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576B1 -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576B1
KR102084576B1 KR1020180042075A KR20180042075A KR102084576B1 KR 102084576 B1 KR102084576 B1 KR 102084576B1 KR 1020180042075 A KR1020180042075 A KR 1020180042075A KR 20180042075 A KR20180042075 A KR 20180042075A KR 102084576 B1 KR102084576 B1 KR 102084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sidential
housing
hous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110A (ko
Inventor
윤호원
윤덕규
Original Assignee
윤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덕규 filed Critical 윤덕규
Priority to PCT/KR2018/00473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99588A1/ko
Publication of KR20180119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06Q50/163Real estat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가 신탁한 부동산을 주거 지분과 비주거지분권의 발행을 위한 비주거 지분으로 분할하는 신탁 회사를 통해 발행된 비주거지분권을 소유자의 비주거지분권 관련 계좌에 지급하고, 해당 비주거지분권을 본위 화폐처럼 이용하여 판매자의 재화나 용역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동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부동산에 투입된 자금의 유동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위한 지분 조정을 지원하여 비주거지분권을 이용한 시장을 제공하는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aintenance of the non-resident equity value}
본 발명은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가 신탁한 부동산을 주거 지분과 비주거지분권의 발행을 위한 비주거 지분으로 분할하는 신탁 회사를 통해 발행된 비주거지분권을 소유자의 비주거지분권 관련 계좌에 지급하고, 해당 비주거지분권을 본위 화폐처럼 이용하여 판매자의 재화나 용역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동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부동산에 투입된 자금의 유동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위한 지분 조정을 지원하여 비주거지분권을 이용한 시장을 제공하는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망을 통해 부동산의 거래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온라인을 통해 제공하는 부동산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부동산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매수자와 매도자 사이의 거래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기존의 부동산 서비스 시스템은 부동산을 담보로 하는 대출 서비스 역시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부동산에 대한 담보물 설정에 대한 편의성을 높이고 이를 통한 대출 자금을 용이하게 확보하여 소유자가 대출 자금을 이용하여 다양한 투자처에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최근 전세 계약의 급증과 더불어 부동산 서비스 시스템은 소유자가 부동산의 임차인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임차인이 소유자에게 지급한 전세 자금의 투자처를 소개하는 방식의 서비스 시스템도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부동산 서비스 시스템은 오프라인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거래 행위들을 단순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거래로 옮긴 것에 불과하며, 거래 대상이 부동산에 한정되어 시장 규모에 대한 확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기존의 부동산 서비스 시스템은 단순 거래 연결이나 부동산의 담보물 설정에 대한 편의성을 보장하는 것에 그치며, 소유자가 부동산을 기반으로 거래 대상이 부동산이 아닌 다른 재화나 서비스 용역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다.
다만, 소유자는 부동산을 담보물로 하는 대출이나 전세 계약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여 이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자금 운용에 있어 대출의 경우 이자 부담이 증가하고, 전세 자금을 이용한 투자는 전세 계약 기간의 제한을 받아 부동산 운용에 있어 상당한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대부분의 투자자금이 부동산으로 집중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매수와 전세 계약에 거금이 필요한 부동산에 장기간 투자자금이 묶여 있게 되어 유동성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게 되며, 이는 내수 경기와 기업 투자의 활성화를 둔화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더하여, 이러한 부동산에 대한 투자자금 집중은 부동산의 비정상적인 가격 상승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세금 역시 상승하고 있어 무주택자가 단순 임차를 위해서도 상당한 자금을 투입해야 하고, 무리한 대출을 끼고 있는 주택의 임차로 인해 거금이 투입된 전세금에 대한 안정성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가 추가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부동산에 투자되는 자금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고, 해당 시장을 통해 부동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화나 용역에 대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여 부동산에 투자된 자금의 유동성을 확보함으로써, 내수와 기업 경기를 활성화할 수 있는 동시에 소자금으로도 안정적으로 주택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88419호
본 발명은 부동산을 신탁한 사용자의 부동산을 점유권에 대한 주거 지분과 해당 부동산에 대한 무기명 채권인 주택 증권의 발행을 위한 비주거 지분으로 분할하고, 해당 비주거 지분에 대응되는 주택 증권을 신탁 회사를 통해 발행하여 소유자에게 지급하고, 해당 주택 증권을 판매자의 재화나 용역을 구매할 수 있는 화폐로서 거래 가능한 새로운 시장을 제공하여, 부동산에 투자된 자금에 대한 유동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소자금으로도 안정적으로 부동산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주거 안정성과 경기 활성화를 동시에 도모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신탁한 주택에 대한 관리신탁을 수행하는 신탁사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좌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신탁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주거 지분을 제외한 나머지 지분에 대응되어 발행된 상기 주택 관련 복수의 비주거지분권에 대한 주택 신탁 정보 및 상기 주거 지분과 나머지 지분의 비율에 대한 지분 비율을 포함하는 지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주택 신탁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계좌 정보에 상기 복수의 비주거지분권을 등록하는 신탁 서버 연동부와,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주택의 시세에 대한 시세 정보를 제공하는 부동산 평가정보 확인부 및 상기 시세 정보 및 상기 주택 신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택의 가격 변경시 미리 설정된 상기 비주거지분권의 발행가에 따른 상기 나머지 지분이 유지되도록 상기 지분 정보의 주거 지분 및 지분 비율을 갱신하고, 상기 지분 비율을 갱신한 현재 지분 비율 중 상기 주거 지분에 대응되는 주거 지분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주거 지분의 부족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부동산을 신탁회사에 신탁하여 부동산의 주거 지분을 통해 부동산을 점유하면서 상기 부동산의 전체 지분 중 주거 지분을 제외한 나머지 지분을 비주거지분권의 발행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자의 계좌에 입고된 비주거지분권을 판매자의 재화나 용역을 구매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부동산에 투자된 자금에 대한 유동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소자금으로도 안정적으로 부동산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부동산의 가치 하락시 비주거지분권을 담보하는 나머지 지분을 유지한 상태에서 주거 지분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비주거지분권의 가치를 유지시킴으로써 본위 화폐로서의 비주거지분권에 대한 안정성 및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환경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환경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주택 가격 변동에 따른 지분 비율에 대한 조정 과정에 대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공동풀 서비스 제공에 대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주거 지분 부족에 따른 주택 증권 회수 과정에 대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조각 모음 수행 과정에 대한 예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주택에 대한 임대 설정에 따른 지분 조정 과정에 대한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망 구성 개념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환경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 증권을 본위 화폐로서 재화나 용역을 포함하는 상품의 거래에 이용되도록 하는 시장에 대한 공동풀(joint pool) 서비스(40)를 운영하는 서비스 운영사(50)와, 해당 서비스 운영사(50)와 연계하는 신탁 회사(20)와, 상기 신탁 회사(20)에 부동산(10)을 신탁하고, 부동산(10)을 주거지분과 주택 증권의 발행을 위한 비주거 지분으로 분할하여 비주거 지분에 해당되는 주택 증권을 발급받아 상기 공동풀 서비스(40)를 통해 사용하는 사용자(11)와, 상기 공동풀 서비스(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재화나 용역을 판매하는 판매자(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부동산(10)은 주택(아파트 포함), 건물, 토지 등과 같은 다양한 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 편의를 위해 주택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최근 부동산도 수익증권을 발행할 수 있게 허용하고 있으며, 기명 또는 무기명으로 발행할 수 있다. 기명식 수익증권은 권리 변동 내용을 기재 신고를 하여야 효력이 발생하지만 무기명 수익증권은 신고할 필요도 없이 소지하기만 하면 효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부동산(10)을 소유한 소유자(사용자)(11)가 신탁 회사에 부동산(10)을 신탁한 경우 신탁 회사(20)에서 수탁한 부동산(10)을 소유자(11)의 부동산(10)에 대한 점유 및 주거 권리를 위한 주거 지분과 해당 주거 지분을 제외한 나머지 지분을 비주거 지분으로 분할하고, 해당 비주거 지분에 대하여 무기명 수익 증권인 주택 증권으로 발행할 수 있다.
이때, 신탁 회사(20)는 해당 주거 지분과 비주거 지분 사이의 비율을 설정하여 주거 지분과 비주거 지분의 권리의무 관계를 명확히 구분하고, 사용자(11)는 상호 권리 침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부동산 신탁회사(20)와 계약을 체결하고 각각의 권리 의무 관계를 부동산 신탁 원부상에 등재한다. 부동산 신탁 원부란 부동산 신탁 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 계약 당사자가 요구하는 사항을 기재하는 요식 서류의 일종이다.
또한, 상기 주거 지분과 비주거 지분의 비율은 소유자(사용자)와 신탁 회사 사이의 계약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을 토대로, 집값을 기존 가격의 3분의 1수준, 약 30%정도로 대폭 줄이고 기존대로 주거보장은 유지되게 하는 주거 지분을 사용자에게 할당하고, 나머지 지분 약 70%는 자산 유동화를 위한 주택증권을 발행하고, 상기 서비스 운영사(50)가 상기 신탁 회사(20)에서 발행된 상기 주택 증권이 본위 화폐로서 통용되며 재화나 용역과 같은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70)가 참여하는 공동풀 서비스(40)를 제공하여, 해당 공동풀 서비스(40)에 참여하는 집 소유자(사용자), 전세입자 등 이해관계자들이 필요한 물건, 서비스를 자산 유동화한 주택 증권으로 구매할 수 있게 지원한다.
이를 통해, 집값은 기존 가격의 3분의 1가격으로 대폭 줄이지만 주거 보장은 집 전체에 대해 기존대로 안전하게 그대로 보장되고, 전세 및 월세 문제도 근원적으로 해결된다. 자기의 자산을 유동화한 주택증권이라는 유가증권은 그 성질상 애초부터 이자 자체가 없다. 따라서, 주택증권을 발행하는 만큼 이자 부담이 없는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는 효과를 가져 온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11)가 주택 증권을 통해 판매자(70)의 재화나 용역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부동산(10)에 투자된 자금에 대한 유동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수 및 기업 경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택 증권이 결제 수단 또는 지불 수단인 본위 화폐로서 신뢰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주택 증권의 가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나 부동산의 가치는 지속적으로 변동하게 되므로 부동산의 가격이 떨어져 이에 따른 주택 증권의 가치를 담보하는 비주거지분의 가격(가치)이 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주택증권의 가격이 발행가격 밑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부동산 가격 하락에 따른 주택 증권의 가치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부동산 가격의 하락에 따라 상기 비주거 지분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상기 사용자의 주거 지분에서 일부를 떼어 보전함으로써, 주택증권의 발행근거인 비 주거 지분의 가치가 집값의 등락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동산의 가격이 상승한 경우 비주거지분의 가격이 주택증권 발행가격 이상이 될 경우, 비주거 지분의 보전에 사용된 지분을 상기 주거 지분으로 원상 복구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비주거 지분에 대한 보전 이력이 없는 상태에서 부동산의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주택증권이 가치도 덩달아 발행가액보다 높아져 수요증대 요인이 되기 때문에 지분을 조정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도 1의 구성은 소유자(11)가 주택(10)의 주거지분과 비주거지분을 신탁사(20)에 자신을 수익자로 하여 관리신탁을 신청하고, 비주거지분의 경우 신탁사(20)를 통해 수익증권 발행을 요구하여 주택증권을 발행한 후 이를 사용하는 방식을 예로 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소유자(11)가 신탁사(20)에 비주거지분에 대해 관리신탁과 수익증권 발행을 요청해야 하기 때문에 수수료가 이중으로 발생하며, 수익증권 발행을 위한 수수료 비율이 높아 초기 주택증권 발행을 위한 비용이 높은 문제와 더불어 주택증권을 공동풀 서비스(40)를 통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이러한 주택 증권이 다양한 사용자들 간에 유통되면서 지분이 잘게 쪼개져 분산되므로 비주거지분의 소유권 변동에 따른 신탁 변경등기를 매번 수행하는데 많은 노력과 비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유자(11)가 주택(10)의 주거지분은 신탁사(20)에 자신을 수익자로 하여 관리신탁을 신청하고, 비주거지분에 대해서는 서비스 운영사(50)(혹은 그 외의 신뢰할 수 있는 기관)에 위탁(신탁법상 위탁자 지위이전)하여 서비스 운영사(50)가 신탁사(20)에 위탁받은 비주거지분에 대한 수익자를 해당 주택(10)의 소유자(11)로 하여 관리신탁을 신청하고 해당 비주거지분에 대응되는 주택가치 금액을 소유자(11)에게 개설된 주택가치 계좌에 입금하도록 하는 방식을 이용한다(이러한 주택가치 금액은 부동산 평가기관(30)을 통해 결정되며 조정될 수 있다).
이렇게 비주거지분에 대해서 수익자를 원래의 주택 소유자(11)로 하여 신탁사에 관리신탁을 신청하게 되면 주택 소유자(11)는 자신의 비주거지분 위탁에 대한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고, 수수료가 발생하는 수익증권 발행 대신 공동풀(40)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주택 가치 계좌로 받아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모든 주택(10)의 비주거지분에 대한 위탁자, 즉 위탁 소유자가 서비스 운영사(50)가 되므로 해당 비주거지분에 대응되는 금액(해당 금액은 실제 비주거지분과 연동되는 실물 지분에 해당)이 유통된다 하더라도 신탁변경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비주거지분 주택가치에 대해 입금되는 금액은 실제 비주거지분과 연동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계좌의 금액 1은 비주거지분의 환산가치 1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고 10억원 주택의 비주거지분 50%인 5억원을 발행하는 경우 비주거지분 주택가치는 5억(코인, 풀 등 공동풀에서 사용되는 단위)이 입금되며, 각 금액은 비주거지분 실물과 매칭될 수 있다. 즉, 주택가치로 입급되는 금액 1은 실제 주택의 1/5억에 대한 실물에 해당할 수 있어 단순한 가상 화폐나 암호 화폐와 다른 본위 화폐나 실물 지분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최근 유행하는 암호 화폐와 같이 가상적 가치에 의해 근간이 불안정한 유통 방식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다.
이하, 이러한 공동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분의 가치 유지 방식, 청산 방식, 공동풀 서비스 제공 방식을 설명한다. 주택(10)은 앞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주거지분과 비주거지분으로 구분하고 비주거지분은 주택 증권이나 위탁에 의한 주택가치 입금을 통해 유통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와 실물의 지분을 유통한다는 직관적인 서비스 이해를 위하여 주택증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주택증권을 이용할 것인지, 비주거지분 위탁에 의한 비주거지분 주택가치 금액을 이용할 것인지는 설계자가 구현 편의나 신뢰성 확보, 신탁 수수료 절감, 신탁 변경 등기의 간소화를 감안하여 선택할 수 있으므로 주택 증권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하더라도 이는 비주거지분 위탁에 의한 주택 가치 금액으로 대체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주택증권 계좌는 주택가치 계좌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비주거지분 유통을 위한 대상은 '주택증권', '주택가치 금액'을 포괄하는 비주거지분권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상술한 구성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상세 동작 구성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상기 서비스 운용사에 대응되는 서비스 시스템(110)은 상기 사용자 및 판매자의 계좌정보를 저장하는 계좌 DB(310)와, 상기 사용자가 신탁 회사에 신탁한 주택 관련 주택 정보를 저장하는 주택정보 DB(320) 및 상기 계좌 DB(310)와 주택정보 DB(320)를 제어하는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망(130)을 통해 부동산 평가기관에 대응되는 외부 서버(160) 및 상기 신탁 회사에 대응되는 신탁사 서버(120)와 통신망(130)을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서버(160)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상기 주택의 시세에 대한 시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탁사 서버(120)는 상기 주택을 신탁한 사용자의 주택을 미리 설정된 지분 비율 또는 사용자와의 계약에 따른 지분 비율에 따라 사용자의 주택에 대한 점유 및 주거 보장을 위한 지분에 대한 주거 지분과 주택 증권의 발행을 위한 비주거 지분인 나머지 지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나머지 지분에 대응되어 상기 주택 증권의 발행 총액에 따라 복수의 주택 증권을 발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탁사 서버(120)는 상기 주택의 주거 지분과 상기 나머지 지분의 지분 비율에 대한 지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나머지 지분에 대응되어 발행된 복수의 주택 증권에 대한 주택 신탁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주택에 대한 주택 증권 발행에 따라 생성된 상기 지분 정보 및 주택 신탁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택 신탁 정보는 주택 증권의 발행가(또는 발행가격, 발행 액면가), 주택 증권의 발행수, 주택 증권의 담보 대상인 주택정보, 상기 주택을 신탁한 사용자에 대한 신탁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택 정보는 주택의 식별정보(일례로, 주소 또는 고유코드), 대지지분, 전용면적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분 정보는 주거 지분 대비 나머지 지분의 비율에 대한 지분 비율과, 상기 주거 지분에 대응되는 평가 금액(가치), 상기 나머지 지분에 대응되는 평가 금액(가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주택 신탁 정보 및 지분 정보 수신시 상기 주택 신탁 정보 및 지분 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주택 정보 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주택을 상기 신탁 회사에 신탁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40)과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140)의 계좌 개설 요청 정보에 따라 계좌를 개설하여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계좌정보를 계좌 DB(3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주택 신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어 발행된 상기 주택 관련 복수의 주택 증권 각각에 대한 주택 증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택 신탁 정보에 따른 신탁자 정보를 기초로 계좌 DB(310)를 검색하여 상기 신탁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좌 정보를 식별한 후 상기 사용자 계좌 정보에 상기 복수의 주택 증권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복수의 주택 증권을 상기 사용자의 계좌에 입고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계좌에 사용자의 주택에 대응되어 발행된 복수의 주택 증권을 등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주택 신탁 정보에 따라 본위 화폐로서 이용되는 상기 주택 증권을 통신망(130)을 통해 이용하기 위한 주택 증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택 증권 정보를 사용자의 계좌 정보에 저장하여, 주택 증권이 사용자의 계좌에 입고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주택 증권이 지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주택 증권 정보는 상기 주택 신탁 정보에 따라 상기 신탁 회사를 통해 발행된 주택 증권의 고유 식별정보, 상기 주택 증권의 담보 대상인 주택에 대한 주택 식별정보, 상기 주택 증권의 발행처인 신탁회사에 대한 발행처 정보, 상기 신탁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의 주택에 대응되어 발행된 복수의 주택 증권 각각을 주택 증권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신탁사 서버(120)와 연계하여 상기 주택 증권의 발행가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발행가를 상기 주택 증권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모든 주택 증권의 발행가를 동일 가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상기 주택 증권에 대한 처리 과정은 상기 주택 증권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하 설명에서는 주택 증권 정보를 주택 증권으로 설명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주택 증권을 본위 화폐로서 이용하여, 재화나 용역과 같은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상품을 사용자가 상기 주택 증권을 이용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상기 주택 증권을 이용한 거래를 위한 공동풀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공동풀에 대한 시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40) 및 판매자의 판매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망(130)을 통해 복수의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140) 및 복수의 서로 다른 판매자 단말(150)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시장 정보를 복수의 웹 페이지로 구성된 웹 사이트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일례로 쇼핑몰 관련 웹 사이트를 상기 시장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판매자의 상품 정보 및 상기 웹 사이트 관련 정보가 저장된 상품 D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상기 판매자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정보 수신시 상기 판매자에 대응되어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계좌정보로부터 상기 구매정보에 따른 구매 금액에 상응하는(상당하는 또는 가치가 동일한) 하나 이상의 주택 증권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판매자에 대응되어 판매자 계좌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계좌 DB(31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구매 정보에 대응되어 추출된 하나 이상의 주택 증권을 상기 판매자 계좌정보에 저장하여 입고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구매 상품의 결제를 상기 주택 증권을 통해 판매자에게 지불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의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처리시 판매 대금(구매 대금)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주택 증권을 사용자의 계좌로부터 판매자의 계좌로 이전시켜 상품 거래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가 주택 증권을 화폐로서 이용하여 판매자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주택을 신탁회사에 신탁하여 주택의 주거 지분을 통해 주택을 점유하면서 상기 주택의 전체 지분 중 주거 지분을 제외한 나머지 지분을 주택 증권의 발행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자의 계좌에 입고된 주택 증권을 판매자의 재화나 용역을 구매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부동산에 투자된 자금에 대한 유동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소자금으로도 안정적으로 주택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와 판매자 사이의 상품 거래에 주택을 기반으로 발행된 주택 증권이 통용되는 새로운 시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부동산의 투자 자금 중 일부를 생활비와 같은 용도로 유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투자 자금 이외에 사용자가 얻은 수입에 따른 자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해당 자금이 부동산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자금 활용폭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은 주택 가격 하락에 따라 주택 증권의 가치가 하락하는 경우 시장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부동산 평가 기관에 대응되는 외부 서버(160)로부터 상기 주택정보 DB(320)에 저장된 주택 신탁 정보에 대응되는 주택에 대한 시세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시세 정보를 주택정보 DB(320)에 해당 주택 신탁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주택 신탁 정보에 포함된 주택 정보를 기초로 주택 신탁 당시의 주택 가격과 상기 시세정보에 따른 주택 가격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시세에 따른 주택 가격이 신탁 당시의 주택 가격보다 하락하는 경우 주택 증권의 가치(평가 금액)가 잠식되어 하락하게 되며, 이로 인해 판매자에게 상품의 구매 대금으로 지불된 주택 증권의 가치가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례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의 평가 금액에 따른 전체 지분 중 주거 지분율이 30%를 차지하고, 주택 증권에 대한 나머지 지분율이 70%를 차지하는 주거지분 대비 나머지 지분이 3:7의 지분 비율로 분할된 주택에 대하여 도 4(b)와 같이 주택의 가격 하락이 발생하는 경우 가격 하락에 따른 주택의 평가 금액을 다시 3:7의 지분 비율로 조정하게 되면, 도 4(c)와 같이 주택 증권에 대한 나머지 지분율이 70%에서 56%로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56%의 나머지 지분을 주택의 가격이 하락하기 이전의 70%를 차지하는 나머지 지분에 따라 발행된 주택 증권의 개수로 분할하는 경우 해당 주택에 대하여 발행된 개별 주택 증권의 가치가 발행가 이하로 하락하게 된다.
이로 인해, 주택 증권으로 판매 대금을 지급받은 판매자는 손해가 발행하게 될 뿐만 아니라 주택별 가격 변동에 따라 서로 다른 주택의 주택 증권 가치가 상이하게 평가되므로, 본위 화폐로서의 주택 증권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시스템(110)의 서비스 서버(200)는 주택 증권이 발행가의 가치가 유지되도록 상기 주택 가격의 하락이 발행한 경우 상기 주거지분에서 상기 주택 가격의 하락분에 대응되는 지분을 상기 나머지 지분에 할당하여 상기 주택 증권의 가치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외부 서버(160)로부터 수신된 시세 정보 및 주택 신탁 정보에 따른 주택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주택 가격이 하락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주택에 대응되는 주택 신탁 정보를 주택정보 DB(32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주택정보 DB(320)로부터 추출된 상기 주택 신탁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상기 주택 증권의 발행가에 따른 상기 나머지 지분이 유지되도록 상기 지분 정보의 주거 지분 및 지분 비율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갱신된 지분 정보를 상기 신탁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지분 비율을 갱신한 현재 지분 비율 중 상기 주거 지분에 대응되는 주거 지분비(주거 지분 비율)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주거 지분의 부족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또는 알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100의 가치(평가 금액)를 가진 주택이 주거 지분 대비 나머지 지분의 지분 비율이 3:7로 분할되어 주택 증권이 발행된 이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택의 가격이 100에서 80으로 하락한 경우 주택의 전체 평가 금액인 80을 상기 지분 비율에 따라 나머지 지분에 해당되는 평가 금액의 가치가 하락하여 상기 나머지 지분의 평가 금액이 70에서 56으로 하락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주택 증권의 가치 유지를 위해 상기 주택 가격의 하락에 따른 주택의 전체 평가 금액 중 나머지 지분의 가치가 유지되도록 주거 지분 중 일부를 상기 나머지 지분에 충당하여 상기 나머지 지분의 평가 금액을 유지시키고 상기 주거 지분의 평가 금액을 상기 나머지 지분에 충당된 충당분만큼 하락시킬 수 있으며, 상기 주거 지분의 하락에 따른 주거 지분 대비 나머지 지분의 지분 비율을 연산하여, 연산된 현재 지분 비율로 지분 정보에 따른 기존 지분 비율을 갱신시킬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주택 가격의 하락에 따라 기존 70의 가치를 가진 나머지 지분이 56의 가치로 하락한 경우 70이 유지되도록 상기 나머지 지분의 가치 하락분에 해당되는 14를 주거 지분에서 충당시키고, 주거 지분을 상기 나머지 지분에 충당된 충당분(나머지 지분의 가치 하락분)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가격 하락이 발생한 주택의 전체 평가 금액 80에 대하여 주거 지분으로 10을 설정하고, 나머지 지분으로 70을 설정하여 상기 지분 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며, 상기 주거 지분 및 나머지 지분의 변경에 따른 주거 지분 대비 나머지 지분의 지분 비율을 연산하여 12.5 : 87.5로 상기 주택에 대한 지분 정보의 지분 비율을 갱신 및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주택의 지분 정보의 갱신시 상기 주택정보 DB(320)에 저장된 상기 주택에 대응되는 주택 신탁 정보의 지분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갱신된 지분 정보를 상기 신탁사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주택 가격의 하락에 따라 지분 정보를 갱신하여 주거 지분에서 일부가 비주거 지분에 해당되는 나머지 지분에 보전된 이후에 부동산의 가격이 상승하여 나머지 지분의 가치가 상승한 경우 나머지 지분의 가치 상승에 따른 주택 증권의 현재 가치를 산출하고, 상기 현재 가치가 상기 주택 신탁 정보에 따른 상기 주택 증권의 발행가를 초과한 경우 나머지 지분의 보전에 사용된 지분 중 상기 현재 가치와 발행가의 차이에 대응되는 차액 지분을 나머지 지분에서 차감하고, 상기 나머지 지분에서 차감된 지분을 상기 주거 지분으로 복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차액 지분 복구시 주택에 대한 나머지 지분의 보전에 사용된 상기 차액 지분을 주거 지분으로 설정하여 원상 복구시 상기 주택에 대한 지분 비율을 조정하여 갱신할 수 있으며, 이를 지분 정보의 갱신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비주거 지분에 대한 보전 이력이 없는 상태에서 부동산의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주택증권이 가치도 덩달아 발행가액보다 높아져 수요증대 요인이 되기 때문에 지분을 조정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해당 실시예는 주택증권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비주거지분 위탁에 의한 비주거지분 주택가치 금액과 주택가치 계좌를 이용하는 것으로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부동산을 신탁회사에 신탁하여 부동산의 주거 지분을 통해 부동산을 점유하면서 상기 부동산의 전체 지분 중 주거 지분을 제외한 나머지 지분을 비주거지분권(일례로, 주택 증권)의 발행에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자의 계좌에 입고된 비주거지분권을 판매자의 재화나 용역을 구매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부동산에 투자된 자금에 대한 유동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소자금으로도 안정적으로 부동산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부동산의 가치 하락시 비주거지분권을 담보하는 나머지 지분을 유지한 상태에서 주거 지분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비주거지분권의 가치를 유지시킴으로써 본위 화폐로서의 비주거지분권에 대한 안정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택 가격의 변동에 따른 지분 비율이 조정되도록 지원하여, 시장에서 통용되는 비주거지분권의 가치를 보장함으로써, 시장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의 주택에 대한 지분 정보의 갱신에 따라 주거 지분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감소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지분 조정 및 지분 확보를 통지하기 위한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주택 가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주거 지분에서 나머지 지분을 지속적으로 보전하게 되면 사용자의 점유권을 인정하는 근거인 주거 지분이 없어져 사용자가 주택에 대한 점유권을 잃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거 지분 비율이 최초 지분 정보에 따른 주거 지분 비율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사용자가 상기 판매자에게 지불한 주택 증권의 일부를 매수(회수)하는 등의 방식으로 주거 지분을 획득하도록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주택가격이 하락할 경우에 발생하는 주택 증권의 가치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주거 지분을 제외한 비주거 지분에 해당되는 나머지 지분의 유지에 대한 지분조정 의무사항이 정의될 수 있으며, 해당 지분 조정 의무사항에 따라 비주거 지분의 금액 하락폭만큼 주거 지분에서 보전해 주다보면 주거 지분이 없어질 수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주거 지분 비율을 일정 이상 유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주거 지분은 너무 많으면 돈이 집에 묶여 낭비가 되고, 너무 적으면 집값이 떨어질 경우 주거 지분이 없어지면 점유 독점권도 상실되기 때문에 주거 안정보장을 할 수 없으므로, 이런 점들을 감안한 주거 지분의 비율은 최소한 주택 가격의 30%정도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주거 지분의 비율이 30%인 경우 집값이 35% 떨어졌을 때 주거 지분의 지분 조정의무에 따라 비주거 지분에 해당되는 가격이 떨어진 만큼 그 차액을 주거 지분에서 비 주거 지분으로 보전해 주고나면 주거 지분은 30%에서 7.8%로 줄어들지만 주거 지분이 줄어들었다고 해서 점유독점권에 어떤 영향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주거 지분이 완전히 없어지면 신개념 주택은 주거 지분을 근거로 존재하기 때문에 신개념 주택의 소유권도 상실되고 이에 따라 점유독점권도 없어진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알림 정보를 전송한 이후 주거 지분이 완전히 없어지기 전에 공동풀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주거 지분을 근거로 발행한 주택증권을 사용자가 구입해서 주거 지분으로 지분 변경을 하는 방식으로 주거 지분을 보충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200)의 공동풀 서비스 제공에 대한 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주택 증권으로 구매 가능한 재화나 용역을 포함하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판매자 단말(150) 및 사용자 단말(140)로 상기 상품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시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장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웹 페이지로 구성된 웹 사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140)은 상기 시장 정보를 기초로 특정 판매자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구매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의 구매 대금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계좌정보로부터 사용자가 보유한 복수의 주택 증권을 확인하여 상기 구매 대금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주택 증권을 추출하여 상기 특정 판매자에 대응되는 판매자 계좌정보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의 구매 대금을 판매자에게 주택 증권으로서 지불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해당 구매 대금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주택 증권을 판매자의 계좌에 입고시켜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주택 가격이 하락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주택 정보(112)에 따른 주택 가격을 상기 외부 서버(160)로부터 수신된 시세 정보에 따라 갱신할 수 있으며, 상기 주택의 지분 정보에 따른 나머지 지분의 가치가 유지되도록 상기 지분 정보의 주거 지분 및 지분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지분 비율의 조정에 따라 주거 지분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40)로 주거 지분의 부족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주거 지분을 일정 이상의 비율로 확보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의 주택에 대응되는 주택 증권을 보유하고 있는 판매자별 주택 증권의 보유현황에 대한 주택증권 풀(111)을 상기 계좌 DB(310)에 저장된 판매자별 판매자 계좌정보를 기초로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판매자별 주택 증권의 보유현황에 대한 보유현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주택증권에 대응되는 주택 증권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주택에 대응되는 주택 증권을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보유 현황 정보를 상기 알림 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40)은 주거 지분을 상기 알림 정보에 따른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보유 현황 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판매자별로 보유한 주택 증권 중 회수 대상인 하나 이상의 주택 증권을 선택하여 선택된 주택 증권을 회수(매수)하기 위한 회수 요청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수 요청정보는 상기 회수 대상인 주택 증권의 매수를 위한 결제 수단에 대한 결제 수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회수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수 대상인 하나 이상의 주택 증권(a1, a2, a3)의 판매자별 판매자 계좌정보에서 확인하고, 상기 회수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회수 대상인 주택 증권을 보유하고 있는 각 판매자의 판매자 단말(150)로 주택 증권의 판매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판매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판매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판매자 단말(150)로부터 응답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응답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택 증권의 판매에 동의하는 경우 상기 결제 수단 정보를 기초로 판매에 동의한 판매자가 보유하고 있는 회수 대상인 하나 이상의 주택 증권을 판매자로부터 매수하기 위한 결제 금액을 산출하고, 상기 회수 요청 정보에 따른 결제 수단 정보 및 결제 금액을 기초로 결제 정보를 생성한 후 미리 설정된 결제 서버와 통신을 통해 상기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결제 금액을 판매자의 계좌정보에 따른 계좌에 입금하여 판매자가 회수 대상인 하나 이상의 주택 증권(a1, a2, a3)을 사용자에게 판매한 금액을 지급받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매수를 통해 회수 완료된 주택 증권(a1, a2, a3)을 사용자의 계좌 정보에 저장하여 입고시킬 수 있으며, 이때 회수된 주택 증권(a1, a2, a3)을 주거 지분(b2)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서로 다른 판매자의 계좌로부터 회수 대상인 주택 증권이 주거 지분으로 사용자의 계좌에 입고되어 사용자가 주거 지분 확보시마다 회수된 하나 이상의 주택 증권의 가치를 상기 주택정보 DB(320)에 저장된 지분 정보에 따른 기존 주거 지분(b1)에 회수된 주택 증권의 가치에 따른 추가 주거 지분(b2)을 추가(가산)하여, 지분 정보에 따른 주거 지분 및 지분 비율을 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지분 정보의 갱신시마다 상기 신탁사 서버(120)에 상기 지분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탁 회사에서 사용자가 주택에 대하여 보유한 지분을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주택 가격의 가락 하치에 따른 주택 증권의 가치 유지를 위한 주거 지분을 이용한 비주거 지분의 보전에 따라 주거 지분의 소진이 발생하기 이전에 사용자에게 주거 지분의 확보가 이루어지도록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주택의 점유권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일정 이상 주거 지분 비율을 유지하는 것으로 점유권이 인정되도록 제공함으로써 주택에 대한 소자금 투입으로 주거 안정성이 보장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상술한 구성에 따른 서비스 서버(200)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판매자 인터페이스부(220), 등록부(230), 알람부(240), 부동산 평가정보 확인부(250), 신탁서버 연동부(260), 주택증권 관리부(270), 지분 조정부(280) 및 상기 서비스 서버(20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DB부(300)와 연동할 수 있으며, 상기 DB부(300)는 계좌 DB(310), 주택정보 DB(320) 및 등록정보 DB(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40)과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판매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판매자 단말(150)과 상호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및 판매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정보, 판매자 정보 및 판매자가 판매하는 재화나 용역 관련 상품 정보 등을 등록부(23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등록부(230)는 사용자 정보, 판매자 정보 및 판매자가 판매하는 재화나 용역 관련 상품 정보 등을 상기 등록정보 DB(3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사용자 단말(140) 및 판매자 단말(150)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계좌 개설 요청에 대한 계좌 개설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계좌 개설 요청 정보를 등록부(230)로 제공하며, 상기 등록부(230)는 상기 계좌 개설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사용자 또는 판매자에 대응되는 계좌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계좌 DB(310)에 등록 및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290)는 등록부(230)와 연동하여 사용자별로 계좌를 개설하여 등록하고, 판매자별로 계좌를 개설하여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신탁서버 연동부(260)는 신탁사 서버(120)로부터 사용자가 신탁한 주택 관련 상기 주택 신탁 정보 및 지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9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주택 신탁 정보 및 지분 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상기 주택정보 DB(3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동산 평가정보 확인부(250)는 상기 외부 서버(160)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주택에 대한 시세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시세 정보를 제어부(29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시세 정보를 주택정보 DB(320)에서 사용자의 주택에 대응되는 상기 주택 신탁 정보 및 지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주택 신탁 정보 수신시 상기 주택 신탁 정보를 주택증권 관리부(270)로 제공하며, 상기 주택증권 관리부(270)는 상기 주택 신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주택에 대응되어 발행된 복수의 주택 증권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주택 증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계좌 DB(310)에서 상기 주택 신탁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계좌 정보에 상기 복수의 주택 증권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계좌 DB(310)에 저장함으로써, 신탁 회사로부터 사용자의 주택에 대응되어 발행된 주택 증권을 사용자의 계좌에 입고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복수의 주택 증권 정보를 상기 사용자 계좌 정보에 포함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부동산 평가정보 확인부(250)로부터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주택 관련 시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택정보 DB(320)에 저장된 사용자 주택 관련 시세정보를 지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90)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서비스 서버(2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며, 일례로 상기 시세 정보 및 상기 주택 신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택의 가격 변경시 미리 설정된 상기 주택 증권의 발행가에 따른 상기 나머지 지분이 유지되도록 상기 지분 정보의 주거 지분 및 지분 비율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분 조정부(280)는 상기 제어부(290)로부터 상기 지분 정보의 주거 지분 및 지분 비율의 갱신을 위한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택정보 DB(320)에서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지분 정보를 상기 제어 정보에 따른 주거 지분 및 지분 비율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주택 가격의 하락에 따라 지분 정보를 갱신하여 주거 지분에서 일부가 비주거 지분에 해당되는 나머지 지분에 보전된 경우 이에 대한 보전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주택 신탁 정보 및 지분 정보와 매칭하여 주택정보 DB(3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보전 이력 정보에 따른 보전이 이루어진 이후에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시세 정보를 기초로 부동산의 가격이 상승하여 나머지 지분의 가치가 상승한 경우 상기 지분 조정부(280)와 연동하여 나머지 지분의 가치 상승에 따른 주택 증권의 현재 가치를 산출하고, 상기 현재 가치가 상기 주택 신탁 정보에 따른 상기 주택 증권의 발행가를 초과한 경우 나머지 지분의 보전에 사용된 지분 중 상기 현재 가치와 발행가의 차이에 대응되는 차액 지분을 나머지 지분에서 차감하고, 상기 나머지 지분에서 차감된 지분을 상기 주거 지분으로 복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90)는 주택에 대한 나머지 지분의 보전에 사용된 지분을 주거 지분으로 설정하여 원상 복구시마다 상기 주택에 대한 지분 비율을 조정하여 갱신할 수 있으며, 이를 지분 정보의 갱신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보전 이력 정보에 따른 나머지 지분의 보전에 이용된 보전 지분 중 상기 복구된 지분을 반영하여 차감할 수 있으며, 보전 지분이 모두 차감된 경우 상기 보전 이력 정보를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비주거 지분에 대한 보전 이력이 없거나 보전 지분이 없는 상태에서 부동산의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주택증권이 가치도 덩달아 발행가액보다 높아져 수요증대 요인이 되기 때문에 지분을 조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주택정보 DB(320)에서 사용자의 지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지분 비율을 갱신한 현재 지분 비율 중 상기 주거 지분에 대응되는 주거 지분비(주거 지분의 비율)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주거 지분의 부족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알람부(24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람부(240)는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서로 다른 기준치 및 알림 정보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단계별 기준치와 상기 주거 지분비를 비교하여 상기 단계별 기준치 이하로 상기 주거 지분비가 하락시마다 각 단계에 대응되는 알림 정보를 상기 알람부(24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290)는 주거 지분의 삭감에 따른 위험 정도를 단계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 도달시마다 해당되는 단계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알림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알림 정보를 기초로 주거 지분의 확보 필요성을 인지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시장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및 판매자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140) 및 판매자 단말(15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주택증권 관리부(270)와 연동하여 상품 구매에 따라 사용자의 계좌 및 판매자의 계좌 사이에 주택 증권이 이동되어(이전되어) 거래가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사용자 단말(140)과 판매자 단말(150)의 거래를 중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40)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상기 주택 증권 회수시 상기 주택 증권의 회수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지분 정보에 따른 지분 비율을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200)의 제어부(290)는 서로 다른 판매자별 계좌 정보를 확인하여 판매자가 보유한 주택 증권에 대한 주택 증권 정보로부터 상기 주택 증권에 대응되는 주택을 식별하고, 서로 다른 판매자 상호 간 보유한 주택 증권을 등가 교환하여 특정 판매자의 계좌 정보에서 상기 등가 교환에 따라 보유한 복수의 주택 증권을 동일 주택끼리 그룹핑되도록 조각 모음을 수행함으로써, 판매자가 보유하는 주택 증권의 주택 종류를 단순화할 수 있는데 이를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특정 판매자의 계좌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주택 증권 각각에 대응되는 주택을 식별하여 주택 종류에 따른 주택 개수 및 주택 증권의 분포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주택 개수 및 분포 상태를 기초로 주택 증권의 분산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분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계좌 정보를 보유한 복수의 판매자를 식별하고, 상기 계좌 DB(310)에서 상기 복수의 판매자별 계좌정보 사이에 상기 주택 증권에 대한 등가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90)는 등가 교환 대상으로 설정된 판매자 A가 보유한 복수의 주택 증권을 기초로 복수의 주택 종류를 식별하고, 어느 하나의 주택 종류를 선택하여, 선택된 주택 종류 A를 기초로 등가 교환 대상으로 설정된 다른 판매자 B의 계좌 정보로부터 상기 주택 종류 A에 대응되는 주택 증권을 추출하여 판매자 A의 계좌로 입고시킨 후 판매자 A의 계좌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주택 종류 A에 대응되는 주택 증권끼리 그룹핑하여 조각 모음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290)는 판매자 B에 대해서도 판매자 B가 보유한 복수의 주택 증권을 기초로 복수의 주택 종류를 식별하고, 판매자 B에 대응되는 복수의 주택 종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주택 종류 B가 상기 판매자 A가 보유한 복수의 주택 증권에 따른 복수의 주택 종류에 포함된 경우 상기 판매자 B가 보유한 주택 종류 A에 대응되는 판매자 B의 주택 증권을 판매자 A에게 지급하면서(판매자 A의 계좌에 입고하면서) 상기 판매자 A의 계좌로부터 주택 종류 B에 대응되는 판매자 A의 주택 증권을 상기 등가 교환에 따른 반대 급부로서 상기 판매자 B의 계좌 정보에 따른 계좌에 입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등가 교환에 따라 판매자 B의 계좌에 교환된 주택 종류 B에 대응되는 주택 증권 입고시 주택 종류 B에 대응되는 주택 증권끼리 그룹핑하여 조각모음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제어부(290)는 판매자의 계좌 정보에 따른 계좌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 종류의 개수를 감소시켜 주택 종류에 따른 주택 증권의 분포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보유 현황 정보 제공시 상기 조각 모음을 통해 특정 주택 종류에 그룹핑된 복수의 주택정보로 정렬하여 상기 보유 현황 정보를 통해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상기 보유 현황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주택에 대응되는 복수의 주택 증권을 용이하게 하나의 그룹으로서 일목요연하게 구분하여 회수 대상인 주택 증권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택 종류는 주택 식별정보로서 구분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주소를 가진 복수의 주택은 상호 서로 다른 주택 종류에 대응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특정 판매자의 계좌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주택 증권 각각에 대응되어 식별된 주택별 주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판매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각 모음 기준에 따른 선호 지역 및 주택 종류에 대응되는 주택 정보를 가진 하나 이상의 선호 주택을 선택하고, 상기 선호 주택 이외의 주택을 상기 등가 교환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판매자가 선호하는 주택을 기준으로 선호 주택에 대한 주택 증권이 조각 모음에 따른 등가 교환을 통해 확보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판매자가 선호 주택에 대한 주택 증권을 수집하여 선호 주택에 대한 지분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200)의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신탁사 서버(120)와 통신하여 상기 신탁사 서버(120)로부터 상기 주택 신탁 정보 및 지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S1).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40)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좌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S2).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신탁사 서버(12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주거 지분을 제외한 나머지 지분에 대응되어 발행된 상기 주택 관련 복수의 주택 증권에 대한 주택 신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계좌 정보에 상기 복수의 주택 증권을 등록할 수 있다(S3).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외부 서버(160)로부터 시세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택 신탁 정보와 시세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주택 증권에 해당되는 나머지 지분의 가치를 파악할 수 있다(S4).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시세 정보 및 상기 주택 신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택의 가격 변경시 주택 가격의 하락 여부에 따른 지분 변경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S5), 지분 변경 필요시 미리 설정된 상기 주택 증권의 발행가에 따른 상기 나머지 지분이 유지되도록 상기 지분 정보의 주거 지분 및 지분 비율을 갱신하여 지분을 변경할 수 있다(S6).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지분 비율을 갱신한 현재 지분 비율 중 상기 주거 지분에 대응되는 주거 지분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S7) 상기 사용자 단말(140)로 상기 주거 지분의 부족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8).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40)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택에 대응되는 복수의 주택 증권 중 일부가 상기 사용자의 주거 지분으로 설정되어 상기 주택 증권이 사용자에게 회수된 경우(S9) 상기 주택 증권의 회수에 따라 상기 지분 정보에 따른 지분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S10).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주거 지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S11) 상기 신탁사 서버(120)로 상기 사용자의 거주 권리를 회수하기 위한 거주권 회수 요청정보 및 현재 지분 비율에 대한 지분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택에 대한 거주 및 점유에 대한 권리가 회수되도록 할 수 있다(S1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200)의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에서 주택 증권의 조각 모음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또는 판매자의 계좌 정보를 기초로 주택 증권의 분산도를 확인할 수 있다(S21).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계좌 정보에 대한 분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S22) 상기 계좌 정보에 대응되어 조각 모음 기준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를 기초로 선호 주택을 제외한 다른 주택을 대상으로 상기 계좌 정보와 다른 계좌 정보 사이에 주택 증권에 대한 상기 등가 교환을 수행하고, 등가 교환 수행 이후 상기 계좌 정보에서 동일한 주택 종류끼리 그룹핑하여 조각 모음을 수행할 수 있다(S23).
한편, 사용자가 신탁 회사에 신탁한 주택을 전세 계약 등을 통해 임대한 경우 상기 신탁회사는 상기 사용자의 주거 지분 중 임대 계약금에 해당되는 일부를 상기 임차인에 해당되는 신탁 수익자의 지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신탁사 서버(120)는 상기 임대에 따른 지분 변동에 대한 지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신탁사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지분 정보를 기초로 주택정보 DB(320)에 저장된 지분 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며, 상기 갱신된 지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주거 지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지분 조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도 1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200)의 제어부(290)는 상기 30%의 주거 지분비를 가진 사용자가 주택을 임대한 경우 상기 신탁사 서버(120)로부터 상기 임대에 따른 지분 변동에 대한 지분 정보를 수신하여 주택정보 DB(320)에 저장된 기존 지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90)는 상기 지분 변동에 따른 가장 최근의 지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주거 지분 중 일부가 신탁 수익자(임차인)에게 배정되어 사용자의 주거 지분에 대한 비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주거 지분을 확보하도록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미 발행된 주택 증권의 일부를 상술한 바와 같이 회수한 경우 회수된 주택 증권을 주거 지분으로 설정하여 주택 증권 발행 당시의 주거 지분에 대한 비율이 유지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4는 공동풀 서비스에 대한 보안성과 신뢰성을 높이기위한 블록체인망 적용 구성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들과 판매자들이 사용하는 증권 계좌(혹은 주택가치 계좌), 현금 계좌등의 관리와 신탁에 대한 관리가 서비스 운영사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비스 운영사에 대한 신뢰성이 낮은 경우 이러한 공동풀 서비스 자체에 대한 신뢰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공동풀 서비스에 참여하는 주택 소유자, 주거지분 소유자, 비주거지분(주택증권, 주택가치 금액) 소유자, 서비스 운영사, 신탁사(신탁 회사)가 참여하는 공동풀 블록체인망을 구성하고, 이러한 신탁변경, 비주거지분에 대한 유통, 지분 평가 금액 변경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지분 관련 변동을 사용자 단말, 판매자 단말, 서비스 서버, 신탁사 서버를 노드로 하는 블록체인망에서 수정할 수 없도록 블록체인 방식으로 생성한 공유 원장을 통해 처리함으로써 보안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앞서 설명한 모든 종류의 관리를 수행하되, 지분 관련 변동 시 이를 공유 원장에 등록해야 하고, 공동풀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든 참여자들은 거래에 대하여 상호 검증 및 공유 원장을 보유하고 전파한다. 이러한 블록체인의 경우 공동풀 서비스에 참여하여 주택증권이나 주택가치 금액을 보유한 사용자 단말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를 제외한 다른 참여자들(사용자, 판매자 등) 중 작업증명, 지분증명, 혹은 별도로 약속된 방식으로 선별된 참여자 단말이 블록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사용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또는 모듈)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의 메모리 상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메모리는 서비스 서버(200)의 내부 메모리 일 수 있으며, 외장형 메모리 또는 다른 형태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 상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 시 서비스 서버(200)로 하여금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를 구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판매자 인터페이스부(220), 등록부(230), 알람부(240), 부동산 평가정보 확인부(250), 신탁서버 연동부(260), 주택증권 관리부(270), 지분 조정부(280) 및 제어부(290)는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연결되거나 서비스 서버(200)에 구성된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연결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서비스 시스템 120: 신탁사 서버
140: 사용자 단말 150: 판매자 단말
160: 외부 서버 200: 서비스 서버
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20: 판매자 인터페이스부
230: 등록부 240: 알람부
250: 부동산 평가정보 확인부 260: 신탁서버 연동부
270: 주택증권 관리부 280: 지분 조정부
290: 제어부 300: DB부

Claims (9)

  1. 사용자가 신탁한 주택에 대한 관리신탁을 수행하는 신탁사 서버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좌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비주거지분권으로 구매 가능한 상품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신탁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주거 지분을 제외한 나머지 지분에 대응되어 발행된 상기 주택 관련 복수의 비주거지분권에 대한 주택 신탁 정보 및 상기 주거 지분과 나머지 지분의 비율에 대한 지분 비율을 포함하는 지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주택 신탁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계좌 정보에 상기 복수의 비주거지분권을 등록하는 신탁 서버 연동부;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주택의 시세에 대한 시세 정보를 제공하는 부동산 평가정보 확인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주거지분권으로 구매 가능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정보 수신시 상기 사용자의 계좌 정보로부터 상기 구매 정보에 따른 구매 금액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비주거지분권을 추출하여 판매자에 대응되어 기 등록된 판매자의 계좌정보에 등록하며, 상기 시세 정보 및 상기 주택 신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택의 가격 변경시 미리 설정된 상기 비주거지분권의 발행가에 따른 가치가 유지되도록 상기 지분 정보의 주거 지분 및 지분 비율을 자동 갱신하고, 상기 지분 비율을 갱신한 현재 지분 비율 중 상기 주거 지분에 대응되는 주거 지분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주거 지분의 부족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를 전송하며, 주거 지분 부족 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수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회수 대상 비주거지분권에 대한 매수 정보를 제공하고, 회수 대상 비주거지분권 매수가 이루어지면 매수된 비주거지분권을 주거 지분으로 설정하여 상기 지분 비율을 갱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주거지분권을 이용한 거래를 위한 공동풀에 대한 시장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비주거지분권으로 구매 가능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판매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판매자별 계좌 정보를 확인하여 판매자가 보유한 비주거지분권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비주거지분권에 대응되는 주택을 식별하고, 서로 다른 판매자 상호 간 보유한 비주거지분권을 등가 교환하여 특정 판매자의 계좌 정보에서 상기 등가 교환에 따라 보유한 복수의 비주거지분권을 동일 주택끼리 그룹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판매자의 계좌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비주거지분권 각각에 대응되는 주택을 식별하여 주택 개수 및 비주거지분권의 분포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주택 개수 및 분포 상태를 기초로 분산도를 산출하여, 상기 분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등가 교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장 정보는 상기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거래를 위한 복수의 웹 페이지로 구성된 웹 사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판매자의 계좌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비주거지분권 각각에 대응되어 식별된 주택별 주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판매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각 모음 기준에 따른 선호 지역 및 주택 종류에 대응되는 주택 정보를 가진 하나 이상의 선호 주택을 선택하고, 상기 선호 주택 이외의 주택을 상기 등가 교환 대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서로 다른 기준치 및 알림 정보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단계별 기준치와 상기 주거 지분비를 비교하여 상기 단계별 기준치 이하로 상기 주거 지분비가 하락시마다 각 단계에 대응되는 알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9. 삭제
KR1020180042075A 2017-04-24 2018-04-11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84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4731 WO2018199588A1 (ko) 2017-04-24 2018-04-24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52342 2017-04-24
KR1020170052342 2017-04-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492A Division KR20200000410A (ko) 2017-04-24 2019-12-23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110A KR20180119110A (ko) 2018-11-01
KR102084576B1 true KR102084576B1 (ko) 2020-03-04

Family

ID=643983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075A KR102084576B1 (ko) 2017-04-24 2018-04-11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190173492A KR20200000410A (ko) 2017-04-24 2019-12-23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492A KR20200000410A (ko) 2017-04-24 2019-12-23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0845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812A (ja) * 2000-11-13 2002-07-26 Komeisha:Kk 不動産交換システム及び不動産交換方法並びに情報記録媒体
KR100864603B1 (ko) * 2007-12-21 2008-10-22 윤현진 부동산 신탁을 통한 부동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419A (ko) 2009-01-30 2010-08-09 주식회사 우리은행 부동산 거래 중개 방법
KR20110123326A (ko) * 2010-05-07 2011-11-15 윤현진 부동산 투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7812A (ja) * 2000-11-13 2002-07-26 Komeisha:Kk 不動産交換システム及び不動産交換方法並びに情報記録媒体
KR100864603B1 (ko) * 2007-12-21 2008-10-22 윤현진 부동산 신탁을 통한 부동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110A (ko) 2018-11-01
KR20200000410A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4522B2 (en) System for physically delivering virtual currencies
US202000511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assets among parties through tokenization of assets
KR102084573B1 (ko) 부동산 공동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582653B1 (ko)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971838B1 (ko) 부동산 통합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공인중개사의 에스크로 안전거래 진행방법.
KR20090068091A (ko) 부동산 증권화를 통한 부동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2009151741A (ja) 不動産証券化を用いた不動産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975802B1 (ko) 금융기관의 p2p 대출 자금관리 시스템
KR20210008687A (ko)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
Sandler Citrus groves in the cloud: Is cryptocurrency cloud mining a security?
KR101666083B1 (ko) 매출채권 담보대출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
KR20230125152A (ko)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지원 시스템
KR102084576B1 (ko)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4770A (ko) 장외주식 투자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101766232B1 (ko) 거래소를 통한 주거권 거래시스템
KR101666084B1 (ko) 매출채권 담보대출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190021058A (ko) 부동산 신탁 기반 주택 증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0479A (ko) 주택 증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43312B1 (ko) 부동산 거래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WO2018199588A1 (ko) 비주거지분권의 가치 유지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10810A (ko) 리스크 관리 기능을 가진 신용 대주 시스템
KR20180137185A (ko) 부동산 공동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0474A (ko) 부동산 공동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43587A (ko) 자산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220261934A1 (en) Online sharing system for warrant to receive and sharing method of receivable r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