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529A -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529A
KR20190124529A KR1020180048601A KR20180048601A KR20190124529A KR 20190124529 A KR20190124529 A KR 20190124529A KR 1020180048601 A KR1020180048601 A KR 1020180048601A KR 20180048601 A KR20180048601 A KR 20180048601A KR 20190124529 A KR20190124529 A KR 20190124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drill
square pipe
guide rail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을호
Original Assignee
김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을호 filed Critical 김을호
Priority to KR1020180048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4529A/ko
Publication of KR20190124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16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Drilling automa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1Lateral transport of lo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15/00Details of workpieces
    • B23B2215/72Tubes,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B23Q2707/05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by means of roller 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기의 전후에 형성되는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 상에 형성되는 천공기;로 구성되되, 상기 천공기는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각파이프의 이동 및 천공을 위한 관통부가 구비된 천공본체와, 상기 천공본체의 네 방위에 각각 형성된 동력구동부와, 상기 동력구동부의 끝단에 형성된 드릴과, 상기 관통부에 형성되어 각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레일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본체와, 상기 레일본체 내에 형성된 안내롤러와, 상기 안내레일의 외측에 형성되어 각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으로 구성되는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천공을 위한 각파이프의 위치 변경없이 상기 각파이프의 전후좌우의 네 방위에서 천공작업이 이루어질 뿐더러 상기 천공작업을 위한 천공기의 전후에 설치된 안내레일을 따라 각파이프가 안내되므로 천공작업의 효율이 향상되고, 나아가 상기 각파이프의 사각형태나 크기에 상관없이 천공작업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천공기의 드릴 교체없이 각파이프에 타공되는 구멍의 직경에 따른 드릴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천공작업의 효율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PUNCHING APPARATUS OF SQUARE PIPE}
본 발명은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공을 위한 각파이프의 위치 변경없이 상기 각파이프의 전후좌우의 네 방위에서 천공작업이 이루어질 뿐더러 상기 천공작업을 위한 천공기의 전후에 설치된 안내레일을 따라 각파이프가 안내되므로 천공작업의 효율이 향상되고, 나아가 상기 각파이프의 사각형태나 크기에 상관없이 천공작업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천공기의 드릴 교체없이 각파이프에 타공되는 구멍의 직경에 따른 드릴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천공작업의 효율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이나 기타 철골 구조물에는 많은 에이치빔, 각파이프 등과 같은 형강재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형강재에는 그 조립을 위해 X축 및 Y축 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다수의 관통구멍을 형강재에 형성시키는 것을 천공작업이라 하며, 이러한 천공작업을 하나의 드릴을 이용하여 수행하게 되면, 상기 하나의 드릴이 3차원적으로 자세 변경되는 것이 필요하여 천공작업을 지연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천공작업에 있어서 형강재에 천공기를 고정하지 않는 이상 홀을 정확하게 원하는 위치에 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다수의 홀을 천공한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 선정에 어려움이 있으며, 아울러 일일이 작업자가 천공할 홀의 위치에 천공기를 위치시키면서 작업하게 됨에 따라 홀을 천공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능률의 저하로 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공을 위한 각파이프의 위치 변경없이 상기 각파이프의 전후좌우의 네 방위에서 천공작업이 이루어질 뿐더러 상기 천공작업을 위한 천공기의 전후에 설치된 안내레일을 따라 각파이프가 안내되므로 천공작업의 효율이 향상되고, 나아가 상기 각파이프의 사각형태나 크기에 상관없이 천공작업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천공기의 드릴 교체없이 각파이프에 타공되는 구멍의 직경에 따른 드릴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천공작업의 효율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는, 천공기의 전후에 형성되는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 상에 형성되는 천공기;로 구성되되, 상기 천공기는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각파이프의 이동 및 천공을 위한 관통부가 구비된 천공본체와, 상기 천공본체의 네 방위에 각각 형성된 동력구동부와, 상기 동력구동부의 끝단에 형성된 드릴과, 상기 관통부에 형성되어 각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레일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본체와, 상기 레일본체 내에 형성된 안내롤러와, 상기 안내레일의 외측에 형성되어 각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구동부의 끝단에는 드릴교환부가 형성되되, 상기 드릴교환부는 드릴의 직경을 달리하는 다수의 드릴장착홀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심을 관통하는 방향조절봉과, 상기 드릴장착홀에 결합되는 다수의 드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천공을 위한 각파이프의 위치 변경없이 상기 각파이프의 전후좌우의 네 방위에서 천공작업이 이루어질 뿐더러 상기 천공작업을 위한 천공기의 전후에 설치된 안내레일을 따라 각파이프가 안내되므로 천공작업의 효율이 향상되고, 나아가 상기 각파이프의 사각형태나 크기에 상관없이 천공작업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천공기의 드릴 교체없이 각파이프에 타공되는 구멍의 직경에 따른 드릴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천공작업의 효율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본 발명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의 천공기를 도시한 단면 구조도.
도 3,4 - 본 발명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의 드릴교환부를 도시한 구조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100)는, 천공기(120)의 전후에 형성되는 안내레일(110,130); 상기 안내레일 상에 형성되는 천공기(120);로 구성되되, 상기 천공기(120)는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각파이프(A)의 이동 및 천공을 위한 관통부가 구비된 천공본체(121)와, 상기 천공본체(121)의 네 방위에 각각 형성된 동력구동부(122)와, 상기 동력구동부(122)의 끝단에 형성된 드릴(122a)과, 상기 관통부에 형성되어 각파이프(A)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123)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레일(110,130)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본체(111,131)와, 상기 레일본체(111,131) 내에 형성된 안내롤러(111a)와, 상기 안내레일(111a)의 외측에 형성되어 각파이프(A)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11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레일(110,130)은 각파이프의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 천공 전의 각파이프은 후방향에 위치한 안내레일(130)을 따라 공급되고, 상기 공급된 각파이프은 천공기(120)를 통한 천공작업이 이루어지면 전방향에 위치한 안내레일(1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안내레일(110)을 따라 투입된 각파이프(A)는 사용자에 의해 천공기(120)로 공급되어 천공작업이 이루어진 후 재차 안내레일(130)을 따라 배출된 다음 일정장소에서 적재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공정이 반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안내레일(110,130)의 고정을 위해 고정대(110a)가 다수 형성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전후의 안내레일(110,130)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전방향에 위치한 안내레일(11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안내레일(110)은 전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본체(111)와, 상기 레일본체(111) 내에 다수 구비되어 각파이프를 전후방향으로 안내 및 이동하도록 하는 안내롤러(111b)와, 상기 안내롤러(111b)를 따라 이동하는 각파이프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111b)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브라켓(111b)에는 각파이프의 원활한 안내를 위해 롤러가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롤러의 구동을 위한 체인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인의 구동에 따라 C형상기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천공기(120)는 각파이프에 관통구멍을 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중심에 관통부가 구비된 천공본체(121)와, 상기 천공본체(121)의 네 방위에 각각 형성된 동력구동부(122)와, 상기 동력구동부(122)의 끝단에 형성된 드릴(122a)과, 상기 관통부에 형성되어 각파이프(A)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123)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천공기(120)의 고정을 위해 그 하부에 다수의 고정대(120a)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네 방위에 각각 드릴(122a)을 형성하는 것은, 기존에는 천공작업시 일측에서만 천공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각파이프의 다른 측면에서 천공작업이 필요한 경우 상기 각파이프의 방향을 일일이 정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네 방위에 드릴(122a)을 각각 배치함으로써 각파이프의 전면, 후면, 양측면 중 필요에 따른 선택적인 천공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천공작업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드릴(122a)의 구동을 위한 동력구동부(122)는 통상의 구성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천공본체(121)의 관통부 일측에는 지지롤러(123)가 형성되는데, 이는 드릴(122a)로 천공작업시 각파이프의 지지를 위해 필요한 구성이며, 천공작업 후 상기 지지롤러(123)를 통해 각파이프은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천공작업시 각파이프의 고정을 위한 고정브라켓이 관통부의 타측에 형성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천공기(120)의 외측에는 제어패널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제어패널의 설정에 따라 안내레일(120)에 의해 안내된 각파이프(A)에 천공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구동부(122)의 끝단에는 드릴교환부(124)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드릴교환부(124)는 드릴의 교체없이 각파이프에 천공되는 구멍의 직경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드릴교환부(124)는 드릴의 직경을 달리하는 다수의 드릴장착홀(124c)이 구비된 몸체(124b)와, 상기 몸체(124b)의 중심을 관통하는 방향조절봉(124a)과, 상기 드릴장착홀(124c)에 결합되는 다수의 드릴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방향조절봉(124a)에 의해 각파이프(A)의 천공면에 선택한 드릴이 위치하도록 상기 드릴의 방향을 조절하고, 드릴장착홀(124c)을 통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 드릴이 구동하여 각파이프(A)에 천공작업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드릴장착홀(124c)을 통해 그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동력구동부(122)에 의해 드릴에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천공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천공장치
110,130: 안내레일 110a: 고정대
111: 레일본체 111a: 안내롤러
111b: 지지브라켓 120: 천공기
121: 천공본체 122: 동력구동부
122a: 드릴 123: 지지롤러
124: 드릴교환부 124a: 방향조절봉
124b: 몸체 124c: 드릴장착홀
A: 각파이프

Claims (2)

  1. 천공기(120)의 전후에 형성되는 안내레일(110,130); 상기 안내레일 상에 형성되는 천공기(120);로 구성되되, 상기 천공기(120)는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각파이프(A)의 이동 및 천공을 위한 관통부가 구비된 천공본체(121)와, 상기 천공본체(121)의 네 방위에 각각 형성된 동력구동부(122)와, 상기 동력구동부(122)의 끝단에 형성된 드릴(122a)과, 상기 관통부에 형성되어 각파이프(A)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123)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레일(110,130)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본체(111,131)와, 상기 레일본체(111,131) 내에 형성된 안내롤러(111a)와, 상기 안내레일(111a)의 외측에 형성되어 각파이프(A)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111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구동부(122)의 끝단에는 드릴교환부(124)가 형성되되, 상기 드릴교환부(124)는 드릴의 직경을 달리하는 다수의 드릴장착홀(124c)이 구비된 몸체(124b)와, 상기 몸체(124b)의 중심을 관통하는 방향조절봉(124a)과, 상기 드릴장착홀(124c)에 결합되는 다수의 드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
KR1020180048601A 2018-04-26 2018-04-26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 KR20190124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601A KR20190124529A (ko) 2018-04-26 2018-04-26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601A KR20190124529A (ko) 2018-04-26 2018-04-26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529A true KR20190124529A (ko) 2019-11-05

Family

ID=6857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601A KR20190124529A (ko) 2018-04-26 2018-04-26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452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8010A (zh) * 2020-08-18 2020-11-20 南京宜泽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合金方管打孔装置
KR102224566B1 (ko) 2020-02-19 2021-03-05 유환우 사각파이프의 사각홀 가공방법
CN113427054A (zh) * 2021-06-23 2021-09-24 刘秀莲 一种不锈钢钢板及其制造工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566B1 (ko) 2020-02-19 2021-03-05 유환우 사각파이프의 사각홀 가공방법
CN111958010A (zh) * 2020-08-18 2020-11-20 南京宜泽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合金方管打孔装置
CN113427054A (zh) * 2021-06-23 2021-09-24 刘秀莲 一种不锈钢钢板及其制造工艺
CN113427054B (zh) * 2021-06-23 2022-12-27 苏州沪达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不锈钢钢板及其制造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4529A (ko)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
CN101733439A (zh) 加工装置以及加工方法
NZ578286A (en) Apparatus for making variable diameter holes in metal plates
ES2477500T3 (es)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una máquina de perforación, y aparato para realizar dicho procedimiento
JP2000071205A (ja) 長尺部材の穿孔装置
CN109366626A (zh) 一种可进行斜孔钻孔操作的板材加工装置
KR20190124530A (ko) 유압식 각파이프 천공장치
CN207952686U (zh) 一种汽车管件钻孔装置
CN110625423A (zh) 一种双侧气缸推出刀库
KR20050109869A (ko) 케이블 트레이 자동 절단 및 타공 머신
KR101853303B1 (ko) 다이아몬드 와이어쏘에 의한 정위치 암반 절단 장비 및 방법
KR101896402B1 (ko) 산업용 프레임 천공장치
CN210649537U (zh) 一种钻孔夹具
CN209007098U (zh) 一种钢板钻孔辅助装置
KR101261882B1 (ko) 천공장치
CN207656373U (zh) 板材加工装置
JP3535443B2 (ja) バイスクランプ穿孔機
CN219074439U (zh) 一种钢结构用打孔设备
KR101970720B1 (ko) 드릴공구교환수단이 구비된 형강용 3축 천공장치
JPH07139285A (ja) 穿孔機
CN212469847U (zh) 一种具有限位装置的打孔机
KR100681295B1 (ko) 프린트 기판의 처리 장치, 프린트 기판의 생산 방법 및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0407440Y1 (ko) 다수개의 코어 비트를 가진 암반천공기
CN214922598U (zh) 一种三排钻机打孔用柔性精准定位装置
CN219864882U (zh) 一种用于花岗岩开采的多头多向凿岩打眼机械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