전기 여자전류가 흘러 심각한 전기사고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브러시 마모량은 매거진 탈거 후 길이를 직접 측정해야 하나, 제작사의 매뉴얼 상에 의하면 한번에 10% 이상 탈거할 수 없고 작업자 안전 상 육안으로 확인하여 정 확한 사용량 측정이 어렵다. 때문에 육안점검에 의한 오차로 주기 미도래 대상의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 사업소에서 매년 4,000여개가 넘는 브러시를 교체하면서 5~6억원의 비용이 소요되며, 교체기준이 육안에만 의존하여 경제적 사용량까지 사용하지 못해 불 필요한 비용이 발생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6962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브러시 마모량의 명확한 측정을 통해 브러시를 경제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해주는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브러시 마모량의 효과적이고 간편한 측정으로 브러시 측정을 위하 노동력과 점검시간을 절감시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점검방법 개선을 통한 작업자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감전사고 및 회전기기 협착에 의한 골절 등 산업안전 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마모량측정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진퇴유동되며, 브러시 매거진에 진입되어 브러시의 후단면에 접촉되는 접촉모듈;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접촉모듈의 진입정도에 기반하여 상기 브러시의 마모정도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모듈은, 상기 몸체에서 진퇴유동되며, 상기 브러시와 접촉에 기반하여 후진되는 접촉체와, 상기 몸체의 전단부에 외삽되며, 상기 접촉체와 연결되어 진퇴 유동되는 이동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이동체와 연결되어 유동되는 삽입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게이지는, 상기 이동체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이동체의 진퇴정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매거진은 플레이트부와, 롤링스프링이 위치되는 통형상부로 구비되며, 상기 몸체는 패널형상의 주몸체부와, 상기 주몸체부로부터 전단부로 돌출되는 돌출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상기 돌출몸체부는 상기 브러시 매거진의 상기 플레이트부의 적어도 일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모듈은, 상기 돌출몸체부에서 유동되어, 상기 통형상부로 진입하되, 상기 통형상부의 측면내곽부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삽입체의 단부로 직각방향으로 위치되며, 상방 단부가 상기 몸체의 일부와 대향하되, 상기 이동체와 상기 몸체 상호간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접촉체는 상기 탄성부재를 기반으로 진퇴유동상에 탄성복원력이 작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와 상기 삽입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이동체와 상기 몸체 사이로 구비되는 상기 탄성부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aspect)에 따른 마모량측정방법은, 마모량측정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마모량측정장치의 접촉모듈이 브러시 매거진에 진입되어 브러시의 후단면에 접촉되는 단계; 및 식별게이지를 통해 상기 접촉모듈의 진입정도에 기반하는 상기 브러시의 마모정도가 식별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모듈은, 상기 몸체에서 진퇴유동되며, 상기 브러시와 접촉에 기반하여 후진되는 접촉체와, 상기 몸체의 전단부에 외삽되며, 상기 접촉체와 연결되어 진퇴 유동되는 이동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이동체와 연결되어 유동되는 삽입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매거진은 플레이트부와, 롤링스프링이 위치되는 통형상부로 구비되며, 상기 몸체는 패널형상의 주몸체부와, 상기 주몸체부로부터 전단부로 돌출되는 돌출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상기 돌출몸체부는 상기 브러시 매거진의 상기 플레이트부의 적어도 일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러시 마모량의 효과적이고 간편한 측정으로 브러시의 경제적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 마모량의 효과적이고 간편한 측정으로 브러시 측정을 위하 노동력과 점검시간을 절감시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점검방법 개선을 통한 작업자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감전사고 및 회전기기 협착에 의한 골절 등 산업안전 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모량측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따른 마모량측정장치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도 1에 따른 마모량측정장치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1에 따른 마모량측정장치의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도 7에 따른 마모량측정장치의 마모량측정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9에 따른 마모량측정장치가 브러시에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모량측정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모량측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따른 마모량측정장치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도 1에 따른 마모량측정장치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마모량측정장치(100)는 몸체(110), 식별게이지(115), 접촉모듈(120), 고정체(125) 및 커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주몸체부(111) 및 돌출몸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참조)
접촉모듈(120)은, 접촉체(121), 이동체(122) 및 삽입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10)는 일정한 두께의 패널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10)는 내부가 투영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참조)
접촉모듈(102)의 이동체(122)는 돌출몸체부(112)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체(122)는 서로간에 바(bar) 형태의 연결기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4 참조)
그리고 이동체(122)는 돌출몸체부(112)의 길이방향 삽입공간으로 연결기둥이 삽입됨으로써, 돌출몸체부(112)에서 전후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접촉체(121)는 이러한 연결기둥의 전면부로 연장됨으로써 돌출몸체부(112)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4 참조)
접촉모듈(120)은 몸체(110)상에서 진퇴유동되며, 브러시 매거진(BM)에 진입되어 브러시(B)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모듈(120)의 접촉체(121)는 몸체(110)상에서 진퇴유동되며, 브러시(B)와 접촉에 기반하여 후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참조)
접촉모듈(120)의 이동체(122)는 몸체(110)의 전단부에 외삽되며, 접촉체(121)와 연결되어 진퇴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및 도 6 참조)
삽입체(123)는 몸체(110)의 돌출몸체(112)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식별게이지(115)는 이동체(122)와 연결되어 유동되는, 이동체(122)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평행하도록 마주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참조)
식별게이지(115)는 플레이트형상체로서 몸체(110)의 돌출몸체부(112)로부터 이격된채 이동체(122)와 마주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체(122)는 돌출몸체부(112)와 식별게이지(115)사이에 위치하여 삽입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진퇴 유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참조)
이러한 식별게이지(115)는, 이동체(122)의 진퇴정도를 식별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데, 이때, 식별수단(1151)은, 그리드, 눈금, 색상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 참조)
이동체(122)는, 삽입체(123)의 단부로 직각방향으로 위치되며, 상방 단부가 몸체(110)의 일부와 대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체(122)와 몸체(110) 상호간에는 탄성부재(S)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참조)
여기서, 접촉체(121)는 탄성부재(S)를 기반으로 진퇴유동상에 탄성복원력이 작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130)는 몸체(110)상에 설치되어, 이동체(122)와 삽입체(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참조)
커버부(130)는 이동체(122)와 몸체(110) 사이로 구비되는 탄성부재(S)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참조)
한편, 마모량측정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인장 강도가 높고 절연율이 좋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체(L)는 몸체(110)에서 몸체(110)내부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삽입체(123)의 길이방향 중 일부를 몸체(110) 내부측으로 눌러 가압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체(L)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조작되어, 삽입체(123)를 눌러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모량측정장치(100)는 Spring Return 방식과 Screw 고정방식을 겸용하여 정밀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조도가 미 확보된 지점에도 육안상 확인이 가능하도록 브러시 잔여길이를 색상으로 표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접촉모듈(102)은 탄성부재(S)에 기반하여 탄성복원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밀리면서 식별게이지(115)의 식별수단(1151)인 표기창에 브러시 잔여길이가 역계산 되어 표기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데 빨간색은 ‘즉시교체 필요’, 노란색은 ‘추이감시’, 파란색은‘양호’로 판단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1에 따른 마모량측정장치의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도 7에 따른 마모량측정장치의 마모량측정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9에 따른 마모량측정장치가 브러시에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마모량측정장치(100)는 전술한 몸체(110), 돌출몸체부(112), 이동체(122), 접촉체(121)의 결합방식과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식별게이지(115)를 축으로 하며 이러한 식별게이지(115)에 삽입된 이동체(122)가 전후 유동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 참조)
여기서, 접촉체(121)는 식별게이지(115)의 후측면에 형성됩 합입홈상에 가이드되며, 이동체(122)와 일체로 연결되어 전후 유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8 참조)
전술한 마모량측정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접촉모듈(120)은 몸체(110)상에서 진퇴유동되며, 브러시 매거진(BM)에 진입되어 브러시(B)의 후단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 참조)
식별게이지(115)는 몸체(110)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게이지(115)는 접촉모듈(120)의 진입정도에 기반하여 브러시(B)의 마모정도를 식별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 참조)
브러시(B) 매거진(BM)은 플레이트부(BM1)와, 롤링스프링(RS)이 위치되는 통형상부(BM2)로 구비될 수 있다. 몸체(110)의 주몸체부(111)는 패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몸체(110)의 돌출몸체부(112)는 주몸체부(111)로부터 전단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 참조)
몸체(110)의 돌출몸체부(112)는 브러시(B) 매거진(BM)의 플레이트부(BM1)의 적어도 일부에 안착되거나, 주몸체부(111)는 플레이트부(BM1)의 단부에 접촉하며 대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 참조)
이러한 측정구조에 따라서, 마모량측정장치(100)는 측정지점으로부터 100㎜ 이상 떨어져 확인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브러시에 직접 접촉하거나 근접하여 확인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접촉모듈(120)은, 돌출몸체부(112)상에서 유동되어, 통형상부(BM2)로 진입하되, 통형상부(BM2)의 측면내곽부로 진입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 참조)
접촉체(121)는 브러시(B)의 후단면에 접촉하되, 브러시(B)의 마모정도에 따라 접촉체(121)의 후퇴정도가 달라지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식별게이지(115)의 식별수단으로 가늠하여 브러시(B)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도 11 및 도 12 참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모량측정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마모량측정방법(S100)은 준비하는 단계(S110); 접촉되는 단계(S120); 및 마모정도가 식별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S11에서는 마모량 측정을 위한 마모량측정장치를 준비할 수 있다.
다음, S120에서는 마모량측정장치의 접촉모듈(120)이 브러시(B) 매거진(BM)에 진입되어 브러시(B)의 후단면에 접촉될 수 있다. 다음, S130에서는 식별게이지(115)를 통해 접촉모듈(120)의 진입정도에 기반하는 브러시(B)의 마모정도가 식별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모듈(120)의 접촉체(121)는 몸체(110)상에서 진퇴유동될 수 있다. 브러시(B)와 접촉에 기반하여 후진될 수 있다. 이동체(122)는 몸체(110)의 전단부에 외삽되며, 접촉체(121)와 연결되어 진퇴 유동될 수 있다.
이동체(122)는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체(123)는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이동체(122)와 연결되어 유동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몸체
111: 주몸체부
112: 돌출몸체부
115: 식별게이지
120: 접촉모듈
121: 접촉체
122: 이동체
123: 삽입체
124: 그립부

Claims (10)

  1. 몸체;
    상기 몸체에서 진퇴유동되며, 브러시 매거진에 진입되어 브러시의 후단면에 접촉되는 접촉모듈;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접촉모듈의 진입정도에 기반하여 상기 브러시의 마모정도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게이지를 포함하되,
    상기 브러시 매거진은 플레이트부와, 롤링스프링이 위치되는 통형상부로 구비되며,
    상기 몸체는 패널형상의 주몸체부와, 상기 주몸체부로부터 전단부로 돌출되는 돌출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상기 돌출몸체부는 상기 브러시 매거진의 상기 플레이트부의 적어도 일부에 안착되는, 마모량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모듈은,
    상기 몸체에서 진퇴유동되며, 상기 브러시와 접촉에 기반하여 후진되는 접촉체와,
    상기 몸체의 전단부에 외삽되며, 상기 접촉체와 연결되어 진퇴 유동되는 이동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이동체와 연결되어 유동되는 삽입체을 포함하는, 마모량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게이지는,
    상기 이동체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이동체의 진퇴정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수단이 구비되는, 마모량측정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모듈은,
    상기 돌출몸체부에서 유동되어, 상기 통형상부로 진입하되, 상기 통형상부의 측면내곽부로 진입하는, 마모량측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삽입체의 단부로 직각방향으로 위치되며, 상방 단부가 상기 몸체의 일부와 대향하되,
    상기 이동체와 상기 몸체 상호간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접촉체는 상기 탄성부재를 기반으로 진퇴유동상에 탄성복원력이 작용되는, 마모량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와 상기 삽입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이동체와 상기 몸체 사이로 구비되는 상기 탄성부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마모량측정장치.
  8. 마모량측정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마모량측정장치의 접촉모듈이 상기 마모량측정장치의 몸체에서 진퇴유동을 기반으로 브러시 매거진에 진입되어 브러시의 후단면에 접촉되는 단계; 및
    상기 접촉모듈의 진입정도에 기반하여 상기 브러시의 마모정도가 식별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브러시 매거진은 플레이트부와, 롤링스프링이 위치되는 통형상부로 구비되며,
    상기 몸체는 패널형상의 주몸체부와, 상기 주몸체부로부터 전단부로 돌출되는 돌출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상기 돌출몸체부는 상기 브러시 매거진의 상기 플레이트부의 적어도 일부에 안착되는, 마모량측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모듈은,
    상기 몸체에서 진퇴유동되며, 상기 브러시와 접촉에 기반하여 후진되는 접촉체와,
    상기 몸체의 전단부에 외삽되며, 상기 접촉체와 연결되어 진퇴 유동되는 이동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이동체와 연결되어 유동되는 삽입체을 포함하는, 마모량측정방법.
  10. 삭제
KR1020210008483A 2021-01-21 2021-01-21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2457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483A KR102457404B1 (ko) 2021-01-21 2021-01-21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483A KR102457404B1 (ko) 2021-01-21 2021-01-21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52A KR20220105752A (ko) 2022-07-28
KR102457404B1 true KR102457404B1 (ko) 2022-10-20

Family

ID=8260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483A KR102457404B1 (ko) 2021-01-21 2021-01-21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40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995Y1 (ko) 1999-08-12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브러쉬 마모 감지장치
JP3020646B2 (ja) * 1991-05-23 2000-03-15 旭電化工業株式会社 高比重衣料用粉末洗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11452B1 (ko) 2001-04-09 2007-04-24 주식회사 포스코 눈금자를 갖는 판타그라프
JP2009268301A (ja) 2008-04-28 2009-11-12 Hitachi Chem Co Ltd ブラシ摩耗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取付けたブラシ保持装置
JP2020517964A (ja) * 2017-04-28 2020-06-18 シュンク カーボン テクノロジ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摩耗の状態を測定する測定装置及び方法
KR102192189B1 (ko) 2020-03-27 2020-12-17 주식회사 다인안전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0180Y2 (ja) * 1989-05-30 1996-06-05 株式会社明電舎 回転電機のブラシ摩耗量検出装置
JP3020646U (ja) * 1995-07-17 1996-02-06 株式会社富士カーボン製造所 摩耗検出用カーボンブラシ
KR20030030542A (ko) * 2001-10-11 2003-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러쉬 마모한계 지시형 브러쉬 홀더
KR20090009472A (ko) * 2007-07-20 2009-01-23 한국플랜트서비스주식회사 발전기용 브러쉬
KR101569621B1 (ko) 2014-05-14 2015-11-1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브러시 홀더 조립용 공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646B2 (ja) * 1991-05-23 2000-03-15 旭電化工業株式会社 高比重衣料用粉末洗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65995Y1 (ko) 1999-08-12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브러쉬 마모 감지장치
KR100711452B1 (ko) 2001-04-09 2007-04-24 주식회사 포스코 눈금자를 갖는 판타그라프
JP2009268301A (ja) 2008-04-28 2009-11-12 Hitachi Chem Co Ltd ブラシ摩耗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取付けたブラシ保持装置
JP2020517964A (ja) * 2017-04-28 2020-06-18 シュンク カーボン テクノロジ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摩耗の状態を測定する測定装置及び方法
KR102192189B1 (ko) 2020-03-27 2020-12-17 주식회사 다인안전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52A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518027C2 (sv) Skärverktygssytem och medel för att exakt positionera detsamma
KR102457404B1 (ko) 마모량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EP2181791A3 (en) Machine of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positioning method for this machine
DE202006004715U1 (de) Führungshilfe für Schneidwerkzeuge
US20100116517A1 (en) Hand machine tool, battery pack, and charger
CN210509870U (zh) 一种具有磨损参照标识的定位销
EP3201930B1 (en) Disposable optical fiber coating removal tool
DE102011111409B3 (de) Anordnung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Verschleißgrades der Schleiffläche eines Rillenfahrdrahtes
CN212044280U (zh) 电动虎钳
EP3421169A1 (de) Schutzglas mit transponder und einbauhilfe sowie zugehöriges laserwerkzeug
KR100439973B1 (ko)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 검사지그
CN113386072A (zh) 手动数显开口扳手
CN215261573U (zh) 一种内花键棒间距测量工具
CN113125174B (zh) 一种转向管柱总成检测工装及转向管柱总成的检测方法
DE602004002683T2 (de) Automatische werkzeugmessvorrichtung für eine bearbeitungsmaschine
CN219084733U (zh) 一种摩托车前防护检测装置
CN218931415U (zh) 用于梯级防上浮钩的测量整形工具
CN211263533U (zh) 一种静电放电模拟器夹持装置
CN216759183U (zh) 刀具检测装置及加工设备
CN211291303U (zh) 一种检测机构
CN213398005U (zh) 一种材料抗弯性能检测装置
CN220794158U (zh) 一种裂缝测试仪
KR101739035B1 (ko) 인장 시험편 셋팅 장치
KR101553646B1 (ko) 용접 건 정렬 확인장치
CN216575601U (zh) 一种建筑工程用具有防飞溅功能的钻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