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329B1 - 하이브리드 담지체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담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329B1
KR102085329B1 KR1020190098963A KR20190098963A KR102085329B1 KR 102085329 B1 KR102085329 B1 KR 102085329B1 KR 1020190098963 A KR1020190098963 A KR 1020190098963A KR 20190098963 A KR20190098963 A KR 20190098963A KR 102085329 B1 KR102085329 B1 KR 102085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lock
carrier
hybri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철
박정수
Original Assignee
(주)영서물산
(주)이노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서물산, (주)이노코아 filed Critical (주)영서물산
Priority to KR102019009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구비되어 화장료가 충진되는 하이브리드 담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층과, 상기 제1층에 인접배열되는 다공성 제2층으로 이루어져, 함침 및 충진된 화장료를 보다 많은양을 오랜시간 일정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퍼프를 통해 여러번 찍어내지 않더라도 퍼프에 화장료가 충분히 묻을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담지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담지체{HYBRID CARRYING BODY}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구비되어 화장료가 충진되는 하이브리드 담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층과, 상기 제1층에 인접배열되는 다공성 제2층으로 이루어져, 함침 및 충진된 화장료를 보다 많은양을 오랜시간 일정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퍼프를 통해 여러번 찍어내지 않더라도 퍼프에 화장료가 충분히 묻을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담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운데이션은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으로서 분말상과 겔상으로 콤팩트 용기 내에 수용되어 퍼프에 묻혀서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분말상의 파운데이션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겔상의 내용물을 담지체에 함침시킨 후 화장품 용기 내부에 수용시켜 퍼프로 담지체를 터치하여 화장품 내용물 찍어 바르는 추세이다.
이러한 담지체는 주로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형성된 스펀지상(狀)의 다공성(多孔性) 물질로서, 대부분 쿠션이 있는 연질의 스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담지체의 예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1159877호에 저점도 유중수형 내용물을 담지체에 함침시켜 콤팩트 용기에 넣은 제품이 제시되고 있는데, 상기 기술은 용기본체(10)는 용기뚜껑(20)과 힌지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겔상 내용물을 함침한 담지체(60)가 콤팩트 용기의 내부용기(90)에 수용되며, 상기 담지체(60)는 고정패킹(70)에 의해 내부용기(90)에 고정되며, 상기 내부용기(90)의 상부에는 내부용기덮개(80)가 형성되어 내부용기(90)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며, 내부용기덮개(80) 상면에는 화장도구인 퍼프(15)가 위치하여 담지체(60)에 함침된 겔상 내용물을 사용할 때 이용되는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담지 스펀지는 사용자가 화장을 하기 위해 퍼프로 담지 스펀지를 누를 때, 내용물이 담지 스펀지의 외곽으로 오버플로우(overflow) 되어 내용물의 낭비를 가져오고, 상기 오버플로우된 내용물이 용기 본체의 외주연으로 흘러내려 용기를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76594호에는 담지 스펀지의 중앙부에 집중적으로 홀(hole)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담지 스펀지를 누를 때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집중적으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이 담지 스펀지의 외곽으로 오버플로우되어 용기 본체의 외주연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 내용물의 낭비를 줄이고, 용기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중앙집중 토출형 담지 스펀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담지체 가공에 따른 추가 비용의 부담이 커지고, 그럼에도 퍼프를 담지체 상면에 터치할 때 균일하게 화장품 내용물이 묻지 않아 피부에의 도포시에도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함침된 화장료를 배출함에 있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출량이 급격하게 낮아지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퍼프를 여러번 묻혀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나아가 화장료를 빠르게 소진함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횟수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화장료가 충진되는 담지체를 폴리카보네이트계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층과, 상기 제1층에 인접 배열되는 다공성 제2층으로 구성하여, 종래의 담지체에 비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균일한 양의 화장료를 배출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담지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담지체는
화장품 용기에 구비되어 화장료가 충진되는 하이브리드 담지체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층;
상기 제1층에 인접 배열되는 다공성 제2층;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담지체는 제1층과 상기 제1층에 인접 배열되는 제2층으로 구성하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층의 구조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층을 폴리카보네이트계 소재로 구성하고, 제2층을 다공성 폼으로 구성함으로서 종래의 에테르 소재 또는 에스테르와 에테르를 믹싱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담지체에 비하여 배출력이 향상되고, 보다 안정적으로 오랜시간동안 일정한 양의 화장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소재로 구성함에 따라 기존의 에테르 소재에 비해 내약품성이 높아, 쉽게 건조되어 부스러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내구성을 높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담지체의 실제 사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담지체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담지체의 실험결과 그래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담지체가 구비되는 용기의 결합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담지체(A)는 화장품 용기 내에 구비되어 액상 화장료를 함침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담지체(A)에 퍼프를 접촉시켜, 함침된 화장료가 퍼프에 묻을 수 있도록 하여 화장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담지체(A)는 보다 안정적으로 화장료를 배출하도록 고안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본 발명은 제1층(10) 및 제2층(20),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 3개의 층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층(10)을 폴리카보네이트계 소재로 구성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층(10)과, 상기 제1층(10)에 인접 배열되는 제2층(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층(20)은 상기 제1층(10) 일면에만 구비되어 총 2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층(10) 일면에 배열되는 제2-1층(21)과, 상기 제1층(10) 타면에 배열되는 제2-2층(22)으로 이루어지는 총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1층(21)과 제2-2층(22)(이 둘을 통합하여 제2층(20)이라 한다.)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다공성 폼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층(20)은 하기에 설명하는 건식개포공법 또는 습식개포공법을 통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10)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층(10)의 물성을 살펴보면, 밀도가 0.1~0.2g/㎤이고, 기공경이 180~220㎛ 로 이루어지고, 인장강도가 40~50 N/㎠로 이루어지고, 연신율이 250~300%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65~80 g/cm3(아스카F) 로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밀도는 0.17g/㎤이고, 기공경이 200㎛ 로 이루어지고, 인장강도가 46.4N/㎠로 이루어지고, 연신율이 264%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72g/cm3(아스카F) 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물성으로 이루어진 폴리카보네이트계의 소재로 제1층(10)을 구성함에 폴리카보네이트의 특성, 즉 종래의 에테르 또는 에테르와 에스테르를 혼합한 폼층에 비해 내약품성이 높아 쉽게 깨지거나 부스러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내구성이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2층(20)은 건식 또는 습식 발포공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는 다공성 제2층(20)으로,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Formulation 작성 및 원료를 설정
생산하려는 제품의 특성에 맞는 Formulation을 설정한 후 필요한 원료들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일반적으로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10~40가지의 원료들이 첨가되는 것으로, 각 원료들의 극세한 투입량 차이로 제품의 성질이 다양화 되기 때문에 정밀함이 요구되는 과정이다.
2. 설정된 원료들의 혼합 및 배출
설정된 원료들이 각자의 탱크에서 계산된 수량만큼 믹서기(Mixing Head)에서 혼합된 후 배출되는 과정이며, 위에서 상기된 원료들의 정밀한 투입량과 혼합과정(시간)을 요구한다. 예) 동일한 Formulation내에서도 0.5% 미만의 각 원료-투입량 차이로 인해 제품의 물성이 변화하며, 1분 이내(몇십초)의 혼합시간(mixing period)차이 또한 제품의 물성(경도, 장력 등등)이 다양화 된다.
3. 배출된 혼합물의 발포 및 숙성
믹서기(Mixing head)에서 트레이(발포선반)에 배출된 혼합물이 발포되고 숙성되는 과정으로, 배출된 혼합물은 약 2~3분의 시간을 통해 계획한 사이즈의 블록형태로 발포(Foaming)되며, 숙성과정을 위해 형성된 블록(폼)의 겉표면을(3면이상) 슬라이스(굳어진 겉면을 벗겨내는 작업) 한다. 이는 발포과정에서 화학작용으로 생긴 내부의 열기와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과정으로 약 18시간정도 소요되며, 완전한 숙성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내부 셀구조(Cell structure)및 사이즈(Cell-size)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4. 완성된 발포체(Foam block)의 개포(Reticulation)작업
숙성과정을 거쳐 완성된 폼은 Closed-cell/Semi-open 형태로서 완제품으로 판매 될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개포(Reticulation)과정을 통해 Open-cell제품으로 성형한다. 이는 폼의 셀표면을 터트려 프레임(Frame)만 남게 만드는 과정으로 쉽게 "망사화"시키는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개포(Reticulation)방식은 가스폭파(Zapping)방식과 함침개포(Quenching)방식 둘로 나뉘어지며 이를 국내에서는 통상적으로 "건식-스폰지"와 "습식-스폰지"라는 표명으로 분류한다.
4-1. 가스폭파(Zapping)방식은 폼블럭을 가마(Gas Chamber)에 넣고 가스를 주입후 폭파하여 개포하는 방식으로 국내에서는 "건식스폰지"라 한다.
4-2. 함침개포(Quenching)방식은 폼블럭을 액상(화학물)이 채워진 컨테이너 안으로 함침후, 화학적 작용으로 개포하는 방식으로 주로 부드러운 폼제품의 생산시에 사용되는 과정이다.("습식스폰지"라 한다.)
즉, 상기 함침개포방식은 수응고성 폴리우레탄, 용제 , 수용성 무기염의 분립체, 및 HLB8.6미만의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합물을 혼련하여 현련물을 얻는 공정, 상기 혼련물을 탈포하여 탈포 혼련물을 얻는 공정, 상기 탈포혼련물을 성형하여 성형물을 얻는 공정, 상기 성형물을 수중 또는 수용액 중에 투입한 후 응고하여 응고물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응고물로부터 상기 무기염을 물에 용출시켜 응고물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응고물로부터 상기 무기염을 용출시켜 제거하는 공정 및 상기 용출 제거 후 건조시키는 공정에서 막구조를 가지는 제2 흡수층이 얻어지며 또한, HLB8.6이상의 계면활성제의 사용여부에 따라 그물구조의 제2흡수층이 얻어진다.
물론 폼자재의 특성별(Ether vs Ester, formulation 등) 사용되는 액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매우 비용적으로 고가의과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일부 극소수의 Soft한 제품들에 한해서만 생산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설명하면,
Reticulation은 발포후 거품화된 폼구조를 용도에 따라 망사/그물망 구조로 변형시키는 과정을 뜻하며, 폼자재의 경우에는 각 기포들의 벽을 터트려 망사화 하는 과정을 Reticulation이라 명칭한다.
Closed Cell은 폼자재로 발포된 그상태로 셀구조가 작은 풍선형태로 유지되있는 상태로 공기가 투과되지 않는 상태이다.
Open Cell은 폼자재로 발포후 풍선형태로 되었있는 셀들의 막(벽)을 터트림(Reticulation)과정을 거쳐 그물망 구조로 변형된 형태로 공기 투과만이 아니고 액상들의 흡수 배출이 가능케 된 구조를 말한다.
나아가 상기 다공성 제2층(20)은 건식에테르계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건식에테르계수지와 건식에스테르계 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아울러,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담지체(A)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층(10)과 상기 제1층(10) 양면에 제2층(20)이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며, 도2[A]는 상기 제1층(10) 양면에 제2층(20)이 면접하도록 제조되는 것을 도시하였고, 도2[B]는 상기 제1층(10)과 제2층(20) 사이에 공간부(H)가 형성되는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하여 도시하였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제1층(10)과 제2층(20)을 접합시키는 방식에 있어서, 두 가지 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먼저, 제1층(10)과 제2층(20)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면접시키고, 상기 제1층(10)과 제2층(20)의 테두리부분, 즉 웰딩라인을 가열 압착하여 제조함에 따라 도2[A]와 같이, 제1층(10)과 제2층(20)이 서로 면접할 수 있도록 제조하여, 접착강도를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거나,
상기 제1층(10)과 제2층(20)을 배열한 후, 상기 테두리부분, 즉 웰딩라인을 가열 압착하여 제조함으로서, 제1층(10)과 제2층(20) 사이에 공간부(H)를 형성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공간부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어 자연적인 액상배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웰딩라인을 가열 및 압착시킬 때의 열실링 온도는 섭씨 120도~220도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담지체(A)를 통한 다양한 실험 및 그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4 및 도5를 함께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표1]
Figure 112019083056297-pat00001
[표2]
Figure 112019083056297-pat00002
[표3]
Figure 112019083056297-pat00003
상기 표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층(10)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소재로 이루어지는 담지체(A)에 관한 것이고, 표2는 기존 제1층(10)이 에스테르 및 에테르계 수지를 혼합하여 형성한 담지체(A)이고, 표3은 기존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담지체(A)에 관한 것이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각 담지체(A)에 내용물(15g)을 일정하게 주입
2) 내용물을 주입한 담지체(A) 쿠션 무게 측정
3) 퍼프로 내용물이 주입된 담지체(A) 쿠션을 2회씩 눌러 내용물을 취한다.
4) 내용물이 취해진 퍼프를 모눈종이에 10회 찍는다.
5) 담지체(A) 무게 변화량 측정 (5일동안 지속)
도3 및 도4는 상기 표1 내지 표3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표1] 내지 [표3]과 도3 및 도4를 살펴보면, 기존의 단일층의 담지체(A)는 2일차(5회) 까지 급격하게 배출량이 줄어드는 현상을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퍼프를 복수번 묻혀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에 비하여 기존 에테르와 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한 담지체(A)의 경우, 단일층의 담지체(A)보단 배출량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두 담지체(A)에 비하여 배출량이 더욱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담지체(A)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하이브리드 담지체(A)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화장품 용기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화장품 용기는 일방향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상기 담지체(A)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를 덮는 커버로 이루어지고, 본체로부터 완전하게 탈락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종래에는 완전 탈락시에는 본체와 커버를 나사결합하는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탄성고정체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본체와 커버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것으로, 도5 및 도6은 상기 탄성고정체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상기 본체(W)와 커버(S)는 일측에 힌지부를 구비한 채로 개방되는 형상 보다는 상기 본체와 커버과 완전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본체 양측에 탄성고정편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커버 양측에 상기 체결블록이 각각 구비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5은 상기 탄성고정체(EB)의 결합동작을 측면에서 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이러한 탄성고정체(EB)를 정면에서 바라봐 후술하는 돌기가이드홈(BH)을 상세하게 표현한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는 체결블록(B)이 탄성고정편(EE)에 인입되는 방향을 전진방향 또는 전단이라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퇴방향 또는 후단이라 하며, 이를 기준으로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탄성고정체(EB)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탄성고정체(EB)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커버(S) 일측에 구비되는 체결블록(B)과, 상기 체결블록(B)이 수용되도록 본체(W) 타측에 구비되는 탄성고정편(E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와 커버가 결합을 하면, 상기 체결블록(B)이 상기 탄성고정편(EE)과 결합되어 본체와 커버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체결블록(B)은 상기 커버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블록(B1)과, 상기 제1블록(B1)에 인입가능하도록 일면에 구비되는 제2블록(B2), 상기 제1블록(B1) 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와 제1블록(B1) 사이에 형성되는 블록받침판(B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블록받침판(B3)은 상기 제1블록(B1)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블록(B2)은 상기 제1블록(B1)에 인입되기 위하여, 상기 제1블록(B1)보다는 작게 이루어지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 본체에는 탄성고정편(EE)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탄성고정편(EE)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탄성력을 받을 수 있는 한 쌍의 탄성날개(E1)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한 쌍의 탄성날개(E1) 사이에 블록수용공간(E1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블록(B)이 인입되면, 상기 블록수용공간(E11)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날개(E1)의 후단에는 상기 블록수용공간(E11)에 안착되는 체결블록(B)의 후단을 지지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블록수용공간(E11)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날개(E3)가 더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 사이의 거리는 블록수용공간(E11)에서 상기 체결블록(B)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블록(B), 보다 정확하게는 제1블록(B1)의 폭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걸림날개(E3)가 블록수용공간(E11)으로 절곡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걸림날개(E3) 사이의 거리가 상기 체결블록(B)사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체결블록(B)의 진입이 불허되는 문제가 발생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의 폭을 변형시키도록 상기 탄성날개(E1)에는 돌기 또는 볼베어링 또는 휠부재로 이루어지는 폭변형가이드(E15)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받침판(B3)에는 상기 폭변형가이드(E15)가 인입되는 돌기가이드홈(BH)이 형성되되, 상기 돌기가이드홈(BH)에 폭확장부(BH2)를 구비하여 체결블록(B)이 인입되는 동작 시 자연스럽게 탄성날개(E1)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돌기가이드홈(BH)은 상기 한 쌍의 폭변형가이드(E15)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돌기진입부(BH1)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돌기가이드홈(BH)은 상기 돌기진입부(BH1)로부터 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점점 멀어지도록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폭확장부(BH2)가 형성된다.
즉, 체결블록(B)이 전진하면, 상기 폭변형가이드(E15)가 돌기진입부(BH1)로 인입되어 폭확장부(BH2)를 따라 벌어지게 되고, 이는 곳 한 쌍의 탄성날개(E1)가 벌어지게 되어, 상기 체결블록(B)의 진입을 허용하게 되며, 상기 폭확장부(BH2) 후단에는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는 폭복귀부(BH3)를 더 구비하여, 상기 체결블록(B)의 진입이 완료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폭변형가이드(E15)가 폭확장부(BH2)에 의해 오므라지게 됨으로서, 상기 걸림날개(E3)가 상기 체결블록(B)의 후단을 지지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날개(E1)는 복귀성이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강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 및 동작에 의해 상기 체결블록(B)은 상기 한 쌍의 탄성고정편(EE) 내에서 후퇴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본체와 커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아울러, 본체로부터 커버를 분리, 즉 화장품을 열기 위해서는 다시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를 벌려야 하는 번거로움 및 어려움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날개(E3) 일측에 인출허용부(E13)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블록(B)을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으로 구성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걸림날개(E3)는 상기 탄성날개(E1) 단부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날개(E1) 단부를 기준으로 절반만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나머지 절반은 상기 한 쌍의 탄성날개(E1)의 거리와 동일한 인출허용부(E13)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블록(B)이 블록수용공간(E11)에 위치함을 기준으로, 상기 인출허용부(E13)에는 제1블록(B1)이 위치하고, 상기 걸림날개(E3)는 상기 제2블록(B2)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2블록(B2)은 상기 제1블록(B1) 내에 인입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제1블록(B1)을 제2블록(B2) 방향으로 눌러 제1블록(B1) 내부로 인입시키면, 자연스럽게 인출허용부(E13)를 통하여 체결블록(B)이 블록수용공간(E1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B1) 내부에는 복수개의 탄성체(BS)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1블록(B1)이 제2블록(B2)으로부터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블록수용공간(E11) 내에서 제2블록(B2)이 임의로 제1블록(B1)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하이브리드 담지체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하이브리드 담지체 10 : 제1층
20 : 제2층 21 : 제2-1층
22 : 제2-2층 E : 웰딩라인
H : 공간부

Claims (4)

  1. 화장품 용기에 구비되어 화장료가 충진되는 하이브리드 담지체에 있어서,
    제1층(10);
    상기 제1층(10) 양면에 각각 면접하여 구비되는 제2-1층(21)과 제2-2층(22)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제2층(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층(10)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층(20)은 건식에테르계 소재 또는 건식 에테르계수지와 건식 에스테르계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층(10)과 제2층(20)을 서로 면접하도록 접착시킨 후 웰딩라인을 가열 압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담지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10)은
    밀도가 0.1~0.2g/㎤이고, 기공경이 180~220㎛ 로 이루어지고, 인장강도가 40~50 N/㎠로 이루어지고, 연신율이 250~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담지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10)은
    밀도는 0.17g/㎤이고, 기공경이 200㎛ 로 이루어지고, 인장강도가 46.4N/㎠로 이루어지고, 연신율이 264%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72g/cm3(아스카F)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담지체.
  4. 삭제
KR1020190098963A 2019-08-13 2019-08-13 하이브리드 담지체 KR102085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963A KR102085329B1 (ko) 2019-08-13 2019-08-13 하이브리드 담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963A KR102085329B1 (ko) 2019-08-13 2019-08-13 하이브리드 담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329B1 true KR102085329B1 (ko) 2020-03-05

Family

ID=6980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963A KR102085329B1 (ko) 2019-08-13 2019-08-13 하이브리드 담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3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585A (ko) * 2015-04-08 2016-10-18 (주)아모레퍼시픽 층 구조를 갖는 일체형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101738121B1 (ko) * 2016-07-21 2017-06-08 (주)영서물산 함침용 쿠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585A (ko) * 2015-04-08 2016-10-18 (주)아모레퍼시픽 층 구조를 갖는 일체형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101738121B1 (ko) * 2016-07-21 2017-06-08 (주)영서물산 함침용 쿠션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121B1 (ko) 함침용 쿠션 어셈블리
US4776356A (en) Cosmetic applicator
CN107028803B (zh) 包括化妆品组合物浸渍的聚氨酯泡沫的化妆品
KR101295166B1 (ko) 토출량 조절 흡습 퍼프 및 그 제조방법
JP2011508647A (ja) 流体送達をともなう脱毛法
KR102085329B1 (ko) 하이브리드 담지체
KR20160076407A (ko)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함침용 NBR(nitrile butadiene rubber) 스폰지 및 그의 제조방법
EP3456302B1 (en) Absorbent cores and absorbent articles having anisotropic foam structures
CN1311958C (zh) 制造真空绝热材料芯的方法
CN104629076B (zh) 面包型多孔聚氨酯泡沫
KR200469211Y1 (ko)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CN106572947B (zh) 制备用于浸渍液相化妆品的泡沫体的方法及该泡沫体
JP4381697B2 (ja) 化粧用スポンジとその製造方法
KR200488812Y1 (ko)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
KR102101505B1 (ko) 화장용 폴리에스터계 우레탄 폼 함침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용 폴리에스터계 우레탄 폼 함침재
KR101932570B1 (ko) 화장품 조성물이 함침된 담지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181936B1 (ko) 편심된 날개부를 갖는 화장퍼프의 성형방법 및 화장퍼프의 성형장치
KR102102456B1 (ko) 함침 스폰지
KR101520372B1 (ko) 사다리꼴 형태의 미세 홀을 가진 루비셀 퍼프
JPS62273826A (ja) 液水の含浸材
JP2019521818A (ja) 化粧製品を塗布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タ
EP3488737A1 (en) Cooling support cush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2714336B1 (ko)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102286122B1 (ko) 통공 채널을 구비한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JP3148623B2 (ja) 化粧用塗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