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181B1 -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181B1
KR102087181B1 KR1020157008934A KR20157008934A KR102087181B1 KR 102087181 B1 KR102087181 B1 KR 102087181B1 KR 1020157008934 A KR1020157008934 A KR 1020157008934A KR 20157008934 A KR20157008934 A KR 20157008934A KR 102087181 B1 KR102087181 B1 KR 102087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lass
mobile
corner
mobile display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8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178A (ko
Inventor
마사노리 와다
오사무 오다니
마사유키 이케모토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7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7Press-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03B23/0256Gravity 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03B23/0258Gravity 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5Press-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03B23/02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by gravity only, e.g. sag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between opposing full-face shaping mou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9Fold at edge
    • Y10T428/24264Particular fold structure [e.g., bevele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모바일 디스플레이가 낙하했을 때에 생기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기 어려운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는, 모바일 디스플레이(2)의 표시부(2a) 및 측면(2b)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이다.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는, 평판 형상의 전방면부(11)와, 측면부(12, 13)를 구비한다. 전방면부(11)는, 표시부(2a)의 전방에 배치된다. 전방면부(11)는, 제1 방향 및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측면부(12, 13)는, 모바일 디스플레이(2)의 측방에 배치된다. 측면부(12, 13)는, 굴곡부(12a, 13a)를 포함한다. 굴곡부(12a, 13a)는 전방면부(11)의 제1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측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굴곡되어 있다. 측면부(12, 13)의 코너부(12c, 13c)가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OBILE-DISPLAY COVER GLASS}
본 발명은,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가 널리 사용되도록 되어 오고 있다(이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모바일 디스플레이」라고 함).
특허문헌 1에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는 커버 유리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버 유리는, 화상 표시부의 전방면에 위치하는 전방면부와, 화상 표시부의 폭 방향 양측에 있어서 전방면부로부터 굴곡되는 굴곡부를 구비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01975호 공보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커버 유리에는, 모바일 디스플레이가 낙하했을 때에 생기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기 어려운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모바일 디스플레이가 낙하했을 때에 생기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기 어려운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표시부 및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이다. 본 발명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는, 평판 형상의 전방면부와, 측면부를 구비한다. 전방면부는, 표시부의 전방에 배치된다. 전방면부는, 제1 방향 및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측면부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측방에 배치된다. 측면부는, 굴곡부를 포함한다. 굴곡부는, 전방면부의 제1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측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굴곡되어 있다. 측면부의 코너부가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다.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코너부의 외형이 원호 형상인 경우에는, 측면부의 코너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외표면을 따른 굴곡 개시점으로부터 단부까지의 길이를 L1로 하고, 측면부의 외표면 상에 있어서의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코너부의 제2 방향을 따른 길이를 L2로 했을 때에, L1>L2가 만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1≥(3/2)ㆍL2가 만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코너부의 외형이, 곡률 반경이 0.1㎜ 내지 5.0㎜인 원호 형상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두께는, 0.2㎜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부의 외표면 상에 있어서의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코너부의 제2 방향을 따른 길이를 L2로 하고, 측면부의 외표면 상에 있어서의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코너부의 제1 방향을 따른 길이를 L3으로 했을 때에, L3>L2가 만족되어도 좋다.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코너부의 외형이, 전개시했을 때에 장축이 제1 방향과 평행한 타원호 형상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에서는, 둥글게 된 형상의 코너부를 갖는 직사각 형상의 유리 평판을 준비한다. 평면 형상의 성형면을 갖는 성형틀 상에 유리 평판의 하나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성형면 상에 위치하고, 단부가 성형면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유리 평판을 배치한다.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열하면서 하방에 가압함으로써 전방면부와 측면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디스플레이가 낙하했을 때에 생기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기 어려운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일부분을 확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일부분을 확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일부분을 확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한 바람직한 형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 형태는, 단순한 예시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형태에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 참조하는 도면은, 모식적으로 기재된 것이다. 도면에 묘화된 물체의 치수 비율 등은, 현실의 물체의 치수 비율 등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물체의 치수 비율 등이 다른 경우가 있다. 구체적인 물체의 치수 비율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되어야만 한다.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일부분을 확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일부분을 확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디스플레이(2)(도 2 및 도 3을 참조)의 표시부(2a) 및 측면(2b)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 유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는 모바일 디스플레이(2)의 표시부(2a)와,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면(2b)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 유리이다. 또한, 모바일 디스플레이(2)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모바일 디스플레이(2)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등이어도 좋다. 모바일 디스플레이(2)는 판 형상이어도 좋다.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는, 예를 들어, 화학 강화 유리 등의 강화 유리나 결정화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2㎜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 내지 1.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 내지 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는 전방면부(11)를 갖는다. 전방면부(11)는 모바일 디스플레이(2)의 표시부(2a)의 전방(z1측)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전방이란, 표시부(2a)의 수선이 연장되는 방향이며, 수선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반대측을 후방으로 한다.
전방면부(11)는 평판 형상이다. 전방면부(11)는 x축 방향과, x축 방향에 대해 수직인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전방면부(11)는 직사각 형상이다. 전방면부(11)의 x축 방향을 따른 치수는, 예를 들어, 40㎜ 내지 200㎜ 정도이어도 좋다. 전방면부(11)의 y축 방향을 따른 치수는, 예를 들어, 80㎜ 내지 300㎜이어도 좋다. 또한, 「평판 형상」에는, 실질적으로 평판 형상인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평판」에는, 하나의 표면과, 하나의 표면에 대해 5° 이하의 범위로 경사진 다른 표면을 갖는 판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전방면부(11)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x1 측단부에는, 제1 측면부(12)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1 측면부(12)는, 모바일 디스플레이(2)의 측방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측면부(12)는, 모바일 디스플레이(2)의 x축 방향의 x1측에 배치된다.
제1 측면부(12)는, 제1 굴곡부(12a)를 포함한다. 제1 굴곡부(12a)는, 전방면부(11)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x1 측단부로부터 후방(z2측)을 향해 굴곡되어 있다. 전방면부(11)의 x1 측단부에 있어서의 내벽면의 접선과, 제1 측면부(12)의 선단에 있어서의 내벽면의 접선과의 이루는 각의 크기인 굴곡각 θ(도 2를 참조)는, 90°∼170°인 것이 바람직하고, 90°∼1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1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측면부(12)는, 제1 굴곡부(12a)와, 제1 굴곡부(12a)의 선단에 접속된 제1 평판부(12b)를 갖는다. 단,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측면부(12)는, 제1 굴곡부(12a)에 의해서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전방면부(11)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x2 측단부에는, 제2 측면부(13)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2 측면부(13)와, 전방면부(11) 및 제1 측면부(12)는, 1매의 유리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측면부(13)는 모바일 디스플레이(2)의 측방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측면부(13)는 모바일 디스플레이(2)의 x축 방향의 x2측에 배치된다.
제2 측면부(13)는, 제2 굴곡부(13a)를 포함한다. 제2 굴곡부(13a)는 전방면부(11)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x2 측단부로부터 후방(z2측)을 향해 굴곡되어 있다. 전방면부(11)와 제2 측면부(13)의 굴곡각(θ)은, 90°∼170°인 것이 바람직하고, 90°∼1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1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측면부(13)는, 제2 굴곡부(13a)와, 제2 굴곡부(13a)의 선단에 접속된 제2 평판부(13b)를 갖는다. 단,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측면부(13)는, 제2 굴곡부(13a)에 의해서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런데, 일반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면부의 코너부는,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측면부의 코너부는, 둥글게 된 형상으로 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측면부의 코너부가 둥글게 된 형상으로 하면, 유리 평판을 연화 변형시킴으로써 커버 유리를 제작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측면부의 코너부가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가 설치된 모바일 디스플레이가 낙하하고, 코너부가 지면에 충돌한 경우, 커버 유리가 손상되기 쉽다.
그에 대해,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에서는 측면부(12, 13)의 코너부(12c, 13c)를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다. 즉, 측면부(12, 13)의 코너부(12c, 13c)가 R 모따기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가 설치된 모바일 디스플레이(2)가 낙하하고, 모바일 디스플레이(2)의 코너부가 지면에 충돌된 경우라도, 측면부(12, 13)의 코너부(12c, 13c)에 충격이 전해지기 어려우므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가 손상되기 어렵다.
낙하 시의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측면부(12, 13)의 코너부(12c, 13c)의 외형이 원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곡률 반경이 0.1㎜ 이상의 원호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곡률 반경이 5.0㎜ 이하의 원호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제조 방법]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는,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우선, 도 6에 도시되는 유리 평판(20)을 준비한다. 유리 평판(20)은,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구성하기 위한 유리판이다. 유리 평판(20)의 4개의 코너부의 각각은, 측면부(12, 13)의 코너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유리 평판(20)의 4개의 코너부의 각각은,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다. 유리 평판(20)의 두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이 유리 평판(20)을 성형 장치(30)를 사용해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에 성형한다.
성형 장치(30)는 성형실(33)을 갖는다. 성형실(33) 내에는, 히터(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히터(41)는 열선을 방사한다. 따라서, 성형 장치(30)에서는 성형실(33) 내에 배치된 물체를 복사 가열할 수 있다.
성형실(33) 내에는, 평면 형상의 성형면(31b, 32b)을 갖는 제1 및 제2 단열재(31, 32)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단열재(31, 32)는, 각각, 성형틀로서의 기능을 가짐과 함께, 유리 평판(20)에 복사열이 전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1 및 제2 단열재(31, 32)의 열전도율은 유리 평판(20)의 열전도율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단열재(31, 32)는 히터(41)로부터 방출되는 열선을 차폐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단열재(31, 32)는, 예를 들어, 알루미나, 탄화규소, 규조토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스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단열재(31, 32)의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31a, 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31a, 32a)에는, 가열 시 및 성형 시에서, 예를 들어 공기 등의 쿨런트가 송입된다. 이에 의해, 단열재(31, 3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재(31, 32)의 원하지 않는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유리 평판(20)의 성형 시에는, 우선, 제2 단열재(32)의 성형면(32b) 상에, 유리 평판(20)의 하나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인 제1 부분(21)이 위치하고, 하나의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인 제2 부분(22a, 22b)이 성형면(32b)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유리 평판(20)을 배치한다. 그 후, 제1 단열재(31)를 유리 평판(20)의 제1 부분(21) 상에 적재한다. 이에 의해, 제1 부분(21)을 제1 및 제2 단열재(31, 32)에 의해 끼움 지지한 상태로 한다. 제2 부분(22a, 22b)은, 제1 및 제2 단열재(31, 32)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제1 단열재(31)와 제2 단열재(32)에 의해 유리 평판(20)의 제1 부분(21)을 끼움 지지한 상태에서, 히터(41)를 구동시키고, 유리 평판(20)을 복사 가열한다(가열 공정).
그 후,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단열재(31, 32)의 양측에 설치된 프레스 부재(51, 52)를 사용해서 제2 부분(22a, 22b)을 하방에 가압해서 제2 부분(22a, 22b)을 굴곡시킨다(성형 공정). 이에 의해, 제1 부분(21)으로부터 전방면부(11)를 형성하고, 제2 부분(22a, 22b)으로부터 측면부(12, 13)를 형성하고,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얻는다.
또한, 제1 단열재(31)를 설치하지 않고, 제2 단열재(32)와 프레스 부재(51, 52)에 의해 성형을 행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프레스 부재(51, 52)에 의해 제2 부분(22a, 22b)의 단부를 가압해서 측면부(12, 13)를 성형하는 경우는, 제2 부분(22a, 22b)의 코너부가 둥글게 된 형상을 가지면, 코너부는 프레스 부재(51, 52)에 의해 직접 가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부분(22a, 22b)의 x축 방향을 따른 길이가 y축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도 짧아진다. 이로 인해, 굴곡부(12a, 13a)의 y축 방향 단부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다른 부분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보다도 커지기 쉽다. 이로 인해, 높은 형상 정밀도를 갖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얻는 것이 곤란하다.
여기서, 제2 부분(22a, 22b)의 코너부의 외형이 원호 형상인 경우에는,
L1:측면부(12, 13)의 코너부(12c, 13c)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외표면을 따른 굴곡 개시점(13d)으로부터 단부면(13e)까지의 길이(㎜)(도 4를 참조),
L2:측면부(12, 13)의 외표면 상에 있어서의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코너부(12c, 13c)의 y축 방향을 따른 길이(㎜)(도 5를 참조)
로 했을 때에,
L1>L2가 만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1≤L2의 경우, 측면부(12, 13)가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코너부(12c, 13c)가 위치하는, y축 방향 양단부는, 측면부(12, 13)의 y축 방향 중앙부와 동일하게 성형하기 어렵다. L1>L2를 만족함으로써, 측면부(12, 13)의 외표면 상에 있어서의 측면부(12, 13)의 y축 방향 양단부의 z축 방향을 따른 길이(L0)가 존재하게 되고, 높은 형상 정밀도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22a, 22b)의 코너부의 외형이 원호 형상인 경우는, L2는, 제2 부분(22a, 22b)의 코너부의 외형 곡률 반경과 동등해진다.
보다 높은 형상 정밀도를 실현하는 관점에서는, L1≥(3/2)ㆍL2가 만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L1≥(2/1)ㆍL2가 만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측면부(12, 13)의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코너부(12c, 13c)의 외형이 원호 형상인 경우는, 코너부(12c, 13c)의 곡률 반경은, L1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L1의 2/3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L1의 1/2배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코너부(12c, 13c)의 곡률 반경은, 측면 시에서의(x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측면부(12, 13)의 높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측면 시에서의 측면부(12, 13)의 높이 2/3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측면부(12, 13)의 코너부(12c, 13c)의 곡률 반경이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측면부(12, 13)의 코너부(12c, 13c)의 곡률 반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낙하 시의 내충격성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측면부(12, 13)의 코너부(12c, 13c)의 곡률 반경이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5㎜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또한, L1이 작을수록, 보다 높은 형상 정밀도를 갖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가 얻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L1은, 5.0㎜ 이하인 경우, 나아가서는 3.0㎜ 이하인 경우에 측면부(12, 13)의 코너부(12c, 13c)를 L1>L2를 만족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L1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2.0㎜ 정도이다.
또한, 굴곡각 θ가 작을수록, 보다 높은 형상 정밀도를 갖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가 얻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굴곡각 θ가 120° 이하인 경우, 나아가서는, 100° 이하인 경우에 측면부(12, 13)의 코너부(12c, 13c)를 L1>L2를 만족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굴곡각 θ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90° 정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면부(12, 13)의 코너부(12c, 13c)의 외형이 원호 형상인 예에 대해 설명했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측면부의 코너부는 둥글게 된 형상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면부(12, 13)는, L3:측면부(12, 13)의 외표면 상에 있어서의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코너부(12c, 13c)의 x축 방향을 따른 길이(㎜)로 했을 때에, L3>L2가 만족되는 형상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측면부(12, 13)가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코너부(12c, 13c)의 외형은, 전개시했을 때에 장축이 x축 방향과 평행한 타원호 형상이어도 좋다. 그 경우, 프레스 부재(51, 52)를 사용해서 프레스 가공할 때에 평판부(12b, 13b)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의해 가까운 부분까지 프레스 부재(51, 52)에 의해 프레스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높은 형상 정밀도를 갖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가 된다. 더 높은 형상 정밀도를 실현하는 관점에서는, L3≥(3/2)ㆍL2가 만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L3≥(2/1)ㆍL2가 만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 :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
2 : 모바일 디스플레이
2a : 표시부
2b : 측면
11 : 전방면부
12 : 제1 측면부
12a : 제1 굴곡부
12b : 제1 평판부
12c : 코너부
13 : 제2 측면부
13a : 제2 굴곡부
13b : 제2 평판부
13c : 코너부
13d : 굴곡 개시점
13e : 단부면
20 : 유리 평판
21 : 제1 부분
22a, 22b : 제2 부분
30 : 성형 장치
31, 32 : 단열재
31a, 32a : 관통 구멍
31b, 32b : 성형면
33 : 성형실
41 : 히터
51, 52 : 프레스 부재

Claims (8)

  1.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표시부 및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이며, 상기 표시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의 전방면부와,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면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측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굴곡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부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위치한 단면과, 상기 측면부의 후방 단부에 위치한 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가,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둥글게 된 형상의 코너부를 갖는 직사각 형상의 유리 평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평면 형상의 성형면을 갖는 성형틀 상에,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상기 전방면부가 되는 상기 유리 평판의 제1 부분이 상기 성형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상기 측면부가 되는 상기 유리 평판의 제2 부분이 상기 성형면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리 평판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 평판의 상기 제2 부분의 단부를 가열하면서 프레스 도구로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전방면부와 상기 측면부를 형성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코너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외표면을 따른 굴곡 개시점으로부터 단부까지의 길이를 L1로 하고, 상기 측면부의 외표면 상에 있어서의 상기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코너부의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길이를 L2로 했을 때에, L1>L2가 만족되고, 또한 상기 측면부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단부에 있어서, 상기 굴곡 개시점으로부터 상기 코너부까지의,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을 따른 길이 L0이 존재하도록, 상기 유리 평판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설정되어 있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L1≥(3/2)ㆍL2가 만족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코너부의 외형이, 곡률 반경이 0.1㎜ 내지 5.0㎜인 원호 형상인,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두께가 0.2㎜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외표면 상에 있어서의 상기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코너부의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길이를 L2로 하고, 상기 측면부의 외표면 상에 있어서의 상기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코너부의 상기 제3 방향을 따른 길이를 L3으로 했을 때에, L3>L2가 만족되도록 상기 유리 평판의 상기 코너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둥글게 된 형상을 갖는 코너부의 외형이, 상기 제3 방향과 평행인 장축을 갖는 타원호 형상인,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57008934A 2012-10-10 2013-09-25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087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4825 2012-10-10
JP2012224825 2012-10-10
JP2013158498A JP5472521B1 (ja) 2012-10-10 2013-07-31 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
JPJP-P-2013-158498 2013-07-31
PCT/JP2013/075893 WO2014057805A1 (ja) 2012-10-10 2013-09-25 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178A KR20150067178A (ko) 2015-06-17
KR102087181B1 true KR102087181B1 (ko) 2020-03-10

Family

ID=5047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934A KR102087181B1 (ko) 2012-10-10 2013-09-25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01562B2 (ko)
EP (1) EP2908306A4 (ko)
JP (1) JP5472521B1 (ko)
KR (1) KR102087181B1 (ko)
CN (1) CN104704545B (ko)
TW (1) TWI598306B (ko)
WO (1) WO2014057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5166B1 (ja) * 2012-06-14 2014-03-0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屈曲部を有する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屈曲部を有するガラス板
CN104428827B (zh) * 2012-06-26 2016-11-09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KR20150001964A (ko) * 2013-06-28 2015-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글래스 성형 장치
ITTO20130687A1 (it) * 2013-08-12 2015-02-13 Istituto Naz Di Astrofisica Processo per la produzione di un elemento ottico mediante formatura a caldo di una lastra di vetro
JP6742593B2 (ja) * 2015-01-05 2020-08-1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支持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70006900A (ko) * 2015-07-10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102432352B1 (ko) * 2015-08-31 2022-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용 글래스 성형 장치 및 윈도우를 갖는 전자장치의 제조 방법
KR102480130B1 (ko) 2016-02-24 2022-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660537B1 (ko) 2016-07-19 2024-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455906B (zh) * 2017-09-06 2022-12-13 Agc株式会社 3d罩盖玻璃及其成形用模具、及3d罩盖玻璃的制造方法
JP7230348B2 (ja) * 2017-09-06 2023-03-01 Agc株式会社 3dカバーガラス、およびその成形用金型
CN207473963U (zh) * 2017-10-31 2018-06-0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有效显示区具有倒角区域的显示屏及显示装置
KR102461107B1 (ko) * 2017-12-14 2022-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글래스 및 이의 제조 방법
AU2019100242A4 (en) * 2018-03-07 2019-04-18 Schott Ag Articles that can be burner shields having grease flow control and/or chemical resistance
KR102585391B1 (ko) 2018-07-25 2023-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글래스, 이의 제조 방법, 및 커버 글래스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243A (ja) 2001-01-24 2002-08-09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成形用リング及びガラス板成形方法
JP2009230341A (ja) * 2008-03-21 2009-10-08 Epson Imaging Devices Corp 入力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0104698A1 (en) 2009-03-10 2010-09-16 Apple Inc. Glass alignment for high temperature processes
WO2012030751A2 (en) 2010-08-30 2012-03-08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haping a glass substrate
JP2012101975A (ja) * 2010-11-10 2012-05-31 Asahi Glass Co Ltd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21441B1 (ko) 2012-06-07 2013-01-11 주식회사 슈피겐에스지피 곡면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4931A (en) 1979-01-29 1980-08-11 Nec Corp Forming method for cover glass for display tube
JPS6021825A (ja) 1983-07-15 1985-02-04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曲げ加工方法
JPS61122132A (ja) * 1984-11-20 1986-06-10 Asahi Glass Co Ltd 折り曲げガラス板の製造方法
JPS61127628A (ja) * 1984-11-26 1986-06-14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用成形型
JPS61227932A (ja) * 1985-04-02 1986-10-11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製品の成形方法
JPS6321229A (ja) * 1986-07-11 1988-01-28 Nippon Kiden Kogyo Kk ガラス板の屈曲方法及び屈曲装置
JP2565974B2 (ja) * 1988-03-24 1996-12-18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製品の成形方法
JPH04155726A (ja) * 1990-10-19 1992-05-28 Nec Kagoshima Ltd 表示管用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
JPH07142014A (ja) 1993-11-19 1995-06-02 Ise Electronics Corp 蛍光表示管用カバーガラスの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68730A (ko) 1999-06-15 1999-09-06 성필호 평판디스플레이의커버그라스
JP2001042303A (ja) 1999-08-04 2001-02-1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01741A (ja) 2002-09-06 2004-04-0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EP2066162B1 (en) 2006-09-22 2012-02-22 Nissha Printing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using case and glass insert molding die used in the method
US20100050694A1 (en) * 2006-11-02 2010-03-04 Saint-Gobain Glass France Bending of glass by heated or cooled form
CN101903301B (zh) 2007-12-18 2012-12-19 Hoya株式会社 便携式终端用防护玻璃及其制造方法、以及便携式终端装置
US8327666B2 (en) 2009-02-19 2012-12-11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separating strengthened glass
US9193618B2 (en) 2009-03-10 2015-11-24 Apple Inc. Glass alignment for high temperature processes
KR101094284B1 (ko) * 2009-09-02 2011-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기판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절단 방법
CN102639634A (zh) 2009-12-03 2012-08-15 旭硝子株式会社 含氟共聚物纳米复合材料的制造方法
EP2457881B1 (en) * 2010-11-30 2019-05-08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a sheet of material into a shaped article
JP5673042B2 (ja) 2010-12-02 2015-02-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曲げ成形方法およびその成形装置
JP5649592B2 (ja) * 2011-02-17 2015-01-07 Hoya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携帯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ガラス基板および携帯電子機器
JP1454618S (ko) * 2011-10-31 2012-11-05
WO2013081119A1 (ja) * 2011-11-30 2013-06-06 Hoya株式会社 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ブラ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9611165B2 (en) * 2012-06-08 2017-04-04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a glass sheet and an electronic device casing
US9187364B2 (en) * 2013-02-28 2015-11-17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glass edge coat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243A (ja) 2001-01-24 2002-08-09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成形用リング及びガラス板成形方法
JP2009230341A (ja) * 2008-03-21 2009-10-08 Epson Imaging Devices Corp 入力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0104698A1 (en) 2009-03-10 2010-09-16 Apple Inc. Glass alignment for high temperature processes
WO2012030751A2 (en) 2010-08-30 2012-03-08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haping a glass substrate
JP2012101975A (ja) * 2010-11-10 2012-05-31 Asahi Glass Co Ltd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21441B1 (ko) 2012-06-07 2013-01-11 주식회사 슈피겐에스지피 곡면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95886A (ja) 2014-05-22
WO2014057805A1 (ja) 2014-04-17
TW201414681A (zh) 2014-04-16
EP2908306A1 (en) 2015-08-19
KR20150067178A (ko) 2015-06-17
US20150251943A1 (en) 2015-09-10
JP5472521B1 (ja) 2014-04-16
CN104704545B (zh) 2017-08-25
US9701562B2 (en) 2017-07-11
EP2908306A4 (en) 2016-06-22
TWI598306B (zh) 2017-09-11
CN104704545A (zh)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181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KR101431992B1 (ko) 굴곡부를 갖는 강화 글래스판의 제조 방법 및 굴곡부를 갖는 강화 글래스판
KR101353756B1 (ko) 굴곡부를 갖는 글래스판의 제조 방법 및 굴곡부를 갖는 글래스판
US9399316B2 (en) Housing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86903B1 (ko) 글래스 성형 장치 및 이의 성형 방법
CN105657101A (zh) 一种壳体的净空区域的加工方法、壳体和移动终端
US20170078572A1 (en) Thermally conductive camera enclosure
CN106304713B (zh) 壳体、使用该壳体的电子装置及该壳体的制造方法
JP2014094885A (ja) 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
KR101506501B1 (ko) 안테나가 내장된 무선휴대단말기 케이스 또는 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금형
CN201877572U (zh) 立体天线
US20120287013A1 (en) Antenna modu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60066448A1 (en) Interlocking ceramic and optical members
US9111918B2 (en) Fin fabrication process for entrainment heat sink
KR102050588B1 (ko) 밴딩과 캠형금형을 이용한 가공으로 형성되는 휴대폰 메탈 케이스의 제조방법
CN211478698U (zh) 光学元件、导光板、扩散片及显示装置
KR20120000344A (ko) 전자장치의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6956565B2 (ja) 熱伝導成形体
KR20110024433A (ko) 카메라 모듈용 쉴드캔
TWI531118B (zh) 天線裝置
CN103712497A (zh) 薄型化导流板管
JP2019110507A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292020A (zh) 加热本体及加热单元
CN103025113A (zh) 背板结构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