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939B1 - 강관 자동 타공장치 - Google Patents

강관 자동 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939B1
KR102548939B1 KR1020220124191A KR20220124191A KR102548939B1 KR 102548939 B1 KR102548939 B1 KR 102548939B1 KR 1020220124191 A KR1020220124191 A KR 1020220124191A KR 20220124191 A KR20220124191 A KR 20220124191A KR 102548939 B1 KR102548939 B1 KR 102548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upply
bar
discharge
suppor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은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은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은통신
Priority to KR1020220124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16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Drilling automatons
    • B23B39/161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Drilling automatons with parallel work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16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Drilling automatons
    • B23B39/22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Drilling automatons with working-spindles in opposite headst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23B47/281Jigs for drilling cylindric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 자동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관의 공급, 타공, 배출의 모든 공정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자동화시켜, 유해가스의 발생을 줄이면서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강관 자동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자동 타공장치는, 강관 타공부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강관 공급부가 설치되고 타측에 강관 배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강관 타공부는, 강관 공급부와 강관 배출부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강관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갖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전방측에 고정, 설치되고, 하강한 강관의 전단부가 끼워지는 제1 삽입부를 구비한 고정형 지지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후방측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한 강관의 후단부가 끼워지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한 이동형 지지부재, 상기 안착부의 강관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핑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좌우 일측 또는 양측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강관을 타공하는 드릴비트를 구비한 드릴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관 자동 타공장치{DRILLING APPARATUS FOR PIPE}
본 발명은 강관 자동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관의 공급, 타공, 배출의 모든 공정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자동화시켜, 유해가스의 발생을 줄이면서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강관 자동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2075319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강관에 구멍을 타공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토치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플라즈마 토치를 이용한 타공 작업은 유해가스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라즈마 토치를 이용한 타공 작업이 반자동에 가까운 형태로 진행됨에 따라, 천공 위치나 크기 등이 부정확해지고,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강관의 공급, 타공, 배출 작업이 모두 완전하게 자동화되고, 특히 플라즈마 토치가 아닌 드릴링 작업으로 강관을 천공함으로써,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관 자동 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자동 타공장치는,
강관 타공부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강관 공급부가 설치되고 타측에 강관 배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강관 타공부는,
강관 공급부와 강관 배출부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강관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갖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전방측에 고정, 설치되고, 하강한 강관의 전단부가 끼워지는 제1 삽입부를 구비한 고정형 지지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후방측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한 강관의 후단부가 끼워지는 제2 삽입부를 구비한 이동형 지지부재,
상기 안착부의 강관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핑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좌우 일측 또는 양측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강관을 타공하는 드릴비트를 구비한 드릴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자동 타공장치에서,
상기 강관 공급부는,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에 입설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을 따라 승강하고, 강관이 안착되는 공급 리프트,
일측단이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받침부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강관을 굴려서 이송하는 공급바,
일측단이 상기 공급바의 타측단에 인접하면서 타측단이 상승한 상기 받침부재의 안착부에 인접한 높이에서 수직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회동 가능하여, 상기 공급바의 강관을 상기 안착부로 전달하는 회동 공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자동 타공장치에서,
상기 강관 배출부는,
상기 받침부재의 타측에 입설된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을 따라 승강하고, 강관이 안착되는 배출 리프트,
일측단이 상승한 상기 받침부재의 안착부에 인접한 높이에 위치하고 타측단이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어 설치되어 강관을 굴려서 이송하는 배출바,
일측단이 상승한 상기 받침부재의 안착부에 인접하면서 타측단이 상기 배출바의 일측단에 인접한 높이에서 수직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회동 가능하여, 상기 안착부의 강관을 상기 배출바로 전달하는 회동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자동 타공장치에서,
상기 이동형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삽입부가 강관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드릴링부재의 타공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자동 타공장치는,
종래의 플라즈마 토치를 이용한 타공 작업에서 탈피하여 드릴링을 통해 강관을 직접 타공함으로써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강관의 공급, 타공, 배출 작업 등 일련의 모든 공정을 완전 자동화시켜 작업성 및 생산성이 뛰어남은 물론, 가공 작업의 정확도 내지 품질 향상을 가능하게 하며,
강관이 자중에 의해 굴러서 이송되되면서, 리프트를 이용하여 강관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져, 강관 타공 작업의 완전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고,
강관을 회전시켜 타공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생산할 수 있고,
드릴링 중 발생하는 발열을 냉각시켜 강관이 변형되지 않게 하면서,
강관의 이송 중 이탈 및 추락이 발생하지 않아, 강관의 타공 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시제품을 촬영한 사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자동 타공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자동 타공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 타공부(10)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강관 공급부(20)가 설치되고 타측에 강관 배출부(30)가 설치되어 있는 강관 자동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강관 타공부(10)는 베드(1)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베드(1)의 좌우 양측에 리프트를 이용한 강관 공급부(20)와 강관 배출부(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관 타공부(10)는,
강관 공급부(20)와 강관 배출부(30)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강관(P)이 안착되는 안착부(111)를 갖는 받침부재(11),
상기 받침부재(11)의 전방측에 고정, 설치되고, 하강한 강관(P)의 전단부가 끼워지는 제1 삽입부(121)를 구비한 고정형 지지부재(12),
상기 받침부재(11)의 후방측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한 강관(P)의 후단부가 끼워지는 제2 삽입부(131)를 구비한 이동형 지지부재(13),
상기 안착부(111)의 강관(P)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핑부재(14),
상기 받침부재(11)의 좌우 일측 또는 양측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강관(P)을 타공하는 드릴비트(151)를 구비한 드릴링부재(15)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재(11)는 상면이 개구된 'U'자형 안착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강관(P)의 길이에 따라 받침부재(11)의 개수 등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재(11)는 상승 시 강관(P)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고, 하강 중에 강관(P)의 타공 작업이 실시된다.
상기 고정형 지지부재(12)는 파이프형 제1 삽입부(121)가 돌출되어 있어, 상기 강관(P)이 전진하였을 때 강관(P) 내부로 제1 삽입부(121)가 삽입되어 강관(P)의 전단부를 고정시킨다.
상기 이동형 지지부재(13)는 상기 제1 삽입부(121)에 대응하는 제2 삽입부(131)가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형 지지부재(12)와 달리 전후진 작동한다.
특히 상기 이동형 지지부재(13)는 공압이 연결되어 상기 제2 삽입부(131) 상에서 강관(P)에 대한 클램핑이 가능하여, 강관(P)을 전후로 밀거나 당겨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형 지지부재(13)는 상기 제2 삽입부(131)가 강관(P)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상기 드릴링부재(15)의 타공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클램핑부재(14)는 내측면이 개구된 'C'자형 가압부(141)를 가지며, 강관(P)의 길이에 따라 복수개의 클램핑부재(14)가 상기 받침부재(11)의 양측에서 좌우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클램핑부재(14)는 서로 대향하는 클램핑부재(14)들이 전진하여 강관(P)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고, 클램핑부재(14)들의 후진 시 강관(P)의 고정이 해제된다.
상기 드릴링부재(15)는 강관(P)의 타공 개수 및 위치에 맞춰 상기 받침부재(11)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드릴링부재(15)는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좌우로 전후진 가능하다.
상기 드릴비트(151)는 강관(P)의 타공 크기에 따라 교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드릴링부재(15)별로 소정 개수가 세트를 이루어 동시에 전후진 및 타공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강관 타공부(10)는 각 드릴비트(151)에 대응하게 설치된 절삭유 분사관(1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절삭유 분사관(16)은 드릴비트(151)의 전진 완료 위치 일측에 입설되어 있으며, 'U'자형으로 하향 절곡되게 연결되어 있어 타공 위치에 절삭유를 분사한다.
그리고 상기 강관 공급부(20)는,
상기 받침부재(11)의 일측에 입설된 제1 프레임(21),
상기 제1 프레임(21)을 따라 승강하고, 강관(P)이 안착되는 공급 리프트(22),
일측단이 상기 제1 프레임(21)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받침부재(1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강관(P)을 굴려서 이송하는 공급바(23),
일측단이 상기 공급바(23)의 타측단에 인접하면서 타측단이 상승한 상기 받침부재(11)의 안착부(111)에 인접한 높이에서 수직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회동 가능하여, 상기 공급바(23)의 강관(P)을 상기 안착부(111)로 전달하는 회동 공급부재(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21)은 강관(P)의 길이에 맞춰 복수개가 전후로 입설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 리프트(22)가 제1 프레임(21)을 따라 승강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공급 리프트(22)는 바(bar) 타입으로 외측 끝단이 상향 만곡지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프레임(21)에 대해 공급 리프트(22)가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강관(P)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공급바(23)는 강관(P)의 길이에 맞춰 복수개가 전후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외측단에서 내측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공급바(23)의 외측단에 강관(P)이 놓이면, 강관(P)의 자중에 의해 굴러서 공급바(23)의 내측단을 향해 자동 이송된다.
상기 회동 공급부재(24)는 바(bar) 타입으로 외측 끝단에는 상향 만곡지게 연결된 제1 걸림부(2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걸림부(241) 하부로는 상기 공급바(23)의 이송 경로를 막는 스토핑부(242)가 소정 길이로 하향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회동 공급부재(24)는 상하 회동을 통해 상기 공급바(23)를 구르는 강관(P)에 대한 정지 후 대기 및 강관(P)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한다.
아울러 상기 강관 배출부(30)는,
상기 받침부재(11)의 타측에 입설된 제2 프레임(31),
상기 제2 프레임(31)을 따라 승강하고, 강관(P)이 안착되는 배출 리프트(32),
일측단이 상승한 상기 받침부재(11)의 안착부(111)에 인접한 높이에 위치하고 타측단이 상기 제2 프레임(31)의 상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어 설치되어 강관(P)을 굴려서 이송하는 배출바(33),
일측단이 상승한 상기 받침부재(11)의 안착부(111)에 인접하면서 타측단이 상기 배출바(33)의 일측단에 인접한 높이에서 수직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회동 가능하여, 상기 안착부(111)의 강관(P)을 상기 배출바(33)로 전달하는 회동 배출부재(3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프레임(31)은 상기 제1 프레임(21)에 상응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다만 배출 중 강관(P)의 이탈 방지를 위해 제1 프레임(21)보다 더 수직 가까운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배출 리프트(32)는 바(bar) 타입으로 상기 제2 프레임(31)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면이 개구된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출 리프트(32)는 상기 안착홈을 형성하는 외측 끝단이 내측 끝단부다 더 높게 돌출되게 연결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강관(P)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배출바(33)는 상기 공급바(23)에 상응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다만 상기 공급바(23)와 반대로 내측단에서 외측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배출바(33) 위의 강관(P)이 자중에 의해 굴러서 배출바(33)의 외측단을 향해 굴러서 이송된다.
상기 회동 배출부재(34)는 내측 끝단이 상향 만곡지게 연결된 제2 걸림부(341)를 구비하며, 상하 회동을 통해 상기 안착부(111)에 안착되는 강관(P)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타공 작업이 완료된 강관(P)을 상기 배출바(33)로 전달, 배출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타공 작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공급 리프트(22)가 하강한 상태에서 강관(P)이 굴러서 안착되면, 상기 공급 리프트(22)가 상승한다.
상기 공급 리프트(22)가 상승 완료되면 상기 공급 리프트(22) 및 공급바(23)의 경사 구조에 의해 강관(P)이 굴러서 상기 공급바(23)를 타고 이송된다.
이때 상기 회동 공급부재(24)는 상기 스토핑부(242)가 상기 공급바(23)의 내측단보다 더 높은 위치로 이송 경로를 막도록 상향 회동하여 있다.
이에 상기 공급바(23)를 타고 구르는 강관(P)은 상기 스토핑부(242)에 접촉하면서 정지되어 작업대기 상태가 된다.
상기 강관(P)이 상기 공급바(23)의 내측단에서 정지하면, 상기 회동 공급부재(24)가 하향 회동하면서 상기 제1 걸림부(241)가 상기 공급바(23)의 내측단보다 더 낮은 위치로 이동한다.
이렇게 회동 공급부재(24)가 하향 회동하여 강관(P)이 제1 걸림부(241)를 넘어서 안착되면, 상기 회동 공급부재(24)가 다시 상향 회동하여 제1 걸림부(241)로 강관(P)을 걸어서 상승시키며, 회동 공급부재(24)가 수평 높이를 넘어서 상향 회동하면 강관(P)이 자중에 의해 굴러서 내측으로 이송 후 낙하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11)는 상승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 공급부재(24)에서 낙하하는 강관(P)이 상기 안착부(111)에 안착된다.
특히 상기 회동 배출부재(34)는 그 내측단이 외측단보다 더 높이 상향 회동한 상태로 회동 배출부재(34)가 안착부(111)의 상부를 경사진 형태로 가로지르게 멈춰진 상태이며, 이때 회동 배출부재(34)와 안착부(111) 사이의 높이 차는 강관(P)의 직경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받침부재(11)로 낙하하는 강관(P)은 안착부(111)를 넘어서 이탈하지 않고 안착부(111)에 그대로 안착된다.
상기 안착부(111)에 강관(P)의 안착이 완료되면, 상기 받침부재(11)가 하강하여 강관(P)을 드릴링부재(15)의 높이로 맞춘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11)의 하강 완료 후 상기 회동 배출부재(34)는 하향 회동하여 상기 제2 걸림부(341)가 강관(P)의 승강 경로에서 벗어나게 한다.
강관(P)의 하강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형 지지부재(13)가 전진하면서 상기 제2 삽입부(131)가 강관(P) 내부로 끼워진 상태에서, 강관(P)을 밀어서 상기 제1 삽입부(121)가 강관(P) 내부로 끼워져 강관(P)의 전후 양단이 각각 고정형 지지부재(12)와 이동형 지지부재(13)에 의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부재(14)가 전진하면, 강관(P)의 양측면이 가압부(141)에 끼워지면서 고정이 이루어진다.
강관(P) 고정 후 상기 드릴링부재(15)가 작동하면서 전진하면, 강관(P)의 측면에 대해 드릴비트(151)의 타공 작업이 실시되며, 이때 상기 절삭유 분사관(16)이 작동하여 절삭유를 분사해 타공 부위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냉각시켜 강관(P)의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강관(P)에 대한 타공 작업이 완료되면, 드릴링부재(15)가 후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는데, 이때 타공 작업이 실시되는 드릴링부재(15)는 강관(P)의 타공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수열의 드릴링부재(15)들만이 1차 타공 완료 후, 강관(P)이 회전한 상태에서 짝수열의 드릴링부재(15)들이 2차 타공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즉, 드릴링부재(15)들 중 일부만이 전진하여 타공을 실시하고, 강관(P)의 1차 타공 작업이 완료되면, 전진한 드릴링부재(15)가 후진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동시에 클램핑부재(14)가 후진하여 강관(P)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에서 이동형 지지부재(13)가 후진하여 제1 삽입부(121)를 강관(P)에서 빼낸다.
이동형 지지부재(13)의 후진 완료 후, 상기 제2 삽입부(131)가 소정 각도(예를 들어 90도)로 회전하면, 강관(P)이 함께 회전하여 타공이 실시될 면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제2 삽입부(131)의 회전 완료 후 상기 클램핑부재(14)가 다시 전진하여 강관(P)을 고정한 상태에서 2차 타공 작업을 하는 드릴링부재(15)가 작동하면서 전진하여 1차 타공 작업과 다른 각도 및 위치에 2차 타공이 이루어진다.
이때 이동형 지지부재(13)의 후진 거리, 회전 각도를 다르게 세팅하고 그에 맞춰 드릴링부재(15)의 작동 순서를 변경하면, 강관(P)의 외주면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 및 위치에 타공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모든 타공 작업이 완료되면 이동형 지지부재(13)가 후진하면서 제2 삽입부(131)가 강관(P)에서 빼내지며, 후진하는 이동형 지지부재(13)의 제2 삽입부(131)는 최초 위치로 회전 복귀한다.
이때 상기 제2 삽입부(131)는 공압에 의해 강관(P)을 직접 클램핑한 상태로 강관(P)의 전후진 및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강관(P)을 클램핑 해제한 상태에서 제2 삽입부(131)의 단독 전후진 및 회전 복귀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공압에 의해 클램핑 및 클램핑 해제의 경우, 공압을 이용한 진공 클램핑 방식, 공압에 의한 클램핑블록의 전후진 작동 방식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이어서 클램핑부재(14)가 후진한 상태에서 받침부재(11)가 상승하여 강관(P)을 배출바(33)의 내측단 높이로 이동시킨다.
받침부재(11)의 상승이 완료되면, 상기 회동 배출부재(34)가 상향 회동하면서 제2 걸림부(341)가 강관(P)을 안착부(111)에서 빼낸 후 회동 배출부재(34)가 수평 상태를 넘어서 상향 회동하면 회동 배출부재(34)의 강관(P)이 굴러서 상기 배출바(33)를 타고 배출바(33)의 외측단을 향해 이송된다.
이때 상기 배출 리프트(32)는 상기 제2 프레임(31)의 최상단에 상승 완료한 상태로써, 상기 배출바(33)를 따라 구르는 강관(P)은 상기 안착홈에 걸리면서 정지가 되고, 이어서 상기 배출 리프트(32)가 하강하면 제2 프레임(31)의 최하단에 연결된 배출수단에 강관(P)이 전달되면서 강관(P)의 배출이 완료된다.
이러한 일련의 작동이 강관(P)의 위치에 따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면, 강관(P)들을 연속하여 타공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완전 자동화된 공정으로 인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강관 자동 타공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강관 타공부 11 : 받침부재
12 : 고정형 지지부재 13 : 이동형 지지부재
14 : 클램프부재 15 : 드릴링부재
16 : 절삭유 분사관
20 : 강관 공급부 21 : 제1 프레임
22 : 공급 리프트 23 : 공급바
24 : 회동 공급부재
30 : 강관 배출부 31 : 제2 프레임
32 : 배출 리프트 33 : 배출바
34 : 회동 배출부재

Claims (4)

  1. 강관 타공부(10)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강관 공급부(20)가 설치되고 타측에 강관 배출부(3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강관 타공부(10)는,
    강관 공급부(20)와 강관 배출부(30)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강관이 안착되는 안착부(111)를 갖는 받침부재(11),
    상기 받침부재(11)의 전방측에 고정, 설치되고, 하강한 강관의 전단부가 끼워지는 제1 삽입부(121)를 구비한 고정형 지지부재(12),
    상기 받침부재(11)의 후방측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한 강관의 후단부가 끼워지는 제2 삽입부(131)를 구비한 이동형 지지부재(13),
    상기 안착부(111)의 강관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핑부재(14),
    상기 받침부재(11)의 좌우 일측 또는 양측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강관을 타공하는 드릴비트(151)를 구비한 드릴링부재(15)를 포함하고,
    상기 강관 공급부(20)는,
    타측단이 상기 받침부재(1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강관을 굴려서 이송하는 공급바(23),
    일측단이 상기 공급바(23)의 타측단에 인접하면서 타측단이 상승한 상기 받침부재(11)의 안착부(111)에 인접한 높이에서 수직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회동 가능하여, 상기 공급바(23)의 강관을 상기 안착부(111)로 전달하는 회동 공급부재(24)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공급부재(24)는 바(bar) 타입으로 외측 끝단에는 상향 만곡지게 연결된 제1 걸림부(2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걸림부(241) 하부로는 상기 공급바(23)의 이송 경로를 막는 스토핑부(242)가 소정 길이로 하향 돌출되어 있어,
    강관이 굴러서 상기 공급바(23)를 타고 이송될 때, 상기 회동 공급부재(24)는 상기 스토핑부(242)가 상기 공급바(23)의 내측단보다 더 높은 위치로 이송 경로를 막도록 상향 회동하여 있고,
    강관이 상기 공급바(23)의 내측단에서 정지하면, 상기 회동 공급부재(24)가 하향 회동하면서 상기 제1 걸림부(241)가 상기 공급바(23)의 내측단보다 더 낮은 위치로 이동한 후,
    강관이 제1 걸림부(241)를 넘어서 안착되면, 상기 회동 공급부재(24)가 다시 상향 회동하여 제1 걸림부(241)로 강관을 걸어서 상승시키며, 회동 공급부재(24)가 수평 높이를 넘어서 상향 회동하면 강관이 자중에 의해 굴러서 내측으로 이송 후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자동 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 공급부(20)는,
    상기 받침부재(11)의 일측에 입설된 제1 프레임(21),
    상기 제1 프레임(21)을 따라 승강하고, 강관이 안착되는 공급 리프트(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바(23)는 일측단이 상기 제1 프레임(21)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자동 타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 배출부(30)는,
    상기 받침부재(11)의 타측에 입설된 제2 프레임(31),
    상기 제2 프레임(31)을 따라 승강하고, 강관이 안착되는 배출 리프트(32),
    일측단이 상승한 상기 받침부재(11)의 안착부(111)에 인접한 높이에 위치하고 타측단이 상기 제2 프레임(31)의 상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강관을 굴려서 이송하는 배출바(33),
    일측단이 상승한 상기 받침부재(11)의 안착부(111)에 인접하면서 타측단이 상기 배출바(33)의 일측단에 인접한 높이에서 수직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회동 가능하여, 상기 안착부(111)의 강관을 상기 배출바(33)로 전달하는 회동 배출부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자동 타공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지지부재(13)는 상기 제2 삽입부(131)가 강관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드릴링부재(15)의 타공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자동 타공장치.
KR1020220124191A 2022-09-29 2022-09-29 강관 자동 타공장치 KR102548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191A KR102548939B1 (ko) 2022-09-29 2022-09-29 강관 자동 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191A KR102548939B1 (ko) 2022-09-29 2022-09-29 강관 자동 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939B1 true KR102548939B1 (ko) 2023-06-29

Family

ID=8694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191A KR102548939B1 (ko) 2022-09-29 2022-09-29 강관 자동 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9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3430A (ja) * 1998-03-16 1999-09-28 Sanwa Seiki Kk 棒材供給装置
KR20060071579A (ko) * 2004-12-22 2006-06-27 지성알미늄주식회사 알루미늄 튜브 다발 자동 인발용 배출트레이장치
KR20130141172A (ko) * 2012-06-15 2013-12-26 문규연 자동화 드릴링 설비
KR101530980B1 (ko) * 2014-08-11 2015-06-25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유공관 성형장치
KR20190114342A (ko) * 2018-03-29 2019-10-10 주식회사 금영메탈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3430A (ja) * 1998-03-16 1999-09-28 Sanwa Seiki Kk 棒材供給装置
KR20060071579A (ko) * 2004-12-22 2006-06-27 지성알미늄주식회사 알루미늄 튜브 다발 자동 인발용 배출트레이장치
KR20130141172A (ko) * 2012-06-15 2013-12-26 문규연 자동화 드릴링 설비
KR101530980B1 (ko) * 2014-08-11 2015-06-25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유공관 성형장치
KR20190114342A (ko) * 2018-03-29 2019-10-10 주식회사 금영메탈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925207U (zh) 一种用于开口钢管的冲孔定位装置
KR102548939B1 (ko) 강관 자동 타공장치
KR101737743B1 (ko) 버 제거기능을 가지는 평와셔 제조장치
CN108213492A (zh) 一种具有多工位的全自动打孔机
KR101895588B1 (ko) 도어 잠금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 성형용 프로그레시브 금형장치
CN104416338A (zh) 小直径圆形风管法兰的制作方法
KR101034625B1 (ko) 자동용접장치용 지그
CN210308299U (zh) 一种多工位自动排钻装置
WO2003103871A1 (ja) カス上がり防止機構
US9314860B1 (en)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utomated electrode changer
JP4012899B2 (ja) 積層鉄心の製造装置
KR20180080804A (ko) 플랜지 복합 가공장치
US8092612B2 (en) Cooling method and cooling device
KR100575132B1 (ko) 파이프 벤딩장치
WO2023142500A1 (zh) 一种滚柱滑链式钻杆自适应导向固定装置
CN115383456B (zh) 一种喷油嘴自动化组装系统
KR101942472B1 (ko) 아이볼트 자동 제조 장치
JP4194090B2 (ja) 複数本のパイプを内蔵した機器の組立装置と、そのパイプ挿入方法
CN212071063U (zh) 一种背靠下管自动成型机
CN109500086B (zh) 穿孔机顶头更换装置及方法
CN108515484A (zh) 一种具有接料装置的胶套安装装置
JP2013103314A (ja) パッキン取付けシステム
JP2696659B2 (ja) 熱交換器の搬送装置
CN210024609U (zh) 一种自动排钻接料装置
KR101569457B1 (ko) 조관기의 롤 교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