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812Y1 -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 - Google Patents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812Y1
KR200488812Y1 KR2020180003343U KR20180003343U KR200488812Y1 KR 200488812 Y1 KR200488812 Y1 KR 200488812Y1 KR 2020180003343 U KR2020180003343 U KR 2020180003343U KR 20180003343 U KR20180003343 U KR 20180003343U KR 200488812 Y1 KR200488812 Y1 KR 200488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pace portion
impregnation material
material bod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코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코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8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공성 수용공간을 갖는 함침재 몸체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제1토출량제어공간부와 제2토출량제어공간부를 각각 구비하되, 제1토출량제어공간부 및 제2토출량제어공간부가 함침재 몸체의 중앙을 지나는 중앙부로부터 함침재 몸체의 효면과 이면측으로 단계적으로 눌러지는 그라데이션형(gradation type)으로 구비하여 화장액이 과다하게 토출되는 것을 제어함은 물론 화장액의 토출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함침재 몸체의 중앙부를 커팅 절단하여 2개의 함침재 몸체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함침재 몸체의 탄성 및 복원성은 그대로 유지시켜 퍼프의 눌러짐 후 함침재가 빠르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며 함침된 화장액을 다 사용할 수 있어 화장액의 낭비성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impregnating material for cosmetic}
본 고안은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재질인 발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함침재 몸체의 표면과 이면에 열성형된 토출제어 공간부를 각각 구비하되, 토출제어 공간부가 함침재 몸체 중앙부로부터 함침재 몸체 표면과 이면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각각 압축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그라데이션형(gradation type)으로 구비하여 화장액이 과다하게 토출되는 것을 제어함은 물론 화장액의 토출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한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그 종류가 다양하나 여성의 아름다움을 가꾸는데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 측면에서 고형화된 화장품에서 액상(겔상) 화장품으로 발전하고 있다.
액상(겔상)의 화장품은 대개, 용기와 용기의 상부를 덮는 덮개와 용기의 내부에 구비되고 화장액이 함침되는 함침재 및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액을 찍어 바르기 위한 퍼프로 이루어져 있으며, 함침재에 액상(겔상)의 화장액이 함침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는 퍼프를 이용하여 함침재를 눌러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액이 퍼프에 묻어 흡수되도록 하여 화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함침재는 스펀지와 같은 내부에 기공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화장액이 내부 기공측으로 함침이 이루어지는 반면, 함침재에 퍼프를 눌렀을 때 화장액의 토출이 과다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장액의 낭비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장액의 토출이 과다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얼굴에 대한 세밀하고 균일한 화장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 함침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1에 도시된 함침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일면에 압축기공(1)을 갖는 다공성 몸체(2)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장액이 다공성 몸체(2)에 구비되는 수용공간(3)에 함침되어 수용되고 퍼프를 몸체(2)의 일면 즉 압축기공(1)이 구비되는 몸체(2)의 일면에 눌러주는 것에 의해 함침된 화장액이 압축기공(1)을 통해 토출되어 퍼프에 묻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몸체(2) 표면 즉, 퍼프가 눌러져 접촉되는 표면에 압축기공(1)이 구비되어 수용공간(3)에 함침된 화장액이 과다하게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을 열압축하여 이루어지는 압축기공(1)의 내경(4)이 수용공간(3) 내경(5)에 비해 적고 조밀하게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오히려 압축기공(1)에 의해 함침된 화장액의 토출에 간섭을 주게 되어 화장액 토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함침몸체의 수용공간에 함침된 화장액은 사용할수록 함침몸체의 하부측으로 내려가 위치되기 때문에 함침몸체 표면에 압축기공이 조밀하게 구비된 종래 기술의 경우 함침몸체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화장액을 퍼프에 묻힐 수 없게 되어 화장액을 다 사용하기 전에 화장품을 버리고 새로운 화장품을 재구입하여 사용함에 따라 경제적인 비효율성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1605097호인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화장액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함침재 및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품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도포구가 접촉하는 일면만을 압축하여 압축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몸체의 일면에만 압축된 압축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부가 열압축에 의해 줄어들게 되어 화장액의 토출이 어렵고 화장액을 다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전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공개특허 10-2016-0110034호인 액상 화장품이 함침되는 화장품 용기의 함침부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액상 화장품을 함침되는 함침부재에 있어서, 액상 화장품이 함침되는 함침부재는 폴리우레탄, NBR, SBR, NR,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로 이루어진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함침부재는 0.15mm ~ 2.5mm 크기의 기공을 형성되고, 포어(Pore)의 수가 40 ~ 100ppi로서 스폰지 형태를 이루며, 상기 함침부재의 상면에 고주파 접착을 이용하여 액상 화장품이 고르게 분출되도록 설치된 미세분배부재는 0.05~0.1mm의 크기로 형성하는 분배공으로 형성되어 액상 화장품을 균일하게 분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함침부재가 동일한 크기의 기공을 갖는 스폰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퍼프를 눌렀을 때 화장액이 과다하게 토출되어 오히려 화장액의 낭비를 가져옴은 물론, 화장액의 토출이 과다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얼굴에 대한 세밀하고 균일한 화장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605097호(2016.03.15.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6-0110034호(2016.09.21. 공개)
본 고안은 발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함침몸체의 표면과 이면을 동시에 열성형하여 함침몸체 표면과 이면 각각에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구비하되, 함침재 몸체 중앙부로부터 함침재 몸체 표면과 이면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눌러지는 그라데이션형으로 구비하여 함침몸체에 함침된 화장액의 토출이 과다하게 토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액의 토출에 간섭을 주지 않으며 함침재의 고른 배출을 유도할 수 있으며 함침재의 토출량 향상에 의해 함침된 화장액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인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는, 복수개의 다공성 수용공간을 갖는 함침재 몸체로 이루어진 함침재에 있어서, 함침재 몸체의 표면에 구비되어 함침재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액의 과다한 토출을 방지하고 화장액의 토출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제1토출량제어공간부와; 상기 함침재 몸체의 이면에 구비되어 함침재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액의 과다한 토출을 방지하고 화장액의 토출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제2토출량제어공간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토출량제어공간부는, 상기 함침재 몸체의 표면에 위치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제1공간부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2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3공간부와; 상기 제3공간부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4공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 제3공간부 및 제4공간부는, 상기 함침재 몸체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공간부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눌러지되, 상기 수용공간의 가로방향내경과 동일한 가로방향 내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함침재 몸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함침재 몸체의 표면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눌러지는 그라데이션형(gradation type)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토출량제어공간부는, 상기 함침재 몸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함침재 몸체의 이면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눌러지는 그라데이션형(gradation type)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다공성 수용공간을 갖는 함침재 몸체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제1토출량제어공간부와 제2토출량제어공간부를 각각 구비하되, 제1토출량제어공간부 및 제2토출량제어공간부가 함침재 몸체의 중앙부로부터 함침재 몸체의 표면과 이면측으로 단계적으로 눌러지는 그라데이션형(gradation type)으로 구비하여 화장액이 과다하게 토출되는 것을 제어함은 물론 화장액의 토출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함침재 몸체의 중앙부를 커팅 절단하여 2개의 함침재 몸체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함침재 몸체의 탄성 및 복원성은 그대로 유지시켜 퍼프의 눌러짐 후 함침재가 빠르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며 함침된 화장액을 다 사용할 수 있어 화장액의 낭비성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함침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의 사용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를 나타낸 도면대용 사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복수개의 다공성 수용공간(11)을 갖는 함침재 몸체(10)로 이루어진 함침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함침재 몸체(10)는, 퍼프(51) 및 이 퍼프(51)가 수용되는 퍼프수용부(52)를 갖는 화장품용기(53)의 내부에 구비된 함침재수용부(54)에 넣어져 수용되는 것으로, 함침재수용부(54)에 수용되는 함침재 몸체(10)에 함침된 화장액을 상기 퍼프(51)에 묻혀 화장을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함침재 몸체(10)에 수용된 화장액을 화장을 하기 위해 퍼프에 묻히는 과정에서 함침재 몸체(10)에 함침된 화장액이 과다하게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액이 함침재 몸체(10)로부터 토출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함침재 몸체(10)의 표면에 구비되어 함침재 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화장액의 과다한 토출을 방지하고 화장액의 토출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와,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이면에 구비되어 함침재 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화장액의 과다한 토출을 방지하고 화장액의 토출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 및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는, 함침재 몸체(10)의 중앙부(40a)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으로, 동일한 제조공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 및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는 일반적으로 폼자재 발포준비과정, 폼자재 발포, 발포재 속성 및 발포재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후, 망상구조 열성형 준비, 망상구조 열성형, 제품의 단면화 작업을 통해 함침재 몸체(10)의 표면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눌러지는 그라데이션형(gradation type)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일반적인 과정의 설명은 생략하고 이 후, 망상구조 열성형 준비, 망상구조 열성형, 제품의 단면화 작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망상구조 열성형 준비는 발포 및 개포 완성된 품자재 추가적인 물성구조 조절에 따라 열성형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미리 목적한 두께의 제품에 후가공이 불가하여, 목적하는 제품사이즈 및 압축률등을 고려하여 제품을 선가공후, 열성형 과정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망상구조 열성형은 목적하는 압축률 및 망상구조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온도, 작업시간, 냉각/숙성의 작업과정조건을 설계한다. 즉, 목적하는 사이즈 및 압축률을 고려한 사전치수를 계산하여 가공한다. 그리고 제품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진공과정으로 품자재 내부의 공기를 한번 순화시킨다. 그리고 가공된 제품을 열성형기에 위치하고 사전 설계된 과정대로 열주입 후, 성형과정이 끝나면 계획된 잔열처리(냉각) 및 성형된 구조의 경화를 위해 제어된 설비(온도, 습도 및 UV)안에서 숙성/냉각/경화과정을 거친다.
이후, 망상구조를 열성형하는 것은 구조의 기존 셀모양(memory)를 열을 가해 목적된 셀모양으로 성형하여 후처리(잔열처리/냉각 및 숙성)처리 한 후, 성형 및 숙성 완료된 제품에 대한 셀모양, 밀도단계 및 최종두께를 검수한다.
다음으로, 제품의 단면화 작업은 전 단계에서 성형 압축된(양면에서 압축) 제품을 두께 가운데 면에서부터 둘로 재단하는 것으로. 이 때 정밀한 작업을 요구하는 과정으로 제품의 두께사이즈 특성상 (약 7~14mm), 열성형 완료된 제품을 정밀하게 둘로 재단하려면 오차범위를 +/- 0.35mm (7mm의 +/- 5% 허용오차) 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공완료 제품에 대한 재단 작업된 표면 셀모양 및 최종두께를 검수하여 목적하는 압축률 및 망상구조의 디자인을 고려한 작업과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해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 및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 구비되는 본 고안은, 함침재 몸체(10)의 표면에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가 구비되고 함침재 몸체(10)의 이면에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가 각각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함침재 몸체(10)의 중앙부(10a)를 커팅 절단하여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와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가 각각 구비된 함침재 몸체(10)를 각각 구비할 수 있어 함침재 몸체(10)의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에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가 구비되고 이면에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가 각각 구비된 함침재 몸체(10)를 이용하여 사용 중 작업자가 함침재 몸체(10)를 뒤집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는,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중앙부(10a)로부터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표면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눌러지는 그라데이션형(gradation type)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는,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중앙부(10a)로부터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이면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눌러지는 그라데이션형(gradation type)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 및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가 각각 함침재 몸체(10)의 중앙부(10a)로부터 함침재 몸체(10)의 표면 또는 함침재 몸체(10)의 이면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눌러지는 그라데이션형(gradation type)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라데이션형(gradation type)의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 또는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에 의해 함침재 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화장액이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 또는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측으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화장액이 토출을 간섭하지 않음은 물론 화장액이 과다하게 토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상기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는,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표면에 위치되는 제1공간부(21)와, 상기 제1공간부(21)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2공간부(22)와, 상기 제2공간부(22)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3공간부(23)와, 상기 제3공간부(23)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4공간부(24)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1공간부(21)와 제2공간부(22), 제3공간부(23) 및 제4공간부(24)는,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중앙부(10a)에 구비되는 수용공간(11)으로부터 상기 제1공간부(21)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눌러지되, 상기 수용공간(11)의 가로방향 내경(11a)과 동일한 가로방향 내경(20a)을 갖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공간부(21)와 제2공간부(22), 제3공간부(23) 및 제4공간부(24)에 의해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가 함침재 몸체(10)의 표면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눌러지는 그라데이션형(gradation type)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함침재 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화장액이 제4공간부(24)로부터 제3공간부(23), 제2공간부(22) 및 제1공간부(21) 측으로 순차적으로 통과되는 과정에서 화장액의 과다한 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간부(21), 제2공간부(22), 제3공간부(23) 및 제4공간부(24)로 이루어지는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의 내경(20a)이 도시된 바와 같이 함침재 몸체(10)의 수용공간(11) 내경(11a)과 가로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화장액이 제4공간부(24)로부터 제3공간부(23), 제2공간부(22) 및 제1공간부(21) 측으로 순차적으로 통과되는 과정에서 제1공간부(21), 제2공간부(22), 제3공간부(23) 및 제4공간부(24)가 간섭을 주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공간부(21), 제2공간부(22), 제3공간부(23) 및 제4공간부(24)로 이루어지는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의 내경(20a)이 함침재 몸체(10)의 수용공간(11) 내경(11a)과 가로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함침재 몸체(10)의 탄성 및 복원성이 그대로 유지시켜 줄 수 있어 화장액을 퍼프에 묻혀주기 위해 퍼프를 함침재 몸체(10)에 눌렀다가 때어냈을 때, 눌러진 함침재 몸체(10)가 빠르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함침재 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화장액의 토출에 대한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함침재 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화장액을 잔량없이 다 사용할 수 있어 화장액의 낭비성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화장액 낭비에 따른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는,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이면에 위치되는 제5공간부(31)와, 상기 제5공간부(31)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6공간부(32)와, 상기 제6공간부(32)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7공간부(33)와, 상기 제7공간부(33)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8공간부(34)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5공간부(31)와 제6공간부(32), 제7공간부(33) 및 제8공간부(34)는,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중앙부(10a)에 구비되는 수용공간(11)으로부터 상기 제8공간부(34)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눌러지는 그라데이션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공간(11)의 가로방향 내경(11a)과 동일한 가로방향 내경(30a)을 갖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5공간부(31)와 제6공간부(32), 제7공간부(33) 및 제8공간부(34)에 의해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가 함침재 몸체(10)의 이면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눌러지는 그라데이션형(gradation type)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함침재 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화장액이 제8공간부(34)로부터 제7공간부(33), 제6공간부(32) 및 제5공간부(31) 측으로 순차적으로 통과되는 과정에서 화장액의 과다한 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공간부(31)와 제6공간부(32), 제7공간부(33) 및 제8공간부(34)로 이루어지는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의 내경(30a)이 도시된 바와 같이 함침재 몸체(10)의 수용공간(11) 내경(11a)과 가로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화장액이 제8공간부(34)로부터 제7공간부(33), 제6공간부(32) 및 제5공간부(31) 측으로 순차적으로 통과되는 과정에서 제5공간부(31)와 제6공간부(32), 제7공간부(33) 및 제8공간부(34)가 간섭을 주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5공간부(31)와 제6공간부(32), 제7공간부(33) 및 제8공간부(34)로 이루어지는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의 내경(30a)이 함침재 몸체(10)의 수용공간(11) 내경(11a)과 가로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함침재 몸체(10)의 탄성 및 복원성이 그대로 유지시켜 줄 수 있어 화장액을 퍼프에 묻혀주기 위해 퍼프를 함침재 몸체(10)에 눌렀다가 때어냈을 때, 눌러진 함침재 몸체(10)가 빠르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함침재 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화장액의 토출에 대한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함침재 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화장액을 잔량없이 다 사용할 수 있어 화장액의 낭비성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화장액 낭비에 따른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함침재 몸체 10a : 함침재 몸체 중앙부
11 : 수용공간 11a : 수용공간 내경
20 : 제1토출량제어공간부 20a : 제1토출량제어공간부 내경
21 : 제1공간부 22 : 제2공간부
23 : 제3공간부 24 : 제4공간부
30 : 제2토출량제어공간부 30a : 제2토출량제어공간부 내경
31 : 제5공간부 32 : 제6공간부
33 : 제7공간부 34 : 제8공간부

Claims (2)

  1. 복수개의 다공성 수용공간(11)을 갖는 함침재 몸체(10)와, 함침재 몸체(10)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와,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이면에 구비되는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는,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표면에 위치되는 제1공간부(21)와, 상기 제1공간부(21)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2공간부(22)와, 상기 제2공간부(22)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3공간부(23)와, 상기 제3공간부(23)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4공간부(24)로 구비되고, 상기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는,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이면에 위치되는 제5공간부(31)와, 상기 제5공간부(31)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6공간부(32)와, 상기 제6공간부(32)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7공간부(33)와, 상기 제7공간부(33)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8공간부(34)로 구비되는 함침재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는,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화장액이 상기 제4공간부(24)로부터 제3공간부(23), 제2공간부(22) 및 제1공간부(21)측으로 순차적으로 통과되는 과정에서 화장액의 과다한 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중앙을 지나는 중앙부(10a)로부터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표면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눌러지는 그라데이션형(gradation type)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의 상기 제5공간부(31)와 제6공간부(32), 제7공간부(33) 및 제8공간부(34)는,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화장액이 순차적으로 통과되는 과정에서 화장액의 과다한 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중앙을 지나는 중앙부(10a)에 구비되는 수용공간(11)으로부터 상기 제8공간부(34)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눌러지는 그라데이션형(gradation type)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함침재 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화장액이 순차적으로 통과되는 과정에서 화장액의 토출을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제1토출량제어공간부(20)의 제1공간부(21), 제2공간부(22), 제3공간부(23), 제4공간부(24)는 상기 수용공간(11)의 가로방향 내경(11a)과 동일한 가로방향 내경(20a)을 갖도록 구비되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토출량제어공간부(30)의 제5공간부(31), 제6공간부(32), 제7공간부(33), 제8공간부(34)는 상기 수용공간(11)의 가로방향내경(11a)과 동일한 가로방향 내경(30a)을 갖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
  2. 삭제
KR2020180003343U 2017-12-22 2018-07-19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 KR20048881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6688 2017-12-22
KR2020170006688 2017-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812Y1 true KR200488812Y1 (ko) 2019-03-21

Family

ID=6589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343U KR200488812Y1 (ko) 2017-12-22 2018-07-19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8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88Y1 (ko) * 2019-05-28 2020-05-15 주식회사 이노코아 천연오일이 함유된 화장용 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121B1 (ko) * 2016-07-21 2017-06-08 (주)영서물산 함침용 쿠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121B1 (ko) * 2016-07-21 2017-06-08 (주)영서물산 함침용 쿠션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88Y1 (ko) * 2019-05-28 2020-05-15 주식회사 이노코아 천연오일이 함유된 화장용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5905E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idsole for a shoe and construction therefor
KR101295166B1 (ko) 토출량 조절 흡습 퍼프 및 그 제조방법
EP3091870B1 (en) Porous pad for impregnation of liquid cosmetic composition and liquid-cosmetic-composition impregnat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30236231A1 (en) Puff manufacturing method and puff manufactured thereby
US4776356A (en) Cosmetic applicator
KR101448715B1 (ko)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200488812Y1 (ko) 그라데이션형 토출량 제어 공간부를 갖는 함침재
KR101738121B1 (ko) 함침용 쿠션 어셈블리
KR20140059398A (ko) 콤팩트 용기용 화장품액 함침 스펀지 및 그 제조방법
US20180318179A1 (en) Makeup cosmetic having improved impregnated material
KR101892669B1 (ko) 함침재 제조방법
KR101576880B1 (ko) 화장품용기 내의 담지체에 파운데이션을 함침시키는 방법 및 장치
EP00125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moulded wafers
KR101605097B1 (ko)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KR101971723B1 (ko) 화장용 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18279B1 (ko)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KR102033155B1 (ko)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KR102085329B1 (ko) 하이브리드 담지체
KR20160025375A (ko) 퍼프갑지 제조방법과 퍼프갑지를 이용한 화장용 퍼프 및 그 퍼프의 제조방법
KR20240060344A (ko)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0494457Y1 (ko) 함침재의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KR101836177B1 (ko) 화장용 함침부재 성형방법
KR102181936B1 (ko) 편심된 날개부를 갖는 화장퍼프의 성형방법 및 화장퍼프의 성형장치
US20180236695A1 (en) Foaming and punching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foamed products
KR20210120361A (ko) 함침재,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화장품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