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757B1 -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 - Google Patents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757B1
KR102084757B1 KR1020180036890A KR20180036890A KR102084757B1 KR 102084757 B1 KR102084757 B1 KR 102084757B1 KR 1020180036890 A KR1020180036890 A KR 1020180036890A KR 20180036890 A KR20180036890 A KR 20180036890A KR 102084757 B1 KR102084757 B1 KR 102084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tube
chuck
cutting oil
bas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342A (ko
Inventor
김두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메탈
Priority to KR102018003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75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23B47/281Jigs for drilling cylindric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15/00Details of workpieces
    • B23B2215/72Tubes,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47/00Details of drilling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철금속관, 비철금속관 등 부시의 내외를 관통하도록 일정크기와 간격배열로 조성되는 구멍을 규칙적으로 천공하기 위해 소재가 되는 원통관을 고정척(固定chuck)과 가동척(可動chuck) 사이에 배치되는 안착지그 위에 올려놓으면 가동척이 원통관을 고정척에 밀착고정시키면서 제어부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위치에 드릴유닛의 위치가 가변하면서 천공작업을 연속적으로 자동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원통관의 다공 형성이 신속하고 제조능률이 고도화됨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다공 위치의 정밀도를 높혀 제품 불량률은 낮추고 제품의 품질은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

Description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Drilling machine with cylindrical tube material as the processing object}
본 발명은 철관, 비철금속관 등 부시의 내외를 관통하도록 일정크기와 간격배열로 조성되는 구멍을 규칙적으로 천공하기 위한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에 관한 것이다.
원통관(이하, 부시라 칭함)에 일정한 구멍을 천공하는 장치로서는 일반적으로 관형 소재를 고정용 바이트에 협지고정한 상태에서 수직 작동하는 드릴링머신을 가동하여 일정크기의 구멍을 천공(穿孔)하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행하는 수작업에 의한 단순공법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급유 베어링은 자동차, 자동화기기 금형, 조선기자재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며, 그 특성은 저온, 저속, 고하중, 충격하중이 큰 기계분야에서 급유자체가 어렵거나 불필요한 경우에 내구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무급유 베어링의 주된 구성인 베어링 몸체(Body)는 철 또는 비철금속제의 부시 주면에 일정크기의 구멍을 천공한 후 이 구멍 내부에 고형윤활제(固形潤滑劑)를 충전하여 고속회전하에서도 저마찰계수에 의한 소기의 회전수와 속도를 확보할 수가 있게 되는바, 종래에는 부시에 천공을 위해 원통관 주면에 천공할 위치마다 수작업으로 마킹하여 표시한 후에,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5598호의 드릴링장치를 이용하여 천공 작업을 실시하였다.
종래와 같은 무급유 베어링을 제조하기 위한 부시에 다공을 형성하기 위한 천공작업은 부시 자체에 천공지점을 별도로 마킹한 후, 드릴링머신으로 하나의 구멍을 천공한 후, 다음 구멍 천공을 위해 드릴링머신의 바이스에 고정된 부시를 해제하고 다음 구멍 천공을 위해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부시를 회전시킨 후 바이스에 다시 고정하는 등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른 작업의 시간 소요가 많아 생산성 및 작업성이 떨어지고, 부시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다공으로 형성해야 함에 따른 천공위치에서 구멍 가공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 제품 불량률로 이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KR (A) 10-2008-0025598 (2008. 03. 21)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특정한 용도에 전용하는 다공형 원통관을 양산하기 위해 원통관의 내외를 관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멍을 자동으로 천공하는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시 강조하면 본 발명의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의 주된 목적은 무급유 베어링을 제조하기 위한 베어링 몸체(Body)로서 원통관의 내외를 관통시켜 규칙적인 배열의 구멍을 천공하기 위해 드릴의 위치가변이 용이하도록 한 드릴링머신을 비교적 간단하고 컴팩트한 형태로 개발한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은 기대(1) 상측 후방에 레일베이스부 상부에 수직서포터가 기립되는 슬라이판이 좌우 구동수단에 의해 좌우 이동하도록 가설되는 드릴설치대와, 수직서포터의 전단에 레일블럭이 가설되고 레일블럭의 전단에 드릴유닛이 설치된 가동블럭이 상하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원통관을 천공하는 드릴본체와, 기대 상단 전방에 소재인 원통관을 안치시키도록 설치되는 안착지그와, 안착지그의 일측 기대 상부에 설치되며 원통관의 일측을 고정척으로 고정하여 천공 위치에 따라 원통관을 설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회동고정부와, 상기 회동고정부와 대향하도록 기대 상부에 설치되어 가동척을 전후진시키며 원통관을 고정척 방향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이동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척과 가동척 사이에 배치되는 안착지그 위에 원통관을 올려놓으면 가동척이 원통관을 고정척에 밀착고정시키면서 고정척이 일정각도로 원통관을 회전하시키고 드릴본체의 위치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통관에 다공 형성이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착지그는 원통관의 규격사양에 따라 소재받침블럭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소재받침블럭의 하방으로 소재받침블럭을 지지하는 승강대를 포함한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소재받침블럭을 지지하는 승강대가 하부 에 수직실린더와 보조지지봉에 의해 레일지지대를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동고정부는 원통관을 고정시키는 원반상의 설치되는 고정척과, 상기 고정척의 외측으로 고정척을 회전지지하도록 연결되는 회전고정부와, 상기 회전고정부의 외측이 축 연결되어 회전 구동시키는 감속구동모터로 이루어지며, 밀착되는 원통관을 고정하여 천공 위치 각도에 따라 회전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고정부는 고정척을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가동척과, 상기 가동척의 외측으로 가동척이 고정척을 따라 회전하도록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회전지지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의 외측으로 가동척을 전후진 작동시켜 원통관을 고정척으로 협지 또는 해제하는 수평실린더와, 상기 회전지지부의 수평실린더에 의한 전후진 가동을 지지하도록 하부에 이동슬라이더 및 보조레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착지그의 상부측에 절삭유를 공급하도록 절삭유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절삭유공급유닛은 안착지그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절삭유 분사노즐과, 기대 후방에 절삭유 분사노즐에 절삭유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공급펌프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절삭유저장탱크와, 상기 절삭유저장탱크의 상부에 기대 후방 절삭유배출구로 배출되는 절삭유를 여과시켜 절삭유공급탱크로 다시 순환시키는 여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에 의하면, 주로 무급유 베어링의 제조를 위한 천공장치로서, 원통관 소재를 좌우 대향으로 설치한 고정척과 가동척에 맞물려 지지되도록 하여 소정의 위치에 정확한 규격으로 구멍을 천공하고 이어서 천공할 위치의 각도만큼 고정척이 미리 설정된 각도로 소재를 회전을 시키고, 드릴유닛이 좌우로 가변되면서 다음 천공위치를 정확하게 지정하여 연속적인 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통관의 다공 형성이 신속하고 제조능률이 고도화됨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천공 위치의 정밀도를 높혀 제품 불량률은 낮추고 제품의 품질은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중 레일베이스와 드릴본체를 상세하게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중 회동고정부와 이동고정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드릴링머신에 의해 가공되는 다공형 원통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실시예에 따른 하기 도면은 구성과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좁게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하다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기술용어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원통관 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은 소재가 되는 원통관을 고정척(固定chuck)과 가동척(可動chuck) 사이에 배치되는 안착지그 위에 올려놓으면 가동척이 원통관을 고정척에 밀착고정시키면서 제어부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위치에 드릴유닛의 위치가 가변하면서 천공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자동화한 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을 도시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을 도시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을 도시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관 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은 기대(1)가 구비되고, 기대(1) 상측 후방에 좌우 이동하도록 가설되는 드릴설치대(2)와, 드릴설치대(2)의 전단에 상하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원통관(100)을 천공하는 드릴본체(3)와, 기대(1) 상단 전방에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원통관(100)이 안치되는 안착지그(4)와, 안착지그(4)의 일측 기대(1) 상부에 설치되어 원통관(100)의 일측을 고정척으로 고정하여 천공 위치에 따라 원통관(100)을 설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회동고정부(5)와, 상기 회동고정부(5)와 대향하도록 기대(1) 상부에 설치되어 가동척을 전후진시키며 원통관(100)을 고정척 방향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이동고정부(6)와, 다공 배열시 구멍간에 간격치수를 컨트롤제어패널에 설정하고, 설정대로 드릴설치대(2)와 회동고정부(5)를 가변하도록 천공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7)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원통관 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은 드릴과 소재간에 마찰과 저항을 줄여 열을 식히고 정밀도를 높이며, 공구를 보호하도록 하기 위해 절삭유를 가공부위로 공급하고 배출되는 절삭유를 여과하여 재공급하도록 순환시키는 절삭유공급유닛(8)을 더 포함한다.
기대(1)는 상부측 가장자리로 수직프레임(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0)으로 원통관(100)으로 천공작업시 금속파편 및 절삭유가 비산됨을 방지토록 사면이 개폐 가능하도록 개폐도어(11)가 설치되며, 전방부 개폐도어(11)는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대(1) 후방으로 사용된 절삭유의 배출을 위한 절삭유배출구(1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방부 개폐도어(11)의 자동개폐 기능은 통상적인 것인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드릴설치대(2)는 기대(1) 상측 후방 좌우방향으로 상단에 한쌍의 가이드레일(21)이 이격 설치된 레일베이스부(20)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베이스부(20)의 상단에 좌우슬라이더(22)가 가이드레일(21)에 장착되어 좌우 이동하는 슬라이드판(23)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판(23)의 상부측에 드릴본체(3)의 설치를 위한 수직서포터(24)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베이스부(20)와 슬라이드판(23) 사이로 슬라이드판(23)을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 구동수단(25)이 설치된다.
상기 좌우 구동수단(25)은 레일베이스부(20)의 가이드레일(21) 사이로 레일베이스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 회전하는 수평리드스크루(25a)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리드스크루(25a)와 연동하여 강제 회전시키도록 수평구동모터(25b)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평리드스크루(25a)에 나사 결합되어 수평구동모터(25b)에 의한 수평리드스크루(25a)의 회전시 좌우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브래킷(25c)이 슬라이드판(23)으로 일체 결합된다.
드릴본체(3)는 수직서포터(24)의 전단에 한쌍의 수직가이드레일(31)이 형성된 레일블럭(30)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블럭(30)의 전측에 후단에 상하슬라이더(32)가 수직가이드레일(31)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하는 가동블럭(33)이 설치되며, 상기 가동블럭(33) 전측으로 설치브라켓(34)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브라켓(34)으로 원통관(100)을 천공하는 드릴유닛(35)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블럭(30)과 가동블럭(33) 사이로 가동블럭(33)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 구동수단(36)이 설치된다.
상기 드릴유닛(35)은 드릴(35a)이 체결되는 드릴척(35b)이 주축(35c)에 연결되고, 상기 주축(35c)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5d)가 설치브라켓(34)으로 장착된 구성이며, 이러한 드릴유닛(35)은 드릴링 작업을 위한 통상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상하 구동수단(36)은 레일블럭(30)의 수직가이드레일(31) 사이로 레일블럭(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 회전하는 수직리드스크루(36a)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리드스크루(36a)와 연동하여 강제 회전시키도록 수직구동모터(36b)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리드스크루(36a)에 나사 결합되어 수직구동모터(36b)에 의한 수직리드스크루(36a)의 회전시 좌우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브래킷(36c)이 가동블럭(33)으로 일체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착지그(4)는 원통관(100)이 안착되는 소재받침블럭(40)이 기대(1)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재받침블럭(40)의 하방으로 소재받침블럭(40)을 지지하는 승강대(41)를 포함한 높이조절수단(42)이 설치되어 원통관(100)의 규격사양에 따라 소재받침블럭(40)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42)은 소재받침블럭(40)을 지지하는 승강대(41)가 하부 에 수직실린더(43)와 보조지지봉(44)에 의해 레일지지대(45)를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회동고정부(5)는 원통관(100)을 고정시키는 원반상의 고정척(5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척(50)의 외측으로 고정척(50)을 회전지지하는 회전고정부(51)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고정부(51)는 외측 감속기를 포함하는 감속구동모터(52)와 축 연결되어 회전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회동고정부(5)는 고정척(50)으로 밀착되는 원통관(100) 천공할 위치에 따라 설정된 각도에 따라 원통관(100)을 회전 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동고정부(6)는 고정척(50)을 대향하는 가동척(60)이 외측으로 가동척(60)이 고정척(50)을 따라 회전하도록 회전지지부(61)에 의해 설치되며, 상기 회전지지부(61)의 외측으로 가동척(60)을 전후진 시키는 수평실린더(62)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지지부(61)의 하부는 수평실린더(62)에 의한 전후진 가동을 지지하도록 이동슬라이더(63) 및 보조레일(64)이 설치된다.
이러한 이동고정부(6)는 고정척(50) 쪽으로 수평실린더(62)의 전후 작동에 따라 가동척(60)이 접지(接砥)이동되면서 원통관(100)을 협지시키며 감속구동모터(52)에 의한 고정척(50)의 회전하게 되면, 가동척(60)이 회전지지부(61)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원통관(100)을 회전을 지지하게 되며, 드릴링 작업이 끝나면 후퇴하여 드릴작업 완료된 원통관(100)을 하방으로 분리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7)는 장치들에 구비된 각 구동모터(25b, 35d, 36b, 52)와 수평실린더(12)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제어패널(70)은 별도의 컴퓨터 제어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조작이 편리한 기대(1) 상부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하여 드릴링 천공작업조건을 조정 및 컨트롤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절삭유공급유닛(8)는 안착지그(4)의 상부측에 절삭유 분사노즐(80)이 설치되고, 상기 기대 후방에 절삭유 분사노즐(80)에 절삭유를 공급하는 공급펌프(81)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펌프(81)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절삭유저장탱크(82)가 설치되며, 상기 절삭유저장탱크(82) 상부에 기대(1) 후방 절삭유배출구(12)로 배출되는 절삭유를 1차 여과시켜 절삭유공급탱크(82)로 다시 순환시키는 여과부(83)로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에 의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 원통관 천공장치에 사용되는 원통관에 다공이 형성된 천공상태를 보인 가공제품을 예시한 것이다.
원통관(100)은 일정한 재료두께(C)와 길이(ℓ)를 갖는 원통관체로서 그 재질은 특수강, 비철강, 또는 강화성 고분자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릴링머신은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원통관(100)의 주면에 고체윤활성 충진재를 내입충진하기 위한 구멍(101)을 일정한 크기 또는 일정한 배열로 천공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기대 상측 전방에 구비된 안착지그(4)의 소재받침블럭(40)으로 일정 규격의 부시형 원통관(100)을 거치하게 된다.
이때 안착지그(4)는 소재받침블럭(40)의 하방으로 형성된 높이조절수단(42)에 의해 원통관의 크기 또는 직경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원통관(100)을 소재받침블럭(40) 위에 안정적으로 올려놓은 상태에서 이동고정부(6)의 수평실린더(62)가 가동척(60)을 고정척(50) 쪽으로 서서히 접근시켜 원통관(100)을 잠정 고정시킨 다음, 드릴본체(3)의 상하 구동수단(36)에 의해 레일블럭이 하강되면서 드릴유닛(35)의 드릴이 원통관소재(30)에 밀착시킨 상태로 드릴링하여 구멍(101)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 천공을 위해 레일블럭(30)에 따른 드릴유닛(35)이 상승하면 고정척(50)의 후방에 설치된 감속구동모터(52)의 작동으로 고정척(50)과 이동척(60)이 원통관(100)을 물고 있는 상태에서 일정각도 회전하여 다음 천공위치로 전환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드릴유닛(35)의 재차 하강작동에 의한 드릴작업이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평면에서 볼때 X축 방향의 천공을 위해서는 고정척(50)이 설정된 각도로 원통관(100)을 회전시키게 되고, Y축 방향의 천공을 위해서는 드릴설치대(2)가 레일베이스부(20)를 따라 좌우 구동수단(25)에 의해 수직서포터(24)가 좌측방향으로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하면서 드릴링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드릴링 작업에 따른 구멍(31)의 천공개수, 천공위치, 필요한 규격사양의 설정은 미리 작업자에 의해 컨트롤제어패널(70)에 사전 입력하게 되며, 제어부(7)의 의한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천공잡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천공작업이 수행된 다공형 원통관(100)은 일정배열로 배치된 다수의 구멍(101) 속에 윤활성고체 충진제를 투입경화하여 무급유 안전베어링으로 각종 산업적인 용도에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소재 원통관(100)에 소정의 구멍을 천공하는 각종 드릴링 작업을 완전자동화하여 해당 산업분야에 널리 실용화할 수 있어서 그 산업적 효용성이 우수한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원통관 101:구멍
1:기대
10:수직프레임 11:개폐도어 12:절삭유배출구
2:드릴설치대
20:레일베이스부 21:가이드레일 22:좌우슬라이더
23:슬라이드판 24:수직서포터 25:좌우 구동수단
25a:수평리드스크루 25b:수평구동모터 25c:수평이동브래킷
3:드릴본체
30:레일블럭 31:수직가이드레일 32:상하슬라이더
33:가동블럭 34:설치브라켓 35:드릴유닛
35a:드릴 35b:드릴척 35c:주축
35d:구동모터
36:상하 구동수단 36a:수직리드스크루 36b:수직구동모터
36c:수직이동브래킷
4:안착지그
40:소재받침블럭 41:승강대 42:높이조절수단
43:수직실린더 44:보조가이드봉 45:레일지지대
5:회동고정부
50:고정척 51:회전고정부 52:감속구동모터
6:이동고정부
60:가동척 61:회전종동부 62:수평실린더
63:이동슬라이더 64:보조레일
7:제어부
70:컨트롤제어패널
8:절삭유공급유닛
80:절삭유 분사노즐 81:공급펌프 82:절삭유저장탱크
83:여과부

Claims (5)

  1. 상부측에 천공작업시 금속파편 및 절삭유가 비산됨을 방지토록 사면이 개폐 하면서 전방부는 자동 개폐되는 개폐도어(11)가 형성된 기대(1)가 구비되고, 상기 기대(1) 상측 후방에 레일베이스부(20) 상부에 수직서포터(24)가 기립되는 슬라이판(23)이 좌우 구동수단(25)에 의해 좌우 이동하도록 가설되는 드릴설치대(2)와, 상기 수직서포터(24)의 전단에 레일블럭(30)이 가설되고 레일블럭(30)의 전단에 드릴유닛(35)이 설치된 가동블럭(33)이 상하 구동수단(36)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원통관(100)을 천공하는 드릴본체(3)와, 상기 기대(1) 상단 전방에 소재인 원통관(100)을 안치시키도록 설치되는 안착지그(4)와, 상기 안착지그(4)의 일측 기대(1) 상부에 설치되며 원통관(100)의 일측을 고정척(50)으로 고정하여 천공 위치에 따라 원통관(100)을 설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회동고정부(5)와, 상기 회동고정부(5)와 대향하도록 기대(1) 상부에 설치되어 가동척(60)을 전후진시키며 원통관(100)을 고정척 방향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이동고정부(6)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 구동수단(25)은 레일베이스부(20)의 가이드레일(21) 사이로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리드스크루(25a)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리드스크루(25a)와 연동하여 강제 회전시키는 수평구동모터(25b)가 연결되어 수평리드스크루(25a)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판(23)이 구성되고,
    상기 상하 구동수단(36)은 레일블럭(30)의 수직가이드레일(31) 사이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리드스크루(36a)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리드스크루(36a)와 연동하여 강제 회전시키는 수직구동모터(36b)가 연결되어, 상기 수직리드스크루(36a)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가동블럭(33)이 구성되며,
    상기 안착지그(4)는 원통관(100)의 규격사양에 따라 소재받침블럭(4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소재받침블럭(40)의 하방으로 소재받침블럭(40)을 지지하는 승강대(41)를 포함한 높이조절수단(42)이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42)은 소재받침블럭(40)을 지지하는 승강대(41)가 하부 에 수직실린더(43)와 보조지지봉(44)에 의해 레일지지대(45)를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동고정부(5)는 원통관(100)을 고정시키는 원반상의 설치되는 고정척(50)과, 상기 고정척(50)의 외측으로 고정척(50)을 회전지지하도록 연결되는 회전고정부(51)와, 상기 회전고정부(51)의 외측이 축 연결되어 회전 구동시키는 감속구동모터(52)로 이루어지며, 밀착되는 원통관(100)을 고정하여 천공 위치 각도에 따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고정부(6)는 고정척(50)을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가동척(60)과, 상기 가동척(60)의 외측으로 가동척(60)이 고정척(50)을 따라 회전하도록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회전지지부(61)와, 상기 회전지지부(61)의 외측으로 가동척(60)을 전후진 작동시켜 원통관(100)을 고정척(50)으로 협지 또는 해제하는 수평실린더(62)와, 상기 회전지지부(61)의 수평실린더(62)에 의한 전후진 가동을 지지하도록 하부에 이동슬라이더(63) 및 보조레일(64)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관(100)에 다공 형성을 위해 구멍간에 간격치수를 컨트롤제어패널(70)에 설정하고, 설정대로 드릴설치대(2)와 회동고정부(5)를 가변하도록 천공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7)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척(50)과 가동척(60) 사이에 배치되는 안착지그(4) 위에 원통관(100)을 올려놓으면 가동척(60)이 원통관(100)을 고정척(50)에 밀착고정시키면서 고정척(50)이 일정각도로 원통관(100)을 회전하시키고 드릴본체(3)의 위치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통관(100)에 다공 형성이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착지그(4)의 상부측에 절삭유를 공급하기 위한 절삭유공급유닛(8)이 더 구성되며, 상기 절삭유공급유닛(8)은 안착지그(4)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절삭유 분사노즐(80)과, 기대 후방에 절삭유 분사노즐(80)에 절삭유를 공급하는 공급펌프(81)와, 상기 공급펌프(81)로 절삭유를 공급하는 절삭유저장탱크(82)와, 상기 절삭유저장탱크(82)의 상부에 기대(1) 후방 절삭유배출구(12)로 배출되는 절삭유를 여과시켜 절삭유공급탱크(82)로 다시 순환시키는 여과부(8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36890A 2018-03-29 2018-03-29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 KR102084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890A KR102084757B1 (ko) 2018-03-29 2018-03-29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890A KR102084757B1 (ko) 2018-03-29 2018-03-29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342A KR20190114342A (ko) 2019-10-10
KR102084757B1 true KR102084757B1 (ko) 2020-03-04

Family

ID=6820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890A KR102084757B1 (ko) 2018-03-29 2018-03-29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032A (ko) * 2020-08-11 2022-02-18 최종성 천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468B1 (ko) * 2019-10-11 2021-06-14 양미석 회전 연삭체 이동형 연삭장치
CN110653391B (zh) * 2019-10-16 2024-04-30 江阴市茂辉铝业有限公司 空调冷凝器散热高性能铝型材生产装置及其生产方法
CN110842256B (zh) * 2019-11-29 2020-07-10 杭州易维特电器有限公司 一种镀锌钢管二次加工成型处理机械及加工处理方法
CN111266662B (zh) * 2020-03-23 2024-05-28 大连成悦精密部件工业有限公司 血压仪喷嘴的倒角全自动化设备
CN111745412B (zh) * 2020-07-09 2022-01-04 株洲东亚工具有限公司 一种粉末冶金管件加工系统
KR102533024B1 (ko) * 2021-12-20 2023-05-15 이명준 파이프 타공 장치
CN114643374B (zh) * 2022-03-17 2023-08-15 浙江志达管业有限公司 一种热交换器用不锈孔板锻制设备及加工工艺
KR102548939B1 (ko) * 2022-09-29 2023-06-29 주식회사 삼은통신 강관 자동 타공장치
CN115921941B (zh) * 2022-12-15 2023-11-14 江苏银家不锈钢管业有限公司 不锈钢饮水管打孔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983B1 (ko) * 2014-02-25 2015-07-15 삼목강업주식회사 스프링용 레이저 마킹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0904A (ja) * 1996-09-06 1998-03-31 Synx Kk 建築構造材の穴あけ加工装置
KR19990078867A (ko) * 1999-08-11 1999-11-05 김재용 공작기계용 절삭유 필터링장치
KR100676423B1 (ko) * 2003-11-25 2007-01-31 문규연 자동 인덱스 드릴링 머신
KR20080025598A (ko) 2006-09-18 2008-03-21 안영남 안전장치를 갖는 탁상 드릴링머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983B1 (ko) * 2014-02-25 2015-07-15 삼목강업주식회사 스프링용 레이저 마킹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032A (ko) * 2020-08-11 2022-02-18 최종성 천공기
KR102386003B1 (ko) * 2020-08-11 2022-04-12 최종성 천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342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757B1 (ko)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
CN108436627B (zh) 无心磨床的上下料传送装置及阶梯轴套的加工工艺
CN209793107U (zh) 一种阀门法兰盘钻孔打磨装置
CN108907284A (zh) 一种锁壳自动化加工机床的钻孔装置
CN201223974Y (zh) 自动铰孔机
CN104493647A (zh) 一种刀具刃口专用磨床及其使用方法
CN210703138U (zh) 一种新型激光切割设备
CN204339476U (zh) 一种刀具刃口专用磨床
US200500286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lotting a pipe
CN219818101U (zh) 一种小轴类零件钻孔装置
CN208906309U (zh) 一种锁壳自动化加工机床的钻孔装置
KR101804290B1 (ko) 태핑홀 형성장치
CN202087838U (zh) 轴承座底面加工车床
DE344473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nittsteuerung fuer bandsaegemaschinen
CN111168402A (zh) 一种消防管的高效切割压槽一次成型机
US200201084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lotting a pipe
CN206316761U (zh) 一种异形活动角码加工装置
CN114192869A (zh) 一种防飞屑的钢管切割装置及其使用方法
CN210755404U (zh) 一种铝合金窗框铣孔机
CN208628848U (zh) 一种长圆管三维钻铣工件专用加工设备
CN205466576U (zh) 一种快速定位的数控钻孔机床
CN105458104A (zh) 钢瓶收口机
CN106513737A (zh) 一种台式钻床
CN114700739B (zh) 一种小口径高平台球阀阀体车、钻一体式装备
CN220533096U (zh) 一种台式数控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