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440Y1 - 다수개의 코어 비트를 가진 암반천공기 - Google Patents

다수개의 코어 비트를 가진 암반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440Y1
KR200407440Y1 KR2020050032738U KR20050032738U KR200407440Y1 KR 200407440 Y1 KR200407440 Y1 KR 200407440Y1 KR 2020050032738 U KR2020050032738 U KR 2020050032738U KR 20050032738 U KR20050032738 U KR 20050032738U KR 200407440 Y1 KR200407440 Y1 KR 200407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rock
rods
cylinder
drill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호
신창우
이재우
Original Assignee
김철호
신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호, 신창우 filed Critical 김철호
Priority to KR2020050032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4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02Core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62Drill bits characterised by parts, e.g. cutting elements, which are detachable or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암반을 천공하기 위한 암반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암반천공기에서는, 암반의 경도나 턴넬 등의 크기에 따라서, 별도의 암반 천공기로서 천공을 하여야 하며, 작업 효율이 낮고 가공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이와 같은 문제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멍간의 간격이 다르더라도 작업 효율의 저하나 가공 비용이 높아짐이 없이 암반의 천공이 가능한 암반 천공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선단에 천공용 코어 비트를 설치한 복수개의 로드(7a, 7b, 7c, 7d)가 병렬로 배치된 암반 천공기(1)에서, 각 로드(7a, 7b, 7c, 7d)를 병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드 이동수단(8a∼8d)를 구비하며, 상기한 로드(7a∼7d)를 설치하는 복수개의 설치대(6a∼6d)를 구비하고, 상기의 로드 이동수단은 인접하는 상호간의 설치대(6a∼6d)를 연결하는 실린더 장치(8a∼8d)로 구성되고, 인접하는 상기한 설치대(6a∼6d)의 상호간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배치된 2개의 실린더 장치(8a∼8d)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암반천공기는, 복수개의 로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로드를 병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드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암반천공작업의 도중에 암반의 경도나 턴넬의 크기 등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로드 이동수단을 작동시켜 각 로드 사이의 간격을 바꿀 수 있으므로, 다른 암반천공기를 투 입할 필요가 없이, 작업 효율의 저하나 시공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실린더장치를 신축시켜서 설치대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설치대에 설치된 로드가 이동하므로, 로드를 복잡한 기구로 할 필요가 없으며, 로드가 파손된 경우 등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인접하는 설치대 상호간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배치된 2개의 실린더장치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실린더장치로 로드 사이의 간격을 바꾸는데 필요한 시간의 1/2의 시간에 로드 사이의 간격을 바꿀 수가 있으므로, 작업 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가 있다. 또한, 한개 당의 실린더장치의 크기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나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암반, 천공기, 설치대, 로드, 코어 비트, 실린더장치

Description

다수개의 코어 비트를 가진 암반천공기{Device for rock drilling with multi-core bit}
도 1은 종래의 암반천공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각 로드 사이의 간격을 넓힌 경우의 본 고안의 암반천공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각 로드 사이의 간격을 좁힌 경우의 본 고안의 암반천공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암반천공기 6a∼6d : 설치대
7a∼7d : 로드 82 : 코어 비트
8a∼8d : 실린더장치(로드이동수단)
본 고안은 암반을 천공하기 위한 암반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암반의 천공은, 암반 천공기를 사용하여 암반에 구멍을 뚫는 것으로, 이 구멍에 유압식 암반 파쇄기를 삽입하여 암반에 균열을 발생시키면서 암반을 파쇄함에 의하여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종래의 암반 천공기는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선단에 천공용 코어 비트(89)를 부착한 복수개의 로드(88a, 88b, 88c, 88d)를 병렬로 배치한 것이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각 로드(88a, 88b, 88c, 88d)는 베어링부(87)를 거쳐서 이음부(86)을 통하여 축부(85)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복수개의 코어 비트를 설치함에 의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킨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암반천공기는, 암반의 경도나 턴넬 등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 로드(88a, 88b, 88c, 88d)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암반 천공기로서 천공을 하여야 하며, 작업 효율이 낮고 가공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이와 같은 문제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멍간의 간격을 다르게 하더라도 작업 효율의 저하나 가공 비용이 높아짐이 없이 암반의 천공이 가능한 암반 천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 2 내지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에 천공용 코어 비트를 설치한 복수개의 로드(7a, 7b, 7c, 7d)가 병렬로 배치된 암반천공기(1)에서, 각 로드(7a, 7b, 7c, 7d)를 병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드 이동수단(8a∼8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암반 천공기는, 복수개의 로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로드를 병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드 이동수단을 구비하므로, 암반 천공작업의 도중에 암반 의 경도나 턴넬의 크기 등이 변화하여, 유압식 암반 파쇄기를 삽입하는 구멍간의 간격이 다르게 된 경우에도, 로드 이동수단을 작동시키는 것 만으로 각 로드 사이의 간격을 변환시킬 수 있으므로, 다른 암반 천공기를 투입할 필요가 없어지며, 작업 효율의 저하나 가공 비용을 증가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암반 천공기는, 상기한 로드(7a∼7d)를 설치하는 복수개의 설치대(6a∼6d)를 구비하고, 상기의 로드 이동수단은 인접하는 상호간의 설치대(6a∼6d)를 연결하는 실린더 장치(8a∼8d)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린더 장치를 신축시켜서 설치대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치대에 설치된 로드가 이동하므로, 로드의 기구가 매우 간단하게 되어서, 로드가 파손된 경우 등의 부품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암반 천공기는, 인접하는 상기한 설치대(6a∼6d)의 상호간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배치된 2개의 실린더 장치(8a∼8d)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2개의 실린더 장치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배치하여 연결한 것은, 인접하는 설치대 전부에 한하지 않고, 적어도 한 쌍의 설치대 만으로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인접하는 설치대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배치된 2개의 실린더 장치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실린더 장치에서 로드 사이의 간격을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약 1/2의 시간으로 로드 사이의 간격을 변환시킬 수 있게 되어서, 작업 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1개 당의 실린더 장치의 크기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부착이나 교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암반 천공기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암반 천공기(1)는, 도 2와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프레임(5a)의 상부에 설치된 설치대(6a∼6d)의 위에 병렬로 설치된 로드(7a∼7d)를 구비하고, 설치대(6a∼6d)를 로드(7a∼7d)의 병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드 이동수단으로서의 실린더장치(8a∼8d) 등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부는, 제2 붐(32)의 상면에 설치된 2개의 베어링(41)과, 이 베어링(41) 사이에 설치된 샤프트(42)와, 이 샤프트(42)에 고정된 회전체(43) 등을 구비하고 있다. 베어링(41)은 일부가 제2 붐(32) 내에 매설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42)의 한쪽 단부에는 샤프트(42)를 회전시키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부착되어 있다. 회전체(43)는, 한쪽 단부가 샤프트(42)에 고정되어 있다. 즉, 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회전체(43)는 샤프트(4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5a)의 상면에는, 로드(7a∼7d)와 같은 개수(도 2와 도 3에는 4개)의 설치대(6a, 6b, 6c, 6d)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설치대(6a∼6d)는 도시하지는 않으나 뒷면에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설치대(6a, 6b, 6c, 6d)는, 프레임(5a)의 상면의 양측 모서리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암반 천공기(1)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5a)의 상면에는 실린더 장치(8a∼8d)를 배치하기 위한 오목부 가 프레임(5a)의 길이 방향, 즉 암반 천공기(1)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에 실린더 장치(8a, 8b, 8c, 8d)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장치(8b)와 실린더 장치(8c)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 장치(8a, 8d, 8e, 8h)는 같은 스트로크를 가지는 것이 이용되고, 실린더 장치(8b, 8c)는 같은 스트로크를 가지는 것이 이용되도록 한다. 또한, 실린더 장치(8b, 8c)는, 실린더 장치(8a, 8d) 보다 스트로크가 짧은 것이 이용되도록 한다.
또한, 프레임(5a) 상부의 4개의 설치대(6a, 6b, 6c, 6d)는 각각 실린더 장치(8a, 8b, 8c, 8d)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장치(8a∼8d)와 설치대(6a∼6d)와의 연결기구에 대하여 설명하면, 실린더장치(8a)의 피스톤로드의 선단부는 설치대(6a)에 연결되고, 실린더장치(8a)의 실린더 기단부는 설치대(6b)에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장치(8b)의 피스톤로드의 선단부는 설치대(6b)에 연결되고, 실린더장치(8b)의 실린더의 기단부는 프레임(5a)의 길이방향의 거의 중앙에 놓이도록 프레임(5a)에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장치(8c)의 피스통로드의 선단부는 설치대(6c)에 연결되고, 실린더장치(8c)의 실린더의 기단부는 프레임(5a)의 길이 방향의 거의 중앙에 놓이도록 프레임(5a)에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장치(8d)의 피스톤로드의 선단부는 설치대(6d)에 연결되고, 실린더장치(8d)의 실린더의 기단부는 설치대(6c)에 연결되어 있다.
로드(7a∼7d)는 암반천공기(1)의 전후방향으로 긴 봉재로 형성되고, 선단부에 암반을 굴삭하는 코어 비트(82)가 설치된다. 로드(7a)는 설치대(6a)에 설치되고, 볼트등의 체결구에 의하여 설치대(6a)에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로드(7b) 는 설치대(6b)에 고정되고, 로드(7c)는 설치대(6c)에 고정되며, 로드(7d)는 설치대(6d)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로드(7a∼7d)의 이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린더장치(8a, 8d)를 이동시키는 거리만큼 신장시키고, 실린더장치(8b, 8c)를 이동시키는 거리의 1/2만 신장시킨다. 실린더장치(8a∼8d)를 신장시키는 것에 의하여, 각 설치대(6a∼6d) 사이의 간격도 각 실린더장치(8a∼8d)와 연동하여 넓어지고, 로드(7a∼7d) 사이의 간격도 넓어지게 된다. 여기서 로드(7b)와 로드(7c)와의 사이는, 실린더장치(8b)와 실린더장치(8c)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신장시키는 길이가 넓히기를 원하는 간격의 1/2 이더라도, 최종적으로는 로드(7a)와 로드(7b)의 사이, 로드(7c)와 로드(7d)의 사이와 같은 간격으로 된다. 또한, 로드(7a∼7d)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방법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의 암반천공기(1)는 복수개의 로드(7a∼7d)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로드(7a∼7d)를 암반천공기(1)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장치(8a∼8d)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암반 천공작업의 도중에 암반의 경도나 턴넬의 크기 등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실린더장치(8a∼8d)를 작동시키는 것 만으로 각 로드(7a∼7d) 사이의 간격을 바꿀 수 있으므로, 다른 암반천공기를 투입할 필요가 없이, 작업 효율의 저하나 시공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실린더장치(8a∼8d)를 신축시켜서 설치대(6a∼6d)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설치대(6a∼6d)에 설치된 로드(7a∼7d)가 이동하므로, 로드(7a∼7d)를 복잡한 기구로 할 필요가 없으며, 로드(7a∼7d)가 파손된 경우 등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인접하는 설치대(6a∼6d) 상호간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배치된 2개의 실린더장치(8a∼8d)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실린더장치(8a∼8d)로 로드(7a∼7d) 사이의 간격을 바꾸는데 필요한 시간의 1/2의 시간에 로드(7a∼7d) 사이의 간격을 바꿀 수가 있으므로, 작업 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가 있다. 또한, 한개 당의 실린더장치(8a∼8d)의 크기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나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고안의 암반천공기는, 복수개의 로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로드를 병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드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암반천공작업의 도중에 암반의 경도나 턴넬의 크기 등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로드 이동수단을 작동시켜 각 로드 사이의 간격을 바꿀 수 있으므로, 다른 암반천공기를 투입할 필요가 없이, 작업 효율의 저하나 시공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실린더장치를 신축시켜서 설치대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설치대에 설치된 로드가 이동하므로, 로드를 복잡한 기구로 할 필요가 없으며, 로드가 파손된 경우 등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인접하는 설치대 상호간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배치된 2개의 실린더장치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실린더장치로 로드 사이의 간격을 바꾸는데 필요한 시간의 1/2의 시간에 로드 사이의 간격을 바꿀 수가 있으므로, 작업 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가 있다. 또한, 한개 당의 실린더장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나 교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1)

  1. 선단에 천공용 코어 비트를 설치한 복수개의 로드(7a, 7b, 7c, 7d)가 병렬로 배치된 암반 천공기(1)에서, 각 로드(7a, 7b, 7c, 7d)를 병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드 이동수단(8a∼8d)를 구비하며, 상기한 로드(7a∼7d)를 설치하는 복수개의 설치대(6a∼6d)를 구비하고, 상기의 로드 이동수단은 인접하는 상호간의 설치대(6a∼6d)를 연결하는 실린더 장치(8a∼8d)로 구성되고, 인접하는 상기한 설치대(6a∼6d)의 상호간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배치된 2개의 실린더 장치(8a∼8d)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천공기.
KR2020050032738U 2005-11-19 2005-11-19 다수개의 코어 비트를 가진 암반천공기 KR200407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738U KR200407440Y1 (ko) 2005-11-19 2005-11-19 다수개의 코어 비트를 가진 암반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738U KR200407440Y1 (ko) 2005-11-19 2005-11-19 다수개의 코어 비트를 가진 암반천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440Y1 true KR200407440Y1 (ko) 2006-01-31

Family

ID=49296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738U KR200407440Y1 (ko) 2005-11-19 2005-11-19 다수개의 코어 비트를 가진 암반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4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563B1 (ko) 2020-07-30 2020-11-02 차현남 협소부 천공 기능 및 미세먼지 포집기능을 향상시킨 코어 천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563B1 (ko) 2020-07-30 2020-11-02 차현남 협소부 천공 기능 및 미세먼지 포집기능을 향상시킨 코어 천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41973A (zh) 一种钢管钻孔装置
JP5932958B2 (ja) 穴明け工具支持体及びカラーリング方法
WO2006133190A3 (en) Automated, low profile drilling/bolting machine
CN204711259U (zh) 一种用于对钢管进行钻孔的装置
ES2477500T3 (es)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una máquina de perforación, y aparato para realizar dicho procedimiento
KR20100128581A (ko) 대구경 암반 천공 방법 및 장치
KR200407440Y1 (ko) 다수개의 코어 비트를 가진 암반천공기
KR100916339B1 (ko) 할암용 자유면 형성을 위한 암반천공장치
KR101545686B1 (ko) 자유면 형성용 기준계 및 이를 이용한 기준홀 형성방법
KR20190124529A (ko) 드릴형 각파이프 천공장치
CN205437213U (zh) 一种垂直钻孔装置
US9981370B2 (en) Breaking device
JP3883882B2 (ja) コンクリート基礎の穿孔機
CN101389825B (zh) 用于伸缩给送器的结合有导向柱的第一和第二横梁;伸缩给送器;用于凿孔的钻孔装置和使用导向柱的方法
PL430137A1 (pl) Urządzenie do wiercenia i kotwienia
CN102773514A (zh) 一种数控钻孔设备
JP5939688B2 (ja) 掘削装置
JP2017031744A (ja) 削孔機
US4071095A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winning reef
KR101261882B1 (ko) 천공장치
JP4014957B2 (ja) 削岩機
CN105880667A (zh) 一种多钻头钻孔机
CN208146963U (zh) 抽屉式多孔龙门钻
US5111801A (en) Apparatus for forming slit in rock and concrete surface
ATE503075T1 (de) Vorrrichtung zum schlag- bzw. drehschlagbohren in gesteins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