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687A -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687A
KR20210008687A KR1020190085139A KR20190085139A KR20210008687A KR 20210008687 A KR20210008687 A KR 20210008687A KR 1020190085139 A KR1020190085139 A KR 1020190085139A KR 20190085139 A KR20190085139 A KR 20190085139A KR 20210008687 A KR20210008687 A KR 20210008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t
token
server
value
tok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명진
Original Assignee
노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명진 filed Critical 노명진
Priority to KR1020190085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8687A/ko
Publication of KR20210008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매매 가능한 자산들의 사용가치를 블록체인 기반 토큰으로 발행하여 거래될 수 있도록 한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매매 가능한 자산의 사용가치를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사용가치에 대한 평가금액을 산출하는 자산관리평가서버; 상기 산출된 평가금액에 대한 토큰을 발행하고, 관리하는 자산유동화서버; 상기 자산유동화서버에서 발행된 토큰을 제공받는 전자지갑; 상기 자산유동화서버와 연결되며, 매월 일정량의 토큰이 채굴되도록 설정되는 채굴기; 상기 전자지갑에 저장된 토큰이 거래되도록 중개하는 에스크로서버; 그리고 상기 토큰의 거래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된 거래에 관한 거래정보가 기록되는 블록체인 보유서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ASSET TRADING SYSTEM AND MANAGE METHOD USING TOKENIZATION TRANSFER UTILITY VALUE OF ASSET}
본 발명은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매 가능한 자산들의 사용가치를 블록체인 기반 토큰으로 발행하여 거래될 수 있도록 한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동산이나 미술품, 차량 등은 매매 가능한 형태의 자산들이며, 현금매매를 통해 자산으로 취득하게 된다.
이들은 모두 자산 자체의 가치보다는 자산의 사용가치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게 되며, 사용가치를 인정받을수록 가격도 상승하게 된다.
이 중에서도 부동산은 미술품이나 차량에 비해 상당히 고가이며, 개별성이 강하고 국지성이 높기 때문에 부동산의 투자나 관리시 고액의 자금은 물론 전문적인 지식이나 경험이 필요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 부동산을 소유한 건물주들은 임대와 관리를 직접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임차를 전문으로 하는 렌탈업체와 계약을 체결하고, 렌탈업체에서 건물 전체를 임대받은 다음 임차인을 모집한다.
이렇게 임차인들이 렌탈전문업체와 계약하여 입주하게 되면, 렌탈업체에서는 렌탈료를 받아 일부는 건물주에게 송금하고, 나머지 금액은 이익금으로 얻어 렌탈업체를 운영하게 된다.
이때, 임차인이 전세나 월세로 렌탈업체와 계약이 이루어질 때에는 보증금 명목으로 일정 금액을 일정기간 동안 렌탈업체에 예치하게 되는데, 임차인이 긴급하게 비용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 보증금이 일정기간 동안 약정 및 예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증금을 전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임차인은 긴급하게 현금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현금이 부족하여 사업을 운영하는데 있어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상통화인 코인의 거래에 대해 전세계적인 관심도가 상당히 높다.
코인 거래는 '빗썸' 이나 '업비트' 등 국내 가상통화거래 사이트에서 매우 활발하게 매매되고 있으며, 주식 거래와는 다르게 1주 단위의 매매가 최소거래가 아닌 0.001단위로 매매되기 때문에 소액만으로도 해당 코인의 구매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코인의 매매 패턴은 1주 단위로 매매가 이루어지는 주식시장에 비해 개인들의 접근이 더 쉽기 때문에 코인의 관심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코인은 물품을 구매한 후 신용카드나 현금과 같이 구매결제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해외 코인 송금시에도 온라인 상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코인 송금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생활속에서도 편리성을 제공하는 코인은 실체가 없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자산으로서의 담보 기능을 가질 수 없어 거래자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매매를 통해 시세가 결정됨에 따라, 가상화폐 발행 회사 또는 재단에 부실이 발생하게 되면 가상화폐 소유자의 자산을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결제 지불특성을 갖는 코인을 소유하는 방법으로는 구매방식과 직접 코인 생성에 참여야 채굴방식이 있다. 구매방식은 이용자가 코인 거래소에 가입하여 전자지갑을 개설한 상태에서 원화에 해당하는 KRW를 충전하여 코인 거래소에서 시장 가격으로 구매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특정 회사에서 발행하는 발행형 코인의 경우 해당 회사에 비용을 지불하고 구입하는 방식이 있다.
채굴형 코인의 경우, 특정 코인 소유를 목적으로 특수 고안된 컴퓨터를 구매하여 코인을 구성하는 디지털 네트워크에 온라인으로 연결하면, 기존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새로운 노드로 연결되어 기존 네트워크의 성능과 안정성에 기여를 하게 되고, 새로운 네트워크에서 복잡한 코인 암호 해독에 공동 참여하여 암호해독이 완성되면 신규 코인이 발생되며(이 과정을 채굴이라 통칭한다), 이때 발생한 신규 코인을 공동 작업을 위해 참여자가 공급한 해시파워에 따라 배당 받는 방식을 말하며, 기여한 작업에 따라 배당한다고 해서 흔히 POW(작업증명, Proof ofWork) 코인이라 한다.
이후, 각 소유자가 보유한 코인은 코인 거래소에서 매매되고 있는 코인의 현재 시세를 확인한 후 구매를 원하는 코인의 수량과 단가를 입력하여 구매주문을 하면, 거래조건에 맞는 판매주문을 통해 거래를 성립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코인 소유자 사이에 고유한 개인 전자지갑을 이용해 직접 거래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그런데, 코인 거래소를 통해서 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코인의 매도자와 매수자는 중앙화된 거래소를 통해 거래소 회원간 거래를 하기 때문에 간편하고 빠른 매매가 가능하지만, 코인 소유자가 지나치게 거래소에 의존하게 되고, 중앙화된 거래소가 해킹되면 코인 소유자의 회원 정보와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과 거래소가 보유한 코인의 도난 위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개인간의 직접 거래 방식은 이러한 위험이 없는 반면, 코인 매매자가 많아지면서 거래기록을 기록하는 블록 생성이 늦어지게 되어 거래 속도가 늦어질 수밖에 없고, 개인이 보유한 코인의 고유한 전자지갑 정보를 분실하면 탈중앙화된 블록체인의 특성상 되찾을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가상화폐의 종류 중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채굴형 POW(작업증명, Proof of Work)방식의 코인의 경우, 디지털 네트워크에서 신규 생성된 코인을 배당 받기 위하여 컴퓨터를 연결하는 참여자가 신규 보상받는 코인의 가치에 비해 그 코인을 배당받기 위하여 투입하는 컴퓨터 구입비용 및 전기료 등 유지 보수 비용이 충분하지 않게 되면 참여에서 이탈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게 될 수밖에 없고, 이렇게 되면 암호해독으로 발생되는 신규 코인을 보상함으로써 지속적인 참여자를 늘려 네트워크의 성능과 안정성을 확장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동력이 상실되고 기존 참여자의 노드 이탈이 가속화되면, 해당 코인의 안정적인 거래를 위해 블록을 생성하고 분산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붕괴로 이어질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이와 유사한 사례로 자산의 토큰화 방식을 생각할 수도 있는데, 자산 자체를 토큰화할 경우에는 토큰의 거래가 곧 토큰화된 자산의 거래에 해당되므로, 토큰 거래는 자산의 소유권이 이전 된다는 권리관계가 내재적으로 포함되어 거래가 자유로울 수 없다.
일례로, 부동산 자산을 토큰화하여 거래할 경우, 토큰의 거래는 부동산 소유권의 거래가 되어 토큰으로 간편하게 시장에서 거래를 마친 이후 최종 단계에서 부동산 자산을 관리하는 신탁사 또는 법률대리인 등에게 소유권 이전을 청구할 수 있지만, 그 중간 단계의 거래가 부동산 구분 권리가 미등기 된 상태에서 거래가 된다는 약점을 가지게 된다.
이것은 실물자산의 가치를 토큰화하여 거래하는 증권형 토큰발행 STO (Security Tocken Offering) 시장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실물 자산 중 회사의 가치를 토큰화하여 STO 방식으로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자금을 모으거나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행위는, 대한민국의 경우 증권법이나 자본시장법 등에서 엄격한 조건을 두어 증권을 발행하도록 하였는데 자격을 갖추지 못한 일반 비상장 기업들이 증권형 토큰을 검증없이 무분별하게 발행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참조문헌: 대한민국특허공개 제 2018-0119111호(공개일 2018.11.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산의 안정성을 위해 매매 가능한 형태의 담보가치가 있는 자산의 사용가치를 기반으로 자유로운 거래가 가능한 토큰을 발행함으로써, 자산 자체를 토큰화할 때 발생하는 자산의 지분 또는 소유권 이전 문제와 관련된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매매가 가능한 개별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코인의 신뢰성과 안정성 및 관리 효율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큰 발행업체와 약정된 개인이나 단체 그리고 기업 중 일정수량 이상의 토큰을 보유 및 유지하고 있는 토큰 보유자들(마스터노드)에게는 매월 일정량의 채굴된 토큰을 이자처럼 제공하여, 제공된 토큰들을 토큰 발행업체에 사용료와 같은 결제 명목으로 직접 사용하거나, 발행업체와 관련된 플랫폼에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토큰 보유자들(마스터노드)이 보유에 따른 직접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토큰 보유자들에게 제공되는 토큰의 증가로 발생하는 시장 유통량 증가에 따른 토큰 가치의 하락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매매 가능한 자산의 사용가치를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사용가치에 대한 평가금액을 산출하는 자산관리평가서버; 상기 산출된 평가금액에 대한 토큰을 발행하고, 관리하는 자산유동화서버; 상기 자산유동화서버에서 발행된 토큰을 제공받는 전자지갑; 상기 자산유동화서버와 연결되며, 매월 일정량의 토큰이 채굴되도록 설정되는 채굴기; 상기 전자지갑에 저장된 토큰이 거래되도록 중개하는 에스크로서버; 그리고 상기 토큰의 거래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된 거래에 관한 거래정보가 기록되는 블록체인 보유서버; 를 포함한다.
상기 매매 가능한 자산의 사용가치 평가는 부동산, 동산, 미술품, 지식재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토큰거래서버는 매수약정이 이루어진 희망자에게 토큰거래용 고유 ID를 부여한다.
상기 자산유동화서버는 토큰의 보유량이 약정된 수량에서 변화되지 않을 경우 약정유지로 판단하여 추가 발행되는 토큰을 계약자에게 제공하고, 토큰의 보유량이 약정된 수량에서 감소되는 경우 약정해지로 판단하여 토큰의 제공을 제한한다.
상기 자산유동화서버는 자산 사용가치 관리부와, 토큰발행부와, 권리설정부와, 매도정보관리부와, 정보수신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산관리평가서버는 자산의 시세정보를 기초로 하며, 상기 시세정보에 연간 예상 운영수익과 상기 운영수익의 한계치를 곱하여 사용가치를 평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의 사용가치를 토큰화를 통한 운영방법은 자산의 사용가치를 자산관리평가서버를 통해 평가하고, 평가된 금액을 자산유동화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자산유동화서버에서 평가된 금액에 따라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 토큰발행사와 약정자 사이에 보증료에 대한 월별이자를 토큰으로 지급하는 내용 및 월 사용료에 대한 청구와 관련된 약정유지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약정자로부터 납입된 보증료에 해당하는 토큰과 채굴기를 상기 약정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약정자에게 제공된 토큰의 보유수량 변동을 상기 자산유동화서버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상기 토큰의 수량 감소 시 약정자와 약정해지로 판단하여 채굴기를 통한 토큰 채굴을 제한하는 단계; 상기 약정자의 토큰 보유수량에 변동이 없을 경우 상기 약정자가 채굴된 토큰을 상기 토큰발행사의 자산유동화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자산유동화서버에서 약정자로부터 제공받은 토큰을 소멸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의 사용가치를 이용하여 발행된 코인 거래 시스템은 자산의 안정성을 위해 매매 가능한 형태의 담보가치가 있는 자산의 사용가치를 기반으로 하고, 자산의 사용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토큰 발행을 하며,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매매가 가능한 개별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코인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큰발행업체와 약정된 약정자 중 일정수량 이상의 토큰을 보유 및 유지하고 있는 토큰 보유자들(마스터노드)에게는 매월 일정량의 토큰을 제공하고, 제공된 토큰들을 토큰 발행업체에 매월 사용료에 대한 결제수단으로 지불하도록 하여 토큰 발행량 증가로 인한 토큰 가치의 하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토큰보유자들이 현금 부족에 의한 긴급한 상황에 직면하는 경우 보유하고 있는 토큰의 매매 통해 부족한 현금을 신속히 조달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으로 토큰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운영방법을 보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기재된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은 자산 자체에 대한 토큰화가 아닌 자산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예상 사용수익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시켜 거래되도록 하는 것이 기술적 특징임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은 자산의 사용가치를 평가하여 토큰발행사에서 토큰이 발행되며, 모든 거래를 블록체인으로 묶어 토큰 거래의 안전성을 확보한 후, 토큰발행사와 약정자 사이의 거래와 약정자와 매수희망자 또는 매수희망자와 매도희망자 사이에 매매되는 거래형태들이 모두 블록체인보유서버들을 통해 상호 연계 및 보증이 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을 보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으로 토큰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운영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100)은 자산관리평가서버(10)와 자산유동화서버(20)와 토큰거래서버(30)와 에스크로서버(40)와 블록체인보유서버(50)를 포함한다.
자산관리평가서버(10)는 매매 가능한 자산의 사용가치를 평가한다. 즉, 사용가치는 자산을 이용해 얻을 수 있는 연간 수익금과 연간 수익금을 얻을 수 있는 한계치를 적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자산의 사용가치는 자산의 시세 및 렌탈비 등의 정보가 반영될 수 있으며, 정보의 저장 및 관리에 대한 모든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다.
사용가치가 평가되는 자산으로는 무형자산, 부동산, 선박, 미술품, 차량, 골동품 등 자산을 이용하여 운영수익을 얻을 수 있는 모든 자산을 포함할 수 있다.
자산유동화서버(20)는 자산관리평가서버(10)를 통해 산출된 사용가치에 대하여 토큰을 발행하고 관리한다.
초기 발행되는 토큰의 수량은 사용가치를 토큰의 액면가로 나누어 결정된다. 이때, 토큰의 액면가는 자산의 사용가치를 산출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것이므로 자산의 사용가치에 대한 변동이 발생되면, 토큰의 액면가에 변동이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부동산의 임대료가 현재 50만원이고, 30년간 운영수익을 얻을 수 있다면 연간 600만원의 운영수익에 30년을 곱하여 1억 8천만원의 사용가치가 책정된다.
이러한 사용가치에 대하여 토큰의 액면가를 500원으로 설정한다면 토큰의 발행수량은 360,000개가 된다.
이후, 건물 시세 및 토지가의 상승 그리고 주변시설 등의 임대료 상승 등을 반영하여 1년마다 변동된 사용가치를 자산관리평가서버(10)를 통해 평가하여 자산유동화서버(20)에 제공할 수 있다.
자산유동화서버(20)는 재평가된 자산의 사용가치를 평가 금액을 현재 발행된 토큰의 액면가를 예를 들어, 500원에서 600원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액면가를 상승시키지 않고 토큰을 추가 발행하고, 발행된 토큰을 자산유동화서버(20)에 그대로 보유할 수도 있다.
이렇게 자산의 사용가치에 따라 토큰이 발행되면, 자산유동화서버(20)는 토큰발행사와 약정 체결된 약정자에게 보증금을 요청한다.
이때, 약정의 종류는 일반적인 전세의 개념과 월세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으며, 월세의 개념으로 약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약정자가 토큰발행사에 일부 보증료와 매월 사용료를 현금으로 지불한다.
반대로 전세의 개념으로 약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약정된 금액만 보증료를 토큰발행사에 납입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세 개념의 약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약정자로부터 보증금의 수령이 완료되면, 자산유동화서버(20)는 수령된 보증금에 해당하는 토큰을 약정자의 전자지갑(60)으로 제공한다.(본 발명에서는 약정자가 전자지갑을 이미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설명한다)
동시에 자산유동화서버(20)는 약정자에게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중 어느 하나인 채굴기(70)를 제공한다. 하드웨어 채굴기는 컴퓨터이며, 소프트웨어 채굴기는 온라인상에서 제공되는 클라우드와 같은 통상적인 시스템일 수 있다.
자산유동화서버(20)에서 제공받은 채굴기(70)는 매월 일정량의 토큰을 채굴하게 되며, 채굴된 토큰들은 사용료의 명목으로 다시 자산유동화서버(20)로 제공된 후 소멸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토큰발행사와 약정자 사이에 계약이 체결될 때에는 토큰발행사가 약정자에게 약정된 보증료에 +이자(예컨대, 3%의 이자)를 제공하고 월 사용료(예컨대, 3%의 사용료)를 지급받도록 약정하게 된다.(마스터노드의 개념)
즉, 토큰발행사는 은행의 정기 예금과 같이 매월 은행에서 이자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조건과 같은 형태로 약정자에게 이자를 지급하고, 월 사용료를 별도로 약정자에게 받게 된다.
약정자가 보유한 채굴기(70)에서는 매월 일정량의 토큰이 채굴되며(자산유동화서버는 채굴기에서 매월 채굴되는 토큰의 수량이 일정하게 채굴되도록 셋팅하여 약정자에게 제공한다), 채굴되는 토큰의 가치는 토큰발행사가 약정자에게 지급하기로 한 3%의 이자와 동일하다.
따라서, 약정자는 매월 채굴되어 얻는 토큰을 자산유동화서버(20)에 제공하여 매월 토큰발행사에 지급해야 할 월 사용료를 채굴기를 통해 얻은 토큰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약정자는 보증료 이외에 다른 추가 비용을 토큰발행사에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
이때, 자산유동화서버(20)는 약정자가 보유한 토큰의 수량이 일정하다고 판단될 경우 약정유지로 판단하여 채굴기(70)에서 토큰이 계속 발행되도록 유지시키게 되지만, 토큰의 보유량이 약정된 수량에서 감소되는 경우 약정해지로 판단하여 약정자의 채굴기(70)에서 토큰의 채굴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토큰의 보유량이 감소하여 토큰의 채굴의 제한되면, 토큰발행사와 재 약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재약정 진행이 어려울 경우 약정자는 매월 토큰발행사에게 월 사용료를 지급하게 된다.
자산유동화서버(20)는 자산사용가치관리부(22)와, 토큰발행부(24)와, 권리설정부(25)와, 매도정보관리부(26)와, 정보수신부(28)와 제어부(29)를 포함한다.
자산사용가치관리부(22)는 자산관리평가서버(10)와 연동하여 사용가치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한다.
토큰발행부(24)는 자산사용가치관리부(22)에서 관리되는 자산의 사용가치 평가 금액에 해당하는 토큰을 발행한다.
권리설정부(25)는 약정자와 토큰발행사와의 계약된 내용에 대하여 자산의 사용가치에 대한 사용권리를 설정하고, 설정된 권리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매도정보관리부(26)는 계약자가 보유한 토큰의 수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보유 수량이 변화되는 것을 권리설정부(25)에 전송하여 토큰발행사와의 계약 사항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관리한다.
또한 매도정보관리부(26)는 후술하게될 토큰거래서버로부터 토큰의 거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해당 거래정보는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로서, 매도자의 정보, 매수자의 정보, 매수 및 매도 금액, 매매된 토큰의 개당 가격, 매매된 토큰의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정보들은 모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고, 토큰거래서버(30)의 요청에 따라 거래내역을 토큰거래서버(30)에 제공하게 된다.
정보수신부(28)는 외부 서버들과의 정보교환을 진행하는 한편, 제어부(29)는 상기한 구성들의 동작과 기록 등을 관리한다.
에스크로서버(40)는 자산유동화서버(20)에서 발행된 토큰 중 약정자의 전자지갑(60)에 저장된 토큰을 매수 희망자와 거래되는 것을 중개하거나, 인터넷 환경에서 매수 희망자와 매도 희망자 사이에서 거래를 중개한다.
즉, 에스크로서버(40)는 토큰거래가 가능한 환경 인터넷 환경에서 거래되는 매매에 대한 거래를 중개한다.
본 발명의 에스크로서버(40)는 자산의 사용가치를 자산 별로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부동산과 관련된 중개에 대해서는 부동산에스크로서버가 되고, 자동차와 관련된 중개에 대해서는 자동차에스크로서버가 될 수 있다.
블록체인보유서버(50)는 토큰발행사와 약정체결된 계약자 및 토큰매수 희망자와 토큰매도 희망자들에 대한 거래인증을 위한 블록체인을 가진다.
즉, 거래가 이루어지는 조건에 대한 서명을 통해 해당 거래가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인증하고, 해당 거래에 대한 거래정보인 트랜젝션정보를 복수의 블록체인 보유서버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거래에 대한 거래정보를 복수의 블록체인보유서버(50)가 공유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해당 거래에 대한 내용을 중앙 통제없이 서로 보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거래가 이루어지는 각 당사자들 및 토큰거래서버(30)는 블록체인보유서버(50)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보유서버(50)의 경우 블록체인 기술에서 노드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운영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건물의 운영 및 관리를 위해 토큰발행사와 건물주가 계약을 체결하게 되면, 토큰발행사는 계약 체결된 건물에 대한 사용가치를 자산관리평가서버에서 진행한다.(S1)
이때, 토큰발행사는 사용가치에 대한 평가를 건물 운영 및 관리에 대한 계약체결 전 미리 진행할 수 있다.
자산관리평가서버(10)에서 사용가치에 대해 평가된 금액은 자산유동화서버(20)로 전송된다.
자산유동화서버(20)는 평가된 금액에 따라 토큰을 발행한다.(S2)
토큰발행사와 계약을 체결한 임차인에게 보증금 납입에 대한 메세지를 전송하고, 메세지를 수신받은 임차인이 토큰발행사에 보증금을 납부한다.
토큰발행사와 임차인의 계약시에는 보증금에 대한 이자지급 방법과 사용료 납입 방법 등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약정한다.
토큰발행사에 보증금이 수납되면, 임차인에게 전자지갑의 유무를 확인하고 전자지갑이 있을 경우 자산유동화서버(20)에서 보증금에 해당하는 토큰을 임차인의 전자지갑(60)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채굴기(고유ID제공)도 제공한다.(S3)
자산유동화서버(20)는 임차인에게 제공한 채굴기(70)에 토큰의 수량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토큰의 수량에 변동이 발생할 경우 이를 토큰발행사와 약정자에게 메세지로 전송한다.
약정자의 전자지갑(60)에 저장된 토큰의 보유수량에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 채굴기에서 채굴된 토큰을 토큰발행사에 제공하고(S5), 토큰발행사는 제공받은 토큰을 소멸한다.(S6)
이때, 토큰의 수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 자산유동화서버(20)는 약정자의 채굴기(70)에서 토큰이 월마다 일정하게 채굴되도록 유지시키고, 반대로 토큰의 수량이 감소하였을 경우, 토큰발행사와 약정자 사이에 계약이 해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약정자에게 제공한 채굴기(70)에서 토큰의 채굴을 제한시킨다.(S4)
이처럼 토큰의 채굴이 제한된 경우 자산유동화서버(20)는 약정해지에 대한 내용을 약정자에게 메세지로 전송함과 동시에 이자 지급이 중지된 상황과 월별 임대 사용료의 납부에 대한 내용도 약정자에게 메세지로 전송한다.
여기서, 계약이 해지된 약정자는 전자지갑에 저장된 토큰이 남아 있는 경우 에스크로서버(40)를 통해 매수 희망자에게 토큰을 매도할 수 있다.
토큰의 거래에 대한 매수 매도자의 정보는 토큰의 거래를 인증하고 인증된 거래에 관한 거래정보가 블록체인보유서버(50)에 기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은 자산의 사용가치에 따라 토큰을 발행하고, 발행된 토큰을 이용하여 약정자와 복잡한 서류 작성없이 임차 및 임대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약정자에게 긴급한 금융 부족 현상이 발생 시 보유중인 코인의 매도를 통해 자금을 긴급 조달할 수 있어 토큰발행사와 약정자 모두에게 잇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자산관리평가서버
20: 자산유동화서버
22: 자산사용가치관리부
24: 토큰발행부
26: 매도정보관리부
28: 정보수신부
29: 제어부
30: 토큰거래서버
40: 에스크로서버
50: 블록체인보유서버
60: 전자지갑
70: 채굴기
100: 거래시스텝

Claims (9)

  1. 매매 가능한 자산의 사용가치를 평가하고, 상기 평가된 사용가치에 대한 평가금액을 산출하는 자산관리평가서버;
    상기 산출된 평가금액에 대한 토큰을 발행하고, 관리하는 자산유동화서버;
    상기 자산유동화서버에서 발행된 토큰을 제공받는 전자지갑;
    상기 자산유동화서버와 연결되며, 매월 일정량의 토큰이 채굴되도록 설정되는 채굴기;
    상기 자산유동화서버에서 발행된 토큰을 매수 희망자와 매도 희망자 사이에서 거래되도록 중개하는 에스크로서버; 그리고
    상기 토큰의 거래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된 거래에 관한 거래정보가 기록되는 블록체인 보유서버; 를 포함하는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매 가능한 자산의 사용가치 평가는 부동산, 동산, 미술품, 지식재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거래서버는 약정자에게 토큰거래용 고유 ID를 부여하는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유동화서버는 토큰거래서버를 통해 이루어진 토큰의 보유량 변화를 관리하는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유동화서버는 토큰의 보유량이 약정된 수량이 일정할 경우 약정유지로 판단하여 약정자에게 제공된 채굴기에서 토큰의 채굴이 유지되도록 하고, 토큰의 보유량이 약정된 수량에서 감소되는 경우 약정해지로 판단하여 약정자에게 제공된 채굴기에서 토큰의 채굴이 제한되도록 하는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유동화서버는 자산 사용가치 관리부와, 토큰발행부와, 권리설정부, 매도정보관리부와, 정보수신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관리평가서버는 자산의 시세정보를 기초로 하며, 상기 시세정보에 연간 예상 운영수익과 상기 운영수익의 한계치를 곱하여 사용가치를 평가하는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8. 자산의 사용가치를 자산관리평가서버를 통해 평가하고, 평가된 금액을 자산유동화서버로 제공하는 단계(S1);
    상기 자산유동화서버에서 평가된 금액에 따라 토큰을 발행하는 단계(S2);
    토큰발행사와 약정자 사이에 보증료에 대한 월별이자를 토큰으로 지급하는 내용 및 월 사용료에 대한 청구와 관련된 약정유지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약정자로부터 납입된 보증료에 해당하는 토큰과 채굴기를 상기 약정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3);
    상기 약정자에게 제공된 토큰의 보유수량 변동을 상기 자산유동화서버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상기 토큰의 수량 감소 시 약정자와 약정해지로 판단하여 채굴기를 통한 토큰 채굴을 제한하는 단계(S4);
    상기 약정자의 토큰 보유수량에 변동이 없을 경우 상기 약정자가 채굴된 토큰을 상기 토큰발행사의 자산유동화서버에 제공하는 단계(S5); 그리고
    상기 자산유동화서버에서 약정자로부터 제공받은 토큰을 소멸하는 단계(S6); 를 포함하는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운영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사와 약정이 해지된 경우에는 월 사용료를 토큰발행사에 현금으로 지급하고, 상기 약정자가 토큰을 그대로 보유하거나 또는 인터넷 환경에서 에스크로서버를 통해 매수 희망자에게 토큰을 매도하는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운영방법.









KR1020190085139A 2019-07-15 2019-07-15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210008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139A KR20210008687A (ko) 2019-07-15 2019-07-15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139A KR20210008687A (ko) 2019-07-15 2019-07-15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687A true KR20210008687A (ko) 2021-01-25

Family

ID=7423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139A KR20210008687A (ko) 2019-07-15 2019-07-15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86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743B1 (ko) * 2021-05-17 2021-12-29 주식회사 엘씨홀딩스 상품 렌탈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387014B1 (ko) * 2021-06-04 2022-04-15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이동 기구의 감가에 따른 토큰 소각을 수행하는 트래킹 서비스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98366B1 (ko) * 2021-07-14 2022-05-13 김송환 디파이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111A (ko) 2017-04-24 2018-11-01 윤덕규 부동산 공동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111A (ko) 2017-04-24 2018-11-01 윤덕규 부동산 공동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743B1 (ko) * 2021-05-17 2021-12-29 주식회사 엘씨홀딩스 상품 렌탈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387014B1 (ko) * 2021-06-04 2022-04-15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이동 기구의 감가에 따른 토큰 소각을 수행하는 트래킹 서비스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87015B1 (ko) * 2021-06-04 2022-04-15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분실된 이동 기구의 조회 및 보상을 수행하는 트래킹 서비스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17883B1 (ko) * 2021-06-04 2022-07-06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이동 기구의 특정 및 기록을 수행하는 트래킹 서비스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98366B1 (ko) * 2021-07-14 2022-05-13 김송환 디파이 대체 불가능한 토큰 및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220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sing a digital currency
KR102580202B1 (ko) 디지털적으로 암호화된 증권 플랫폼 및 이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202000511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assets among parties through tokenization of assets
KR102252954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식재산권거래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20180115402A (ko) 블록체인 기반 p2p 펀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08687A (ko) 자산의 사용가치 토큰화를 통한 거래 시스템 및 운영방법
CN110675261A (zh) 基于区块链的债券交易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202201887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electronic token ecosystems
KR20210041456A (ko)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602177B1 (ko) 전자화폐 발행을 통한 부동산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227575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 티켓을 서비스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120127345A (ko) 소셜커머스에서의 매매보호를 위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303301B1 (ko) 컴퍼니머니를 이용한 담보거래 서비스 방법
Bhaskar et al. Bitcoin IPO, ETF, and crowdfunding
US20180122007A1 (en) In-cash foreign currency trading system
CN114723501B (zh) 一种基于nfr的数字礼券交易系统
KR102430287B1 (ko) 디지털 화폐의 발행 및 사용 관리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30030916A (ko) 블록 체인과 nf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77743B1 (ko) 스톡 옵션을 위한 대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42344A (ko) 전자기기 매매에 따른 대금 지급 방법 및 대금 지급 시스템
KR20240028891A (ko)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부동산 권리금 거래 플랫폼을 운용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4723499A (zh) 一种基于nfr的数字礼券交易方法
WO20221471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sing a digital currency
KR20210010792A (ko) 관리자단말기를 이용한 연간유료회원제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