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0344A -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0344A
KR20240060344A KR1020220141850A KR20220141850A KR20240060344A KR 20240060344 A KR20240060344 A KR 20240060344A KR 1020220141850 A KR1020220141850 A KR 1020220141850A KR 20220141850 A KR20220141850 A KR 20220141850A KR 20240060344 A KR20240060344 A KR 20240060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smetics
cosmetic
sponge
impreg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은경
안유진
이화영
서은주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1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0344A/ko
Priority to PCT/KR2023/015733 priority patent/WO2024090856A1/ko
Publication of KR2024006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03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상 화장료를 함침하는 함침 스펀지를 포함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 상에 적층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2 블록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절개 패턴을 포함하는, 화장료 함침 화장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A Sponge For Impregnating Cosmetics And Cosmetic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폼,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부의 분산된 개기공 내에 화장료 조성물을 내장하는 스펀지 형태의 함침 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펀지 내장 화장품은 기계적인 압착에 의해 내용물인 화장료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된 화장료는 퍼프와 같은 화장 도구에 묻혀 피부에 바르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스펀지 자체는 밋밋한 외형을 가지므로 미관상 더 돋보이게 할 필요가 있고, 또 화장료의 배출 특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스펀지의 표면에 소정의 무늬를 새겨 넣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1566803호는 음양각의 무늬가 형성된 가열된 금형으로 스펀지 표면을 가압하여 표면에 반대의 무늬를 새겨 넣어 내용물의 균일한 배출을 도모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가열 가압 방식에 의해 형성된 음양각 무늬는 필연적으로 표면의 스펀지가 용융 또는 변형되면서 압착되므로 오픈셀 또는 망상형의 기공 구조와 셀 구조를 붕괴시키게 되며, 퍼프 압착시 내용물의 원활한 배출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장료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기공 구조의 변형을 최소화하고자 레이저 빔에 의해 표면 문양을 형성하는 레이저 마킹법이 제시되고 있지만, 여전히 레이저 열에 의해 가공 부위에서 변형이 발생하는 데다 레이저 마킹에 요구되는 가공 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566803호 (2) 한국등록특허 제10-160597호 (3) 한국등록특허 제10-1985172호 (4) 한국등록특허 제10-2211963호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 마킹 패턴을 갖는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에 실질적인 용융 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의 기공 구조에 실질적인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 마킹 패턴이 화장료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의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상 화장료를 함침하는 함침 스펀지를 포함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 상에 적층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2 블록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절개 패턴을 포함하는, 화장료 함침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을 결합하는 접착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2 블록의 절개 패턴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2 블록의 외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링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층은 수용성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고, 예시적으로 상기 접착제는 폴리우레탄 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 사이에 제3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개 패턴을 위한 슬릿은 칼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블록은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제2 블록은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거나 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블록은 기공수(pores per inch, ppi)가 30 내지 2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상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를 포함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 상에 적층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 사이의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2 블록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절개 패턴을 포함하는, 화장료 함침용 적층 스펀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2 블록의 절개 패턴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 문양을 가지면서도 스펀지의 기공 구조에 실질적인 변형을 발생하지 않는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 문양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에 실질적인 용융 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의 기공 구조에 실질적인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표면 문양이 화장료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의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 함침재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적층 함침재의 단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험 장치 구성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10)은 액상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 본체(11)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 본체(11)에는 액상 화장료를 함침하는 적층 함침재(100)가 수용된다. 상기 화장품은 상기 적층 함침재(100)로부터 액상 화장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내뚜껑(13) 및/또는 외뚜껑(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함침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함침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따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 함침재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적층 함침재(100)은 제1 블록(110) 및 제2 블록(120)의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블록(110)은 발포된 합성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블록(110) 내부의 발포 기공은 오픈 채널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블록(110)의 기공 구조는 오픈-셀 폼 또는 망상형 폼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망상형 폼이란 스펀지가 망상 조직을 가지되 셀벽이 개구되어 있는 폼을 지칭한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펀지(110)의 평방인치당 기공수(pores per inch, ppi)가 30 내지 200 또는 70 내지 200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블록(110)의 재질로는 다양한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PVA(polyvinyl alcohol), PE(polyethylene), EVA(ethylene vinyl acet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또는 합성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폴리우레탄으로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합성 고무는 SBR(styren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및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1종의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블록(110) 위에는 제2 블록(120)이 적층되어 있다. 상기 제2 블록(120)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발포 합성수지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물 또는 부직포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 블록(120)은 상기 적층 함침재의 표면 문양을 형성하는 절개 패턴(122)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개 패턴(122)은 상기 제1 블록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슬릿을 연장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절개 패턴은 관통 슬릿에 의해 규정되는 폐곡선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관통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폐곡선 영역 내의 가공된 블록 조각이 제거되면 남겨진 부분은 분리되지 않고 일체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관통 슬릿은 칼날과 같은 비가열식 기계 공구로 손쉽게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 슬릿의 형성 시 상기 블록의 재질에 손상이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3은 도 1의 적층 함침재의 단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블록(110)과 상기 제2 블록(120) 사이에는 접착층(13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층(130)으로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층(130)의 형성을 위한 접착제로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합성 고무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제로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서, 상기 접착층(130)은 상기 제1 블록(110) 및 상기 제2 블록(120)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일면 중 상기 제2 블록의 절개 패턴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접착층(130)은 상기 제1 블록(110)의 일면 중 상기 제2 블록의 절개 패턴 외측 부분에 대응되는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 상기 접착층(130)은 상기 제2 블록(120)의 일면 중 상기 제2 블록의 절개 패턴 외측 부분에 대응되는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상기 접착층(130)은 상기 제1 블록(110)의 일면 및 상기 제2 블록(120)의 일면에 상기 제2 블록의 절개 패턴 외측 부분에 대응되는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층(130)은 상기 제2 블록의 절개 패턴 외측(슬릿 폐곡선 영역 외측)에 국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착층을 배치하게 되면 상기 절개 패턴을 통하여 액상 화장료 조성물이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블록으로부터 상기 제2 블록으로 또는 그 역으로 화장료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층 함침재로의 화장료 조성물의 충전과 적층 함침재로부터 화장료 함침재의 배출이 용이해질 수 있다.
제2 블록(120)의 중앙부에 절개 패턴(122)을 배치하고, 상기 절개 패턴 외측에 접착층을 배치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절개 패턴의 내벽은 손상이나 변형 없이 형성되므로, 기공 구조는 본래의 오픈 포어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퍼프와 같은 도구로 적층 함침재(100)의 상면 중앙을 압착하게 되면, 제1 블록 내부에 함침된 액상 화장료는 중앙의 절개 패턴을 통해 손쉽게 제2 블록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화장료가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130)은 상기 제2 블록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착층(130)은 상기 제2 블록의 절개 패턴 외측에서 상기 제2 블록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2 블록의 절개 패턴 외측의 영역 중 접착제 비형성 영역을 통한 접착제의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블록(110) 및 상기 제2 블록(120)이 동일한 폭과 너비에 의해 규정되는 동일한 2차원적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층 구조를 구성하는 블록들은 분리된 별개의 것이므로,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블록(120)은 상기 제1 블록(110)에 비해 작은 폭이나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역도 가능하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2개의 불록으로 구성되는 적층 함침재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하나 이상의 중간 블록이 상기 제1 및 제2 블록 사이에 개재되거나 또는 상기 제2 블록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추가적 블록은 발포된 합성 수지, 직물, 부직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화장품의 분해 상태에서 모식도이고, 도 4의 (b)는 조립 상태의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함침재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11) 상에 적층 함침재(100)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적층 함침재(100) 상에는 중앙부에 개구(19)를 갖는 함침재 고정구(17)가 장착되어, 적층 함침재의 이탈이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실험예>
접착제 없이 적층한 적층 함침재와 접착제를 도포한 적층 함침재의 배출 특성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2 매의 폴리우레탄 스펀지를 접착제 없이 적층한 적층 함침재 시편과 폴리우레탄 스펀지를 접착제로 접착한 적층 함침재 시편을 준비하였다. 접착제는 스펀지 테두리 부근을 따라 도포하였다. 용기 내에 화장료가 침적된 각 힘침재 시편을 수용한 후 스펀지 위로 퍼프를 얹고, 경도계를 사용하여 같은 힘으로 누른 후 퍼프에 취해지는 내용물의 양을 비교하여 각각의 적층 함침재의 배출양을 비교하였다. 도 5는 실험 장치 구성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 때, 각 함침재 시편에는 거의 동일한 양의 내용물을 침적하였다.
구분 충진양
(g)
퍼프무게
(g)
토출양(g)/
토출비
접착제로
적층한
함침재
12.1 1.64 0.42/3.47%
2.06
접착제없이
적층한
함침재
12.02 1.67 0.34/2.82%
2.01
표 1로부터 접착제로 적층한 함침제의 내용물 배출양은 접착제 없이 적층한 함침제와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의 적층 및 접착제에 의한 합지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적층체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적층 함침재의 테두리 부근을 초음파 가열 등의 방식으로 압착하여 테두리부를 형성함으로써 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층 함침재는 상방 및 하방으로 볼록한 렌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술하였지만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 용기 본체
13 내뚜껑
15 외뚜껑
100 적층 함침재
110 제1 블록
120 제2 블록
122 절개 패턴

Claims (15)

  1. 액상 화장료를 함침하는 함침 스펀지를 포함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 상에 적층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2 블록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절개 패턴을 포함하는, 화장료 함침 화장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을 결합하는 접착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 화장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2 블록의 절개 패턴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 화장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2 블록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 화장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 화장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수용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 화장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폴리우레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 화장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 사이에 제3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 화장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패턴을 위한 슬릿은 칼날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 화장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용 화장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은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용 화장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은 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용 화장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기공수(pores per inch, ppi)가 3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4. 액상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를 포함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 상에 적층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 사이의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2 블록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절개 패턴을 포함하는, 화장료 함침용 적층 스펀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2 블록의 절개 패턴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용 적층 스펀지.
KR1020220141850A 2022-10-28 2022-10-28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40060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850A KR20240060344A (ko) 2022-10-28 2022-10-28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PCT/KR2023/015733 WO2024090856A1 (ko) 2022-10-28 2023-10-12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1850A KR20240060344A (ko) 2022-10-28 2022-10-28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0344A true KR20240060344A (ko) 2024-05-08

Family

ID=9083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850A KR20240060344A (ko) 2022-10-28 2022-10-28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60344A (ko)
WO (1) WO202409085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597B1 (ko) 1996-09-19 1998-12-15 김수근 레일용 절연패드
KR101566803B1 (ko) 2015-03-23 2015-11-10 (주)아모레퍼시픽 표면을 녹여 양음각을 형성한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KR101985172B1 (ko) 2017-11-20 2019-09-03 코스맥스 주식회사 스탬프 마킹을 갖는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211963B1 (ko) 2017-03-21 2021-02-04 코스맥스 주식회사 레이저 마킹을 갖는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레이저 마킹 장치 및 마킹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002B1 (ko) * 2013-06-18 2020-08-12 코웨이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KR101922399B1 (ko) * 2017-01-17 2018-12-03 (주)에스디생명공학 화장료 함침재
KR101936843B1 (ko) * 2017-09-29 2019-01-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597B1 (ko) 1996-09-19 1998-12-15 김수근 레일용 절연패드
KR101566803B1 (ko) 2015-03-23 2015-11-10 (주)아모레퍼시픽 표면을 녹여 양음각을 형성한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KR102211963B1 (ko) 2017-03-21 2021-02-04 코스맥스 주식회사 레이저 마킹을 갖는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레이저 마킹 장치 및 마킹 방법
KR101985172B1 (ko) 2017-11-20 2019-09-03 코스맥스 주식회사 스탬프 마킹을 갖는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0856A1 (ko)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6571B1 (en) Improved sound absorption in foam core panels and their method of manufacture
US3141913A (en) Method of making a container
JP4039908B2 (ja) パルプモールド断熱容器、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WO2017017228A1 (en) Packaging assembly for a cosmetic product
KR20240060344A (ko)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US20040007804A1 (en) Corrugated paperboard cutting board
KR101675192B1 (ko) 매트와 매트의 마감처리 방법
KR101806904B1 (ko) 발포펀칭 하이브리드 쿠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펀칭 하이브리드 쿠션
EP0520509A1 (en) Multilayer multifunctional packing element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1985172B1 (ko) 스탬프 마킹을 갖는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JPS62273826A (ja) 液水の含浸材
EP1798160A1 (en) Package for vacuum or protective atmosphere preservation of food products which tend to release liquids
KR101670475B1 (ko) 퍼프갑지 제조방법과 퍼프갑지를 이용한 화장용 퍼프 및 그 퍼프의 제조방법
JP2004131091A (ja) 絞り成型前駆体および絞り成型体
KR20190048620A (ko)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193308B1 (ko) 화장품 용기용 명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94457Y1 (ko) 함침재의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JP3010316B2 (ja) レリーフパネル、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4415814B2 (ja) 乾燥剤含有樹脂成形体
KR20230097579A (ko) 액상 화장용 퍼프
JP2000309322A (ja) 耐水性パルプモウルド容器
KR101946517B1 (ko)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
US20200221850A1 (en) Cosmetic kit for refill
KR200167908Y1 (ko) 복층구성의 개량형도마
CN105835591A (zh) 一种弹性浮雕面材的制作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