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723B1 - 화장용 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용 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723B1
KR101971723B1 KR1020170165204A KR20170165204A KR101971723B1 KR 101971723 B1 KR101971723 B1 KR 101971723B1 KR 1020170165204 A KR1020170165204 A KR 1020170165204A KR 20170165204 A KR20170165204 A KR 20170165204A KR 101971723 B1 KR101971723 B1 KR 101971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foam
cosmetic
cosmetic puff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환
Original Assignee
(주)제스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스폰 filed Critical (주)제스폰
Priority to KR102017016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4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 B29C44/0492Devices for feeding the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4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461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dispensing apparatus, e.g. dispensing foaming resin over the whole width of the mov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서로 다른 성분 또는 발포도를 가지는 원료가 일체로 형성되더라도 이질감 없이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화장용 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은, 성형용 몰드에, 제1 원료와 제2 원료를 동시에 주입하거나, 제1 원료 주입 후 응고 전에 제2 원료를 주입하여, 제1 원료와 제2 원료를 발포성형하는 (a) 단계와, 제1 원료와 제2 원료를 함께 응고시켜, 제1 원료와 제2 원료의 경계면이 동시에 응고된 몰드 성형체를 형성하는 (b) 단계와, 몰드 성형체를 성형용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c)단계와, 몰드 성형체를 절단하거나 가공하여 화장용 퍼프를 형성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용 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COSMETIC PUF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장용 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성분 또는 발포도를 가지는 원료가 일체로 형성되더라도 이질감 없이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화장용 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결점을 커버하며 피부의 색을 균일하고 화사하게 하기 위하여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고 있다. 화장료는 형태에 따라 고형, 액상, 겔상 등이 있지만 최근에는 지속력과 밀착력이 뛰어난 겔상의 화장료를 많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겔상의 화장료는 화장하고자 하는 부위에 뭉침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 있게 도포하기 위하여 화장용 퍼프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화장용 퍼프는 적절한 쿠션과 신축성을 가지고 있는 원료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 형태로 제작되며, 예를 들면, 니트릴 부타디엔고무(Nitrile Butadiene Rubber, NBR),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 천연고무(Natural Rubber, NR), 플로킹(Flocking, POLY URETHANE FLOCKED FOAM), 루비셀(Rubycell, 습식 URETHANL) 등의 원료를 발포 성형하여 형성되고 있다. 화장용 퍼프는, 형성되는 재질 또는 발포도에 따라 각기 다른 화장료가 사용된다. 다시 말해, 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 등과 같은 겔상의 화장료의 농도 또는 입자의 크기 등에 따라 재질 또는 발포도가 각각 다른 화장용 퍼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겔상의 화장료를 피부에 겹겹이 도포하기 위해, 화장료의 종류에 따라 다수 개의 퍼프를 구비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최근에는 서로 다른 재질 또는 발포도를 가지는 다수 개의 퍼프가 접착제로 접착되고 하나의 퍼프로 형성되어 판매되고 있다. 즉, 다수 개의 퍼프를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 하나의 퍼프가 서로 다른 재질 또는 발포도를 가질 수 있는 특징이 있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퍼프는 화장료를 도포하여 사용할 때 서로 다른 면 사이에 접착제가 굳으면서 형성된 접착면에 의해 이물감이 느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재질이나 발포도를 가지고 있는 스폰지의 원료가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어 다른 종류의 겔상의 화장료를 하나의 퍼프로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시에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부드러운 촉감과 터치감을 느낄 수 있는 화장용 퍼프를 필요로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4366호, (2016.11.0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성분 또는 발포도를 가지는 원료가 일체로 형성되더라도 이질감 없이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화장용 퍼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성분 또는 발포도를 가지는 원료가 일체로 형성되더라도 이질감 없이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은, 성형용 몰드에, 제1 원료와 제2 원료를 동시에 주입하거나, 상기 제1 원료 주입 후 응고 전에 상기 제2 원료를 주입하여,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를 발포성형하는 (a) 단계와,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를 함께 응고시켜,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의 경계면이 동시에 응고된 몰드 성형체를 형성하는 (b) 단계와, 상기 몰드 성형체를 상기 성형용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c)단계와, 상기 몰드 성형체를 절단하거나 가공하여 화장용 퍼프를 형성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는, 발포도, 구성성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거나, 응고 후 고체상의 표면질감, 밀도, 탄성, 공극률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를 상기 성형용 몰드에 동시에 주입하여 수직방향을 따라 나란히 주입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원료를 주입하는 제1 노즐과, 상기 제2 원료를 주입하는 제2 노즐을 상기 성형용 몰드의 내측 하부로 삽입하고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노즐과 상기 제2 노즐이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를 주입하면서 점차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원료를 주입하고 상기 제1 원료가 응고하기 전에 상기 제1 원료 상부에 상기 제2 원료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가 응고하기 전에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순차적으로 주입되어 발포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몰드 성형체를 절단하거나 가공하여 상기 몰드 성형체의 외면에 형성된 피막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몰드 성형체의 표면을 연마 가공하여, 상기 피막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가 각각 응고하여 형성된 제1 발포체와 제2 발포체의 경계선을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에 의한 화장용 퍼프는, 액상의 제1 원료가 발포하여 형성된 제1 발포체; 및 액상의 제2 원료가 발포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원료가 상기 제1 원료와 함께 응고되어 상기 제1 발포체와 일체로 형성된 제2 발포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의 발포도, 구성성분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르거나, 상기 제1 발포체와 상기 제2 발포체의 표면질감, 밀도, 탄성, 공극률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은, 서로 다른 성분이나 발포도를 가지는 원료를 동시에 주입하고 굳힘으로써, 제작 소요시간을 줄여 단시간에 대량생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성성분 또는 발포도가 서로 다른 퍼프가 일체로 형성되더라도 경계면이 형성되지 않으며, 화장용 퍼프를 이용하여 겔상의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 시,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부드러운 촉감과 터치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화장용 퍼프는, 서로 다른 표면질감, 밀도, 탄성, 공극률 등을 가지는 퍼프를 하나의 화장용 퍼프로 제작함으로써, 다수 개의 겔상의 화장료를 서로 다른 면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어, 서로 다른 화장료가 퍼프에 섞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균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재질 또는 발포도를 가지는 퍼프의 경계면에 피막이 형성되지 않아 접착력이 향상되어 퍼프의 분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의 원료를 하나의 퍼프로 형성하더라도, 접착면이 형성되지 않아 이질감이 발생하지 않으며 보다 뛰어난 시각적인 디자인의 화장용 퍼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용 퍼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용 퍼프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피막이 형성된 다른 화장용 퍼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장용 퍼프 및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화장용 퍼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이후, 이를 바탕으로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는 방식으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퍼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화장용 퍼프(1)는, 서로 다른 질감, 기공, 탄성, 촉감 등을 가지는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가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퍼프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겔상의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 사이의 경계면에 피막(F)이 형성되지 않아 화장료를 도포하더라도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고 부드러운 촉감을 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장용 퍼프(1)는 액상의 제1 원료(10a)가 발포하여 형성된 제1 발포체(10)와, 액상의 제2 원료(20a)가 발포하여 성형되며, 제2 원료(20a)가 제1 원료(10a)와 함께 응고되어 제1 발포체(10)와 일체로 형성된 제2 발포체(20)를 포함한다.
화장용 퍼프(1)는 겔상의 화장료를 피부에 밀착감 있게 도포하기 위한 화장도구로, 적절한 쿠션과 신축성을 가지고 있는 원료로 이루어진다. 화장료 퍼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화장용 퍼프(1)는 일단부가 둥글고 타단부가 뾰족한 물방울 형상이나 눈사람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이 지게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분이 뾰족하거나 둥글게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화장용 퍼프(1)는 도 1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와 상부가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로 이루어지거나,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가 제2 발포체(20)와 제1 발포체(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화장용 퍼프(1)는, 액상의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가 발포성형하여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로 구획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는 화장용 퍼프(1)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구성된다.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는 액상의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가 발포된 후 응고되어 스폰지 형태를 나타낸다.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는 공기와 접촉하여 굳어지기 전의 원료물질을 의미하며, 공기에 노출되어 굳어진 후에는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로 이루어져 스폰지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는 응고 되기 전의 화장용 퍼프(1)의 구성성분으로, 액상 형태의 원료로 이루어진다.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는 응고 후에 스폰지를 형성하여 적절한 쿠션과 신축성을 가질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는 응고된 후 피부와 접촉하였을 시, 부드러운 촉감과 탄성을 줄 수 있으며 겔상의 파운데이션을 피부에 밀착감있게 도포할 수 있는 원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는, 니트릴 부타디엔고무(Nitrile Butadiene Rubber, NBR),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 천연고무(Natural Rubber, NR), 플로킹(Flocking, POLY URETHANE FLOCKED FOAM), 루비셀(Rubycell, 습식 URETHANL) 등의 원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는 성분 또는 발포도가 다르게 형성되거나, 응고 후에 고체상의 표면질감, 밀도, 탄성, 공극률, 기공 등의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서로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지거나, 화장료를 도포할 때, 거칠기, 발림성, 흡수력, 촉감 등이 서로 다른 원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는, 후술할 성형용 몰드(도 3의 30 참조)에 동시에 주입되어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를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는 성형용 몰드(30)에 동시에 주입되어 동시에 굳어짐으로써,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 사이의 경계면이 생기지 않는 특징이 있으며, 제조과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화장용 퍼프(1)는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의 경계면 사이에 공기층 또는 성형용 몰드(30)에 접하여 형성되는 피막(도 7의 F 참조)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피부와 접할 때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는 표면질감, 밀도, 탄성, 공극률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형성되면서, 촉감, 거칠기, 흡수력, 쿠션감 및 탄성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서로 다른 겔상의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고자 할 경우, 다수 개의 퍼프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하나의 화장용 퍼프(1)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면에 도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컨실러, 파운데이션 등의 겔상의 파운데이션을 피부에 도포하고자 할 경우,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화장료가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작 적합한 발포체의 면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 퍼프(1)는, 서로 다른 표면질감, 공극률, 기공, 밀도, 탄성, 촉감, 흡수력 등을 갖는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를 형성하고 있어 하나의 화장료 퍼프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겔상의 화장료를 서로 다른 발포체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수 개의 퍼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하나의 퍼프의 서로 다른 면을 각각 사용하여 화장료가 퍼프에 섞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세균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화장용 퍼프(1)를 이용하여 화장료의 용도에 맞는 퍼프를 각각 사용할 수 있어 피부에 밀착감 있게 도포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발포체가 일체로 형성되더라도 접착면이 형성되지 않아, 피부에 이질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화장용 퍼프(1)의 뾰족하게 형성된 형상으로 피부의 오목한 부분에 화장료를 도포하고, 둥글게 형성된 형상으로 넓은 면을 도포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과, 본 발명의 몰드 성형체와 피막이 형성된 다른 화장용 퍼프를 비교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용 퍼프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7은 피막이 형성된 다른 화장용 퍼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은 도 2의 순서도를 기준으로 각 시퀀스(S100∼S600)를 설명하되 각 시퀀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나머지 도 3 내지 6의 제조과정을 함께 참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모두 설명한 후에 본 발명의 몰드 성형체와 다른 화장용 퍼프를 비교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화장용 퍼프의 각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추가적인 언급이 없는 한 전술한 설명사항과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은, 성형용 몰드(30)에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를 동시에 주입하거나, 제1 원료(10a) 주입 후 응고 전에 제2 원료(20a)를 주입하여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를 발포 성형하는 단계(S200),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를 함께 응고시켜,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의 경계면이 동시에 응고된 몰드 성형체(40)를 형성하는 단계(S300), 몰드 성형체(40)를 성형용 몰드(3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S400), 및 몰드 성형체(40)를 절단하거나 가공하여 화장용 퍼프(1)를 형성하는 단계(S500, S600)을 포함한다.
즉,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를 발포 성형하는 과정과, 몰드 성형체(4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를 동시에 주입하고 동시에 응고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밀도와 탄성 등을 가지는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가 하나의 퍼프로 형성되나 경계면이 형성되지 않는 화장용 퍼프(1)를 성형할 수 있다.
먼저, 도 2와 도 3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격적인 성형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를 최적의 쿠션감, 질감 또는 탄성 등을 형성할 수 있는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를 배합하여 액상의 형태로 준비하고,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를 성형용 몰드(30)에 주입하기 위한 제1 노즐(11)과 제2 노즐(21)을 성형용 몰드(30) 내부 수용공간(31)에 배치하는 단계(S100)를 진행한다. 성형용 몰드(30)는 바닥면과 수직하게 배치하고, 제1 노즐(11)과 제2 노즐(21)은 성형용 몰드(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한다. 이때, 성형용 몰드(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노즐(11)과 제2 노즐(21)은 내부에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가 배치되어 유동할 수 있으며, 수용공간(31)에 서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이격 배치할 수 있으며, 일단부가 성형용 몰드(30)의 하부와 인접하게 배치시킨다. 제1 노즐(11)과 제2 노즐(21)은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추후에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가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주입될 수 있으며, 일직선 상에 나란하게 응고될 수 있다. 계속 해서,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성분 또는 발포도가 다르게 형성되거나, 응고 후에 고체상의 표면질감, 밀도, 탄성, 공극률, 기공 등의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서로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지거나, 화장료를 도포할 때, 거칠기, 발림성, 흡수력, 촉감 등이 서로 다른 원료로 이루어져 제1 노즐(11)과 제2 노즐(21)을 내부를 따라 유동 가능한 액상으로 준비된다.
이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를 성형용 몰드(30)에 발포 성형한다(S200).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는 성형용 몰드(30)에 동시에 주입하거나, 제1 원료(10a) 주입 후 응고 전에 제2 원료(20a)를 주입하여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를 발포성형한다.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는 성형용 몰드(30)의 하면부터 채워지며, 수용공간(31) 내부에 수직방향을 따라 나란히 주입됨과 동시에 제1 노즐(11)과 제2 노즐(21)은 서서히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를 수용공간(31)에 채울 수 있다. 제1 노즐(11)과 제2 노즐(21)은 상부를 향하여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고,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는 동일한 양이 주입되면서 수용공간(31)에는 유사한 비율로 채워질 수 있다.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는 상부에서 하부로 주입되고, 주입된 원료는 하부에서 상부로 점차 채워질 수 있으며, 수용공간(31)에 빈틈없이 채워진 후에 서로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서히 굳어지게 되면서, 공기 또는 성형용 몰드(30)와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피막(F)이 형성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는 수용공간(31)에 동시에 주입되고 함께 응고되어, 경계면이 동시에 응고된 몰드 성형체(40)를 형성한다(S300). 몰드 성형체(40)는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가 응고되어 일체로 형성된 성형물을 의미한다. 몰드 성형체(40)는, 제1 원료(10a)가 응고되어 형성된 제1 발포체(10)와 제2 원료(20a)가 응고되어 제2 발포체(20)를 포함한다.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는 다른 기공, 밀도 및 공극률을 가지고 있어,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의 사용시에 서로 다른 쿠션감이나 탄성 등을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발포체(10)의 부분으로 화장료를 도포할 때와, 제2 발포체(20)로 화장료를 도포할 때, 발림성, 흡수력, 밀착력 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서로 다른 발림성과 흡수력을 가지는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의 기공, 공극률, 쿠션감, 탄성력, 발림성, 흡수성, 밀착력, 형상 등에 따라 용도에 적합한 다른 겔상의 화장료를 눈밑, 볼, 콧망울의 옆에 도포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가 응고되어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가 일체화된 몰드 성형체(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용 몰드(30)로부터 분리한다(S400). 성형용 몰드(30)로부터 분리된 몰드 성형체(40)는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는 별도의 접착제로 접착되지 않더라도 액체상태에서 동시에 응고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는 응고되면서 서로의 경계면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하나의 몰드 성형체(40)가 된다. 제1 발포체(10)제와 제2 발포체(20)제는 응고되기 전에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응고됨으로써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제1 발포체(10)제와 제2 발포체(20)제 사이에 피막(F)이 형성되지 않고 은 상태에서 응고됨으로써 일체화되어 경계면이 분리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분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몰드 성형체(40)는 성형용 몰드(30)로부터 분리된 후에, 길이방향으로 절단한다(S500). 몰드 성형체(40)를 절단할 때, 추후에 가공 및 연마하여 깎아낼 정도를 생각하여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다. 도 5에서는 몰드 성형체(40)를 길이방향으로 이등분으로 절단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성형용 몰드(30)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몰드 성형체(40)가 더 길게 형성되어 다수 개로 절단할 수도 있다.
복수 개로 절단된 몰드 성형체(40)는 고정부재(D)에 고정된 후 가공되어 화장용 퍼프(1)를 형성한다(S60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몰드 성형체(40)는 고정부재(D)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D)라 함은, 선반 등과 같은 회전 가공기계의 고정척 등을 의미한다.
몰드 성형체(40)는 일단부가 고정부재(D)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재(D)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몰드 성형체(40)는 일정 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연마장치(W)를 고정부재(D)에 접촉하면, 몰드 성형체(40)의 회전력과, 몰드 성형체(40)와 연마장치(W)의 마찰력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몰드 성형체(40)는 연마장치(W)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연마될 수 있으며, 연마장치(W)의 가공 방향을 다르게 하거나, 다른 형상의 연마장치(W)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하여 화장용 퍼프(1)를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용 퍼프(1)는, 서로 다른 재질 또는 발포도를 가지는 퍼프의 경계면에 피막(F)이 형성되지 않아 접착력이 향상되며, 퍼프의 분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화장용 퍼프(1)는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를 순차적으로 굳혀서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동시에 주입하고 굳힘으로써,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 사이에 피막(F)이 형성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특정 원료가 굳어지면서 외측에 피막(F)이 형성된 퍼프를 살펴볼 수 있다. 도 7의 사진에 나타난에 도시된 퍼프는 원료가 응고하여 형성된 몰드 성형체를 절단하여 피막(F)이 형성된 부분과 절단면(S)이 형성된 부분이 노출되어 있다. 일측면에는 피막(F)이 형성되지 않지만, 타측면에는 피막(F)이 형성된 상태를 볼 수 있다. 피막(F)은 원료가 공기와 접촉하여 굳어지거나 일정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굳히게 되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를 시간차를 두고 굳히게 되거나, 순차적으로 주입한 후에 굳히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 사이에 피막(F)이 형성된 상태에서 서로 접할 수 있으며, 피막(F)이 형성된 화장용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묻혀 얼굴에 도포할 경우, 이질감이 느껴질 수 있다. 또한, 화장료의 흡수를 방해하거나, 이종 재질 간에는 접착력이 떨어져 서로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퍼프의 경우 연마장치(W)를 이용하여 외주면을 연마하더라도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 사이에 형성된 피막(F)은 제거할 수 없어, 피부와 접촉시 느껴지는 이질감은 해소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6에 의해 제조과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화장용 퍼프(1)는,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를 동시에 주입하여 동시에 응고함으로써,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 사이에 피막(F)이 형성되지 않으며, 하나의 원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과 같은 표면 질감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기공, 공극률, 쿠션감, 탄성력, 발림성, 흡수성, 밀착력이 서로 다른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가 일체로 형성되더라도,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 사이에 접착제와 같이 딱딱한 면 또는 피막(F)이 형성되지 않아 피부와 접촉 시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부드러운 촉감과 쿠션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표면질감, 밀도, 탄성, 공극률 등을 가지는 퍼프를 하나의 화장용 퍼프(1)로 제작함으로써, 다수 개의 겔상의 화장료를 서로 다른 면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어, 서로 다른 화장료가 퍼프에 섞여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의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은 제1 원료와 제2 원료가 나란하게 동시에 주입되지 않고, 응고 전에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순차적으로 주입되어 발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은 제1 원료와 제2 원료를 발포성형하는 단계를 제외하면 이미 설명한 일 실시예와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 및 제조방법과 동일한 구성요소 및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은,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를 발포성형하는 단계에서, 수용공간(31)에 제1 원료(10a)를 주입하고 제1 원료(10a)가 응고하기 전에 제1 원료(10a) 상부에 제2 원료(20a)를 주입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은, 수용공간(31)에 제1 노즐(11)과 제2 노즐(21)을 평행하게 배치하지 않고, 제1 노즐(11)에 수용된 제1 원료(10a) 먼저 주입한다. 제1 원료(10a)가 수용공간(31)에 주입되고 응고하기 전에 제1 원료(10a)의 상부에 제2 노즐(21)을 통해 제2 원료(20a)를 주입한다. 계속해서, 수용공간(31)에 주입된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가 응고하기 전에, 수직방향을 따라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를 서로 교대로 순차적으로 주입하여 발포한다. 즉, 제1 원료(10a)와 제2 원료(20a)가 접하는 면이 응고하여 피막(F)이 형성되기 이전에 서로 교대로 주입하여 몰드 성형체(40)를 형성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몰드 성형체(40)는, 일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몰드 성형체(40)로부터 분리하고, 절단 및 가공하여 화장용 퍼프(1)를 형성할 수 있다. 화장용 퍼프(1)는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의 제조과정에 의해 도 1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에 따라 적절하게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만, 성형용 몰드(30)에 제1 발포체(10)와 제2 발포체(20)를 주입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 개의 발포체를 주입하여 화장용 퍼프(1)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주입되는 원료에 색소를 주입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화장용 퍼프
10: 제1 발포체 10a: 제1 원료
11: 제1 노즐 20: 제2 발포체
20a: 제2 원료 21: 제2 노즐
30: 성형용 몰드 31: 수용공간
40: 몰드 성형체 F: 피막
D: 고정부재 W: 연마장치
S: 절단면

Claims (11)

  1. 성형용 몰드에, 제1 원료를 주입하고 상기 제1 원료가 응고하기 전에 상부에 수직방향을 따라 제2 원료를 주입하며,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가 응고하기 전에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교대로 순차적으로 주입하여,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를 발포성형하는 (a) 단계;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를 함께 응고시켜,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의 경계면이 동시에 응고된 몰드 성형체를 형성하는 (b) 단계;
    상기 몰드 성형체를 상기 성형용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c)단계;
    상기 몰드 성형체를 절단하거나 가공하여 화장용 퍼프를 형성하는 (d)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는, 발포도, 구성성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거나, 응고 후 고체상의 표면질감, 밀도, 탄성, 공극률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1 원료를 주입하는 제1 노즐과, 상기 제2 원료를 주입하는 제2 노즐을 상기 성형용 몰드의 내측 하부로 삽입하고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를 주입하는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몰드 성형체를 절단하거나 가공하여 상기 몰드 성형체의 외면에 형성된 피막을 제거하는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몰드 성형체의 표면을 연마 가공하여, 상기 피막을 제거하고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가 각각 응고하여 형성된 제1 발포체와 제2 발포체의 경계선을 노출시키는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
  10. 액상의 제1 원료가 발포하여 형성된 제1 발포체; 및
    상기 제1 원료가 응고하기 전에 상부에 액상의 제2 원료가 발포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1 발포체와 일체로 형성된 제2 발포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는 응고하기 전에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순차적으로 발포하여 형성되는 화장용 퍼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료와 상기 제2 원료의 발포도, 구성성분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르거나,
    상기 제1 발포체와 상기 제2 발포체의 표면질감, 밀도, 탄성, 공극률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화장용 퍼프
KR1020170165204A 2017-12-04 2017-12-04 화장용 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71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04A KR101971723B1 (ko) 2017-12-04 2017-12-04 화장용 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04A KR101971723B1 (ko) 2017-12-04 2017-12-04 화장용 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723B1 true KR101971723B1 (ko) 2019-04-25

Family

ID=6628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204A KR101971723B1 (ko) 2017-12-04 2017-12-04 화장용 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7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152B1 (ko) * 2019-07-11 2020-04-13 허난욱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CN113306062A (zh) * 2021-04-21 2021-08-27 马龙 一种侧壁分流式粉扑发泡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734Y1 (ko) * 1999-11-29 2000-05-15 박동순 화장용 2색 이상의 컬러 스폰지 제조 장치
KR101448715B1 (ko) * 2013-10-24 2014-10-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674366B1 (ko) 2010-03-29 2016-11-10 (주)에스엔피월드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734Y1 (ko) * 1999-11-29 2000-05-15 박동순 화장용 2색 이상의 컬러 스폰지 제조 장치
KR101674366B1 (ko) 2010-03-29 2016-11-10 (주)에스엔피월드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KR101448715B1 (ko) * 2013-10-24 2014-10-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152B1 (ko) * 2019-07-11 2020-04-13 허난욱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CN113306062A (zh) * 2021-04-21 2021-08-27 马龙 一种侧壁分流式粉扑发泡处理装置
CN113306062B (zh) * 2021-04-21 2022-10-28 南京志超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侧壁分流式粉扑发泡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1058B2 (en) Cosmetic applicator with a firm base and an attached cushioning member
KR101971723B1 (ko) 화장용 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76599B1 (ko) 고분자 연마 패드의 원심 성형법
KR200469211Y1 (ko)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JPS6327216A (ja) 表皮製造方法
CN105451955B (zh) 用于制造用于人体的支承件的装置及方法
WO2012001072A1 (en) Application device
KR101520372B1 (ko) 사다리꼴 형태의 미세 홀을 가진 루비셀 퍼프
JPH066Y2 (ja) 化粧用塗布具
KR20180009597A (ko) 화장용 퍼프
JP2022513706A (ja) 車両シートなどの人体用支持要素を製造するための成形ユニット
JPH06253927A (ja) リキッドファンデーション用パフ
KR102080152B1 (ko)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US20190126523A1 (en) Multifunctional viscoelastic compressive applicator
JP2002096341A (ja) 異硬度一体発泡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66329A (ja) 化粧用塗布具
JP7345575B2 (ja) 化粧用物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S6028413Y2 (ja) 魚の目、厚皮等の摩滅除去用化粧具
JPS62242510A (ja) 積層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H0195041A (ja) 化粧用パフの製造方法
KR20220096627A (ko)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JPS649841B2 (ko)
JPS62105611A (ja) シ−トクツシヨン体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成形型
JPS63178009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S62103112A (ja) 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