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097B1 -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 Google Patents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097B1
KR101605097B1 KR1020140129320A KR20140129320A KR101605097B1 KR 101605097 B1 KR101605097 B1 KR 101605097B1 KR 1020140129320 A KR1020140129320 A KR 1020140129320A KR 20140129320 A KR20140129320 A KR 20140129320A KR 101605097 B1 KR101605097 B1 KR 101605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egnated
impregnation material
cosmetic composition
cosmetic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수
김현정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6511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0509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12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함침재; 및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품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도포구가 접촉하는 일면에 압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초기부터 일정하게 내용물이 토출되고, 초기 과도한 양의 내용물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Make-up cosmetics having improved impregnating materials}
본 발명은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재를 개선한 메이크업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함침된 화장료의 토출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메이크업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유동성이 있는 W/O 형의 화장료, O/W 형의 화장료 등은 일반적으로 튜브나 펌프 제형에 담아 사용하고 있으나 휴대 및 사용성이 상대적으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JP 2003-12457, KR 10-1159877 및 EP 0 528 705에는 우레탄 폼과 같은 다공성 함침재에 화장료를 함침시키고, 퍼프와 같은 도포구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는, 휴대가 간편한 제품이 제안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함침용 스폰지는 발포과정을 거쳐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 스폰지의 내부에 형성된 cell은 대부분 오픈셀(open cell)이며, 화장료를 머금고 있을 수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가지고 있다.
스폰지의 발포과정에서 형성된 내부 공간은 기공크기가 커서, 함침이 용이하기는 하나, 도포용 퍼프를 이용하여 함침재에 압력을 가할 때, 과도하게 내용물이 방출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별도의 도포용 퍼프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함침재에 압력을 가할 때에는 사용자가 손의 감각으로 느낄 수 있으나, 별도의 도포용 퍼프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덜어서 사용할 경우에는 내용물의 방출량에 대해 훨씬 더 둔감하여 사용초기에 과도하게 내용물이 토출되었다.
함침재로부터 내용물이 과도하게 방출되게 되면,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화장료를 초반에 사용하게 되어 비경제적이며, 제품을 도포할 때에도 얼굴에 세밀하고 균일하게 화장품을 바르기가 어려워 적절한 피부 표현을 하기도 곤란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펀지 등에 함침된 화장료의 배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3-0116043호는 물성이 각기 다른 스펀지를 이용하는 화장품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는 포어 수가 더 큰 스펀지를 통해 담지된 화장료 조성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을 뿐, 화장료 조성물의 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본 발명과는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이하다.
업계에서는 함침재 위에 스크린 망과 같은 구조를 추가하여 함침재로부터 나오는 화장료의 양을 조절하고자 하는 연구도 있었다. 그러나, 실제 제품에 적용한 결과 토출량이 일정하게 관찰되지도 않았고, 제품 제작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의 토출량이 일정하고 사용이 편리한 화장품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함침재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함침재 및 이를 구비한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하기 편리하고,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이 일정한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다공성 함침재; 및 상기 다공성 함침재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덜어서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별도의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품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의 일면이, 즉 상기 도포구가 접촉하는 일면에 압축층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오랜기간 연구를 실시한 결과, 오픈셀 구조의 다공성 함침재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켜 사용하기 편리한 반면에, 초기 토출량이 과도하여 도포구 이용시 양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인식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토출량 조절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이 제시된 적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처음 사용 시점부터 효과적으로 토출량이 일정하게 조절될 수 있는 방법은 없었다.
용어 '함침'은 액체 같은 유동성이 있는 성분에 담궈서 공간을 메꾼다는 의미이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함침은 화장료 조성물이 다공성의 함침재에 적셔진 상태를 의미하며, 화장료 조성물이 흡수된 상태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함침재'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할 수 있는 물질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고,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오픈 셀 구조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포 과정에서 생기는 오픈 셀 구조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발포 폼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발포 우레탄 폼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도포구는 함침재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덜어내서 얼굴에 펴바르는 도구를 의미하며, 상기 도포구는 유동성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이 묻어나서 피부에 도포될 수 있는 것이라면, 재료나 형태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도포구가 접촉하는 함침재의 일면에 압축층을 형성하여 화장료의 토출량을 조절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포어의 사이즈가 비압축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어들면서 토출되는 화장료가 압축층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화장료가 초기에 과다하게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동일함 힘을 가할 수 있는 프레스기(예를 들어, LLOYD LS1)에 도포구를 장착하고,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에 0.4kgf/cm2의 압력을 3초간 가한 후 장착된 도포구에 묻어나오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을 확인하여 횟수에 따른 토출량을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축부가 구비된 함침재로부터 도포구로 묻어나오는 화장료의 양은 최초 압력을 가한 시점부터 10회 가압할 때까지,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의 변화가 1회당 0.03g 미만, 바람직하게는 0.02g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5g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압축층은 함침재의 압축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압축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압착(Thermal Compression)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열압착 방법은 열압축 방법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고온을 가하여 즉시 부피가 감소되는 압축방식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금속간의 접합을 위해 사용되는 열 압착방식뿐만 아니라, 고온의 열과 압력을 가하여 부피의 감소 효과를 얻는 방식을 넓게 포함하는 의미로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압착 방식은 가열된 금속판으로 함침재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500도 이상 열이 전달되도록 기기 내부에 가열된 기름이 순환할 수 있는 구조의 가압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50도 내외의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압축층이 형성된 함침재를 제조하기 위한 가압장치로는 원통 형태의 가압롤을 이용하거나 가열된 프레스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펀지의 열압착 방식은 업계의 일반적인 방식에 따라 제작될 수 있으며, 제조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가압롤 혹은 프레스기의 표면은 돌기나 홈을 내어 특정 문양을 새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압착층의 상면에 다양한 패턴을 각인시킬 수 있다.
상기 상기 함침재의 압축층은 상기 압축층의 길이 대비 전체 함침재의 길이의 비율이 1:4 내지 1:6 (압축층의 길이:전체 함침재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4.5 내지 1:5.5 정도의 길이 비율로 압축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수가 45 ppi 내지 65 ppi인 발포 폼 또는 밀도가 0.01 내지 0.03 g/cm3 인 발포 폼을 도포구가 접촉하는 방향에서 열압착하여 열압착 전 대비 높이가 1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8%,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줄어들도록 열압착할 수 있다.
압축층의 비율이 더 높아지면 함침재 제조 비용이 올라가게 되고, 내용물의 배출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압축층의 비율이 낮아지면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균일한 압착 및 성형이 어렵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압축층은 상기 함침재의 비압축층이 갖는 밀도 대비 4 내지 6배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기 압축층이 형성된 함침재에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키 것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동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며, 1기압 25℃에서 유동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W/O(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이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운데이션, 자외선 차단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운데이션 또는 자외선 차단제에 포함되는 성분은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기 압축된 함침재 및 도포구 외에, 일반적인 화장품에 포함되는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팩트 용기 형태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거울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함침재와 도포구를 분리할 수 있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면에 압축층이 형성된, 화장료 조성물 함침을 위한 발포 우레탄 폼 함침재를 제공한다.
상기 발포 우레탄 폼 함침재는 다공성 오픈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압축층은 상기 함침재의 비압축층 대비 4 내지 6배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초기부터 일정하게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다.
초반에는 과도하게 내용물이 함침재로부터 스며 나오다가 점차 토출량이 줄어드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일정한 토출량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을 이용하여 얼굴에 세밀하고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도 1은 비압축 함침재 및 압축 함침재의 셀 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며, 도 1을 참조하면, 압축 함침재의 셀 지름은 비압축 함침재에 비해 약 1.44배 작고 촘촘한 셀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함침재에 새겨질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압축부가 구비된 함침재의 제조>
지름48mm, 길이 11mm의 원통형으로 된 함침용 폴리우레탄 스펀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스펀지(발포 우레탄 폼)는 상부 2mm가 압축된 압축층과 열압착하지 않은 비압축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폼텍의 EZ88DH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압축 함침재에 대한 물성 확인>
1. 밀도
상부 표면을 2mm 압축한 함침재와 압축을 가하지 않은, 일반 함침재의 밀도 차이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압축층이 구비된 함침재의 밀도가 전체적으로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4092046662-pat00001
한편, 압축부가 구비된 함침재의 압축부 2mm 와 압축하지 않은 함침재의 2mm에 해당하는 부위에 대해서 밀도를 비교한 결과, 각각 0.021 g/cm3, 0.106 g/cm3로 압축 부위가 약 5배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셀 지름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일반 함침재에 비해 압축 함침재의 셀 지름이 약 1.44배 작아 촘촘한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셀 수
비압축층과 압축층의 셀수를 확인한 결과, 하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압축부의 셀 수는 평균 79.9 ppi로 비압축부의 셀 수 55.5 ppi 보다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압축부 압축부
셀수 55.5 ppi 79.9 ppi
상기 도 1 및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압축부는 셀 수가 많고 포어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비압축부에 비해 더 작기 때문에 화장료의 담지되어 있는 화장료가 외부 압력에 의해 과다하게 배출되지 않으며, 사용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실시예 3.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와 같은 조성과 비율로 함침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092046662-pat00002
<실시예 4. 토출량 확인 실험>
압축/압착이 들어간 함침용 함침재(실시예1)와 그렇지 않은 함침재(비교예)를 사용했을 때 초기(1~5회)토출량과 6~10회 사용 후 토출량의 차이 비교하였다.
실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동일한 깊이, 동일한 면적, 동일한 힘으로 샘플을 누를 수 있는 프레스기(LLOYD LS1)에 도포용 퍼프(구입처: S&P WORLD, 1cm x 1cm 로 재단)를 장착하여,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직경 4.6cm, 높이 1cm 크기 재단)을 동일한 압력(0.4kgf/cm2)으로 3초간 가압하였을 때, 다공성 폼으로부터 묻어나오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을 계산하였다. 단위는 g으로 나타냈다.
Figure 112014092046662-pat00003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에 따른 토출량 패턴을 확인한 결과, 기존 함침재의 경우 급격히 토출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압축 변형 함침재의 경우 초기부터 일정하게 내용물이 토출되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사용자 테스트>
상기 압축 함침재에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을 20-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여 평균값을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평가 기준은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의 용이성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Figure 112014092046662-pat00004
사용자의 대다수는 1주차에 기존 함침재의 만족도에 대한 점수가 낮은 이유에 대해서 초기 토출량이 많아 사용이 어렵고 급격히 토출량이 줄어든 것을 이유로 들었다. 그리고 3주차 이후부터는 기존 함침재, 압축 함침재 사용의 경우 모두 토출량이 줄어 들어 만족도가 떨어진다고 평가하였다.

Claims (15)

  1.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함침재; 및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품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도포구가 접촉하는 일면만을 압축하여 압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함침재는 오픈셀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함침재는 발포 우레탄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의 압축부는
    함침재와 도포구가 접촉하는 일면만을 압축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함침재는 압축부의 길이 대비 전체 함침재의 길이의 비율이 1:4 내지 1:6 (압축부의 길이:전체 함침재의 길이)로 형성된 압축부가 형성된 함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다공성 함침재의 도포구가 접하는 면에 500 내지 700℃ 이상의 온도를 가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함침재의 비압축부 대비 4 내지 6배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의 함침재에 0.4kgf/cm2의 압력을 3초간 가하여 도포구에 묻어나오는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을 10회 측정하였을 때,
    도포구에 묻어나온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의 변화가 1회당 0.03g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9. 도포구가 접촉하는 일면만을 압축하여 압축부가 형성된,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발포 폼 함침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폼 함침재는 발포 우레탄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폼 함침재는 다공성 오픈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함침재의 비압축부 대비 4 내지 6배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함침재는, 셀수가 45 ppi 내지 65 ppi인 발포 폼을 도포구가 접촉하는 방향에서 열압착하여 열압착 전 대비 높이가 10 내지 30% 줄어들도록 열압착한 발포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의 압축부는
    하나의 함침재의 도포구가 접촉하는 일면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의 압축부는
    비 압축부에 비해 셀 수가 많고, 포어의 사이즈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KR1020140129320A 2014-09-26 2014-09-26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KR101605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320A KR101605097B1 (ko) 2014-09-26 2014-09-26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320A KR101605097B1 (ko) 2014-09-26 2014-09-26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413A Division KR101920287B1 (ko) 2016-03-14 2016-03-14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097B1 true KR101605097B1 (ko) 2016-03-21

Family

ID=5565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320A KR101605097B1 (ko) 2014-09-26 2014-09-26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0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204A1 (ko) * 2015-11-06 2017-05-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KR101738121B1 (ko) * 2016-07-21 2017-06-08 (주)영서물산 함침용 쿠션 어셈블리
KR101892669B1 (ko) 2017-12-22 2018-08-28 주식회사 이노코아 함침재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204A1 (ko) * 2015-11-06 2017-05-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KR101738121B1 (ko) * 2016-07-21 2017-06-08 (주)영서물산 함침용 쿠션 어셈블리
KR101892669B1 (ko) 2017-12-22 2018-08-28 주식회사 이노코아 함침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287B1 (ko)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CN108289796B (zh) 包含改善的浸渍材料的化妆用化妆品
KR101605097B1 (ko)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KR200464761Y1 (ko)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KR101920923B1 (ko)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JP7071826B2 (ja) 内容物伝達力が改善された塗布具を含む化粧品
KR20160110034A (ko) 액상 화장품이 함침되는 화장품 용기의 함침부재
KR102323102B1 (ko) 층 구조를 갖는 일체형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101736372B1 (ko)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80125429A (ko)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KR102063955B1 (ko)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KR200469211Y1 (ko)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CN206079483U (zh) 具有由止回阀实现的密封结构的化妆品管体
JP3148623B2 (ja) 化粧用塗布具
EP3329800B1 (en) Pad for holding/supplying liquid cosmetics
KR101892669B1 (ko) 함침재 제조방법
JP2019521818A (ja) 化粧製品を塗布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タ
KR101985172B1 (ko) 스탬프 마킹을 갖는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WO2017108717A1 (en) Packaging device for a cosmetic product
JP2541893B2 (ja) 連続発泡型ゴムシ―トの製造方法
KR20170055943A (ko)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12261890A (zh) 用于化妆品的包装和/或涂抹组合件的可变形吸收基底
KR20140001034U (ko) 점성 메이크업 화장품의 스펀지 흡습 펀치
KR20170108404A (ko) 화장품 용기
CN210407494U (zh) 一种出料均匀且不溢料的气垫粉底海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167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621

Effective date: 2017103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808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1129

Effective date: 20180914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