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024B1 - 파이프 타공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024B1
KR102533024B1 KR1020210182691A KR20210182691A KR102533024B1 KR 102533024 B1 KR102533024 B1 KR 102533024B1 KR 1020210182691 A KR1020210182691 A KR 1020210182691A KR 20210182691 A KR20210182691 A KR 20210182691A KR 102533024 B1 KR102533024 B1 KR 102533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erforation
transfer
un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준
김인영
Original Assignee
이명준
김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준, 김인영 filed Critical 이명준
Priority to KR102021018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23B47/281Jigs for drilling cylindric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 타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파이프가 거치되는 파이프 거치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가이드 돌기를 타공 가이드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의 상측에 삽입되는 타공 마커를 감지하여 상기 파이프의 타공 위치를 결정하는 타공 감지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타공 위치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측면을 타공하는 타공부; 및 상기 타공부 및 상기 타공 감지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공 감지부는, 상기 타공 가이드부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되, 상기 타공 마커가 삽입된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에서 감지되는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타공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타공 장치{A HOLE PUNCHING APPARATUS FOR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기기, 건축물의 구조물 등에는 프레임을 형성하는 파이프가 이용된다. 다른 부재 간의 결합을 위해 파이프에 천공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파이프를 타공하였기 때문에,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요되었다. 특히 정확한 위치에 타공되지 않아 품질 저하 및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파이프 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 타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파이프가 거치되는 파이프 거치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의 적어도 일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 마커를 포함하는 타공 가이드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의 상측에 삽입되는 상기 타공 마커를 감지하여 상기 파이프의 타공 위치를 결정하는 타공 감지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타공 위치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측면을 타공하는 타공부; 및 상기 타공부 및 상기 타공 감지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공 감지부는, 상기 타공 가이드부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되, 상기 타공 마커가 삽입된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에서 감지되는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타공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거치부는, 상기 파이프의 양단을 지지하는 제 1 거치부 및 제 2 거치부; 및 상기 제 1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거치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파이프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구동부가 상기 제 1 거치부 및 상기 파이프를 회전시키면, 상기 파이프 거치부 및 상기 파이프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를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와 나란히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타공 감지부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에서 감지되는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제 1 방향으로의 타공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에서 감지되는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제 2 방향으로의 타공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 가이드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 및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타공 시에 상기 타공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돌기의 단부는 상기 고정 홈에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타공부의 위치를 미세 정렬하고, 상기 타공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 간의 거리는 상기 고정 홈 간의 거리의 정수 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부는, 상기 파이프의 측면을 관통하는 드릴; 상기 파이프와 접하면서 상기 드릴을 상기 파이프에 대해 지지하는 제한부; 및 상기 드릴에 인접하며, 상기 드릴에 의한 타공 시에 상기 파이프를 향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타공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이송이 종료되는 이송 종료 위치 또는 상기 이송부에 의한 이송 방향이 반대가 되는 이송 반전 위치를 감지하는 이송 감지부; 및 상기 타공 가이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이송 감지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이송 마커를 구비하는 이송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감지부는 상기 이송 마커에 의한 거리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이송 종료 위치 또는 상기 이송 반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공 가이드부에 의해 지정된 타공 위치에서 파이프를 타공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불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조절부를 통해 파이프를 이동시켜 다양한 조합의 타공 위치가 결정되고, 이에 기초하여 다양한 타공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를 통해 타공 위치를 미세 정렬하고, 타공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가이드 돌기의 편차 또는 가이드 돌기에 대한 타공 마커의 삽입 유무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타공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 가이드부를 통해 이송 방향을 반대로 하거나, 이송을 종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타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타공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타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타공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타공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타공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이프 타공 장치(1000)는 파이프 거치부(100), 타공 가이드부(200), 타공 감지부(300), 타공부(400), 고정부(500), 위치 조절부(600), 이송 가이드부(700), 이송 감지부(800) 및 이송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거치부(100)에는 파이프(P)가 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이프 거치부(100)는, 제 1 거치부(110) 및 제 2 거치부(120); 및 회전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거치부(110) 및 제 2 거치부(120)는 각각 파이프(P)의 양단과 결합하여 파이프(P)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 1 거치부(110) 및 제 2 거치부(120)는 모두 회전 가능하게 구현되어, 파이프(P)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구동부(130)는 제 1 거치부(110)와 연결되어 제 1 거치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거치부(110)와 결합된 파이프(P)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 2 거치부(120)는 파이프(P)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파이프(P)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즉, 제 1 거치부(110)와 제 2 거치부(120) 사이에 파이프(P)가 위치할 때 제 2 거치부(120)가 파이프(P)를 향하여 이동하여 파이프(P)가 제 1 거치부(110) 및 제 2 거치부(12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제 2 거치부(120)가 파이프(P)로부터 멀어지면서 파이프(P)와 분리되어, 고정 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 상태가 해제된 파이프(P)는 제 1 거치부(110)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거나, 파이프 타공 장치(10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제 2 거치부(120)가 파이프(P)로부터 멀어져서, 파이프(P)와 제 2 거치부(120) 간의 결합이 해제되더라도, 제 2 거치부(120) 상에 파이프(P)가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을 통해 파이프(P)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열의 타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타공 가이드부(200)는, 파이프(P)의 타공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이프(P)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복수의 제 1 가이드 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 1 가이드 돌기(210)의 적어도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 마커(220)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타공 감지부(300)가 타공 마커(220)가 삽입되는 제 1 가이드 돌기(210)를 감지할 때, 타공부(400)가 파이프(P)의 측면을 타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공 마커(220)가 삽입되지 않은 제 1 가이드 돌기(210)를 타공 감지부(300)가 감지하면 타공부(400)에 의한 타공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공 마커(220)의 삽입 유무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타공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 1 가이드 돌기(210) 간의 간격은 서로 일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파이프(P)에 대한 타공이 이루어도록 할 수 있다.
타공 가이드부(200)에는, 제 1 가이드 돌기(210)와 나란히 돌출되는 복수의 제 2 가이드 돌기(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 2 가이드 돌기(230)에 타공 마커(220')가 삽입될 수 있으며, 타공 마커(220')가 삽입된 제 2 가이드 돌기(230)를 감지하는 타공 감지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가이드 돌기(210)와 제 2 가이드 돌기(230)는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협력하여 파이프(P)의 타공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파이프(P)의 종류, 규격에 따라 제 1 가이드 돌기(210)와 제 2 가이드 돌기(230) 중 하나만 선택해서 이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 1 가이드 돌기(210)와 제 2 가이드 돌기(230) 중 하나에만 타공 마커(220, 220')가 존재하면, 타공부(400)에 의하여 타공이 수행되고, 타공 마커(220, 220')가 모두 존재하면 타공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P)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 타공이 수행될 때에는, 타공 마커(220)가 삽입되는 제 1 가이드 돌기(210)를 타공 감지부(300)가 감지하여 타공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 2 방향으로 타공이 수행될 때에는, 제 1 가이드 돌기(210) 및 제 2 가이드 돌기(230)에서 감지되는 거리 변화를 타공 감지부(300)가 감지하여 타공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 돌기(210)와 제 2 가이드 돌기(230) 중 하나에만 타공 마커(220, 220')가 존재하면, 타공부(400)가 파이프(P)를 타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가이드 돌기(210)와 제 2 가이드 돌기(230)는 파이프(P)의 타공 위치를 결정하는 데 있어 타공 방향에 따라 독립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이프(P)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 타공이 수행될 때에는, 타공 마커(220)가 삽입되는 제 1 가이드 돌기(210)를 타공 감지부(300)가 감지하여 타공부(400)가 파이프(P)의 측면을 타공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P)에 대하여 제 2 방향으로 타공이 수행될 때에는, 타공 마커(220')가 삽입되는 제 2 가이드 돌기(230)를 타공 감지부(300)가 감지하여 타공부(400)가 파이프(P)의 측면을 타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가이드 돌기(210)와 제 2 가이드 돌기(230)는 파이프(P)의 타공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 동시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공 감지부(300)가 타공 마커(220)가 삽입된 제 1 가이드 돌기(210)를 감지하여 타공 위치를 결정하고, 이후에 타공 마커(220')가 삽입된 제 2 가이드 돌기(230)를 감지하여 다음 타공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가이드 돌기(210)와 제 2 가이드 돌기(230)는 각각의 위치, 간격 등이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가이드 돌기(210)와 제 2 가이드 돌기(230)의 편차 또는 타공 마커(220, 220')의 삽입 유무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타공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타공 감지부(300)는 이송부(900)에 의해 파이프(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타공 가이드부(200)의 타공 마커(220, 220')가 삽입된 제 1 가이드 돌기(210) 및/또는 제 2 가이드 돌기(230)를 감지하여 파이프(P)의 타공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공 감지부(300)에 의해 타공 마커(220, 220')가 삽입된 제 1 가이드 돌기(210) 및/또는 제 2 가이드 돌기(230)가 감지되면, 해당 위치에서 타공부(400)가 파이프(P)의 측면을 타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타공 감지부(300)는, 거리 측정 감지 센서로 이루어져, 타공 가이드부(200)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되, 타공 마커(220, 220')가 삽입된 제 1 가이드 돌기(210) 및/또는 제 2 가이드 돌기(230)에서 감지되는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타공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감지 기술이 타공 감지부(300)에 적용될 수 있다.
타공부(400)는, 이송부(900)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파이프(P)의 측면을 타공할 수 있다. 이때, 타공 위치는 타공 감지부(3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공부(400)는, 회전에 의해 파이프(P)의 측면을 관통하는 드릴(410); 드릴(410) 보다 짧게 형성되어 타공 완료 시에 드릴(410)이 지나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드릴(410)의 하강 깊이를 제한하는 제한부(420); 드릴(410)에 인접하며, 드릴(410)에 의한 타공 시에 파이프(P)를 향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타공 완충부(430); 및 드릴(410), 제한부(420) 및 타공 완충부(430)를 일체로 승강시키는 타공 승강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00)는, 이송부(900)에 의해 파이프(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되, 타공 시에 타공부(40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500)는, 타공 가이드부(200)의 일측에 배치되고, 파이프(P)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510) 및 이송부(900)의 일측에 연결되는 고정 돌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돌기(520)가 고정 홈(510)으로 삽입됨에 따라, 타공부(400)의 위치를 미세 정렬하고, 타공부(4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고정 홈(510)은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에 의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홈(510)에 대응하여 고정 돌기(520)의 단부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타공부(400)에 의한 타공 시,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에 의해 고정 돌기(520)가 고정 홈(510)에 삽입 및 안착되면서, 타공부(400)의 위치를 미세 정렬하고 타공부(4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 1 가이드 돌기(210) 간의 거리는 고정 홈(510) 간의 거리의 정수 배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타공 마커(220)가 삽입된 제 1 가이드 돌기(210)를 타공 감지부(300)에 의하여 감지되어 타공부(400)가 타공할 때마다, 이송부(900)와 함께 이동하는 고정 돌기(520)가 고정 홈(510)의 정확한 위치에 삽입 및 안착될 수 있다.
위치 조절부(600)는, 파이프 거치부(100) 및 파이프(P)를 파이프(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파이프(P)에서 타공되는 위치를 전체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P)에 대한 제 1 방향으로 타공하여 일련의 제 1 천공이 형성되면, 회전 구동부(130)가 제 1 거치부(110) 및 파이프(P)를 회전시키고, 위치 조절부(600)는 파이프 거치부(100)를 소정의 거리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에 제 2 방향을 따라 타공을 수행하면, 일련의 제 2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천공은 제 1 천공에 비하여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이동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천공과 제 2 천공은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교번하며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위치 조절부(600)가 파이프 거치부(100)를 이동시키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타공 위치가 결정되고 다양한 타공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송 가이드부(700)는, 타공 가이드부(20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이송부(900)의 이송이 종료되는 이송 종료 위치 또는 이송부(900)에 의한 이송 방향이 반대가 되는 이송 반전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 가이드부(700)는, 이송 종료 위치, 이송 반전 위치에 이송 마커(7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 감지부(800)는 이송부(900)에 의해 이동하면서, 이송 감지부(800)를 향하여 돌출하는 이송 마커(710)를 감지할 수 있다.
이송 감지부(800)는, 이송부(900)에 의해 파이프(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송 가이드부(700)의 이송 마커(710)를 감지하여 이송 종료 위치, 이송 반전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이송 감지부(800)에 의해 이송 마커(710)가 감지되면, 해당 위치에서, 이송부(900)는 이송을 종료하거나, 이송 방향을 반대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 감지부(800)는, 거리 측정 감지 센서로 이루어져, 하측 방향으로 거리를 감지하되, 이송 마커(710)에서 감지되는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이성 종료 위치 또는 이송 반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감지 기술이 이송 감지부(800)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감지부(800)가 이송 마커(710)를 1차 감지하면, 이송부(900)는 이송 방향을 반대로 할 수 있고, 이후 계속해서 이송 중에 이송 감지부(800)가 이송 마커(710)를 2차 감지하면, 이송부(900)는 이송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송 감지부(800)가 이송 마커(710)를 소정의 횟수(예를 들어, 8회 등) 동안 감지하면, 이송부(900)는 이송 방향을 반대로 할 수 있고, 이후에 이송 감지부(800)가 이송 마커(710)를 감지하면 이송 마커(710)를, 이송부(900)는 이송을 종료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송부(900)는, 파이프 타공 장치(1000)의 각종 구성을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부(900)는, 타공 감지부(300), 타공부(400), 고정 돌기(520) 및 이송 감지부(800)를 일체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송은 파이프(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송부(9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단에 타공부(400)가 구비되고, 하단에 타공 감지부(300), 고정부(500) 및 이송 감지부(800)가 구비되는 이송 본체(910); 및 이송 본체(9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송 레일(920) 및 이송 레일(920)을 따라 이송 본체(910)를 이송시키는 이송 구동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송 본체(910)의 중단에 구비되어, 타공 시 파이프(P)로부터 배출되는 파쇄물을 수집하는 수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되는 파이프 타공 장치(10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타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타공 가이드부(200)에는 복수의 제 1 가이드 돌기(210), 복수의 제 2 가이드 돌기(230) 및 복수의 제 3 가이드 돌기(2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돌기(210), 제 2 가이드 돌기(230) 및 제 3 가이드 돌기(240)는 파이프(P)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이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협력하여 파이프(P)의 타공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 돌기(210, 230, 240)에는 타공 마커(220, 220', 220'')가 삽입되어, 타공 마커(220, 220', 220'')의 유무에 따라 타공 감지부(300)가 타공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타공 마커(220, 220', 220'')가 삽입된 제 1 가이드 돌기(210), 제 2 가이드 돌기(230) 및 제 3 가이드 돌기(240)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타공 감지부(300, 300', 300'')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파이프(P)의 타공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 제 1 가이드 돌기(210), 제 2 가이드 돌기(230) 및 제 3 가이드 돌기(240) 중 하나만이 이용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 돌기(210), 제 2 가이드 돌기(230) 및 제 3 가이드 돌기(240)의 각각의 간격 등이 서로 상이하며, 따라서 파이프(P)의 종류에 따라 타공 위치, 간격 등을 조절하기 위해 이들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공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 제 1 가이드 돌기(210), 제 2 가이드 돌기(230) 및 제 3 가이드 돌기(240) 중 둘이 이용되거나, 셋 모두가 이용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도시되는 파이프 타공 장치(10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타공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파이프(P)는 길이 방향으로 타공되어, 복수의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련의 천공이 형성되게 되며, 이와 소정의 각도 및 거리 이격하여 다시 일련의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일련의 천공들이 파이프(P)의 둘레를 따라 계속해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부(900)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타공부(400)가 파이프(P)의 측면을 타공하여 일련의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방향으로의 타공이 완료되면 파이프 거치부(100)가 파이프(P)를 소정의 각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때, 위치 조절부(600)가 파이프 거치부(100) 및 파이프(P)를 소정의 거리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이송부(900)가 제 2 방향(제 1 방향과 반대인)으로 이동하는 동안, 타공부(400)가 파이프(P)의 측면을 타공하여, 일련의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다양한 조합의 타공 위치가 결정되고 다양한 타공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파이프(P)의 천공은 파이프(P)의 내외를 연통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P) 내부의 유체(예를 들어, 물 등)가 천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P)의 천공에는 다양한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천이 천공을 통해 파이프(P)에 결합될 수 있다. 세척천이 결합되는 파이프(P)는 무인 세차 장비의 일부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활용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와 같은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서 도시되는 파이프(P)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파이프 거치부 110: 제 1 거치부
120: 제 2 거치부 130: 회전 구동부
200: 타공 가이드부 210: 제 1 가이드 돌기
220, 220', 220'': 타공 마커 230: 제 2 가이드 돌기
240: 제 3 가이드 돌기 300, 300', 300'': 타공 감지부
400: 타공부 410: 드릴
420: 제한부 430: 타공 완충부
440: 타공 승강부 500: 고정부
510: 고정 홈 520: 고정 돌기
600: 위치 조절부 700: 이송 가이드부
710: 이송 마커 800: 이송 감지부
900: 이송부 910: 이송 본체
920: 이송 레일 930: 이송 구동부
1000, 1000': 파이프 타공 장치

Claims (9)

  1. 파이프 타공 장치에 있어서,
    파이프가 거치되는 파이프 거치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의 적어도 일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공 마커를 포함하는 타공 가이드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의 상측에 삽입되는 상기 타공 마커를 감지하여 상기 파이프의 타공 위치를 결정하는 타공 감지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타공 위치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측면을 타공하는 타공부;
    상기 타공부 및 상기 타공 감지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이송이 종료되는 이송 종료 위치 또는 상기 이송부에 의한 이송 방향이 반대가 되는 이송 반전 위치를 감지하는 이송 감지부; 및
    상기 타공 가이드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이송 감지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이송 마커를 구비하는 이송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공 감지부는, 상기 타공 가이드부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되, 상기 타공 마커가 삽입된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에서 감지되는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타공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이송 감지부는 상기 이송 마커에 의한 거리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이송 종료 위치 또는 상기 이송 반전 위치를 결정하는, 파이프 타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거치부는, 상기 파이프의 양단을 지지하는 제 1 거치부 및 제 2 거치부; 및 상기 제 1 거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거치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파이프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파이프 타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가 상기 제 1 거치부 및 상기 파이프를 회전시키면, 상기 파이프 거치부 및 상기 파이프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를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타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와 나란히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타공 감지부는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에서 감지되는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제 1 방향으로의 타공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에서 감지되는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제 2 방향으로의 타공 위치를 결정하는, 파이프 타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 가이드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 및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타공 시에 상기 타공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타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의 단부는 상기 고정 홈에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타공부의 위치를 미세 정렬하고, 상기 타공부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파이프 타공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 간의 거리는 상기 고정 홈 간의 거리의 정수 배인, 파이프 타공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상기 파이프의 측면을 관통하는 드릴; 상기 파이프와 접하면서 상기 드릴을 상기 파이프에 대해 지지하는 제한부; 및 상기 드릴에 인접하며, 상기 드릴에 의한 타공 시에 상기 파이프를 향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타공 완충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타공 장치.
  9. 삭제
KR1020210182691A 2021-12-20 2021-12-20 파이프 타공 장치 KR10253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91A KR102533024B1 (ko) 2021-12-20 2021-12-20 파이프 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91A KR102533024B1 (ko) 2021-12-20 2021-12-20 파이프 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024B1 true KR102533024B1 (ko) 2023-05-15

Family

ID=8639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691A KR102533024B1 (ko) 2021-12-20 2021-12-20 파이프 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2239A (zh) * 2023-07-25 2023-08-29 江苏开源环保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橡胶衬里管道加工外金属管用钻孔机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5808A (ja) * 1990-07-17 1992-03-10 Nippon Marine Eng Kk 穿孔装置
JPH1015937A (ja) * 1996-07-08 1998-01-20 Matsuno Kikai Seisakusho:Kk 穿孔装置
KR19990034187U (ko) * 1998-01-13 1999-08-25 성규석 인쇄물의 자동천공장치
KR20050050414A (ko) * 2003-11-25 2005-05-31 문규연 자동 인덱스 드릴링 머신
KR20190114342A (ko) * 2018-03-29 2019-10-10 주식회사 금영메탈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5808A (ja) * 1990-07-17 1992-03-10 Nippon Marine Eng Kk 穿孔装置
JPH1015937A (ja) * 1996-07-08 1998-01-20 Matsuno Kikai Seisakusho:Kk 穿孔装置
KR19990034187U (ko) * 1998-01-13 1999-08-25 성규석 인쇄물의 자동천공장치
KR20050050414A (ko) * 2003-11-25 2005-05-31 문규연 자동 인덱스 드릴링 머신
KR20190114342A (ko) * 2018-03-29 2019-10-10 주식회사 금영메탈 원통관소재를 가공대상물로 하는 드릴링머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2239A (zh) * 2023-07-25 2023-08-29 江苏开源环保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橡胶衬里管道加工外金属管用钻孔机械
CN116652239B (zh) * 2023-07-25 2023-09-29 江苏开源环保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橡胶衬里管道加工外金属管用钻孔机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3024B1 (ko) 파이프 타공 장치
JP6703846B2 (ja) 穿孔機及び被穿孔品の製造方法
KR102533018B1 (ko) 파이프 타공 장치
JP2016175157A (ja) 穿孔機及び被穿孔品の製造方法
KR20140057235A (ko) 난간파이프의 성형제작장치
JP4732380B2 (ja) 重量物搬送装置
CN210132582U (zh) 自动化的板材钻孔系统
JP6188542B2 (ja) ペットボトル選別装置
KR880007841A (ko) 편성포의 봉합방법 및 그 장치
KR102452274B1 (ko) 비전 센서를 기반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장력문제 혹은 사행문제를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90124529A (ko)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
KR20100042634A (ko) 기반암에 구멍을 드릴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26365B1 (ko) 시트재의 재단방법
KR102141194B1 (ko) 센서 간섭 방지 장치
JP5954646B2 (ja) 排水孔の穿孔装置
KR102022797B1 (ko) 스트립을 이용한 붐 길이 측정장치
JP6576380B2 (ja) エスカレーターの保護板位置決め具、及びエスカレーターの保護板位置決め方法
KR20230105795A (ko) 원단 가공 장치
CN206139874U (zh) F型轨排钻孔设备
JP4410600B2 (ja) 板材の穴開け装置
CN209466037U (zh) 钻针高效研磨装置
CN207188831U (zh) 一种新型的自动钻孔机
KR101724520B1 (ko) 파워스틸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665802B1 (ko) 드릴링 장치
KR20070096824A (ko) 칩 부품의 극성 반전 장치 및 극성 반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