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980B1 - 유공관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유공관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980B1
KR101530980B1 KR1020140103693A KR20140103693A KR101530980B1 KR 101530980 B1 KR101530980 B1 KR 101530980B1 KR 1020140103693 A KR1020140103693 A KR 1020140103693A KR 20140103693 A KR20140103693 A KR 20140103693A KR 101530980 B1 KR101530980 B1 KR 101530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synthetic resin
moto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옥
양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김병옥
양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김병옥, 양지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40103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6Perforating by tool or tools of the dril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26D5/06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by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2007/013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the work being tubes, rods or lo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26D2007/202Rollers or cylinders being pivoted during ope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PVC)관에 다수의 구멍을 뚫어 유공관을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유공관의 성형작업이 자동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행되는 한편 다수의 구멍이 일정하고 균일하게 천공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노동력이 줄어들고, 작업장에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한편 구멍을 일정하고 균일하게 천공하여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는 유공관 성형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양측부에 수직프레임과 상하부에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된 프레임; 상기 양측부 수직프레임에 상하 이송되도록 승강프레임이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으로 다수의 드릴이 회전하는 천공유닛;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 위에 설치되고, 합성수지관을 수평으로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수평유닛;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 위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합성수지관을 일정한 범위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 및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에 설치되고, 합성수지관을 상하로 지지하는 지지실린더;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유공관 성형장치 {Perforated drainpip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합성수지(PVC)관에 다수개의 구멍을 뚫어 유공관을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프레임에서 승강 작동하여 합성수지관에 다수개의 구멍을 뚫는 천공유닛과, 합성수지관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수평유닛과, 합성수지관을 일정한 범위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과, 합성수지관을 상하로 지지하는 지지실린더로 구성됨으로써, 유공관의 성형작업이 자동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행되는 한편 다수개의 구멍이 일정하고 균일하게 천공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노동력이 줄어들고, 작업장에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한편 구멍을 일정하고 균일하게 천공하여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는 유공관 성형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유공관(有孔管)은 암반도로나 터널, 하천유역 등의 매립지 또는 쓰레기 매립지의 침출수 이송관로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 합성수지관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구멍을 뚫어 집수 및 배수효과를 증대시키고, 토사의 유입을 막아 관로의 막힘이 방지되도록 설치되고 있다.
한편 유공관은 높은 개공율과 뛰어난 내화학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부식 및 전식에 강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외압강도의 우수성으로 인하여 쓰레기 매립장의 침출수 및 가스 포집관의 용도로 적합하다.
종래 유공관을 성형하기 위한 유공관 성형기는 압출다이스를 통해 공급되는 용융상태의 액상 합성수지가 진공상태로 회전하는 성형다이를 통과하면서 나선형의 합성수지관(PVC)이 성형된 후, 이어서 냉각과정을 거친 다음, 나선형 합성수지관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하여 완성된다.
종래 합성수지관에 다수개의 구멍을 뚫어 유공관을 성형하는 장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8395호(합성수지재 유공관 및 이 유공관 성형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합성수지 스트립을 나선상으로 감으면서 그 사이에 용융수지를 공급하여 융착시키기 위한 관성형부와, 이 관성형부에서 성형되어 나온 합성수지관을 단위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와, 합성수지관을 수평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해주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성형부와 절단부 사이에는 성형중인 합성수지관의 외측에 우수유입공을 천공하기 위한 천공부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합성수지관의 말단에는 우수유입공의 천공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설치되어, 이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천공부의 천공드릴이 진퇴작동되면서 합성수지관의 외벽에 우수유입공을 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 합성수지관에 다수개의 구멍을 뚫어 유공관을 성형하는 천공장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9888호(유공관의 천공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회전 구동되는 회전드럼 내에 유공관의 나선형 주름과 나사 결합되는 나선돌기가 구비되어 회전드럼의 진입공에서 배출공으로 유공관을 직선 이동시키는 직선이동유닛과, 상기 직선이동유닛의 배출공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드릴기가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직선 이동중의 유공관에 구멍을 천공하는 천공작업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선행기술들은 합성수지관을 성형하는 자리에서 동시에 우수유입공을 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유공관을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합성수지관에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할 때, 합성수지관을 길이 방향 즉, 직선 방향으로 점차 이동시키면서 구멍을 천공함에 따라 작업성과 생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83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99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593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078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9888호.
본 발명은 종래 유공관 성형장치의 선행기술에서 합성수지관을 길이 방향으로 점차 이동시키면서 구멍을 천공함에 따라 작업성과 생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프레임에서 승강 작동하여 합성수지관에 다수개의 구멍을 뚫는 천공유닛과, 합성수지관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수평유닛과, 합성수지관을 일정한 범위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과, 합성수지관을 상하로 지지하는 지지실린더로 구성됨에 따라 유공관의 성형작업이 자동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행되는 한편 다수개의 구멍이 일정하고 균일하게 천공되는 유공관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양측부에 수직프레임과 상하부에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된 프레임; 상기 양측부 수직프레임에 상하 이송되도록 승강프레임이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으로 다수의 드릴이 회전하는 천공유닛;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 위에 설치되고, 합성수지관을 수평으로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수평유닛;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 위에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합성수지관을 일정한 범위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 및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에 설치되고, 합성수지관을 상하로 지지하는 지지실린더;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수평유닛과 회전유닛에 합성수지관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투입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천공작업이 완료된 유공관을 수평유닛과 회전유닛에서 자동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구멍을 뚫는 천공유닛과, 합성수지관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수평유닛과, 합성수지관을 일정한 범위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과, 합성수지관을 상하로 지지하는 지지실린더로 구성됨으로써, 유공관의 성형작업이 자동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행되는 한편 다수의 구멍이 일정하고 균일하게 천공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노동력이 줄어들고, 작업장에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한편 구멍을 일정하고 균일하게 천공하여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합성수지관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투입유닛과, 구멍이 천공된 유공관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닛이 구성됨으로써, 투입과 배출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됨에 따라 작업자의 노동력을 줄이는 한편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합성수지관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함으로써, 천공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행되어 작업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합성수지관을 자동으로 투입 및 배출함에 따라 작업자의 노동력을 줄이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수평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수평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회전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회전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회전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지지실린더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지지실린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투입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투입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배출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배출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양측에 수직프레임(11)과 상하에 수평프레임(12)으로 구성된 프레임(10); 상기 양측 수직프레임(11)에 상하 이송되도록 승강프레임(21)이 설치되고, 모터(22)의 구동으로 다수의 드릴(23)이 회전하는 천공유닛(20);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12) 위에 설치되고, 합성수지관(100)을 수평으로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수평유닛(30);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12) 위에 설치되고, 구동모터(43)의 작동으로 합성수지관(100)을 일정한 범위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40); 및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12)에 설치되고, 합성수지관(100)을 상하로 지지하는 지지실린더(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프레임(10)은 에이치빔 또는 사각빔으로 제작되는 구조물로서, 상기 프레임(1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지면 위에 놓이는 하부 수평프레임(12) 및 상부 수평프레임(12)과, 상기 상하부 수평프레임(12)의 양측부에 결합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1)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프레임(10)은 상하부 수평프레임(12)과 양측부의 수직프레임(11)이 장방체의 형태로 결합 설치되고, 상기 양측부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11)의 상부 내측에 상하 수직상으로 가이드봉(13)과 스크류축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천공유닛(20)은 합성수지관(100)에 다수개의 구멍을 뚫어 천공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천공유닛(2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양측부의 수직프레임(11)에 설치된 가이드봉(13)에 수평상으로 승강프레임(21)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21)에 복수개의 모터(22)와 다수개의 드릴(23)이 일렬로 설치된다.
상기에서 모터(22)는 승강프레임(21)의 정면 또는 후면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드릴(23)은 승강프레임(21)의 하부에 상하 수직상으로 조밀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터(22)의 구동력이 체인 또는 기어를 통해 다수개의 드릴(23)로 전달됨으로써, 모터(22)의 구동에 의해 다수개의 드릴(23)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설치된다.
한편 승강프레임(21)은 양측부의 수직프레임(11)에서 상하로 이송 작동하는 기능으로서, 상부 수평프레임(12) 위에 모터(24)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24)의 구동에 의해 샤프트(25)가 회전하는 한편 상기 샤프트(25)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스프라켓(26)이 회전하여 수직프레임(12)의 양측부에 설치된 스크류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승강프레임(21)이 스크류축을 타고 상하로 이송 작동하며, 이때 승강프레임(21)의 양측부에 설치된 이송블록(27)이 가이드봉(13)을 타고 상하로 이송 작동하여 승강프레임(21)의 유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천공유닛(20)은 모터(22)가 구동할 경우, 다수개의 드릴(23)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한편 모터(24)의 정ㆍ역 구동에 의해 승강프레임(21)이 상하로 이송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수평유닛(30)은 합성수지관(100)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수평유닛(3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상부에 합성수지관(100)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한쌍의 지지롤러(31)가 나란히 회전가능케 설치된 지그(32)와; 상기 지그(32)의 하부에 수직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스크류축(33)과; 상기 스크류축(33)이 끼워져 설치되고, 하부 수평프레임(12) 위에 브라켓(35)으로 설치된 다수의 기어하우징(34)과; 상기 한쪽 기어하우징(34)에 구동축이 결합 설치된 모터(36)와; 상기 기어하우징(34)에 서로 연결 설치된 샤프트(37)와; 상기 샤프트(37)에 서로 연결 설치된 체인(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지그(32)는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는 한편 상단부에 한쌍의 지지롤러(31)가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여기서 한쌍의 지지롤러(31)는 합성수지관(100)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지그(32)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 수직상으로 다수의 스크류축(33)이 설치된다.
상기에서 스크류축(33)은 각각 기어하우징(34)에 끼워져 치합 설치되는 한편 상기 기어하우징(34)은 각각 하부 수평프레임(12) 위에 설치된 브라켓(35) 위에 놓여 고정 설치되고, 한쪽 기어하우징(34)에 모터(36)의 구동축이 커플링으로 결합 설치된다.
또한 서로 마주하는 기어하우징(34)에 샤프트(37)가 연결 설치되어 모터(36)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한편 상기 샤프트(37)에 각각 체인(38)이 연결 설치되어 모터(36)의 구동력이 기어하우징(34)에 전달된다.
따라서, 수평유닛(30)은 모터(36)가 정ㆍ역으로 구동할 경우, 모터(36)의 구동력이 샤프트(37)와 체인(38)을 통해 기어하우징(34)으로 전달됨에 따라 스크류축(33)이 기어하우징(34)에서 상하로 이송 작동함으로써, 지지롤러(31)와 지그(32)의 상하 높낮이가 조절되는 한편 한쌍의 지지롤러(31) 사이에 합성수지관(100)이 놓여 자유롭게 회전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회전유닛(40)은 합성수지관(100)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편 일정한 범위로 회전시키는 기능으로서, 상기 회전유닛(40)은 도면에서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상부에 모터(43)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다수의 회전롤러(41)가 설치된 지그(42)와; 상기 지그(42)의 하부에 수직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스크류축(44)과; 상기 스크류축(44)이 끼워져 설치되고, 하부 수평프레임(12) 위에 브라켓(46)으로 설치된 다수의 기어하우징(45)과; 상기 한쪽 기어하우징(45)에 구동축이 결합 설치된 모터(47)와; 상기 기어하우징(45)에 서로 연결 설치된 샤프트(48)와; 상기 샤프트(48)에 서로 연결 설치된 체인(4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지그(42)는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는 한편 상단부에 다수의 회전롤러(41)가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회전롤러(41)는 지그(42)에 설치된 모터(43)의 구동력을 체인(43a)과 스프라켓(41a)으로 전달받아 회전 작동하고, 여기서 다수의 회전롤러(41)는 합성수지관(100)의 직경보다 크게 라운드 형태로 배치된다.
한편 지그(42)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 수직상으로 다수의 스크류축(44)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축(44)은 각각 기어하우징(45)에 끼워져 치합 설치되며, 상기 기어하우징(45)은 각각 하부 수평프레임(12) 위에 설치된 브라켓(46) 위에 놓여 고정 설치되는 한편 한쪽 기어하우징(45)에 모터(47)의 구동축이 커플링으로 결합 설치된다.
또한 서로 마주하는 기어하우징(45)에 샤프트(48)가 연결 설치되어 모터(47)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한편 상기 샤프트(48)에 각각 체인(49)이 연결 설치되어 모터(47)의 구동력이 기어하우징(45)에 각각 전달된다.
따라서, 회전유닛(40)은 모터(43)의 구동에 의해 다수의 회전롤러(41)가 회전 작동하므로 도면에서 도 8과 같이, 회전롤러(41) 위에 놓이는 합성수지관(100)을 일정한 범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때 합성수지관(100)의 회전범위는 센서에 의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회전유닛(40)은 모터(47)가 정ㆍ역으로 구동할 경우, 모터(47)의 구동력이 샤프트(48)와 체인(49)을 통해 기어하우징(45)으로 전달됨에 따라 스크류축(44)이 기어하우징(45)에서 상하로 이송 작동함으로써, 회전롤러(41)와 지그(42)의 상하 높낮이가 조절되어 합성수지관(100)을 수평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지지실린더(50)는 수평유닛(30)과 회전유닛(40)에 놓인 합성수지관(100)을 드릴(23)로 천공할 경우, 합성수지관(100)을 지지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지지실린더(50)는 도면에서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부 수평프레임(12)의 아래에 대칭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에 회전가능케 지지롤러(51)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지지실린더(50)는 상부 수평프레임(12)의 아래에 브라켓(52)으로 고정 설치되고, 전방과 후방에 대칭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피스톤 로드에 회전가능케 지지롤러(51)가 설치되어 합성수지관(100)의 외주면을 가압해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실린더(50)는 수평유닛(30)과 회전유닛(40)에 놓인 합성수지관(100)을 다수개의 드릴(23)로 천공할 경우, 피스톤 로드의 작동으로 지지롤러(51)가 합성수지관(100)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합성수지관(10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합성수지관(100)을 수평유닛(30)의 지지롤러(31)와 회전유닛(40)의 회전롤러(41) 위에 올려놓은 후, 수평유닛(30)과 회전유닛(40)의 작동으로 상하 높낮이를 조절해 수평을 유지한 다음, 천공유닛(20)의 모터(22)가 구동하여 다수개의 드릴(23)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한편 지지실린더(50)가 작동하여 합성수지관(100)을 지지한 상태에서 도면에서 도 2와 같이, 모터(24)가 구동하여 승강프레임(21)이 하강 작동함에 따라 합성수지관(100)에 드릴(23)로 구멍을 천공하게 된다.
합성수지관(100)에 일렬로 구멍을 천공한 후, 승강프레임(21)이 상승 작동하고, 이와 동시에 회전유닛(40)에 설치된 모터(43)가 구동하여 합성수지관(100)을 일정한 범위로 회전시킨 다음, 다시 승강프레임(21)이 하강 작동하여 일렬로 구멍을 천공하며, 이러한 천공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유공관을 성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수평유닛(30)과 회전유닛(40)에 합성수지관(100)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투입유닛(6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유닛(60)은 프레임(10)의 전방에 놓이고, 하부 수평프레임(12)과 마주하는 후방측에 승강프레임(61a)이 상부로 경사지게 양측으로 구성된 프레임(61)과; 상기 승강프레임(61a)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스프라켓(63)으로 설치된 체인(62)과; 상기 체인(62)에 연결 설치된 리프트(64)와; 상기 프레임(61)에 고정 설치되고, 스프라켓(63)을 구동시키는 모터(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프레임(61)은 가능한 하부 수평프레임(12)의 전방에 위치함이 바람직하고, 높이가 낮게 지면에 놓이는 한편 합성수지관(100)의 길이보다 작은 폭으로 구성되며, 수평프레임(12)과 마주하는 후방 양측에 상부로 경사지게 승강프레임(61a)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프레임(61a)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스프라켓(63)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라켓(63)에 체인(62)이 감겨져 설치되는 한편 양측 체인(62)에 가로질러 리프트(64)가 연결 설치되며, 또한 프레임(61)의 후방측에 모터(65)가 설치되어 스프라켓(63)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프레임(61)의 한쪽 측면에 실린더로 작동하는 스토퍼(66)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66)는 프레임(61) 위로 굴러서 공급되는 하나의 합성수지관(100)을 정지시켜 리프트(64)로 투입되게 한다.
따라서, 투입유닛(60)은 프레임(61) 위로 다수개의 합성수지관(100)이 공급되고, 스토퍼(66)가 작동하여 하나의 합성수지관(100)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모터(65)가 구동하면, 도면에서 도 12와 같이, 체인(62) 및 리프트(64)가 승강프레임(61a)을 타고 상승하면서 합성수지관(100)을 끌어올려 수평유닛(30)과 회전유닛(40)에 투입하고, 다시 하강 이송하여 복귀한 다음, 스토퍼(66)가 해제 작동하여 다음 순서의 합성수지관(100)을 공급받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서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천공작업이 완료된 유공관을 수평유닛(30)과 회전유닛(40)에서 자동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닛(7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유닛(70)은 투입유닛(60)의 승강프레임(61a)에 가로질러 설치된 프레임(71)과; 상기 프레임(71)에 고정 설치되고, 유공관이 위치한 방향으로 경사져 설치된 실린더(72)와; 상기 실린더(72)의 피스톤 로드에 설치된 배출패널(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배출유닛(70)은 회전유닛(40)의 양측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고, 투입유닛(60)의 승강프레임(61a) 상부에 가로질러 프레임(71)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71)의 양측에 한쌍의 실린더(72)가 고정 설치되는 한편 실린더(72)의 피스톤 로드에 각각 곡면형태로 배출패널(73)이 설치된다.
상기에서 실린더(72)는 천공작업이 완료된 유공관이 위치한 방향으로 경사져 설치되는 한편 한쌍의 실린더(72)가 동시에 작동하고, 천공작업이 완료된 후, 피스톤 로드가 작동함에 따라 배출패널(73)이 유공관을 들어올리면서 반대쪽으로 밀어서 자동으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직경이 비교적 작은 유공관을 성형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도면에서 도 3과 같이, 양측부의 수직프레임(11)에 회전척(80)과 핸들(81)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척(80)은 수직프레임(11)에 베어링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한편 핸들(81)을 회전시킬 경우, 수직프레임(11)의 안쪽 방향으로 이송하여 합성수지관(100)을 척킹하게 된다.
상기에서 직경이 작은 합성수지관(100)은 아래로 처질 수 있으므로 합성수지관(100)을 회전척(80)에 척킹한 후, 수평유닛(30)과 회전유닛(4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합성수지관(100)을 지지하고, 천공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투입된 합성수지관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함으로써, 천공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행되는 한편 구멍을 일정하고 균일하게 천공함에 따라 유공관의 품질을 높이며, 또한 합성수지관을 자동으로 투입 및 배출함에 따라 작업자의 노동력을 줄이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프레임 11: 수직프레임
12: 수평프레임 20: 천공유닛
21: 승강프레임 22: 모터
23: 드릴 30: 수평유닛
31: 지지롤러 32: 지그
40: 회전유닛 41: 회전롤러
42: 지그 43: 모터
50: 지지실린더 51: 지지롤러
60: 투입유닛 61: 프레임
62: 체인 63: 스프라켓
64: 리프트 70: 배출유닛
72: 실린더 73: 배출패널

Claims (9)

  1. 양측에 수직프레임(11)과 상하에 수평프레임(12)으로 구성된 프레임(10); 상기 양측 수직프레임(11)에 상하 이송되도록 승강프레임(21)이 설치되고, 모터(22)의 구동으로 다수의 드릴(23)이 회전하는 천공유닛(20);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12) 위에 설치되고, 합성수지관(100)을 수평으로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수평유닛(30);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12) 위에 설치되고, 구동모터(43)의 작동으로 합성수지관(100)을 일정한 범위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닛(40); 및 상기 상부 수평프레임(12)에 설치되고, 합성수지관(100)을 상하로 지지하는 지지실린더(5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유닛(30)과 회전유닛(40)에 합성수지관(100)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투입유닛(60)이 설치되고, 상기 투입유닛(60)은 프레임(10)의 전방에 놓이고, 하부 수평프레임(12)과 마주하는 후방측에 승강프레임(61a)이 상부로 경사지게 양측으로 구성된 프레임(61)과; 상기 승강프레임(61a)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스프라켓(63)으로 설치된 체인(62)과; 상기 체인(62)에 연결 설치된 리프트(64)와; 상기 프레임(61)에 고정 설치되고, 스프라켓(63)을 구동시키는 모터(6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천공유닛(20)은,
    수직프레임(11)에 설치된 가이드봉(13)에 수평상으로 승강프레임(21)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21)에 복수개의 모터(22)가 설치되는 한편 하부에 상하 수직상으로 다수개의 드릴(23)이 일렬로 설치되며, 상부 수평프레임(12) 위에 모터(24)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24)의 구동에 의해 샤프트(25)가 회전하는 한편 상기 샤프트(25)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스프라켓(26)이 회전하여 수직프레임(12)의 양측부에 설치된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수평유닛(30)은,
    상부에 합성수지관(100)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한쌍의 지지롤러(31)가 나란히 회전가능케 설치된 지그(32)와; 상기 지그(32)의 하부에 수직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스크류축(33)과; 상기 스크류축(33)이 끼워져 설치되고, 하부 수평프레임(12) 위에 브라켓(35)으로 설치된 다수의 기어하우징(34)과; 상기 한쪽 기어하우징(34)에 구동축이 결합 설치된 모터(36)와; 상기 기어하우징(34)에 서로 연결 설치된 샤프트(37)와; 상기 샤프트(37)에 서로 연결 설치된 체인(3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성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유닛(40)은,
    상부에 모터(43)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다수의 회전롤러(41)가 설치된 지그(42)와; 상기 지그(42)의 하부에 수직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스크류축(44)과; 상기 스크류축(44)이 끼워져 설치되고, 하부 수평프레임(12) 위에 브라켓(46)으로 설치된 다수의 기어하우징(45)과; 상기 한쪽 기어하우징(45)에 구동축이 결합 설치된 모터(47)와; 상기 기어하우징(45)에 서로 연결 설치된 샤프트(48)와; 상기 샤프트(48)에 서로 연결 설치된 체인(49);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성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지지실린더(50)는,
    상부 수평프레임(12)의 아래에 대칭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피스톤 로드에 회전가능케 지지롤러(5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성형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천공작업이 완료된 유공관을 수평유닛(30)과 회전유닛(40)에서 자동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닛(7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성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배출유닛(70)은,
    투입유닛(60)의 승강프레임(61a)에 가로질러 설치된 프레임(71)과; 상기 프레임(71)에 고정 설치되고, 유공관이 위치한 방향으로 경사져 설치된 실린더(72)와; 상기 실린더(72)의 피스톤 로드에 설치된 배출패널(7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성형장치.
KR1020140103693A 2014-08-11 2014-08-11 유공관 성형장치 KR101530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693A KR101530980B1 (ko) 2014-08-11 2014-08-11 유공관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693A KR101530980B1 (ko) 2014-08-11 2014-08-11 유공관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980B1 true KR101530980B1 (ko) 2015-06-25

Family

ID=5351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693A KR101530980B1 (ko) 2014-08-11 2014-08-11 유공관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98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9612A (zh) * 2016-08-12 2016-12-21 武汉金牛经济发展有限公司 一种pe、pvc渗漏管高效打孔设备
CN108858395A (zh) * 2018-07-09 2018-11-23 睢宁县永华木业有限公司 一种模压纤维板裁切固定装置
CN112077912A (zh) * 2020-09-02 2020-12-15 广州至简通用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管材的自动分切设备
CN113954171A (zh) * 2021-10-25 2022-01-21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可调节式钻孔辅助装置
KR102548939B1 (ko) * 2022-09-29 2023-06-29 주식회사 삼은통신 강관 자동 타공장치
KR102618371B1 (ko) 2023-07-27 2023-12-27 주식회사 퍼팩트 유공관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유공관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312A (ko) * 2003-02-10 2004-08-18 박태업 벨마우스부재의 체결공 천공장치
KR100886250B1 (ko) * 2007-09-20 2009-02-27 조은산업 주식회사 플라스틱 배수관의 구멍 천공장치
KR101158400B1 (ko) * 2011-06-07 2012-06-25 서광기연 주식회사 파이프 단부 복합 면취장치
KR20130096371A (ko) * 2012-02-22 2013-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공급장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312A (ko) * 2003-02-10 2004-08-18 박태업 벨마우스부재의 체결공 천공장치
KR100886250B1 (ko) * 2007-09-20 2009-02-27 조은산업 주식회사 플라스틱 배수관의 구멍 천공장치
KR101158400B1 (ko) * 2011-06-07 2012-06-25 서광기연 주식회사 파이프 단부 복합 면취장치
KR20130096371A (ko) * 2012-02-22 2013-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공급장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9612A (zh) * 2016-08-12 2016-12-21 武汉金牛经济发展有限公司 一种pe、pvc渗漏管高效打孔设备
CN106239612B (zh) * 2016-08-12 2017-12-19 武汉金牛经济发展有限公司 一种pe、pvc渗漏管高效打孔设备
CN108858395A (zh) * 2018-07-09 2018-11-23 睢宁县永华木业有限公司 一种模压纤维板裁切固定装置
CN112077912A (zh) * 2020-09-02 2020-12-15 广州至简通用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管材的自动分切设备
CN113954171A (zh) * 2021-10-25 2022-01-21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可调节式钻孔辅助装置
CN113954171B (zh) * 2021-10-25 2023-09-08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可调节式钻孔辅助装置
KR102548939B1 (ko) * 2022-09-29 2023-06-29 주식회사 삼은통신 강관 자동 타공장치
KR102618371B1 (ko) 2023-07-27 2023-12-27 주식회사 퍼팩트 유공관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유공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980B1 (ko) 유공관 성형장치
KR101565144B1 (ko) 금속 파이프 타공장치
CN107297664A (zh) 一种建筑施工用便携式管件打磨设备
CN107486893A (zh) 一种板材打孔设备
CN210975812U (zh) 一种水下桩体切割装置
KR101533301B1 (ko) 클러치 드럼용 다축 홀 가공 장치
KR102044349B1 (ko) 창호 골재 자동가공 장치
KR101575171B1 (ko) 지하수 관정 시공용 장치
CN206029026U (zh) 用于切割管材的激光切割机
KR101512425B1 (ko) 우드 블라인드용 자동 천공장치
CN117067407B (zh) 一种大直径超壁厚石英管材的旋转切割设备及方法
KR101429335B1 (ko) 자동 다축 천공장치
CN208220708U (zh) 煤层瓦斯抽采封孔装置
CN107984230B (zh) 一种平板材料加工设备
CN112942346B (zh) 一种斜桩施工装置
CN205869617U (zh) 一种钢管两端端头切割机
KR101256509B1 (ko) 전기로의 리멜트 샘플 자동 채취 장치
US2822599A (en) Clay pipe perforating machine
CN111155506B (zh) 一种建筑工程用公路采样装置
CN210306072U (zh) 一种新型型材自动进料切断机
CN114292976A (zh) 一种高炉残铁绳锯切割方法
CN207239302U (zh) 一种带有无料检测装置的切割机
CN105549531A (zh) 板材钻孔数控设备中的板材供给装置
CN105735098B (zh) 液压顶管注浆机
CN205111394U (zh) 一种拉床夹头装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