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661Y1 -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 - Google Patents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661Y1
KR200389661Y1 KR20-2005-0012045U KR20050012045U KR200389661Y1 KR 200389661 Y1 KR200389661 Y1 KR 200389661Y1 KR 20050012045 U KR20050012045 U KR 20050012045U KR 200389661 Y1 KR200389661 Y1 KR 200389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
body portion
ram housing
door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배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김성배
송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김성배, 송명준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2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6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6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02D7/08Drop drivers with free-falling hamm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02D7/14Components for drivers inasmuch as not specially for a specific drive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램 하우징 장치는 리더의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자유낙하하여 파일을 타격하는 램을 구비하는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에 있어서, 내측튜브와, 외측튜브와, 내측튜브와 외측튜브의 사이에 설치되는 흡음부재를 갖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에 설치되는 도어와; 몸체부의 트인 하부에 연장되게 설치되며, 파일의 상부를 수용하는 원통형 연장부를 구비한다. 도어는, 몸체부에 힌지결합되는 회전식이며, 몸체부의 일측면과 타측면 각각에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설치된다. 그리고 도어는, 몸체부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을 갖는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하우징을 이중구조로 구성하고, 그 내부에는 흡음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램이 파일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타격음을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또한, 램 하우징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구비함으로써, 램 하우징을 완전히 분해하지 않고도 램 하우징 내부의 유압실린더와 램을 점검 및 수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점검 및 수리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Description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RAM HOUSING OF PILE DRIVING HAMMER}
본 고안은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을 지반에 때려 박는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타기는 고중량의 램을 하부로 낙하시킴으로써 하부에 배치된 파일을 지반에 때려 박는 장치이다. 이러한 항타기는 중장비, 예를 들면 굴삭기, 크레인 등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도 1에는 항타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항타기는 항타기 본체(1)를 갖는다. 항타기 본체(1)는 크레인,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도시하지 않음)의 리더(L)(Leader)에 승강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램 하우징(3)을 가지며, 램 하우징(3)의 내부에는 램(5)이 상,하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램(5)은 고중량의 중량체로서, 램 하우징(3) 상부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7)에 의해 상승되며, 자체의 하중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하부에 배치된 파일(P)을 타격한다. 여기서, 파일(P)의 상단에는 램(5)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드라이브 캡(D)이 씌워지며, 드라이브 캡(D)의 상면에는 타격판(D1)이 설치된다. 타격판(D1)은 램(5)의 타격력을 직접적으로 받는 부분으로서,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항타기에 의하면, 먼저 유압실린더(7)로써 고중량의 램(5)을 상부로 상승시킨 다음, 상승된 고중량의 램(5)을 하부로 자유 낙하시킴으로써 하부에 배치된 파일(P)을 타격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타격한 파일(P)을 지반(S)에 때려 박게 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항타기는 램(5)이 파일(P)을 타격할 때, 매우 큰 타격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같은 문제점은 건설현장에서 민원의 대상이 되어왔으며, 이에 따라 항타기는 소음도 표시 권고 대상 건설기계로 분류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항타기는 램 하우징(3) 내부의 유압실린더(7)와 램(5)에 이상이 발생하여 이를 점검하고 수리해야 할 경우, 램 하우징(3)을 완전히 분해하여 점검 및 수리한 후, 분해된 램 하우징(3)을 다시 일일이 조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같은 문제점은 많은 노동력과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등,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파일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타격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램 하우징을 완전히 분해하지 않고도 램 하우징 내부의 유압실린더와 램을 점검 및 수리할 수 있는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는, 리더의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자유낙하하여 파일을 타격하는 램을 구비하는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에 있어서, 내측튜브와, 상기 내측튜브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외측튜브와, 상기 내측튜브와 외측튜브의 사이에 설치되는 흡음부재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몸체부의 트인 하부에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기 파일의 상부를 수용하는 원통형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는, 상기 몸체부에 힌지결합되는 회전식이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과 타측면 각각에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을 갖추고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램 하우징(10)은 몸체부(20)를 구비한다. 몸체부(20)는 고강도를 갖는 금속재질, 예를 들면 주철로 구성된 사각의 튜브체로서, 하부가 트인 작동실(20a)을 가지며, 이 작동실(20a)에는 램(5)이 상,하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램(5)은 몸체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7)에 의해 상승되며, 자체의 하중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하부에 배치된 파일(P)을 타격한다. 여기서, 파일(P)의 상단에는 드라이브 캡(D)이 씌워지며, 드라이브 캡(D)의 상면에는 램(5)의 타격력을 직접적으로 받는 타격판(D1)이 설치된다.
한편, 몸체부(2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튜브(22)와, 내측튜브(22)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외측튜브(24)로 구성되며, 내측튜브(22)와 외측튜브(24)의 사이에는 흡음부재(26)가 설치된다.
흡음부재(26)는 예를 들면, 발포상의 폴리우레탄 또는 발포상의 고무로 구성되며, 내측튜브(22)와 외측튜브(24) 사이를 따라 튜브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흡음부재(26)는 상기 램(5)이 자유낙하하여 드라이브 캡(D)의 타격판(D1)을 타격할 때, 타격판(D1)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타격음을 흡수하여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램(5)과 타격판(D1)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타격음을 차폐함으로써, 발생된 타격소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흡음부재(26)의 소재인 발포상 재료는, 특정 주파수대역의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특히, 램(5)이 드라이브 캡(D)의 타격판(D1)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의 타격음을 효율좋게 흡음함으로써 램(5)과 타격판(D1)사이에서 발생된 타격소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현저하게 줄여준다.
한편, 도 2와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20)의 일측면(20b)과 타측면(20c) 각각에는 트임구멍(28)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트임구멍(28)에는 도어(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트임구멍(28)은 몸체부(20)의 내부를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튜브(22)와 외측튜브(24)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트임구멍(28)은 몸체부(20)의 내부를 개방함으로써 몸체부(20) 내부를 점검 및 수리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몸체부(20) 내부의 유압실린더(7)와 램(5)을 점검 및 수리할 수 있게 한다.
도어(30)는 몸체부(20)에 힌지(30a)결합되는 회전식 도어로서, 필요에 따라 트임구멍(28)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몸체부(20)의 내부를 필요에 따라 개방하거나 밀폐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도어(30)는 내측판(32)과 외측판(34)으로 구성되어 이중구조를 이루고 있고, 내측판(32)과 외측판(34) 사이에는 흡음부재(36)가 충전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30)는 몸체부(20)의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 도어(30)에는 투명창(38)이 설치되어 있다. 투명창(38)은 몸체부(2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며, 작업자로 하여금 몸체부(20) 내부의 유압실린더(7)와 램(5)의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램 하우징(10)은 몸체부(20)의 트인 하부에 연장 설치되는 원통형 연장부(40)를 구비한다.
연장부(40)는 파일(P)의 상단에 설치되는 드라이브 캡(D)을 덮어서 감싸기 위한 것으로, 상기 드라이브 캡(D)을 수용하기 위한 트인 수용실(42)을 갖는다. 여기서, 수용실(42)의 상단부에는 환형의 지지링(44)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지지링(44)은 드라이브 캡(D)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연장부(40)는 고강도를 갖는 금속재질, 예를 들면 주철로 구성되며, 몸체부(20)에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연장부(40)의 수용실(42) 내벽에는 흡음부재(48)가 설치된다. 흡음부재(48)는 상기 몸체부(20)의 흡음부재(26)와 마찬가지로 발포상의 폴리우레탄 또는 발포상의 고무로 구성되며, 수용실(42)의 내벽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흡음부재(48)는 상기 램(5)이 자유낙하하여 드라이브 캡(D)의 타격판(D1)을 타격할 때, 타격판(D1)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타격음을 흡수하여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램(5)과 타격판(D1)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타격음을 차폐함으로써, 발생된 타격소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흡음부재(48)는, 상술한 몸체부(20)의 흡음부재(26)와 마찬가지로 특정 주파수대역의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특히, 램(5)이 드라이브 캡(D)의 타격판(D1)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대역의 타격음을 효율좋게 흡음함으로써 램(5)과 타격판(D1)사이에서 발생된 타격소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현저하게 줄여준다.
그리고, 도 2와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램 하우징(10)은 몸체부(20)를 리더(L)에 지지시키기 위한 복수의 지지부(50)를 구비한다.
지지부(50)는 마주보는 한 쌍의 반원형 핑거(52)로 구성된다. 마주보는 반원형 핑거(52)들은 리더(L)에 설치된 양쪽의 가이드레일(L1) 각각에 압착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몸체부(20)를 리더(L)에 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지지부(50)는 몸체부(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따라서 몸체부(2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리더(L)에 지지시킨다.
이러한 지지부(50)에 의하면, 마주보는 반원형 핑거(52)가 리더(L)의 양쪽 가이드레일(L1)에 압착 고정되므로, 상기 가이드레일(L1)과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유격으로 인한 몸체부(20)의 유동, 및 유동으로 인한 충격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결국, 램 하우징(10)과 리더(L)와의 접촉충격으로 인한 충격소음은 제거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에 의하면, 하우징을 이중구조로 구성한 다음, 그 내부에는 흡음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램이 파일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타격음을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특히, 발생된 타격음을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으므로 발생된 타격소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타격소음을 저감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램 하우징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를 구비함으로써, 램 하우징을 완전히 분해하지 않고도 램 하우징 내부의 유압실린더와 램을 점검 및 수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점검 및 수리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항타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를 나타내는 항타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램 하우징 장치를 나타내는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램 하우징 장치를 나타내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항타기 본체 5: 램
7: 유압실린더 10: 램 하우징
20: 몸체부 20a: 작동실
20b: 일측면 20c: 타측면
22: 내측튜브 24: 외측튜브
26: 흡음부재 28: 트임구멍
30: 도어 30a: 힌지
32: 내측판 34: 외측판
36: 흡음부재 38: 투명창
40: 연장부 42: 수용실
50: 지지부 52: 핑거
D: 드라이브 캡 D1: 타격판
L: 리더 L1: 가이드레일
P: 파일

Claims (3)

  1. 리더의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자유낙하하여 파일을 타격하는 램을 구비하는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에 있어서,
    내측튜브와, 상기 내측튜브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외측튜브와, 상기 내측튜브와 외측튜브의 사이에 설치되는 흡음부재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몸체부의 트인 하부에 연장되게 설치되며, 상기 파일의 상부를 수용하는 원통형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몸체부에 힌지결합되는 회전식이며,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과 타측면 각각에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
KR20-2005-0012045U 2005-04-29 2005-04-29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 KR200389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045U KR200389661Y1 (ko) 2005-04-29 2005-04-29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045U KR200389661Y1 (ko) 2005-04-29 2005-04-29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661Y1 true KR200389661Y1 (ko) 2005-07-18

Family

ID=43690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045U KR200389661Y1 (ko) 2005-04-29 2005-04-29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661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375B1 (ko) 2006-07-12 2007-05-28 김성배 항타기의 램하우징 장치
KR100963251B1 (ko) * 2007-11-19 2010-06-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소음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항타기
US8177023B2 (en) 2007-04-04 2012-05-15 Sandvik Mining And Construction Oy Sound dampening housing for rock drill
KR101219299B1 (ko) 2012-09-12 2013-01-09 석정건설(주) 항타기
KR20160114009A (ko) * 2016-09-13 2016-10-04 (주) 대동이엔지 직진운동 가능한 진동리퍼 및 터널굴착공법
KR20170034801A (ko) * 2017-03-06 2017-03-29 임재홍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KR20170077075A (ko) * 2017-06-16 2017-07-05 (주) 대동이엔지 점검기능을 가지는 진동리퍼
KR101988824B1 (ko) 2019-03-05 2019-06-12 정창식 항타기용 안전장치
KR102384464B1 (ko) 2021-07-30 2022-04-12 우리기술 주식회사 항타기용 파일캡
KR102653858B1 (ko) * 2023-08-28 2024-04-03 주식회사 특허기술하림엔지니어링 파일 시공용 안전 보조항타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375B1 (ko) 2006-07-12 2007-05-28 김성배 항타기의 램하우징 장치
WO2008007820A1 (en) * 2006-07-12 2008-01-17 Sung Bae Kim Ram housing for pile driving hammer
US8177023B2 (en) 2007-04-04 2012-05-15 Sandvik Mining And Construction Oy Sound dampening housing for rock drill
KR100963251B1 (ko) * 2007-11-19 2010-06-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소음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항타기
KR101219299B1 (ko) 2012-09-12 2013-01-09 석정건설(주) 항타기
KR101853430B1 (ko) * 2016-09-13 2018-06-20 (주)대동이엔지 직진운동 가능한 진동리퍼 및 터널굴착공법
WO2018052246A1 (ko) * 2016-09-13 2018-03-22 (주)대동이엔지 직진운동 가능한 진동리퍼
KR20160114009A (ko) * 2016-09-13 2016-10-04 (주) 대동이엔지 직진운동 가능한 진동리퍼 및 터널굴착공법
KR20170034801A (ko) * 2017-03-06 2017-03-29 임재홍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KR101991346B1 (ko) * 2017-03-06 2019-06-20 임재홍 지반보강용 파일 항타장치
KR20170077075A (ko) * 2017-06-16 2017-07-05 (주) 대동이엔지 점검기능을 가지는 진동리퍼
KR101988824B1 (ko) 2019-03-05 2019-06-12 정창식 항타기용 안전장치
KR102384464B1 (ko) 2021-07-30 2022-04-12 우리기술 주식회사 항타기용 파일캡
KR102653858B1 (ko) * 2023-08-28 2024-04-03 주식회사 특허기술하림엔지니어링 파일 시공용 안전 보조항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9661Y1 (ko) 항타기의 램 하우징 장치
CN207586041U (zh) 一种钢化玻璃的强度检测装置
CN208762879U (zh) 一种桥梁施工用支撑装置
KR100722375B1 (ko) 항타기의 램하우징 장치
EP2937466B1 (de) Vorrichtung zur minderung von wasserschall
GB2472606A (en) A hydraulic pile driver with cushions to reduce impact noise
KR20010044658A (ko)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저진동 저소음 그래뉼러 파일시공장치
JP7324080B2 (ja) 騒音を減衰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削岩リグ
KR200354588Y1 (ko) 항타기의 타격소음 차단 장치
CN213712432U (zh) 自动调节的安防监控支架
CN211713959U (zh) 一种桥梁施工用打桩装置
CN2687137Y (zh) 一种低噪音钢球表面强化机
CN209927587U (zh) 新型冲击试验装置
CN210357509U (zh) 一种用于石英砂生产的粉碎分选装置
CN208644725U (zh) 一种汽车底盘护板钻孔用定位夹紧装置
CN113092161A (zh) 一种智能检测修复设备
CN216791580U (zh) 一种检测机械阻尼器减振效果的装置
KR102433095B1 (ko) 소음방지가 가능한 항타기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
CN212932111U (zh) 一种一体式土工击实装置
CN220086278U (zh) 一种锂电池壳体
CN213869071U (zh) 一种建筑工程用拆迁装置
CN214109744U (zh) 一种用于摇臂钻减振的减振装置
CN213597576U (zh) 一种具有防爆功能的撬装化设备间
CN218954477U (zh) 一种水冷屏顶部吊装支架
KR20140082661A (ko) 굴삭기용 부품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