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627A -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627A
KR20220096627A KR1020200189240A KR20200189240A KR20220096627A KR 20220096627 A KR20220096627 A KR 20220096627A KR 1020200189240 A KR1020200189240 A KR 1020200189240A KR 20200189240 A KR20200189240 A KR 20200189240A KR 20220096627 A KR20220096627 A KR 20220096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thin film
cosmetic puff
puff
applicatio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광오
손상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손광오
손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손광오, 손상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8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627A/ko
Publication of KR20220096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39/12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38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42Cast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상기 도포면은 외측 다공성 시트와 내측 비다공성 박막필름이 적층된 상태에서 오목한 그릇 형태의 탄성체 수용부를 가지도록 성형되고, 상기 탄성체 수용부에는 실리콘 탄성체가 수용되고, 상기 실리콘 탄성체 외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상기 도포면 및 커버필름이 밀착되어 그 가장자리에서 접착되며, 상기 도포면과 커버필름이 접착되어 형성된 버는 상기 화장용 퍼프 측면의 상부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PUFF FOR COSMET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품 도포면의 미끄러짐 현상이 없고 감촉이 향상되도록 한 새로운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 퍼프라고도 지칭되는 화장용 어플리케이터는 사용자가 가루, 크림이나 액상의 화장품을 찍어 얼굴 등의 피부에 바르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화장용 도구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종래 화장용 퍼프는 다수의 미세 공극이 형성된 우레탄폼 소재 즉 스펀지를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그런데 기존 스펀지 재질의 화장용 퍼프는 흡착력이 크다는 장점이 있으나, 화장품 잔류물이 스펀지 내부의 공극에 스며들어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스펀지 퍼프에 남겨지는 화장품 잔류물은 세균 서식지가 되기 쉬워 위생상 좋지 않았다.
그러므로 스펀지 퍼프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퍼프 구조를 개량한 예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등록번호 제10-1470548호(2014년12월02일 등록)에는 도포면층과 스펀지 사이에 비투과성 베리어층을 삽입시킴으로써, 화장품이 스펀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 화장용 퍼프가 개시된다. 한편 특허등록번호 제10-1825681호(2018년01월30일 등록)에는 비투수성 필름층 양면에 각각 스펀지층이 배치되어 있는 방식의 화장용 퍼프가 개시된다. 이들 종래 퍼프는 스펀지에 스며드는 화장품의 양을 제한하거나 조절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 퍼프는 베리어층 때문에 스폰지의 푹신한 감촉이 감소다. 또한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도포층 시트(16), 스폰지(14) 및 후면 커버필름(12) 등의 소재를 적층한 후 프레스로 압박하면서 열을 가하여 접착 및 절단하는 프레스 방식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접착 및 절단에 의해 발생하는 버(18)가 퍼프(10)의 측면 중앙에 위치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버는 실제 퍼프를 사용할 때 피부면과 간섭을 일으켜 불편감을 준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 스펀지 퍼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체를 이용한 실리콘 퍼프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실리콘 퍼프는 주재료로서 실리콘 고무로 된 탄성체와 이를 감싼 예컨대 폴리우레탄과 같은 얇은 외피로 구성된다. 실리콘 고무는 피부와 근접하거나 더 말랑말랑한 저경도를 가지고 있어 감촉이 좋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실리콘 퍼프 내부로 흡수되는 화장품 잔류물이 없으므로 화장품이 절약된다. 또한 실리콘 퍼프 표면의 화장품 잔류물이 물티슈와 같은 수단을 통해 쉽게 제거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실리콘 퍼프는 스펀지에 비하여 내구성이 높아 사용 기간이 매우 길다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제공한다.
그런데 종래 실리콘 퍼프의 표면은 매끄럽기 때문에, 화장시 적정량의 화장품이 도포면에 수용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실리콘 퍼프 표면과 피부 사이의 겔 또는 액상의 화장품이 퍼프 표면과 피부 면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잘 미끄러지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실리콘 퍼프 표면에 미세 엠보싱을 형성한 예(특허등록번호 제10-2056615호, 2019년 12월 11일)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표면 미끄러짐을 감소시켰다는 장점과 제조시 발생하는 버가 퍼프 측면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간섭을 최소화한다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으나, 여전이 실제 화장시 최상급의 마찰력을 제공하기에는 다소 아쉬운 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470548 (2014년 12월 02일 등록) 등록특허 10-1825681 (2018년 01월 30일 등록) 등록특허 10-2056615 (2019년 12월 11일 등록)
본 발명자는, 실리콘 퍼프와 스펀지 퍼프의 장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새로운 화장용 퍼프를 찾던 중에, 제조시 발생하는 버가 퍼프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소재들을 적층하고 열프레스하는 방식으로는 항상 버가 측면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는 점, 따라서 퍼프의 도포면을 먼저 오목한 그릇 형태로 성형한 다음에 퍼프 후면을 접착하고 절단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필요가 있다는 점, 이 경우 오목한 그릇 형태로 성형된 도포면에 액상 실리콘을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 따라서 도포면을 이루는 소재를 적절히 선택한다면 실제 화장시 스펀지 퍼프와 같은 도포면의 마찰력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실리콘 퍼프의 말랑말랑한 그립감과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러한 깨달음에 기초하여 제안되는 본 발명은, 화장용 퍼프에 있어서, 예컨대 다공성 폴리우레탄폼 시트와 예컨대 비다공성 열가소성폴리우레탄 박막필름을 금형에 흡착시켜 오목한 그릇 형태로 도포면을 성형하고, 성형된 도포면의 오목한 부분에 액상 실리콘을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 경화된 실리콘 위에서 커버시트를 도포면의 가장자리에 접착 및 절단하는 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버가 퍼프 측면 상부에 위치하며 실리콘의 말랑말랑한 감촉과 도포면의 적절한 마찰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화장용 퍼프는, 실리콘 탄성체 표면에 도포면 및 커버필름이 밀착되어 그 가장자리에서 접착된 형태의 퍼프로서, 상기 도포면은 외측 다공성 시트와 내측 비다공성 박막필름이 적층된 상태에서 오목한 그릇 형태의 탄성체 수용부를 가지도록 성형되고, 상기 도포면과 커버필름이 접착되어 형성된 버는 상기 화장용 퍼프 측면의 상부에 위치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포면이 외측 다공성 시트와 내측 비다공성 박막필름이 적층된 상태에서 오목한 그릇 형태의 탄성체 수용부를 가지도록 성형될 때, 소정 금형 위에 외측 다공성 시트와 내측 비다공성 박막필름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금형 외측에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오목한 그릇 형태의 탄성체 수용부를 가지도록 성형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비다공성 박막필름의 두께는 0.01 ~ 0.05 mm이고, 상기 도포면의 성형 전 상기 외측 다공성 시트의 두께는 0.8 ~ 2 mm이며, 상기 도포면의 성형 후 상기 외측 다공성 시트의 두께는 성형전보다 약 2 ~ 20배 감소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탄성체는 액상의 실리콘 고무 또는 우레탄 고무를 상기 성형된 도포면의 탄성체 수용부에 주입한 후 경화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포면을 이루는 외측 다공성 시트는 미세다공성 습식 폴리우레탄폼 시트이며, 내측 비다공성 박막필름은 열가소성폴리우레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포면을 이루는 외측 다공성 시트와 내측 비다공성 박막필름은 합지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은, 오목한 그릇 모양의 금형 캐비티를 준비하는 단계; 금형 캐비티 상에 도포면을 성형하기 위한 외측 다공성 시트 및 내측 비다공성 박막필름을 적층 배치하는 단계; 금형 캐비티면과 상기 적층된 시트 및 박막필름 사이의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외측 다공성 시트와 상기 내측 비다공성 박막필름이 상기 금형 캐비티 면을 따라 밀착되는 단계; 금형 캐피티 면에 밀착되어 형성된 도포면의 오목한 탄성체 수용부 내에 액상의 탄성체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액상의 탄성체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액상의 탄성체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 이후, 경화된 탄성체와 이에 밀착된 도포면을 구비하는 반제품을 상기 금형 캐비티에서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한 반제품에 커버필름 및 리본스트립을 배치하고 테두리를 따라, 외피필름, 커버필름 및 리본스트립을 함께 열접착하고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화장용 퍼프에 있어서, 예컨대 쇼어(shore)경도 10 ~ 45 정도의 저경도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체 표면에 예컨대 0.01 ~ 0.10mm 정도의 얇은 두께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같은 박막필름과 예컨대 0.1 ~ 0.3mm 정도의 습식 폴리우레탄폼 시트가 밀착된 구조가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용 퍼프는 실리콘 퍼프와 스펀지 퍼프의 장점을 모두 포함한다. 다시말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도포면을 먼저 오목한 그릇 형태로 성형한 다음, 오목한 그릇 형태로 성형된 도포면에 액상 실리콘을 주입하여 경화시키고, 이후 퍼프 후면에 커버시트를 접착하고 절단하는 방식으로 제조함으로서, 실제 화장시 스펀지 퍼프와 같은 도포면의 마찰력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실리콘 퍼프의 말랑말랑한 그립감과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포면과 커버시트가 접착되고 절단된 위치에서 발생하는 버가 퍼프 측면 상부에 위치하여, 버와 피부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실리콘의 말랑말랑한 감촉과 미끌거림이 없는 도포면의 적절한 마찰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도포면은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폼 시트 소재와 비다공성 폴리우레탄 박막필름 소재를 적층한 것을 흡입력에 의해 금형캐비티면에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성형한다. 이에 따라 부드럽고 유연한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폼 시트가 전체적으로 압착됨으로써 그 두께가 원래 두께보다 2배 내지 20배 정도 감소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반면에 비다공성 폴리우레탄 박막필름은 그 제조과정에서 압착방식으로 제조되므로 그 두께의 변화는 미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포면의 외측을 이루는 폴리우레탄폼 시트는 그 부드러움이 약간 감소하게 되지만 내구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도포면은 미세 다공성의 외측과 비다공성의 내측필름으로 구성된다. 도포면의 외측은 미세 다공성 층이기 때문에, 스펀지 퍼프의 공극과 유사하게 화장품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하지만, 도포면의 내측은 비다공성 박막필름층이므로 화장품이 침투할 수 없고, 반면에 예컨대 0.03 mm정도로 매우 얇기 때문에 실리콘 탄성체의 탄성을 거의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피부로 전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포면은 화장품 잔류물이 도포면의 얇은 미세 다공성 시트층에만 남으므로, 쉽게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반복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화장용 스펀지 퍼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20)의 단면이 개략적으로 예시된다. 도시된 예에서, 화장용 퍼프(20)는 고탄성 저경도 실리콘 고무 재질의 실리콘 탄성체(24)를 감싸는 도포면(26) 및 커버필름(22)으로 이루어진다. 도포면(26)과 커버필름(22)은 예컨대 고주파 열접착 방식으로 서로 열접착되고 절단되므로 버(28)가 생성되는데, 이는 화장용 퍼프(20)의 측면 상부에 위치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도포면(26)은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외측은 예컨대 습식폴리우레탄폼과 같은 미세다공성의 유연한 소재의 다공성시트(264)가 배치되고, 내측에는 예컨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과 같은 내구성이 좋은 탄성 수지 재질의 비다공성 박막필름(262)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필름(22)은 다공성이나 비다공성의 여러가지 소재가 모두 채용될 수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커버필름(22) 외부에는 사용시 편리를 위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리본 손잡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도포면(26)은 외측의 다공성시트(264)를 포함하므로, 화장품 도포시 충분한 양의 화장품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하지만, 내측에 비다공성 박막필름(262)이 화장품이 탄성체 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기존의 스펀지 퍼프와 같은 단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도포면(26)의 외측 다공성시트(264)는 다양한 소재가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유연하고 감촉이 좋은 습식 폴리우레탄폼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포면(26)의 외측이 다공성시트(164)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추가적인 구조변화 없이도 표면 미끌거림이 없고 화장시 적절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도포면(26)이 오목한 그릇 모양으로 성형된 다음에 내부에 액상의 탄성체, 예컨대 액상 실리콘 고무를 투입하여 경화시킬 수 있으므로, 실리콘 고무의 말랑말랑한 감촉을 제공할 수 있어 감촉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라, 도포면(26)을 오목한 그릇 모양으로 성형할 때, 공기흡입에 따른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측 다공성시트(264)가 압착되어 두께가 감소한다. 이는 다공성시트(264)의 공극 크기를 줄어들게 하며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이미 도포면(26)이 그릇 모양으로 성형된 이후에 커버필름(22)을 접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므로, 탄성체(24)를 감싸는 커버필름(22)과 도포면(26)의 접착위치 즉 버(28)의 위치가, 화장용 퍼프(20) 측면 중앙이 아니라 상부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화장시 버(28)가 피부면과 간섭되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어 화장시 불편함이 제거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300)은 도포면을 성형하기 위한 다공성시트 및 박막필름 배치 단계(301), 도포면을 오목한 그릇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303), 액상 실리콘 고무 투입 단계(305), 경화 단계(307), 마무리 단계(309를 포함한다.
도포면을 성형하기 위한 다공성시트 및 박막필름 배치 단계(301)는, 예컨대 고주파 열접착기 기반의 소정 제조장치에서 금형캐비티 위에 도포면을 성형하기 위한 다공성시트와 박막필름을 배치하는 단계이다. 이때, 다공성시트를 먼저 배치하고, 다공성시트 위에 박막필름을 배치한다. 이 금형캐비티는 예컨대 사각형, 타원형, 원형, 물방울 모양, 또는 다양한 다른 형상 등의 소정 화장용 퍼프 형상이며 대체로 접시와 같은 그릇 모양의 오목한 형상의 캐비티를 제공한다. 캐비티 하단면에는 캐비티 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미세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 다음 도포면을 오목한 그릇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303)는, 금형캐비티 위에 배치된 다공성시트와 박막필름을 공기흡입 방식으로 금형캐비티 면에 밀착시켜 오목한 그릇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예컨대 2 mm 두께의 습식 폴리우레탄폼 재질의 다공성시트와 0.03mm 두께의 TPU 재질의 박막필름을 금형캐비티 상부에 배치하고, 다공성시트 및 박막필름의 가장자리를 가압부재를 이용하여 눌러 수평한 상태로 팽팽하게 되도록 고정한 후, 외부의 공기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금형캐비티와 박막필름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강제 배출한다. 그 결과 다공성시트와 박막필름이 금형캐비티 표면 밀착되고, 소정 열을 가하면 도포면이 금형캐비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성형된 도포면은 오목한 그릇 형상을 이루게 되며, 금형캐비티의 모양에 대응하는 형태로 탄성체가 수용될 수 있는 탄성체 수용부가 형성된다.
그 다음으로 액상 실리콘 고무 투입 단계(305)는, 성형된 도포면의 탄성체 수용부로 액상 실리콘 고무 성분을 투입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투입하는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은 경화후 예컨대 쇼어(shore) 경도 10 ~ 45 정도로서 일반적인 사람의 피부 경도와 같거나 더 부드러운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고, 선택적으로 안료 또는 오일 등과 같은 다른 첨가제를 혼합한 후,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준비한 액상의 실리콘 고무 조성물일 수 있다. 순수한 액상 실리콘 고무가 경화되면 투명하다. 따라서 다양한 컬러 제품을 구현하기 위해서 적어도 한가지 컬러의 안료 성분을 소량 첨가할 수 있다. 오일 성분은 경화된 실리콘 고무의 표면이 끈적끈적한 상태로 되어 외피필름과의 점착력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경험적으로 함량을 조절하여 소량 첨가할 수 있다.
경화 단계(307)에서는, 주입된 실리콘 고무 액이 경화되어 탄성체로 되면서 동시에 도포면이 탄성체 외표면에 강하게 밀착 또는 부착된다. 이 단계는, 흡입펌프에 의한 흡입 및 히터에 의한 가열 상태를 유지하면서 실리콘 고무 액이 경화되어 탄성체로 될 때까지, 예컨대 1~5분 동안 그대로 유지한다. 그 결과, 다공서시트와 박막필름이 서로 밀착되면서 동시에 실리콘 고무 탄성체의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된 반제품이 제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마무리 단계(309)는 이전 단계에서 제조된 반제품을 마무리하여 완제품으로 만드는 공정이다. 예시된 단계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제품 형태로 만드는 과정이다. 금형캐비티에서 분리한 반제품에 커버필름과 리본스트립을 배치하고 테두리를 따라, 도포면, 커버필름 및 리본스트립을 열접착하고 절단함으로써 완성된 형태의 화장용 퍼프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커버필름 및 리본스트립은 모두 열가소성 수지(예컨대, 습식 폴리우레탄폼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등) 재질이면 충분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 단계의 열접착 및 절단 작업은 예컨대 고주파 열접착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예시된 탄성 마이크로셀 표면 구조를 도포면 또는 표면으로서 적용한 다양하게 변형된 제품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20: 화장용 퍼프, 22: 커버필름, 24: 탄성체, 26: 도포면, 262: 박막필름, 264: 다공성시트, 28: 버

Claims (9)

  1. 화장용 퍼프로서,
    상기 도포면은 외측 다공성 시트와 내측 비다공성 박막필름이 적층된 상태에서 오목한 그릇 형태의 탄성체 수용부를 가지도록 성형되고,
    상기 탄성체 수용부에는 실리콘 탄성체가 수용되고,
    상기 실리콘 탄성체 외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상기 도포면 및 커버필름이 밀착되어 그 가장자리에서 접착되며,
    상기 도포면과 커버필름이 접착되어 형성된 버는 상기 화장용 퍼프 측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면은, 소정 금형 위에 외측 다공성 시트와 내측 비다공성 박막필름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금형 외측에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오목한 그릇 형태의 탄성체 수용부를 가지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비다공성 박막필름의 두께는 0.01 ~ 0.05 mm이고;
    상기 외측 다공성 시트의 두께는 상기 도포면의 성형 전 0.8 ~ 2 mm이며, 상기 도포면의 성형 후 두께는 성형전보다 2 ~ 20배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탄성체는 액상의 실리콘 고무 또는 우레탄 고무를 상기 성형된 도포면의 탄성체 수용부에 주입한 후 경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면의 외측을 이루는 다공성 시트는 미세다공성 습식 폴리우레탄폼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면의 내측을 이루는 비다공성 박막필름은 열가소성폴리우레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7. 제 1항에 있어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포면을 이루는 외측 다공성 시트와 내측 비다공성 박막필름은 합지된 상태에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8.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으로서,
    오목한 그릇 모양의 금형 캐비티를 준비하는 단계;
    금형 캐비티 상에 도포면을 성형하기 위한 외측 다공성 시트 및 내측 비다공성 박막필름을 적층 배치하는 단계;
    금형 캐비티면과 상기 적층된 시트 및 박막필름 사이의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외측 다공성 시트와 상기 내측 비다공성 박막필름이 상기 금형 캐비티 면을 따라 밀착되는 단계;
    금형 캐피티 면에 밀착되어 형성된 도포면의 오목한 탄성체 수용부 내에 액상의 탄성체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액상의 탄성체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탄성체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 이후, 경화된 탄성체와 이에 밀착된 도포면을 구비하는 반제품을 상기 금형 캐비티에서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한 반제품에 커버필름 및 리본스트립을 배치하고 테두리를 따라, 외피필름, 커버필름 및 리본스트립을 함께 열접착하고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제조방법.
KR1020200189240A 2020-12-31 2020-12-31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96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40A KR20220096627A (ko) 2020-12-31 2020-12-31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40A KR20220096627A (ko) 2020-12-31 2020-12-31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627A true KR20220096627A (ko) 2022-07-07

Family

ID=8239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240A KR20220096627A (ko) 2020-12-31 2020-12-31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662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548B1 (ko) 2014-07-15 2014-12-10 (주)고려퍼프 리퀴드 화장용 퍼프 및 퍼프의 제조방법
KR101825681B1 (ko) 2015-12-02 2018-0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KR102056615B1 (ko) 2017-11-16 2019-12-17 손광오 탄성 마이크로셀 표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548B1 (ko) 2014-07-15 2014-12-10 (주)고려퍼프 리퀴드 화장용 퍼프 및 퍼프의 제조방법
KR101825681B1 (ko) 2015-12-02 2018-0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KR102056615B1 (ko) 2017-11-16 2019-12-17 손광오 탄성 마이크로셀 표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418B1 (ko) 화장용 실리콘 퍼프의 제조방법
JP4505652B1 (ja) 化粧用塗布具
US4776356A (en) Cosmetic applicator
KR20170094098A (ko) 화장용 퍼프 및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
KR101795372B1 (ko)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825681B1 (ko) 화장용 퍼프
CA2514078A1 (en) Wound dressing
JP6003671B2 (ja) マッサージ器、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2056615B1 (ko) 탄성 마이크로셀 표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779378B1 (ko) 피혁과 실리콘이 중합된 신발용 인솔 제조방법
KR102176744B1 (ko) 일회용 교체퍼프를 갖는 실리콘 퍼프
KR20220096627A (ko)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102240539B1 (ko) 우레탄 코팅층을 갖는 화장용퍼프 쿠션체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우레탄 코팅층을 갖는 쿠션체가 구비된 화장용퍼프
KR200488564Y1 (ko) 방수기능을 갖는 화장용 퍼프
MXPA05011563A (es) Producto de venda adhesiva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para un producto de venda adhesiva.
KR101898131B1 (ko) 화장용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2238270B2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implants or intermediate products of such implants as well as implants and intermediate products obtained by such process
CN108698366B (zh) 传递性上升的化妆工具
KR102455555B1 (ko) 더블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13394A (ko) 브래지어 몰드컵 제조장치
JP3148623B2 (ja) 化粧用塗布具
KR102176747B1 (ko) 기능성 화장료의 자가 배출형 퍼프
JPH066Y2 (ja) 化粧用塗布具
JPS6049483B2 (ja) 化粧用パフ並びにその製造法
KR102041218B1 (ko) 트윈퍼프 및 그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